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명상-마음챙김-긍정심리 훈련(MMPT)이 수행불안 성향 여대생의 수행불안, 자기불일치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조승현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명상-마음챙김-긍정심리 훈련(MMPT)이 수행불안 성향 여대생의 수행불안, 자기불일치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심리학과 조승현 본 연구는 명상-마음챙김-긍정심리훈련(Meditation-Mindfulness & Positive psychology Training, MMPT)이 수행불안 성향 여대생의 수행불안, 자기불일치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학교 온라인 커뮤니 티에 연구 참여 홍보물을 게시하여 자발적으로 참여를 희망하는 수행불안 성향 여대 생을 모집했다. 참여자들은 무선할당을 통해 처치집단(n=15)과 대기통제집단(n=15) 에 배정되었다. 처치집단은 온라인 화상회의 프로그램(whale On)을 활용하여 프로 그램에 참여했다. 프로그램은 회기별 약 60분, 4주간 주 2회, 총 8회기로 구성되었 다. 본 연구에 활용된 연구 도구는 사회 공포증 척도, 자기질문지 척도, 주관적 웰 빙 척도이다.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시작 전 사전검사, 프로그램 종료 시점에 사후검 사를 실시했고, 프로그램 종료 4주 후 추후검사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처치집단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수행불안, 자기불일치, 삶의 만족 예상 수준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지만, 삶의 만족, 긍정 정서, 부정 정서 수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 다. 주요어: 명상-마음챙김-긍정심리(MMPT), 수행불안, 자기불일치, 주관적 웰빙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editation-Mindfulness-Positive Psychology Training (MMPT) on performance anxiety, self-discrepenc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Female university female with performance anxiety. Promotional posters were posted on an online community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a tendency to performance anxiety and student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recruite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online MMPT program using a video conference program(Whale-on).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reatment group (n=15) and a waiting-control group total of 8 sessions, twice a week for 4weeks, about 60 minutes per sessions. As the measurement tool, the researcher used Social Phobia Scale, Self-Questionnaire, the Life satisfaction Scale(SWLS), the Life Satisfaction Expectation(LSES), and the Emotional Frequency Scale(PANAS). All participants had a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after 4 wee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anxiety and self-discrepency and the life satisfaction expect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ife satisfaction, positive emtion, and negative emotion. Finally,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19세기 이후 마리아 신심 부흥에 대한 신학적 고찰 : 마리아 발현 신심을 중심으로

        조승현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신학적으로 기초 신학의 상황 신학에 대한 개념과 신앙 감각적인 방법을 논문 전체에 적용시켰다. 19세기 이후 마리아 신심 부흥에 있어서 마리아 발현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즉 마리아 발현은 1830년 ‘기적의 메달 발현’을 시작으로 19세기부터 지속적으로 있어왔다. 이러한 마리아 발현은 대중 신심과 연결되면서 마리아 발현 신심이라는 독특한 형태의 마리아 신심을 이끌며 19세기 이후 마리아 신심에까지 영향을 주고 있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신학적인 해석에 있어 신앙 감각에 대한 이해를 기준으로 했다. 이와 같은 논문의 특성상 1장에서는 마리아 발현 신심의 형태를 이해하기위해 ‘기적의 메달 발현’, ‘라 살레트 발현’, ‘루르드 발현’, ‘파티마 발현’의 특징을 찾아보고 마리아 발현의 공통된 특징 및 사적계시와 발현의 신학적인 의미, 수용하는 신학적인 기준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았다. 또한 마리아 신심에 대한 신앙 감각적인 고찰을 통해 마리아 발현 신심에는 초대교회 이후 마리아 신심에서의 특징과 마리아 전승에서 나타나는 특징이 잘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과열된 마리아 신심의 특징점인 독립되고 사적인 형태의 마리아 신심은 두드러진 특징이었다. 그리고 이것은 마리아 발현 신심에서 나타나는 주요한 특징이었다. 그리고 다른 주요한 특징은 마리아 발현 신심이 19세기 시대적으로 위기에 처해 있던 가톨릭 교회의 “신앙의 초월성”을 대변해 주면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점이다. 곧 19세기 시대의 무신론적인 조류에 대해 가톨릭 교회는 신앙의 초월성에 대한 강조로 마리아 발현과 마리아 발현 신심에 의존했던 것이다. 이것은 가톨릭 교회가 마리아의 “원죄 없는 잉태” 교의 선포에 있어서 대중들의 마리아 발현 신심에서의 교의 선포에 대한 요구를 신자들의 신앙 감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데서 잘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마리아 발현 신심을 중심으로 한 형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까지의 마리아 신학에까지 영향을 주고 있었다. 따라서 19세기 이후 마리아 신심 부흥의 중요한 형태는 마리아 발현 신심이라는 것을 잘 알게 되었다. 그리고 2장에서의 마리아 발현이 시작되던 19세기의 시대적인 상황에 대한 이해는 마리아 발현과 마리아 발현 신심이 생겨나게 된 이유를 보다 더 잘 이해하게 해 주었다. 여기서는 시대적인 사상적 조류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곧 정치-사회적인 고찰과 정신-문화적인 고찰 그리고 교회사적 고찰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19세기의 시대는 무신론적 특징이 사회 전반적인 현상이었음이 파악되었다. 즉 19세기의 시대적인 사상적 조류는 불가지론적인 특징과 무신론적인 특징을 동시해 내포하며 세속화의 특징을 잘 대변해 주고 있었다. 이는 가톨릭 교회의 신앙의 초월성의 성격과 대립하고 있었던 것이다. 가톨릭 교회는 이러한 시대조류에 맞서 마리아 발현 신심에 의존해 교회의 “신앙의 초월성”을 강조했던 것이다. 3장에서는 1장과 2장을 통해 살펴보았던 내용들을 신앙 감각적인 특징으로 살펴 보면서 마리아 발현 신심의 신앙 감각적인 특징을 분류해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오늘날 한국적인 상황에까지 미친 마리아 발현 신심의 특징들을 파악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19세기 마리아 발현 신심의 형태가 여과 없이 한국에 수용되었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에서의 마리아 신심도 마리아 발현 신심에 이미 나타나 있던 마리아 신심과 마리아 전승에서의 특성들이 나타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었다. 특히나 한국에서의 마리아 신심은 그리스도교가 생성된 문화적 기반위에서 수용된 19세기 당시 마리아 발현 신심과는 달리 그리스도교 문화의 기반이 상대적으로 매우 약했던 상황에서 수용했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의 마리아 신심은 마리아 발현 신심에서 두드러졌던 특징들을 수용했던 것이다. 따라서 19세기 마리아 발현 신심의 신앙 감각적인 특징과 아울러 당시 교회의 신앙 감각적인 태도, 대중 신심에서 기인하는 신앙 감각적인 특징 등은 오늘날 마리아 신심의 왜곡된 형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 오늘날 마리아 신심에서 나타나는 신앙의 초월성에만 소급시키려는 경향은 마리아 발현 신심에서 연유하는 신앙 감각적인 특징으로 분류된다. 이와 더불어 사적계시와 수용에 대한 무분별한 태도 역시 여기에서 더 자극받고 있었던 것이다. 사회교리에 대한 이해와 수용의 한계는 이러한 특징들을 잘 대변해 주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원인과 더불어 마리아 신심에서 과장되고 독립된 형태로 나타났던 신앙 감각적인 특징은 오늘날 마리아 신심이 교회 안에 일치된 신심으로 자리매김하는데 큰 장애가 되고 있었다. 이런 마리아 신심의 문제는 신학적인 기반이 매우 약하다는 것과 교도권과의 신앙 감각적인 합의에 있어 장애로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마리아 신심이 올바로 적용되고 이해되기 위해서는 신앙 감각적인 기준에 대한 성찰이 매우 중요했던 것이다. 따라서 앞의 연구를 In this thesis, the concept of the contextual theology of fundamental theology and the method of religious sense have been applied throughout. In the revival of Marian devotion after the 19th century, the apparitions of Mary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namely, the apparitions of Mary which have been continually occurring since the 19th century starting from the ‘Miraculous Medal apparition’ in 1830. Such apparitions of Mary have been effecting Marian devotion after the 19th century as they began a unique type of Marian devotion called ‘devotion to Mary’s apparitions’ which is connected with popular religiosity. Accordingly, the understanding of religious sense is used as the basis in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is particular form of Marian devotion. According to such parameters of this thesis, in Chapter 1,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raculous Medal Apparition’, ‘La Salette Apparition,’ ‘Lourdes Apparition’, and ‘Fatima Apparition’ are researched and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se apparitions of Mary and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private revelations and apparitions and the theological standard of acceptance are examined so as to understand this particular type of devotion to Mary.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arian devotion after the early church and the characteristics that are revealed in the Marian tradition are well revealed in the devotion to Marian apparitions is here examined and confirmed through the ‘religious sense’ consideration of Marian devotion; namely, the independent and private type of Marian devotion,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excessive Marian devotion, was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Also, these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being revealed in the devotion to Mary’s apparitions. In addition, another main characteristic is the fact that the devotion to Mary’s apparitions appeared prominently as they represented the “transcendence of the religion” of the Catholic church that faced a periodic crisis of the 19th century. Namely, the Catholic church depended upon the apparitions of Mary and the devotion to Mary’s apparitions through which it emphasized the “transcendence of the religion” against the agnostic tide of the 19th century. This was well manifested in the Catholic church when of the mass of the faithful petitioned for a doctrinal proclamation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of Mary as the “religious sense” of the believers. Along with this, the type of devotion that centers on the devotion to Mary’s apparitions was even influencing the Marian theology prior to the Second Vatican Council. Accordingly, it will be studied and confirmed that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 revival of Marian devotion after the 19th century is the devotion to Mary’s apparitions. In additi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dition of the times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apparitions of Mary started is covered in Chapter 2 and helps to better understand the apparitions of Mary and the cause of the devotion to Mary’s apparitions. In this chapter, the ideological tide of the time is examined; namely, the mental-cultural consideration and the church’s historical situation. Through this process, the fact that atheism was the overall social phenomenon in the 19th century will be identified. Namely, the ideological tide of the 19th century that contained agnostic and atheistic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ime well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secularizaton. This was in opposition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transcendence of religion in the Catholic church. The Catholic church emphasized the ‘transcendence of religion’ by depending on the devotion to Mary’s apparitions which moved against the tide of the time. In Chapter 3, the contents examined in Chapter 1 and 2 are examined from a religious sen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igious sense of the devotion to Mary’s apparitions are classified.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otion to Mary’s apparitions that influence the situation in Korea today are identified through these processes. Through these processes, the fact that the type of the devotion to Mary’s apparitions of the 19th century has been accepted without any filtering in Korea will be examined. Accordingly, it is evident that the Marian devotion already revealed in the devotion to Mary’s appari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rian tradition are revealed in the Marian devotion in Korea as well. In particular, Marian devotion in Korea was accepted in circumstances when the Christian cultural foundation was relatively very weak, unlike the devotion to Mary’s apparitions in the 19th century where it was accepted on the cultural foundation on which Christianity was built. That’s why Marian devotion in Korea accepted the characteristics that were prominent in the devotion to Mary’s apparitions. Therefore,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sense of the devotion to Marian apparitions in the 19th century, the things such as the religious sense attitude of the church of that perio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igious sense are rooted in the popular religiosity. These were an important clue in understanding the distorted forms of today’s Marian devotion. Today’s tendency to go back only to the transcendence of religion revealed in Marian devotion is classified as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sense resulting from the devotion to Mary’s apparitions. Along with this, personal revelations and an indiscrete attitude of acceptance were also being stimulated here. The understanding of social doctrine and its accepted limitations well represent these characteristics. Also, along with these reasons,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sense that were revealed in exaggerated and independent forms of Marian devotion are a big hindrance to Marian devotion’s becoming a united devotion in the church t

      • 리튬이차전지용 고안전성 물질인 LiFePO4 및 Li4Ti5O12 전극물질의 합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 고찰

        조승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LiFePO4 양극 활물질을 졸-겔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고, 출발물질로써 LiNO3, Fe(NO3)3·98H2O, H3PO4 및 아디픽산을 에탄올에 녹여 혼합하고 100℃에서 증발·건조시킨 후 Ar 분위기인 튜브형 소결로에서 400℃로 3시간 동안 소결한 후 다시 670℃로 5시간 재소결하여 최종물질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LiFePO4는 FeP, Fe2P와 같은 불순물 피크가 보이지 않는 전형적인 사방정 구조의 LiFePO4의 XRD 패턴을 나타내었다. 졸-겔법으로 합성한 LiFePO4 활물질은 기존의 고상법으로 합성한 시료(200-300 ㎚)보다 다소 작은 약 50-150 ㎚의 입자 크기를 가지며 충·방전 실험 결과 146 ㎃h/g의 초기 방전용량을 보였으며, 싸이클 성능 또한 고상법으로 합성한 LiFePO4 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졸-겔법을 통하여 50-150 nm의 작은 입자로 구성된 LiFePO4 분말의 영향으로 리튬 이온의 확산속도 및 전기전도도가 향상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되어 진다. Li4Ti5O12 음극 활물질의 경우 고상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으며, LiOH·H2O와 TiO2(anatase form)를 각각 양론비로 30분간 혼합·분쇄하여 산소 분위기의 튜브형 소결로에서 400℃, 10시간 동안 소결한 후 다시 800 ℃에서 20시간 동안 재소결하여 최종 물질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분말은 불순물 피크가 존재하지 않는 전형적인 스피넬 Li4Ti5O12의 XRD 패턴을 나타내었다. 충·방전 테스트 결과, 178 mAh/g의 초기 방전 용량을 보였으며, 50 싸이클 동안 90 %의 용량을 유지하는 싸이클 성능을 나타내었다. Li4Ti5O12의 고출력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극 제작시 ketzen black을 첨가하였고, 전극 제조시 6 mg의 ketzen black을 첨가한 Li/Li4Ti5O12 셀은 50 싸이클 이후에 173 mAh/g의 용량을 유지하는 매우 향상된 전기화학적 특성을 보였다. ketzen black을 첨가한 Li/Li4Ti5O12 셀은 16 C의 높은 전류밀도에서도 84 mAh/g의 방전용량을 보였으며, 본래의 Li/Li4Ti5O12 셀보다 높은 용량과 싸이클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ketzen black의 첨가로 인하여 Li4Ti5O12 입자들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입자간 전하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보다 많이 제공되었기 때문에 향상된 전지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LiFePO₄ cathode material was synthesized at 670 ℃ for 5 hr by sol-gel method, and LiNO₃, Fe(NO₃)₃·9H₂O, H₃PO₄ and adipic acid were used as starting materials. XRD patterns of the LiFePO₄ obtained by sol-gel method showed an orthorhombic structure with Pnma space group without any impurities such as FeP, Fe₂P. LiFePO₄ obtained by sol-gel method was composed of particle size of about 100-150 nm, which was smaller than that of LiFePO₄ obtained by solid-state method(200-300 .) and exhibited a high initial discharge capacity above 146 .h/g as well as an excellent cycle performance,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Li/LiFePO₄(126 .h/g) cell by solid-state method. We concluded that lithium ions' diffusion rate and electric conductivity of LiFePO₄ were enhanced because surface area increased by uniform and small particle size of about 100-150 nm by sol-gel method. The Li₄T_(i5)O_(12) anode material was synthesized at 800 ℃ for 20 hr by solid-state method, and LiOH·H₂O and TiO₂(anatase form) were used as starting materials. XRD pattern of Li₄T_(i5)O_(12) obtained by solid-state method showed well developed Li₄T_(i5)O_(12) spinel phase without any impurities. In the result of charge/discharge test, Li/Li₄T_(i5)O_(12) cell showed an initial discharge capacity of about 178 mAh/g and cycle retention rate of 90 % for 50 cycles. In order to improve electric conductivity of Li₄T_(i5)O_(12), the composition of the Li₄T_(i5)O_(12) electrode was altered by addition of ketzen black as carbon additive to the electrode. The Li/Li₄T_(i5)O_(12) cell with the highest proportion of ketzen black exhibited better electrochemical performance, showing the highest initial discharge capacity and better cycle performance with 173 mAh/g after 50 cycles. Also, at a high current density of 16 C, the Li/Li₄T_(i5)O_(12)-high ketzen black cell also exhibited higher cycle retentions of 84 mAh/g than that of parent cell(67 mAh/g). The addition of ketzen black as a carbon additive to the anode material increased the electric conductivity of Li₄T_(i5)O_(12) powder by increasing surface contacts and providing improved pathways for the electron transfer between particles.

      • 공연장 환경에 따른 무대전환 방식에 관한 연구 : 뮤지컬 『은밀하게 위대하게 : THE LAST』를 중심으로

        조승현 서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공연에서 무대 전환을 통한 장면 연출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과거의 무대 전환이 극의 전개에 따라 시간, 공간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함이었다면 현대의 무대 전환은 시공간의 변화뿐만 아니라 인물의 감정, 갈등의 양상, 장면의 분위기 등 무대 위에서 복합적으로 표출되는 관념적 요소를 무대 전환을 통한 세트의 움직임을 통해 시각적 요소로 표출한다. 즉 현대의 무대디자인은 단순 극의 배경을 표현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무대 위에서 일어나는 복합적 요소를 융합한, 하나의 장면으로 연출한다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공연예술 창작진들은 무대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장면이 필요로 하는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해 공연장 환경에 따라 다양한 무대 전환 방식을 연구 및 시도하고 있다. 또한 매체의 발달로 인해 동적움직임에 익숙해진 현대 관객들의 시각적 만족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존에 없는 다양한 움직임을 표출할 새로운 무대 전환 장치에 관해서도 대형 오페라, 뮤지컬 장르를 필두로 개발, 발전되어가고 있다. 즉 공연장 환경에 맞춰 다양한 장면을 표현할 무대 전환 방식과 장치는 현대 공연예술 창작진들에게 작품을 구상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볼 수 있으며 관련 연구의 필요성 역시 연일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필자가 무대 디자인팀으로 참여한 뮤지컬 '은밀하게 위대하게 : THE LAST'의 사례를 통해 공연장 환경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무대 전환 방식을 제시하였다.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연장 전환시스템의 연구가 아닌 공연장 환경이 달라졌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무대 전환 방식에 대한 연구이다. 즉 전환시스템의 유무, 전환 장치를 운용할 수 있는 공간의 유무 등 무대의 현실적인 물리적 한계를 고려한 디자인 방법론과 전환 장치의 기능적 측면을 분석하여 제시한 연구로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실질적인 연구에 앞서 공연장과 무대 전환 방식의 이론적 토대을 구축하기 위해 공연장의 기원인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현대까지 문헌조사와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2020년 초연 공연장인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와 2022년 재연 공연장인 KT&G상상마당 대치아트홀의 공연장 환경 차이를 분석하여 본 사례를 분석할 실증적 근거를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작품의 간략한 설명과 디자인 의도를 제시하였고 두 공연장의 환경 차이, 즉 상부 공간과 상부장치가 있는 M씨어터와 상부 공간과 상부장치가 없는 대치아트홀의 환경 차이로 인해 같은 장면을 다른 방식으로 연출한 사례를 무대 전환 장치에 따라 제시하였다. 초연인 M씨어터의 상부 장치봉을 활용한 장면을 토대로 대치아트홀에서 이를 대체하여 사용한 트랙시스템, 전동 롤스크린, 캐스터 장치에 대해 디자인 방법론과 장치의 기능적 측면을 제시하였다. 추가로 본 사례에서는 활용되지 않았지만 심도있게 논의되었던 이탈 장치에 대해서도 추가로 제시하여 다양한 전환 방식들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가 장면을 연출하기 위한 디자인 방법론뿐만 아닌 장치의 기능적 측면을 같이 제시하는 이유는 새로운 움직임을 표현하는데 급급하여 객관적인 연구와 근거없는 무분별한 사용은 결국 안전사고로 이어지며 이러한 사고는 공연예술 전반의 발전을 더디게 만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안전하고 올바른 방법으로 무대 전환 장치를 사용하는데 일조하길 바라며 지속적인 후속 연구를 통해 다양한 무대 전환 방식이 제시되길 소망한다. The importance of scene change in modern performances is increasing day by day. While scene change in the past were used to visually express changes in time and space as the play unfolded, modern scene change express not only changes in time and space, but also conceptual elements that are complexly expressed on stage, such as the emotions of characters, aspects of conflict, and the atmosphere of the scene, as visual elements through the movement of the set through scene change. In other words, modern stage design is not just about expressing the background of a play, but about creating a scene that fuses the complex elements that occur on stage. To this end, performing arts creators are studying and trying various scene change method depending on the venue environment to express the movement required by the scene in the limited space of the stage. In addition, in order to satisfy the visual satisfaction of modern audiences who have become accustomed to dynamic movements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a, new stage transition devices to express various movements that do not exist in the past are being developed and advanced, led by the large-scale opera and musical genres. In other words, scene change methods and devices to express various scenes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venue environment have become an important factor for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creators to conceive their works, and the need for related research is increasing day by day.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 scene change method that can be utilized according to the venue environment through the case of the musical 'Secretly Great: THE LAST' in which the author participated as a stage design team. This is not a study of a commonly used theater transition system, but a study of a scene change method that can be used when the theater environment changes. In other words, it is a study that analyzes the functional aspects of the transition device and the design methodology that considers the realistic physical limitations of the stage, such as the existence of a transition system and the existence of a space where the transition device can be operated, and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To buil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theater and scene change method before the actual study, we examined the origin of the theater from the ancient Greek era to the modern era through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Next, we analyzed the differences in performance venue environments between the M Theater at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the premiere venue in 2020, and Daechi Art Hall at KT&G Sangsangmadang, the reperformance venue in 2022, to establish an empirical basis for analyzing this case. Next, a brief description of the work and its design intentions were presented, and examples of how the same scene was presented in different ways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environments of the two venues, i.e., M Theater with an upper space and a top, and Daechi Art Hall without an upper space and a top,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scene change device. Based on the scene that utilized the upper device rods of the premiere M Theater, we presented the design methodology and functional aspects of the track system, electric roll screen, and caster device that replaced them at Daechi Art Hall. In addition, the kabuki system, which was not utilized in this case but discussed in depth, was also presented so that various transition methods could be used properly. The reason why this study presents the functional aspects of the device as well as the design methodology for creating the scene is that the indiscriminate use of the device without objective research and evidence will eventually lead to safety accidents, and these accidents will slow down the development of the performing arts as a whole. Therefor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afe and correct use of scene change. We hope that further research will reveal various ways of scene change method.

      • 住宅抵當債權 流動化方案에 관한 硏究 : 國內 立法過程에서의 問題點 및 改善方案을 中心으로

        조승현 漢陽大學校 國際金融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IMF상황에 따른 국가경제의 위기는 경제, 사회, 문화 등 제부문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사회 전체적으로 파급효과가 이미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택시장도 예외일 수 없다. 고실업과 소득감소에 따른 구매력 감소와 고금리에 따른 주택자금 대출비용의 급증으로 주택수요는 급감하고 있다. 주택수요의 감소는 미분양을 발생시키고, 이에 더하여 금융기관 여신운용의 경직성은 자금조달의 어려움으로 이어져, 주택업체의 자금난은 악화되고 있으며 결국 업체의 부도로 귀결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침체상황이 지속되고 심화될 경우 주택산업의 붕괴는 명약관화한 일이다. 주택산업의 붕괴 가능성은 또 다른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다. 주택산업의 위축에 따른 일용직 근로자의 실업은 실업율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저소득층의 사회불안을 야기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사회불안은 경제 회생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주택산업은 유발효과가 크고 노동집약적인 산업이라 고실업문제를 완화시키는 수단이 될 수 있으며, 내수산업인 바 수출여건의 악화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흡수할 수 있다. 결국 주택산업을 살리는 것은 실업율을 감소시키고 사회불안을 완화시켜 경제회생의 단초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위축되고 있는 주택수요를 진작시킴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최근 대두되고 있는 ‘주택저당채권의 유동화제도 도입’은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조달로 주택자금수요자에게 자금공급을 원활히 함으로써, 주택수요를 진작시켜 주택시장을 활성화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택수요의 진작은 주택공급부문으로 자금유입을 촉발시켜 주택산업이 회생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다. 이러한 시기에 본 연구는 매우 시의적절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유동화제도 도입 관련 연구는 외국사례나 도입여건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본 연구는 도입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유동화제도 도입에 따른 시행방안을 마련하였으며, 유동화제도의 도입여건을 분석하여 여건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모색하였다. 그리고 최근 확정․공포된 입법내용이 유동화증권(ABS) 발행위주의 법제화로 되어 있어 주택저당채권 유동화제도 활성화 도모에는 부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입초기에는 금융기관 등의 유동성제고 및 주택금융기반 확충에 기여할 수 있도록 유동화 전문회사(SPC)를 통한 pass-through 방식의 주택저당증권(MBS) 발행외에 금융기관의 주택저당채권담보부채권(MBB) 발행 및 금융기관간 직접매각 등의 유동화수단에 대한 추가규정이 필요하다. 현 단계에서 주택저당채권 유동화제도는 법률, 제도, 경제여건을 감안하여 2단계로 나누어 도입한다. 즉 1단계에는 유동화 관련 정보의 부재에 따라 투자자의 투자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대하여 주택저당증권(MBS)이 제대로 소화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유동화중개기관은 회사채와 유사한 주택저당채권담보부채권(MBB)의 발행을 통하여 자본시장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한다. 주택저당채권담보부채권(MBB)의 발행으로 유동화제도에 대한 경험과 정보가 축적되고 금융기법도 뒷받침되어 채권시장의 투자자가 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이 제고되는 중장기에는 유동화제도 시행 2단계로서 주택저당채권지분이전증권(MPTS)과 주택저당채권원리금이체채권(MPTB)을 발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시행방안을 통하여 유동화제도가 실시되기 위해선, 법률․제도․경제여건이 조성되어야 한다. 법률여건으로는 주택저당채권 유동화제도와 유동화 중개기관의 설립에 관한 관련규정을 내용으로 하는 특별법이 제정되어야 한다. 제도여건으로 저당권 소멸과 저당목적물의 훼손 또는 멸실을 보충․보완할 수 있도록 권원보험과 재난보험의 도입이 필요하다.

      • 사상체질 및 MBTI 특성과 아마추어 골퍼의 경기력과의 관계

        조승현 大田大學校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personality of golfers,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golf performance, based on Sasang Constitution and MBTI, and thereupon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Chapter 1, research trends and social environments are analyzed to define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 hypothesis and related limits were established. In Chapter 2, a review of literature is conducted based on works in academic journals, dissertations, and specialist publications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quired for the study. In Chapter 3, the methodology for the study is designed and specific methods are prepared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study. Subjects, selected based on multi-stage sampling, included 150 female and 150 male players (300 in total) practicing golf in three golf driving ranges located in the city of Daejeon. The total 300 subjects consisted of 100 Taeumin (50 male, 50 female), 100 Soumin (50 male, 50 female), and 100 Soyangin (50 male, 50 female) types. Players belonging to Taeyangin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as a previous study showed that Taeyangin amounted only to 1% of the total population in Korea.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for the study were QSCCⅡ questionnaires and MBTI Personality Type questionnaires written in Korean. Also, the level of performance of the players was presented based on 6 scoring indexes: average par number, average putting number, average birdie rate, GIR (Green in Regulation), par-saving rate, and recovery rate. The collected data and materials were handled through SPSS 16.0.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variance analysis, t-test, and Duncan's post verification were also employed.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erformance was examined based on the category of Sasang Constitution. In terms of the average par number, Taeumin showed the highest number, 92.7±6.15, followed by Soumin (89.4±7.79) and Soyangin (87.2±8.83) in order. With resepct to the average putting number, Taeumin was ranked first with a value of 48.1±7.13, Soumin second with 46.6±6.69, and Soyangin third with 43.2±7.71. With regard to the average birdie rate, Soyangin recorded the lowest rate, .99±.54, followed by Soumin (1.13±.66) and Taeumin (1.42±.62). In addition, Soyangin had a score of 36.71±8.99, Soumin 30.42±10.01, and Taeumin 26.60±7.87 in the GIR. In terms of the par-saving rate, Soyangin took first rank with a score of 1.46±.34, Soumin second rank with a score of 1.31±.33, and Taeumin third rank with ascore of 1.18±.41. For the recovery rate, Soyangin presented a rate of 1.52±.52, Soumin 1.39±.46, and Taeumin 1.24±.61. When all the results were put together, players belonging to the Soyangin category displayed the best performance in terms of average par number, average putting number, GIR, par-saving rate, and recovery rate but the worst performance in average birdie rate. Second, the level of performance was analyzed according to MBTI personality type. Introverted Type and Extroverted Type were compared. With respect to the average par number, the introverted players recorded a value of 92.5±8.16, higher than that of the extroverted players (87.1±7.32). For the average putting number, the introverted players stood at 48.5±7.14 while the extroverted at 43.3±6.65. Regarding the GIR, the extroverted type, at a rate of 33.6±11.12, was collectivley ahead of the introverted type (28.8±1.43). Concerning the average birdie rate, the introverted type attained a rate of 1.25±.770, larger than that of the extroverted type (1.11±.69). With regard to the par-saving rate, the extroverted group had a better record of 1.46±.87 than the introverted group with a record of 1.16±.77. Also, for recovery rate, the figure of the extroverted group (1.50±.96) was higher than that of the introverted group (1.26±.52). All the results indicated that players with extroverted personality were better in terms of average par number, GIR, average birdie rate, par-saving rate, and recovery rate. On the other hand, players with introverted personality were better in terms of average putting number. Next, the performance was analyzed in the case of Sensing vs. Intuition. For the average par number, the sensing group gained a score of 92.4±8.15, higher than that of the intuition group (87.2±9.08). With respect to the average putting number, the value of the sensing group (47.2±9.78) was higher than that of the intuition group (44.6±6.54). Concerning the average birdie rate, the sensing group showed a higher rate of 1.21±.51 compared to the intuition group's rate of 1.15±.49. For the GIR, the intuition group (34.11±8.09) was ahead of the sensing group (28.32±7.98). Also, the intuition group led in the par-saving rate, recording a figure of 1.41±.73 while the sensing group showed a figure of 1.21±.66. With regard to the recovery rate, the intuition group presented a rate of 1.45±.44, higher than that of the sensing group (1.31±.52).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players belonging to the sensing group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GIR and average birdie rate while players belonging to the intuition group presented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average par number, average putting number, par-saving rate, and recovery rate. Finally, the performance was analyzed in the case of Thinking vs. Feeling. For the average par number, the feeling group gained a score of 93.1±8.87, greater than that of the thinking group ( 86.5±9.04). Regarding the average putting number, the figure of the feeling group (47.7±5.19)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hinking group (44.1±4.42). For the GIR, the thinking group (35.33±7.25) was ahead of the feeling group (27.12 ±5.6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