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7세기 서양 일반복식과 무용의상의 상관관계

        김선경 청주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e 17th century, the artistic dance appeared under the absolute monarchy politically and the mercantilism economically by the Atlantic countries in the West. Culture was also led by countries holding the supreme power based on the political and economic stability. Spain and Netherlands, and France had influence on many surrounding countries as the center of culture of the Europe in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17th century respectively. And, the general costume and dancing clothes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a change in the leading country. Gorgeous and noble costume of Spain, the main current leading the European fashion in the 16th and early 17th century, did not appeal to European any more as they urged to establish a colony by continuous wars and findings of New Course. Instead, the Netherlandic-style costume with practicalness and easiness to wear aroused interests of the contemporary European. But, since the middle of 17th century, France became the center of Europe as Louis XIV established the absolute Royal rule. And, it became also the central country for costume in Europe and the French-style costume became popular. Louis XIV decided that first of all the powerful economic strength should be required to strengthen royal authority, carried out the economic policy focused on mercantilism, and established the national finance with domestic industrial development by prohibiting the import of luxuries such as gold, silver thread, and lace from Spain or Italy, by founding, protecting, and encouraging royal factories, and by inviting foreign engineers. Under these conditions, French nobles tried to live in a showy court way with sufficient creativity and elegant sense and the king spent national power by large-scale luxury and vanity. But, the new style led by them attracts attention of people in other countries in Europe, and the French style spread in Europe. In the style, decoration with accessories resulted in the tendency to dress excessively and was developed into the baroque. Dancing clothes and general costume in the 17th century are de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period since Louis XIV. And, they developed under the mutual influence. In the first period of general costume, the Netherlandic style affected the dancing clothes in the second period; the bodice's neckline was comfortable, sleeves widened and shortened, and skirt shortened without crinoline. These light and simplified clothes enabled dancers to express freely with their body, and played a role of genuine dancing clothes. In addition, vario-us accessories were used to help virtual expression for expression of characters. Accordingly, audience could understand contents of a dance drama and role of dancers without additional explanation if they would see just clothes of dancers designed to mee with contents of drama. Dancing clothes in the second period became more splendid than in the first period with the active support of the king. Meanwhile, Spanish-style dancing clothes with formality in the first period of dancing clothes affected rather the general costume in the second peropd. General costume in the second period became tight and wide as corset and crinoline, which disappeared with creativity of the French in the first period, appeared again. And, the general costume became more gorgeous than the Spanish-style costume. In the 17th century, ballerions (male ballet dancers) played a role as women by wearing beautiful female clothes decorated with ribbon or lace under the mask or makeup in the Court ballet. These clothes affected the general costume and rhine grave (Petticoat breeches) was derived from them. In this manner, dancing clothes and general costume had changed and developed under the mutual influence without any absolute ad vantage.

      •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에 나타난 비극과 극기 연구

        김선경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노인과 바다"에서 산티아고는 마놀린에게 삶을 이루어나가는 데 필요한 낚시 기술을 가르쳐 준다. 또한 야구와 사자의 꿈 이야기를 들려줌으로써 희망과 용기를 심어준다. 그리고 어떠한 역경에도 좌절하지 않는 강인한 인내력을 보여줌으로써 스승의 역할을 하고 있다. 그는 세상사람 누구도 도와 줄 수 없고, 모든 유혹과 모든 함정과 배반의 손이 미치지 않는 외로운 바다 한 가운데서 84일 동안이나 끊임없는 고통과 시련 속에서도 이에 굴하지 않는다. 자신에 대한 믿음과 용기를 가지고 자신의 연약한 육체에 강인한 정신력을 불어 넣음으로써 육체와 정신이 하나가 되어 거대한 자연에 도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투쟁의 과정 속에서 태어나는 극기주의의 결정체는 인간의 위대함과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 주고 있다. 마놀린은 비록 나이는 어리지만 그가 지닌 따사로운 애정을 산티아고에게 정성을 다하여 보여줌으로써 어부로 살아가기엔 너무나도 힘든 현실 앞에 생의 동반자로서의 역할을 부여하고 있다. 산티아고는 새로운 태양 앞에 힘차게 노를 저어 자신이 감당하기엔 너무나도 힘겨운 대어 다랑어와의 외롭고 힘든 사투를 벌이면서도 오두막집으로 돌아가면 그를 위해 기다리고 있을 마놀린과 마을 사람들을 생각하며 그들의 따뜻한 마음을 감사하고 그리워하면서 새로운 기운을 얻어 그 앞에 놓인 역경을 이겨내고 있다. 산티아고의 자존심을 다치게 하지 않으면서 마놀린이 보여주는 인간적인 사랑은 산티아고에게 젊음의 힘과 인내할 수 있는 용기를 불러 일으켜주었으며, 헤밍웨이의 작품 곳곳에서 발견 할 수 있는 주인공의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고 있다. 헤밍웨이는 주인공 산티아고를 통하여 서로 돕고 아껴주며 힘들고 지쳐 갈 때마다 누군가를 떠올릴 수 있는 이상적인 인간관계의 모습을 제시함으로써 인간의 존엄성과 올바른 윤리 의식을 함양시키고 있다. 또한 그는 끊임없는 자아의 정신적 무장만이 다가올 미래의 더욱더 커다란 혼돈 속에서도 굳건히 인간의 참 모습을 지킬 수 있는 바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노인과 바다"를 한층 더 높은 차원의 작품으로 승화시키고 있다. A Study on Tragedy and Stoicism in The Old Man and the Sea Kim, Sun-Kyoung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University of Seoul As We know, Ernest Miller Hemingway is generally acknowledged 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writers of the 20th century. In 1953, he won the Pulitzer Prize with The Old Man and the Sea for his epic account of man’s struggle against the forces of nature. He was also awarded the Novel Prize for Literature in the following year 1954. The Old Man and the Sea is very simple and interesting story written at the age of 53 after his thought had reached maturity. Throughout The Old Man and the Sea, Santiago is given heroic proportions. This novel shows the courage, the strength and the will of man: fighting against the forces of nature occupies two-thirds of the whole novel. Hemingway believes that to live is to fight. If it is true, we can’t escape from the bitterness of life, but we need some moral rules to control them. They are the belief, the courage and the endurance, all of which Santiago shows us in this novel. But it is not Hemingway’s inherent Stoicism, for we can see many kinds of stoicism in other novels. His stoicism is the stoicism with ecstasy.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the theme of solidarity and interdependence pervades the action and provides the struggle with framework within which Santiago’s heroic individualism and his fellow creatures appear and function. Santiago depends upon the young boy, Manolin, Dimaggio and Lions. These devices offer him courage when he meets a deadly trauma, so he can fight against nature. After all, he has learned much in a few days of fishing voyage though he suffered a lot. He is now able to pronounce a judgement upon the inscrutable human existence and men’s destiny. His failure has thus turned out to be his moral victory.

      • 학령기 경계선 지능 아동의 배경지식 유무에 따른 추론 능력

        김선경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a difference in inference ability with or without background knowledge among school-age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their matching same-life age ordinary children and their matching same-language age ordinary children. Changes to in-groups' inference error types were defined according to with or without background knowledge. Subjects were selected to consist of 10 children of 7 to 8 years of life age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currently attending school, their matching 10 same language-age ordinary children, and their matching 10 same life-age ordinary childr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below. First,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their matching same language-age ordinary children and their matching same life-age ordinary children more accurately performed inference under the condition of background knowledge provided than without it. Second, all of the three groups reduced the frequency of wrong inference errors under the condition of background provided than without it. As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decreased wrong inference errors, they increased the frequency of immature inference errors. Their matching same language-age ordinary children and their matching same life-age ordinary children decreased wrong inference errors, but had a similar frequency or a little reduced frequency of immature inference errors compare to the condition of background knowledge not provided. These results mean that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could not, in the process of inference, connect overall situations with the provided background, but they could use the background knowledge, when it was provided, to try to connect the situation with the background knowledge. This also means that ordinary children used the background knowledge that they had before it was provided to perform inference. Such a difference in inference ability associated with such conditions with or without background knowledge suggests that, in utilizing a mediating idea for helping the language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the background knowledge is helpful for inference. At the same time, it suggests that, to use background knowledge, the background knowledge, the information acquired from diverse experiences and learning, are needed. Key word: Borderline intelligence, Background Knowledge, Inference 본 연구는 학령기 경계선 지능 아동과 생활연령이 일치한 일반 아동 및 언어연령이 일치한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배경지식 유무에 따른 추론 능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 집단 내에서 보인 추론 오류 유형은 배경지식 유무에 따라서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생활연령이 만 7~8세인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경계선 지능 아동 10명, 경계선 지능 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0명,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0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계선 지능 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및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은 배경지식 무제시 조건보다 배경지식 제시 조건에서 더 정확하게 추론해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세 집단 모두 배경지식 무제시 조건보다 배경지식 제시 조건에서 틀린 추론의 오류 빈도가 줄어들었다. 경계선 지능 아동들은 틀린 추론 오류가 감소하면서 미숙한 추론의 오류 빈도가 높아졌고,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은 틀린 추론 오류가 감소해도 미숙한 추론의 오류 빈도는 배경지식을 제시하지 않았을 때와 비슷하거나 조금 더 줄어들었다. 이러한 결과는 경계선 지능 아동들이 추론할 때 전반적인 상황과 배경지식을 연결하지 못했는데 배경지식을 제시하자 제시된 배경지식을 활용하면서 상황과 배경지식을 연결하려고 시도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 아동들은 배경지식을 제시하기 전에도 스스로 가지고 있던 배경지식을 활용하면서 추론을 해나가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배경지식 유무에 따른 추론 능력의 차이는 경계선 지능 아동들의 언어 중재 방법에 있어 배경지식의 활용이 추론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하며 동시에 배경지식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경험 또는 학습으로부터 습득된 정보인 배경지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주제어: 경계선 지능, 배경지식, 추론

      • 치과대학생의 상악 전치부의 심미적 요소 분석 및 개인의 인식도 평가

        김선경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 목적 : 심미성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소들인 상악 전치부의 황금비율, 상악 중절치의 폭경 대 장경의 비율, 치은 정점의 위치, 치관의 형태 등에 대해 조사하고, 이와 같은 심미적 요소들이 실제 남녀 간 차이 및 개인의 심미적 인식도와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치주적으로 건강한 25~35세의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에 재학중인 70명을 대상으로 상악을 인상 채득하여 치과용 모형을 제작하였다. 치과용 모형은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표준화된 사진을 촬영하고 계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악 중절치·측절치·견치에 대한 근·원심으로 가장 넓은 치아의 폭경, 상악 중절치에 대한 정·근단으로 가장 긴 치아의 높이, 상악 중절치·측절치·견치에 대한 치은 정점의 수직적 위치, 치은 정점과 인접치의 접촉점간에 이루는 각도를 계측하였고 치관 모양은 임상 치관의 형태에 따라 짧은 사각형, 긴 사각형, 삼각형, 타원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연구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상악 전치부의 만족도를 평가하게 하는 총 2장 12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수치는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상악 좌우측 중절치:측절치:견치의 비율은 상악 우측 전치부의 경우 1.38:1:0.78, 상악 좌측 전치부의 경우 1.41:1:0.81의 평균값을 가졌고 좌우측 모두에서 황금 비율(1.618:1:0.618)과는 차이가 있었다. 중절치 치관의 폭경 대 장경의 비율은 우측 중절치의 경우 0.84, 좌측 중절치의 경우 0.83의 평균값을 가졌다. 치은 정점의 근원심적 위치는 좌우측 모두 중절치는 원심측, 측절치는 중심, 견치는 원심측에 위치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상악 전치부 폭경의 비율, 상악 중절치의 폭경 대 장경의 비율, 치은 정점의 위치, 치관의 모양, 미소시 치은 노출의 정도, 인접치와 치은정점 간 이루는 각도 모두 남녀 간 차이가 없었다. 상악 전치부 폭경의 비율, 상악 중절치의 폭경 대 장경의 비율, 치은 정점의 위치, 치관의 모양, 미소시 치은 노출의 정도, 안모의 형태와 참가자들의 설문조사를 통한 심미적 인식도와는 관련이 없었다. 결론 :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참가자 개개인은 상악 전치부에서 심미적으로 이상적이라고 여겨지는 황금비율(1.618:1:0.618) 및 치관의 폭경 대 장경의 비(0.8)와는 일치하지 않는 전치부의 비율을 갖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설문조사 결과 치과대학생 개인의 전치부 심미성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다. 이런 결과로 보아 심미성 인식에 대하여 참가자들은 수치화된 객관적 지표가 아닌 주관적 판단에 더 의존함을 알 수 있었다.

      • 귀국선교사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선경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2021년 현재 한국 기독교는 22,259명의 장기 선교사를 168개국에 파송하고 있지만 선교사의 중도 탈락률이 18.3%나 된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선교사로서 가장 고민이 되는 것이 자녀교육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선교사의 중도 탈락률 감소와 귀국 후 선교사 가족과 자녀의 적응 향상을 위해 연구와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귀국선교사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로서 선교사 자녀들이 귀국 후 학교생활 적응의 주관적 경험에 대해 살펴보고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지 탐구하여, 귀국선교사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와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귀국 후 5년 이내의 선교사 자녀 가운데 중·고등학교 재학생 7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면담한 내용을 전사하고 분석한 결과 의미화 개념 114개, 하위범주 23개 그리고 최종적으로 5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그 상위범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귀국선교사 자녀들의 학교생활 적응 전의 현상으로는 귀국 전 학업환경과 귀국 전 가족 분위기가 있었다. 둘째, 학교생활 적응상의 어려움으로 문화적 이질감, 관계의 어려움, 교육방식과 시스템의 복잡성, 학업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생활 적응의 심리적 작용으로 소속감 결여, 소외감, 부담감, 친구 동조, 성격의 긍정적 변화와 부정적 변화, 가족관계의 변화가 있었다. 넷째, 학교생활 적응에 필요한 영향으로는 가족의 영향, 친구의 영향, 교사의 영향, 신앙의 영향, 해외 경험의 영향을 꼽았고 학교생활 적응에 필요한 도움을 기대하는 현상도 볼 수 있었다. 다섯째로는 자기성찰, 홀로서기, 적응력 향상, 사회성 증진에 학교생활 적응의 의미를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귀국선교사의 중·고등학생 자녀 7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모든 귀국선교사 자녀들에게 일반화할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지만, 양적인 연구에서는 얻기 힘든 귀국선교사 자녀들의 주관적 경험을 있는 그대로 풍부하게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귀국선교사 가족 및 자녀에 관한 연구를 촉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고무줄놀이 활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눈-발 협응 및 이동운동기술에 미치는 영향

        김선경 용인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omujulnori activity on the Eye-foot coordination and locomotor skill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effective motor program for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8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between the age of 8 to 11) were selected 8 persons as a experiment group and other 8 children as a control group with the consent from their parents, and basic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preliminary tests on their physique and interviews. In addition to apply the result after make up for the points which were revealed through primary tes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9 weeks, 2 sessions per week, and 90 minutes per session. Besides, a test on locomotor skills such as run, gallop, hop, leap, slide, horizontal jump and the Eye-foot coordination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Gomujulnori activity effectuated.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the eye-foot coordination and locomotor skill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pendent t-test for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the pre-test and post-test of the subjects and independent t-test for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he significant level was set at ɑ=.05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drawn as follows: First, The Gomujulnori activity positively affected the enhancement of the eye-foot coordination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Second, The Gomujulnori activity positively affected the enhancement of the locomotor skill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고무줄놀이 활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눈-발 협응 및 이동운동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와 동시에 협응성과 이동운동기술의 지체로 효과적인 운동수행이 어려운 정신지체 아동의 운동프로그램 제작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소재 정신지체 아동 중 남자아동(8세~11세)을 부모의 사전 동의를 얻어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을 선정하였으며, 사전에 아동의 체격 검사 및 면담을 실시하여 연구대상자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었다. 또한 예비실험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수정, 보완하여 본 실험에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본 실험은 9주간, 주 2회, 1회 90분간 진행되었으며, 고무줄놀이 활동의 사전과 사후에 눈-발 협응력 검사와 달리기, 갤롭, 홉, 립, 슬라이드, 제자리멀리뛰기 등의 이동운동기술에 대한 검사를 실시 하였다. 검사결과를 토대로 고무줄놀이 활동으로 인한 정신지체 아동의 눈-발 협응력 및 이동운동기술의 향상정도를 알아 보았다. 자료 분석은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의 결과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종속t-검증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t-검증을 실시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한 유의 수준은 ɑ=.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고무줄놀이 활동은 정신지체 아동의 눈-발 협응력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무줄놀이 활동은 정신지체 아동의 이동운동기술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긍적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소월 시와 목월 시 비교 연구 : 시적 화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김선경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I have identified the semantic structures in works of both poets focusing on attitudes of the speakers in order to profoundly examine So-Wol poetry and Mok-Wol poetry. I have classified the attitudes of the speakers by aspect of emotional expression,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and attitude towards life. This classification covers the life of the speaker from individual aspect - social aspect - life which ranges from narrow to broad point of view. In the aspect of emotional expression, I analyzed how the speaker expressed his or her emotions by examining detailed expression methods such as tones, literary styles, poetic words and punctuation marks. In So-Wol poetries, the emotions were expressed indirectly while emotions were expressed indirectly in Mok-Wol poetries. In the aspect of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I focused on the speaker's perspective and attitude towards the others and situations. So-Wol poetries were characterized by having severed perspective towards the others and many monologues. On the other hand, Mok-Wol poetries had communicational perspective and dialogues. In the aspect of attitude towards life, I focused on how the speaker states about the life and conflicts between the speaker and outer world. In So-Wol poetries, the speakers displayed disagreements and wanderings and in Mok-Wol poetries, the speakers showed understandings and sympathi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works of these two poets are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speakers' attitudes towards himself and the world. The speakers of So-Wol poetries showed severed perspective which is to recognize the world separately from himself. On the contrary, speakers of Mok-Wol poetries had communicational perspective which is to recognize the world as something connected to himself. These differences led to different styles of speech. The speakers of both poetries showed different attitudes in many aspects of life due to the different perspective towards the world as well as himself. (Speakers of So-Wol poetries - Separated world, Speakers of Mok-Wol poetries - Connected world) These different attitudes were expressed by different styles of speech (Speakers of So-Wol poetries-Self-identity and one-way speech, Speakers of Mok-Wol poetries-Mutual relationship and two-way spee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