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노동인권교육 활성화 방안 탐색

        최준호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explore ways to revitalize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for out-of-school youths by examining the status of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for out-of-school youths and examining the necessity of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used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out-of-school youths and the legal basis for out-of-school youth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and based on this examination, it further explored programs as well as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Currently, the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 is the core of the support system for out-of-school youths in Korea.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f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at the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at the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 is inadequate and needs improvement in the functional aspects of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that requires various educational factors in order for the out-of-school youths to understand labor society and establish correct values and attitudes for labor rights. Therefore, as part of the plan to revitalize labor rights education for the out-of-school youths who often have less learning opportunities comparatively, this study presented the development area, details, and core competencies for labor rights education of out-of-school youths, and practical strategies.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 could strengthen the organic cooperation system with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individual schools, and other related institutions for a further and continues link between finding out-of-school youths and labor rights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노동인권교육 실태를 살펴보고 노동인권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해 봄으로서 학교 밖 청소년들을 위한 노동인권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탐색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학교 밖 청소년 현황 및 학교 밖 청소년의 노동인권교육의 법적 근거와 함께 노동인권교육 실태 등에 관하여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노동인권교육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구축 및 교수학습 실천전략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지원체제의 중핵을 차지하는 곳은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이다. 하지만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의 노동인권교육 실태를 분석한 결과,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의 노동인권교육은 건전한 사회인으로 성장하기 위해 노동사회를 이해하고 노동인권에 관한 올바른 가치와 태도를 정립할 수 있도록 여러 교육적 요소를 포괄해야 하는 노동인권교육의 기능적 측면에서 볼 때 미흡하고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기회 보장에 있어 열악한 조건에 놓여 있는 학교 밖 청소년들을 위한 노동인권교육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노동인권교육을 위한 개발 영역과 세부 내용 및 핵심역량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교수학습의 목표, 내용체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체계를 중심으로 실천전략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가 중심이 되어 시도교육청 및 교육지원청, 단위학교, 기타 유관기관과의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강화하여 학교 밖 청소년 발굴 및 노동인권교육 활성화를 더욱 지속적으로 연계해 나갈 수 있기를 제안하였다.

      •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 Ⅳ: 질적 종단자료 심층분석보고서

        김희진,서고운,김미정,류정희,권지성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협동연구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조사된 학교 밖 청소년들의 질적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학교 밖 청소년들의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및 자립 상태를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교 밖 청소년들의 건강한 자립지원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거 학교를 그만둔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로부터 수집된 방대한 질적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3개의 연구주제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학교 밖 생활 및 이후 청년기까지의 경험에 대한 질적 종단연구’는 청소년기와 성인기의 학교 밖 경험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분석하였으며,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과 심리 · 정서적 상태’는 아동기의 부정적 생애경험이 학교를 그만 둔 이후의 삶에 심리 · 정서 측면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 밖 청소년(현 20대 중반 청년)의 자립경험에 대한 질적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자립경험을 탐색하고 그 과정에서 지역사회의 지원 경험을 분석하였다. 각 연구는 해당 연구주제를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학교 밖 생활 및 이후 청년기까지의 경험에 대한 질적종단연구’는 총 12명의 학교 밖 청소년의 자료를 대상으로, 개방코딩, 범주화, 축코딩, 선택적 코딩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의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과 심리 · 정서적 상태’는 아동기 시절에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총 14명의 학교 밖 청소년들의 자료를 토대로, 귀납적 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현 20대 중반 청년)의 자립경험에 대한 질적연구’는 총 12명의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맥락 - 패턴 분석방법을 실시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중소도시 · 읍면지역에 거주하는 15명의 학교 밖 청소년 질적자료 중 ‘지역사회 경험’ 부분을 발췌하여 집중분석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 질적종단자료에 대한 심층분석을 통하여, ① 꿈드림 접근성 향상, ② 꿈드림 프로그램 및 지원 강화, ③ 학교 밖 청소년 인식 개선의 3가지 정책적 방향성이 제안되었다. 각 방향성은 세부 정책과제들로 구성되었는데, 첫째, ‘꿈드림 접근성 향상’은, ‘정보 접근성 향상’, ‘물리적 접근성 향상’, ‘심리적 접근성 향상’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꿈드림프로그램 및 지원 강화’는 ‘다양한 자립 관련 프로그램 제공’, ‘터닝포인트기회 제공’, ‘꿈드림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학교밖 청소년 인식개선’은 ‘학교 밖 청소년 명칭 재검토’,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하는 홍보’, ‘공정한 기회 제공’으로 구성되었다.

      •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 Ⅲ: 학교 밖 여성 청소년을 중심으로

        오은진,장희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학업을 중단한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 성별, 학업중단 유형 등에 따른 세밀한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청소년기는 성별에 따른 사회문화적 현상을 내재화하는 경향이 다르기 때문에 청소년 정책지원에서 여성과 남성이 겪는 위기 경험에서의 성별 차이를 고려한 정책과제를 개발해야 하며, 이를 지역사회의 지원체계를 통해 충분히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학교 밖 청소년과 관련한 개괄적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여 집단의 차이를 확인한 후 학교 밖으로 나온 위기 여성청소년들의 생활 경험과 심리상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 중에서도 더 많이 소외되고 취약한 여성 청소년의 실태를 질적조사를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지역사회 수준에서의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위기 여성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학업중단 학생 현황 중 성별 현황을 살펴보았다. 둘째, 2차 자료 분석으로서 2018년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결과 중 성별차이에 초점을 두고 재분석하였다. 셋째, 학교 밖 여성 청소년 8명 및 이들 중 일부가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쉼터 관계자 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화상 방식을 통한 심층면접조사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결과 분석과 정책 제언에 대한 전문가 자문회의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학교 밖 여성 청소년 현황을 분석하였고, 학교밖 위기 여성 청소년의 학업중단 경험과 지원 요구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학교와 지역사회의 정서적 지원체계의 강화, 노동시장의 사회적 안전망 강화, 지역사회 직업 · 진로 멘토링 사업, 다양한 지역지원체계의 접근성 제고 및 직업탐색 공간의 다양화, 심리 정서적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상담 제공, 여성청소년의 성 · 건강관리에 대한 접근성 제고 등의 여러 정책과제들을 제안하였다. With respect to out-of-school youths, a detailed approach based on gender and reasons for dropping out is necessary. In particular, since youths tend to internalize what is unfolding socio-culturally before them differently according to gender, policy tasks that consider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crisis experience of male and female youths must be established.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these tasks through the support system of the local community. To that end,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al status and actual conditions related to out-of-school youth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ender groups, and then attempted to grasp the life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states of the female youths in crisis who have dropped out of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rry out an in-depth analysis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status of female youths who are more marginalized and vulnerable, and to propose support plans at the local community level. For this purpose, we first review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female youths in crisis and out-of-school youths, and examined the gender of students dropping out of school. Second, as a secondary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2018 out-of-school youth survey were re-analyzed to focus on gender differences. Third, in-depth video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out-of-school female youths and two field workers from the youth shelter where some of the interviewees reside. Finally, an expert advisory meeting was held to thoroughly analyze the results and put forward policy recommendations. Through these research methods,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out-of-school female youths, and extracted their dropout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Based on the results, various policy tasks such as reinforcing the emotional support system of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strengthening the social safety net in the labor market, starting vocational and career mentoring programs in the local community, enhancing the accessibility of various local support systems, diversifying job search channels, examining the psycho-emotional situation, providing custom-tailored counseling services, and enhancing accessibility to sexual and health counseling of female youths were proposed.

      •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Ⅲ: 질적 패널 조사를 중심으로

        김희진,장근영,이동훈,윤철경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 Ⅲ: 질적패널조사를 중심으로」의 3차년도 연구로, 청소년기 중 · 후반과 성인기 이행과정에 있는 10대 중 · 후반 ~ 20대 중반 학교 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수행하여 이들의 학업중단 사유, 학교를 떠난 이후의 경험, 진로준비 및 지역사회에서의 지원 경험 등에 대해 질적종단자료를 수집하고 그 결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조사결과에 기초하여 지역사회에서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2020년에는 대도시지역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방안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첫째, 학교 밖 청소년 현황 및 규모검토, 지역사회와 관련된 선행연구들과 3개 대도시의 학교 밖 청소년지원체계와 관련된 행정통계와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였다. 둘째, 전문가 자문 및 워크숍, 정책연구실무협의회, 그리고 전년도 학교 밖 청소년 연구결과 발표를 위한 포럼을 개최하였다. 셋째, 이제 20대 성인이 된 학교 밖 청소년 기존 패널 22명을 대상으로 3차 심층면접을 수행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넷째, 10대 중·후반의 신규 학교 밖 청소년 패널33명을 구축하고 1차 심층면접을 수행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COVID-19로 인해 기존 패널 및 신규 패널 대부분 온라인 화상면접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기존 패널을 대상으로는 횡단(2020년 수집자료 중심) 및 종단자료(2018~2020년 수집 자료) 분석을 모두 수행하였고, 신규 패널의 경우 1차년도 면접조사 결과 분석과 더불어 이 중 5명에 대한 생활시간을 조사하여 결과를 함께 분석하였다. 다섯째, 광주, 부산, 서울과 같은 대도시 지역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 현황과 함께 이들 지역의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현장실무자 3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대도시 지역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56개소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웹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① 청소년의 요구와 환경변화에 부합하는 지원 마련, ②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꿈드림)의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 강화, ③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대대적인 사회적 인식개선 및 홍보, ④ 학교 밖 청소년 지원의 전문성 강화와 인프라 개선, ⑤ 지역사회 및 환경을 고려한 지원체계 구축, ⑥ 대도시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의 차별화 전략 구축 등의 정책방향을 도출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정책과제로 비대면 사업 개발 및 대면 서비스와의 유기적 연계, 학교밖 청소년 지원 대상 확대, 청소년 요구 맞춤형 다양한 프로그램/공간지원, 경제적 지원 확대 등의 정책과제,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지역사회 수준에서의 지원체계와 관련된 4개의 정책과제, 대도시 지역 및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제들을 제안하였다.

      •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Ⅴ : 질적 패널조사를 중심으로

        김희진,서고운,조혜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들이 학교를 그만둔 이후의 생활과 경험, 성인기 이행과정에서의 진로 발달, 지원 경험 및 요구 등을 면밀하게 파악, 분석하여 제도권 공교육 밖의 학교 밖 청소년이 우리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 성장·발달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올해 연구는 5개년도 연구로 계획된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 질적패널조사를 중심으로」의 마지막 년도의 연구로, 그동안 수행된 2018~2021년 연구의 결과와 올해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지원방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와 관련해서도, 2018~2021년간 지역 규모에 따라 각각 수행된 연구 결과와 올해 수행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서의 지역별 차이를 고려한 지역사회 지원 개선방안들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는 다양한 질적, 양적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먼저, 학교 밖 청소년 규모 및 지역사회 지원에 관한 행정통계 및 자료를 검토하였고, 성인기 이행, 지역사회 지원, 질적 종단 연구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20대 중·후반의 학교 밖 청소년 기존 패널 27명과 대부분 10대 중·후반인 신규 패널 24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고, 정책과제 개발에 초점을 두어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를 위해,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와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및 직업체험 연계기관 실무자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으며, 이전년도 설문조사에 참여하지 않았던 중간 규모 지역의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 종합 지원방안 도출을 위해 그동안 제안된 정책과제들과 올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과제들을 종합하여,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을 통해 우선순위 및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이외에 면접지 및 설문지 내용의 타당성 검토, AHP방식의 우선순위 도출을 위한 내용과 정책적 시사점 도출 등과 관련하여 전문가 자문과정을 거쳤다. 마지막으로 협동연구의 일환으로 질적연구 전문가들과 함께 그동안 축적된 학교 밖 청소년 질적 종단자료에 대해 다양한 주제로 심층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학교 밖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자립 구현’이라는 정책 비전과, ① 다양한 환경 속의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인식개선, ②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있어서의 국가와 지자체 책임 강화, ③ 학교 밖 청소년 발달단계 및 수요 맞춤형 지원, ④ 전인적 관점의 통합 지원, ⑤ 차별의 대상이 되거나 사회적 배제 없는 지원이라는 5개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정책 방향을 기조로, 학교 밖 청소년 발굴체계 개선, 학교 밖 청소년 인식 및 차별 개선, 지원 전달체계 개선 및 재정비, 지원 대상·범위 확대, 지원 프로그램·서비스 개선 영역에서 다양한 정책과제와 각 과제에 해당하는 세부 추진과제들을 제안하였다.

      •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황세영,조성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자신의 삶을 사회와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실제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학교 밖 청소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교육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헌 검토를 바탕으로 학교 밖 청소년들 위한 교육프로그램에서 지속가능성 주제를 도입하고자 하였고, 더 나아가 학교 밖 청소년 기관 전문가 의견 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였다. 이후 프로그램 개발진을 구성하고 본격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을 진행하였고, 전체 5개의 모듈, 총 20시간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1차로 개발하였다. 이는 다시 전문가 자문에 의해 수정되었으며, 수정된 프로그램 안은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되었다. 프로그램 주제는 “내 물건으로 보는 세상”, “동네 한 바퀴”, “편의점의 가치”, “모두를 위한 DIY”, “미래를 위한 경매”이다. 이러한 적용 결과 및 만족도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최종 수정하고, 앞으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도움자료 및 교구를 함께 개발하였다. 이러한 개발 결과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을 다양한 학교 밖 청소년 기관에서 운영할 수 있는 방안 및 앞으로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제안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보고서 외 별도로 프로그램의 소개와 활동지를 담은 워크북을 발간하였다. 본 교육프로그램이 확산된다면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지속가능성의 가치에 입각하여 자신의 삶을 바라보고 미래를 계획하는데 필요한 안목과 소양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 논의에 새로운 방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program for out-of-school youth. The study attempted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in ways which help out-of-school youth explore their lives as connected to the wider society and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ility. To this end, we reviewed previous studies of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out-of-school youth and current situations in which educational programs are run. Also, theoretical discussion and educational cases of the ESD were review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we tried to introduce sustainability related themes into an educational programs for out-of-school youth and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demand through interviews with experts in this area. We then proceeded to develop an program in a community of experts, and as a result, a program consisting of five modules and twenty hours was developed as a first output. Then the program was revised through another expert consultation and then piloted to a dozens of out-of-school youth. The program themes include “The world in My Precious Things”, “Strolling in My Neighborhood”, “Values of the Convenience Store”, “Do-In_Yourself for All”, and “Auction for the Future. The participant surveys were conducted to gain ideas for finalize the program. Also, instructional tips and teaching aids were also developed for enhancing practica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made suggestions for running this program in various organizations for out-of-school youth and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for out-of-school youth in the future. Furthermore, a workbook which includes an program introduction and activity sheets was published. To conclude, it is expected that the wider use of this program could enable the out-of-youth to develop insights and literacies that are necessary to see and plan their own lives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ility, and provide a new direction in the discussion on the education for out-of-school youth.

      •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Ⅳ: 질적 패널조사를 중심으로

        김희진,서고운,김은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총 5개년도 연구로 계획된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 질적패널조사를 중심으로」의 4차년도 연구로, 학교 밖 청소년들의 학교를 그만둔 이후의 경험, 가족 및 친구와의 관계에서의 변화, 진로탐색 및 자립의 과정, 지역사회의 지원 경험들에 대한 심층적인 질적자료를 분석하여, 학교 밖 청소년들이 건강하고 성공적으로 성인기에 진입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지원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지역규모별로 지역사회 지원방안이 효과적으로 차별화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지역규모에 따른 지역사회 지원방안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자 올해 연구에서는 읍·면지역 / 소도시 지역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부합하고자 본 연구는 다양한 질적, 양적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학교 밖 청소년의 규모, 선행질적 종단연구, 학교 밖 청소년 지원의 지역격차 및 불평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였으며, 호주, 일본, 미국의 농어촌 지역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사례분석을 포함하였다. 둘째, 20대 중반의 학교 밖 청소년 기존 패널 18명을 대상(읍·면 / 중소도시 거주자)으로 면접조사를 수행하였고 이를 심층 분석하였다(대도시 거주 19명은 패널관리조사 수행). 또한 협동연구의 일환으로 학교 밖 청소년 및 질적 자료 분석 전문가들을 통해 2018년부터 축적된 학교 밖 청소년 기존 패널의 종단적 면접자료를 분석하였다. 셋째, 10대 중·후반의 학교 밖 청소년 신규 패널 37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심층 분석하였다. 그 중 6명의 생활시간조사도 분석하였다. 넷째, 읍·면 / 소도시 지역의 지역사회 지원체계 분석을 위해, 5개 읍·면 / 소도시 지역에 대한 행정 / 통계자료를 분석하고 이외 현장종사자 면접조사, 전국 읍 ․ 면 / 소도시 지역 학교밖 청소년지원센터(꿈드림) 실무자 설문조사(총 85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63개의 실무자가 조사에 참여)를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면접지 및 설문지의 타당성 검토를 위한 전문가 서면 자문, 연구 방향성 및 자료분석에 대한 자문회의,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위한 워크숍 등 다양한 전문가 자문 및 워크숍 과정을 거쳤다. 상술한 연구방법론을 통해 분석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① 온 / 오프라인을 연계한 지원방식 다변화 및 접근성 확대, ② 학교 밖 청소년 발굴 / 꿈드림 접근성 개선은 학교에서부터, ③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가족 체계에 대한 지원 강화, ④ 전문화된, 사회적 배제 없는 지원, 학업, 취업, 심리치료, 경제적 지원, ⑤ 읍·면지역, 소외지역 청소년 대상 지원서비스 강화 방안 마련, ⑥ 꿈드림의 역할과 위상을 뒷받침하는 개선방안 마련, ⑦ 학교 밖 청소년 관련 청소년, 부모, 학교, 사회적 인식 제고의 7가지 정책 방향성이 제안되었다. 각 정책 방향성은 세부 정책과제들로 구성되었으며, 개선이 필요한 법 개정안을 포함하였다.

      • 학교밖청소년 지원센터 운영모형 개발

        김희진,백혜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특성과 이들 대상의 지원 현황을 파악하고 현장실무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꿈드림) 운영 개선을 위한 정책 제언과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맞춤형 지원과 서비스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한 운영모형 개발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 밖 청소년 수와 변화 추이, 전국 시·도, 시·군·구의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분포 현황 및 주요 기능과 서비스 내용 등을 살펴 보았으며,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효과적인 맞춤형 지원에 대한 함의를 찾기 위하여 여성가족부에서 2018년 실시한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한 2차 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무엇보다 학교밖청소년 지원센터에 종사하는 팀장급 종사자(또는 2년 이상 근무)와 10명의 시·도 및 시·군·구 센터장들을 대상으로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의 운영 현황,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인식, 현 서비스 전달체계 관련 현안, 향후 개선 방안 등에 대해 설문조사와 FGI를 수행하는데 초점을 두었으며, 향후 꿈드림의 발전방향과 운영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운영 개선을 위해 학교 밖 청소년 연계·발굴 체계 강화,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청소년 수요를 반영한 데이터 수집, 현장실무자 처우 개선, 서비스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한 인력충원과 담당 사례 수 기준 마련,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성과산출 및 실적관리 방식 변경, 학교 밖 청소년들을 위한 전용공간 확대, 통합적 원스톱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계기관 구축 강화, 지역의 특성·현황을 고려한 센터 개편 및 종사자 수 조정 기준 안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향후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운영모형(안)으로, 군 단위, 읍면지역에서의 거점센터 운영 방식, 일정 규모 이상 대도시에서의 특성화 꿈드림운영 및 교차 이용 모형, 특·광역시 중심의 학교밖청소년통합지원센터 운영 모형을 제시하였다.

      •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Ⅴ: 질적 종단자료 심층분석보고서

        김희진,서고운,조혜영,민윤경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2022년에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 질적패널조사를 중심으로」연구가 마지막으로 수행됨에 따라, 협동연구에서 더욱 다양한 주제로 질적 종단자료 심층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수집된 학교 밖 청소년 질적패널 대상의 종단적 면접자료를 활용하여, 질적연구와 학교 밖 청소년에 전문성을 지닌 전문연구자들과 함께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발달 및 성인기 이행, 지원서비스와 관련한 심층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① 학교 밖 청소년이 학교를 그만둔 이유와 경험, 자퇴에 대한 인식 변화, 그리고 성인기 이행, ② 후기청소년기 학교 밖 청소년 진로발달 및 자립과정, ③ 취약한 상황의 학교 밖 청소년 경험에 관한 질적 종단 분석, ④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받은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 준비 경험에 관한 종단적 질적연구로, 총 4개 주제의 심층분석이 수행되었다. 20대 중·후반의 기존 패널과 10대 중·후반인 신규 패널의 면담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한 사례도 있었으나, 대체로 분석 내용에 맞게 기존 또는 신규 패널의 질적자료를 따로 분석하였다. 각 연구자는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으며, 본 보고서의 마지막 장에 이러한 내용들을 통합하여 학교를 그만두기 전 단계와 이후로 구분하여 정책과제들을 제시하였다. ‘학교를 그만두기 전 단계 지원’에서는 학교를 그만두기 전의 일련의 과정에 대한 더욱 체계적인 관리, 취약한 상황에 놓인 청소년을 위한 학교 내 전문가의 적극적인 개입, 정규교육 과정에서의 진로교육 강화를, ‘학교를 그만둔 이후의 지원’으로는 학교 밖 청소년 지원체계 강화, 취약한 환경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 강화, 대입지원 강화,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부정적 인식개선으로 요약, 정리하였다. As “A Study on Community-based Support for Out-of-school Youths: With a Focus on Qualitative Panel Data” was conducted last in 2022, we attempted an in-depth analysis of qualitative longitudinal data in more diverse topics for cooperative research. To this end, we used the longitudinal interview data on the qualitative panel of out-of-school youth collected from 2018 to 2022 and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with specialized researchers with expertise in qualitative research and out-of-school youth, focusing on their career development, transition to adulthood, and social services. Specifically, the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in total 4 topics: ① reasons why out-of-school youth dropped out of school and their experiences,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quitting school and transition to adulthood, ② the process of career development and independence of out-of-school youth in adolescence, ③ longitudinal qualitative analysis on the experiences of out-of-school youth in vulnerable situations, and ④ longitudinal qualitative research on career preparation experience of out-of-school youth who received social services. There were cases in which the interview result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between the previous panel of youth in their mid- to late 20s and a new panel of youth in their mid- to late teens, but generally qualitative data of the previous panel or the new panel that meets the contents of analysis was separately analyzed. Each researcher that participated in the in-depth analysis suggested various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these contents were integrated in the last chapter of this study, providing policy tasks for before and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Support before dropping out of school’ included more systematic management for the process before quitting school, active intervention of in-school experts for youth in vulnerable situations, and enhancement of career education in formal education. ‘Support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included reinforcement of the out-of-school youth support system, greater support for out-of-school youth in a vulnerable environment, greater support for college admission, and reform of the negative perception on out-of-school youth.

      • 학교밖 청소년의 욕구와 사회적 지원방안

        남미애 大田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06 社會科學論文集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발달적, 조력적 관점에서 학교밖청소년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학교밖청소년에 대한 관점 및 지원당위성, 학교밖청소년의 현황 , 생활실태 및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학교 밖청소년을 위한 지원방안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결과 발견한 내용은 다음과같다. 첫째, 청소년들이 학교를 그만두는 이유는 자발적인 선택에서부터 학교의권고에 의한 것까지 매우 다양하다. 둘째, 학교밖청소년들은 학교를 그만 둔 이후 건강하게 잘 적응하여 의미 있는 시간을 찾는 청소년도 있지만 일부 청소년의 경우 상당한 적응상에 어려움을 느끼며 다양한 심리사회적 문제를 경험하게된다 셋째, 학교를 그만 둔 이후 비행과 연결되는 경향이 높다는 것이다. 넷째,학교밖청소년의 가족도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섯째, 학교밖청소년은 향후 생활에 대해 다양한 욕구를 가지고 있는데 반해 환경으로부터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내용을 토대로 사회적 지원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제도적 차원에서는 학교밖청소년 지원을 위한 관련법과 조직정비, 학교밖 청소년을 위한 대책기구 설치, 청소년 종합정보센터의 설치, 교육복지의 강화 및 학교사회복지사 배치, 교육, 노동, 복지의 통합적 적용, 위험에 처한 학교밖청소년을위한 보호체계 구축, 학교밖청소년에 대한 기초조사 및 연구가 강화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실천적 접근으로는 학교밖 청소년임파워먼트 강화, 사법처리과정에 있는 청소년에 대한 개입, 다기관간 협력체계 구축 및 프로그램개발, 학교밖청소년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 및 프로그램의 강화, 저소득계층 청소년을 위한지원강화, 학교밖청소년 부모에 대한 지원 등이 실시되어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