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자유학기제 블록타임을 활용한 음악 창작 수업 개발

        노은정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2016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된 자유학기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효과적인 수업 방안을 찾고 만족도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먼저, 자유학기제의 이론적 배경과 운영방안 및 평가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하여 예술·체육 프로그램에 활용 가능한 음악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음악 수업 지도안은 ‘창작’활동에 중점을 둔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음악은 인간의 창의적 표현 욕구를 충족시키고 다른 사람과 소통하는데 기여하는 예술이며, 음악 교과는 다양한 음악 활동을 통해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음악성과 창의성을 계발하여 음악을 삶 속에서 즐길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교과로 명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현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성을 계발하는 활동 중심의 수업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음악 교과는 특성상 가창이나 악기연주, 창작 등의 수업에 있어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하지만 실제 공교육에서는 수업 시수나 학교의 여건 등에 의해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풍부한 경험을 여유 있게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자유학기제의 블록타임을 활용하여 이론과 활동을 매 시간 함께 다루어 학생들의 참여와 창의력 계발에 중점을 둔 수업을 가능하게 하였다. 17차시로 전개되는 프로그램에서는 매 시간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기 위해 제재곡 선정에서 ‘대중음악’의 비중을 높였으며, 활동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활동지’를 적극 활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17차시로 진행되며, 매 시간 학습자 중심 수업을 실현하기 위해 도움이 되는 제재곡의 선정과 활동지 구성에 중점을 두었다. 본 프로그램은 2016년 1학년 2학기에 재학 중인 대건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였고, 104명의 학생들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업의 선호도와 만족도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의 블록 타임제를 활용하여 기존 음악시간에 시간 부족으로 다룰 수 없었던 다양한 창작 활동을 학생들에게 제공하여 모든 학생들이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하였다. 둘째, 학생들에게 비교적 친근한 장르인 ‘대중음악’이 수업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 결과가 104명 중 81명인 77.9%로 나타났다. 셋째, ‘활동지’들은 학생들이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는데 도움을 주었다는 결과가 104명 중 84명인 80.8%로 나타났다. 넷째, 수업 이후 음악을 통해 생각을 표현하는 것이 쉽게 느껴졌다는 결과가 104명 중 76명으로 73%가 표현 영역에서의 자신감을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기존 평가로 사용되던 중간·기말의 지필고사 대신 과정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포트폴리오 평가는 학습에 유의미하게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대중음악’과 ‘활동지’들이 학생들의 창작 활동에 도움을 주었다는 결론이 도출되었고 수업에 대한 선호도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들 외에도 평가 방법의 변화에 따른 학생들의 수업태도나 교수방법에 대한 연구 부족 등 문제점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자유학기제의 의미 있는 정착을 위해 문제점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개선방안을 연구해 볼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프로그램의 연구 역시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 자유학기제의 정책 효과 분석

        김지현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n integrated research method that utilizes both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to analyze whether the free semester system, which has become a mainstream policy in middle schools, is an effective policy that makes children happy.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approach that cannot be explained everything only by figures, field teachers were FGI and the teacher's voice on the free semester policy was heard. As the goal of the free semester system suggests, we had time to examine whether the policy contributes to children's personalized growth, improves career maturity, expands students' creative thinking skills, or does it negatively affect their academic performance (academic achievement) as concerns about the free school year system.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aims to suggest supplementary points for the current policy and what improvements are needed in the upcoming 2022 revised curriculum. Specific research problems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has the free semester policy increased creativity and career maturity as it aims? Second, did the free semester system promote the educational gap and the increase in private education expenses as concerns? Third, what should be improved to internalize the free semester system policy and to revive the original purpos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ree semester system did not have much effect on students' creativity and career maturity. The creativity and career maturity of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free semester system were neither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nor lower than those who had never experienced it. This suggests that the strengthening of future core competencies and career search capabilities, which the free semester system has as its main policy goals, are not being properly achieved. Second, the free semester system did not have much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English, and math subjects.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teachers and parents in the field have voiced concerns that the policy, which does not take tests, is widening the educational gap between the top and bottom and is causing a deficiency in academic ability. To confirm this as empirical evidence, difference-in- differences method was performed, but th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contrary to concerns, the free semester system did not have much effect on students' private education hours of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There were concerns that the failure to take the free-semester test would create a gap in academic background and improve private education to fill it in the next school year, but empirical evidence concluded that this was excessive concern. It was judged that quantitative research alone could not sufficiently explain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so teacher FGI was conducted as a follow-up study to supplement this. As a result of FGI of six field teachers, it was clearly pointed out that this policy was an ideal policy that did not present a specific operation plan and had a problem, although it was common for the purpose of the free semester system. First, he pointed out that the goal cannot be achieved properly becaus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run the curriculum without properly understanding the free semester policy. Second, it was pointed out that happiness education cannot be realized by introducing only the free semester policy without changing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Third, it was pointed out that students' interests and interests are not reflected in constructing the curriculum of free semester activity classes. Fourth, it was pointed out that only policies were made and the operation was thrown to the teacher. He pointed out that it is problematic to leave it only to teachers without providing any direction and guidelines in operation. He also talked about the fact that teachers were not able to prepare quality classes as they were additionally in charge of free-year classes in the existing work environment without giving them time to develop and prepare classes that fit their policies. Fifth, he stressed that students and parents simply recognize the free semester policy as a semester or grade without tests, but that capacity building or career maturity is not achieved. This is a fundamental problem, and it was pointed out that the goals and purposes of the policy are not properly delivered and achieved. Finally, I would like to discu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First of al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quantitatively review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eviously not-so-distant free semester policy, discussed with teachers in the field, and discussed the complementary point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free semester policy, which is the mainstream of middle school policy. In addition, wit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head, this study, which thoroughly reviews the effectiveness of the middle school mainstream policy, the free school year policy, and listens to the voices of the field, will have a meaningful impact on future educa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teacher FGI, the biggest problem of the free semester policy was the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 the problem in the operation method, and ambiguity. A good policy depends more on whether the content itself can be realized and operated well in the real field than on the good. It is important to make a policy well, but I hope that a happy Korean education will be achieved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field teachers and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operation in the process of making policies. We hope that in the future, we will continue to pay attention, observe, analyze, and evaluate the effect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many educational policies, and become a Korean society with effective education.

      • 자유학기제 다도교육이 중학생의 인성발달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허인영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자유학기제 다도교육이 중학생의 인성발달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다도교육이 중학생의 인성발달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연구를 추진하였다. 첫째, 자유학기제 다도교육이 중학생의 인성발달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자유학기제 다도교육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효과가 있는가? 셋째, 자유학기제 다도교육을 받은 후 실험집단 학생들의 자기평가는 어 떠한가? 위와 같은 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는 이질 통제집단 설계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사전검사·실험 처치·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사전검사·사후검사를 실시하는 것으로 설계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북 충주시에 있는 B중학교로 자유학기제를 실시하는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기간은 자유학기제가 시작되는 2018년 8월부터 2018년 10월 말까지 3개월에 걸쳐 진행되었고, 실험 처치는 2018년 8월 23일부터 2018년 10월 25일까지 매주 목요일 5, 6교시 동아리 활동시간에 10차시(20시간)에 걸쳐 진행되었다. 다도교육이 인성발달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ANCOVA를 실시한 결과, 인성발달에는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나 ( F = 6.11, p〈 .05 ), 자아존중감 향상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 F = .86, p 〉 .05 ). 다도교육을 받은 후 실험집단 학생들의 자기평가에 따르면 자유학기제 다도교육이 필요하다는 긍정적인 의견이 많았고, 다도교육을 가족이나 친구, 후배에게 권하고 싶다는 의견이 66.7%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도를 생활문화로 계승할 가치가 있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87.5%로 높게 나타났다. 다도교육의 좋은 점은‘마음이 차분해졌다’,‘가족이나 친구를 배려하는 마음이 생겼다’, ‘참을성이 많아지고 행동을 절제하게 되었다’우리의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다’등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내용이었고, 다도교육을 통하여 몸과 마음이 차분하고 신중해졌으며, 행다·명상 등으로 집중력이 향상되었다고 답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자유학기제 교육과정에 다도교육을 도입하여 적용 및 운영하는 것이 중학생들의 인성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자아존중감 향상에 작은 수치이지만 변화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학교에서 다도교육이 내실 있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다례실 확보를 비롯하여 교구와 기자제의 보충, 실험실습비 지원, 관리자 및 교사·학생의 인식 개선 등이 필요하며 체계적인 교육환경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다도교육은 대면 교육으로 인간 중심의 생활 실천 교육이므로 단기간에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인내와 끈기를 가지고 지속적인 인성함양 교육을 실시 할 때 중학생의 인성발달과 자아존중감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여중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성숙도간의 관계분석

        김형숙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여중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성숙도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여중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여중생이 지각하는 진로성숙도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여중생의 진로장벽은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천에 위치한 3곳의 여자중학교에서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1학년 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522부의 설문지가 연구 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과 LSD(least significant difference)검정,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해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여중생의 성적,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는 사람,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만족도에 따른 진로장벽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여중생의 성적,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는 사람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여중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성숙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 중 진로 및 직업정보의 부족이 가장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진로성숙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개인특성 중에서 학업 성적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진로장벽이 자신감 부족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진로선택에 있어서 아버지의 영향에 따라 직업세계와 진로탐색의 정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셋째, 자유학기제에 참여하는 것은 진로장벽을 낮추는데 의미 있는 경험임이 확인되었고, 이는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각된 진로장벽의 요인에 따른 교육적 노력과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maturity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free semester system. The issue area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what are th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in the statistics of career barriers recognized by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Secondly, what are th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in the statistics of career maturity recognized by the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Thirdly, how do the career barriers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mpact their career maturity?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a total of 522 questionnaire of data was used, based on the surveys carried out on female seventh grade students from three different school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The data collected has been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OVA analysis, the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test scores, persons impacting their career choice,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in the free semester system varied according to their career barriers. Secondly, th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free semester systems had different levels of career maturity based on their test scores and persons impacting their career choice. Thirdly, there was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level of career maturity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free semester system and the lack of career information has been proven to be the biggest factor on negative influence on career maturity.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made based on the results above. Firstly, results show that career barriers which are the biggest determining factor of test scores, are caused by lack of self-confidence. Secondly, the exploration of career choices has been proven to expand depending on the influence of the father figure. Thirdly, the free semester system has been proven to be a meaningful experience that lowers career barriers and shows that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al support and intervention to address the career barriers to develop career maturity.

      • 자유학년제 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 조사 연구 : 서울 송파구 지역 중학교를 대상으로

        김정은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자유학기제는 2013년도 중1진로탐색집중학년제와 자유학기제 연구학교를 시작으로 2016년도부터는 전국적으로 실시되었다. 그 후, 교육부는 2017년 11월 중학교 자유학기제 확대․발전 계획을 발표하고 자유학년제 도입을 위해 학교별 여건에 따라 한 학기 또는 두 학기 지정이 가능하도록 시행령을 개정하였다. 시행령을 기반으로 하여 2018년도부터 학교의 희망에 따라 자유학년제가 운영되고 있다. 현재 자유학기제가 자유학년제로 교육과정이 점점 확대되어 가는 시점으로 자유학년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현 시점에서 우리는 자유학년제가 어떻게 운영되고 자유학년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학생들의 만족도에 대한 조사연구가 필요한 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년제 운영 실태와 자유학년제를 경험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 조사를 통해 자유학년제가 목적대로 잘 운영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자유학년제의 장·단점을 밝혀보려고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송파구 지역 중학교 중 자유학년제를 운영하고 있는 학교를 파악하고 자유학년제를 운영한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유학년제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를 조사를 실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송파구에 위치한 28개 중학교 중 자유학년제를 실시하고 있는 6개를 조사하고 6개교의 교사의 자유학년제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6개교 중 2015년 자유학기제 우수학교 표창을 받은 2개교의 학생 중 자유학년제를 경험한 학생 336명을 대상으로 자유학년제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 송파구 중학교 28개 중 6개교의 학교가 2018년도에 자유학년제를 운영하였고, 운영하는 동안 교육부에서 제시한 자유학기 활동 연간 221시간 이상 편성 및 운영하라는 정책대로 잘 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자유학기활동 중 주제선택활동과 예술·체육활동이 제일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유학년제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설문을 통하여 학생들이 자유학년제 수업 및 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하고 자유학년제를 더 확대하여 중학교 3년 동안 자유학년제를 운영하였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유학기 활동이 학교의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며, 다양한 분야의 강사채용과 학교 주변의 지역사회와 체험기관과의 협업이 아직 미비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자유학기제를 넘어 자유학년제가 활발하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자유학기활동이 학생들의 흥미와 적성을 조사하여 학생들의 수요가 반영되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운영하여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운영되기 위해서는 자유학기활동에 대한 지원이 확대되고 자유학기활동에 전문적인 강사들의 많은 채용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연계로서 지역사회기관들과의 협업과 다양한 체험기관들에서의 지원을 통해서도 더 다양한 프로그램과 학생들의 직업체험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자신의 미래를 계획하게 될 것이라 기대된다. 또한 학생과 교사들에 대한 자유학년제 운영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뿐만 아니라 학교구성원인 학부모들도 자유학년제와 자유학기 활동에 대한 자세한 안내와 그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짐으로 학교에서의 일방적인 교육이 아닌 가정에서 학생들이 관심 갖는 직업이나 활동에 대해 교육이 함께 이루어진다면 자유학년제를 운영하는 것에 대한 더 좋은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2020년도까지 자유학년제로의 점차적인 확대 운영되는 것이 잘 이루어지리라 생각된다. Beginning with the career search graded school system for the first graders in middle school in 2013, the free semester system has been operated nationwide since 2016. After the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a plan to expand and develop the free-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s in November, 2017 and revised the enforcement degree to decide the term of free semester as one or two semesters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schools for the introduction of free school-year system. Based on the enforcement degree, the free school-year system has been operated at the school’s desire since 2018. At the present when the free semester system is expanding into the free school-year system,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free school-year system. It is time to make survey researches on how the free school-year system is operated, how teachers and students perceive it, and how satisfied they are with it. Henc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ether the free school-year system has been operated as answering for its purpose and the system’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rough a survey on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free school-year system. This study figured out the schools operating the free school-year system in Songpa-gu and carried out a survey regarding the perception toward the free school-year system and satisfaction with it targeting the teachers who operated it and their students. For this, a survey on 6 out of 28 middle schools in Songpa-gu, Seoul and their teachers’ perception on the free school-year system and satisfaction with it was conducted. In addition, a survey to find out the perception on the free school-year system and satisfaction with it was conducted targeting 336 students of the two schools which received commendation for excellence in operating the free school-year system.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out of 28 middle schools in Sonpa-gu, Seoul, six ones operated the free school-year program well in 2018 as following the policy of operating the program for more than 221 hours a year, which was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addition, topic-selective activity and art·sports activity were the most active ones among the free-semester activities. Second, this survey about the perception on the free school-year system and satisfaction with it showed that many of the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free school-year system classes and activities and wanted the free school-year system to be operated during the entire three years of middle school. Third, the reality is that free-semester activities are not carried out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ituations of schools, and the recruitment of teachers in a variety of areas and the cooperation between community and experience center are still inadequate. To operate the free school-year system beyond the free semester system in the future, a survey on students’ interests and aptitudes should be carried out and various programs where their demands are reflected need to be operated. Then, the students will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grams. In addition, expansion of supports for free semester activities and recruitment of lots of specialized teachers are required to operate various programs. As a local connection, cooperations with local social institutes and supports from a variety of experience centers will help students experience more diverse programs and career activities and give them a chance to find their dreams and talents. In addition, if not only teachers and students but also parents, who are also the members of school, are given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free school-year system, and the one-way education from school and the education about jobs and activities which students are interested in at home are conducted together, greater effects by the free school-year system will be generated.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free school-year system will be gradually expanded and operated in schools nationwide by 2020.

      • 자유학기제를 위한 칼림바 수업 지도방안 연구

        이하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Due to the spread of the COVID-19 disease that shook the world at the beginning of 2020, singing and instrumental music classes were restricted in music classes in public education. Accordingly, the use of wind instruments such as recorders, danso, and ocarinas that were commonly used in schools was also limited. Even in this situation, remote and in-person classes were conducted in parallel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students' learning gaps. Still, due to the limitations of remote education, an alternative instrument that could be taught in person was required. Therefore, although it was not universally used until now, the ‘Kalimba’ surfaced as an alternative instrument suited for the COVID-19 era. The kalimba has advantages such as blocking possibly contagious contact, limiting movement inside designated spaces, and employing apps. However, educational materials or instructional plans using the kalimba are still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musical instruments used in education. Recognizing this p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tep-by-step guidance methods and educational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free-semester kalimba classes. Prior to the development of this study, the free-semester instrumental music program, the educational us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kalimba-related studies, and previous studies on kalimba education programs were reviewed, and the importance of the free-semester system,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nd cognitive apprenticeship theory models were reviewed. Examining the history, structure, types, and numbered music score of kalimba and analyzing existing kalimba textbooks revealed that the percentag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astonishingly low, highlighting the necessit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based Kalimba instructional resources. Based on the requirements that a free semester program for an instrumental ensemble class should meet, 6 songs appropriate for the kalimba ensemble program were chosen and prepared in one to three degrees of complexity for each song. The cognitive apprenticeship theory model was selected as the instructional model among the learner-centered teaching-learning models, and the contents of the activities were presented step-by-step according to the six methods of the cognitive apprenticeship theory. To this end, a total of 17 classes were organized to enable systematic learning in accordance with the free-semester activities. Students study the fundamentals of musical instruments in classes 1-6, get practice time for the presentation in classes 15-16, and have a presentation in the 17th class. Outside of this, for classes 7-14, a total of 4 sessions were designed by grouping each 2nd session into a block session.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of the study and field suitability were verified through a questionnaire by three experts, and based on this, the guidance plan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is study is unique as there have not yet been many studies on the educational use of the kalimba as well as instructional resources that use Korean traditional music. It also has educational value by creating class models, lesson plans, and instructional resources that can be used in real classroom settings. It is expected that the educational material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in various kalimba classes as well as free-semester and school-year systems. Given that many courses use the kalimba, it is advised that active study be done to find class guiding techniques that are appropriate for each class subject. 2020년 초부터 전 세계를 뒤흔든 COVID-19 감염병의 확산으로 인해 공교육의 음악 수업에서는 가창·기악 수업이 제한되었고, 이에 따라 학교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던 리코더, 단소, 오카리나 등 불어서 소리를 내는 악기의 사용도 제한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학생들의 학습 공백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을 병행하게 되었지만, 비대면 교육의 한계로 인해 대면으로 교육할 수 있는 대체 악기가 요구되었다. 따라서 이전까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는 않았지만, COVID-19 시대 상황에 가장 적합한 대체 악기로 비말 접촉 차단, 특별실 이동 제한의 교실 수업, 애플리케이션 사용 등의 장점이 있는 ‘칼림바’를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아직은 칼림바를 활용한 교육 자료나 지도방안이 기존 교육에 활용되던 다른 악기들에 비해 부족하다는 것이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인식하여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칼림바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단계별 지도방안과 교육 자료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개발에 앞서 자유학기제 기악 프로그램, 국악곡의 교육적 활용방안, 칼림바 관련 연구, 칼림바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자유학기제, 기악 교육의 중요성, 인지적 도제 이론 모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칼림바의 역사, 구조, 종류, 숫자보를 알아보고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칼림바 교재를 분석한 결과 국악 곡의 비중이 현저히 낮다는 점을 발견하여, 국악곡을 제재곡으로 활용한 칼림바 교육 자료 개발의 필요성을 인지하게 되었다. 제재곡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으로서 기악합주 수업이 갖추어야 할 조건들을 토대로 칼림바 합주프로그램에 적합한 국악곡 6곡을 선정하고 한 곡당 1~3가지의 난이도로 편곡하였다. 지도방안의 수업 모형으로는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모형 중 인지적 도제 이론 모형을 선택하였고, 활동 내용은 인지적 도제 이론의 6가지 방법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 예술·체육 활동에 맞춰 체계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총 17차시의 수업을 구성하였으며 그중 기초 수업 1~6차시, 발표 준비 15~16차시, 발표회 17차시를 제외한 7~14차시의 수업을 2차시씩 블록 차시로 묶어 총 4차시의 수업지도안과 교육 자료를 구체적으로 설계 및 제시하였다. 연구의 내용 타당도와 현장 적합성은 3명의 전문가에게 설문지를 통해 검증받았으며, 이를 토대로 지도안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아직 칼림바와 관련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과 특히 국악 곡을 활용한 교육 자료가 부족했다는 점을 미루어 볼 때, 본 연구는 차별화된 가치가 있으며 실제 학교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수업 모형과 지도방안 및 교육 자료를 개발한 점에서 교육적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육 자료를 자유학기·학년제뿐만 아니라 다양한 칼림바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칼림바가 여러 계층에서 활용되고 있는 악기인 만큼 수업 대상별로 적합한 수업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 자유학기제를 활용한 트럼펫 지도방안 :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김한나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음악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자유학기제를 통해 다양한 악기 중 트럼펫이라는 악기를 배우며, 보다 체계적인 1인 1악기 지도방법을 모색하여 개인 기악 활동뿐 아니라 나아가 기악합주를 통해 타인과 서로간의 배려와 이해심을 배울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첫째, 자유학기제와 관련된 문헌과 자유학기제에서 기악을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예술 활동을 살펴보았다. 둘째, 악기를 처음 접하는 학생들을 위해 트럼펫의 역사, 악기의 구조 및 연주법을 초보자 수준에 맞게 제시하였다. 셋째, 자유학기제 뿐 아니라 음악 수업시간과 연계성을 고려하여 제재곡의 선정을 음악교과서 18종 중 에서 기악합주 활동 중심의 곡으로 선정하였다. 위의 과정을 거쳐서 2차시씩 8회 블록 타임과 1차시 1회 수업을 구성하는 총 17차시의 수업지도안을 구안 하였으며, 트럼펫 지도방법에 있어서 초보자도 스스로 연습 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학습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학생들의 개인 기량에 따라 실력차이가 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자유학기제라는 제도를 통해 체계적으로 트럼펫을 배울 수 있도록 기회가 제공됨에 따라 학생들은 충분한 연습시간을 가져 음악적 사고를 발달시키고, 연주 실력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연주 활동을 통해 본인의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자유학기제에서 기존 교과 수업에서 쉽지 않던 집중적인 기악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수업 시간을 운영하고, 학생들의 꿈과 끼를 발견 할 수 있는 시간이 되어 나아가 트럼펫 악기에 대한 발전에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an instrument called trumpet among various instruments through the free semester system based on the middle school music curriculum, and look for the more systematic 1 man 1 instrument guidance method in order to cultivate the consideration and understanding for others through the instrumental music ensemble as well as the individual instrumental music activity.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first, various art activities focused on the instrumental music in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the literatures related to the free semester system were examined. Second, the history of trumpet, structure of instrument, and technique were suggested in accordance with the beginner level for the students who contracted the instrument for the first time. Third, the music focused on the instrumental music ensemble was selected as the music educational curriculum among 18 kinds of music textbooks in the light of the connectivity with the music class as well as the free semester system. Total 17-session class guidance plan constituting 8-time block time for 2 sessions and 1-time class for 1 session was devis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nd the basic learning method was suggested for even beginners to practice by themselves in regard of the trumpet guidance method. The threshold of this study is that the ability gap could arise depending on the students’ individual ability. However, as a chance to learn the trumpet systematically is provided through the free semester system, students can develop the musical thought, improve their performance skill, and feel a sense of achievement through the performance activity because they can have enough practice time. It is expect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class time is operated for students to have various musical experience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through the intensive instrumental music class which was not easy in the existing subject, and students can discover their dreams and tal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to the development of the instrument trumpet.

      • 중학교 자유학년제 효과 분석 : 자유학기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리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자유학년제의 효과를 자유학기제와 비교하여 실증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자유학기제 및 자유학년제 시행 기간에 대해 변동이 극심해 학교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따라서 자유학년제와 자유학기제의 효과를 비교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특히 부수효과 모형에 입각하여 자유학년제가 의도한 효과와 의도하지 않은 효과를 함께 검토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년제가 자유학기제에 비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자유학년제가 자유학기제에 비해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사교육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분석을 위해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데이터를 통상자승회귀분석법(Ordinary Least Square)과 경향점수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활용하여 효과를 추정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와 비교했을 때 자유학년제가 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단순히 시행 기간을 두 학기로 연장하는 것만으로는 자유학년제가 의도한 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움을 본 연구는 시사한다. 둘째, 자유학년제는 자유학기제에 비해 학생의 국어, 수학, 영어 학업성취도를 모두 유의하게 저하시켰다. 자유학년제 시행 이후 학력이 저하될 것이라는 우려의 시선이 기우가 아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학생의 학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자유학년제 정책 집행에 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자유학년제는 자유학기제에 비해 학생의 사교육 참여율을 유의하게 높였다. 자유학년제로 인해 공교육에 대한 신뢰가 저하되고 학생 및 학부모의 불안이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결국, 자유학년제가 의도했던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은 반면 자유학년제가 의도하지 않았던 부정적인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첫째, 적극적인 물적·인적 지원을 제공하여 자유학년제에 대한 교사의 업무 과중을 해소해야 한다. 자유학년제가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사 개인의 역량에 의지하기보다 예산 부족, 체험처 중복, 인력 부족 등의 문제를 해소하여 양질의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과정 중심 평가 내실화 및 기초학력보장을 위한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다. 지필평가가 시행되지 않는 대신 새로운 평가방법인 과정 중심 평가를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과정 중심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성취수준에 도달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확인하고, 이들을 위한 학습 지원을 적극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자유학년제 및 자유학기제 정책에 대해 증거 기반 의사결정(evidence-based decision-making)을 할 필요가 있다. 자유학년제에 대한 데이터 기반 연구들을 바탕으로, 실효성이 높은 정책을 채택하여 안정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Free-year program by comparing it with the Free-semester program in South Korea.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between Free-semester program and Free-year program, causing substantial confusion in schools. It is important to draw implications by comparing the effects of the Free-year program and Free-semester program.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intended effects and the unintended effects simultaneously based on the side-effects evaluation model.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effects of the Free-year program on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creativity compared to the Free-semester program?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the Free-year program on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hadow education compared to the Free-semester program?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the Ordinary Least Square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es, using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data.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Free-semester program, the effect of the Free-year program on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creativ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suggests that simply extending the implementation period to two semesters does not guarantee a positive effect. Second, the Free-year program significantly affected negatively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compared to the Free-semester program. This finding supports the concern that students will underachiev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year program, suggesting that caution for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s more needed while implementing the Free-year program. Third, the Free-year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students'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compared to the Free-semester program. This suggests that trust in public education is decreasing and parents' anxiety is increasing. Overall, the positive effects intended by the Free-year program are not significant, while the negative effects which were not intended by the Free-year program are significant.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concludes with suggestions for the policy. First, it is necessary to relieve the burden of teachers' work through material and human support. To achieve the policy's goal, it is required to provide good quality education, by solving problems such as lack of budget, overlapping experience centers, and lack of manpower, rather than relying on teachers' manpower. Second, institutional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process-fortified assessment and guarantee basic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support process-fortified assessment, which is a new evaluation method compared to traditional assessment. Based on the results, it is important to actively provide learning support for students who do not reach the achievement level.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evidence-based decision-making for the Free-year program and Free-semester program. Based on the data-based studies, it is necessary to adopt an effective policy and operate it stably.

      • 자유학기제 시행에 따른 기악동아리활동이 음악흥미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제주도내 중학생 대상으로

        강선영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 사회에서는 단순한 지식습득이 아닌 미래사회에 필요한 복합 지식과 능동적 대처 가능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둔다. 이러한 목표를 위하여 입시위주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 스스로 상황의 주체가 되고 꿈과 재능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교육적 패러다임이 바로 ‘자유학기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 시행에 따른 여러 예체능관련 활동 중 기악동아리활동이 학생들의 음악흥미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2014년부터 자유학기제를 모든 중학교에서 전면 시행한 제주도내 42개교 중 6개교 9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술통계, t-검정 등 통계프로그램을 가지고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유학기제 시행에 따른 기악동아리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이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음악흥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학교생활만족도 또한 높게 분석되었다. 하지만 학교마다 기악동아리활동의 종류와 수가 달라, 여러 종류의 기악동아리활동이 없는 학교의 경우 다양한 활동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기악동아리활동을 선택이 아닌, 교육과정의 일부분으로 강제성을 띄는 것을 보았다. 이에 대한 제언으로 첫째, 학교에서는 다양한 기악동아리활동을 시행해야한다. 학생들이 원하는 기악동아리활동을 사전조사 후 그에 맞게 프로그램을 최대한 시행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기악동아리활동은 강제적이 아닌 자의적 선택에 의해 참여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자유학기제 시행에 따른 기악동아리활동에 초빙되는 강사선생님은 음악에 대한 전문적 지식뿐만 아니라, 교육적 지식과 학생에 대한 관심, 이해 등 여러 능력이 필요하다. 넷째, 제주도는 2년 먼저 자유학기제를 시행하였지만 아직 제도적 체계화가 부족하여 학생, 교사와 학부모, 학교, 지역사회에서 관심을 기울이고 보완하여 체계화 할 수 있도록 한다. The goal of modern society is to foster talented people who are able to acquire not only simple knowledge but also complex knowledge in many different fields in order to actively deal with society in the future. In order to achieve such a goal, the Free-Semester Program was introduced as a new educational paradigm so that students themselves can not only control the situations around them, but also find their dreams and talents outside the existing educational system which primary focus is on getting high scores in examinations. This study looks into the impacts that musical instrument club activities give - among all the activities related to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 to both the interest level in music and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Semester Program.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946 students from 42 middle schools around the island that have been carrying out the Free-Semester Program since 2014. Several statistical program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t-test wh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interest level in music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musical instrument club activities were influenced in a more positive way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life was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However, the types and numbers of musical instrument club activities offered by each school varies, and there were cases where schools without a variety of activities were required to provide more. In some cases, such activities were not optional but rather mandatory as part of the curriculum. There are suggestions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each school needs to offer a larger variety of activities. A survey should be conducted beforehand in order to find out what students want and provide programs according to their requests as much as possible. Second, it is important to have voluntary students, who choose to take part in musical instrument club activities. Third, the instructors who are invited for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Semester Program should not only have extensive knowledge in music but also know how to educate students, and have interest in them. Fourth, Jeju has been implementing the Free-Semester Program for two years, but there is still a lack of institutional systematization. In this regard, teachers, parents, schools, and the local community should have more interest and complement th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