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의 과학교육분야 석사학위논문 경향분석

        류샛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에서는 서울·경기지역 주요 4년제 대학교의 각 8개의 교육대학원 과학교과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중 2001년 2월에서 2010년 8월까지 10년 동안 발표된 논문을 연도별로 연구 분야별, 연구방법별, 연구유형별, 연구주제별 부문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추출된 총 논문의 수는 1045편이며, 이를 전반 5년과 후반 5년의 발표 논문을 비교함으로써 과학교육 연구의 현황과 그 경향성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논문을 분야별로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분야는 생물교육 분야와 화학교육 분야로 각각 38%와 31%를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는 물리교육 23%, 지구과학교육 6%, 공통과학교육 2%의 순으로 나타났다. 후반 5년에는 전반 5년보다 생물교육 분야의 논문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화학교육 물리교육 및 지구과학교육 분야는 감소하였다. 공통과학교육 분야는 전체적으로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 논문을 방법별로 분석한 결과 문헌 연구가 41.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 실험연구가 29.4%, 기술연구가 27.3%로 비슷한 비율을 차지하였고, 역사연구가 1.8%의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전반 5년과 후반 5년을 비교하였을 때 방법별의 순위 변동은 없었다. 또한 역사연구방법이 전체적으로 매우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각 교육대학원 별로 비교를 해보았을 때에도 역사연구방법이 가장 적었다. 셋째, 연구 논문을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교육 분야가 아닌 각 과학영역의 전문분야가 연구된 논문이 19.6%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그 외에 나머지 교육 분야에 관련된 논문 중 9가지 주제 중에서는 교육목표․정책․과정․평가의 주제가 18.9%로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교수방법 연구가 11.8%, 학교 밖 교육이 10.8% 그리고 교육공학이 10.0%로 10%내외의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전반 5년과 후반5년의 순위변동은 크게 없었으며, 교사교육의 연구가 전반적으로 2.8%로 가장 낮은 순위를 보였다. 연구주제의 특정 부문의 연구가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교육대학원의 과학 교육연구는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고조시 킬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논문을 연구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는데, 과학교육의 발전과 연구자들의 연구를 위해서라도 각 학교 도서관마다 검색시스템이 개선되고, 자료를 공개적으로 제공하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중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 속의 문화 내용 비교 분석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근거로

        이승환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전 세계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세계어’로서의 영어 습득에 있어서, 영미 문화의 다양한 양상들을 이해하는 것이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오류 없는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중학교 3학년 영어 교과서와 학습 활동책의 고정 문화란의 문화내용을 문화 소재별, 문화 유형별, 문화 배경별로 분석함으로써 각 교과서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소재 면에서는 타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문화내용, 우리 문화와 타 문화와의 차이를 이해하기 위한 문화내용, 교양 증진을 위한 문화내용 등 특정 소재에 편중되어 있었다. 둘째, 문화 유형 면에서는 대부분의 교과서가 정신문화에 가장 큰 비중을 두었고, 그 다음 행동문화, 물질문화의 순이었다. 셋째, 문화 배경 면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목표언어의 문화인 영어권 문화보다 불특정 보편문화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양한 문화내용이 교과서에 골고루 반영되어 문화지도의 수단으로써 고정 문화란을 이용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는 점에서 교과서의 중요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보편적 진리를 담고 있는 문화내용은 다소 배제하고, 고정 문화란을 학습 활동책이 아닌 교과서에 편성한다면, 단원과의 연계성뿐만 아니라 문화지도에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하며, 차후 개정될 교과서에 반영된다면 진정성 있는 문화지도를 할 수 있는 학습도구로 자리하게 될 것을 기대해 본다.

      • 고등학교 미술교과서의 디자인개념 분석을 통한 수업 방안에 관한 연구 : 2009개정 미술문화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채윤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사회에서는 창의적 인재의 필요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필요에 발맞춰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인성교육 강조하면서 창의적이면서 올바른 인성과 도덕적 판단력을 지닌 학생을 기르는 데 주력하고 있다. 타일러는(Ralph W. Tyler, 1902~1994) 창의적인 재능을 생산적 사고, 계획, 의사소통, 예측, 의사결정이라는 5가지 재능으로 대치되어 학교에서 가르칠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따라 문제 해결 방법을 가르치는 과목으로 적합하다고 하는 디자인이 창의성을 기를 수 있는 과목으로도 주목받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현재 디자인 교육의 현황을 진단해보고 부족한 점과 개선할 점을 찾기 위해 교과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중학교에서는 기초 지식을 쌓고 기본기를 익히는 점을 중요시하고 있기 때문에, 중학교보다는 고등학교 교육이 창의적인 사고능력을 기르는 교육에 적합하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고등학교 미술 선택과목 중 ‘미술 문화’ 교과서 8종을 분석 대상으로 정하고 내용분석법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였다. 교과서 분석에 앞서, 교과서 편찬의 기본이 되는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먼저, 2014년 고등학교에 도입된 2009개정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과 주요 개정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만들어진 미술과 교육과정과 미술문화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2009개정 교육과정은 중복되는 내용을 최소화하고,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줄이며 진로개발에 집중할 수 있게 하는 방향으로 수정되었다. 개정된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이전보다 시각문화 교육을 강조하며 학생들이 주변의 문화적인 현상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며 비판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게 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 디자인은 분야에 따라 단편적인 개념을 제시하며, 추상적인 표현의 사용으로 학생들의 사고를 구체화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 뿐만 아니라 분야에 어울리지 않는 개념제시로 효율적인 교육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교육과정을 개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단원 별로 중복되는 내용이 있고, 내용이 체계적으로 제시되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학생들의 학습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 다양한 각도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여러 가지 면을 수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디자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업 지도안 설계 시 고려한 점은 학생들이 기능과 심미적인 측면 중심으로 디자인을 익히되, 인간과 환경을 배려한 디자인을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과제에 몰입할 수 있게 하고, 학습을 통해 얻은 지식을 실생활에 빠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실제 상황과 유사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설계한 수업은 안산 고잔 고등학교 2학년 학생 36명을 대상으로 시연하였다. 수업 결과 학생들이 환경과 인간을 배려하는 디자인에 대해서는 지식으로는 알고 있었지만, 실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고등학생은 나름의 논리적인 사고구조를 가지고는 있었으나 완전히 종합적이고 유기적인 사고에는 부족함이 있었으므로 기준을 세우거나, 정보를 종합하고 분석하는 면에서는 교사의 도움과 연습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얻은 교과서 분석 자료와 수업 시행 결과는 이전에 진행된 바 없는 연구로, 미술 교과서에 제시된 디자인 교육이 향하는 큰 방향과 구조를 파악하는 충실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내용을 체계화하는 기준에 대한 연구나, 교육적 가치를 지닌 다양한 디자인의 개념에 대한 것은 충분히 다루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주제에 관한 후속연구가 진행된다면 디자인 교육이 앞으로 더 의미 있고 효과적인 교육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 고등학생의 어휘 능력 실태에 관한 연구

        함유선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대학생들의 학술 도서 이해 능력 및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문제의식이 대두되고 있다. 이것은 우리 중등 국어과 교육 현장에의 문제점을 여실히 드러내는 것이며 국어과 교육 과정의 목표 및 내용에 대한 변화를 요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국어과 교육은 국어 사용 능력을 신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것의 주요 구성 요소인 어휘 능력을 기르는 어휘 교육은 국어과 교육에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현재 고등학생들의 어휘 능력의 현주소를 정확히 진단하여 어휘 교육을 계획하고 실천하고 그 적절성을 판단하는 데 기초 자료로 삼아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직접 지도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 조사와 일반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행평가를 기초 자료로 삼아 학생들의 어휘 능력의 실태를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일상적인 의사소통 또는 교과 지도 시 체감하는 학생들의 어휘 능력 수준이 낮은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학생들의 어휘 능력 중 가장 부족한 요인 2차 어휘의 의미에 대한 지식으로 꼽았다. 그리고 대부분의 교사가 어휘 능력과 국어 사용 능력 및 타 과목의 학습 능력과의 상관 관계가 높다고 생각하였으며, 교사들은 학생들의 어휘 능력 수준이 다양한 학문 분야(과목)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학생들이 직접 작성한 글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어휘 능력 실태를 살펴보면, 연어와 이어 사용면에서 개인차는 매우 컸으나 계열별로는 차이가 없었다. 학업성취도별(1~4등급)은 단순 평균 수치로 비교해 보면, 이어수가 학업성취도와 비례하는 수치로 나타나지만 통계 검증을 통해서는 학업성취도별 어휘 능력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사용하는 어휘를 등급별로 나누어 개인별 어휘 능력 수준을 살펴본 결과, 개인별로는 어휘 능력 수준의 개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계열별로는 단순 평균 수치를 비교해 보면 인문 계열 학생이 자연 계열 학생의 비해 어휘 능력 수준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큰 차이는 아니었으며, 통계 검증을 통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학업성취도별로도 어휘 능력 수준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어휘 사용 실태 및 어휘 능력 수준은 개인별로 편차가 매우 컸다. 이는 의도적인 학교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어휘 능력이 일정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으며, 국어과 교육 특히, 어휘 교육이 부실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 어휘가 특별히 세밀하게 그 의미를 구분해 주지 않아도 1차 어휘로 풀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2차 어휘로 사용하려는 노력이 부족하다. 그러나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은 대학 교육을 받기 직전 교육 현장에 놓여 있으므로 의도적인 어휘 교육을 통해 구체적이고 섬세하게 의미를 변별해 주고 그것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의 진행 시 시간 및 경제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앞서 언급하였던 향후 연구 과제를 보완한다면, 학생들의 어휘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방법 및 지도 방법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광고를 활용한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광고 언어를 활용한 표현 전략 지도

        천지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학교에서의 쓰기 교육은 현재 매우 다양한 형태와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 내용도 많이 체계화되었고, 전문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도 쓰기 교육의 효과는 크게 달라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광고 언어를 활용한 쓰기 능력 신장에 목적을 두고 있다. 광고 언어를 언어 사용 기능의 실천적 자료로서 활용했다. 보다 흥미 있는 언어 사용 기능을 위해서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언어 현상에 대한 읽기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광고 언어 자료를 통해서 규범을 정리하고 학생 개개인의 광고 언어에 대한 지식을 실제화했다. 광고 언어를 세분화하여 다양한 문장 유형 파악하기, 광고 언어 속에서 다양한 수사법 찾아보기, 새로운 어휘 창조 교육과 그 가능성 진단, 그리고 맞춤법, 띄어쓰기, 표준어 사용 등 규범 언어에 어긋난 표현을 찾아 국어의 쓰기 교육에서 지도해야 할 사항을 제시했다. 비판적 읽기 자료로서의 광고 문안은 어떤 광고 언어가 과장되고 진실성이 없는 것인가, 어떤 요소가 우리에게 호감을 주거나 불쾌감을 주거나 하는 것인지에 대해 비판할 수 있도록 했고 광고 언어를 통한 비판적 읽기를 통해서 우리 사회의 현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정해진 교과서가 아닌 열린 교재로서 소재의 다양성 측면에서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었다. 그리고 광고를 제작하는 교과서 단원을 제시했고 이 단원을 교수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광고 언어를 활용한 표현 전략 지도 방안’을 첨부했다. 좀더 학생 중심의 사고와 실용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대중 매체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광고 언어를 조직적으로 잘 지도함으로 바람직한 국어교육이 될 것을 기대한다.

      • 강화 고인돌 유적을 활용한 세계유산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초등학교 주제중심 통합교육을 중심으로

        김다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세계유산을 활용한 세계유산교육에 대한 논의가 다양해지고 있다. 유네스코(UNESCO)에서 채택한 「세계문화 및 자연유산 보호협약(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의 제 27조와 제 28조에서 세계문화유산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교사들을 위한 세계유산교육 지침서를 발간하여 세계유산을 통해 문화 다양성을 이해하고 지속가능발전의 의미를 배울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방향으로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사회과에서도 기존의 통사(通史) 중심의 내용구성에서 문화사 중심의 주제사 구성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2019학년도부터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에게 적용될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맞춰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강화 지역의 고인돌 유적을 중심으로 주제 중심통합 교육 방법을 개발하였다. 강화 지역의 고인돌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중심의 국어, 사회, 과학, 도덕, 미술 등 5개 교과목을 통합한 주제 중심통합 수업안을 계획하였다. 고인돌의 의미와 세계유산적, 지역유산적,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고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학생 대상의 고인돌 교육을 교과 교육, 체험 활동 교육, 도서 교육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하여 지식, 기능, 가치·태도 학습이 모두 이루어지는 활동적인 수업안을 개발하고, 이를 현직 초등교사의 전문가 집단의 평가를 거쳐 수정 및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대상의 세계문화유산 고인돌 활용 주제중심 통합 수업안을 개발하였다. Fogarty의 거미줄형 교과 통합 방법을 바탕으로 5개 교과를 연계하여 세계문화유산을 교육 소재로 활용한 교육 방법 연구로서의 성과를 갖는다. 둘째, 초등학생 대상의 고인돌 활용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학교 내 교육의 교과 교육, 학교 밖 교육의 체험 활동 교육, 도서 교육으로 나누어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고인돌 교육을 살펴보고 올바른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점을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여 올바른 교육이 될 수 있도록 수업 계획안을 구성하였다. 셋째, 지식, 기능, 가치·태도를 모두 함양할 수 있는 고인돌 활용 수업 계획안을 개발하였다. 총 15차시의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고인돌과 관련된 다양한 지식을 학습하면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다. 세계문화유산으로서 고인돌의 의미를 알아보는 과정을 통해 아끼는 마음을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인돌 활용 주제 중심 통합수업 계획안의 실행 가능성과 교육성을 알아보고자 경력 10년 이상의 초등교사에게 설문지를 통한 평가를 실행하였다. 평가 결과 수업 계획안의 학년 적합성, 학습 목표 달성 가능성, 교과 통합의 유기성 등 대체로 적절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활동에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사전 과제를 제시하는 방법과 학생의 흥미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구성하는 등의 제언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러한 제언을 수용하여 수업 계획안을 수정 및 보완하였으며 실제 현장에서의 실행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세계유산과 세계유산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사회에 도움이 되고자 초등학생 대상의 세계문화유산 강화 고인돌 활용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정체성과 역사의식을 가질 수 있으며 세계문화유산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 수 있으므로 고인돌을 활용한 통합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향후 세계문화유산, 강화 고인돌과 교육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는 연구자에게 도움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라며 나아가 강화의 다양한 유적지를 활용한 강화 에코 뮤지엄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교과 통합을 통한 고전 소설 지도 방안 연구 : <최척전>을 중심으로

        윤영일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 요약> 문학의 성격에 비추어 문학 교육은 ‘인간은 문학 활동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탐색하고 그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문학의 심층적 이해를 통한 수용과 문학을 자신의 삶과 직결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내면화 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에서의 문학 교육은 문학 교육의 성격과 목표에 비추어 보았을 때,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탐구 활동은 물론이거니와 대학 입시와 맞물려 주입식 교육이 주를 이루고 문제풀이식의 학습 전략을 문학 교육이라고 하는 등 파행을 거듭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고전 소설은 생소한 어휘와 고리타분한 고전이라는 선입견으로 인해 학습자들에게는 흥미는 차치하고라도 접하기 조차 꺼리는 문학 장르로 인식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사실주의적 고전 소설 <최척전>을 통해 학습자의 고전 소설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하고 흥미를 유발하며, 고전 소설과 학습자의 삶이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깨달아 실천적 문학 활동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타 교과와의 통합 교육을 통한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우선 <최척전>의 시대적, 공간적 배경을 바탕으로 역사 교과와의 통합 교육을 통한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최척전>의 시대적 공간적 배경을 역사 교과의 16~17세기 동아시아 전란과 동아시아 각국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국사>교과서와 <역사부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합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지도 계획을 제시하였다. 또한 <최척전>에서 보여주고 있는 고난 극복과 희망의 구심점으로서 가족과 가족애, 사회 문제로까지 이해할 만한 자살 문제를 학습자의 삶과 현실 문제에 연계하여 작품을 수용하고 내면화하는 과정이 될 수 있도록 사회 교과와의 통합을 통한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척전>의 주제 의식인 ‘가족이산의 문제’는 우리의 현실 속에서도 재현되고 있기 때문에 창의적 체험활동에서의 ‘학술활동, 지역사회 봉사활동, 진로탐색 및 진로 체험 활동’과 연계하여 실천적인 문학 활동과 더불어 자율성과 다양성에 기초한 창의․인성 교육이 가능하도록 작품과 연계하여 지도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실제 교과를 통합하여 지도함으로써 얻어 지는 효과에 대한 실증적 검증, 교사 간 의사소통의 유형과 방법, 수업 설계에 있어서의 구체적이고 세밀한 계획, 학생의 문학 활동 유형의 다양화 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문학 교육을 지도하는 교사는 실제로 학습자와 소통이 이루어지는 학교 현장에서의 문학 교육이 주입식 입시 교육이라는 비판을 겸허히 수용하고 반성하여야 한다. 학습자 스스로 자기 주도적 탐구활동을 통해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내면화하여 평생토록 실천적 문학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는 방향으로 문학 교육의 일대 전환이 필요하다. 학교 현장에서 부딪히는 다양한 문제가 존재하지만, 이를 해결하고 바람직한 문학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와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Teaching Method for Classic Novels through Curriculum Integration -Centering around Choi Cheok Jeon- Yun Young Il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ha University. In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a literature education requires to explore an answer to such question as 'what can humans achieve with literary activities?' and, at the same time, literature education should seek its action plan. To accomplish this, it needs to accept literature through in-depth understanding thereof, and to recognize the fact that literature is directly connected to one's own life, so then there is every reason to have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preceded in literature education. Meanwhile, however, literature education in high school curriculum has been carried out mainly by means of cramming education with a focus o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not catering to the needs of self-regulated exploratory activity of learners whe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literature education. Everyone knows the repeated malfunction of education in high school that the strategy of learning and teaching only through problem solving method has been applied to literature education. Classic novels, in particular, have been recognized as a literary genre which is avoided by the learners to access, apart from arousing their interests, because of unfamiliar vocabularies and the learners preconceived notion about classic literature that the books are boring and old-fashioned. In this paper, the writer tried to relieve aversion among students toward classic novels, and to arouse their interests through studying the realistic classic novel, <Choi Cheok Jeon> and also to seek a teaching method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in collaboration with other curriculums which will help learners realize the fact that the classic novels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lives, with a hope that study of classic novels could be developed as a practical literary activity. First, this paper proposed a teaching method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in collaboration with history curriculum based on the background of the time and space of <Choi Cheok Jeon>. Also, to help learners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time and space of <Choi Cheok Jeon> amid East Asian wars during the 16th to 17th century as described in the history textbook, and relationships with each East Asean country, the writer examined <Korean History> textbook and the <historical maps>, then by combining the two, the writer designed a training course and presented an instructional plan. In addition, having accepted and internalized the literary work by combining family and family love, which is a pivotal element to give hope and overcome hardship, and a suicidal issue, which could be considered as a social issue, depicted in <Choi Cheok Jeon> with the learners' lives and their real world problems, the writer tried to seek a teaching method through integration with social curriculum. Lastly, since 'the issue of family separation' which is the main concept of <Choi Cheok Jeon> is revived even in our real world, the writer tried to find an instructional method by combining such issue with 'academic activity, service activity in community, career search and experience activity' which are included in the creative hands-on experience activities. Also, the writer tried to discover a method to instruct the learners by combining relevant concept with the literary work so that the learners can carry out their practical literary activities. However, this paper is required to supplement in terms of practical verification on the effect of curriculum integration; types and methods of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specific and detailed plans for class; and study on a variety of students' literary activities. Literature teachers shall humbly accept that literature education in the locale of setting of a school where a teacher and students real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s college-centered cramming education. A drastic transform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is necessary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 which will enable learners to carry out their practical literary activities for all their lives by looking back their own lives and internalizing it through self-regulated exploratory activities. There are varied issues which may be adverse to the reality in the school education. However, efforts for diverse kinds of research and to seek methods so much as to be able to resolve such issues and to turn it into a desirable literature education should be exer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