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OER 참여 인식조사 연구

        김주래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OER 참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지식기반사회로의 사회변화에 따라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평생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정책이 모색되고 추진되고 있다. 평생교육은 사회 전 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계속적이고 순환적인 교육 이념이고 학교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개방적 교육 체제이므로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 또한 다양하게 접근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OER(Open Educational Resoures, 교육자원공개)은 평생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OER이란 ‘교육자, 학생, 독학학습자들이 교수, 학습, 연구에 활용하도록 무료로 공개된 디지털화된 자원들’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해 여러 교육자원을 공유함으로써 학문적 협력으로부터 경제적인 발전에 이르기까지 다층적인 이점을 꾀하고자 하는 세계적인 교육운동의 흐름이다. OER은 질 높은 교육자원을 열악한 환경에 있는 학습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기회의 제공이라는 측면의 이점이 있다. 국외에서는 2001년부터 MIT를 시작으로 여러 대학이 독자적 또는 컨소시엄 형태로 OER에 참여하여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유럽의 Schoolnet과 같은 국가적 컨소시엄형태와 Merlot과 같이 학습조직형태 등으로도 확대 발전하고 있다. OER 프로젝트는 학습자에게는 질 높은 교육자원을 제공함으로써 교육 기회의 확대를 통해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이끌어 낼 수 있고, 참여기관에는 교육적 홍보와 이미지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교수자는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과 함께 학문영역의 심화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국내에서는 2007년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의 KOCW를 시작으로 고려대, 경희대 등 일부 대학에서 OER을 도입하여 교육자원을 공개하고 있으나 현재까지의 진행사항은 외국에 비해서 많이 미미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사례에서 나타난 OER의 교육적 효과가 국내의 평생교육적인 교육측면에서도 실효성과 함께 평생교육을 활성화 시키는 하나의 대안과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OER 참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우선 문헌 연구를 통해 평생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과 OER의 개념 및 국내외 사례, 저작권 및 CCL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별로 설문문항을 개발하여 2010년 4월 22일부터 29일까지 실시하였다. 인식조사 연구대상은 교육자원 공개의 주체자인 교수자 71명과 교육자원 활용의 주체자인 학습자 205명, OER의 지속적인 참여를 촉진시킬 주체인 기관관계자 47명이 참여하였고 연구 범위는 OER에 대한 개념 인식, OER의 필요성 및 효과에 대한 인식, OER 참여 및 활용에 대한 인식, OER 활성화를 위한 요인들에 관한 인식, 저작권 및 CCL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 및 학습자의 OER에 대한 인식과 활용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연구 대상 모두 OER이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필요하고,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교수자와 기관관계자 모두 OER 참여(교육자원공개)에 대해서 긍정적이었으며 교수자와 학습자의 OER 활용(공개교육자원 활용)에 대한 의사도 상당히 높게 나타난다. 셋째, OER 활성화를 위해서는 저작권 가이드라인 및 인센티브가 제공되어야 하고, 교수자의 인식 변화와 기관의 참여 의지 및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자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콘텐츠 제작 및 자원공개 대한 기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고, 학습자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료검색과 사용이 용이한 시스템 구축과 질 좋은 교육자원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OER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저작권을 묵인, 완화하는 것에는 부정적이었다. 다만 저작물에 대해 CCL을 적용하는 것에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국내에서 OER이 활성화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 OER에 대한 인식 부족이 가장 큰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외국 사례에서 보듯이 OER은 고등교육체제의 변혁과 평생교육 활성화의 실천적인 대안적 요소로 자리 잡을 수 있다. 우선 KERIS와 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교수자의 인식 변화를 꾀하는 지속적인 정책과 지원이 필요하고 OER 전담인력을 투입하여 우수 콘텐츠를 생산, 가공, 재활용 할 수 있도록 시스템 기반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OER의 확대는 공식 및 비공식 교육의 경계선이 허물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하며 OER을 활용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구축 및 교육 자료와 보급 채널 다각화에 힘써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participation in OER for the activation of lifelong education. With the advent of a knowledge-oriented society, lifelong education has increased its importance all the more and a variety of strategies and policies for its activation have been groped after and then carried out. Lifelong education is based on the ideology of continuous and circulative education for all the social brackets and means an open education system for all, regardless of times and places. So, it is necessary to approach it with a variety of strategies to activate it. In this vein, OER (open educational resources) seems to be a desirable alternative to activate lifelong education. OER can be defined as 'digitalized resources, opened to be used for free by educators, students, self-educated persons in their teaching, learning and researches. It is a flow of global education movements of which goal is to attain multi-stratified benefits over the fields from the academic cooperation to economical development by sharing a variety of educational resources through the Internet. It can make learners in vulnerable environment use qualitative education resources, thus providing them an educational opportunity. In overseas countries, it was started with MIT OCW (open course ware) in 2001 and then many universities took part in OER independently or in a consortium, thus acquiring a positive educational effect. It also has developed with the form of national consortium, such as Schoolnet in Europe, or with the form of learning organization, such as Merlot. By providing qualitative educational resources to learners, the OER project can extend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thus induce self-leading learning. And participating agencies can carry out educational public relations and enhance their images. Educators can improve the strategy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intensify the sphere of study. In case of Korea, it began with KERIS' KOCW in 2007 and some universities, such as Korea University and Kyung Hee University, introduced OER and opened their educational resources. But comparing to overseas developments,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proceeding is still unsatisfactory. In this study, the investigator regard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OER in overseas examples as applicable to domestic higher education systems and lifelong education alike as an alternative and a strategy of activating lifelong education. So,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perception of participation in OER. First of all, by means of literature research, the investigator looked into the necessity of lifelong education, the conception of OER, its domestic and overseas examples, copyright and CCL, thus approaching OER from the aspect of association with lifelong education. As for the study methods, the investigator developed questionnaires according to study subjects and then carried out an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 survey of 71 educators (the main body of opening educational resources), 205 learners (the main body of using educational resources) and 47 persons in governmental agencies (the main body of promoting continuous participation in OER) was carried out over the period from April 22 to 29, 2010. Study scopes were the conceptual perception of OER, the perception of necessity and effect of OER, the perception of participation and use of OER, the perception of activating factors of OER and the perception of copyright and CCL.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tabulation analysi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ducators and learners' perception and use of OER were very low. However, all of them recognized that OER was necessary for the activation of lifelong education and it surely would result in positive educational effects. Second, educators and persons in governmental agencies alike were positive in participating in OER (opening educational resources). Educators and learners' use intention of OER (using open educational resources) was significantly high. As for the fact that the main body of use of OER would be majors, educators and self-educated persons, their perception was very positive. Third, in order to activate OER, it seemed to be necessary to give copyright guidelines and incentives. In addition, it was necessary for educators to change their perception and for governmental agencies to participate and support to OER actively. Fourth, in order to improve educators' participation, governmental agencies' support for the production of contents and the opening of resources was necessary. In order to enhance learners' participation,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of which data browsing and use were convenient and which could provide qualitative educational resources to them. Fifth, they were negative for the overlooking and alleviating of copyright in order to activate OER. However, they were very positive for the application of CCL to products. In conclusion, the biggest cause for OER not to be activated domestically yet seems to be insufficient perception of OER. As overseas examples show, OER can be placed as a practical alternative for the innovation of higher education system and the activ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this, KERIS must continuously establish support policies to change educators' perception, focusing on domestic universities and infrastructures with which excellent contents can be produced, processed and recycled by exclusively responsible persons for OER. They must perceive the fact that the expansion of OER means that the border between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is demolished. And from the national aspects, OER-oriente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must be established and educational resources and its distribution channels must be diversified.

      • 기업체 교육담당자의 고등교육 참여에 따른 학습성과 연구

        이상준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기업체 교육담당자가 고등교육에 참여하면서 겪는 학습 참여의 의미와 그 참여경험이 그들의 삶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 왔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기업체 교육담당자의 고등교육 참여경험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접근법 중 Strauss와 Corbin(1990)이 개발한 지속적 비교(constant comparison)방법을 이용하여 인터뷰자료에서 개념과 범주들을 분석하였다. 반복적으로 도출된 개념과 비교하면서 공통적인 범주를 확인하고 하위범주에서 상위범주의 분석단계를 거치면서 학습의 의미를 찾아갔다. 연구의 참여자는 기업체 교육담당자로 6년 이상의 교육 업무경험이 있고 현재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직장인을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가 같은 교육대학원에 학습하고 있었기 때문에 인터뷰 진행시에도 거리감 없이 진행할 수 있었다. 인터뷰 진행간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 목적과 주제 그리고 인터뷰 내용의 녹음 및 활용에 대한 동의를 얻었다. 인터뷰에서 추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공통된 범주로 묶고 개인의 해석과정에서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피어리뷰(peer review)를 통해 자료 분석에 도움을 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58개의 개념과 14개의 하위 범주, 9개의 범주를 도출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화 적응의 필요성, 기업체 교육담당자들이 학습 참여에 대한 생각을 가지게 될 때, 그들의 학습참여는 무엇보다 학습참여를 통해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나를 만드는 것이다. 둘째, 학습 필요성 인식. 본 연구에서 기업체 교육담당자들의 학습참여는 두 가지로 분류로 나타났다. 자기 개발의 욕구와 나의 부족함 인식이다. 기업체 교육담당자들이 교육업무를 하면서 자신의 부족함을 알게되고 자기 계발의 욕구를 경험한다. 이렇게 자신이 느끼는 학습의 욕구와 부족함을 해결하기 위해 학습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된다. 셋째, 개인이 처한 고난. 기업체 교육담당자의 개인의 입장에서 학습 참여로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원 학습에 대해 처음에 가지고 있었던 기대와 다른 학습수준의 실망과 학습을 시작하면서 겪게 되는 개인적인 학습의 어려움들을 경험하게 된다. 넷째, 집단내의 갈등. 기업체 직장인으로 학습참여 후의 발생하는 문제들이 존재했다. 자신의 학습참여는 개인에게 긍정적인 부분으로 작용하지만 같은 조직에 있는 속해있는 구성원의 입장에서는 동료의 시기하는 분위기와 직장에서의 눈치 등의 갈등이 존재했다. 다섯째, 긍정의 에너지. 누구나 어떤 일을 하는데 있어, 자신에게 긍정의 피드백이 온다면 더 집중하게 될 것이다. 학습참여도 마찬가지다. 기업체 교육담당자로서가 아닌 학습참여자로 학습을 통해 사회를 보는 시야가 넓어지고 같이 학습하는 사람들과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많은 정보를 습득하면서 개인적, 업무적인 학습참여 이득을 보게 된다. 여섯째, 내가 중심이 되는 학습. 학습참여 후 학습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부분은 바로 자신의 의지라는 공통점이 나왔다. 나 자신이 목적과 의지를 가지고 학습에 임하지 않게 되면 나중에 학습성과 면에서도 만족하지 못한 결과를 가지고 온다. 내가 책임지는 학습이기 때문에 나 자신이 스스로 학습의 목적과 의지를 가지고 학습에 참여해야 한다. 일곱째, 전문성의 성장. 기업체 교육담당자들은 학습참여를 통해 업무의 변화를 가져왔다. 대표적으로 교수님의 교수기법을 모방하여 자신의 교육강의에 써먹어 본다거나, 기존교육업무에 대한 잘못된 점은 없는지 생각해 보기도 한다. 또한 실무적으로 처리했던 부분에서 이론을 알게 되면서 왜 그런지에 대한 해답을 찾기도 했다. 이렇게 교육담당자들은 학습참여를 통해 그들의 교육업무에 적용하면서 전문성에 대한 성장을 하게 된다. 여덟째, 새로운 도전. 기업체 교육담당자로서 학습참여를 통해 새로운 이직에 대한 생각을 갖게 된다. 자신이 교육강의 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 강사로의 길을 모색하거나 대학원 전공을 살려 그 쪽 분야로 진출을 꿈꾸기도 한다. 또한 더 높은 학위의 도전을 위해 준비하겠다는 경우도 있었다. 이렇게 학습참여의 결과, 진로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고 새로운 도전을 하게 만든다. 아홉째, 학습으로 준비된 미래, 본 연구를 위해 연구 참여자와 인터뷰하면서 마지막 질문으로 그들에게 학습의 의미를 질문 했다. 그들은 학습에 대해서 ‘변화할 수 있는 힘’, ‘기본을 재확인하는 단계’, ‘도약을 위한 준비’, ‘기준점이 되어준 학습’, ‘자기계발과 성장을 위한 과정’이라고 답했다. 이런 응답을 통해서 개개인이 느끼는 학습의 의미는 같은 교육 업무를 하고 있지만 각자 다르게 다가온다는 걸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ims to recognize the meaning of educational session experience in which in-company education & training practitioners participated, and how such experience changed/influenced the practitioners' works and lives. The issue I focused on is 'how did the practitioners feel about participating in higher education'. Among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I facilitated constant comparison method developed by Strauss and Corbin(1990) to analyze concepts and categories based on the interview. I analyzed the meaning of higher education participation by repeatedly comparing the concepts, confirming the common categories, from subcategories to categories. The participants for this research Ire in-company education & training practitioners who are currently in graduate school for education and are employed at the same time. Since the participants Ire in the same graduate school, the interviews went smoothly. During the interview, I asked for the participants' agreement to the use and the recording of interviews. Based on the data I have collected, I have categorized the data, and utilized peer review to prevent any possible error in interpretation process. In this research, I have extracted 58 concepts, 14 subcategories and 9 categories. The research is as follows. 1. Need for adaptation to changes. When education & training practitioners engage in participation, their main goal is to make themselves able to adapt to changes. 2.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education. In this research, there appeared to be two reasons why practitioners participated in education & training session. They wer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study and their own deficiency. As practitioners proceed with their sessions, they realize their own deficiency and experience the urge to learn more. This is how education & training practitioners the necessity of education. 3. Frustration There are some problems occurring on the level of an individual when practitioners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session. Participants experience disappointments and frustration due to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ir expectations and realities of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fers. 4. Conflicts in the group There were post-education session problems as employees. Participating in education & training session has positive influences, but as individuals participating in the session, there were jealousy and several other conflicts. 5. Positive energy. Whoever does any job, one will be able to concentrate on one's job when one gets positive feedbacks. Participation in education is the same case. When practitioners participate in education & training sessions as a participant, they acquire a lot of information and widen their perspectives just like other participants do. 6. Self-centered study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education is the willpower to study. When one does not have enough willpower and a solid goal in education, the outcome will not be satisfying for the one. 7. Growth of professionalism Practitioners bring changes to daily routine work with education & training sessions. For example, participants facilitated their professors' teaching methods, or think about what could be improved in the existing education & training sessions. Also, they figure out why the field work is done in such way by connecting it to the theory they learn. Practitioners can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s by participating in education & training and connecting it to the real work. 8. New challenge In-company practitioners look for other opportunities. Based on their personal experience as practitioners, they seek careers in professional lecturers, or lines of work where they can make use of their specialty. Also, some practitioners aimed for higher degrees of education. As shown above, practitioners ponder about the results of participation, their careers and new challenges. 9. Preparation for the future with education. In every interview I have conducted, I asked the participants what education/study means to them. Participants defined education as 'power to change', 'going back to the fundamentals', 'preparation for takeoff', 'standard of thinking', 'self-improvement'. Going through the interviewees' responses, it was clear that although all practitioners share basically same educations and works, they were each influenced by different aspects of such.

      • 글로벌리더로서의 미래역량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조사

        김민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글로벌리더로서의 미래인재역량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현재 다양한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미래사회예측에 대한 안목과, 미래사회에 알맞은 인재역량교육의 실시를 위한 인식의 정도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설문지를 만들어 조사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미래사회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의 글로벌리더로서의 미래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유아교사가 생각하는 미래역량에는 다양한 요소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현재 서울소재 유치원 4곳과 국공립 및 사립어린이집 5곳에 재직 중인 교사 100명이다. 미래역량에 대한 교사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제작하였고, 예비연구를 실시하여 영재교육 및 유아교육 전문가의 검증을 받았다. 사용된 설문지는 핵심역량 분야에서 석학의 여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는 미래사회에 대해 급변하는 사회와 기계의 발전으로 생활하기 편리한 세상에 대해 예측하지만, 한편으로는 불안정한 생산직 노동자의 직장생활에 대해 불안정한 미래를 예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불안정한 미래에 대한 대책으로 평생교육을 받는 것과 여러 개의 일자리를 보유해야 함을 강조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유아교사는 미래사회에서 성공하기 위해 유아들의 미래 역량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고, 다양성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 글로벌 네트워크, 기본 태도 역량이 글로벌리더에게 가장 필요한 역량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또래와 함께 놀기, 자연 체험하기, 일상적인 양육의 모든 순간을 글로벌리더 육성방법과 교육방법으로 생각하였다. 셋째, 유아교사에게 인성 및 윤리적 태도가 리더십 교육에서 가장 중요하게 갖추어져야 할 역량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현직 유아관련 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들은 미래사회변화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으며,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스스로 교육함으로써 변화에 대비하려는 의지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유아교사의 태도는 교육자로서 본인 뿐만 아니라 유아교사가 맡은 학생들에게도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며 그들의 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해석된다. 후속연구로 현재 ‘교사들이 유아교육을 위해 실행하고 있는 역량교육과 교육방법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여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역량교육이 실제 유아관련 교육기관에서 얼마나 올바르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유아를 위한 미래인재 역량교육에 대하여 교사교육을 실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이는 유아관련 교육기관이 유아들에게 유익하고 수준 높은 미래지향적 교육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research is to figure out the discernment for predicting the future society of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infant education in various institutes and level of awareness for performing competence education suitable for future society by investigating the awareness of infant teachers about future competence as a global leader.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 established these research subjects and made a questionnaire for investigation. First, how is the general awareness of Infant teachers about future society? Second, how is the general awareness of Infant teachers about future education as global leader? Third, are there differences in future competence considered by Infant teachers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100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4 kindergartens and 5 public, private day care centers in Seoul. To find out the awareness of teachers about future competence, made questionnaires, and performed preliminary research to receive verification from expert of infant education. The questionnaire was made based on various advanced academic researches in main competence field. The results shown in this research are as below. First, it was confirmed that Infant teachers predict a world that is convenient to live in due to development of machine and rapidly changing society, but on the other hand, they also predict unstable future about blue workers in unstabled position. As a measurement for the unstabled future, it was confirmed that they empathize on receiving lifelong education and possessing various occupation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Infant teachers think the future competence of infants are important to succeed in future society, and also think that opened attitude towards variety, global network, basic attitude competence are the most necessary competences for a global leader. Also, they considered all moments of playing with peers, experiencing nature, and daily care as raising and educating method of a global leader Third, it was confirmed that Infant teachers consider personality and ethic attitude as the most necessary competence in leadership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s working in infant education institutes generally have positive thoughts about changes in the future society, and they have will to prepare for the change by educating themselves instead of staying in reality. Also, this attitude of infant teachers can be interpreted to have positive influence not only on themselves as educators, but also on their students along with having continuous interest on them. As a follow up research, investigation on competence education and methods that are performed by the teachers for infant education should be performed to find out how suitably the competence education recognized by teachers are being performed.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in performing teacher education about future competence education for infants, and this will help infant education institutes provide fruitful and sophisticated future-centered education.

      • 여성 성인학습자의 시민교육 참여 동기가 지역공동체 의식 형성과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영선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여성의 시민교육 참여 동기요인이 지역공동체 의식과 정치효능감에 미치는지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지역공동체의식과 정치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둘째 여성 성인학습자의 시민교육 참여 동기가 지역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과 셋째, 여성 성인학습자의 시민교육 참여 동기가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30대 이상 여성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300부의 오프라인 설문과 온라인 설문을 실시했다. 총 248개의 유효한 응답을 확보하고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 개인배경에 따른 지역공동체 의식은 연령과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기혼자와 전업주부, 프리랜서가 높게 나타났고, 시민교육 학습기관 유형별로는 시민단체에서 학습하거나 현재 활동 중인 경우 높게 나타났다. 정치효능감은 학력이 높을수록 내적정치효능감에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둘째, 시민교육 참여 동기는 지역공동체 의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참요동기 하위요인인 사회적 목적과 사회복지 목적에 대한 요구가 높을수록 상대적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시민교육 참여 동기와 정치효능감에 전반적인 유의결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참여 동기 하위 요인인 개인적 목적, 자아실현 목적이 높을수록 내적 정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고, 개인적 목적과 사회복지 목적이 높을수록 외적 정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여성 성인학습자들은 자신의 삶의 질 향상과 복지향상에 대한 요구를 가지고 교육에 참여한다. 이러한 목적의식은 학습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거나 대면관계가 쉬운 학습공동체의 경우에 구성원간의 공유된 의식이 높아지며 상호영향의식이 함께 높아진다. 여성이 집합체로써 갖는 지역공동체 의식은 지역 사회에 참여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민주적인 의사결정의 문화와 체계를 만들어가는 구성원임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여성 개인의 정치적 행동이 정치과정에 영항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신념과 이를 통한 사회변화가 가능하다는 믿음이 강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male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civic education on their community consciousness and political efficacy, and the following research items are set up for the study. First, the differences i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political efficacy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re examined. Second, the effect of female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civic education on the community consciousness is ascertained. Third, the effect of female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civic education on political efficacy is examine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has been conducted both offline and online for 300 female adult learners who are over 30 years old. A total of 248 valid responses were obtained and a t-test and one way ANOVA have been performed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ty consciousness examined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personal background turned out to be higher with older age and higher education level and it was higher in people who are married, full-time housewives, or freelancers. And it also turned out to be higher in case of people studying in civic organizations or presently active in that area when examined according to the types of civic education learning institutions. In terms of political efficacy,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internal political efficacy with higher education level.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ty consciousness for different participation motivations in civic education, and it turned out that the higher the demand for social purpose and social welfare purpose, which are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the higher the relative explanatory power was. Third, overall,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 in relation of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ivic education to political efficacy, but it turned out that the higher the personal purpose and self-realization purpose, which are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the higher the significance of effect was on internal political efficacy, whereas the higher the personal purpose and social welfare purpose, the higher the significance of effect was on external political efficacy.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made:  Female adult learners participate in education with the dem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fe and welfare. With such a sense of purpose, the shared consciousness among the members becomes higher in case of learning communities where it is easy to access studies or to meet other people face to face, and the consciousness of mutual influence increases accordingly. The community consciousness that the female members of the society have as a collective body can mean that they are indeed members who formulate the democratic decision-making culture and system while exercising their influence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Furthermore, it can be said the belief that the political behavior of an individual female can affect the political process and the belief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ociety through the participation are gaining strength.

      •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

        송영미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related programs. First, we examined the variables related to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in addition, we assessed the current status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actually provided in the education field.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direct the future development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and provide a basis for effective practice of the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questions; Question 1: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kindergarten teachers, including age, careers, academic achievement, licenses and certificates, type of education institutions, and age of the preschoolers influence their perception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information, understanding, perception level, knowledge)? Question 2: How widely are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offered by preschools? In this study, we conducted the questionnaire survey of a total of 180 kindergarten teachers who teach preschoolers aged between 3 to 5 years at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City, Gyeonggi Province and Chungbuk Province. We used a modified version of the 'Questionnaire on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and the Status of the Related Programs' based on related literatures Moon Yong-Rin, Choi In-Soo(2010),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bout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and their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Choi Il-Seon, Kim Jeong-Sin(2014), and 'Development and Effect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Teaching for Kindergarten Teachers' Pak Soon-Jeon(2013). The SPSS 22.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the Scheffé post-hoc analysis was carried out in case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ach the background variables of kindergarten teachers i.e., age, careers, academic achievement, licenses and certificates, type of education institutions, and age of the preschool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However, despit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the mode of education was a challenge to teachers in the field. Therefore, development and propagation of various teaching and education materials are needed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Second, older teachers showed a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including concepts, content,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methods as well as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factors. Based on the above difference, for teacher training programs, it might be necessary to divide teachers into career and entry teachers depending on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Third, for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a higher level of general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as compared to childcare center teachers.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placed a greater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kindergartens have more opportunities to improve the level of understanding. In future, more opportunities should be offered to childcare center teachers to improve their general understanding of various aspects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Fourth, training opportunities for teachers in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were surprisingly few. Increased training opportunities for teachers in the education field, including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are required. Collectively, our results indicated that despit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the effective mode of teaching students through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was a challenge to teac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raining and education support for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among teachers and develop education program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eachers. 본 연구에서는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교사의 변인에 따른 인식을 알아보고 현장에서 실행하고 있는 창의․인성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면서 앞으로 창의․인성 교육의 방향제시와 실천의 위한 기초적인 자료가 되길 바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 교사들의 배경변인(연령, 경력, 학력, 소지 자격증, 교육기관, 담당 유아연령)에 따라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정보, 이해, 인식 정도, 지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창의·인성 교육의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 경기도, 충청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현재 만3, 4, 5세를 맡고 있는 유아반 교사 18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에 대한 설문지로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관련문헌 문용린, 최인수 (2010)와 선행연구인 최일선, 김정신(2014)의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행’ 과 박순정(2013)의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연구에서 사용하였던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제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경우에는 사후검정 Scheffé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서는 교사들의 배경변인(연령, 경력, 최종학력, 소지 자격증, 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모두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교사들이 창의·인성 교육에 대해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현장에서 어떻게 유아들을 지도해야하는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따라서 현장에서 창의·인성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재교구와 교육 자료를 개발하여 보급해야한다. 둘째, 창의·인성 교육의 이해 정도(개념, 내용, 추구하는 특성, 교육방법)와 창의성요소와 인성요소의 내용이해 정도에서 교사의 변인 중 연령과 경력이 높을수록 높은 이해도가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를 대상으로 연수를 할 경우에는 경력교사와 신입교사를 구분하여 수준별로 연수내용을 다르게 하는 것도 고려해봐야 한다. 셋째,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인식의 차이에서 유치원 교사들이 어린이집 교사들보다 인식 수준이 더 높았다. 이는 교육부에서 창의·인성 교육을 강조하는 분위기가 됨에 따라 유치원에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았을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앞으로 어린이집 교사들에게도 다양한 방면으로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고 창의·인성 교육의 전반적인 이해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다. 넷째,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연수기회가 너무 적었다. 교사들에게 창의·인성 교육에 대해 연수 기회를 많이 늘리고 연수를 통해 현장에서 교육을 하는 교사들의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교수학습방법과 프로그램을 지도해야한다. 결국 창의·인성 교육에 대해 교사들이 중요성을 인식은 하고는 있지만 어떻게 지도해야할지 모르는 어려움이 있기에 창의·인성 교육의 연수나 교육지원을 늘리고 교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교수학습방법 대한 연구가 꾸준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대한 직업전문학교 훈련교사의 인식조사

        김영욱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대한 직업전문학교 훈련 교·강사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직업전문학교 훈련 교·강사들의 이해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NCS 기반 교육과정이 직업훈련교육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직업전문학교 훈련 교·강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NCS 기반 교육과정의 도입에 따른 교수역량 영역별 중요도에 대한 직업전문학교 훈련 교·강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직업전문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훈련 교·강사 103명을 대상으로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빈도분석, 두 독립집단 t-test, 대응집단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 교·강사들의 교육목표에 대한 이해수준은 배경 변인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NCS의 경험이 없는 경우가 NCS의 경험이 있는 경우보다 NCS에서 제시하는 이해수준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NCS의 체계성, 실무적합성, 교육시간의 적절성, NCS구성요소에 대한 이해수준은 배경 변인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NCS가 직업교육에 미치는 영향력으로 직업훈련, 수업방식, 평가방식, 과정개발, 과정 운영에는 큰 차이는 없었다. 교육내용에 대한 영향력은 성별을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평가방식에 대한 영향력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셋째, NCS 기반 교육과정의 도입에 따른 영역별 향후 교수역량의 중요도 순위는 직무분석능력, 교재개발능력, 이론평가능력, 산업현장요구분석능력이 우선순위로 나타났다. 넷째, 직업훈련 교·강사들의 교수역량수준은 교육과정 설계능력과 이론지도능력은 동료교사가 본인보다 높게 나타났고, 그 중 동료 교·강사의 경력이 높을수록 교육과정 설계능력을 높게 측정하였다. 반면 산업체 근무경력이 있는 경우 산업체 근무경력이 없는 동료 교·강사들에 대한 실무지도능력과 직무분석을 낮게 측정하였다.

      • 비전공 대학생의 코딩교육 현황과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

        김성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비전공 대학생의 코딩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코딩교육을 얼마나 알고 있으며, 그 중요성과 필요성을 어떻게 느끼고 있고, 원하는 코딩교육 프로그램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비전공 대학생 대상의 코딩교육계획을 수립하는데 활용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설문 문항을 구성한 후 전문가의 타당도 조사를 거쳐 비전공 대학생 1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성실하게 답변한 106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의 69.8%의 대학생들이 코딩교육을 경험했으며, 주로 대학에서 교양필수과목(컴퓨팅 사고)으로 이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1학년의 경우는 고등학교에서 이미 경험한 것으로 분석이 되어, 교육부의 코딩교육 교과 개편이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코딩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가? 코딩교육이 있으면 참여 하겠는가?의 질문에서는 ‘보통이다’라는 응답이 많아서 코딩교육 참여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코딩교육의 중요도에서는 여학생들이 남학생에 비해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이해정도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들보다 더 잘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는 C언어와 컴퓨팅 사고 과목의 개설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시대에 적응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논리적 사고, 창의적 사고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인공지능이 우리 일상생활에도 보편화되고 있다. 따라서 창의성을 기반으로 논리적 사고와 체계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사고기술인 코딩교육은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이에 대학에서는 창의융합인재 육성과 컴퓨팅 사고력 증진을 위해 코딩교육은 필수적인 사항이 되었다. 컴퓨팅 사고는 문제를 논리적으로 파악하고 추상화하는 분석적 사고를 의미한다. 이는 가장 적합한 방법을 찾아 정보기술을 설계하고 이것을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체계적 사고능력이다(Wing, 2006). 그러나 현재 대학에서의 코딩교육은 컴퓨터 관련 전공자들에게 주로 이루어지고 있고, 비전공자들은 충분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학에서 비전공 대학생 대상의 SW코딩교육과 컴퓨팅 사고력 증진을 위해 SW코딩 교육이 필수 이수 과목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학생 개인에게 꼭 맞는 코딩교육이 되기 위한 필수사항인 철저한 교육상담과 학생의 코딩 지식정도에 적합한 코딩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비전공 대학생의 코딩교육 현황과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대학에서 비전공 대학생을 위해서 어떤 코딩교육과 학생들 개인의 장점과 단점, 특성을 파악해 보고, 이를 적용한 코딩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해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coding education of non-major college students, how much they know coding education, how they feel about their importance and necessity, and what coding education program they want, to develop a coding education plan for non-major college students. It is intended to be used in establishing. To this end, after constructing a questionnaire through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35 non-major college students through an expert's feasibility study, and 106 cases answered sincerely were analyzed. As a result, 69.8% of college students experienced coding education, and it was surveyed that they took the required liberal arts courses (computing thinking) mainly at universities. In the case of first graders, it was analyzed that they had already experienced in high school, and it was found that the reorganization of the coding education curriculum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had an effect. Do you think coding education is important? In the question of Will you participate if there is coding education?, there were many answers saying ‘It’s normal.’ In addition, in terms of the importance and degree of the understanding of coding education, girls thought that they were more important than boys, and in terms of understanding, boys understood better than girls. The demand survey for the program resulted in the necessity of opening C language and computing thinking subjects. In order to adapt to and respond to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logical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are increasingly required.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rtificial intelligence is becoming common in our daily lives. Therefore, coding education, a thinking skill that helps people to think logically and systematically based on creativity, has become more important. Accordingly, coding education has become an essential matter in universities to foster creative fusion talent and improve computing thinking. Computing thinking refers to analytical thinking that logically identifies and abstracts a problem. This is a systematic thinking ability to design information technology by finding the most suitable method and implement it as a program (Wing, 2006). However, currently, coding education in universities is mainly conducted by computer-related majors, and non-majors are not receiving sufficient education. In the university, SW coding education for non-major college students and SW coding education are operated as a required course to improve computing thinking. Adequate coding education is not being implemen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rvey the current status of coding education and programs for non-major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certain specific coding education for non-major college students in college, and identify the strengths, weaknesses, and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tudents, and apply the coding education program applied to them.

      • 국제교류 실천공동체 「한일합동교육연구회」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박태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case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aimed at clarifying what are learning experiences of a community of practice(CoP) and how they are used in the general educational field, through a case of「Korea-Japan Education Society」. The study looks for a practice of members in a community and its specification in a perspective of learning theory. Learning experiences of members of 「Korea-Japan Education Society」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mbers of 「Korea-Japan Education Society」 shared and materialized pan-generational and 󰡐school level transcendent󰡑experiences by going through various practices in healthy relationships. The members of CoP shared and learned each other's experiences through a common practice in the society. Second, 「Korea-Japan Education Society」 has built in-depth learning experiences every year, by choosing a common theme such as education, history, environment, human right, culture and etc. Learning experiences of CoP can be clearly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what have been practiced in the establishment of CoP.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of 「Korea-Japan Education Society」, the CoP, based on the mutual trust and respect acted as a main factor which makes the members to become full participants. The members who were peripheral participants in the first place, through emotional factors which were established in the community, participated in the practice and specification. In the result, the aspect of their participation was developed; the members experienced growing up in their lives using the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and gradually became full participant of CoP. Last but not least, the members of 「Korea-Japan Education Society」has built and applied their learning experiences of CoP in the educational arena where they work, in other communities and in their lives. In addition, active, voluntary and emotional backgrounds promoted the practices and specification of community to work effectively. Learning experiences of 「Korea-Japan Education Society」have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and emotion between the members, activities based on emotions and the process of growing up through application. Enthusiasm which the members of the society found out each other, and seriousness about a common theme provided force for them to become full participants. Furthermore, the learning experiences have a feature of practice of community; practices leads to learning, and the learning leads to building relationships through intimate interrelations in and out of the community. 본 연구는 「한일합동교육연구회(Korea-Japan Education Society)」의 사례를 통하여 실천공동체에서의 학습경험이 어떠한지와 그 학습경험이 교육현장에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밝히기 위해 수행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실천공동체에 참여하는 구성원들의 공동체 내에서의 실천과 구체화에 대하여 실천공동체를 학습론적 관점으로 활용하여 탐색하였다. 탐색의 결과로 나타난 한일합동교육연구회 구성원들의 학습 경험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일합동교육연구회 구성원들은 범세대적인, 초학교급적 구성원들의 경험을 건강한 관계 속에서, 여러 가지 실천을 거치며 공유하고 구체화하였다. 공동체 구성원들은 공동체 안에서의 공통된 실천 가운데 각자의 경험을 공유하고 학습하였다. 둘째, 한일합동교육연구회는 교육, 역사, 환경, 인권, 문화 등의 공통된 주제를 선정하여 매 해 심도 있는 학습 경험을 쌓아 왔다. 실천공동체에서의 학습은 실천공동체의 형성에 있어 무엇을 실천해 왔는가의 관점으로 명확하게 살펴볼 수 있었다. 셋째, 한일합동교육연구회 구성원들의 상호 신뢰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 관계가 각 구성원들을 완전한 참여자로 이끄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주변적 참여자였던 구성원들은 공동체에 형성된 정서적 요인들을 동력으로 공동체에서의 실천과 구체화에 참여하였고 점차 심화된 참여로 참여 양상이 강화되었다. 공동체 참여 경험을 활용하여 각자의 삶에서 성장을 경험하였고 점차 완전한 참여자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한일합동교육연구회의 구성원들은 공동체에서의 학습을 구성원 각자가 공동체 안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육 현장에서, 삶에서 축적하고 적용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원들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정서적 바탕이 공동체의 실천과 구체화를 효과적으로 촉진하였다. 한일합동교육연구회의 학습 경험은 구성원들 사이에 형성된 관계와 정서, 그리고 그러한 정서를 기반으로 한 실천과 성장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구성원들이 서로에게 발견한 열정과 공동체에서 함께 다루는 문제에 대한 진지함은 주변적 참여자였던 구성원들의 정체성을 완전한 참여자로 만들어가는 동력을 제공하였다. 한일합동교육연구회의 학습 경험은 공동체 내부와 외부의 긴밀한 상호관계를 통해 실천이 곧 학습으로, 학습이 곧 관계 형성으로 이어지는 공동체적 학습의 특성을 형성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