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효과적 교육 방안 연구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에서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의 실제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강민정 ( Min Jung Kang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4 No.-

        본고는 학생들의 인문 소양 능력을 향상시키며 시민 윤리 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대학 교양 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할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찾아보는 데연구목적이 있다. 특히 인문적 목적성을 실천하기 위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교육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단국대학교의 필수 교양 수업 <사고와 표현>에서‘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을 직접 실시했던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이것의 효과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우선 자기 성찰적 글쓰기가 ‘선 성찰 후 글쓰기’라는 순차적 접근을 통해서 수업이 설계되어야만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후 1차 실습으로 학생들에게 영화 <GO>에 대한 감상문을 작성하도록 하여, 서사에 담긴타자성의 의미를 심도 있게 이해하게 함으로써 자기 성찰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만들었다. 이러한 인식으로 말미암아 학생들의 내면에는 자기 성찰을 능동적으로 수행하려는 의지가 생성되었다. 이후 학생들에게 리쾨르가 제기한 ‘자체성과 자기성의 구분’을 활용한 자기성찰의 사유 방법을 가르치고, 2차 실습으로 자신의삶을 돌이켜 보고 자체성과 자기성을 구분해 보도록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학생들에게 자기표현의 의지를 생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이로써 표현 의지가생성된 학생들에게 적극적 자기표현을 시도할 수 있는 관련 글쓰기 방법을 지도하였다. 이때 교재 『사고와 표현』에 제시된 바 있는 ‘개념화’를 3차 실습에서 가르쳐 이를 통해 학생들이 구분되어 있던 ‘자체성과 자기성’을 통합하는 과정으로서의 변증법을 수행하도록 하였고, 이를 창의적 표현으로 개념화하도록 하였다. 3차 실습의 결과물에 경험적 사례를 덧붙이게 하여 생동감 있는 전달법을 고민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성적에 반영하는 과제로 내주어 스스로 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완성하여 제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세 번의 실습 및 교수 피드백을 통해 학생들은 비로소 한 편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완성하는 단계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그들을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는 물론이고 더 나아가 타자 그리고 우리에 대한 이해와 포용력을 실천적으로 모색하게 하는 서사적 경험을 수행하도록 만들어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더불어 이러한 과정 중심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은 그간 중·고등 교육의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진 학생들에게 시간을 들여 자기 자신을 능동적으로 돌아보게 한다는 점에서 보다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대학생으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성찰적 사유가 지닌 의미와 가치를 음미해볼 수 있는 기회를 선사한다는 점과 나아가 정체성이란 것은 지배이데올로기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타인과의 상호 교섭을 통해 언제까지나 적극적으로 구현해나갈 수 있는 긍정의 과정임을 깨닫게 했다는 점에서 이 수업의 효과성이 입증되는 바이다. This study aims at looking up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which shall be carried out in college liberal arts educations in order to promote accomplishments in humanity capabilities of students and encouraging citizen moral consciousness. Specially, attentions were given to ‘Self-introspective writing’ education to practice humanistic purposes. So, researcher tried to confirm its effectiveness by focussing on actual cases which have been carried out directly in ‘Self-introspective writing’ at the essential cultural studies <Thought and Expression> of Dankook University. For doing so, this study judged that the class should be designed through sequential approaches called ‘Self-introspective writing after pre-introspection’ regarding self-introspective writing first. Therefore, this research made students cognize the importance of self-introspection by making them to write appreciations on a movie <GO> after showing the movie preferentially as the first practice, and then understand the meaning of otherness contained in the narration. Due to such cognizance, intentions of positively carrying out self-introspection in inner sides of students were created. After that, thinking way of self-introspection utilizing ‘Separating self-consistency with self-aspect’ having been suggested by Ricoeur was taught to students, and this study suggested to separate self-consistency with self-aspect after recalling own life as the second practice. This process gave helps for students to create self-expression intentions, and methods of writing relevant articles by which positive self-expression could be tried were guided accordingly. At that time, ‘conceptualization’ having been stated in the text 『Thought and Expression』 was suggested as the third practice, and dialectics as the course of integrating classified ‘self-consistency and self-aspect’ were executed, and then reached to its conceptualization as creative expressions. Based on results of the third practice, this study let empirical cases which could materialize the results be added, and students worry about vividtransferring methods, and then submit assignments by completing selfintrospective writing in person after giving this as an assignment which was reflected to school records. Through teaching feedback having been made in each times and three-times practices, students could be reached to the stage of completing one self-introspective writing. This process has a meaning in that it made students execute narrative experiences by which they practically grouped understanding on us and comprehension further as well as understanding on their own. In addition, a fact could be judged that self-introspective writing education enables students having been accustomed to learning by rote in middle & high school educations for the time being to positively look back oneself by taking time, and thus it would be helpful in growing up as more positive, autonomous college students. Furthermore, effectiveness of this class is proved in that it presents opportunities of being able to savor meaning and value kept in self-introspective thoughts, and makes students recognize a fact that identity belongs to positive process which could rather implement positively at any time through mutual negotiating with others in stead of being regulated by the governing ideology.

      • KCI등재

        자기성찰을 중심으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최민순,박은선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자기성찰을 중심으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심리적 안녕감에 도움을 주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집단미술치료가 참가자의 자기성찰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각각의 변화는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자기성찰 프로그램은 총 15회기로 구성하였으며, 매주 1회로 2016년 5월 27일부터 2016년 9월 9일까지 진행되었 다. 연구대상은 인터넷 홍보를 통해 모집한 자발적인 참가자를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 각각 10명씩 무선 배정 하였다. 측정도구는 자기성찰 척도와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에서 집단 간 동질성 검정을 위해서는 맨 휘트니 U 검정 (Mann-Whiteny U test)을, 자기성찰과 심리적 안녕감의 사전 사후 결과 비교를 위해서는 윌콕슨 순위 부호 검정(Wilcoxon’s singed rank test)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은 자기성찰, 심리적 안녕감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인 반면 통제집단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아 자기성찰을 중심으로 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기성찰과 심리적 안녕감 향상에 기여했다고 보았다. 또한 프로그램 진행과정 중에 나타난 자기성찰과 심리적 안녕감의 변 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서 참여자들의 보고를 질적으로 분석,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group art therapy adopting self-reflection helps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group therapy consisted of 15 sessions focusing on their self-reflection. This program was carried out once a week from May, 27 to September, 9, 2016. Participants voluntarily applied for the program in the Internet PR. They were arranged into 2 groups(10 people in each group) at random. One group is experiment and the other is the control group. Mann-Whitney U test was employed for the analysis of pre-test scores, the comparison of self-reflection scal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s. For the post-test scores comparison, Wilcoxon's singed rank test was used. The participants' reports were also qualitatively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what changes they experienced in terms of self-refle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uring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h self-refle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is group art therapy program contributed to improving self-refle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participants.

      • KCI등재

        상담자 자기성찰(Self-Reflection)에 대한 고찰

        황주연,정남운 한국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9 No.2

        본 연구는 상담자의 전문적 발달과 개인적 성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자기성찰이 상담분야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최근 상담자의 자기성찰에 관한 연구들이 행해지기 시작하는 단계에서 자기성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혀낼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행해진 자기성찰의 정의와 상담자 자기성찰과 관련된 연구들을 정리해 보았다. 상담자 자기성찰과 관련된 연구들로는 상담자 자기성찰에 관한 이론 연구들, 상담자의 자기성찰 경험을 직․간접적으로 볼 수 있는 연구들(상담자의 상담 및 수퍼비전 받은 경험, 상담자 자기대화, 상담자 사적 자의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상담자들의 자기성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 상담자들이 자기성찰을 할 때 어떠한 방식으로 자기성찰을 해 나갈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앞으로 상담자 자기성찰과 관련된 연구들과 상담자 교육에서 자기성찰 함양을 위해 행해져야 할 영역들에 대해 제안했다. This study has started from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that self-reflection had not been addressed sufficiently in the counseling area although it has an important effect o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ndividual maturity of the counselors. Recent researches on self-reflection, which are at the beginning stage has brought up the needs of study on factors that influence self-reflection. Thus this research review on the definitions of self-reflection and the researches of counselor's self-reflection. Those researches include the review reaearches, counselor's counseling and supervision experience, self-talk, private self-consciousness. Lastly, this research makes a few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on counselor’s self-reflection and the education for counselors.

      • KCI등재

        어머니의 자기성찰,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지능이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에 미치는 영향: 다중매개효과 검증

        오지현 ( Oh Ji Hyun ),김지윤 ( Kim Ji Youn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7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에 어머니의 자기성찰이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지능이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하고자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구조방정식 모델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A시에 소재한 3개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과 그들의 어머니 288쌍이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어머니의 자기성찰척도(An & Oh, 2013),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 척도(Oh, 2013), 아동의 자기성찰지능 척도(Kwon, 2008),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 척도(Won, 2015)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자기성찰 수준은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지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감정코칭 반응은 아동의 자기성찰 지능과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아동의 자기성찰 지능 또한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자기성찰 수준은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 지능을 통해서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자기성찰수준은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지능을 매개로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모형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의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지능이 중요한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기성찰수준과 감정코칭 반응, 아동의 자기성찰 지능이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후기 아동기의 정서조절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요인과 아동의 요인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multi-path mediated effects of mother’s self reflection to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through emotion coaching and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children (from grades 5-6) and their mothers.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from the mother’s self reflection scale(An & Oh, 2013), the emotion-coaching scale(Oh, 2013), the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scale(Kwon, 2008) and the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scale(Won, 2015).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self reflection level had a direct influence on levels of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Mother’s emotional coaching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respectivel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Second, mother’s self reflection levels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through emotion coaching and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emotion coaching reactions and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were importance mediators. Our results suggests that there are distinct pathways from a mother’s self reflection level to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through the mother’s emotion coaching and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a consolidated understanding of how mother and child have an influence on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within late childhood.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에서 자기성찰적 글쓰기 연구의 현황과 과제

        고혜원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2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of ‘self-reflection writing’ among the types of writing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educational meaning and future tasks of ‘self-reflection writing’. In the reorganization of the university's writing curriculum after mid-to-late 2000, “self-reflection writing” began to attract attention as a major process, and various achievements such as the meaning and utility of introspective writing, methodology of writing using various media, systematic and practical curriculum development, autobiography and self-introduction writing, and evaluation methods were accumulated. In order to examine the trend of these discussions, 63 academic papers written from 2000 to August 2022 were analyzed, and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First, it is a case study that proposed a theoretical review of macroscopic discourse such as the meaning and effectiveness of introspective writing, value and status, and second, a specific writing education methodology through lecture cases, and curriculum develop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글쓰기 유형 중에서 ‘자기성찰적 글쓰기’의 연구 동향을 고찰하여 ‘자기성찰적 글쓰기’가 지니는 교육적 의미와 향후 과제를 제안하는 데 있다. ‘자기성찰적 글쓰기’는 ‘자기표현 글쓰기’ 혹은 ‘자기 서사 글쓰기’ 혹은 ‘자기 고백 글쓰기’ 등 다양한 용어로 명명되는데 본 논의에서는 나와 타자 및 세계에 대한 ‘성찰과 탐색’의 의미가 잘 드러나는 ‘자기성찰적 글쓰기’라는 용어로 통일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2000년 중후반 이후 대학 글쓰기 교과 과정 개편에서 ‘자기성찰적 글쓰기’는 주요한 과정으로 주목받기 시작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물로 자기성찰적 글쓰기의 의미와 효용성, 다양한 매개체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의 방법론,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교과 과정 개발, 자서전과 자기소개서 쓰기, 인접의 분야로의 적용과 연계, 평가 방법 등 다양한 업적이 축적되었다. 이러한 논의의 추이를 살펴보기 위해 2000년부터 2022년 8월에 작성된 학술논문 중 ‘성찰적 글쓰기’, ‘자기표현 글쓰기’, ‘자기 서사 글쓰기’라는 키워드로 검색된 총 63편을 분석하였고, 크게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자기성찰적 글쓰기의 의미와 효용성, 가치와 위상 등과 같은 거시적 담론을 다룬 이론적 검토, 둘째, 강의 사례를 통한 구체적인 글쓰기 교육 방법론, 교과 과정 개발 등을 제안한 사례 연구이다. 이론적 연구는 자기성찰적 글쓰기의 인문 교양으로서의 교육적 함의, 글쓰기 장르로서의 비판적 고찰, 성찰적 글쓰기의 방향성과 교육 방법론, 교육 현황 분석 등 사례 연구에 비해 편수는 적지만 이러한 연구는 현장에서 진행되는 성찰적 글쓰기 교육 패러다임을 발전·변화시키는 마중물 역할을 하고 있다. 강의 사례 연구는 자기성찰적 글쓰기의 필요성 및 효용성을 증명하고 발전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귀결되고 있다. 구체적 양상을 보면 성찰적 글쓰기의 주제 관련 논의, 이론의 적용과 사례 분석 관련 논의, 효과적인 합평과 피드백 관련 논의, 성찰의 과정에 다다르기 위한 매개체로 영화와 소설을 활용한 논의, 마지막으로 성찰적 글쓰기의 효과를 양적・질적으로 심층적으로 다룬 논의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자기성찰적 글쓰기’ 연구의 추이와 주제 변화 양상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유치원 교사의 자기성찰지능 및 전문성발달의 경향 및 관계

        최상희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8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by kindergarten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nd to determine how the kindergarten teachers’ intrapersonal intelligence was associated with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210 kindergarten teachers from Seoul, Gyeonggi and Incheon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differences in intrapersonal intelligence by variables are as follows: Intrapersonal intelligence in general, self-understanding, self-control and utilizing and self-planning differed significantly by both career and education level. Intrapersonal intelligence in general and each of its sub-factors differed significantly by institution type. Second, the differenc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by variables are as follow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general and each of its sub-factors differed significantly by caree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general and knowledge and skill development and ecological development among its sub-factors differed significantly by education level and institution type. Third, as for the associatio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intrapersonal intelligence in general and each of its sub-factors and among professional development in general and each of its sub-factors. The intrapersonal intelligence in general of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general. This study aimed to give a better understanding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for kindergarten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of drawing up plans to improve the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자기성찰지능과 전문성발달의 차이를 살펴보고, 유치원 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전문성발달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자기성찰지능과 전문성발달 수준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자기성찰지능은 경력 및 교육정도에 따라서는 자기성찰지능 전체와 하위요소 중 자기이해, 자기조절 및 정서활용, 자기설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기관유형에 따라서는 자기성찰지능 전체와 모든 하위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전문성발달 수준은 경력에 따라서는 전문성발달 전체와 모든 하위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육정도 및 기관유형에 따라서는 전문성발달 전체와 하위요소 중 지식과 기술 발달, 생태적 발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전문성발달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치원 교사의 자기성찰지능 전체 및 모든 하위요소와 전문성발달 전체와 모든 하위요소 간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자기성찰지능 및 전문성발달에 대한 이해를 돕고, 유치원 교사의 자기성찰지능의 중요성을 파악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유치원 교사의 자기성찰지능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코칭 과정에서 전문코치의 자기성찰 경험에 관한 연구

        노경,유기웅 한국커리어·학습코칭연구소 2018 커리어·학습코칭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코치들이 코칭 과정에서 경험한 자기성찰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자료의 수집은 2018년 4월 중순부터 한 달간 전문코치 5명을 선정하여 2시간에 걸쳐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연구결과는 코칭에 대한 자각, 자기 내면에 대한 이해의 시작: 터닝 포인트, 자기성찰 이해 통한 변화: 자기 철학의 형성, 전문코치로서 자기성찰: 티핑 포인트 이라는 범주를 도출하였다. 자기성찰 경험은 코칭 고객에 대해 관찰자적 자아의 현상을 찾았고 이러한 확장된 현상의 반복과 순환은 결국 자기 자신의 변화를 확인하며 전문코치로서 철학을 완성해 나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현상 기저에는 코칭 고객에 대해 전문코치의 사랑과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 전문성을 갖춰야 하는 것을 통찰하였다. 자기성찰 경험의 본질을 코칭 고객과 코칭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전문성 제고로 직관하게 되었다.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에 대한 자각의 형성과정과 인식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코치가 자기성찰을 경험하는 선순환적 과정은 크게 두 축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전문코치의 자기성찰에 따른 자신의 티핑 포인트는 크게 두 축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professional coach’s self-reflection experience in coaching process. This study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data gathering was conducted in middle of April, 2018, and it took one month to select five professional coaches.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 for two hour.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explored the major categories of awareness to coaching, starting to understand inner self: turning point, changing through understanding of self-reflection: formation of self-philosophy, and self-reflection as professional coaches: tipping point. At the base of this phenomenon, the study gained an insight about the professional coach, that they should have professional idea on their mind, which means the coaches should love their coaching clients and always wish them do well. As a result, the researcher was intuitively able to be aware of the nature of self-reflection experience as enhancing the expertise, including both coaching clients and coaching progresse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ormation process and awareness of recognition about coaching. Secon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virtuous cycle, which a professional coach experiences the self-reflection, is composed of two axes. Third, the study also confirmed that the tipping point of the professional coach according to self-reflection is composed of two axes.

      • KCI등재후보

        영어 성찰일지 쓰기를 통한 자기주도학습의 향상

        장진태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교과교육학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학생들이 영어로 작성한 자기성찰일지가 그들의 자기주도적인 영어 학습과 영어쓰기 숙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EFL 상황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1) 자기 성찰 일지를 통한 자기주도성과 영어쓰기에 대한 태도의 변화; 2) 자기성찰일지의 역할; 그리고 3) 학생들의 자기주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사의 역할 등을 조사한다. 경기지역의 한 대학교에서 한 학기동안 이루어진 이 연구는 자발적으로 참여한 학생들의 영어 성찰일지와 사전·사후 설문지 그리고 인터뷰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고, 이 자료들은 코드별로 분리되며 내용분석 기술에 의해 분석되었다. 참여자의 자기 주도적 영어 학습과 일지를 한 학기동안 작성함으로써 얻게 된 경험 그리고 학습 환경에 관련된 어려움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정보는 세심하게 연구주제별로 분류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참여자의 학습일지가 영어쓰기의 자신감을 향상시켜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학생들로 하여금 매일 해야 할 일을 상기시켜 줌으로써, 그들의 학습목표와 목적을 분명하게 성찰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결과적으로, 자기 주도적 영어 학습을 활용하기위해서는 내적학습 동기가 과정 내내 부여되어야 하고, 영어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영어 학습을 메타인지적 전략을 통하여 구상화 하고, 구조화 할 수 있으며, 시간활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The study examines how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affect their self-directed English language learning and English writing proficiency in a tertiary EFL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llowing: 1)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self-directed learning and English writing by keeping reflective English journals; 2) the role of reflective journals; and 3) the teacher's role in improving the students' self-directedness in ELT. The participants were a group of volunteer students at a university in Kyeonggi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out the course of an academic semester, and included a pre- and post- self-assessment questionnaire reflective journals, and both individual as well as group interviews, which were analyzed by using an open-coding and content analysis. In so doing, the participants' discursive formation related to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and professed difficulties from the experiences of keeping English journals throughout the course; learning environments were carefully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helped them to improve English writing confidence and furthermore to clarify their learning goals and objectives to deepen their learning purposes by indicating daily to-do lists. Consequently, in order to utilize self-directed English leaning, intrinsic motivation should be provided throughout the course and English teachers should help students to understand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ies such as visualizing, mapping English learning contents and also to utilize effective use of time schedules.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성찰지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서의석,김미숙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ay care center teachers' self-reflection intelligence,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and to identify whether instructional creativity affects the influence of teachers' self-reflection intelligence on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27 teachers of day 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Incheon, and Cheonan, Chungnam.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rrel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flection intelligence of day care center teachers,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Moreover, to understand the role of instructional creativity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y care center teachers' self-reflection intelligence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this study has conducted Sobel test for post statistical verification afte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ursuant to methods for mediation (Baron & Kenny, 197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reflection intelligence,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all show positive correlation. Second, instructional creativity shows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influence of day care center teachers' self-reflection intelligence on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In other words, the study has confirmed that self-reflection intelligenc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with instructional creativity increasing the effects of self-reflection intelligence on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This study implies the necessity of measures to improve instructional creativity as well as self-reflection intelligence of day care center teachers, for the results suggest that instructional creativit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combined with self-reflection intelligence, improves the quality of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성찰지능 교수창의성 교사 영유아와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성찰지능이 교사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창의성이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충남 천안시 지역 어린이집 교사 명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성찰지능 교수창의성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의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교사와 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수창의성이 매개변인으로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과 의매개효과 검증법에 따라서 위계적 회귀 분석 후 사후 통계적 검증을 위해 를 실시하였다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교수창의성 교사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은 모두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성찰지능이 교사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교수창의성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즉 자기성찰지능은 교수창의성과 교수 영유아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며 매개변인인 교수창의성은 자기성찰지능이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력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창의성은 자기성찰지능과 결합하여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기때문에 이를 위해 자기성찰지능과 함께 교수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설화를 활용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 연구 -한국어 중ㆍ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김혜진 ( Kim Hye-ji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1 고전문학과 교육 Vol.22 No.-

        이 논문은 한국어 중ㆍ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화를 통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 방법을 구안하고 이에 따른 학습자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양상에 대해 살펴본 후, 이에 대한 교육적 의의에 대해 논하였다. 자기 성찰적 글쓰기(reflective writing)란 어떤 대상을 통해 자신의 참모습을 확인하고, 자신을 반성하며, 자신의 변화 가능성을 발견하면서 삶의 가치와 태도를 확립해 가는 글쓰기이다. 이때 성찰의 매개가 필요한데 본고에서는 이를 ‘설화’ 텍스트로 상정하여 다양한 인물의 성격과 가치관을 보여 주는 <바보 온달과 평강 공주>를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텍스트로 활용하였다. 설화를 활용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교수ㆍ학습 단계는 텍스트인 설화 읽기, 형식이나 내용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쓰는 1차 쓰기, 설화 속의 등장인물에 대한 공감 및 주제에 대해 생각해 보면서 쓰는 2차 쓰기, 교사의 피드백과 더불어 자신의 경험과 관련지어 좀 더 깊이 있는 성찰의 시간을 가져 보는 3차 쓰기의 네 단계로 설정하였다. 설화를 활용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통해 학습자들이 보인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화 속에 제시된 가정적 상황을 통해 자기 자신에 대해 확인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설화 속의 모범적 인물을 통해 자기반성을 시도하였다. 셋째, 경험적 자아를 통해 가치 의식을 좀 더 강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설화를 활용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의의는 쓰기 능력은 물론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 탐색 및 정체성 확립에 기여할 수 있다는 데 있다. This study formulates teaching methods of self-reflective writing through folktales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examines various aspects of learners' self-reflective writings and discusses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Self-reflective writing is a type of writing for establishing values and attitudes in life through identifying one's true image through a certain object, performing self-examination and discovering one's potential for self-modifications. There must exist an medium for introspection in this process. This study brings in folktales as the medium and chooses and uses < Ondal the Fool and Princess Pyeongkang > as the main text for self-reflective writing to show personalities and values of various individuals. Teaching and learning stages for self-reflective writing through folktales consists of four steps which are reading the text of folktales, first free-writing without any restrictions of form or content, second writing of sympathy of a character from the folktale and thoughts on the theme and third writing of deeper self-examination involving instructor's feedback and experience of oneself. The following are the aspects shown by the learners on self-reflective writing through folktales. First, the students identified one's image through assumptions shown in the folktale. Second, the students attempted self-examination through an exemplary character in the folktale. Third, the students enriched value consciousness through self-experience. The significance of self-reflective writing through folktales is that it contributes to not only the writing ability but also to self-examination and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