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색채 인지 체계에 관한 연구 : 언어적 표상 특성을 중심으로

        홍정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사람들은 물리적 세상에 대처하는 다섯 가지 감각-시각, 청각, 미각, 촉각, 후각- 중에서 시각을 이용해 가장 직접적으로 지각하고 있다. 시각 감각 중 색은 인간이 얻는 시각 정보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정보이다. 사람들은 색채를 지각할 때 표면에 반사된 빛에 의해 촉발되는 일련의 신경활동에 의존한다. 하지만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빛이 눈의 망막에 도달하면, 신경활동으로 변환되어 두뇌로 전달된다. 색채는 감각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관찰자의 인지적 배경이 있어야 더불어 발생한다. 즉, 색채는 눈에 주어지는 감각경험뿐만 아니라 두뇌에 의한 해석을 통해서 생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색채는 단순히 물리적 분석대상에서 나아가 인지적 분석대상으로의 접근이 필요하다. 21세기 중요한 화두로 자리 잡고 있는 학문 간의 융합연구는 색채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색채를 주로 물리적인 계측치로 다루었고, 이를 심리적으로 다루었던 연구들 역시 색채의 인지 과정과 관련된 개념을 파악할 수 없었다. 색채는 사람들이 감각경험에 의해 색채를 지각하고 지각된 색채에 어떤 정보들이 연결되어 표상하게 되는지에 대한 접근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즉, 색채는 물리적 색에 대응되는 심리적 어휘의 나열보다는 ‘사람들이 어떻게 색채를 지각하고 표상하는가’의 인지적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 사람들은 물리적 색만으로 의미를 발생시키지 못한다. 표상과 관련이 있는 개념은 언어를 통하여 발생한다. 언어는 의사소통을 위해 조직화된 방식으로 조합된 단어들을 사용하는 것이다. 언어는 우리가 주변에 있는 대상과 의사소통할 수 있게 해주고 우리가 현재 보거나 듣거나 느끼고 만지거나 냄새 맡거나 할 수 없는 것들에 대해 생각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색채 인지 체계의 파악을 위해서는 언어와 색채 인지와의 관계성 파악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색채 인지를 크게 두 단계인 지각과 표상으로 나누고 이를 언어를 통하여 조사 및 실험함으로써 색채 인지 체계를 확립하였다. 첫째, 사람들은 색채를 크게 색상과 톤으로 구분하여 지각하고 있다. 사람들은 세부적으로 이 두 요인 중 색상은 KS기본색이름에 근거한 12색으로, 톤은 진한과 연한으로 분류하여 지각하고 있다. 색채 지각 특성은 첫째, 사람들은 색채 지각 요인 중 색상을 12개의 KS기본색이름으로 분류하여 지각하고 있다. 사람들은 물리적 계측치인 표색계의 기본색으로 지각하기 보다는 언어에 의한 12개의 KS기본색이름으로 색상을 지각하고 있다. 둘째, 사람들은 색상 영역 중 기준이 되는 톤에서 명도와 채도가 변화한 색을 이 두 요인이 합쳐져 톤으로 지각하고 있다. 또한 이를 세분화하여 톤을 크게 ‘진한-연한’으로 구분하여 지각하고 있다. 유채색의 수식형용사의 특징이 명확하게 명도와 채도를 구분해 내고 있지 못하는 것처럼 사람들은 톤을 명확하게 구별하지 못하며 더욱이 색이름의 표준으로 제시된 형용사대로 지각하고 있지 않았다. 둘째, 사람들은 색상과 톤으로 분류된 지각 요인 중 색상과 의미를 더 뚜렷하게 인지하며, 이 색상이 원형 색이 되어 개념을 표상하고 있다. 색채 표상 속성은 첫째, 사람들은 색채 지각 요인과 연합된 개념을 표상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적으로 해석되어진 색상을 표상하고 있다. 즉, 사람들은 색채를 지각할 때와 표상할 때를 다르게 분류한다는 것이다. 우선 사람들은 언어에 의한 색채 지각 요인은 색상과 톤으로 구별하였으며 톤은 크게 ‘진한-연한’으로 구별하여 지각하였다. 하지만 사람들은 색채를 표상할 때는 변화된 톤을 포괄한 색상이 인지 대상이 되었다. 이는 색채가 표상될 때는 색상이 일종의 대표 모형으로 사용된다는 점이다. 사람들은 기대하는 방식으로 개념을 저장 및 인출하며, 사람들에게 색채는 색상으로 묶여 장기기억 속에 축약된 이미지로 저장되어있는 것이다. 둘째, 사람들은 색채를 표상할 때 구체적 표상 요인의 개념과 연합이 더 빨랐고 구체적 표상 요인에서 추상적 표상 요인으로 개념을 전이하고 있었다. 즉, 사람들은 그들의 색 경험이 실제 물리적 대상과 연합이 더욱 빨랐으며 물리적 대상이 없는 추상적 개념과 연합이 더 느렸다. 셋째, 사람들의 색채 선호 요인은 연상보다는 색 자극 자체에 있었다. 색채 선호 특성은 첫째, 사람들의 색채 선호 생성 여부는 색채와 관련된 연상 요인보다는 색 자극 자체의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즉, 사람들의 색채에 대한 직접적인 호·불호의 생성은 색 자극 자체에 의한 영향이 더 컸다. 둘째, 사람들은 색채를 선호할 때 색채를 표상할 때와는 다른 방식으로 개념을 생성했다. 사람들은 색채를 표상할 때 톤을 포괄하는 색상이 영역별로 분류되어 지식과 연합한 개념을 발생시켰다. 하지만 사람들은 색채를 선호할 때는 색상을 중심으로 변화된 톤에서도 세부적인 정보들과 연합된 개념을 발생시킨 것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색채를 표상할 때는 색상 영역이 개념을 생성하는데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었다면, 색채를 선호할 때는 색상과 그에 따라 변화된 톤까지 개념을 생성하는데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사람들은 색채를 인지할 때 언어라는 매개체가 지각과 표상 단계 모두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이 영향으로 인한 색채 지각 요인과 장기기억 속 정보의 관계에 따른 표상이 규명되었다. 따라서 이제 색채는 의사소통을 위한 물리적으로 계측된 대상뿐만 아니라 우리의 인지까지를 어우를 수 있는 대상으로 변화해야 한다. 색채는 우리가 나누고 파헤쳐야할 물리적 대상이 아니라 우리의 개념과 함께 연합되어 있는 이해의 대상이다. 따라서 우리는 색채를 우리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개념으로 인식을 전환해야 하며, 색채는 우리의 인지 특성을 반영한 지각과 표상의 차원으로 접근하고 다양한 물리적 분석과 연합한 대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re are 5 senses that the normal person uses-sight, hearing, taste, touch, smell- sight is the most direct sense that is perceived. Color is the most influential information you can get from sight. Color is noticed through nervous activity which is triggered by the reflection of light from the object. But when light which has physical properties hits the retina it is changed in to nervous activity which is transmitted to the brain. Color is noticed when the person has recognition experience of the color. So, color is not just perceived by the sensational experience but also by the interpretation of the brain. In other words color should not just be analyzed physical terms but also analyzed in cognitive terms. Researches of important studies of the 21 century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color. But the many studies on color was done by studying the physical traits of color and the studies that were done on the psychological traits of color could not find the cognitive process of the principle of color. Color should be studied as a process where when a person experiences color through their sense it connects to certain informations and then perceived by the person. So, rather than listing the psychological words that correspond to the physical traits of color we should approach the research by studying how people perceive color and represent it. People cannot give meaning to color with only the physical traits of color. Representing is done by language. Language is the use of words by combining words in a systematic method to communicate. Language lets us communicate with our surrounding objects and enables us to consider the thing that we cannot see, hear, feel, touch or taste. Thats why to understand the cognitive process of color we must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cognition of color. So in this study cognition of color will be divided in to two parts perception and representation and they will be researched tested with language to find out the process of cognition of color. Firstly, people are perceiving color by hue and tone of the color. In detail subjects of the test perceive hue of color by the twelve names of the KS basic color names and the tone of color, Jinhan(dark or strong) and Yeonhan(light or pale). The first characteristic of color perception is that people perceive color by the 12 KS basic color names. People instead of perceiving color through the physical measurements of color specification system they perceive color by the 12 KS basic color names of language. Second, people perceive a tone by combining with two elements whose value and chroma have changed from a standard color. They also perceive a tone by classifying into details, Jinhan(dark or strong) and Yeonhan(light or pale). People do not classify obviously a tone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ifying adjectives on chromatic color does not clearly classify a value and chroma. Furthermore, people do not perceive as the adjectives directed by the standard names of KS. Second, people perceive the hue of color more than the tone of the color and the hue of the color as a focal color represent the concept. The properties of color representation is firstly people do not represent the concept of conceived color but the meaning that is interpreted by the color. Which mean that people categorize perceiving color and representing color different. People categorized color perception by language into hue and tone of color and the tone of color as thick and soft. But when perceiving color the altered tone of color is perceived. This means that when color is represented the hue of color is used as the representative model. People memorize and remember concepts with what they anticipate and color is connected to the hue and memorized as a reduced image. Secondly, when people represent color the concept of the definite factor is associated more quickly and then metastasize to the more abstract factor. So, people's experience of color comes from physical subject of color more quickly and then the more abstract concept of color. Thirdly, the preference of color is made by the stimulation of color itself rather than the association with the color. The properties of color preference is firstly, people's preference is caused by the stimulation itself than the association with the color. So, the direct preference of color by the stimulation itself is more larger. Secondly, when people prefer color they create a different concept to when they are representing the color. People when representing color, color that includes tone are categorized and combined with knowledge to create concept. But when preferring color people created concept with combining specific information with altered tone of color. When hue was a important factor in creating the concept of representing color when choosing the preference of color the hue and the different tone of color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clusion when people are perceiving color language is as important factor in the awareness and representing stages, and through this the connection with representation of color with awareness and long-term memory was made. So color should not just be the subject of physical measurement but also a subject that connects our perception. Color is not a subject that should me exposed and investigated like a physical subject but understood as a concept that is connected with our concepts. Thats why we must perceive color as a concept that interacts with us, color should be understood as a combined subject of physical analysis and approached with the perception that color reflects our awareness and representation.

      • 음악치료가 가정형 호스피스·완화의료 환자와 주 돌봄 가족의 삶의 질과 가족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홍정인 한세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형 호스피스·완화의료 환자와 주 돌봄 가족의 삶의 질과 가족 관계의 질에 음악치료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I광역시에 B구에 위치한 C대학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에서 가정형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를 받고 있는 환자와 주 돌봄 가족 1인으로 구성된 2인 소집단으로, 총 10개 가정의 20인이었다. 2018년 8월 20일 보건복지부 지정 공용기관생명윤리위원회와 2018년 9월 21일 가톨릭중앙의료원 임상연구심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4회기의 ‘인생 회고 기법을 활용한 노래 중심의 음악치료’를 중재한 단일 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진행하였고, 2018년 10월 1일부터 2019년 4월 23일까지 각 가정별로 주 2회씩 2주간 시행하였다. 환자의 삶의 질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호스피스 암 환자의 삶의 질 측정 도구(Hospice Quality of Life Scale: HQLS)’를 사용하였고, 주 돌봄 가족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삶의 질 측정 도구(Quality of Life: QOL)와 환자와의 관계 질을 측정하는 가족 관계의 질 측정 도구(Quality of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 and patient)를 사용하였다. 또한, 음악치료 과정 중 기록한 동영상과 음원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한 치료적 목적에 대한 환자와 주 돌봄 가족, 제3 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관찰하여 언어적 반응과 비언어적 반응으로 분류하였다. 통계 분석결과, 가정형 호스피스·완화의료 환자의 삶의 질은 사전 점수보다 사후 점수가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3개의 하위영역 중 심리적 증상, 영적 문제, 사회적 돌봄, 삶의 가치, 자존감, 신체 이미지 및 전반적 삶의 질 등 7개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주 돌봄 가족의 삶의 질도 사후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는데, 신체 상태와 기능 영역, 정서 상태 영역, 경제생활 영역, 자아존중감 영역, 이웃 관계 영역과 가족 관계 영역 등 6개의 하위영역에서도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가족 관계의 질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반응 표현 유형별 분류에서도 음악적 경험을 통해 자기표현이 증진되고,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어 가족 내의 미해결과제가 해결되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총체적인 돌봄에 의한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목적과 목표에 부합하는 결과이며, 가정형 호스피스·완화의료 환자와 주 돌봄 가족의 삶의 질과 가족 관계의 질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적용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가정용 전력 사용자 수요관리를 위한 최적 경매 메커니즘 설계

        홍정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수요반응(Demand Response, DR)자원 거래 시장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대규모 산업용 전력 소비자 중심에서 주택∙상점 등 소규모 전력 소비자까지 그 대상을 확대하고자 전력거래소는 국민 DR 시범사업을 시행했다. 본 논문은 현재 국민 DR 상황을 다중 수량 조달 경매(multi-unit procurement auction) 방식으로 모형화하고, 참여 고객들의 신뢰도를 고려한 두 가지의 경매 메커니즘 모형을 제안한다. 첫번째 모형은 최적 경매 메커니즘 모형으로, 참여 고객의 신뢰도를 고려한 수요관리사업자의 최적화 문제를 풀어 최적의 할당 함수 및 비용 함수를 구할 수 있다. 두번째 모형은 신뢰도를 바탕으로 경매에 참여할 고객의 수를 제한하는 방식의 경매 메커니즘이다. 두 메커니즘 모두 유인 일치성(incentive compatibility)과 개인적 합리성(individual rationality)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증명하였으며, 국내 전력 소비 데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두 경매 메커니즘에 따른 수요관리사업자의 기대 비용 및 참여고객들의 기대 효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As the size of the demand response (DR) resource trading market grows, the KPX implemented a residential DR pilot project to expand its target from large-scale industrial electricity consumers to small-scale electricity consumers such as houses and shops. This paper models the current residential DR situation in a multi-unit procurement auction method, and proposes two auction-based mechanisms that consider the reliability of participating customers. The first model is the optimal auction mechanism model, which can obtain the optimal allocation function and cost function by solving the demand response aggregator's optimization problem considering the reliability of participating customers. The second model is an auction mechanism that limits the number of customers who participate in the auction based on reliability. Both mechanisms proved to satisfy the conditions of incentive compatibility and individual rationality, and through a simulation experiment using domestic electricity consumption data, the expected cost of demand response aggregator and the expected utility of participating customers according to the two auction mechanisms.

      • 경기도 초등학생 치과주치의사업을 수행하는 치과위생사의 업무 및 인식에 따른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홍정인 아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치과주치의사업은 2019년 경기도에서 도내 31개 시·군 전역에서 실시하였으며 영구치 배열이 완성되는 시기인 초등학교 4학년생을 대상으로 지역 내 치과의료 기관과 연계하여 아동 구강건강을 위한 예방 중심의 구강건강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보건사업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초등학생 치과주치의사업 참여 치과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치과주치의사업 수행에 따른 업무와 인식에 따른 발전방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10월 16일부터 11월 4일까지 20일간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5개 영역 총 16문항으로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치과주치의사업 업무 중 직접 수행하고 있는 업무, 사업 수행으로 인한 업무량 변화와 인식 및 발전방향으로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총 100명이 설문에 응하였고, 통계분석을 위해 IBM SPSS 25를 활용하였고, 유의수준 .05를 기준으로 통계적 유의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직접 수행하고 있는 업무, 치과주치의사업 수행으로 인한 업무량 변화, 힘든점, 좋은점, 치과주치의사업이 학생 구강건강 및 치과위생사 발전의 도움 정도, 치과주치의사업 발전을 위한 항목별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치과주치의사업의 학생 구강건강 및 치과위생사 발전의 도움 정도와 치과주치의사업 발전을 위한 항목별 중요도는 점수화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치과위생사 경력에 따른 직접 수행하고 있는 업무, 치과주치의사업 수행으로 인한 변화, 치과주치의사업의 도움 정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χ2 test)을 실시하였다. 치과위생사 경력에 따른 치과주치의사업 발전을 위한 항목별 중요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에 대해서는 Scheffé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치과위생사는 치과주치의사업에 따른 업무를 비중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사업에 필요한 모든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경력이 높을수록 진료실 업무보다 예약 및 접수, 전산시스템 입력 및 건강보험 청구의 업무 수행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주치의사업으로 인한 업무량은 증가되었고, 사업 참여로 좋은 점은 치과위생사로써의 자긍심과 아동 구강건강증진 순이었다. 치과주치의사업이 학생들 구강건강관리 향상에 도움에 대한 인식과 사업 지속 시 치과위생사 발전에 도움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인 결과로 조사되었고,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마지막으로 치과주치의사업 발전을 위한 항목별 중요도에서는 대상 확대 및 서비스 횟수 추가와 수행기관지원, 홍보 및 안내, 전산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앞으로 지속적으로 치과주치의사업이 시행되어 아동 구강건강제도로 정착되어야 할 것이며 그에 따른 추가적인 조사와 연구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A Comparison of I-gel™ and Endotracheal Tube in Pediatric Laparoscopic Surgery

        홍정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서론: 최근 소아에서 복강경수술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성문위기도기 (supraglottic airway)가 성인에서 복강경수술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소아에서는 아주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소아에서 복강경수술시 I-gel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기관내튜브 (ETT)와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전신마취 하 복강경수술을 시행 받는 10세 미만의 ASA 1,2에 속하는 환자 60명을 무작위로 각각 30명씩 I-gel과 ETT군으로 나누었다. 마취는 rocuronium과 sevoflurane으로 유지하였다. 기복전, 중, 후에 심박수와 혈압을 측정하였으며, 최대 기도압, 호흡수, 호기말이산화탄소농도, 흡기와 호기 일회량, 누출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수술 전, 후의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나이, 성별, 신장, 체중, 수술 종류는 두군 간에 차이는 없었다. 기복 시간과 마취 시간에는 두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삽입 시간은 I-gel군 (18.1 ± 3.2초)이 ETT군 (32.8 ± 5.6초)보다 짧았다 (P < 0.05).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은 기관 삽관 후와 기복 이후에 ETT군에서 I-gel군에 비해 높았지만 (P<0.05), 심박수에 있어서는 두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호기말이산화탄소농도, 호흡수, 누출율에서는 두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흡기최고압은 I-gel군에서 ETT군에 비해 낮았다 (P<0.05). 주술기 합병증의 발생 빈도는 두군 간에 차이는 없었다. 결론: 소아에서 복강경수술 시 I-gel은 ETT와 비교했을 때, 삽입 시간이 짧고, 혈역학적 변화가 적고, 기도 유지에 있어 안정성을 보였다. I-gel은 소아 복강경수술시에 ETT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The present evidence of safe use of supraglottic airway for pediatric laparoscopic surgeries still limited. The I-gel has been successfully used in adult laparoscopic surgeries. No studies have compared I-gel and ETT in pediatric laparoscopic surgeries. This study evaluated whether the I-gel provides an effectiveness to an endotracheal tube (ETT) by comparing hemodynamic and respiratory parameters in pediatric laparoscopic surgeries. Methods: Sixty children of age under 10, in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physical status I or II who were undergoing elective laparoscopic surgery were randomized to either I-gel or ETT groups. Anesthetic technique included ketamine, sevoflurane and rocuronium. Hemodynamic and respiratory parameters were monitored throughout the surgery. Perioperative complications were checked. Results: The changes in heart rate were comparable in both groups. However, systolic and diastolic pressure were higher in ETT after intubation and after beginning of carboperitoneum. Peak airway pressures were higher in the I-gel group throughout th surger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end-tidal CO2, respiratory rate and leak fraction. The incidence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were similar in both groups Conclusions: I-gel provided minimal hemodynamic changes when compared to ETT. In addition, I-gel provided adequate ventilation and minor complications. Therefore, the I-gel would be a suitable alternative to ETT for pediatric laparoscopic surgeries.

      • 작용·반작용과 전기회로에서 인지갈등 정도에 따른 대학생의 응답특성 분석

        홍정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인지갈등 정도에 따른 응답특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물리 개념의 영역별로 실험결과를 보여준 후 학생들이 응답한 내용을 인지갈등 정도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학생들의 응답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 개별적인 면담을 통하여 각 인지갈등 요소별로 응답이유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비사범계 대학교에서 일반물리실험을 수강중인 공과 대학 학생 147명이었다. 인지갈등 정도와 실험결과를 맞추었는지를 기준으로 학생들을 나누었고, 이렇게 네 집단(고○, 고×, 저○, 저×)에 따라 학생들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일치 상황을 제시하였을 때 학생들의 반응을 8가지로 분류한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학생들의 반응은 다른 양상으로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 작용․반작용 관련 문제에서는 실험결과를 의심하고 오류를 찾아내려고 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전기회로 관련 문제에서는 공식이나 계산에 의존해 실험결과에 대한 의심이 적고, 현상을 그대로 인정하였고, 이유를 찾는 모습이 작용․반작용 문제에 비해 적었다. 둘째, 인지갈등 정도에 따라 인지갈등 요소의 응답 원인이 다르다 응답은 학생들의 과거 지식, 경험, 습관 등의 영향을 받는다. 인지갈등 점수가 높은 학생은 자신이 모르는 것을 지각하고 있었고, 재평가의 의지가 높았다. 반면에 인지갈등 점수가 낮은 학생들은 상황을 의심 없이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었고 물리에 대한 관심이 적었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응답은 인지갈등 정도와 주어진 상황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다 효과적인 인지갈등 전략을 위해 다양한 물리 개념의 영역에서 연구되어야 할 것이고, 정밀한 검사도 필요하다. 그리고 각 유형에 알맞은 인지갈등 전략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 Olivier Messiaen의 Flute과 Piano를 위한 『Le Merle Noir』의 구조적 분석

        홍정인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paper concerns the structural analysis for the Le Merle Noir of Olivier Messiaen. Olivier Messiaen, amateur ornithologist in his youth, has collected notes of a merle and he described a sing voice of a merle in this music. In this paper, analysis has focused on the annex value rhythm, Canon rhythm technique, non transposition modes, supplement chord and special chord, which describe his own musical language. The motive for this paper is that it is composed of short form of A, A′, B and it fully shows a musical grammar and a unique expression of the composer. In first section, the flute performs the introduction and describes the sound of a merle realistically by the use of flutter tonguing technical execution of the flute and completes the introduction with permutation. In A, B and C parts of the first section, a piano appears with the flute playing similar melody. The part A, describes the conversation of the piano and the flute, is played slowly and smoothly which gives meditation impression. The melody is completed with the use of annex value rhythm and non retrogradable rhythm, the characteristic musical grammar of the Messiaen. And a piano chord is accomplished with a original interval and a cyclic interval, changed from the original interval. The part B, the melody proceeds in unison, expresses the song of a merle lyrically based on the complex chord and then it assigns harmonic sound effects of the merle's song. The part C, the Codetta that concludes the first section, takes the interval used in the part A. The melody of the flute is manifested brightly and brilliantly and the piano expresses the sound and color effect of a merle splendidly with the use of trill. The form of the second section is made up of same form with the first section. In the second section, elimination and intervention of the Messiaen, retrogression and transition, extension and reduction of the singing range, non transposition modes, and canonic imitation rhythm of are appeared. The flute also expresses the sing of a merle. It sings and flies naturally in the introduction of the second section. The part A and B repeats the form of the part A and B of the first section, but the Canon form composes the melody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section. The piano harmony is made up of seven mode of Messiaen's seven′s mode in the part B and the C part, same form with the C part of the first section, concludes the second section perfect fourth exalt. The piano melody is formed by permutation of the Messiaen and the melody of the flute describes the feature of a merle singing freely. permutation of the Messiaen exposes a delicate sentiment in the harmony among disharmony and involves inevitable note values that would appear in the next portion. In this structural analysis, a unique rhythm technique, melody deploy method, special chord using additional chord that are original musical grammar of the Messiaen are found out. This piece of music is played frequently by the flute players because it contains excellent technical skill and performance effect of the flute, and is composed by the Messiaen in his own original and creative technique.

      • 대체불가토큰(NFT)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계획된 행동 이론을 기반으로

        홍정인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antecedents for NFT(Non-Fungible Token)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designed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s attitude path to meet research objectives. The measurement tools referenced in previous studies were adjusted and used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250 survey samples from who experienced trade cryptocurrency(e.g. Bitcoin, Ethereum, etc) were gather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is study adopted the PLS(partial least square) and Bootstrapping with 5,000 iterations for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each factor. As a result of this study, I found significant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attitude,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NFT uncertainty, FOMO, and personal innovativeness toward NFT purchase intention, but no effect of perceived ease of use toward NFT purchase intention. Additionally, NFT uncertainty and FOMO have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attitude and NFT purchase intention. however, personal innovativeness has no interaction effect. This study found attitude has a mediation effect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NFT purchase intention, but the path from perceived ease of use to NFT purchase intention has no mediation effect of at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