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과위생사의 업무범위 및 분장에 관한 연구

        김영숙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increase in oral diseases has brought abou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dental care institutions, and the increase in the supply of dental hygienists as well as dentists. The open job positions for oral health assistant personnel despite the increase in the supply of dental hygienists are followed by cultivation of dental nursing assistants. However, increase in quantity of oral health assistant personnel in the state where specialty is not secured and duty allocation among personnel is not clearly fulfilled can not only shorten the life span of the profession but also make negative side effects that decrease the quality of dental care services. Also, thinking that dental hygienists’ role needs impro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temporal changes by which preventive medicine gets more importance, I have attained the following results by carrying out research on 260 dental hygienists working for dentist clinics over the nation from September 5th to October 5th in 2007. 1. From the result that in addition to their legally permitted duties, the dental hygienists performed topical anesthesia (51.9%), wire installment and removal (34.2%), elimination of corrective brackets (20.4%), individual tray making (15.8%), intramuscular injection (14.6%), infiltration anesthesia (12.3%), and deciduous tooth extraction (5.0%) etc.,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 dental hygienists a much wider range of duties than legally permitted ones. 2. Along with dental hygienists, it has been identified that other personnel who performed duties like observation and preliminary examination of oral health states, assistance to dental care, oral health education, preventive dental treatment, hospital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a nurse`s aide , dental technicians, nurses, laymen without license and with below-high school education, non-dentistry majoring administrative personnel, and dental clinic coordinators. 3. With respect to job allocation among dental hygienists and other personnel, 38.5% of the entire responders reported that job allocation among dental hygienists and other personnel was not fulfilled. The reasons of this include lack of dentist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job allocation (16.9%), insufficient dental hygiene personnel (13.5%), uncertainty of the status of the dental hygienist system (5.8%), and lack of recognition of dental hygienists’ specialty. 4.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the ranking of the importance of the duties carried out by dental hygienists, the rank was in the order of oral health education (34.6%), preventive dental care (28.8%), observation and preliminary examination of oral health states(19.6%), assistance to dental care (11.2%), and hospital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5.8%). However, in reality, the weight of dental hygienists’duties was put on assistance to dental care (58.8%), observation and preliminary examination of oral health states (12.7%), oral health education (12.3%), hospital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5.8%), and preventive dental care (only 5.8%). From these results, we can find out that dental hygienists performed a wider range of duties than legally permitted ones at dentist clinics, that the weight of their duties was put more on simple assistance to dental care than on prevention and education, and that dental hygienists’ duties that require some level of specialty were performed without distinction from other personnel’s duties. Thus, I believe that it will be a plan for promoting the quality of the dental medicine and efficiently utilizing oral health experts to efficiently allocate dental hygienists’ roles with respect to other personnel’s by arranging the range of dental hygienists’ duties and recognizing the specialty of their duties. In addition, I conclude that dental hygienists’ roles need changes concentrated on prevention and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medical environment that puts importance on the preventive medicine. 구강질환의 증가에 의해 치과 의료기관의 수는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치과의사 뿐 만 아니라 치과위생사의 수급 또한 증가되고 있다. 치과위생사의 수요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구강보건협력자(구강보건보조인력)의 빈자리는 치과전문 간호조무사의 양성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전문성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고, 인력간의 업무 분장이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구강보건협력자의 양적 증가는 직업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치과의료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예방의학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대적 변화에 맞게 치과위생사의 역할에도 개선방안이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되어 2007년 9월 5일부터 2007년 10월 5일까지 전국의 치과 의료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260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과위생사는 현재 법적 허용업무 외에도 도포마취(51.9%), 와이어 결찰 및 철거(34.2%), 교정용 브라켓 제거(20.4%), 개인 트레이 제작(15.8%), 근육주사(14.6%), 침윤마취(12.3%), 유치발치(5.0%)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법적 허용범위보다 광범위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치과위생사 이외에 구강위생 상태 관찰 및 예진, 치과 치료 시 협조, 구강보건교육, 예방치과처치, 병원행정 및 관리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타인력의 직종으로는 간호조무사, 치과기공사, 간호사, 고졸 이하의 무자격자, 치과비전공 행정직, 치과 코디네이터 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치과위생사와 기타인력간의 업무분장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38.5%), 그 원인은 업무분장의 중요성에 대한 치과의사의 인식부족(16.9%), 치과위생사의 인력부족 (13.5%), 치과위생사 제도의 입지 불확실성(5.8%), 치과위생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결여(2.3%)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치과위생사가 수행하는 업무별 중요도는 구강보건교육의 업무(34.6%), 예방치과처치의 업무(28.8%), 구강위생 상태 관찰 및 예진의 업무(19.6%)가 중요하다고 보았으나 현실에서 치과위생사의 업무는 치과 치료 시 협조(58.8%)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치과위생사는 치과진료기관에서 법적 허용 범위보다 광범위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고, 예방과 교육의 업무보다는 단순한 치과치료 협조의 업무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으며 또한, 전문성을 요하는 치과위생사의 업무가 기타 다른 인력의 업무와 명확한 구분 없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치과위생사의 업무범위를 현실에 맞게 확충하고 업무의 전문성을 인정하여 기타 다른 인력과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분담하는 것이 치과 의료의 질을 높이고 효과적으로 구강보건전문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치과위생사의 역할 또한 예방과 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져 예방의학이 중요시 되는 의료 환경에 맞게 치과위생사의 역할에도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경기도 초등학생 치과주치의사업을 수행하는 치과위생사의 업무 및 인식에 따른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홍정인 아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치과주치의사업은 2019년 경기도에서 도내 31개 시·군 전역에서 실시하였으며 영구치 배열이 완성되는 시기인 초등학교 4학년생을 대상으로 지역 내 치과의료 기관과 연계하여 아동 구강건강을 위한 예방 중심의 구강건강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보건사업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초등학생 치과주치의사업 참여 치과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치과주치의사업 수행에 따른 업무와 인식에 따른 발전방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10월 16일부터 11월 4일까지 20일간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5개 영역 총 16문항으로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치과주치의사업 업무 중 직접 수행하고 있는 업무, 사업 수행으로 인한 업무량 변화와 인식 및 발전방향으로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총 100명이 설문에 응하였고, 통계분석을 위해 IBM SPSS 25를 활용하였고, 유의수준 .05를 기준으로 통계적 유의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직접 수행하고 있는 업무, 치과주치의사업 수행으로 인한 업무량 변화, 힘든점, 좋은점, 치과주치의사업이 학생 구강건강 및 치과위생사 발전의 도움 정도, 치과주치의사업 발전을 위한 항목별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치과주치의사업의 학생 구강건강 및 치과위생사 발전의 도움 정도와 치과주치의사업 발전을 위한 항목별 중요도는 점수화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치과위생사 경력에 따른 직접 수행하고 있는 업무, 치과주치의사업 수행으로 인한 변화, 치과주치의사업의 도움 정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χ2 test)을 실시하였다. 치과위생사 경력에 따른 치과주치의사업 발전을 위한 항목별 중요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에 대해서는 Scheffé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치과위생사는 치과주치의사업에 따른 업무를 비중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사업에 필요한 모든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경력이 높을수록 진료실 업무보다 예약 및 접수, 전산시스템 입력 및 건강보험 청구의 업무 수행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주치의사업으로 인한 업무량은 증가되었고, 사업 참여로 좋은 점은 치과위생사로써의 자긍심과 아동 구강건강증진 순이었다. 치과주치의사업이 학생들 구강건강관리 향상에 도움에 대한 인식과 사업 지속 시 치과위생사 발전에 도움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인 결과로 조사되었고,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마지막으로 치과주치의사업 발전을 위한 항목별 중요도에서는 대상 확대 및 서비스 횟수 추가와 수행기관지원, 홍보 및 안내, 전산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앞으로 지속적으로 치과주치의사업이 시행되어 아동 구강건강제도로 정착되어야 할 것이며 그에 따른 추가적인 조사와 연구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임상치과위생사의 바이러스 감염병에 대한 업무 스트레스 및 불안과 이직의도와의 관련성

        이슬아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재 인류는 전염병 대응의 최고 수준인 팬데믹을 겪고 있다. 특히 신종감염병 유행 시기에는 바이러스 전파가 쉬운 환경인 치과 의료 종사자에게 감염,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건강 문제에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종감염병으로 인한 팬데믹 상황 속에서 치과 병·의원에 종사하는 임상치과위생사들이 인지하는 불안과 스트레스, 소진, 이직의도 수준을 파악하고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수도권 및 충청지역의 치과 병·의원에 종사하는 임상치과위생사 2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온라인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IBM SPSS Statistics 23.0 for window, SPSS Inc, Chicago,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바이러스 감염병에 대한 업무 스트레스 및 불안과 소진(r=0.303), 직무스트레스(r=0.284), 이직의도(r=0.189)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p<0.01), 소진의 하위 요인별로는 감정적 피로(r=0.292), 신체적 탈진(r=0.304)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2. 임상치과위생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바이러스 감염병에 대한 스트레스 및 불안과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와 일반적 특성에서 최종학력을 회귀 모델에 투입한 결과 바이러스 감염병에 대한 스트레스 및 불안(β=0.138), 직무스트레스(β=0.477), 이직의도(β=0.180) 최종학력(β=-0.135)은 소진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3. 임상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바이러스 감염병에 대한 스트레스 및 불안과 소진의 감정적 피로, 정신적 탈진을 회귀 모델에 투입한 결과 바이러스 감염병에 대한 스트레스 및 불안(β=0.115), 소진 감정적 피로(β=0.493), 소진 정신적 탈진(β=0.212)이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4. 임상치과위생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바이러스 감염병에 대한 스트레스 및 불안을 회귀 모델에 투입하였을 때(β=0.189)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이러스 감염병에 대한 스트레스 및 불안과 소진의 감정적 피로, 직무스트레스를 회귀 모델에 투입한 결과 소진 감정적 피로(β=0.253), 직무스트레스(β=0.467)가 이직의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임상치과위생사들의 바이러스 감염병에 대한 스트레스 및 불안은 소진,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에 따른 소진과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종감염병 유행 시기에 임상치과위생사의 이직률 감소를 위하여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불안 완화 및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이고 안전한 업무 환경을 마련하고 신속한 업무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치과위생사의 이직에 관한 연구 : 서울 및 경기도를 중심으로

        임해경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사람들이 조직에 들어오게 되면 한 조직 내에서 무한정 머물러 있을 수는 없기 때문에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언젠가는 조직을 떠나게 된다. 국민경제수준의 향상과 의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건강에 대한 다양한 욕구는 더욱 증가하며 국민들은 보다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한다. 이런 시점에 늘어나는 종합병원과 치과병·의원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많은 치과위생사들의 이직이 우려된다. 이에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가 현재의 근무지에서 느끼는 만족도와 이직의도를 조사함으로써 이직의 원인을 파악하고, 직업적인 잦은 이직을 예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수립하는데 일조 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울시 소재 치과의료기관에 재직중인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회수방법은 반송우편을 이용하여 231명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인 치과위생사의 61.0%가 이직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연령은 25-30세에 두 번의 이직경험이 가장 많았고(p<0.05), 결혼여부와 관련하여 미혼에게서 두 번의 이직경험이, 기혼에게서 세 번의 이직경험이 가장 많이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5) 근무기관별로는 치과의원에 재직중인 치과위생사의 이직율이 가장 높았다. 2. 이직의 가장 큰 이유는 '근무조건'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보다 큰 기관으로의 이동'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현재의 근무지에서 이직을 희망하는 응답자중 가장 많은 이유는 '가사'때문이었고, 그 다음이 '급여수준'으로 나타나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p<0.001) 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가장 옮기고 싶은 치과 의료기관으로 25-30세의 연령에서(p<0.01), 근무경력 4-7년에서 (p<0.05), 월 급여에서는 101-130만원 이하의 소득 층에서 (p<0.001), 근무기관에서는 치과의원에서 (p<0.001) '보건소'를 가장 많이 선택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취업 희망 기간으로는 '경제적으로 안정될 때까지'를 선택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가정 경제의 책임정도에 따라서는 25-30세에서(p<0.01), 기혼에서(p<0.001), 4-7년의 근무경력에서(p<0.001) '일부 책임'을 진다고 답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과위생사들은 재취업에 대해 50.0%가 '조건을 낮추면 가능하다'고 답하였다. 5. 이직요인별 분석 결과는 조직전체 요인의 승진 가능성과 만족도에는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치과의원에 비해서 종합병원의 승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작업환경 요인의 관리자 요인에서는 상사 또는 동료와의 관계, 소속 집단과의 의사소통에도 대체로 만족하였다. 직무내용 요인의 역할 명료성 요인 중 자신의 업무 능력에 대해 만족스럽게 평가하고 있었다. 치과위생사라는 직업에 대해서는 만족하지만 근무지를 포함한 업무에 대해서는 비교적 만족하였다. 6. 치과위생사들은 현재의 근무지에서 강한 이직의도를 나타냈으며 새로운 직장을 찾는 여건에 대해서는 낮게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보면 치과위생사는 자신의 능력과 업무에 대한 강한 자부심에 비하여 낮은 사회적 대우와 이미지, 능력발휘에 부적절한 업무의 부과로 인하여 대체로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잦은 이직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혼 여성의 사회 진출이 더욱 증가함에 따라 후생과 관련한 복지제도의 도입과 개인 치과의원의 상여금이나 퇴직금 제도 등의 처우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오랜 기간 숙련된 고급 전문인력의 확보를 위해 개인을 포함한 사회, 조직 그리고 국가가 함께 이루어야 할 시급한 과제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치과위생사는 구강보건을 책임지는 전문인의 한사람으로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능력과 기술을 최대한 발휘하고 주어진 환경에 도전하여 이를 극복하는 가운데 성취감을 충족시켜 직장에서 얻을 수 있는 만족도의 제고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As there was rise in the standard of living and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 nation needs the various desires to keep his health and to get better quality medical services. At this point, numbers of dental hygienist to leave their jobs are getting more and more, due to the large-scale general hospitals and outsized dental clinics. This study is done to get the basic prevent the resignation. The method of this study is based on a questionnaire of survey that is distributed to the incumbent dental hygienist at the dental medical institution in Seoul. 231 copies of answered questionnaire sheets were collected by return mail. There results from the survey are as follows 1. This study revealed that 61 percents of the research subjects has experienced resignation from their jobs. The hygienist at the age of twenty-five years to thirty which have experienced two-times resignation (p<0.05), took the majority in the study. As to marital status, the findings that single subjects have experienced two times, while married subjects three times, were very significant. (p<0.005) The hygienists' unemployment rates which worked for the dental clinics are much higher than any other else. 2. The main reason for resignation was revealed as 'the working condition'.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by looking into the second reason for moving to a larger clinic. 3. The reason for resignation resulted in research subjects' general features. It also said that most features of resignation indicated range from the age of 25 to 30, from 4 to 7 years job careers, form 101 to 130 million won of monthly salary. And also they mostly chose reason for job transfer to public health center from dental clinic in the service agency (p<0.001). 4. There was ver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as they marked desirable searching period as 'the time economically stabilized' desirable searching period for new job.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s research subjects at the age of 25-30 (p<0.01), married (p<0.001), and with 4∼7 year career (p<0.001), felt a family responsibility. 5. As a result of analysis of promotion analysis, possibility for promotion in general hospital was higher than in dental clinic. (p<0.05) 6. The dental hygienists showed that intent for resignation from their current working institution and evaluated lower as to the circumstances looking for a new job.

      • 의료환경 변화에 따른 치과위생사 역할모형 개발

        배성숙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Korean dental service has been recently much changed in keeping with the trend of networking, group practice and enlarging in size. With these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dental service, dental hygienists are suggested to change their roles to cope with the changes. As a part to cope with such changes, Korea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KDHA) has prepared the system of Specialized Dental Hygienist and put the system into enforcement through an affiliated organization, Korean Academy of Dental Hygiene. In the US, the Registered Dental Hygienist Extended Function (RDHEF) system had been enforced in the 1970s in connection with the extended service of dental hygienist and the Advanced Dental Hygiene Practitioner (ADHP) has been recently prepared in a way to cope with the environmental changes.For this study, a survey of dental specialists, such as dentists, dental hygienists and nurses, and patients, has been conducted qualitatively through person-to-person depth interview. Details of the interview were divided into the perception about domestic and abroad environmental changes of dental service, required changes in the role of dental hygienist,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role model and a new role model for dental hygienist, and the roles for dental hygienist were drawn from the result as follows:First, dental hygienist is suggested to act as a guide for oral health that provides patients and the community with preventive and educational service for the improvement of oral health. Second, dental hygienist is requested to act as a prevention officer for dental health that provides patients and the community with a wide range of benefits of dental hygiene. Third, dental hygienist working at clinical departments should act as a clinician to provide professional practices of dental hygiene. Fourth, dental hygienist engaged in the practice of dental hygiene should act as an educator and a researcher. Fifth, dental hygienist engaged in the practice of dental hygiene should act for a manager and an administrator that improves service quality and displays ability in clinical affairs.These roles will lead dental hygienists to lay the foundation that allow them to make enthusiastic activities as an oral hygienist and clinician as well as show the way how to act as an educator, a researcher, a manager and an administrator. 우리나라 치과의료는 네트워크화, 공동개원화, 대형화의 추세와 전문화 세분화로 인하여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치과의료 환경의 변화는 치과위생사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게 되었다. ‘대한치과위생사협회’에서는 협회 산하단체의 하나인 ‘대한치과위생학회’를 통하여 치과의료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하여 ‘전문치과위생사’제도를 실시하고 시스템을 갖추어 나아가고 있다. 미국에서는 1970년대 이후 치과위생사 업무 확대와 관련된 ‘Registered Dental Hygienist Extended Function(RDHEF)’제도를 시행한 바 있으며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제도인 ‘Advanced Dental Hygiene Practitioner(ADHP)’ 등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본 연구를 위한 조사방법은 치과위생사 업무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정성조사 방법인 심층면접(depth interview)을 실시하였으며 조사그룹은 치과의사그룹과 치과위생사그룹, 간호사그룹, 환자그룹에 대하여 각각 1 : 1 depth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면접 내용은 급격한 국내외 치과 의료환경의 변화에 대한 인식과 치과위생사 역할 변화의 요구, 새로운 역할 모형 개발을 위한 과제 그리고 치과위생사의 새로운 역할 모형 개발로 구분하여 내용 정리하였으며 위의 면접 내용을 바탕으로 치과위생사의 역할을 도출하였다.첫째, 모든 치과위생사는 환자 및 지역사회 대상자들에게 구강건강 증진에 대한 예방적이고 교육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강보건지도자로서 역할을 하여야 하며 둘째, 모든 치과위생사는 환자 및 지역사회 대상자들에게 구강보건 혜택을 줄 수 있는 광범위한 구강보건 예방처치자로서의 역할을 하여야 한다. 셋째, 임상 파트의 모든 치과위생사는 전문가적인 치과위생 실무 제공을 위한 임상가(Clinician)로서의 역할을 하여야 하며 넷째, 모든 치과위생사는 교육자(Educator) ·연구가(Researcher)로서의 역할을 하여야 한다. 다섯째, 치과위생 실무를 제공하는 모든 치과위생사는 업무의 질을 향상시키고, 임상적 지도력을 발휘하는 관리자·행정가(Manager)로서의 역할을 하여야 한다.이상의 역할은 치과위생사가 구강보건지도를 중심으로 구강보건처치자로서 전문가적인 치위생실무 제공자(임상가)로서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 더불어 교육자·연구가로서, 관리자·행정가로서 진보적인 치과위생실무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 치과위생사의 경증 장애인 환자 진료 고려사항에 대한 지식 측정 도구 개발

        김예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경증 장애인 환자 진료 고려사항에 대한 지식 측정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DeVllis R.F.의 도구 개발 지침(DeVellis, 2017)에 근거하여 경증 장애인 환자 치과 진료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사전 도구 개발 후,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거쳐 지식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8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37개의 예비 문항을 두 차례 내용 타당도 검증 후, 15명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시행함으로써 31문항을 선정하였다. 임상에 근무 중인 치과위생사 210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203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경증 장애인 환자 진료에 대한 치과위생사의 지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적재량이 낮은 5문항이 삭제되어 26 문항이 9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신뢰도 검증 결과, 내적 일관성 신뢰도인 Cronbach’alpha는 0.799로 나타났고, 반복 측정 신뢰도인 상관계수(r)은 0.640, 급내 상관계수(ICC)는 0.781로 나타났으며, 신뢰도가 낮은 4개 요인, 10문항은 삭제하였다. 치과위생사의 경증 장애인 환자 진료 고려사항에 대한 지식 측정 도구는 5개 요인과 16문항이며 의사소통 2문항, 상호작용 5문항, 환자 안전 4문항, 보행 보조 2문항, 환자 안내 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도구를 통해 치과위생사의 지식을 측정한 결과, 상호작용 5번 문항이 91.6%로 가장 높았으나 같은 요인인 상호작용 3번 문항은 7.9%로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경증 장애인 환자 진료 고려사항에 대한 치과위생사의 지식을 측정할 수 있으며 추후 경증 장애인 환자 치과 진료 관련 연구의 이론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nowledge measurement tool for dental hygienist's considerations for patients with mild disabilities. Methods: Based on the tool development guidelines of DeVllis R.F (DeVellis, 2017), this is a methodological study that develops preliminary tool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dental care for patients with mild disabilities, and then develops a knowledge measurement tool after validation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After verifying the content validity of the 37 preliminary questions verified twice with 8 experts,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15 dental hygienists to select 31 questions. This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210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clinical practice,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based on the responses of 203 people, and the knowledge level of dental hygienists about treating patients with mild disabilities was confirmed. Result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validation, 5 items with low loading were deleted, and 26 items were classified into 9 factors. As a result of the reliability verification, the Cronbach' alpha, which is the reliability of internal consistency, was 0.799, the correlation coefficient(r), which is the repeated measurement reliability, was 0.640, and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ICC) was 0.781, and 4 factors with low reliability, 10 items has been deleted. The dental hygienist's knowledge measurement tool on considerations for patients with mild disabilities was 5 factors and 16 questions, consisting of 2 questions for communication, 5 questions for interaction , 4 questions for patient care, 2 questions for transportation, and 3 questions for patient introduction.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knowledge of the dental hygienist through the developed tool, the patient safety question 5 was the highest at 91.6%, but the patient safety question 3, which was the same factor, showed the lowest correct answer rate at 7.9%.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the knowledge of dental hygienists on dental care considerations for patients with mild disabilities can be measured, and it can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future dental care-related studies for patients with mild disabilities. Keyword: mildly disabled, special needs, dental hygienists, dental considerations, assessment tools

      • 치과위생사의 변혁적 리더십 경험이 공감능력, 의사소통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희라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grasp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at dental hygienists received from supervisor on the empathy and communication efficacy of dental hygienist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st to June 10th, 2020,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disseminated to 154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ental clinic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With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higher the level of experi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dental hygienists, the higher the empathy(p<0.001) and communication efficacy(p<0.001). The experi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dental hygienis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mpathy(r=0.481, p<0.001) and communication efficacy(r=0.289, p<0.001). Among the sub-factors of the experi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factors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the empathy of dental hygienists were intellectual stimulation(β=0.22, p<0.05) and individualized consideration(β=0.19, p<0.05). Among the sub-factors of the experi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tellectual stimulation(β=0.27, p<0.05)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the communication efficacy of dental hygienists. To increase the empathy and communication efficacy of dental hygienists, increasing the experi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rom the supervisor is necessary. Moreover, to increase the empathy and communication efficacy of dental hygienists, develop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 to enhance the transformative leadership skills of the supervisor, and active efforts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re necessary. Through presenting the abovementioned results, this thesis intended to help to improve the dental organization and to develope the competence of its staff. Besides, this thesis also intended to provide base data that may assist dental hygienists to acquire leadership competencies suitable for the contemporary era.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상사로부터 경험한 변혁적 리더십이 공감능력과 의사소통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부산, 경남지역의 치과 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15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20년 5월 1일부터 6월 1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과위생사의 변혁적 리더십 경험에 대한 수준이 높을수록 공감능력(p<0.001)과 의사소통 효능감(p<0.001)이 높게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변혁적 리더십 경험은 공감 능력(r=0.481, p<0.001)과 의사소통 효능감(r=0.289, p<0.001)과 관련성이 있었다. 변혁적 리더십 경험의 하위요인 중 치과위생사의 공감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적 자극(β=0.22, p<0.05), 개별적 배려(β=0.19, p<0.05)로 나타났다. 변혁적 리더십 경험의 하위요인 중 치과위생사의 의사소통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적 자극(β=0.27, p<0.05)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사로부터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경험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치과위생사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 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육의 개발과 실행, 조직 구성원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치과 구성원들의 업무에 대한 역량을 발전시키고 치과 조직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그리고 치과위생사들이 시대에 맞는 리더십 역량을 갖추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치과위생사의 의료서비스 질이 치과의원 내원환자의 만족도·재이용·권유 의사에 미치는 영향

        홍현실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치과위생사라는 인적인 요인을 중심에 두고 치과 의료서비스 질이 환자만족도, 재이용, 권유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서 치과 의료기관에서 환자만족도증진을 위한 치과위생사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한다. 서울, 경기지역에 위치한 치과의원7곳을 내원한 만19세 이상 환자337명을 대상으로 환자가 인지하는 의료서비스 질, 치과위생사의 의료서비스 질, 환자만족도, 재이용, 권유의사를 설문조사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적인 치과 의료서비스의 질에 대한 인식에서 치과의사, 치과위생사의 의료서비스 질에 대한 인식이 진료절차나 환경요인에 대한 인식보다 긍정적이었다. 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의료서비스 질에 대한 인식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치과위생사의 친절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또한 환자만족도, 재이용 의사, 권유 의사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연령구간, 교육수준, 소득수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직업에서는 직장인에 비해 나머지 학생, 주부, 자영업, 기타에 속한 사람들의 환자만족도, 재이용 의사, 권유 의사가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3. 전반적인 치과 의료서비스의 질 구성요소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특히 치과의사요인과 치과위생사요인간의 상관계수가 0.72965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전반적인 치과 의료서비스 질 구성요소 중 환자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치과의사 서비스, 치과위생사 서비스, 진료절차, 내부 환경이었다. 재이용 의사에는 치과의사서비스, 진료절차, 내부환경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권유 의사에는 치과이용횟수, 이용서비스의 수, 치과의사 서비스, 치과위생사 서비스, 진료절차, 내부환경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5. 치과위생사 의료서비스 질이 환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치과위생사의 친절성, 전문성, 환자관리에서 유의하였다. 특히 치과위생사의 친절성의 부분 설명력이 46.8%로 가장 높았다. 재이용 의사에는 친절성, 환자관리, 전문성 요인이 유의하였으면, 권유 의사에서는 치과위생사의 친절성과 전문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 결과 치과 의료서비스제공에 치과위생사라는 인적인 요인이 직. 간접적으로 환자만족도 재이용 권유의사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좀 더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과 자질을 갖춘 치과위생사의 양성에 힘써야 할 것이며 치과위생사는 적극적인 자세로 과거의 단순 진료보조의 개념에서 벗어나 전문화된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스스로를 개발하고 업무확대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quality of dental care services, particularly the personnel factor of dental hygienists on patients’ satisfaction and their intention to reuse and recommend in order to define the roles of dental hygienists in improving patients’ satisfaction at dental institu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7 patients aged over 19, who visited one of seven dental clinics in Seoul and Gyeonggi?do.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provided by dental hygienists, patients’ satisfaction and their intention to reuse and recommen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As for general perception on the quality of dental care services, patients’ perception on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provided by dentists and dental hygienists was more positive than their perception on treatment procedure and environmental factors. 2. As for perception on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provided by dental hygienists according to patients’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male patients appreciated dental hygienists’ kindness higher than that female patients did. In addition, male patients showed higher satisfaction and stronger intention to reuse and recommend than female pati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ccording to age, academic qualification and income level. According to occupation, wage worke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atisfaction and weaker intention to reuse and recommend than students, housewives, self?employed persons and others. 3.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s among the factors of the general quality of dental care services, the correlation between dentists and dental hygienists was highest as 0.72965. 4. Among the factors of the general quality of dental care services, services by dentists, services by dental hygienists, treatment procedure and internal environ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patients’ satisfaction. In addition, factors having significant effects on patients’ intention to recommend were the number of visits to dental clinics, the number of services used, services by dentists, services by dental hygienists, treatment procedure and internal environment. 5.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by dental hygienists on patients’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ists’ kindness, expertness and patient management. In particular, the explanatory power of dental hygienists’ kindness was highest as 46.8%. Patients’ intention to reus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dental hygienists’ kindness, patient management and expertness, and patients’ intention to recommend by dental hygienists’ kindness and expert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above suggest that, in dental care service, the personnel factor of dental hygienists have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patients’ satisfaction and their intention to revisit and recommend. According, it is necessary to produce dental hygienists with abilities and skills to provide high?quality medical services. In addition, dental hygienists should make efforts to develop themselves and expand their service areas so that they may provide more specialized and diversified medical services, breaking away from their role of simple medical assistance in the past.

      • 치과위생사의 계속교육에 대한 인식과 참여

        유경화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민소득향상, 의료산업발달, 인구구조변화, 건강수준 및 질병양상의 변화, 의료정보의 홍수와 같은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의료 환경도 급변하고 있다. 그 중 치의학의 발달은 업무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치과진료인력들의 능력향상이 필요한 현실이며, 예방진료와 교육, 관리 방법 등에 대한 업무를 전문으로 담당하는 치과위생사 제도를 확대 실시하고 서비스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치과위생사 교육의 질적인 측면에서 향상이 필요하다. 졸업한 치과위생사들은 학위 취득과 자기계발을 위한 계속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를 통하여 자아성취 및 업무능력을 향상시켜 고객들에게는 질 높은 진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필요성과 교육요구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치과위생사들의 계속교육에 대한 현실과 교육효과에 관한 연구는 아직 시행되지 못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계속교육의 기대감과 필요성 인지정도와 참여도를 파악하였다. 전문성을 갖춘 치과위생사의 계속교육에 대한 발전과 개선하는데 일조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과위생사들의 계속교육의 참여여부에 대한 문항에서‘참여한 적이 없다’가 57.7%로 높았으나 불참하고 있는 치과위생사의 계속교육 필요성에 대해서는 필요하다’라는 응답이 69%로 많았다. 이 중 교육을 받는 이유는‘학위취득을 위하여’가 52.6%로 가장 많았다. 둘째, 계속교육을 생각한 시기는 54.5%, 최초 참여시기는 63.6%로 모두 치위생(학)과 졸업 후 1-3년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계속교육 참여기간 중 근무형태 조정은 ‘필요하지 않았다’가 51.9%로 가장 많은 응답을 하였다. 또한 근무와의 병행 시 어려웠던 점에 대한 설문에서 ‘시간부족으로 인한 개인생활 지장’이 41.6%로 가장 많았고, 계속교육에 불참 이유에서는 ‘시간, 거리, 근무 여건 등 환경적인 여건’이 52.4%로 많았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계속교육 참여 여부에서는 계속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연령의 경우 25-30세 미만이 55.8%, 경력은 5-10년 미만에게서 53.2%, 현 학력은 학점은행제 또는 전공심화과정 재학 또는 졸업자가 49.9%, 근무처로는 대학병원 또는 종합병원 근무자가 55.8%, 향후 희망에서는 교육자가 35.1%로 각각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넷째, 연구대상자의 결혼여부에 따른 교육기대감의 인식도에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배우자 선택에 유리’의 문항에 미혼 2.98로 기혼의 2.72 보다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직장 내의 자존감 향상’에 대한 문항에서는 기혼 3.14로 미혼의 3.12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다섯째, 계속교육을 통한 이점에 대한 변수간의 상관관계에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직장에서의 자율성 확대’와의 상관관계에서 상관관계 계수는 .758로 가장 강한 양(+)의 상관관계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상관계수 .744로 나타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배우자 선택에 유리’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경제적인 여유’간의 상관관계이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상 본 연구는 계속교육 참여를 통해 치과위생사들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의료시장에 적응해 가고 자기계발에 힘쓰며 전문적 치과위생사로 거듭날 수 있도록 계속교육이 활성화 되고 발전되기를 바란다. A Study on continuing education for dental hygienists By Yoo, Kyung Hwa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Kyunh Hee University Advised by Prof. Yoon, Tae Young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r the extent to which the dental hygienist demand for higher education. Because to strengthen the expertise of dental hygienists continues to seek evidence about education are as presented.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a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from 27 April 2011 to 18 May 2011.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program. The questionnaire which was produced through consulting references and referring to thesis director, was used as survey tool, and the questionnaire was formed by 22 questions which are about a basic survey, participation or not of continuing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e, education contents, education institution, participation time of the first continuing education, difficulty during education period and perception about the expectation effect and education effect of degree course and qualification process. Basic matters of dental hygienists examined a distribution chart through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career and graduate facilities was proved by cross-tabulation analysis. Result 1. participation the continuing education 42.3%, do not attend the continuing education 57.7%.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ccording to education after graduation, in recognition of the existence, winning less than five years if is the most was higher with 42.8%, to 50.5% in the current academic year graduated colleges is the most highly statistically significant surv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3. Through continuing education, four-point scale of satisfaction survey results, Improve self-esteem and self-consciousness in the workplace '3.12±0.495 was the highest in.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expected expansion of business areas' and 'expected expansion of the autonomy and authority in the workpla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of 0.758 which was the highest correlation factor (p<0.01). 4.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ith continuing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highest satisfaction of the relevant item 'future work areas hope' has been investigated (p<0.05). Conclusion I think that dental hygienists as one of professionals taking responsibility and duties on oral health need to make effort to satisfy a sense of achievement in their working places, while they show infinite ability, possible as they can and overcome given environment and situation.

      • 치과원장의 리더십 유형과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치과의원을 중심으로

        엄미란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변화하는 의료 환경 속에서 환자들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치과조직 또한 복잡, 다양화되고 세분화 되어가고 있는 현실 속에서 치과 조직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성장, 발전하기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들 간의 원활하고 긴밀한 협조가 요구되며, 이러한 인간 문제의 원활한 해결을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리더십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치과 조직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리더는 조직구성원들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잠재적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리더십 접근방법으로 피들러의 상황적합 모형(Contingency Theory of Leadership)을 근거로 하여 치과 조직에 적용시켜 치과원장의 리더십 특성이 상황에 따라 조직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치과원장의 리더십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LPC(least preferred co-worker)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치과원장이 리더십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상황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피들러가 제시한 리더-구성원의 관계(leader-member relations), 과업구조(task structure), 직위권력(position power)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리더십의 성과로서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job satisfaction)를 측정하여 치과원장의 리더십과의 관련성을 피들러의 이론을 기초로 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에 개원하고 있는 치과의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치과원장 109명과 같은 근무지의 치과위생사 109명의 설문 자료를 추출하여 치과원장의 리더십 유형 및 리더의 상황 유리성(situational favorableness) 그리고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Correlation)분석 및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χ2(Chi-square) 검증과 t-test 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치과원장의 성격적 특성에 따른 LPC(least preferred co-worker)점수를 살펴보면, 가장 일하기 힘들었던 동료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한 낮은 LPC점수를 받은 과업 지향적 리더가 51.4%로 가장 많았으며, 중간 정도의 LPC점수를 받은 중간형 리더가 45.7% 그리고 가장 일하기 힘들었던 동료에 대해 긍정적 평가를 하는 높은LPC점수를 받은 관계 지향적 리더가 33.9% 순으로 나타났다. 주로 연령이 적고 단독 개원 한 치과 원장의 경우 관계 지향적 리더가 많았다. 둘째, 리더가 효과적으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상황 유리성(situational favorableness)을 측정하기 위해 리더와 구성원의 관계(leader-member relations), 과업구조(task structure), 직위권력(position power)의 정도를 살펴보면, 치과원장이 생각하는 리더와 구성원의 관계는 중간 정도가 44.0%, 양호가 35.8%, 불량이 20.2%로 나타났으며, 업무의 구조화 정도는 중간이 45.9%, 구조화가 34.9%, 비구조화가 19.3%순으로 나타났다. 직위권력은 강하게 행사하는 치과원장이 56.9%, 중간이 32.1%, 약하게 행사하는 경우가 11.0% 순으로 나타났다. 위의 세 가지 상황 요인을 4:2:1의 비율로 비중을 두어 상황 유리성을 측정한 결과, 상황이 보통인 치과원장이 49.5%, 상황이 유리한 경우가 33.0%, 상황이 불리한 경우가 17.4%로 나타났다. 셋째, 피들러의 상황적합 모형을 근거로 치과원장의 리더십과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간의 관련성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리더십을 발휘하기 유리한 상황에서 과업지향형의 치과원장은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가설1은 기각되었고, 리더십을 발휘하기에 중간 정도의 상황일 때 관계지향형의 치과원장은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가설2는 지지 되었으며, 리더십을 발휘하기에 불리한 상황일 때 과업지향형의 치과원장은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가설3은 기각 되었다. 이는 치과 조직에서는 관계지향적인 리더가 더욱 효율적일 수 있다는 추론을 해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리더십의 성과로서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는 그다지 높지 않았다. 직무만족 영향요인으로는 직무자체에 대한 만족도, 급여에 대한 만족도, 승진에 대한 만족도, 직장 상사에 대한 만족도, 동료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전체적인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는평균 3.17로 낮았으며, 그 중에서 동료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직장 상사, 직무자체, 급여 및 승진 순으로 만족도가 낮았다. 결론적으로 피들러의 상황적합 모형의 기본 개념은 조직의 성과는 리더십 유형과 구성원에 대한 리더가 영향을 행사하여 발생하는 집단 분위기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으로 상황에 따라 효과적인 리더십 유형은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피들러의 상황 적합 모형이 그대로 적용되지는 않았으나 치과 조직에서는 관계 지향적 리더가 효과적임을 추론해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표본의 수가 적고 지역적으로 국한되어 있기에 본 연구의 일반성을 확대 해석하기엔 무리가 있다. 조직 구성원의 사기 진작과 동기 유발은 업무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고객(환자)만족으로 이어질 것이며,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게 되고 이직률을 낮추어 결과적으로 사회적 비용의 손실도 감소시킬 것이다. 따라서 구성원들이 성장.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의사결정에 참여시키고, 권한을 부여하며, 업무수행 결과에 대하여 보상하고, 업무 수행에 따른 적정한 보수와 인센티브의 적용 등이 필요하겠다. Leadership, under the situation where medical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in order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patients, is an essential function for binding individual members belonging to the dental clinic into seamless cooperation for the growth of the dental organization in proper way. Accordingly, the leader in dental organization, who is required to effectively realize the mentioned object, needs to control over invisible factors which influences upon the satisfaction of members and the realization of potential abilities in them. The research, based on Contingency Theory of Leadership developed by Fiedler, analyzes the way dental clinic director's leadership features influences on the result of organization. Accordingly, LPC(least preferred co-worker) was used to measure the director's leadership features, and the degree of situation in which director can control effectively the leadership, was also measured in terms of leader-member relations, task structure and position power suggested by Fiedler. And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leadership effect, was measured, based on the theory of Fiedler. This research included the questionnaire analysis on the dental clinics practicing around Seoul and Kyunggi province, S. Korea. Out of the collected data, the situational favorableness, job satisfaction and leadership pattern of dental clinic director, were measured by extracting the questionnaire data of 109 dental hygienists. The collected data was researched by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The job satisfaction was tested by χ2(Chi-square) examination and t-test, including One-way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examining the LPC(least preferred co-worker) score according to the character features of dental clinic director, it was found that 51.4% was task-oriented leaders who both got the lowest LPC score and did the negative evaluation on co-worker regarded as most difficult to work together, and 45.7% got the intermediary LPC score. And 33.9% was relation-oriented leader who both got relatively high LPC score and did positive evaluation on co-worker regarded as most difficult to work together. Relation-oriented leader turned out young person who started practice independently. Second, in order to measure the situational favorableness in which leader can effectively control the leadership, those factors such as leader-member relations, task structure and position power was resultantly as foll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and constituent members assumed by director was 44.0%(intermediate), 35.8%(good) and 20.2%(bad). The structuralization of task was 45.9%(intermediate), 34.9%(good) and 19.3%(bad). And positional leadership strength was 56.9%(strong), 32.1%(intermediate), and 11.0%(weak). Based on 4:2:1 ratio of the mentioned three situational factors, 49.5% was normal and advantageous was 33.0%, with 17.4% unadvantageous. Third, the result from examining the interrelatedness between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 and leadership of dental clinic director, based on Contingency Theory of Leadership by Fiedler, is as follows. The hypothesis 1 that those dental clinic director who are task-oriented on the advantageous situation for leadership will have positive influences on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was disproved and the second hypothesis 2 that those dental clinic director who are relation-oriented on the intermediary situation for leadership will have positive influences on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was proved. And the hypothesis 3 that those dental clinic director who are task-oriented on the unadvantageous situation for leadership will have positive influences on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was also disproved. From the similar situation mentioned above, it can be inferred that those leader who are relation-oriented may be more successful in efficiency. Finally,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as influenced upon by the leadership, the degree of satisfaction was not relatively high. The factors influential upon the job satisfaction tested were 1. satisfaction with the job itself, 2. satisfaction with salary, 3. satisfaction with promotion, 4. satisfaction with senior official, and 5. relationship with co-worker. Overall satisfaction degree of dental hygienists were 3.17, showing relatively low score, from which the highest score was the relationship with co-worker, followed by the relationship with senior officer, satisfaction with job, satisfaction with salary and promotion. Consequently, the basic concept of Fiedler's Contingency Theory of Leadership that the result or efficiency of an organization is determined by the leadership pattern and the influence of leader on constituent members, and the effective leadership pattern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ituation. Although Fiedler's Contingency Theory of Leadership was not directly applied, it could be inferred that relation-oriented leadership pattern is effective. But, because the number of samples is small and limited by regional partiality, the generality of research cannot be easily affirmed to be truthful. The satisfaction of constituent members and motivation are suppos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ask, leading to the satisfaction of patients, which will again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and decrease the rate of designation, resultantly decreasing the social cos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give the opportunity to develop,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determination, the authority, and the reward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given task, including the proper salary and incentiv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