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한이탈주민의 복지상담에 관한 연구

        양선영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은 북한이탈주민의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상담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이다. 현재까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연구는 남한에서의 정착을 위한 기본적인 정착지원과 법 제정 및 경제적 생계를 지원하기 위한 연구가 대부분이였다. 남한에서 살아가면서 느끼는 심리적인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지만 남한에 정착해서 살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이 국내 정착과정에서 지역적응센터나 일반 심리상담 센터에서 받아왔던 심리상담의 효과성이나 북한이탈주민이 원하는 상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주민 상담의 선행연구와 8명의 북한이탈주민 심층면담을 통해 북한이탈주민에게 제공되었던 상담제도와 상담의 효과성에 대해 알아보고, 북한이탈주민에게 효과적인 상담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연구결과로 복지상담사를 통해 욕구진단, 서비스 기획, 자원연계, 사후관리 까지 종합적인 통합사례 관리와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며,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적 욕구, 정서적 욕구, 사회서비스, 법·제도지원의 욕구를 파악하고 정신건강의 상담이 필요한 대상자는 심리상담 전문상담사에게 전문적인 정신건강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연계하여 심리상담과 복지서비스 제공의 일원화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에게 효과적인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복지상담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제어 : 북한이탈주민, 복지상담 모델, 북한이탈주민 상담,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 구강건강신념이 대학생들의 예방적 구강건강행동에 미치는 영향

        황혜림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구강건강신념이 대학생의 예방적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충남 천안시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강건강신념모형을 이용한 수정변수는 성별과 연령, 행동계기는 인지구강상태와 구강보건교육으로, 개인적 인지는 구강건강의 중요성과 구강질환의 심각성, 행동가능성은 구강건강행위와 유익성과 장애를 모형에 대입하였다. 이러한 구강건강신념이 구강위생실천과 예방적 가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잇솔질 행태와 정기적 스켈링 유무를 조사하였고,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성별과 연령에 따른 요인별 구강건강신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자가 남자보다 심각성, 중요성, 유익성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p<0.05), 연령은 ‘21세 이상’이 ‘20세 이하’보다 심각성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2. 구강보건교육 및 자가인지구강상태에 따른 요인별 구강건강신념 점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이 장애가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인지구강상태의 질문에서 ‘나쁘다’라고 대답한 집단이 심각성, 중요성, 장애가 높게 나타났다(p<0.05). 3. 성별, 연령, 구강보건교육경험, 인지구강건강상태가 구강건강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 회귀 분석한 결과, 심각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구강상태(B=0.174)이었다(p<0.05). 중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B=-0.044)과 인지구강상태(B=0.074)로 나타났다(p<0.05). 인지된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역시 인지구강상태(B=0.191)로 나타났다(p<0.05). 4. 구강건강신념이 개인의 구강위생실천과 예방적 가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잇솔질 행태에는 구강건강의 중요성(B=0.076, p<0.05)과 장애(B=0.098, p<0.05)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기적 스켈링 유무에 구강건강의 중요성(B=0.434, OR=1.543, p<0.05)과 구강보건교육(B=0.795, OR=2.214, p<0.05)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구강건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건강신념의 요인은 구강건강의 중요성, 예방행동의 장애인지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계기 중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구강건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구강보건교육의 필요성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al health belief on the personal oral health practice and preventive dental care in college students. The total 319 individuals complet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on oral health belief such as importance, seriousness, benefits and barriers, modifying factors and oral health behaviors. 1. The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level of seriousness, importance, benefits (p<0.05), and the respondents who were older than 21 years showed a higher level of seriousness(p<0.05). 2. The group who didn't experience oral health educations showed a higher level of barriers scores(p<0.05) and the group who perceived showed a lower level of perceived oral health status(p<0.05). 3.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effects on seriousness according to gender, age, oral health education and perceived oral health status(B=0.174, p<0.05). The factor effecting importance were age(B=-0.044) and perceived oral health status(B=0.074). The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effected on perceived barriers(B=0.191). 4.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showed that importance(B=0.076, p<0.05) and barriers(B=0.098, p<0.05) affected on tooth brushing practice and importance(B=0.434, OR=1.543, p<0.05) and oral health education(B=0.795, OR=2.214, p<0.05) affected on regular scaling.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 behaviors were 'importance', 'barriers' in oral health belief and the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ece in cue to action.

      •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차별과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 유.무에 따른 비교

        김재순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은 의료재활중심모델에서 정신사회재활모델로의 패러다임을 보여주는 현상중의 하나이다. 지금까지 지역사회 정신보건기관들은 정신 병리적 차원에서 집단화된 치료프로그램이 그 주류를 이루어 왔지만, 정신장애인이 지역사회 내에서 다양한 재활치료를 통하여 사회적 기능을 회복하고 사회에 복귀시켜 사회통합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 정신사회재활모델에 입각한 보편적 정신보건 서비스의 정책적인 실천방향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의 정신사회재활모델에 입각하여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차별과 사회적응에 관한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차별의 세 가지 차원에서 영향력을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이 있는 서울과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이 없는 충남의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비교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3월 29일부터 4월 30일까지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서울의 정신장애인 150명과 정신보건센터와 정신과 외래를 이용하는 충청남도의 정신장애인 15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차별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전체의 결과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최종학력만이, 임상적 특성에서는 입원횟수만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차별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이 있는 서울과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이 없는 충남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에서는 회귀모형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차별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 유·무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지각하는 사회적 차별에 대한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 유·무 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종합훈련시설 유·무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지만,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에 있어서는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이 있는 서울이,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이 없는 충남보다 사회적응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내용을 정리해 보면, 정신장애인의 인구학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에 따라 전체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는 학력이 높을수록, 입원횟수가 낮을수록 사회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 유·무로 나눈 서울, 충남지역의 정신장애인 모두가 차별을 지각할수록 사회적응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 유·무에 따라 지각하는 차별은 차이가 없지만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 유·무에 따라 사회적응도는 달라진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사회재활모델 프로그램 서비스를 실천하는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의 사회적응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작업으로써, 정신사회재활모델에 입각하여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성을 밝혀 정신장애인의 사회복지 실천 전략에 적극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Social adjustment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is one of phenomena which has been a paradigm shift from medical rehabilitation model to psychosocial rehabilitation model. Even though psychologically designed collectivized treatment programs have been the mainstreams of local mental health institutions so far, general mental health services based on mental rehabilitation model designed for social integration by restoring social functions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and returning them to society through various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in local community should be the policy line. In this study,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from Seoul where composite training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ere located and Chungnam where such facilities didn't exist have been conducted to identify influences from the three dimensional points of view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discrimination perceived by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on the basis of mental rehabilitation model. To achieve this, the questionnaires designed for 150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were using composite training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Seoul, and 150 mentally handicapped people who were outpatients of local mental health center and psychiatrists in Chungcheongnam-do have been used as analytic dat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only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s in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background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proved to have negative (-) influences as shown in the total result which analyzed the impacts of social discrimination on social adjustment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Secondly, regression model was not meaningful in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influences of social discrimination resulted from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n social adjustment according to cases of Seoul where composite training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ere located and Chungnam where such facilities didn't exist. In other words, the presence of composite training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didn't make any difference in terms of influences of social discrimination on social adjustment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Third, the presence of composite training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didn't make any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analysis of social discrimination perceived by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however, in terms of social adjustment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Seoul, where composite training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ere located, displayed higher social adjustment level compared with Chungnam where such facilities didn't exist. In conclusion, the mentally handicapped people showed higher degree of social adjustment, if they had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less number of hospitalizations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mor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divided into Seoul where integrated training facilities were located and Chungnam where such facilities didn't exist, were consciously aware of social discrimination, the lower degree of social adjustment they got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composite training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however, the presence of composite training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ffected the degree of social adjustment. The significance of these results can be seen as a task for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of composite training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hich practic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model program services for social adjustment through active suggestion of practical strategies, proving the degree of social adjustment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based on th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model.

      • 초등학생의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효과 평가 연구

        유상이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저자는 학교 구강보건사업의 일환으로 구강보건교육이 학생들의 태도 습관 및 인식도의 변화와 이에 따른 치면세균막의 산 생성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서울시 소재 중곡 초등학교 3학년 223명을 대상으로 3학년용 학교구강보건교육 목표와 주제 및 내용을 정하고 이에 따라 구강보건교육을 일인당 3회씩 받도록 교습한 후 교육 효과 및 항 산 생성도를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보건교육 후 구강보건 태도 및 습관에 관한 변화는 식사 후 잇솔질에서 61.1%로 증가되었고, 일일 3회 이상의 잇솔질 횟수는 58.8%로 비교적 높았으며, 회전법 방법의 실천과 혓솔질에서 각각 15.5% 및 27.2%로 다소 낮았다. 2. 구강보건교육 후 피교육자의 인식도 변화는 불소와 치면열구전색에 관하여 알게 된 점이 높게 나타났고 치아에 좋은 음식에 대한 지식변화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었다. 3. Plaque check pH를 이용한 산생성도 검사의 분포는 교육 전에는 각 산생성도 군 별로 비슷하게 고루 분포되었으나 교육 후에는 녹색군이 41.3%로 가장 많았으며 적색군이 4.9%로 가장 낮게 나타났었다. 4. Plaque check pH를 이용한 항 산생성도 검사는 교육 전. 후 모두에게 남.녀 간의 차이가 없었으며(P>0.05) 구강보건 교육 전 1.75 ±0.76 점인데 비해 교육 후에는 2.67±0.91로 높았다 (P<0.01). In this study, the auther would like to deliver the result and the clinical trial regarding the primary school children’s oral health. This oral health education executed to find out that how the oral acid rate could be changed along with such awareness and the level of acidic bacteria cell in student’s oral. The result was obtained from a junior school located in Seoul along with total 223 students at the 3rdyear. As the dissertation focused on current educational level for student's oral health care along with executing the educational course of ‘Brushing the teeth three times per day’ along with checking student’s oral acid rate. 1. After performing the oral health educaion 61.1% of children have done toothbrushing after the meal and brushing teeth three times a day also increased up to 58.8%. Rolling method and Tongue brush activity indicates as 15.5% and 27.3%. 2. Subjects It revealed the increasement one awareness regarding the oral care education about fluoride and the sealant awareness by oral thealth education.on the other hand, the awareness of healthy food for teeth was appeared as quite limit level. 3. The experimental distribution of plaque check pH, the appearance of the acid spread indicated as similar the before/after the education. However, after the educational section, green category shows highest rate up to 41.3% which overcome the red category indicated as lowest rate 4.9%. 4. The experiment focusing on degree of acid formation using Plaque check pH shows that not much differences between pre/after and male/female’s educational section(P>0.05). The degree of acid formation shows as 1.75 ±0.76 before the oral care and after the educational section it shows as 2.67±0.91 (P<0.01).

      • 장애인복지관의 서비스가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이인식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충청남도 도내 시각장애인이 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애인복지관의 서비스가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장애인이 사회참여를 통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참여하는 것이 장애인 복지의 궁극적인 목적이며 지향점이다. 시각장애인은 시 기능 손상이라는 감각 장애 특성으로 주변 환경에 매우 큰 영향을 받는다. 모든 국민은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지지만 장애인들은 장애로 인해서 차별을 받거나 동등한 권리를 누릴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사회의 많은 부분은 장애인들에게 신체적, 정신적 제약과는 다른 사회적, 환경적 제한을 가져오기도 한다. 이에 기존의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이동권에 대한 연구와 장애인을 둘러 싼 환경의 여러 요인 중 장애인의 삶의 질, 혹은 삶의 만족에 대해서 연구한 결과들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찾기 힘들며 이러한 연구들의 이론적인 배경 또한 찾기 힘들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로 활동이론에 기초하여 시각장애인의 특성과 사회 환경적인 상호작용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 장애인들이 가장 접하기 쉬운 사회 환경적 시스템중 하나인 장애인복지관을 중심으로 장애유형별 서비스의 정도, 기관으로의 접근성, 시각장애 전문 인력 및 인프라 등의 환경적 요인이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기존 장애인 복지의 패러다임의 변화로 그 방향성을 찾을 수 있다. 장애를 치료의 대상, 보호의 대상으로 바라봤던 의료적 모델에서 장애로 인해서 발생하는 문제가 사회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던 사회적 모델과 이 두 모델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국 사회적, 환경적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한다는 시각에서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충청남도 도내 지역별 장애인복지관의 유형별 서비스 정도가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가? 둘째, 지역별 장애인복지관과 충청남도시각장애인복지관 등 장애인복지관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접근성의 정도가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가? 셋째, 충청남도 도내 지역별 시각장애 영역 전문 인력 및 서비스제공 인프라의 정도가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가?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조사대상은 충청남도 시·군 단위 자체단체 중 14개 시군(계룡시 제외)에 거주 중인 시각장애인중 충청남도시각장애인연합회 지회 회원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확률표본 추출법 중 층화추출법을 활용하여 모집단을 서로 겹치지 않는 여러 개의 층(각 지역)으로 분할 한 후 각 층에 배정된 표본을 단순임의추출법에 따라 추출한 표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7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조사원을 통한 대면조사, 전화조사로 총 280명이 설문에 응하였다. 본 연구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충청남도 도내 장애인복지관의 서비스가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 결과 서비스 균형이 이루어질수록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인복지관의 접근성이 높을수록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 인력 및 인프라도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와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았으나 조사 결과 인프라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장애인복지관에서 시각장애 유형을 고려한 서비스의 균형의 정도를 맞추는 대안, 시설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 등을 제시하였다. 주요 용어: 시각장애인, 삶의 만족도, 삶의 질, 접근성, 서비스의 균형 정도, 시각장애 전문 인력 및 인프라, 활동이론 The present study observed that the services at welfar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vailable for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in Chungnam Province exert a significant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The ultimate goal as well as the direction of welfare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s to help them participate in the society as members of the community as much as the people without disabilities do.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re greatly affect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ue to the nature of their disability with impaired vision. While all people have the right to pursue their happiness, people with disabilities, due to their disability, face discrimination or a situation that deprives them of the equal right. Many parts of the society impose social and circumstantial restrictions different from physical and mental limitations on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is light, previous studies mainly focused on the transportation righ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quality of life or life satisfaction among various factors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people with disabilities. Meanwhile, most studies were not focused on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nd it was difficult to find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ose r previous research. For this reason, the present study, based on the activity theory, presumes that the characteristic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nd socio-environmental interaction affects their life satisfaction; and aims to examine how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evel of service for disability type, accessibility to the organization, and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infrastructure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ffect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centering on welfare centers, which are one of the easily accessible socio-environmental syste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ith regard to the factor that affects the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the directionality can be found in the paradigm shift of the previous welfare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paradigms shifted from the medical model that considered disability as a target of treatment and protection to the social model that considered the disability-induced issues originating from the society. To resol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odel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for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from the perspective that both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this end,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does the level of service for different types of disability at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Chungnam Province exert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Second, does the level of accessibility for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t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in local cities and in Chungnam Province exert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Third, does the level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infrastructure for the visual impairment in local communities within Chungnam Province exert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To verify these three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er selected the sample population from the members of the Chungnam Province Associ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who reside in 14 cities (excluding City of Gyeryong) among all local government bodies in Chungnam Province. Among sample extraction methods, this study used the stratified sampling method in dividing the sample population into multiple layers (each region) to avoid overlaps, extracted samples from each layer using the simple random sampling method,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the selected participants. From September 1st, 2017 to September 30th, 2017, a total of 280 people responded to the survey either via face-to-face survey or via over-the-phone survey. The present study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examining the effect of services at welfare centers in Chungnam Provinc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Primar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balance in services was found to rais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s the accessibility to a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crease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lso increased. However, the level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infrastructure did not exert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despite the hypothesi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alternatives that consider the visual impairment type to bring balance to services and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to the facility. Keywords: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Level of life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Accessibility, Level of balance in services,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infrastructure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ctivity theory

      • 사회보장정보시스템 상담 관리기능 개선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임지혜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연구는 복지대상자의 다양한 욕구와 수요 증가로 인한 시·군·구 사회복지 공공복지전달체계 내 사회복지담당공무원 역할 변화, 특히 사회복지 상담업무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이와 관련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였다. 업무담당자가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해 복지대상자와 사회복지 상담 및 복지서비스 제공 등의 업무처리 현황과 파악된 문제점, 개선 방안을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은 사회복지상담 업무와 사회보장정보시스템 관리의 중요성에 공감하였으나 당면업무 처리, 인력부족 문제 등으로 효과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현실적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복지대상자의 복잡하고 다양한 욕구에 대응할 적절한 복지서비스 제공 을 위해 사회보장정보시스템에서 보다 정확한 사회복지 상담 정보관리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비중을 두고 개선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는 복지대상자의 욕구파악 뿐만 아니라 제공할 수 있는 민관 복지 서비스 자원정보 또는 상담을 통해 파악된 대상자의 지지체계 정보관리 기능도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기록정보를 점검하거나 민감한 개인정보를 포함한 사회복지 상담 열람 및 조회에 대한 관리기능도 강화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 저혈당환자에 대한 119구급대원의 포도당 투여 여부에 따른 환자상태 분석

        왕상원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55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how glucose administration on hypoglycemic patients by paramedics in pre-hospital settings would affect patients’ medical conditions in intra-hospital setting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203 patients out of 226 who were diagnosed with hypoglycemia and transported to a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by ambulance over 3 years from Jan 1st of 2013 to Dec 31st of 2015, excluding 3 deaths, 5 pediatric patients, and 15 patients whose blood glucose were over 70mg/dl at the time of a 119 ambulance arriv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time of arrival on the scene, blood sugar level and level of consciousness (LOC) prior to arrival in the hospital, route of dextrose injection through emergency activity log. Data was also collected through Electrical Medical Records and nursing log to examine definitive diagnosis, glucose administration before arrival and time of arrival in the emergency room, patients’ history of diabetes mellitus, glucose level and LOC on arrival,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e was analyzed with the SPSS 22.0 program, using chi-square tes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Glucose measurement (86.2%) and administration (55.1%) were carried out by paramedics, among which glucose was injected intravenously (80.4%). LOC was compromised in 110 patients: the glucose administered group was 17.3% and the group without administration was 44.9%. First, LOC in the group with no glucose administration worsened (-0.40±0.81), which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LOC in the orally administered group (-0.41±0.50). However, LOC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when glucose was given intravenously (0.25±0.82). Seco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in blood sugar level via IV injection (128.4±81.8mg/dl) compared to relatively low blood sugar level in the group without injection (-0.6±16.9mg/dl) and with oral administration (14.5±22.5mg/dl). Conclusions: The administration of dextrose on hypoglycemic patients en route to the emergency room was correlated to their medical conditions on the arrival in the E.R. While intravenous glucose injection prevented the patients’ consciousness from deteriorating, oral glucose administration didn’t. In addition, the glucose administered via IV contributed to increased blood sugar level (p<.001). The intravenous glucose injection before arrival in the E.R had a positive effect on hypoglycemic patients’ medical conditions. 이 연구는 저혈당환자에 대한 119구급대원의 포도당 투여 여부에 따른 환자상태 분석 연구로 서울소재 일개대학병원의 2013년 1월1일부터 2015년12월31일까지 3년간의 데이터를 활용했다. 연구대상은 119구급대를 통해 권역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한 환자 중 응급실에서 저혈당을 진단받은 203명이였다. 연구자료로 119구급대 구급활동일지와 응급실 의무기록을 활용하였다. 구급활동일지는 환자 일반적인 특성, 현장 도착 시간, 응급실 도착 전 혈당수치, 병원 도착 전 의식수준(AVPU), 포도당 투여경로를 조사하였고 의무기록은 주치의 최종진단명, 응급실 도착 전 포도당투여유무, 응급실 내원시간, 당뇨과거병력, 응급실혈당수치, 응급실 의식수준(AVPU)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ver22.0을 활용하였고 저혈당 일반적인 특성, 혈당 측정유무, 포도당 투여경로 등은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또한, 포도당 투여군과 미투여군 및 투여경로에 따른 대상자 특성의 비교는 카이제곱, 이송시간은 t-검정을 시행하였다. 결론 도출을 위한 포도당 투여유무와 투여경로에 따라 환자에게 미치는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의식수준변화 양상은 카이제곱, 의식수준 변화량 및 혈당수치 변화량 비교는 페어드 t-검정, 그룹 간 변화량 비교는 t-검정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 중 119구급대원을 통한 응급실 도착 전 혈당측정은 86.2%, 포도당 투여율은 55.1%였으며 이 중 정맥로를 통한 포도당투여가 80.4%를 차지하였다. 포도당 투여에 따른 환자 의식수준 변화는 포도당 투여환자 110명중 17.3%가 의식수준이 악화되었고, 투여 안 한 환자의 경우는 44.9%가 악화되었다(p<.001). 의식수준 변화량은 포도당 미투여군의 경우 –0.40±0.81점으로 의식 악화의 진행을 확인 하였으며 구강을 통한 경우 역시 –0.41±0.50점으로 미투여군과 상대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정맥로의 경우 0.25±0.82점으로 의식수준은 호전되었다(p<.001). 혈당수치 변화량은 포도당 미투여군의 경우 –0.6±16.9mg/dl로 혈당이 저하되었으며 구강을 통한 경우 14.5±22.5mg/dl의 혈당수치 상승이 확인되었다. 반면 정맥로를 통한 경우 128.4±81.8mg/dl으로 통계학적 유의한 혈당수치 상승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1). 저혈당환자에 대한 119구급대원의 포도당 투여 후 응급실 환자상태와의 연관성으로 의식수준은 정맥로를 통해 포도당 투여한 경우 의식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으며 구강을 통한 포도당투여는 의식수준이 악화되는걸 막을수 없었다.(p<.001). 혈당수치 역시 정맥로를 통한 경우 의미 있는 혈당상승을 확인하였다.(p<.001). 결론적으로 응급실 도착 전 저혈당 환자의 정맥로를 통한 포도당 투여는 응급실 도착 시 환자상태에 긍정적인 효과임이 확인되었다.

      • 타액량 및 구강습도와 구취발생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하연화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55

        구취란 호기를 통해서 나오는 불쾌한 냄새를 말하며, 타액 분비량은 구취발생을 억제시키는데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타액 분비량은 구취발생을 억제시키는데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바 구취와 타액검사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향후 구취조절 진료에 자료로 쓰이고자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BB checker로 구취검사를 시행하고 구강검사(우식검사, 치면세균막검사, 치주치료필요검사, 설태검사)와 타액검사(타액량검사, 타액흡습지 검사, 타액흡습기기검사)를 시행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습도와 타액량은 연령과 치주상태, 우식경험 및 설태지수와 역 상관관계로 나타내었다 (P<0.05). 2. 구강 내 가스와 혀의 배면에 측정한 흡습지 검사와 역 상관관계로 나타났 으므로(P<0.05) 혀의 배면 흡습지 측정이 구강 내 가스를 예측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3. 흡습기기는 모든 구취와 역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므로(P<0.05) 구취 측정 시 타액요인검사로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이용 가능함이 사료되었다. 4. 각 부위에서 측정한 구취 사이에는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기에(P<0.05) 한 가지 가스만 검사 하여도 다른 가스들도 다소 추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5. 구강 내 가스와 호기가스에서는 30대 이상에서 20대보다 높았으며(P<0.05 )비취 가스는 20대, 30대, 40대 이상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6. 구취조절 진료 시 타액검사에는 정확도가 높은 흡습기기 사용이 권장되었다. The author has measured the salivary flow by use of the moisture paper and the oral malodor,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among saliva flow, oral moisture and oral malodor. Sixty volunteers ranging in age from 20s to 50s, who had visited a dental clinic in Seoul were recruited. They were given a questionnaire for an oral habits check and an oral examination with a malodor check by use of a B&B checker. We assessed the association of salivary factors with the malodor from oral, breath and nasal site. Results are as follows. 1. Sixty volunteers ranging in age from 20s to 50s, who had visited a dental clinic in Seoul were recruited. They were given a questionnaire for an oral habits check and an oral examination with a malodo rcheck by use of a B&B checker. We assessed the association of salivary factors with the malodor from oral, breath and nasal site. 2. There is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oral malodor gas and the wet distance of the oral moisture paper on the tongue,(r=-0.320 ,p=0.013). Measurement with the moisture paper could be useful for estimation of oral malodor. 3. There is a negative relation between the value of the moisture meter and all types of oral malodors (P<0.05),The moisture meter is useful to assess oral, breath, or nasal malodor, with ease of use. 4. There was strong association among oral malodor gases. Gas components can be estimated by checking other components. 5. Both oral and breath gases are higher in the more than thirty age group than in the twenty age group(P<0.05). There were not other age differences in nasal gas (P>0.05). 6. It is recommended to use the moisture meter for measuring the salivary flow on malodor control, because of ease of use and greater accuracy.

      • 서울시 중구, 학교 잇솔질 교실 설치 사업에 따른 효과 평가

        좌수경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55

        현재 정부는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10을 통해 학령기 아동들의 학교구강보건 사업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아동들의 바른 잇솔질 습관 유도를 구강생활실천에 직접적으로 기여 하는 사업으로 보고 이를 추진하기 위해 보건소의 구강건강증진 사업으로 유치원 및 초등학교들 중 우수기관을 선정하여 양치 교실을 설치 할 것을 권장 하고 있다. 이에 저자는 2009년 서울시 중구 보건소는 관내 초등학교의 양치 교실 설치 사업을 시행함에 있어 설치 형태에 따른 아동들의 구강환경 변화 및 태도의 변화를 관찰하고 양치교실 설치사업에 따른 잇솔질 효과를 평가여 향후 양치교실 설치 및 운영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으로는 중구 관내 12개교 가운데 사회적, 경제적 환경이 비슷한 4개교를 선정하여 각 형태에 따라 5년간 양치교실을 운영하고 있는 남산 초를 계속 사업군으로, 광희 초를 신규 교실형 사업군으로, 봉래 초를 신규 복도형 사업군으로 분류하였고, 잇솔질 시설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장충 초를 비 사업군으로 선정하여 2009년 5월 20일부터 2009년 12월 19일까지 저학년, 고학년 총 382명을 대상으로 구강검진 및 구강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을 조사하여 시행 6개월 뒤 양치 교실 운영 형태에 따른 아동들의 잇솔질 효과를 평가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사업 시행 6개월 후 아동들의 치아우식 상태는 큰 변화는 없었으나 (p>0.05) 고학년의 경우 계속 사업군인 남산초의 DMFT INDEX가 신규 사업 군과 비 사업군에 비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PMA, S-PHP, Snyder test 결과를 통한 구강 위생 지수는 저학년, 고학년 모두 시행 전 보다는 다소 낮아졌다(p>0.05). 2. 저학년의 하루 잇솔질 시기별로 알아 본 일일 평균 잇솔질 횟수는 비 사업군에 비해 사업군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신규 복도형인 봉래초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일일 평균 양치 교실 이용 횟수는 계속 사업군인 남산초가 아동들 모두 한 차례씩 방문 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3.고학년의 일일 평균 잇솔질 횟수는 사업군과 비 사업군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양치 교실 이용 횟수는 저학년과 마찬가지로 계속 사업군인 남산 초가 0.98±0.15로 잇솔질 실천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4. 신규 사업군 사이에는 고학년에 있어 교실형 사업군인 광희초가 복도형 사업군인 봉래초에 비해 일일 평균 양치 교실 이용 횟수가 0.22±0.52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p<0.05). 이와 같은 결론으로 양치교실 설치에 따른 아동들의 구강건강증진과 청결한 구강상태 유지를 위해서는 복도형 보다는 교실형의 잇솔질 교습대 설치가 추천되며 다년간 계속 사업을 수행함이 권장 되었다. Objective: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has tried to support the school toothbrushing project as one of the school oral health programs, focusing on the preventive activities through the New Health Plan 2010. According to this policy, the public health center at Central-Ku in Seoul city has decided to extend the school toothbrushing programs from 1 school to 4 schools in 2,008, and tried to appraisal every year. According to this appraisal plan, the author has performed the oral health survey for schoolchildren by checking the variations for caries an oral health or hygiene states in before and 6 months after the program in order to correct unreasonable points and to suggest the proper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oral health for school children. Methods: Three primary school children of the 1st and 6th grade were joined as experimental groups and 1 school for control. Oral examinations were done both in control group and 3 of the experimental groups, with the interview for questionnaires about the toothbrushing habits, for 2 times as before and 6months after the program at each school, in the period of May to December, in 2009. Results: The frequency of toothbrushing was the most in Bongrae school, floor type toothbrushing unit, both in 1st grade and 6th grade, otherwise the most frequency for visiting at the toothbrushing unit in Namsan school, as the continuous performing the program for 4 yea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visiting at the toothbrushing unit between the type of the unite, in 1st grade, but more of frequency in Kwanghee school as classroom typed than in Kwanghee school, newly established with the toothbrushing unite than in Bongrae, as with the floor typed in 6th grade student(p<0.05). The frequency of toothbrushing after lunch, was the most in Namsan school, continuos program performing, compared with the newly established toothbrushing unit, as Kwanghee and Bongrae school(p<0.05). Conclusion: It was recommended that toothbrushing units would be established with the room type and it should be needed the toothbrushing instruction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school teacher or nurse with continuously, in order to promote the oral hygiene and health.

      • 녹차 추출물 배합세치제의 치은염 및 구취조절 효과

        김혜련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55

        (목적) 본 연구는 녹차추출물을 배합한 세치제를 사용시의 치면세균막 제거, 치은염 및 구취 조절 효능을 인체적용시험을 통하여 평가하자고 한다. (연구 방법) 시험 대상자는 1일 2회(아침, 저녁) 규칙적으로 칫솔질 하며, 치관 치경부 우식증이나 수복물이 없는 잔존 치아 수가 24개 이상인 만 20세 이상 50세 이하인 성인 남녀를 총 60명(시험 군 30명, 대조군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험군은 녹차추출액을 배합한 세치제를 사용하였고, 대조군은 녹차추출물을 제외한 습윤제, 기포제 등 기본 성분만 포함한 세치제를 사용하였다. 중도 탈락자 4명을 제외한 56명(시험 군 28명, 대조군 2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검사 방법으로는 치면세균막관리능력지수(Simplified patient hygiene performance index, S-PHP index), Turesky가 변형한 Quigley와 Hein의 치면세균막 지수(Turesky’s plaque index), 유두변연부착치은염지수 (Papillary-marginal-attached gingival index, PMA index), Talbott, Mandel and Chilton의 치은지수 (Talbott’s gingival index), 구취측정기를 이용한 기계적 구취 농도 측정과 관능검사에 의한 구취 평가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본 실험은 치면 세균막 지수의 측정 결과(S-PHP index, Turesky’s plaque index) 4주 후부터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더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치은염 지수를 측정 결과(PMA index, Talbott's gingival index) 4주 후부터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더 감소하였으며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구취 지수를 측정한 결과는 1주 후부터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더 감소하였으며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5). 구취 관능검사 측정 결과, 4주 후부터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더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결론)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해 녹차추출물이 함유된 배합 세치제를 사용할 경우, 치면세균막 제거, 치은염 완화 효과 및 구취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세치제 사용을 중지하고 대조세치제를 사용하였을 때에도 모든 항목에 24시간 후에도 효과가 계속 지속됨을 확인하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dentifrice containing green-tea extract on plaque removal, gingivitis, and halitosis-control efficacy in men and women aged 20–50 years, with a regular brushing habit, twice a day (morning and evening) and with more than 24 remaining teeth without cervical erosion or restoration. (Methods) A total of 60 participants (30 participants in the test group and 30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included in the study. A dentifrice containing green-tea extract was used in the test group, while a dentifrice containing only basic ingredients, such as wetting and foaming agents (besides green-tea extract), was used in the control group. Fifty-six participants (28 in the test group and 28 in the control group) were analyzed, except 4 participants, who dropped out. The following methods were used for this study: plaque management capability indices such as the Simplified patient hygiene performance index (S-PHP index) and the Turesky modification of the Quigley and Hein plaque index (Turesky’s plaque index); and gingivitis indices such as the papillary-marginal-attachment index (PMA index) and Gingival index of Talbott, Mandel and Chilton (Talbott’s gingival index); mechanical halitosis concentration measurement using BB checker; and sensory evaluation of halitosis.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the S-PHP index, Turesky’s plaque index showed a greater decrease in the tes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4 week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was observed between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gingivitis indices (PMA index and Talbott's gingival index)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test group,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fter 4 weeks (p <0.05). The halitosis index in the test group showed a greater decrease after 1 week,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Measurements of BB checker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between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4 weeks, exhibiting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tes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e efficacy of a dentifrice containing green-tea extract in plaque removal, gingivitis mitigation, and halitosis reduction effects. Moreover, discontinuation of the experimental dentifrice and institution of the control dentifrice, confirmed that the beneficial effects of green-tea extract containing dentifrice continued even after 24 hours for all the study criter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