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들이 경험하는 행복의 맥락과 패턴

        권지성,정선욱,정해식,김성아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20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text and pattern of happiness experienced by Koreans.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er conducted focus-group interviews of peer-age group born in 1945, 1958, 1971, 1984, and 1997.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group interviews and analyzed by applying context-pattern analysis, one of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The summary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The context of happiness is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elements, meanings, perspectives, conditions, and relationships of happiness are intertwined around the complex structure of happiness. The pattern of happines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time dimension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nd it was found that past experiences and future prospects are interpreted differently according to age groups. Based on these findings, researcher proposed policies, practices, and follow-up themes to consider to improve the happiness of Korean.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들이 경험하는 행복의 맥락과 패턴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1945년(75세), 1958년(62세), 1971년(49세), 1984년(36세), 1997년(23세)에 출생한 남녀들로 구성된 10개의 집단을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연구접근 중 하나인 맥락-패턴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각 초점집단에 대한 분석과 남녀 집단들을 묶는 통합분석, 전체 연구참여자들을 통합하는 범주화 분석, 그리고 이러한 분석과정의 최종 결과물로 제시된 맥락-패턴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맥락-패턴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행복의 ‘맥락’은 행복이라는 복합구성체를 중심으로 행복의 요소, 의미, 관점, 조건, 관계들이 서로 얽혀 있는 연결구조이다. 행복의 ‘패턴’은 과거와 현재, 미래라는 시간의 차원에 따라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한국인들의 행복을 이해하고 그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려할만한 정책과 실천 지침, 후속연구 주제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아동의 자기주도성과 공동체의식 향상을 위한 마을공동체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연구

        권지성,이해경,조향옥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0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자기주도성과 공동체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계하고 수행한 마을공동체 프로그램을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참여아동들로부터 척도와 질문지, 면접 등을 통해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혼합한 평가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과정평가와 양적 성과평가, 변화에 대한 질적 평가 등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 평가한 마을공동체 프로그램이 참여아동들에게 미친 중요한 영향은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 행동 변화, 주도성의 강화, 나누려는 마음의 확장, 어르신 공경 등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아동들의 자기주도성과 공동체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을공동체 프로그램 등을 기획하고 수행하려 할 때 고려해야 할 지침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국내입양실무자들이 경험한 입양실무의 맥락과 패턴

        권지성,정정호,김진숙 한국아동복지학회 2018 한국아동복지학 Vol.- No.64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ontext and patterns of adoption practices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who are playing an intermediary role among adoptive parties, including adopted children, their birth parents and their adoptive parents. For this purpose, data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with eight social workers in charge of adoption practice were analyzed using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the context-patter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ntext of adoption practice was largely divided into five sub-contexts, which were then viewed in a connected pattern. The five sub-contexts included the following: (1) amendment of the law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Adoption); (2) the macro environment surrounding the adoption; 3) the changes in the adoption parties; (4) the changes in the adoption practice; and (5) the orientation of adoption agencies and practice. Based on the findings,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the expertise accumulated by adoption agencies and social work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basic principles of the law,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Adoption, which was revised in 2011, but the government and political parties should discuss and agree on the strategies that can resolve the side effects. Third, future adoption practices should focus on followup services to improve the welfare of adopt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이 연구의 목적은 입양아동과 그들의 친생부모, 그리고 입양부모를 포함한 입양가족들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하면서 이들의 삶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국내입양 실무자들이 경험한 입양실무의 맥락과 패턴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입양실무자 8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맥락-패턴 분석방법의 절차와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입양실무의 맥락은 크게 다섯 가지 하위맥락으로 나뉘었고, 그것을 다시 서로 연결된 패턴으로 조망하였다. 다섯 가지의 맥락은 첫째, 입양특례법의 개정, 둘째는 입양현장을 둘러싼 거시 환경, 셋째는 입양 당사자들의 변화, 넷째는 입양실무의 변화, 다섯째는 입양기관과 실무의 방향성이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입양실무와 입양당사자들의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과 실천 지침들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동안 입양기관과 입양실무자들이 쌓아온 전문성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2012년에 개정된 입양특례법의 기조는 유지하되, 그동안 발생한 부작용들을 해결할 수 있는 전략들에 대한 정부와 정치권의 논의와 합의, 즉각적인 실행이 필요하다. 셋째, 향후 입양실무는 입양아동과 가족의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후서비스에 초점을 두고 발전시켜 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가족이 학업중단 청소년의 자립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맥락-패턴 분석

        권지성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3 한국가족복지학 Vol.7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mily on the self-reliance process of adolescents who dropped out of school.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from young people who had dropped out of school during adolescence and were in the process of becoming self-reliant, and analyzed it by applying the context-pattern analysis method,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In the case-by-case analysis, the process by which each research participant reached the drop-out of school, the process of going to self-reliance after that, and the experience of each process wer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influence of the family was analyzed and described in detail at each stage. In addition, in the integrated context-pattern analysis, the experiences of 9 cases were integrated to analyze the points and influences of the family in the process of adolescents dropping out of school and becoming self-reliant in terms of patterns and contexts, and structured into a single picture. Based on these results, policies and practice guidelines to help familie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adolescents’ school suspension and self-reliance process were suggested. 이 연구의 목적은 가족이 학업중단 청소년의 자립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에 학업을 중단하고 자립과정 중에 있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고, 질적 연구접근 중 하나인 맥락-패턴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사례별 분석에서는 각 연구 참여자들이 학업중단에 이르게 된 과정과 학업중단 이후 자립으로 가는 과정, 그리고 각 과정에 대한 경험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단계별로 가족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기술하였다. 또한 통합 맥락-패턴 분석에서는 9사례의 경험을 통합하여 청소년들이 학업을 중단하고 자립하는 과정에서 가족이 영향을 미치는 지점들과 그 영향을 패턴과 맥락이라는 차원에서 분석하고 하나의 그림으로 구조화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학업중단과 자립과정에서 가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정책과 실천의 지침들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자활사업 실무자들이 경험한 자활사업의 맥락과 패턴: 지역자활센터 실무자들과 관련 공무원들을 중심으로

        권지성,조준용,정선욱,장연진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text and pattern of Korea’s self-sufficiency program based on the experiences of self-sufficiency program practitioner.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d the context-pattern analysis method, which was known a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to provide proper and effective evaluations of self-sufficiency program. The analysis shows that the context of the self-sufficiency program consists of such sub-contextual components as ‘market economy’, ‘social service system’, ‘self-sufficiency system’, ‘self-sufficiency program’,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 ‘procedural experiences of the program’, ‘outcomes of self-sufficiency program’, and ‘meaning of the self-sufficiency program’. Furthermore, such patterns as ‘decreased vitality of self-sufficiency system’, ‘service flow’, ‘journey to the self-sufficiency’, and ‘sequences to small success’, were also present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and subsequent related research topics. 이 연구의 목적은 자활사업 실무자들의 관점에서 자활사업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접근 중 하나인 맥락-패턴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연구진이 수집한 면접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활사업의 맥락은 ‘시장경제’, ‘사회서비스 체계’, ‘자활제도’, ‘자활사업’, ‘자활 대상자들’, ‘자활사업 과정경험’ ‘자활사업의 성과’, ‘자활의 의미’ 라는 하위맥락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자활사업의 패턴의 경우 ‘자활제도의 활력 저하’, ‘서비스 흐름’, ‘자활로 가는 여정’, ‘작은 성공들로 이어지는 시퀀스’ 등 자활사업에서 형성되는 다양한 수준에서의 패턴들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자활제도와 자활사업, 자활실무를 발전시키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정책적, 실천적 함의,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희망플러스 통장 참여로 인한 일상생활 변화경험 : 차상위계층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권지성,한가영,이화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1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8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자산형성지원 프로그램인 희망플러스통장 사업이 차상위계층의 일상생활에 가져온 변화와 그에 대한 경험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희망플러스통장 시범사업의 차상위계층 참여자 100명 중 30명을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차상위계층의 일상생활은 생활패턴, 의식주, 일, 돈, 건강, 교육, 가족, 관계망의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희망플러스통장 사업은 이러한 일상생활 영역들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연구자들은 차상위계층의 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지침들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experience of changes in the daily living of the low-income working class who participated in an asset-building supporting program. To achieve this purpose, 30 individuals of 100 program participants were selected. Researchers conducted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collected and analysed data through a qualitative approach. As a result, the daily living of low-income working class was categorized into such areas as daily life pattern, feed-lodge-clothe, work, money, health, education, family, and network. Also, Hope Plus Savings Program has influencing different daily living areas.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ers suggested the policy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influencing positively the life areas of low-income working class.

      • KCI등재후보

        마을기업 운영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대전광역시 마을기업들을 중심으로-

        권지성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5 미래사회복지연구 Vol.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마을기업 대표자들의 마을기업 운영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대전지역에서 마을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대표자들 22명을 대상으로 한 개별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연구접근으로분석하였다. 심층면접은 2013년 11월초부터 2014년 1월말까지 진행되었으며, 연구자와 3명의 훈련된 조사원들이 마을기업 대표자들을 개별적으로 만나 각각 1-3시간에걸쳐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들을 가지고 귀납적으로 범주화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분석 결과 3개의 범주와 11개의 하위범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범주는 세워가기, 유지하기, 자리잡기였으며, 하위범주는 맨 땅에 헤딩하기, 안에서 삐걱거림, 마을에서 길을 잃다, 이상과 현실의 괴리, 느슨한 네트워크, 인사가 만사, 돈돈돈, 정체성과 방향성, 내부 결속전략, 외부 생존전략, 마을에 뿌리내리기 등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마을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과 실천의 지침들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