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가톨릭 교회음악의 토착화에 관한 연구 :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을 중심으로

        이건희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1980년 3월 차인현 신부가 주축이 되어 62명의 가톨릭 교회음악인들이 명동 사도회관 1층, 7평의 사무실에 모여 「가톨릭 음악인 협의회」를 창립하였다. 이들은 곧바로 이듬해(1981년 1월 1일) 종교음악연구소를 설립하여 본격적으로 교회음악가 양성에 들어갔다. 이후 10여 년의 활동과정을 거쳐 1993년 11월 14일, 마침내 한국 가톨릭교회 최초로 전문연주홀을 갖춘 가톨릭음악원으로 거듭났다. 이로부터 정확히 10년 뒤 2003년 3월 교육부 인가를 받아 현재의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으로 개원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이 논문은 1965년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후 한국 가톨릭교회에서 본격적으로 공론화하기 시작한 교회음악 토착화에 대한 것이다. 특별히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발전을 위해서 견인차 역할을 해온 교회음악가의 여러 대내외적 학술, 교육, 연주 활동들을 토착화 관점에서 살펴본다. 또한, 이들 교회음악가의 한국전통음악에 대한 의견과 주장을 알아보고 교회음악 토착화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정체성 발현의 과정인 토착화는 결국 서로 다른 두 문화의 깊이 있는 연구와 이를 통한 상호 간의 올바른 이해, 그리고 상호존중과 배려를 통해서 이행되는 것이다. 때로는 한발 물러서서 양보하고 때로는 한발 앞서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러한 서로 다른 두 문화의 이상적인 융합과정은 성음악을 한층 발전시키는 것은 물론,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내는 소중한 밑거름이 될 것이며, 교회음악 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 In march 1980, 62 Catholic musicians gathered at the small office (only 23㎡) in Myeong-dong. The following year, they established the religious music institute (January 1, 1981) to foster Catholic musicians. After more than a decade of activities, the Catholic music institute has finally become the first Catholic Music Center in Korea to have a concert hall. Ten years lat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pproved the Center and it opened as the current Catholic University of Korea's School of Music. This paper is about the inculturation of church music that began to be discussed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after the Second Vatican Council in 1965. In particular, examines the various activities, performances, education, and composing activities of church musicians who have been the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atholic Graduate School of Church Music, from the perspective of inculturation. We will also discuss church musicians' opinions and claims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Discuss the recognition and development of church music inculturation. Church musicians have made many musical attempts to make Korean Gregorian chants, and For the inculturation of church music, it performed various academic research and composed many Korean traditional music. Five church musicians gave different opinions and argu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Korea traditional music and the convergence methodology of Western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culturation, the process of expressing identity, is to be implemented through the in-depth study of two different cultures, mutual understanding, and mutual respect. The ideal inculturation process of these two different cultures will not only becom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development of church music but also serve as a valuable foundation for creating new culture.

      • 가톨릭 대학의 교육과정을 통한 종교적 정체성 구현에 관한 연구 : 세 가톨릭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진영 가톨릭대학교 문화영성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가톨릭 대학은 그 탄생부터 교회에 그 모태를 두고 있으며, 가톨릭 대학의 종교적 정체성이란 가톨릭 특성(catholic characteristics) 혹은 가톨릭 학교 들의 설립 이념과 근본적 교육목표를 규정하는 가톨릭의 성격(catholicity)을 의미한다. 가톨릭 대학은 교회적 성격에서 나오는 ‘복음화’ 사명과 함께 학교적 성격에서 유래하는 ‘전인 교육’의 사명도 동시에 갖고 있으며, 복음화와 전인 교육은 가톨릭 대학의 두 축을 이루는 핵심사명이다. 가톨릭 대학이 가톨릭 대학으로서의 수월성과 명성을 동시에 획득하는 길은 가톨릭 정체성 (identity), 이념(idea), 사명(mission)을 제도뿐만이 아니라 그리스도교 인간 관에 적합한 가톨릭 교육과정을 수행할 때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 대학교에 관한 교황령」 (Ex Corde Ecclesiae), 교회문헌,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가톨릭 대학의 종 교적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한국 가톨릭 대학 중 가톨릭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서강대학교를 사례로 가톨릭 대 학의 가톨릭적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셋째, 가톨릭 대학의 가톨릭 교육과정 현황을 통해 Tyler 교육과정 모형 기반 가톨릭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이론적·실증적으로 모델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 대학은 본질적으 로 진리추구, 진리전달, 진리적용의 ‘일반적’ 성격 외에, 교육, 연구, 봉사 의 기능을 수행할 ‘교회적’ 성격을 동시에 지닌다. 가톨릭 정체성을 구현 할 수 있는 가톨릭 교육과정은 가톨릭 인간관을 중심으로 하여 가톨릭 대 학의 교육이념, 교육목표, 학문 과정, 교육내용, 교육 방법 등을 주요 요소 로 하고 있다. 둘째, 가톨릭 대학은 교육이념에 진리・사랑・봉사, 인간존중, 공동선의 실현 등 가톨릭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학부, 대학원 학위 과정에 가톨 릭 이념 반영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었다. 교원, 직원, 학생들을 위해 복 음화 차원에서 성사활동(세례, 견진)을 통해 신자들을 배출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신앙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교직원 및 학생들의 신앙을 증진시켰다. 이와 함께,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외국어 강좌 운영, 국가, 지역, 국제 수 준의 상호협력을 통해 국제화 및 복음화 가치를 실현하고 있었다. 셋째, 세 가톨릭 대학의 인간관, 교육이념, 교육목표, 학문 과정, 교육내 용, 교육 방법 등 교육과정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Tyler 모형 기반 가톨 릭 교육과정 모형에 적용하여 가톨릭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교회문헌과 선 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가톨릭 특성의 핵심 요소 외에 개개인의 전인적 양 성 도모, 참인간을 양성하려는 인성교육, 지행일치의 삶 추구 등이 가톨릭 교육과정에 반영되고 있었다. 교육 방법으로 거룩한 체험 교육(수도원 체 험, 기도, 피정), 학생 개인에 대한 돌봄(cura personalis), 봉사 교육 방법 론, 비판적 성찰 방법론 등이 가톨릭 특성을 지닌 수업에서 사용되었으며, 학문 과정에 있어서는 전통학문 이외에 ESG경영,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진로와 취업 등 새로운 학문들이 철학, 심리학, 신학과 융합되어 가톨릭 특성을 지닌 교과목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가톨릭 대학 의 교육과정을 통한 종교적 정체성 구현을 모델링하였다. 가톨릭 대학은 가톨릭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가톨릭 인간관을 가지고 교육목표 설정 시 전인 교육을 위하여 학습자, 사회, 교과, 영성의 요구파악이 필요하며, 인 간영성을 개발하는 것이 일반대학과 틀린 가톨릭 교육과정의 핵심적 특징 이라 할 수 있다. 잠정적 가톨릭 교육목표 설정에 있어서 가톨릭적 인재 양성, 가톨릭적 가치 추구, 인류 발전에 기여하는 교육이념과 가톨릭적 융 합 교육, 가톨릭적 인간교육, 가톨릭적 탐구 증진을 교육목표로 하여야 하 며, 왜(why) 교육하는가, 어떻게(how) 가르치고 배울것인가를 고려해야 한 다. 또한 진리에 부합하는가를 검토할 수 있는 신학은 가톨릭 교육과정 개 발에 있어서 핵심적 특징으로 볼 수 있으며, 교육내용 선정, 교육방법 선정, 교육평가 선정 등의 각 단계별로 가톨릭 교육과정을 구성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톨릭 대학의 본질 회복을 위해 가톨릭 대학이 노력해 야 할 종교적 구현의 실천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양 교 육 위주의 종교교육에서 전공 교육으로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인성과 영성 교육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수월성 추구를 위한 가톨릭 교육 방법 의 다양화 모색이 필요하다. 넷째, 교목 활동 강화를 통한 가톨릭적 분위 기 형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가톨릭 대학 및 가톨릭 교육 기관과의 연대 및 공동교육체계 구축 및 활성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국제화 강화를 통해 다문화 이해, 국제협력 증진, 복음 선교 등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가톨릭 대학은 그 구성원들인 교수, 직원, 학생들이 가톨릭 교육 패러다임 안에서 가톨릭 인간관에 적합한 가치를 가지고 가톨릭 문 화 형성 및 정체성 구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때 가톨릭 대학으로서의 본질과 사명을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Catholic universities have been rooted in the Church since their birth, and the religious identity of Catholic universities refers to Catholic characteristics or Catholic characteristics that define the founding ideology and fundamental educational goals of Catholic schools. Catholic universities have a mission of ‘evangelization’ that comes from their ecclesiastical nature, as well as a mission of ‘holistic education’ that comes from their school nature. Evangelization and holistic education are the core missions that form the two axes of Catholic universities. The way for a Catholic university to simultaneously achieve excellence and reputation as a Catholic university will be possible when it implements not only a system of Catholic identity, ideology, and mission, but also a Catholic curriculum that is suitable for the Christian view of huma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religious identity of Catholic universities, focusing on the “Papal Decree on Catholic Universities”(Ex Corde Ecclesiae), church documents, and previous research. Second, we sough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curricula that reflect the Catholic characteristics of Catholic universities, using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aegu Catholic University, and Sogang University as examples. Third, we attempted to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model the Catholic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based on the Tyler curriculum model through the current status of the Catholic curriculum at Catholic universitie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atholic universities inherently have an ‘ecclesiastical’ character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f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in addition to the ‘general’ character of pursuing truth, conveying truth, and applying truth. The Catholic curriculum that can embody Catholic identity is centered on the Catholic view of humanity and has as its main elements the educational philosophy, educational goals, academic courses,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al methods of Catholic universities. Second, Catholic universities have Catholic characteristics such as truth, love, service, respect for humanity, and realization of the common good in their educational ideologies, and they operate curricula that reflect Catholic ideology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degree courses. In order to evangelize faculty, staff, and students, it was producing believers through sacramental activities(baptism, confirmation), and operating various faith programs to promote the faith of faculty, staff, and students. In addition, the values ​​of internationalization and evangelization were being realized through the operation of foreign language courses for foreign students and mutual cooperation at the national, reg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Third, we looked at the curriculum status of the three Catholic universities, including their views on humanity, educational ideology, educational goals, academic courses,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al methods, and applied this to the Catholic curriculum model based on the Tyler model to investigate Cathol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the core elements of Catholic characteristics derived through church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the promotion of holistic formation of each individual, character education to cultivate true human beings, and pursuit of a life consistent with knowledge and actions were reflected in the Catholic curriculum. As educational methods, sacred experiential education(monastery experience, prayer, retreat), care for individual students (cura personalis), service education methodology, and critical reflection methodology were used in classes with Catholic characteristics, and in the academic process, in addition to traditional studies, New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ESG management, media communication, career path and employment, etc. were combined with philosophy, psychology, and theology and were operated as subjects with Catholic characteristics. In modeling the implementation of religious identity through the curriculum of a Catholic university,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yler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When developing Catholic curriculum, Catholic universities need to understand the needs of learners, society, subjects, and spirituality for holistic education with a Catholic view of humanity when setting educational goals. Developing human spirituality is a key aspect of the Catholic curriculum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general universities. It can be said to be a feature. In setting provisional Catholic education goals, the educational goals should be nurturing Catholic talent, pursuing Catholic values, educational philosophy that contributes to human development, Catholic convergence education, Catholic human education, and promotion of Catholic inquiry, and why. We must consider whether to educate and how to teach and learn. In addition, theology, which can be reviewed for conformity to the truth, can be seen as a key feature in the development of the Catholic curriculum, and the Catholic curriculum must be structured in each stage, such as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 selection of educational method, and selection of educational evaluation. In this study, we presented the following religious implementation measures that Catholic universities should strive for in order to restore their essence. First, there is a need to expand from religious education centered on liberal arts education to major education. Second,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character and spiritual edu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seek diversification of Catholic education methods to pursue excellence. Fourth,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atholic atmosphere through strengthening chaplaincy activities.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revitalize solidarity and joint education systems with Catholic universities and Catholic educational institutions. Sixth, through strengthening internationalizati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promo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evangelism are necessary. In this way, a Catholic university will be able to practice its essence and mission as a Catholic university when its members, professors, staff, and students, continue their efforts to form Catholic culture and realize identity with values ​​appropriate to the Catholic view of humanity within the Catholic education paradigm.

      •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관한 고찰

        조민환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 문 초 록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관한 고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신학과 실천신학 전공 <지도 : 이 경 상 교수> 조 민 환 제 삼천 년 기에 들어선 지금, 대한민국 공교육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입시라는 굴레와 사교육의 확대 속에 학교교육은 그 고유의 본질적 목적과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다. 아울러 일부 사립학교의 교육 부조리나 재단 내의 경영상 횡포로 인한 사립학교법 개정은 가톨릭 학교와 같이 모범적인 사학의 건학이념을 가로막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 안에서 본 소고는 가톨릭 학교교육의 궁극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가톨릭교회의 노력을 고찰하고자 했다. 그런데 학교교육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노력은 교회 내 학교 당국 및 관계자들에게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다. 이는 지역교회 구성원 모두의 몫이고 결국 그 지역교회를 돌보는 교구장 주교의 의무이자 책임으로 이어진다고 하겠다. 필자가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관한 고찰”로 논제(論題)를 선택한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본고는 ‘교회법’이라는 학문의 범주 아래에서 “가톨릭 학교교육과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대한 고찰을 하고 있으므로, 그 내용을 전개하기 위한 방식은 ‘교회법’이 지닌 3가지의 고유한 연구 방법론-연대적 분석(Chronological Analysis), 이론적 접근(Theoretical Approach), 사목적 제언(Pastoral Proposal)-을 택하였다. 본문은 Ⅰ부와 Ⅱ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Ⅰ부에서는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법적 근거를 제시했다. 제1장에서는 『1917년도 교회법전』의 교육과 관련된 법령들을 ‘교육의 중요성’, ‘가톨릭 대학교와 학위’, ‘학교 감독에 관한 주교의 권리’라는 주제로 알아보았다. 제2장에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의 「그리스도인 교육에 관한 선언」을 필자가 ‘교육의 원리와 목적’, ‘교육의 의무와 책임’, 그리고 ‘가톨릭 학교’라는 주제로 분류한 후, 공의회가 선언하는 교육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1983년도 교회법전』을 ‘교육의 책임’과 ‘교육의 수단’이라는 주제로 나누어 ‘교육의 책임’에서는 <부모>와 <국가> 그리고 <교회>라는 소제목으로 살펴보았고, ‘교육의 수단’에서는 법전이 제시하는 학교에 대한 조항들을 알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가톨릭 교육에 관한 교회의 가르침들 가운데 「가톨릭 학교에 관한 지침」, 「학교 내의 가톨릭 평신도 :신앙의 증인들」, 「제삼천년기의 문턱에 서 있는 가톨릭 학교」, 「가톨릭 대학교에 관한 교황령」을 살펴봄으로써, 가톨릭 학교교육과 관련된 교구장 주교의 역할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Ⅱ부의 제1장은 본격적으로 교구장 주교의 법적 책임과 권리에 대해 1983년도 법전을 근간으로 논하며, ‘학교의 설립’과 ‘감독과 시찰’ 그리고 ‘가톨릭 학교에 관한 명명권과 인재양성’이라는 주제에 따라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미국과 독일의 가톨릭 학교교육 실황을 제시하면서, 외국의 선험 사례를 참고로 하여 가톨릭교회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학교교육을 개선시켜야 되는지를 모색했다. 제3장에서는 가톨릭 학교교육의 사명에 위배되는 한국의 공교육 현실의 배경인 여러 사회적 문제들 중 중추적이고 대표적인 문제인 ‘사학법’에 대하여 살펴보고, 특히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사학의 공공성과 자주성’에 대하여 고찰했다. 그리고 사립학교법이 현장에서 어떠한 양태로 드러나는지 ‘사립학교법의 현실’에 관한 제목으로 ‘학교 운영권에 대한 제한’과 ‘종교교과목에 대한 제한’들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가톨릭 학교교육을 위한 교회의 노력과 대응들에 대해서, 먼저 인간이 가지고 있는 교육에 대한 권리를 ‘천부적 권리’라는 제목으로 간략히 설명하고, 한국 교회의 대응책을 공시적 접근과 통시적 접근으로 강구해보았다. 이어서 한국에서 가톨릭교회가 시행하고 있는 몇 가지 노력들을 ‘한국 가톨릭 학교 교육 헌장’과 ‘가톨릭 학교교육 포럼’으로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현실의 제도가 가톨릭 학교교육의 영성을 막고 있다면, 교구장 주교의 힘 있는 발언과 교회 내의 신자들이 힘을 모아, 그 제도를 가톨릭 학교교육의 영성을 실현하는 쪽으로 되돌려 놓아야 한다고 밝혔다. 바로 제도적 투신으로 가톨릭적 입법들을 제시하고 그러한 법률들을 발판삼아 본질적 의미에서의 가톨릭 학교교육을 구현하자는 것이다. 아울러 “장학금 제도”를 통하여, ‘가난하고 소외된 어린이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부여하기 위함’이라는 가톨릭 학교의 본질적 목적을 이행하고 귀족교육의 한정성을 경계하자고 언급하였다. 그 결과, 가톨릭 학교교육이 이 사회의 학교교육에 정향(正向)을 제시하고, 공교육의 모범적 사례로 본(本)을 보여줌으로써 이 사회에서 계속 벌어지는 양극화 현상의 극복에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기를 희망하였다. A Study on the Role of a Diocesan Bishop in Catholic Schooling Cho, Min-Hwan Department of Practical Theology, Graduate Schoo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irector : Prof. Lee, Kyung-Sang> At the entrance of the third millenium, people show a high degree of concern about Korean public education. The school education seems to be losing its own essential purpose and identity, with the pressure of entrance exams and increasing private education for students. Moreover, irregularities and injustice in running of some private schools has caused revision of the private schools law, which obstructs the establishment of exemplary private school with appropriate foundation including Catholic schools.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thesis studies the Catholic church's efforts to realize the ultimate goals of Catholic school education. Such efforts, however, are not a matter limited to the school authorities. These efforts should be responsibility of all members of a parish church and eventually, of the diocesan in charge of the diocese. This opinion has named this thesis as "the role of diocesan bishop in Catholic schooling." This thesis explores the Catholic schooling and a diocesan's role in it under the discipline of Canon Law. Therefore, three characteristic methodologies of Canon Law are used to develop the content: chronological analysis, theoretical approach, and pastoral proposal. The body of the text consists of Part I and II. In Part I, the legal foundation of Catholic schooling is presented. Chapter one examines the laws related to education in The code of Canon Law(BenedictⅩⅤ )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and degree' and 'a bishop's right to supervise schools.' Chapter two studies Documents of the Vatican Council Ⅱ - Declaration on Christian Education, Gravissimum Educationos under the headings of 'the principle and purpose of education,' 'the duty and responsibility of education,' and 'the Catholic school' and points out the basic facts of education strategy declared by the Council. Chapter three explores The code of Canon Law (John PaulⅡ) under the two subjects: one is the 'responsibility of education,' where the discussion develops through the headings of 'parents,' 'nation,' and 'church'; the other is the 'means of education,' which examines legal articles from the Code mention Catholic schooling. Chapter four refers to such documents as The Catholic School, Lay Catholics in Schools : Witnesses to Faith, The Catholic School on the Threshold of the Third Millennium, and Apostolic Constitution of the Supreme Pontiff John PaulⅡ on Catholic Universities, among the various instructions of church on Catholic education, to learn the role of a diocesan bishop in Catholic schooling. Based on The code of Canon Law (BenedictⅩⅤ ), c hapter one of Part II discusses the legal responsibility and right of a diocesan in depth, under the subjects of 'foundation of a school,' 'supervision and inspection,' and 'right to name Catholic schools and nurturing of human resource.' Chapter two provides the reality of American and German Catholic school education and searches for the right direction for our Catholic church to improve school education through the precedents of other countries. Chapter three shows how the fundamentals of "private schools law" is against the mission of Catholic schooling, and how such laws generate various social problems within in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In particular, this thesis focuses on both public and independent nature of private schools, sometimes referred to be a double-edged sword. In addition, this chapter examines restrictions on school administration and religious subjects under the subtitle of 'the reality of private schools law' in order to demonstrate how the current law reveals its weakness. Finally, chapter four discusses the church's effort and counterplan to improve Catholic school education. Chapter begins with brief explanation of the human rights to be educated as 'God-given rights' and deliberated the counterplan of Korean church through synchronic and diachronic approaches. Subsequently, it presents ‘Charter of The Korea Catholic school Education’ and ‘Catholic School Education Forum’ as examples of the efforts made by Korean Catholic church. In conclusion, the author argues that if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hinders spirituality of Catholic school education, the system should be redirected to fulfill the spirituality through voicing enthusiastic opinions of the diocesan bishop and all church members. This effort can be done by offering Catholic legislation as institutional countermeasures and stepping-stone; such legislation will guide the church to accomplish the fundamental sense of Catholic education. Furthermore, the author suggests that Catholic schools should enlarge scholarship to persue its essential goal of 'offering educational opportunity to poor, neglected children' and stay wary of the limitations of aristocratic education. As a result, the author hopes Catholic school education would become a solution to alleviate the increasing socioeconomic polarization by providing the right direction of education and setting an outstanding example for public education in this society.

      • 정의로운 인간안보를 향한 평화운동 : 안보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장은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논문의 목적은 신학적 관점에서 진정한 안보를 고찰하고, 이를 위한 실천적 단계를 모색해보는 데 있다. 이는 두 가지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 것이다. 첫째,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안보에 관해 생각할 때 군사적 안보를 상기하지만, 군사적 안보는 실제로 사람들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것들로부터의 안전과는 무관하게 전쟁을 준비하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둘째, 가톨릭 사회교리에서 진정한 안보에 관한 명백한 가르침이 부재한다. 교회는 국가들이 무장한 관계를 유지하며 군비경쟁을 하고 있는 불의한 안보구조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인식해야 하며, 이에 대해 예언자적 목소리를 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신학적으로 현재 군사안보 패러다임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사람들의 실질적 안전을 보장하는 진정한 안보란 무엇인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전개는 이론적 작업과 이론적 토대를 실천하는 단계로 제시하는 실천적 작업으로 나뉜다. 먼저 이론적 작업의 첫 단계인 Ⅱ장에서는 비판적 안보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군사적 안보패러다임의 한계를 인식하면서 나온 대안적 안보 개념을 살펴본다. 이어서 Ⅲ장에서는 성경과 가톨릭교회의 사회교리를 살펴보면서 진정한 안보에 관한 신학적 개념을 살펴본다. Ⅱ장의 대안적 안보 논의와 Ⅲ장의 진정한 안보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건대 진정한 안보의 개념은 ‘정의로운 인간안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정의로운 인간안보’는 최근 국제정치에서 비군사적 위협에 직면하여 이야기하고 있는 ‘인간안보’에서 착안된 개념이며, 또한 정치적으로 ‘정의로운 평화’를 표현하고, 비폭력 실천을 강조하는 안보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정의로운 평화’는 권력자들의 안보정치에 악용되어온 ‘정당한 전쟁론’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욱 정의롭고 평화로운 세계를 위해 교회의 비폭력 실천을 강조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Ⅳ장에서는 ‘정당한 전쟁’에서 ‘정의로운 평화’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역사적으로 조명하여, 이 새로운 전환기에 가톨릭교회가 정의로운 인간안보를 향해 어떠한 윤리적 비전을 제시해야 하는지 살펴본다. 진정한 안보에 관한 신학적 고찰은 이론적 작업에 그치지 않고 실천적 단계 제시로 이어진다. 본 논문의 최종 목적은 진정한 안보(정의로운 인간안보)의 이해가 실천적으로 이어지게 하는 것에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Ⅴ장에서는 진정한 안보에 관한 가톨릭 신학적 고찰이 현실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어지도록 평화운동의 형태로 실천적인 단계를 마련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안보에 관한 신학적 고찰을 통해 진정한 안보의 형태인 ‘정의로운 인간안보’를 제시하며, 이것이 구체적 움직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실천적 단계를 구상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대안 안보 담론을 확장하고, 안보가 군사적·정치적 이해관계에 국한된 것이 아닌, 평화에 관한 것임을 사람들이 인식하도록 돕는다는 데 있어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real security' from the theological point of view and to find practical steps for 'real security'. It started with awareness of two problems. First, people generally think of military security when they think of security, but military security is focused on preparing for war, without regard for those who actually threaten lives or the safety of the people they threaten. Second, there is no clear teaching about real security in Catholic social doctrine. The Church needs to be critical of the problem of the unjustified security structures that most countries maintain with their armed relationships and arms races, and to give a prophetic voice to this problem. Therefore, this thesis theologically criticizes the current military security paradigm and discusses 'what is real security’ that guarantees people's practical safety. The development of this paper is divided into theoretical work and practical work presented as a step to practice the theoretical foundation. First, by examining the study of critical security, in Chapter Ⅱ as the first step of theoretical work, we will look at the alternative security that emerged from recognizing non-traditional threats and the limitations of military security. Chapter III examines theological concepts of real security by examining the Bible and the social doctrine of the Catholic Church. Considering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through alternative security in the Chapter II and the theological concept of real security in the Chapter III, the concept of real security can be called ‘Just human security’. 'Just human security' is a concept that has been drawn from 'human security' which is being discussed in the face of non-military threats in recent international politics. It is also a security concept that politically expresses ‘Just peace’ and emphasizes non-violent action. ‘Just Peace’ is a new paradigm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Just War’ which has been abused by the security politics of the ruling class and emphasizes the church's nonviolent practice for a more just and peaceful world. Chapter IV has historical considerations of the transition from 'Just War' theory to a new paradigm of Just Peace, and in this new transition, we will look at what ethical vision the Catholic Church should suggest towards Just human security. The theological review of real security leads to not only theoretical work, but also practical steps. This is because, the ultimate goal of this paper is to give an understanding of real security(Just human security) put into practice. To this end, Chapter Ⅴ presents practical steps in the form of peace movement so that theological considerations about real security can be applied to reality. In conclusion, this paper proposes 'Just human security', a form of real security, through theological studies of security and it implies practical steps towards concrete movements. This work is meaningful in extending the alternative security discourse and helping people to recognize that security is about peace, not limited to military and political interests.

      • 엔도 슈사쿠의 인간 이해와 하느님 이해 : 발병후 2기 작품을 중심으로

        차정희 가톨릭대학교 문화영성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Japan’s history of the Catholic faith is 200 years ahead of Korea. Nonetheless, today’s evangelization of Japan is somewhat inadequate if compare to Korea.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Japan, had gone through, what Endo described as more severe than that of Nero’s draconian regime, more vigorous persecution and oppression of the Catholic faith than Korea and therefore have a history of martyrdom with 250 years of latency period. Since the gospel had been passed on to Japan in 1549, initiated by reinforcement of the prohibition order under the Tokugawa Ieyasu’s regime, passing through the latent Christian period, various forms of religious persecutions continued to take place in Japan until the mid-19thcentury when the freedom of worship was eventually granted. After the very first persecution of the Catholic faith originated by the San Felipe incident under Toyotomi Hideyoshi’s ruling, at least more than 30,000 people have been recorded to die for their faith. Japanese Catholic intellectuals who had gone through this blood stained martyrdom and latency period, created the new category of literature called the “Catholic literature” and then produced a prominent writer named “Endo Shusaku”. Endo Shusaku, in the eyes of a Catholic, by focusing on the novel but endlessly pursuing his metaphysical literary world about God and Man in various categories of critical reviews, essays and critical biographies, became a most prominent postwar writer of Japan. More specifically, Endo as a Japanese with pantheistic values, is dealing in depth about existential issues of how can a monotheistic ideology of Christianity take root in Japan’s pantheistic soil through his literary works produced in the second literary period after his long-term illness (e.g. “Silence”, “A Woman’s Life”, “Samurai” and “Gun and Cross” etc). His literary works contain his childhood experience of an alien land in Dalian, Manchuria; trauma from his parents’ divorce; experience of forced baptism without compromise which was done at the age of inadequate self-reflection; anguish from racial tension and prejudice which he had to suffer during his study in France as a citizen of a defeated nation; and his personal identity familiarized by Japan’s pantheistic spiritual climate. Which is more important is the fact that these personal experiences of the conflicts between Japanese and Catholic culture have been transformed into a key proposition of his literary works. “To Eden”, “Studying Abroad”, “Journal during My Stay in France”, “White Colored Man”, “Yellow Colored Man” and “Sea and Poison” are those literary works which show these kinds of inclination. His ordeal of two and a half years of death confronting illness became, in his novel “Silence”, a turning point of his literary world as the authoritative and almighty monotheistic God in western religious ideology was portrayed in his novel as a god who accepts Endo’s new sense of sovereignty that accommodates Japanese spiritual climate of pantheistic pluralism. In this thesis, the author, by analyzing Endo’s literary works which portray the Japanese persecution era (e.g. “Silence”, “A Woman’s Life”, “Samurai”, and “Gun and Cross” etc), identified that Catholic intellects founded by Japanese culture were well appeared in the main motive of his literary works as an introspection of Man. Specifically, in these literary works, Endo’s inner understanding of an apostate and agape of martyr, and maternal God who even forgives and loves human cowardliness and weakness, were presented. This enduring love of God was freshly depicted in Endo’s literary world as a new trend. If Endo’s understanding of God’s maternal love is to be accepted, Japan’s current strength of Catholic faith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and its possible future revitalization can be expected. 일본 가톨릭은 한국보다 200년이나 앞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일본은 한국에 비해 복음화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것은 한국의 순교 역사보다 더욱 극심하게, 엔도의 말을 빌리면, 네로보다 더 가혹한 가톨릭 탄압과 박해가 자행되어, 250년의 긴 잠복의 시대를 거친 순교역사를 지니게 된 것으로 풀이된다. 1549년 일본에 복음이 전해진 이후로 1614년 도쿠가와 이예야스 정권의 금교령의 강화로 잠복 기리스탄 시대를 거쳐 19세기 중엽 신앙의 자유가 허용될 때까지 수많은 박해가 이어졌다. 토요토미 히데요시 통치하에 발발된 산 펠리페(San Felipe)호 사건 때문에 야기된 최초의 박해가 시작된 이래로 적어도 5만 명 이상이 순교하였다고 한다. 이렇게 피로 얼룩진 순교와 잠복의 시대를 거친 일본 가톨릭 지성은, 가톨릭 문학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탄생시켰고, ‘엔도 슈사쿠’라는 걸출한 작가를 배출하였다. 엔도 슈사쿠는 가톨릭적 시각으로, 소설을 중심으로 평론, 에세이, 평전 등 다양한 장르에서 ‘신과 인간’에 대한 형이상학적인 문학세계를 끊임없이 추구하여 전후 일본의 독보적인 작가가 되었다. 구체적으로 그는 범신론적인 가치관의 일본인으로서, 유일신인 그리스도 사상을 어떻게 일본 땅에 토착화 시켜야 하는가 하는 실존의 문제들을 「침묵』, 「여자의 일생』, 「사무라이』, 「총과 십자가』등 그의 긴 투병 후 2기 문학기를 통해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그의 작품에는 어린 시절 만주 대련에서의 이국의 체험, 부모의 이혼으로 받은 상처, 성찰이 부족한 나이에 강요된 타협점 없는 세례, 프랑스 유학중, 패전국의 국민으로서 받아야 했던 인종적 갈등과 편견의 아픔, 범신론적 풍토 속에 익숙해진 정체성 등을 담아내고 있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개인적 체험들이 일본문화와의 연장선상에서 가톨릭적인 문화와 부딪쳐야 했던 체험들로 그의 작품의 주요 명제로 탈바꿈되고 있다는 점이다. 「아덴까지」, 「유학」, 「체불일기」, 「백색인」, 「황색인」, 「바다와 독약」 등은 이러한 지향을 지닌 작품들이다. 2년 6개월의 죽음과 마주한 병상 체험은 「침묵」에서 서구 종교사상의 권위적이고 절대적인 유일신인 하느님을, 범신론적 다원주의의 일본 풍토에 알맞게 수용하는 새로운 주제의식을 담아 그의 문학세계의 분수령을 형성한다. 본 논문은 「침묵」, 「여자의 일생」, 「사무라이」, 「총과 십자가」 등 이 때의 박해양상의 작품을 분석한 결과, 작품의 모티브에는 일본 문화를 기저로 한 가톨릭적 지성이 인간을 향한 성찰로 잘 나타나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들 작품에는 순교자 박해 양상 위에, 엔도가 말하고자 한 자신의 내면의 배교자로서의 인간 이해와 강한 자로 부각시킨, 순교자로서의 아가페적인 인간 이해, 그리고 나약하고 무력하며, 비겁한 배신과 허점투성이로 오염된 인간까지도 용서하며 사랑하는 모성적 하느님상이 제시되어 있다. 이는 그의 작품세계에 새로운 흐름으로, 범신론적인 일본 땅위의 그리스도교의 토착화, 약자의 구원, 희생적 존재로서의 모성적 그리스도관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새롭게 그려지고 있다. 한없이 무력하고 나약한 인간을 이해하시며 사랑하는 하느님의 모습은 비겁한 배신과 허점투성이로 오염된 인간까지도 경멸과 심판자로서 벌주시는 절대자가 아니다. 항상 용서하시며, 회개를 기다려주시고, 사랑으로 구원해 주시는 하느님으로 바뀌게 됨으로써, 하느님 존재 자체까지도 의구심을 품었던 엔도 자신을 구원하시는 하느님으로 새롭게 인식하게 된다. 그가 도달한 모성적 하느님에 대한 인식은 「침묵」 이후, 「여자의 일생」, 「사무라이」, 「총과 십자가」 등에서 더욱더 깊이와 폭을 더해 수용되고 있다. 이 작품들에는 많은 군상의 인간이 존재하지만, 배신자의 회개와 자신을 희생해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아가폐적 사랑의 인간상이 보편적으로 전개되기 때문이다. 그들은 2000년 전 예루살렘에서 박해받고 죽어갔던 무력하고 나약한 인간의 모습이다. 그러나 그 나약함 속에는 예수님의 모습을 본떠, 예수님처럼 이 세상을 사랑하여 자신의 목숨을 희생한 사람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전제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이 가톨릭 순교 역사 속에 태어난 엔도 문학의 큰 특징이라 말할 수 있다. 엔도의 작품은 「예수의 생애」, 「사해의 주변」, 「그리스도 탄생」 등과 더불어 신약성서 속에 용해된, 그리스도와 한 몸이신 하느님의 본질을 탐구하는 중요한 테마를 다루고 있다. 그의 작품들에는 나약하고 무력한 인간의 모습으로 오시여 우리와 함께 살아내신 사랑 자체이신 하느님에 대한 증명과 그 사랑을 알리는 방법들이 망라되고 있다. 그러나 유일한 구원자로서의 하느님을 묘사한 성서의 본질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음은 간과 할 수 없는 사실이다. 또한 소설이란 장르에서 구성의 특성을 이해할 때에 어머니의 사랑 자체이신 하느님의 희생을 그려내고 있음은 우리의 사랑을 받기에 충분한 작품들이다. 엔도의 작품 「침묵」, 「여자의일생」, 「사무라이」, 「총과 십자가」에서 엔도의 작품의 모티브가 된 일본 순교자 박해 양상의 역사적 사실과, 엔도의 작품을 통한 엔도의 영성을 이해하는 이상, 신자수의 비교로 일본인의 신앙을 비하하거나, 지금까지의 선교 상황만으로 정체성 운운하며 폄하 할 것이 아니라, 새로운 성인의 탄생과 , 많은 순교자 발굴 등 숨겨져 있던 성지의 부상과 더불어, 순교자의 피가 자양분이 된, 일본 그리스도 신앙의 활성화를 기대해도 좋을 것이다.

      • 가톨릭 교리서 『요리강령』 연구 : 『요리강령』 판본 연구와 『천주교요리문답』, 『가톨릭교회 교리서』 비교 연구

        김유진 가톨릭대학교 문화영성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Catholic doctrine education is to declare God revealed through Jesus Christ and to convey faith to God. This Catholic doctrine education was emphasized from the early church, and it has been continued as a faith in the era of persecution of the church.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doctrine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by proclaiming doctrine (teaching) even in the period when the church is reformed through the council. In the history of the Catholic Church, doctrine education has such an important influence. The early Korean Catholic Church has also been a history of spreading faith,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such doctrine education. Western scholarship translated into Chinese were voluntarily accepted and formed the early church faith community, and After the arrival of Father Joo Mun-mo, he established a foothold for doctrine education and mission through the chairmanship and the Myeongdo society. And the effect of this doctrine education was revealed as martyrs who proved faith as martyrdom. More characteristic was the doctrine education that led to voluntary faith within believers during the early church period and persecution period when there was no shepherd to lead specifically. Among many catechies delivered to the Korean Catholic Church, Yo-Li Gang-Iyeong, which has been popular since 1910 to 1985, was one of the mediators of faith delivery and was a popular catechism that many people could easily access Catholic doctrines because of its explanation of the text. It was also a part of the medium of faith that led to the generations of the family and was a doctrine known to many believers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e characteristics of Yo-Li Gang-Iyeong's catechism, which was translated and introduced into the first edition of the 1910 first edition and published in six editions, influenced the history of the doctrine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are easily explained by solving the original, but there are specific and detailed contents in the doctrine.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 of the doctrines that are proclaimed by the church and explained by the Bible as an example or the illustration of the saints is that Yo-Li Gang-Iyeong was able to reach many people easily for nearly a century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e doctrine is a medium that connects the society, culture, and environment of the time with the declaration of faith in the church. This paper introduces the origin and version of Yo-Li Gang-Iyeong in the introduction section,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is Yo-Li Gang-Iyeong, and presents the purpose, necessity, and expected effect of the study. The composition of this introduction was presented because there were few existing research data on the edition of Yo-Li Gang-Iyeong or its value as a textbook. In Chapter 2, the comparative studies of the first and second editions of Yo-Li Gang-Iyeong and the third editions of Yo-Li Gang-Iyeong were discussed in detail. In chapters 3, and 4, to present the meaning of the Catholic catechism of Yo-Li Gang-Iyeong, the first official catechism of Korean Catholicism since Chu-Gyo Yo-Ji, Cheon-ju-gyo yo-li-mun-dab, and the common and difference of Catholic universal doctrine Catholic Church catechism were studied. In conclusion, the study of Yo-Li Gang-Iyeong edition, the contribution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and the meaning of Yo-Li Gang-Iyeong as a Catholic catechism were re-examined and Yo-Li Gang-Iyeong as a Catholic catechism was evaluated. In addition, all of the biblical quotations presented in the main text of Yo-Li Gang-Iyeong were searched and presented in the appendix. Yo-Li Gang-Iyeong has many features of doctrines with biblical citations, but its origins are not recorded in the text, so they are presented in the paper. The study of Yo-Li Gang-Iyeong as a Catholic catechism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ranslation doctrines have led to the same composition as that they were continuously published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A study comparing the 6th edition of Yo-Li Gang-Iyeong found efforts to present the doctrines and recommendations proclaimed by the Church when the 2nd and 3rd editions were reissued. In addition, in the study Yo-Li Gang-Iyeong with the Catholic catechism, the rich pictures and Bible citations presented in Yo-Li Gang-Iyeong contributed to the education of catechism as a Catholic catechism and were found to have been passed down as a popular catechism. Today, the difficulties of the modern Catholic Church seem to be the tendency to decrease the interest in the church from the world and the meaning of faith gradually fade. This situation may be due to many reasons, but it can be said that it is not easy to approach the church in the process of delivering and learning Catholic doctrine, and that the image of God proclaimed by the church is not well sympathized to the public. For this reason, The meaning of Yo-Li Gang-Iyeong as a catechism that made it easy for the public to get close to the church can be regarded as a part that must be newly evaluated and studied in the reality facing the Catholic Church today. In other words, it is to reevaluate the meaning of doctrine that informs the position of doctrine that followed the Korean Catholic Church and makes it easy for the general public to learn Catholic catechism. However, even though this meaning is meaningful, there is not much data on the value of Yo-Li Gang-Iyeong as a book of editions or doctrines. 2020 marks the 110th anniversary of Yo-Li Gang-Iyeong's translation into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erefore, it is a chance to know that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Yo-Li Gang-Iyeong as a catechism of Yo-Li Gang-Iyeong, which was used by many people for nearly 100 years, and the uniqueness of Yo-Li Gang-Iyeong was the place of faith that has been connected to the Korean Catholic Church. In addition, the effects of comparative research on the two catechisms that have been used in the Catholic Church and the editions published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are beneficial to examine the effects of Yo-Li Gang-Iyeong on the Korean Catholic Church as a Catholic catechism. 가톨릭 교리 교육의 목적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드러난 하느님을 선포하고 하느님께로 향하는 신앙을 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톨릭 교리 교육은 초기 교회에서부터 중요시되었고 교회를 박해하던 시대에는 신앙으로 이어져왔다. 더불어 공의회를 통해 교회의 쇄신이 이루어지는 시기에도 교의(敎義)를 선포하면서 교리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가톨릭교회의 역사 안에서 교리 교육은 그만큼 중요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 것이다. 초기 한국 가톨릭교회도 이러한 교리 교육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신앙을 전파하는 역사를 이어왔다. 한역서학서(漢譯西學書)를 자발적으로 받아들여 초기 교회 신앙공동체를 형성하였고, 주문모 신부의 입국 후, 회장제와 명도회(明道會)를 통해 교리 교육과 선교에 발판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교리 교육의 효과는 순교로써 신앙을 증거한 순교자들로 드러났다. 더욱 특징적인 것은 특별히 이끌어주는 목자가 없었던 초기 교회 시기와 박해시기에 교우(敎友)들 안에서 자발적인 신앙으로 이어진 교리 교육이었다. 한국 가톨릭교회에 전해진 많은 교리서 중에서 1910년부터 1985년 이후까지 보급되고 이어져 온 『요리강령』은 상본을 풀어 설명하는 특징으로 많은 사람들이 쉽게 가톨릭 교리를 접할 수 있게 했던 대중적인 교리서였다. 또한 가보(家寶)로도 이어질 정도로 한국 가톨릭교회에서 많은 신자들에게 알려졌던 교리서였고, 신앙 전달의 매개체 중에 한 부분이었다. 1910년 초판본 1판본으로 번역, 소개되고 6개의 판본으로 발행되어 한국 가톨릭교회의 교리 역사에 영향을 주었던 『요리강령』의 교리서로서 특징은 상본을 풀어 쉽게 설명하는 부분도 있지만, 교리서 안의 내용이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서술된 부분이다. 특히 교회에서 선포하는 교리들을 상본으로 풀어서 설명하고, 성경을 예시할 경우나 여러 성인들의 예화도 상본으로써 설명한 교리서라는 특징은 『요리강령』이 한국 가톨릭교회에 근 1세기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었던 이유라고 볼 수 있다. 교리서는 그 시대의 사회, 문화, 환경과 더불어 교회 안에서 신앙의 선포로 연결해주는 매개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요리강령』의 특징을 중심으로 본 논문에서는 서론 부분에 『요리강령』의 유래와 판본에 대해 소개하면서,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기대효과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러한 서론의 구성은 『요리강령』의 판본 연구나 교리서로서의 가치에 대한 기존의 연구 자료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제시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2장에서는 『요리강령』의 초판본 1판본과 2판본의 판본 비교연구와 3판본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요리강령』판본 연구의 세부적인 부분을 다루었다. 3장과 4장에서는 『요리강령』의 가톨릭 교리서로서의 의미를 제시하기 위하여 주교요지 이후 최초의 한국 가톨릭교회 공식 교리서인 『천주교요리문답』과 가톨릭교회의 보편교리서인 『가톨릭교회 교리서』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하였다. 결론에서는 『요리강령』의 판본 연구의 의의와 한국 가톨릭교회에서 기여한 부분과 가톨릭 교리서로서의 『요리강령』의 의미를 다시 언급하며 가톨릭 교리서로서의 『요리강령』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부록 부분에 『요리강령』본문 안에 제시된 성경 인용 부분을 모두 찾아 기록하는 작업을 하였다. 『요리강령』은 성경 인용을 많이 한 교리서의 특징을 갖지만, 본문 안에 출처의 표기가 기록되지 않았기 때문에 논문 안에 작업하여 기록한 것이다. 가톨릭 교리서로서의 『요리강령』을 연구하면서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번역된 교리서가 한국 가톨릭교회에서 계속적으로 발행되었음에도 같은 구성으로 이어진 교리서라는 특징이었다. 그리고 『요리강령』의 6개의 판본을 비교하는 연구에서는 2판본과 3판본을 재발행할 때 교회에서 선포하는 교리와 권고를 교리서 안에 제시하려는 노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요리강령』을 『천주교요리문답』과 『가톨릭교회 교리서』와 비교하는 연구에서는 『요리강령』 안에 제시된 풍부한 상본과 성경 인용이 가톨릭 교리서로서의 교리 교육에 이바지했고 대중적인 교리서로 전해진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오늘날 현대 가톨릭교회의 어려움은 세상으로부터 교회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신앙에 대한 의미가 점차 퇴색되어가는 경향이라고 본다. 이러한 상황은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가톨릭 교리를 전달하고, 배우는 과정에서 교회 안으로 쉽게 다가가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고, 교회에서 선포하는 하느님의 모습이 대중들에게 잘 공감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그렇기 때문에 『요리강령』이 대중들로 하여금 교회 안으로 쉽게 근접할 수 있게 한 교리서라는 의미는 오늘날 가톨릭교회가 직면한 현실에서 새롭게 평가되어야 하고, 연구되어야 하는 부분이라 볼 수 있다. 즉 한국 가톨릭교회에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던 교리서로서의 위치를 알리는 것이고, 대중들이 쉽게 가톨릭 교리를 배울 수 있었던 교리서였음을 재평가하기 위함이다. 2020년은 『요리강령』이 한국 가톨릭교회에 번역되어 소개된 지 110주년이 되는 해이다. 그렇기에 근 100년 가까이 많은 사람들에게 사용되었던 『요리강령』의 교리서로서의 특징과 『요리강령』만의 독특함을 연구하는 것은 한국 가톨릭교회에 이어져온 신앙의 자리였음을 알 수 있는 계기라고 본다. 또한 한국 가톨릭교회에서 발행된 판본을 연구하고, 가톨릭교회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어 온 2개의 교리서와의 비교 연구의 효과는 『요리강령』이 가톨릭 교리서로서 한국 가톨릭교회에 미친 영향을 고찰할 수 있는 유익함이라 볼 수 있다.

      • 가톨릭사제의 권위주의성향이 신자들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 공감의 매개효과

        유해원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가톨릭사제의 권위주의성향이 신자들에 대한 편견에 영향을 주는지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더불어 가톨릭사제의 공감이 가톨릭사제의 권위주의성향과 신자들에 대한 편견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가톨릭사제의 편견은 성향 문제로부터 비롯될 수 있다는 문제 제기는 물론, 편견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대상을 선정함에 있어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권위주의성향척도, 공감척도, 편견척도로 설문을 구성하여 한국교회 내 S교구에서 활동하는 본당사목사제 18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최종 18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사제의 권위주의성향은 신자들에 대한 편견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회귀계수 유의성 검증 결과 역시 인습주의, 권위주의적 공격성, 반성찰성은 신자들에 대한 편견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톨릭사제의 공감은 가톨릭사제의 권위주의성향과 신자들에 대한 편견을 부분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편견의 원인으로 권위주의성향이라는 변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가톨릭사제의 편견을 연구한 것은 기존 연구들에서 찾아볼 수 없었던 가톨릭사제의 부정적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f Catholic priests' authoritarian tendencies affect their prejudice against believer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priests' empath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Through this, the research aimed to raise the issue that the prejudice of priests against believers can stem from their personality, and also to offer valid data to help develop programs that reduce prejudice and select targets for such programs. The subject was parish priests in the Diocese of S and 180 of them voluntarily responded to the research survey with valid answers. To elicit meaningful findings from the surve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obel test’ were used. The summary of the main conclusion for the study as follows: First, the authoritarian personality of the priests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prejudice against believers. In the verification of the significance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it was also found that the priests' authoritarian aggression, conventionalism, and lack of self-reflection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rejudice. Second, the priests' empathy could partially mediate the authoritarian tendencies and the prejudic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a variable of 'authoritarian tendencies' as the cause of the prejudice that priests' have and it focused on the negative effects of Catholic priests that have not been found in previous studies.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discussed.

      • 새로운 복음화를 위한 국내 가톨릭계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고찰 : Good news, 마리아사랑넷, 바오로딸 인터넷 서점을 중심으로

        양완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Since the Second Vatican Council held, the Roman Catholic church has defined all of the media as 'a new language' and shown great concern about them. Thus, each Catholic church is recommended to utilize medium in appropriate ways to make social justice possible as well as preach gospels throughout the interest for media. There are various kinds of media. Among them, internet is the medium which Catholic church reveals the greatest concern. Internet takes essential roles in modern people's lives by making it possible for people to network one another. All the matters happened via internet including communication which is taken place beyond time and place, information searching and trades, have had a great deal of effect on people and it is an ongoing process exceeding people's expectation. In the case of Korea, the country is very well known for its high supply of internet. The Korean Catholic church also gives an effort to preach gospels by making full use of this advantage. Almost all the subordinate organizations or centers such as the parish, monastic orders, a perish church and its branches set up their own web sites, make online communities and try hard to run those sites effectively. Besides, the internet sites in the name of Catholic church encourage people to use internet for good purpose grounded on gospel's spirits and do hard work to come true gospel through uploading the materials related to Catholic or other contents. It is true that the enormous sites in the name of Catholic has amazingly developed in the view of quantity. The quality hasn't improved a lot than the quantity, though.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the three main web sites: Good News, Mariasarang.net, Paul's daughter internet bookstore, will show how much quality improvement should be in advance as quantity. Even though many people use those web sites on a regular basis, there are main problems and factors that should be complemented like limited interface, untidy classification of contents, updates which is neither regular not irregular, and the in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Catholic sites. Obviously Catholic church has sufficient theocratical knowledge for preaching gospel through media because plenty of documents and data have been issued for a long period of time.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problems shown on the way of practicing the theories. Preaching gospel is one of the essential missions of Catholic church and is the holy and glorious event that people become the brands from burning. The way how we preach gospel depends on the surroundings like time, place and culture, so we need to have realistic and long-term perspective. Thus, it is needed to be both realizing gospel and giving the most appropriate and effective messages of gospel to people. In addition, Catholic church has responsibility of conveying the church's message in a fast, accurate and diverse way to the people who long for gospel by means of the new language, mass media of modern world. Catholic church should endeavor to improve the quality of Catholic web sites by recognizing the needs of the Catholic sites users and studying how the Catholic church should be changed. It would be good if this study is useful for preaching gospel using internet in realistic ways, and makes a little developments for training and budget problems related to the internet sites in each church and any other subside factors. 제 2차 바티칸 공의회를 기점으로 가톨릭교회는 모든 미디어 매체를 ‘새 언어’로 규정하면서 미디어 매체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또 개별 가톨릭교회에게도 미디어 매체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미디어를 통한 복음 전파와 더불어 사회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미디어를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권고하고 있다. 여러 가지의 미디어 매체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현재 가톨릭교회가 가장 큰 관심을 표명하고 있는 것이 바로 인터넷이다.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인터넷은 오늘날 사람들의 삶에 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한 자료의 공유, 정보의 검색과 거래 등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지는 일들은 인간이 생각하던 것 이상의 영향력을 드러내고 있으며 이는 지금도 계속 진행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는 높은 인터넷 보급률을 자랑하고 있으며 한국 가톨릭교회는 이러한 장점을 잘 활용하여 인터넷을 통한 복음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 가톨릭교회 내 교구, 수도회, 본당에서부터 작은 단체에 이르기까지 관련 홈페이지의 개설을 통해 온라인상에서도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외에도 가톨릭교회의 이름으로 생겨난 인터넷 사이트들은 각자 나름대로 복음적 정신에 입각해 올바른 인터넷 사용을 장려하고 있으며 가톨릭교회와 관련된 자료나 기타 컨텐츠의 제공을 통해 자신의 자리에서 복음화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가톨릭교회의 이름으로 생겨난 수많은 사이트들이 양적인 부분에서 큰 발전을 이루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양적인 발전에 비해 질적인 발전에 대한 부분은 그다지 긍정적이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 다룬 세 인터넷 사이트(굿뉴스, 마리아사랑넷, 바오로딸 인터넷 서점)들만 보더라도 양적 발전만큼 질적인 부분의 발전이 얼마나 중요하고, 또 얼마나 시급한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인터넷 사이트이지만 그에 반해 빈약한 인터페이스와 깔끔하지 못한 자료의 분류, 정기적으로나 비정기적으로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업데이트, 가장 중요하게 볼 수 있는 가톨릭계 인터넷 사이트의 미약한 연계성 등 현재 국내 가톨릭계 인터넷 사이트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보완해야 할 점은 아직도 많이 있다. 분명히 가톨릭교회는 오랜 시간에 걸쳐 발표한 여러 문헌과 자료들을 바탕으로 미디어를 통한 복음화 대한 충분한 이론적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이 이론을 현실화 시키는 부분에서 드러난 문제점에 대해서는 다시 한 번 심사숙고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복음화는 교회의 본질적 사명 중의 하나이며 하느님의 구원계획에 인간이 참여하는 거룩하고 훌륭한 일이다. 어떻게 복음화를 실현하는가 하는 문제는 시간, 장소, 문화 등의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에 언제나 현실적이고 장기적인 안목을 필요로 한다. 때문에 먼저 복음화의 실현에 충실하면서도 대상자에게 가장 적절하고 효과적인 복음의 메시지를 전할 수 있는 방법을 지혜롭게 찾아야 한다. 또한 가톨릭교회는 오늘날의 ‘새 언어’인 매스 미디어의 활용을 통해서 그리스도의 복음을 갈망하는 이들에게 교회의 메시지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고, 다양하게 전해주어야 할 의무가 있다. 이를 위해 사용하는 도구가 인터넷이라고 한다면 지금보다 더 분발해야 할 것이다. 가톨릭교회의 이름으로 생겨난 사이트에 접속하는 이용자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현재 자신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계속해서 연구하고 적용하면서 인터넷을 통한 복음화의 질적인 발전을 장기적으로 추구해야 한다. 개인적으로 본 논문이 인터넷을 활용한 복음화에, 특히 현실적인 부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고, 교회 내의 인터넷 사이트와 관련된 인력의 양성과 함께 재정적인 부분, 그 외 여러 가지 부수적인 요소들의 발전에도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한국 가톨릭 중년 여성의 영성교육에 관한 고찰

        김은수 가톨릭대학교 문화영성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논문은 한국 가톨릭 중년 여성의 영성교육을 제안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 목적을 위해 첫째, 심리학적 차원에서 여성의 중년기를 이해하기 위해 칼 융의 개성화 과정, 레빈슨의 발달적 위기, 타울러의 영적 위기의 관점을 고찰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고는 중년기 여성의 또 다른 과제로서, 하느님의 모상으로서의 자신의 내적 통합과 자기실현을 위해 종교적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본고는 지난 10여 년 동안 실시되었던 한국 가톨릭 중년여성의 의식조사 연구들을 기초로 이들이 지닌 다음의 특성을 발견하였다. 우선 가톨릭 중년여성들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미사참례와 성경읽기, 기도 등 높은 종교성과 단체 활동성을 보인 반면, 이런 높은 종교적 욕구를 교회 안에서 충족하지 못하여 신앙상담과 영성지도 및 교육에 대한 영성적 갈망을 표현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한국 가톨릭 중년여성들을 위한 전인적인 영성교육 프로그램의 원리와 실제에 대해 제안을 하였다. 이 영성교육 프로그램은 일반 중년여성의 심리적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면서 한국 가톨릭 중년여성 신자들의 독특한 사회문화적 환경을 고려하여 작성되었다. 즉 이 프로그램은 중년여성 신자들의 전인교육의 핵심적 측면인 인성적, 지성적, 영성적, 실천적 차원을 모두 통합한 교육과정과 방법을 포함하고 있다. 기존 영성교육 프로그램들이 학습자들을 수동적 청자로 머물게 하면서 객관적 지식 전달을 위주로 하는 것과는 달리, 본 영성 프로그램은 학습자 중심의 주체적 교육과 관계적 지식을 중심으로 교육의 효과성을 극대화한다는 목표를 지니고 있다. 결론에서 본고는 한국 가톨릭 중년여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영성교육 프로그램의 제시가 이 분야에서 처음으로 시도되었다는 의미를 재확인하면서, 앞으로 이 분야의 이론적 발전과 실천적 성과에 대한 기대를 피력하였다. This paper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spirituality education for the Korean Catholic middle age women. For this purpose, first, for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atholic middle age women in psychological perspective, this paper reviewed Carl G. Jung's personality for self-realization, Levinson's adjustment of life structure and the developmental crisis, and Tauler's ontological meanings. Second, this research found the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Korean Catholic middle age women based on the surveys that were conducted during the last ten years. It showed that Korean Catholic middle age women showed higher level of religiosity than those of other age-counterparts in terms of mass attendance, bible study, and church activities. Meanwhile, they did not seem to fulfill their religious needs in the church; therefore, they eagerly wanted to have proper spiritual counselling, spiritual directions, and spiritual educations. Finally, this paper proposed the principles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a holistic spirituality education program for Korean Catholic middle age women. This program considerately includes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atholic middle age women and Korea's particular sociocultural backgrounds surrounding them. Especially, this program contains the essential viewpoints of virtue spirituality, intelligence and practice that are essential dimensions of holistic growth of a human being. Different for the previous programs that stressed knowledge delivery toward passive learners, this program is designed to optimize its educational effectiveness with learner-centered and relationship-natured structures interwoven with learners. In its conclusion, this pater reconfirmed the its contribution due to its meaning of the first theoretical and practical attempt for spirituality education in this area. Then, it showed its expectation for further reasearch and practice for this subject in near future.

      • 학교 밖 청소년들을 위한 영적 치유 교육

        오승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한국에서는 교육과 관련된 이슈에 대해서는 항상 다양한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중고등학교 취학률이 90%를 상회하고 있어 거의 완전 취학 상태에 도달했다고 보는 가운데 학업 성적과 입시제도는 교육과 관련한 중요한 이슈로서 한국의 교육 전반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래서 한국의 학교 교육은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교육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이런 상황에서 여러 문제들과 다양한 이유들로 인해서 학교를 그만두고 떠나는 청소년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 청소년들은 학교 밖 청소년이라 불리며, 교육현장에서 이들에 대한 관심과 지원 그리고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가톨릭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들에 대해 일찍부터 관심을 갖고 우선적으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관련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리고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교육의 과정에서 가톨릭 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 접근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의 교육 중단 이유, 정서적 상황 그리고 가톨릭 교육이 가지고 있는 복음화의 사명 등을 고려할 때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교육에서는 영적 치유 교육을 실행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목적을 학교 밖 청소년들을 위한 영적 치유 교육의 근거를 밝히고, 영적 치유 교육 모형을 설정하는 데 두고, 다음과 같은 문제를 살펴보았다. 첫째, 가톨릭교회에서 제시하는 영적 치유란 무엇인가? 교회 가르침의 근거가 되는 성경과 가톨릭 신학에서는 영적 치유를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가? 둘째, 학교 밖 청소년들의 현황은 어떠하며 이들의 삶은 어떠한가? 셋째, 가톨릭 영적 치유를 교육에 적용한다고 할 때 구체적으로 어떤 교육활동을 수행해야 하는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교회에서 제시하는 영적 치유란 하느님의 모상이라는 인간 이해를 기초로 하여, 전인적인 접근으로 영적인 부분의 치유를 도모하고, 나아가서 인간의 구원으로 이끌어가는 수단으로서 제시되고 있다. 둘째, 현재 학교 밖 청소년은 전체 학생 수에서 일정한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학교 밖 청소년들이 학교를 중단하거나 진학하지 않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교육적으로 관심을 갖고 지원이 필요한 경우는 삶에서 부정적인 경험들과 정서적 상황에 처한 학생들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환경에 있는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는 정신적·영적 치유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영적 치유 교육을 교육적으로 적용함에 있어서, 일반 교육보다 자유로운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대안교육을 통해서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영성이 가지고 있는 종교적인 특성 때문에, 종교교육을 통해서 영적 치유 교육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서 학교 밖 청소년들이 가지고 있는 내면적인 문제와 어려움들을 이겨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Various issues related to education are constantly being discussed in the Republic of Korea. It is believed that the middle and high schools in South Korea have reached a state of near-complete enrollment with an enrollment rate of over 90%. In the meantime, a large part of the discussions made in the realm of education in Korea involves th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nd policies regarding the college entrance exam as they are two major focuses of the Korean education system. This is why some call it the education system dedicated to preparing students for college entrance exams. Against this backdrop, more and more teenagers are leaving school due to various problems and reasons. These teenagers are called out-of-school adolescents. They should be given attention and support from the education arena, and more research must be done about them. Although the Catholic church has long been paying attention to and supporting out-of-school adolescents, related research has not been actively conducted. Moreover, in designing curriculum for out-of-school adolescents, more discussion and research are needed on what is the right educational approach that embodies the principles of Catholic education. This study starts from the perspective that out-of-school adolescents should receive spiritual healing education, considering their reasons for leaving school, their emotional state, and the church's evangelizing mission.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basis and to build an education model for spiritual healing education for out-of-school adolescents.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addressed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is the concept of spiritual healing presented by the Catholic church? In other words, what do the Bible and Catholic theology, which are the basis of the church’s teaching, say about spiritual healing? Second, what is the status quo of out-of-school adolescents and what is their life like? Third, what specific programs or activities can be conducted to apply Catholic spiritual healing to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iritual healing presented by the Catholic Church is based on the human understanding that it is the imago Dei, and it is suggested as a means to promote spiritual healing through a holistic approach and thereby lead to human salvation. Second, the number of out-of-school adolescents accounts for a consistent percentage of total students. Although there are a variety of reasons as to why they left school or decided not to enroll in school, those that need attention and support from the education arena are the ones who are having negative experiences in life and going through a difficult emotional situation. They are in need of emotional and spiritual healing education. Third, spiritual healing can be applied to education in the form of an alternative education program, as it offers more freedom than conventional ones. Also, because of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spirituality, spiritual healing education can be carried out through religious educatio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ave the way for out-of-school adolescents to overcome their inner problems and difficul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