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의미치료에 기반한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김은숙 인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와 30대 초기 성인들이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삶의 질과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의미치료(Logotherapy)에 기반한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이 우울, 죽음불안, 자살사고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김창대(2002)의 개발 모형을 활용하여 4단계의 과정을 거쳐 구성하였다. 우선, 선행연구와 요구조사 결과에 기반하여 죽음교육 프로그램 초안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내용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2차례의 전문가 평정과 1차례의 예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이런 과정에서 받은 피드백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내용 및 진행방식을 수정하여 총 8회기의 최종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최종 프로그램은 1회기 관계형성, 2회기 나의 인생 이야기, 3회기 죽음의 종류, 4회기 사별·애도 및 죽음 수용, 5회기 나의 삶과 죽음, 6회기 삶의 창조적 가치, 7회기 삶의 경험적 가치·태도적 가치, 8회기 마무리 등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연구 참여자는 경상남도 A 대학에서 초기성인인 20대와 30대의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을 모집하여 실험집단, 통제집단 각각 13명의 지원자를 모집하였다. 두 집단 모두에게 사전 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 참가자들에겐 의미치료에 기반한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했으며, 통제집단 참가자들에게 사후검사만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4.0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인 우울, 죽음불안, 자살사고 척도의 내적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하위요인별 신뢰도는 높게 나타났다. 연구도구의 Kolmogorov-Smirnova와 Shapiro-Wilk 통계량과 유의확률을 구하여 정규성을 검토하였다. 실험과 통제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 및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모두 비모수 검증을 실시하였다. 집단간 동질성 검증을 위해 Mann-Whitney U를 실시한 결과 자살사고를 제외하고는 모두 동질성이 확보되었다. 집단별 효과 검증을 위해 비모수검정의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다. 집단간 차이 검증을 위해 두 집단의 변인들이 동질성이 확보되지 않아 각 변인에 순위변수를 생성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잔차의 평균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사전점수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사후점수의 차이를 알아보는 비모수적 분석방법인 Ranked ANC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의미치료에 기반한 죽음교육 프로그램이 집단간 죽음불안, 자살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은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프로그램 완료 후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의미치료에 기반한 죽음교육 프로그램은 삶의 의미를 상실하고, 실존적 소외로 힘들어하는 초기성인들에게 정해진 죽음을 직면함으로서 자신의 삶의 새로운 발견하고, 보다 의미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게끔 도와주는 데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후기 낭만시대 예술가곡에 투영된 죽음의 표현 양상과 음악 교육적 가치

        손승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실존주의 철학자 하이데거(M. Heidegger, 1889∼1976)는 그의 저서 『존재와 시간(Sein und zeit)』에서 인간은 죽음을 향해 가는 존재(Sein zum Tode)라고 정의하며 모든 생명은 죽음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음을 피력하였다. 영국의 소설가 포스터(E. M. Foster, 1879∼1970) 역시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죽음은 인간을 파멸시키지만,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그를 구원한다”는 글을 남겼다. 이들의 금언(金言)과 같이 죽음은 인간의 삶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삶의 전체이자 일부로서 어떠한 경우에도 서로를 멀리하고 떨어질 수 없는 반려와 동반 관계에 있다. 이러한 생기사귀(生寄死歸)의 섭리는 결코 누구도 거스를 수 없으며 모든 인생들의 삶 전체를 관통한다. 그러므로 유한한 인간의 삶의 과정에서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개인의 삶을 돌아보고 반추(反芻)하도록 하는 가르침과 무언의 안내자가 된다. 교육은 인간 생활에서 유의미한 내용들을 의도와 계획을 가지고 전달하는 과정으로 삶과 죽음에 관한 교육은 인생의 의미에 대한 깨달음과 가치를 이해하도록 하고 개인의 성숙을 도모하여 윤택한 삶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된다. 특히 청소년기 중·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삶의 가치를 일깨워주는 교육은 건전한 자아를 형성하고 자존감을 확립하며 각종 사회문제들까지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죽음과 관련한 내용을 무조건적인 거리를 두고 도외시하기보다 그것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수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교육을 통해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도록 돕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1960년대 미국에서 최초로 시작된 죽음교육(Death Education)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활성화되어 하나의 학문(Thanatology)으로 자리 잡았으며 여러 나라의 중·고등학교 정규 교육과정으로 편성되는 등 그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죽음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인식으로 죽음과 관련된 여러 요소들이 터부시됨은 물론 학교 내에서도 죽음과 관련된 내용은 영 교육과정(null curriculum)으로 공식적 교육과정에서 배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사회구조의 변화로 인한 각종 사회문제들과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부작용으로 죽음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초기 노년층을 중심으로 실시되어온 죽음교육의 필요성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확대되었으며 학교 내에서도 국어, 수학, 사회, 도덕, 미술 등의 교과 와 죽음을 접목하기 위한 다채로운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다만 인간 생활과 긴밀하며 죽음에 대한 다양한 사유와 관념들을 추론해 낼 수 있는 죽음 교육 가능성의 보고(寶庫)인 음악과에서는 이러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음악은 인간과 더불어 만고의 세월을 지나며 감정표현과 의사전달의 수단으로 그리고 인간의 본질적 속성으로 공존해왔다. 음악활동은 풍성한 인간의 삶을 영위하도록 하며 즐거움을 느끼도록 하여 보다 윤택한 삶을 누리도록 기능한다. 성악과 기악을 비롯한 다양한 장르의 음악에는 사람들의 세계관과 가치관이 여과 없이 투영되어 있으며, 특히 죽음을 주제로 한 음악에는 신앙적 사유나 망인에 대한 기복(祇福), 죽음으로 인한 위로와 슬픔의 극복 등 다양한 사고와 관념이 함유되어 있다. 그러므로 음악에 투영된 죽음의 여러 양상을 고찰해보는 것은 삶에 대한 깨달음과 가치에 대해 생각하도록 하며, 성숙하고 풍성한 삶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음악교육 내에서 죽음을 주제로 활용한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가능성을 숙고하고 그 가치를 제시하였다. 연구 내용으로는 후기낭만시대의 요하네스 브람스 (Johannes Brahms, 1833∼1897), 모데스트 페트로비치 무소륵스키(Modest Petrovich Musorgsky, 1839∼1881), 구스타프 말러(Gustav Mahler, 1860∼1911)의 생애와 죽음관을 살펴보고, 각 작곡가의 연가곡 작품에 투영된 죽음의 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들은 각기 다른 성장배경과 개인적 특질로 죽음에 대한 상이한 관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일생동안 죽음과 관련된 간접적인 경험들이 삶에 대한 깊은 성찰의 계기가 되었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작품에 관한 종합적인 내용분석을 기반으로 음악 교과 내에서 죽음을 주제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적 가치들을 도출하고 실제 수업에 활용될 수 있는 교육 방향을 모색하였다. Ⅱ장에서는 연가곡 작품의 분석에 앞서 예술가곡의 생성과 발전과정을 조명하여 후기 낭만 시대 예술가곡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작품에 내재된 죽음의 의미를 심도 있게 파악하고자 죽음의 다의적인 의미를 문헌고찰 하였으며, 교육에 접목할 수 있기 위한 국내외 죽음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작곡가들의 생애와 세계관에 초점을 맞추어 연가곡 작품에 나타난 죽음의 표현 양상을 고찰하였다. 각 작곡가들의 생애를 바탕으로 음악작품 속에 투영된 작곡가들의 사생관(死生觀)과 죽음에 대한 사유(思惟)를 악보와 표를 통해 제시하였다. 또한 작품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기반으로 악곡의 의미와 표현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 위한 성악 연주자로서의 음악적 표현방법도 함께 첨언하였다. Ⅳ장에서는 음악교육 내에서 죽음 교육의 가능성을 숙고하며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고찰하고 음악교과 내에서 죽음을 주제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 영역 7∼10학년의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실제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음악교과 내 죽음교육 모형을 제작하여 수업방안을 제시하였다. 인간 본연의 문제를 다루는 삶과 죽음에 관한 교육은 인간의 삶 가운데 어떠한 교육보다도 중요하며 반드시 교육을 통해 인생의 목적과 죽음의 문제에 대해 자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음악교과 내에서의 죽음에 관한 교육은 삶을 바라보는 건강한 시각을 갖도록 하며 삶의 질을 높이고 의미 있는 인생을 영위하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에도 음악 교과가 전인교육에 으뜸이 되는 교과로서 교육의 흐름을 주도해갈 수 있는 후속 연구와 관심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장애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준비교육 요구에 관한 조사연구

        이찬미 동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Humans are absolutely equal before death. To humans, death means the one no one can avoid, regardless of their age, gender, social status, economic ability, and religion. Thus, death preparing education is necessary for everyone without distin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y or people without disability. But there are rare organizations where death preparing education is offered for people with disability. And if any, the organization offers an one-time event. In addition, there have been rare studies on the death or death prepari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y. An analysis of the attitudes toward death and need for death preparing education in people with disability is a basic operation to develop a death preparing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isability. Thus,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ttitude toward death and need for death preparing education in people with dis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using a random sampling method among adults with disability, aged 19 or older who have one or more disabilities, from meetings or groups for people with disability, or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South Korea. The total number of the subjects used for statistics was 280.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v. g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ttitude toward death and need for death preparing education in people with disability was be found to have an overall open mind about death. But they had a tendency to avoid death or put it under taboo. With respect to a fear about death, it was observed that they relatively less felt it. Second, they answered that they had heard about death preparing education, but the majority of them felt the need for death preparing education. Thus, they responded that if an opportunity for the education was given, they would for sure participate in it. This suggest they feel a higher need for death preparing educ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as people with disability overall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death, they had often heard of death preparing education and that as they had a less degree of putting death under taboo, they felt the higher need for death preparing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eparation of a death preparing education program should be made through a differentiated approach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bility, presence or absence of family members, and onset of disability in people with disability according to their attitude toward death. And death preparing education needs to be expanded to all ages. Also, people with disability, who are not exposed to death preparing education, need to be informative of death preparing education by conducting the promotion of the death preparing education. The thought of the death, which anyone may contemplate at least once as a human being, may be necessary for everyone, regardless of people with disability or those without disability. Since studies involv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have rarely conducted,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 the future. In addition, a death preparing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imed to help people with disability so that they can establish the right attitude towards to death, based on various studies. Thus, the curriculum is required to be implemented step-by-step in the long term, not one-time, along with a follow-up study that monitors changes after the education. Sinc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limited to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rea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attitude toward death and need for death preparing education in people with disability. Thus, it is considered that further studies through more systematic sampling are needed. Howev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nvestigated the attitude toward death and need for death preparing education in people with disability even in a situation when there have been few studies conducted on the ‘attitude toward death’ and need for ‘death preparing education’ in people with disability.

      •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죽음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

        정다빈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a society in which we live, children experience a variety of death and loss, but our society still avoids openly mentioning or dealing with the issue of death to children. However, cognitive development related to the concept of death is mostly carried out in early childhood. This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and necessary to talk about death to childre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first study related to the attitude of the childcare teachers to the death education for children and the result of the second study which divided the infant picture books with the theme of death into the cognitive concept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two studies, the results of the third study suggest educational proposals centered on activities and activities. In relation to the first research question,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27 childcare teachers in 5 groups. Each group consisted of four to seven people, and the interview was conducted for about one hou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heme analysis method. Teachers' attitudes toward death education were found to be the teacher's personal level, the curriculum level, and the socio-cultural level as a result of searching and analyzing attitudes toward childcare teachers. On the teacher's personal level, teacher's attitude and knowledge about death education for children appeared. Teachers felt that it was difficult to explain to the child about the subject of death, and while they realized that they had to explain it frankly, they explained the death in other words. In addition, in order to interact with children or to explain death by the theme of death, teachers said that related teacher education is needed. On the curriculum level, the teachers talked about the topics within the curriculum and the concrete method of education. Participants in the study felt that there was no reference to the teacher or educational materials to present to the child. This is because there is no content related to death at current Nuri program.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picture books were effective as a media for death education for children. In addition, the teachers discussed how to educate infants about the content. On the socio-cultural level, teachers recognized that it was difficult to agree on death education for children due to cultural specificity and religious d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of childcare teachers toward death education for children in depth. Because it is a qualitative study, this study revealed the viewpoints, values ​​and belief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tried to understand it in depth and did not aim to generalize the resul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eply analyzes the attitude of childcare teachers and provides basic data to death education for children. In relation to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60 children's picture books dealing with death among domestic and foreign books published in Korea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cognitive concepts of death in the collected picture books were applied to the content analysis by making the analysis frame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 study of Corr and Balk (2010).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death in the collected picture books were applied to the content analysis by making the analysis frame with reference toe the previous study of Bowlby(1980). In the picture book of death, various cognitive concepts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death appeared. Specifically, the cognitive concepts of death were finality, universality, causality, and noncorporal continuation, and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death were numbing, yearning and searching, disorganization and despair, and reorganiz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hildren's picture books about death, and showed contents and aspect of the cognitive concepts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death. This provides basic data on death education for children using picture book. The use of picture books with various death concepts is useful as educational medium for children education, especially death and life educ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increase educational effect to use as educational medium. The third research question is about the proposal of death education for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and the proposal of activity consists of aspects of cognitive understanding and emotional coping. The educational proposals proposed in this study are activities that can be interact with children with the contents related to death in general childcare or early childhood education sit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two studies, the situation set in this study was chosen as the situation that is treated in the field. In addition, the following points were considered in selecting picture books. First, we considered how many cognitive concepts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appeared in a picture book. Second, the difficulty of cognitive concept in picture book was considered. Third, we considered the intensity of emotional characteristics in picture books. In addition, religious diversity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In the cognitive aspect, four books were selected to help children understand the concept of death. And in the emotional aspect, the situation of bereavement with grandparents, parents, and animals is presented, and selected two picture books each.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에서 유아는 직‧간접적으로 다양한 죽음과 상실을 경험하지만, 아직까지도 우리 사회에서는 유아에게 죽음의 문제를 개방적으로 언급하거나 다루는 것을 회피하고 있다. 그러나 아동의 죽음개념 형성과 관련된 인지발달은 대부분 유아기에 이루어진다. 이는 유아기에도 죽음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 죽음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태도와 관련된 첫 번째 연구결과와 죽음을 주제로 하는 유아 그림책을 인지적 개념과 정서적 특성으로 나누어 분석한 두 번째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앞의 두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세 번째 연구결과에서는 상황을 설정하여 활동을 중심으로 교육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유아 죽음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태도에 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총 27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인터뷰는 약 1시간동안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중심주제 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인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유아 죽음교육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 탐색, 분석한 결과 죽음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는 교사 개인적 차원, 교육 과정적 차원, 그리고 사회 문화적 차원으로 나타났다. 교사 개인적 차원에서는 유아 죽음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와 지식에 대한 내용이 나타났다. 교사들은 죽음이라는 주제에 대해서 유아에게 설명하는 것이 어렵다고 느끼고 있었고, 솔직하게 설명해주어야 된다고 인식하면서도 죽음을 다른 말로 바꿔서 설명하고 있었다. 또한 죽음이라는 주제로 유아들과 상호작용하거나 죽음에 대해 설명해주기 위해서는 관련된 교사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교육 과정적 차원으로는 교육 과정 내 주제화와 교육 방법의 구체화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현재 누리과정에는 죽음과 관련된 내용이 없기 때문에 교사 본인이 참고할만한 내용이나 유아에게 제시할 교육용 자료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유아 죽음교육을 위한 매체로 그림책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하였고, 이외에도 어떻게 교육하면 좋을지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사회 문화적 차원에서는 문화적 특수성과 종교적 다양성으로 인해 죽음교육에 대한 합의가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 죽음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태도를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질적 연구의 특성상 연구 참여자들의 관점과 가치관, 신념 등을 드러내고 이에 대해 심층적인 이해를 하려고 하였으며, 결과의 일반화를 목적으로 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유아 죽음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태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고, 유아 죽음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죽음을 주제로 하는 유아 그림책 분석으로, 국내에서 출판된 국내도서와 국외도서 중 죽음에 관련된 내용을 다룬 유아 그림책 60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그림책에서 죽음의 인지적 개념은 Corr와 Balk(2010)의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분석틀을 만들어 내용분석을 적용하였다. 그림책에 나타난 죽음의 정서적 특성은 Bowlby(1980)의 정서 관련 이론을 참고하여 마찬가지로 분석틀을 만들어 내용분석을 적용하였다. 죽음을 주제로 하는 그림책에는 다양한 죽음의 인지적 개념과 정서적 특성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죽음의 인지적 개념은 종국성, 보편성, 인과성, 사후연속성이 나타났고, 죽음의 정서적 특성은 무감각, 그리움과 갈망, 혼란과 절망감, 재조직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죽음을 주제로 하는 유아 그림책을 분석하여 그 속에 나타난 죽음의 인지적 개념과 정서적 특성의 내용과 양상을 보여줌으로서 그림책을 통한 유아의 죽음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다양한 죽음개념이 나타난 그림책의 활용은 유아들의 교육, 특히 죽음 및 생명교육을 위한 교육적 매체로서 유용하며, 이를 교육 매체로 활용하는 것은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세 번째 연구문제는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죽음교육의 제안에 관한 것으로, 활동의 제안은 인지적 이해에 대한 측면과 정서적 대처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교육적 제안은 일반적인 보육이나 유아교육 현장에서 죽음과 관련된 내용으로 교사가 유아들과 상호작용 하면서 전개해 볼 수 있는 활동이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상황은 앞의 두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많이 다루게 되는 상황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그림책을 선정하는데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였다. 첫째, 그림책에 인지적 개념과 정서적 특성이 얼마나 많이 등장하는지 고려하였다. 둘째, 그림책에 등장하는 인지적 개념의 난이도를 고려하였다. 셋째, 그림책에 등장하는 정서적 특성의 강도를 고려하였다. 이외에도 종교적 다양성과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였다. 인지적 측면에서는 죽음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그림책을 4권 선정하였고, 정서적 측면에서는 조부모, 부모, 동물과 같이 다양한 대상과의 사별의 상황을 제시하고, 각각 2권의 그림책을 선정하였다. 또한 각각의 그림책의 내용을 바탕으로 유아에게 어떤 질문을 하고, 어떻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 활동을 제안하였다.

      • 동시대 소설을 통한 죽음교육 방안 연구 : 김애란의 소설을 중심으로

        천이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가상의 죽음이 범람하고 있지만, 현실에서의 죽음은 갈수록 소외되고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인간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목표로 하는 교육 현장에서도 죽음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에 따른 대안으로 동시대 소설의 죽음 인식을 바탕으로 한 국어 교과 내 죽음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학습자가 죽음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수업 지도안을 구상하였다. 죽음교육은 다른 나라에서는 이미 정규 교과에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있고, 그 정의 또한 다양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선 연구를 토대로 하여 죽음교육을 삶과 죽음의 의미를 탐구하여 자신과 타인의 삶을 이해하는 교육으로 규정하였다. 국어 교과에서의 죽음교육 모색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자신과 타인의 삶을 이해한다는 측면에서 근본적인 의식이 동일하며, 현재 도덕 교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죽음의 개념적 측면의 학습에 대한 보완으로서의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동시대 소설의 특징인 인물이 처한 상항과 인물이 느끼는 감정과 사건에 대한 사유를 구체적으로 서술하는 방식은 추상적 개념인 죽음을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별자에 대한 이해와 공감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한다. 김애란의 소설은 현재 2015 개정 교과서에서 문학이 주는 감동과 윤리적 기능 또는 작품에 담긴 사회·문화적 가치의 이해 학습에 수록되어 그 교육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재로 다룬 「입동」과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는 모두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입동」은 어린 아들을 사고로 잃은 부부의 이야기,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는 학생을 구하려다 같이 사고를 당한 남편을 떠나보낸 ‘나’의 이야기로 학습자가 사별자의 마음을 이해하고 애도 과정을 미리 경험해볼 수 있게 한다. 두 소설의 죽음 인식을 바탕으로 죽음과 관련된 학습자의 반응을 이끌어내고 이를 명료화하기 위해 반응 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구체적인 지도방안을 설계하였다. 같이 제시한 활동지로 학습자의 초기 반응과 마지막 반응을 모두 기록하여 반응의 변화 과정을 살피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넘쳐나는 가상의 죽음 속에 실제 죽음의 의미는 자꾸 잊혀 가고 있다. 우리는 타인의 죽음을 마주하고 겪으며 자신의 죽음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 그리고 이는 우리가 삶에 대한 완전한 이해에 한 발 더 다가갈 수 있는 가능성이다. 죽음에 대한 소설을 가지고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수업이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학습자가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여러 사람과 나누는 활동을 하게 된다면 이 역시 그 자체로 죽음에 대해 터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작은 장이자 좋은 시도로 작용할 것이라 기대해본다. This study started with recognizing that death in reality is increasingly alienated, although virtual death is overflowing in modern society. And it indicates that the death education is not conducted even in educational field that aims for a holistic understanding of humans. As an alternative to this, a teaching plan is designed to allow learners to think about death for the purpose of seeking the method of the death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the recognition of death in contemporary novels. The death education has been already included in the regular curriculum in other countries, and its definition also varies. Therefore, this study defined the death education as education of understanding the life of oneself and others by exploring the meaning of life and death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e search for the death education in the national Korean language curriculum shares the identical fundamental consciousness with the 2015’s revised national Korean language curriculum on the aspect of understanding the life of oneself and others. And it has an advantage as a complement to the learning of the conceptual aspect of death conducted in the current moral studies curriculum. In addition, regarding the method of describing in detail the grounds of the situation the characters are put into, their emotions and events, which are the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novels, they do not only allow learners to effectively understand the abstract concept of death, but also to advance towards the understanding and empathy for the bereaved. Kim-Ae ran’s novels are currently recognized for their educational values by being included for the inspiration and ethical function of literature or the study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s contained in works in the 2015 revised textbooks. Both 「The Onset of Winter」 and 「Where Would You Like To Go」 covered as topics in this study is a story of people who have lost their beloved ones. 「The Onset of Winter」 is the story of a couple who lost their young son in an accident and 「Where Would You Like To Go」 is the story of “I” who let go of her husband as he tried to save a student and had an accident. These stories allow learners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the process of grieving in advanc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death in the two novels, this study designed a specific teaching plan by drawing a learner’s response related to death and applying a response-oriented teaching/learning model to clarify it. It also focused on examining the process of changes in response by recording both the initial and final responses of learners on the worksheet presented together. In the midst of the overflowing virtual death, the meaning of real death is continuously forgotten. We should think about our own death while facing and experiencing the death of others. And it is the possibility that we may be one step closer to a complete understanding of life. If a class to share stories about death included in novels about death takes place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if learners engage in activities to share stories about death with others, it is also expected to serve as a small forum and a good attempt to discuss death openly.

      • 내러티브에 기초한 성인후기 기독교 죽음교육

        구희정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및 주제어 본 논문은 아무런 준비 없이 죽음을 맞이하는 사람들을 고민하던 중에 특히 시간적으로 죽음에 좀 더 가까이 있는 성인후기 대상을 위한 죽음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함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죽음에 대한 고민과 죽음을 위한 교육은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독교적인 죽음교육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죽음에 대한 인식과 교육에 있어서 그 바탕이 기독교적인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 큰 차이가 있다. 기독교적으로 죽음을 이해하고 기독교적으로 죽음교육을 해야 함이 본 논문의 가장 큰 목적이다. 각자가 다양한 삶을 살아오지만 죽음 앞에서 살아온 인생을 다시 성찰하며 남은 인생을 잘 살면서 마무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판단으로 연구하였다. 따라서 제Ⅱ부에서 기독교 죽음교육의 대상인 성인후기의 노인에 대한 발달적 이해를 에릭슨과 레빈슨의 발달이론으로 전통적인 이해를 고찰하였고, 지금의 시대에 노인을 바라보는 시각은 과거 전통적인 것과 같은 것으로 보고 이론을 정리하여 교육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새로운 발달이해로서 신체적, 인지적, 사회 정서적으로 나누어 정리하였고 또 신앙발달이해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제Ⅲ부에서는 죽음과 죽음교육에 대해서 학제적인 이해로서 일반적인 죽음의 이해와 성경적, 신학적 이해를 알아보았고, 죽음교육의 역사와 의미 그리고 국내외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Ⅳ부에서는 기독교 죽음교육을 위한 내러티브에 대한 학제적 접근으로 철학적, 심리학적, 인식론적, 신학적으로 나누었으며, 기독교교육적 접근으로 토마스 그룸의 이론을 고찰하였다. 제Ⅴ부에서는 앞선 이론들을 바탕으로 하여 죽음교육의 원리를 도출하였고 내용과 함의를 제시하였으며, 제Ⅵ부에서는 내러티브에 기초한 성인후기 기독교 죽음교육 “Na’s story 모델”을 제안하며 교육목적,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현장과 교사-학습자, 교육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마무리하였다. 이상으로 본 논문의 내러티브에 기초한 성인후기 기독교 죽음교육 Na’s story 모델은 예고 없이 죽음을 맞이해야 하는 노인들에게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기독교적 가치관으로 죽음을 준비하며 하나님 나라의 백성으로 사는 삶을 끝까지 살도록 돕는 교육효과를 기대하며 완성하였다. 주제어: 성인후기, 노인, 죽음, 죽음교육, 기독교 죽음교육, 내러티브, 스토리텔링

      • 죽음준비교육의 必要性과 需要에 관한 硏究

        황창익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According to the report on “Index of death quality” in the world released by EIU(Economist Intelligence Unit), the organ under the supervision of Economist, weekly economic magazine of UK in 2015, UK is found to be the 1st-ranked country where people may pass away most comfortably. Korea was reported to be ranked at the 18th place. Ranked at the 6th place, Taiwan is the most advanced country in Asian countries in relation to “quality of death.” The common point of UK and Taiwan is that death education is provided to all generations in long-term with national campaign such as “Find your 1%” in UK and “Announcing the truth” in Taiwan. The reason why death quality in Korea is lower than that of other countries is that most patients at the end of their lives are not treated with palliative care, but with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they are less prepared through conversation on death and they are less educated on the process of death. To improve death quality, education on death should be provided to citizens in adv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 verify the contents on 『Necessity of & demand for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life quality』 through death preparation education and to practice 『human death』 by self-determining right of death. Thus, recognition on the fear of death, difference in the demand for death preparation education, degree of recognition on the necessity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depending on whether participating in death preparation education, reason why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not so briskly activated and the influence that participation in death preparation education has on 『life quality』 are investigated for each socio-demographic property in order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n the future. For study, literature review, checking the data & literature on the preceding death preparation education, questionnaire and experts’ opinion are reflected. For subject of study, company employees and residents in Gwanak-gu, residents in Gaepo 1-dong Gangnam-gu, employees of KORAIL working in Seoul Station, residents who are educated in Changdong old men’s welfare center located in Dobong-gu and Nowon General Welfare Hall in Nowon-gu.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with statistical quantity like frequency,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 one-way ANOVA by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and the outcome of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which 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n fear of death out of socio-demographic properties are found to be age, economic level, health state & whether suffering disease. The factors which 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mand for death preparation education are age, occupation, economic level, health state & whether suffering disease. Second, it i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death preparation education affects the necessity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Third, it is found that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not briskly activated due to lack of recognition in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urth, it is found that life quality is affected by participation in death preparation education. As seen in the above outcome of study, life-long death preparation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all nations to correctly understand death, to positively convert recognition and to realize preciousness of life and human dignity. Like European countries and Japan, the education should be incorporated into a part of public education in near future. 2015년도 영국의 경제 주간지 Economist 산하 기관인 EIU (Economist Intelligence Unit)의 세계 “죽음의 질 지수” 보고서에 의하면 영국은 사람이 삶을 가장 편안하게 마감할 수 있는 나라 1위로 조사되었다. 우리나라는 18위로 보고되었고, 대만은 6위로 아시아 국가 중에 “죽음의 질” 만큼은 최 선진국이다. 영국과 대만 두 나라의 공통점은 영국의 “find your 1%”와 대만의 “진실 알리기”와 같은 대 국민 캠페인과 장기적으로 전 세대를 대상으로 한 죽음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죽음의 질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 낮은 이유는 임종에 가까운 환자 대부분이 완화의료 보다는 연명의료를 받는다는 점과 죽음에 대한 대화 등을 통한 준비가 적다는 점, 죽음과정 등에 대한 교육이 부족한 점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죽음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시민들에게 죽음에 대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과 수요』 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검증하여 죽음준비교육을 통하여 『삶의 질』 을 향상시키고, 죽음의 자기결정권에 의한 『인간다운 죽음』을 실천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 죽음의 공포에 대한 인식과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수요의 상이성, 죽음준비교육의 참여 여부에 따른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정도, 죽음준비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이유, 그리고 죽음준비교육의 참여 여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향후 죽음준비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기존의 죽음 준비교육에 관한 선행연구 자료와 문헌을 검토하는 문헌 조사방법과 설문조사 방법, 그리고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였다. 연구 대상은 관악구에 소재한 직장인과 지역 주민, 강남구 개포1동 주민, 서울역에 근무하는 코레일 직원, 그리고 도봉구에 소재한 창동 노인복지센터, 노원구 노원종합복지관에서 교육을 받은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분석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 등의 통계량, t-test 및 일원배치분석(ony-way ANOVA) 방법으로 통계처리 하였고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사회학적 특성 중 죽음의 공포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은 연령, 경제수준, 건강상태, 질병여부로 나타났으며,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수요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은 연령, 직업, 경제수준, 건강상태, 질병여부가 있었다. 둘째, 죽음준비교육 참여는 죽음준비교육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죽음준비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이유는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넷째, 죽음준비교육 참여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보듯이 이제는 죽음에 대해 올바른 이해와 긍정적인 인식의 전환, 생명의 소중함과 인간의 존엄성을 일깨워 주기 위해서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평생교육으로써의 죽음준비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나아가 가까운 미래에 서구 유럽, 일본 등과 같이 공교육의 일부로 편입되어야 한다.

      • 요양보호사 대상 뇌교육 기반 웰다잉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오순자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뇌교육 기반 웰다잉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함으로써 요양보호사의 직무소진, 죽음에 대한 인식, 돌봄에 대한 태도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프로그램 개발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고 원리, 전략, 운영모형, 수업모형, 회기별 프로그램 내용을 개발한 후, 전문가 의견수렴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S 요양원과 J 요양원의 요양보호사 중 S 요양원 20명을 실험집단으로, J 요양원 20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2022년 4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대상으로 주 2회 90분 총 12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죽음에 대한 인식, 직무소진, 돌봄에 대한 태도 검사 하위 요인에 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공변량 분석과 t 검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을 마치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만족도 평가를 하였으며, 소감문, 관찰일지, 심층 면담 등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결과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은 치유와 정화의 원리, 긍정적인 죽음 인식의 원리, 교감과 소통의 원리, 삶의 목표 설정 및 실행의 원리 등 4개의 원리와 12개의 전략을 개발하였다. 또한, 전체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서 직무스트레스 해소 및 자기 치유, 죽음에 대한 인식 바꾸기, 노인 돌봄 인식 및 태도 바꾸기, 긍정적 삶의 가치 창조하기의 4단계 운영모형을 개발하였고 1회기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해서 느끼기, 치유하기, 성찰하기, 새로운 나 만들기의 4단계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직무소진 전체뿐만 아니라 정서적 고갈, 성취감 감소, 탈 인격화 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죽음에 대한 인식 전체뿐만 아니라 죽음 긍정, 죽음 부정, 죽음 불안, 죽음 관심, 생명 존중 의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돌봄에 대한 태도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을 통한 질적 변화과정을 분석한 결과, 자기 치유, 웰다잉 인식 변화, 돌봄에 대한 태도 변화, 긍정적 삶에 대한 깨달음과 같이 4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으며, 뇌교육 기반 웰다잉 프로그램이 요양보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직무소진, 돌봄에 대한 태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첫째, 뇌교육 기반 웰다잉 프로그램은 요양보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개선, 직무소진 해소, 노인 돌봄 태도 개선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듈 형태로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뇌교육 기반 웰다잉 프로그램은 요양보호사의 직무소진을 해소하기 위해 신체, 정서, 인지 등 통합적으로 직무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다. 셋째, 뇌교육 기반 웰다잉 프로그램은 죽음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웰다잉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할 수 있도록 자기 죽음을 준비, 삶의 태도 성찰을 통해 죽음에 대한 인식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넷째, 요양보호사 대상 뇌교육 기반 웰다잉 프로그램은 요양보호사가 자신의 미래에 대한 삶을 계획하고 실천하면서 돌보고 있는 노인에 대한 돌봄 태도를 향상 하고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첫째, 본 연구에서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뇌교육 기반 웰다잉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지만, 간호사, 상담사, 콜센터 직원 등 다양한 감정노동자를 대상으로 뇌교육 기반 웰다잉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뇌교육 기반 웰다잉 프로그램은 면대면 중심으로 개발하였기 때문에, 향후 온라인(on-line) 또는 블렌디드(blended) 형태의 뇌교육 기반 웰다잉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할 필요가 있다.

      •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양로시설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오혜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의학 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해 인간의 수명은 길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노인의 양적 증가에 관심을 가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노인의 삶의 질적인 측면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노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죽음 수용이며 죽음 수용은 많은 학자들이 노년기에 이루어야 할 중요한 과업이라고 이야기 한다. 그러나 노년기에 겪게 되는 신체적·정신적 노화, 배우자와의 사별, 경제적 여건의 악화, 사회적 역할 상실 등으로 인해 죽음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기 힘든 환경에 있다. 대부분의 노인들은 죽음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으로 인해 우울의 정도가 높으며 삶의 질이 낮으며 이로 인해 신체적, 심리적 질환의 발생이 가속화되기도 한다. 노인 중 양로시설 거주 노인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에 비해 사회적, 심리적으로 취약하여 죽음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기 어려워 이에 대한 개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죽음준비교육은 죽음이 주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죽음이 현재의 삶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목적하며 이에 대한 긍정적인 연구 결과들이 밝혀졌다. 국내에서 이루어진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닌다. 첫째, 죽음준비교육 참가자가 대부분 노인대학과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으로 양로시설 거주 노인을 위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둘째, 죽음준비교육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한 사전-사후 검사가 주를 이루었고 교육의 효과를 보다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추후 검사를 실시한 연구는 없었다. 셋째, 국내에 표준화된 죽음준비교육이 없으며 현재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박지은(2009)의 프로그램은 죽음학 학자 Corr(1995)가 제시한 죽음준비교육의 4가지 차원 중 3가지만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양로시설 거주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추후검사를 하였다. 또한 박지은(2009)의 프로그램에 Corr(1995)의 죽음준비교육의 4가지 차원(인지적 차원, 정서적 차원, 행동적 차원, 가치적 차원) 모두를 프로그램 내용에 적용하여 보다 다각적인 죽음준비교육이 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죽음준비교육이 양로시설 거주 노인의 죽음불안과 우울 및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A양로시설에 거주하는 노인 중 비동일통제집단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여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참여자는 총 46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을 위해 카이스퀘어 검증(chi square : x²)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Independent Sample t-test),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 대응표본 t 검증(Paired Sample t-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양로시설 거주 노인의 죽음불안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으며 그 효과는 추후검사에도 유지되었다. 둘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양로시설 거주 노인의 우울을 사후검사와 추후검사 시 까지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 셋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양로시설 거주 노인의 삶의 질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으며 그 효과는 추후검사에도 유지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 및 함의는 실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양로시설 거주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추후검사까지 실시하여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였다.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단순히 죽음 불안을 낮추는 것뿐만이 아니라 사회복지의 궁극적 목표인 삶의 질을 향상시켰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People are living longer these days thanks to medical advancement and a higher standard of living. The Quality of elderly people’s life is as important as the growth of the elderly population. One of the critical factors that determine the quality of elderly living is acceptance of death, which many scholars regard as an important task that people should manage in their old ages. However, it is hard for elderly people to accept the notion of death positively amid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terioration, bereavement of spouses, declining financial condition, and the loss of their social roles. A majority of elderly people feel quite depressed due to vague anxiety over death, and suffer from a poor quality of life, which might accelerate physical and psychological illnesses. In particular, elderly people residing at nursing homes are more vulnerable socially and psychologically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in the community, and they need intervention as it is hard for them to positively embrace the notion of death. The purpose of death education is to mitigate negative impact of the notion of death so that death c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resent life. In this regard, promising research outcomes have been produced. However, previous studies on death education in Korea presented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most participants were attendants of elderly colleges or users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and research was not done for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s. Second, most studies were based on pre- and post-education test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death education, and no research involved a follow-up test to measure the effect of education more accurately. Third, there is no standardized program for death education in Korea, and the widely used program developed by Park(2009) addresses only three out of four dimensions of death education proposed by a thanatologist Corr(1995). Noting these limitations, in this study, death education was given to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s, and pre-, post-education tests as well as a follow-up 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s for research methodology, the widely used Park’s death education program was adopted with all four dimensions by Corr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and value) to provide a more diversified angl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death education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death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for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s. Forty-six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 A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y are a heterogeneous group of people, and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to undergo pre-, post-education tests and a follow-up test. With the collected data, x² test was conducted to test homogeneity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d paired sample t-test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using SPSS Win 22.0.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eath education program significantly reduced death anxiety of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s, and this effect was maintained until a follow-up test. Second, the death education program significantly alleviated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s, in both post-education test and follow-up test. Third, the death education program improved quality of life for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s, and this effect was maintained until a follow-up test. These findings provide useful implications in developing a practical death education program for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s, and the study secured a high level of credibility and validity by conducting a follow-up tes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study produced an empirical evidence to show that the death education program not only mitigates anxiety over death but also enhanced elderly people’s quality of living, which is an eventual goal of social welfare programs.

      • 미술작품과 그림책을 활용한 죽음에 관한 인식과그에 대한 표현 지도 연구 : 고등학교 미술 수업을 중심으로

        유명주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죽음과 상실의 올바른 인식과 이를 직접 직면하였을 때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애도 과정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표현을 위한 미술 교과 내 죽음 교육 교수·학습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죽음과 상실이라는 단어가 주는 무거움에 좀 더 가볍게 접근하고자 그림책이란 매체를 선택하였다. 오늘날 그림책을 활용하여 죽음 교육하는 많은 수의 연구가 있으나 그 대상이 전반적으로 아동에 편중되어 있으며 청소년과 어른을 위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2학년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제 죽음 교육을 실행해봄으로써 (1) 그림책과 미술 작품을 연계한 죽음과 상실 교육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고, (2) 학습자들이 죽음과 상실 개념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관찰하여, (3) 그림책과 미술 작품을 통한 죽음 교육이 갖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죽음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 설계를 위해 서론에서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방법에 관해 제시하며 죽음 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 소재를 탐색하고 연구 문제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자료 수집 과정 및 자료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제Ⅱ장에서는 죽음과 상실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고 이제 하나의 예술로 자리 잡은 그림책을 살펴보았으며, 시대별 미술 작품에 내재한 죽음의 이미지를 파악하고 의미를 고찰하였다. 제Ⅲ장은 실제 수업에 적용될 교수·학습 지도안의 설계 과정으로 1차시 감상 수업 시 죽음 개념에 대한 키워드 도출을 위해 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활용하였다. 브레인스토밍한 후 키워드 선정은 그림책과 미술 작품 감상 시 도출됐던 단어들을 통해 감상을 정리할 수 있으며, 주제에 대해 다시 한번 개념 정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차시 표현 수업의 지도안은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미술 창작의 핵심 역량 및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표현 계획과 표현과 확장 영역의 핵심 개념 순서에 따라 수업의 방향성을 설계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앞 장에서 설계된 1차시, 2차시 최종 교수·학습 지도안 및 수업자료를 제시하고, 학습자들의 결과물 및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죽음 개념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표현을 살펴보고 설계된 지도안의 보완점을 탐색하였다. 또한, 전반적인 죽음 교육에 대한 만족도 및 도움이 된 연구 도구를 파악하여 지도안의 보완점을 숙고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그림책을 통해 평소에 생각해보지 않았던 죽음과 상실에 대해 생각할 수 있으며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주제에 관한 생각을 확장해나갔다. 둘째, 학습자들은 감상을 통해 선정한 키워드에 대해 조형 요소 및 조형 원리를 활용하여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주제에 대해 어둡거나 무겁게만 표현하지 않는 모습을 나타냈다. 셋째, 정규 교과과정에 포함되어있지 않은 죽음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은 죽음과 상실에 대해 생각해보며 앞으로 자신의 삶에 대한 준비의 필요성을 깨닫고, 과거 상실의 경험을 글, 그림, 그리고 감정 표출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며 감정을 환기하였다. 본 연구는 누구나 알고 있지만, 그에 대해 한 번쯤 깊이 있게 생각해보기 어려운, 그래서 실제 마주하였을 때 당혹스럽고 받아들이기 힘든 고통을 겪게 하는 ‘죽음과 상실’이라는 주제를 미술 교과 내에서 조명함으로써 죽음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평소 생각하지 않았던 것에 대해 집중하여 과거 자신이 묻어두었던 상실과 부재의 대상을 현재로 불러와 애도하고 그에 대한 의미를 생각해보며 삶과 죽음, 그리고 상실에 대해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 것에 의의를 둔다. 그러나 애초 그림책과 미술 작품 감상을 통한 죽음 교육에 초점을 맞춘 연구계획을 보완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애도 과정에 보다 중점을 두고 상실을 극복하는 과정, 그 방향성을 제안하는 세부 교수 학습 지도안 설계 후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