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간관리자의 코칭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매개로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임미영 한국커리어·학습코칭연구소 2024 커리어·학습코칭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중간관리자의 코칭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밝히고, 조직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매개로 하여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결과를 통해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조직구성원의 이탈을 최소화하고 조직과의 일체감을 느껴 조직 몰입을 강화하는데는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이 의미 있는 영향을 주며 조직구성원이 스스로 업무적 학습 환경에 대한 동기가 생기고, 학습에 대한 자발적 실행과 지속적으로 학습을 해나가기 위해서는 코칭리더십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둘째,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간관리자가 코칭리더십을 발휘하여 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기업 내 코칭 자격증 제도가 도입되어 중간관리자가 리더로서의 코칭적 마인드와 스킬을 내재화하고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을 위한 코칭 스킬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나갈 수 있는 역량 함양이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조직구성원 개인도 주도적으로 업무환경을 구축해 나갈 수 있는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하여 자신의 직무에 대한 관심과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조직문화가 형성되기를 기대해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aimed to find out impact of middle manager’s coaching leadership on team member’s team commitment and to analyze and to examine empirically about how it impacts on team commitment under the study’s circumstances. First, middle manager’s leadership can help minimize team members’ deviation, make them feel kinship and enhance their team commitment. And also it can stimulate team member’s willingness to voluntary and continuous learn and work. Second, there is a need to for middle manager to improve team member’s self-regulated competency for enhancing team member’s team commitment. In order to do that, team members are recommended to have interest on purpose and vision of team and their dynamic participation. Therefore, if team members can build better working environment and carry out their work voluntarily, they will likely to have higher affection to their positions and commitment. Also it is suggested that first, introducing coaching license policy to organization which makes middle manager first can internalize coaching mind and skill and second can support team member’s team commitment and cultivate their performance. Second, better team culture is needed for team members to build better working environment by themselves and to enhance their self-regulated competency for higher team commitment

      •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강화를 위한 학습코칭모델 개발: FOLLOW 코칭모델

        김태균 한국커리어·학습코칭연구소 2022 커리어·학습코칭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강화를 위한 코칭모델을 개발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코칭 모델의 구성요소를 도출하기 위해서 문헌 고찰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그리고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문헌 고찰을 통해 코칭, 자 기주도학습 관련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도입, 진행, 평가의 세 과정을 구성하는 코칭모델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FGI를 통해서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강화 를 위한 코칭 모델의 구성요소를 도출한 후 39명의 코칭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 로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로는 여러 항목별로 통계 처리하 여 평균, 표준편차, CVR을 분석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강화를 위한 코칭모델인 FOLLOW 코칭모델을 개발하였고 Feel, Open, Light, Lack, Obvious, Way의 6개의 요소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 과 같다. 첫째, 이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FOLLOW 코칭모델의 구성과정은 선행 연구와 전문가 패널들의 다양한 의견을 종합해 볼 때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강화를 위한 코칭모델은 내용과 절차, 대화모 델과 평가를 모두 담고 있는 통합적 모델이다. 셋째, FOLLOW 코칭모델은 기존 의 모델들이 갖는 코칭 기술이나 대화 프로세스 등 코칭의 기술적인 측면만 관심 을 두는 것과는 달리 청소년들의 성적향상과 개인의 생활 변화에도 적용이 가능 하다. 따라서 이 코칭모델은 관련 코칭프로그램 개발이나 연구 발전을 위한 모델 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aching model to strengthen the youth’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the study,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First, what are the components of the learning coaching model to strength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youth? Second, is the learning coaching model to strength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youth appropriate? In order to derive the components of the coaching model to strength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youth,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deriving the components of the coaching model to strength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youth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39 participants. The results of each item on the delphi surve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VR, and the coaching model to strength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youth was completed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LLOW coaching mode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to strength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youth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when putting together the various opinions of precedent research and expert panels. Second, the coaching model to strength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youth is an integrated model which contains all contents, procedures, conversation model and evaluation. Third, the FOLLOW coaching model is applicable not only to youth’s improvement in grades but also in change of one’s life unlike the former models for youth which had interest only in technical aspects of coaching like coaching skills or conversation process.

      • 사회적 지지관점에서 본 대학생의 학습코칭 참여경험 탐색

        조정선 한국커리어·학습코칭연구소 2018 커리어·학습코칭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학업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학습코칭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사회적 지지가 어떠한 의미로,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질적 연구의 자연주의적 탐구방법에 기초하여 학업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학습코칭 진행과정관찰, 면담, 반 구조화된 인터뷰를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개방코딩과 범주화 작업을 통해 학습코칭경험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학습코칭에 참여한 학생들은 과거의 학습경험과 자기분석을 통해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습득하게 되는 과정경험과 그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사회적 지지를 지속적으로 탐색하고, 활용 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하게 된 것으로 요약되었다. 또한 학업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에게는 보다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그들의 어려움을 공감하고 의논할 수 있는 대상과 자신에 대한 객관적인 탐색을 통해 학습의 어려움을 해소 할 수 있는 계기가 필요하며, 학교와 사회의 다양한 자원과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하고, 그들이 온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with academic difficulties in depth and to understand how social support is linked to the learning coaching process. To that end, five college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their academic performance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based on the natural exploration method of qualitative studies, and the study coaching progress observation, interview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llec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the students involved in learning coaching have resulted in supporting experience from past learning experiences and self-administered learning skills acquired through self-analysis, as well as support from the process. It also solved the difficulties of learning through an objective exploration of the resources and topics to which the students could identify and discuss their difficulties more directly and in detail.

      • 진로코칭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미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

        정지우 한국커리어·학습코칭연구소 2020 커리어·학습코칭연구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진로코칭프로그램을 통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미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을 위한 진로코칭프로그램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들을 위한 진로코칭프로그램이 진로미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고양시에 거주하는 만 13세에서 16세의 청소년 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9부의 설문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단일집단 대응표본 t-test,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 후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코칭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성요소인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의 평균점수는 모두 높아졌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문제해결은 평균점수가 높아졌으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진로코칭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진로미결정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로미결정수준의 구성요소인 직업정보 부족, 자기명확성 부족, 우유부단한 성격, 필요성 인식 부족, 외적장애의 평균점수는 모두 높아졌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진로코칭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미결정수준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함으로써 청소년들을 위한 진로코칭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ndecision of adolescents on the effects of a career coaching program. This research question are as follows : First, are there any the effects i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f adolescents on a career coaching program? Second, are there any effects in career indecision of adolescents on a career coaching program? A quantitative study was conducted of 29 adolescents in Goyang-si Gyeonggi-do.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SPSS 18.0, a single group sample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Data analysis revealed that: First, a career coaching program was partly effective in changing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dolescents' choice of goal selection, career information, and future planning was found to increase. However, there was found to decrease in problem solving, although the average score increased.. Second, a career coach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areer indecision. The average scores of lack of job information, lack of self-responsibility, lack of awareness, and external disabilities were found to be improved after the program. In conclusion, a career coaching program was found to be have effects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ndecision of adolesc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of adolescents through the coaching program.

      • 대학생의 진로적응성 향상을 위한 코칭모델 개발: FOCUS-ON 코칭모델

        김강희 한국커리어·학습코칭연구소 2022 커리어·학습코칭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적응성 향상을 위한 코칭모델을 개발하는 것 이다. 이를 위하여 두 가지의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적응성 향상을 위한 코칭모델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대학생의 진로적응성 향상 을 위한 코칭모델은 타당하게 구성되었는가?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사전연구 분 석을 통해 진로적응성 구성요소를 추출한 후 전문가 심층 인터뷰와 델파이 조사 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결과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대학생의 진로적응성향상코칭모델을 완성하여 FOCUS-ON 코칭모델을 개발하였다. FOCUS-ON 코칭모델은 신뢰체계수립(Framework), 현실기반탐색(On the ground), 진로주제파악(Career story theme), 긍정적 요소(Upside), 목표설정(Set goals), 대안탐색(Options), 새로운 시도(Novel innovation)의 7단계로 구성되어 있 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FOCUS-ON 코칭모델은 진로적응성 구 성요소와 커리어코칭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대학생의 진로적응성 향상을 목적 으로 하는 코칭모델로서 적절하다. 둘째, 대학생 시기의 특성을 반영하여 대학생 의 커리어코칭의 효과성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진로적응성의 구성요 소가 결합된 FOCUS-ON 코칭모델을 통해 대학생의 목표설정, 진로계획, 진로의 사결정, 자기주도성, 자기개념, 직업탐색, 자기효능감 그리고 긍정성의 진로적응성 을 향상을 돕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aching model to improve college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After extracting career adaptability components and sub-element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pre-research analysis, in-depth expert interviews and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he development of a coaching model for improving career adaptability of final college students was completed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Delphi survey and other opinions of expe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ch stage of college student career adaptability improvement coaching had content relevance. Second, the dialogue process of the career adaptability improvement coaching consists of ‘Framework’, ‘On the ground’, ‘Career story theme’, ‘Upside’, ‘Set goals’, ‘Options’, and ‘Novel innovation’. The FOCUS-ON coaching mode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ill support college students to improve career adaptability and contribute to the spread of self-directed career development culture.

      • 코칭의 이론적 이해: 개념 및 과정

        유기웅,조정선,김형숙,노경,백장현 한국커리어·학습코칭연구소 2017 커리어·학습코칭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코칭이 학문적으로 가지는 의미와 개념을 시스템적인 측면과, 학문적 영역, 코칭의 근본적인 과정을 통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코칭의 효과(output)에 영향을 미치는 코칭 접근 방법(input)과 코칭대화 프로세스를 통일하여 ‘코칭 시스템’이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코칭 시스템을 바탕으로 코칭을 이해하기 위한 영역을 살펴보고, 코치가 코칭 고객에게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커리어ㆍ학습 코칭영역에서 학문적 영역으로서 개념을 정립하고, 효과적인 코칭을 위한 시스템과 과정이 있음을 이해하는데 그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Although coaching has been found and applied to positively impact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of coaching have been largely overlooked by the practitioners and coaches. This article reviewed the definitions and concepts of coaching, the key components, coaching as a system, and the basic process of coaching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coaching. This article contributes to a broader theoretical foundation for research and practices on coaching and calls for further research.

      • 코칭 과정에서 전문코치의 자기성찰 경험에 관한 연구

        노경,유기웅 한국커리어·학습코칭연구소 2018 커리어·학습코칭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코치들이 코칭 과정에서 경험한 자기성찰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자료의 수집은 2018년 4월 중순부터 한 달간 전문코치 5명을 선정하여 2시간에 걸쳐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연구결과는 코칭에 대한 자각, 자기 내면에 대한 이해의 시작: 터닝 포인트, 자기성찰 이해 통한 변화: 자기 철학의 형성, 전문코치로서 자기성찰: 티핑 포인트 이라는 범주를 도출하였다. 자기성찰 경험은 코칭 고객에 대해 관찰자적 자아의 현상을 찾았고 이러한 확장된 현상의 반복과 순환은 결국 자기 자신의 변화를 확인하며 전문코치로서 철학을 완성해 나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현상 기저에는 코칭 고객에 대해 전문코치의 사랑과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 전문성을 갖춰야 하는 것을 통찰하였다. 자기성찰 경험의 본질을 코칭 고객과 코칭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전문성 제고로 직관하게 되었다.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에 대한 자각의 형성과정과 인식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코치가 자기성찰을 경험하는 선순환적 과정은 크게 두 축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전문코치의 자기성찰에 따른 자신의 티핑 포인트는 크게 두 축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professional coach’s self-reflection experience in coaching process. This study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data gathering was conducted in middle of April, 2018, and it took one month to select five professional coaches.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 for two hour.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explored the major categories of awareness to coaching, starting to understand inner self: turning point, changing through understanding of self-reflection: formation of self-philosophy, and self-reflection as professional coaches: tipping point. At the base of this phenomenon, the study gained an insight about the professional coach, that they should have professional idea on their mind, which means the coaches should love their coaching clients and always wish them do well. As a result, the researcher was intuitively able to be aware of the nature of self-reflection experience as enhancing the expertise, including both coaching clients and coaching progresse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ormation process and awareness of recognition about coaching. Secon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virtuous cycle, which a professional coach experiences the self-reflection, is composed of two axes. Third, the study also confirmed that the tipping point of the professional coach according to self-reflection is composed of two axes.

      •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갈등해소 코칭 모델 개발: MENGROWV 코칭 모델

        진선임 한국커리어·학습코칭연구소 2022 커리어·학습코칭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갈등해소를 위한 탐색과 분석을 통해 갈등해 소 코칭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로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갈등해소를 위한 갈등해소 코칭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정리하였다. 연구주제와 유사한 전문분야의 전문가 1:1 인터뷰와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된 갈등해소의 구성요소 및 갈등해소 코칭 각 단계의 적절성이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MENGROWV 갈등해소코칭은 ‘관계형성‘, ‘감정상태’, ‘욕 구파악’과 GROW 모델을 결합하고, ‘분출‘ 내용을 포함하여 갈등해소를 돕는 모 델이다. 따라서 MENGROWV 갈등해소코칭은 갈등해소를 통해 개인과 조직의 변화와 성장으로 모두가 지향하는 행복한 삶을 위해 공동체 확립 및 지속가능성 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현대사회에 요구되는 갈등 코칭 문화 확산에 기여 할 것이다. This study developed a conflict resolution coaching model through search and analysis for conflict resolution of village community members.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resented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omponents of conflict resolution coaching for conflict resolution were extracted and organize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onents of conflict resolution and the appropriateness of each stage of conflict resolution coaching derived through 1:1 interviews with experts in specialized fields similar to the research topic and Delphi surveys were significant. MENGROWV conflict resolution coaching is a model that combines "relationship formation," "emotional status," "understanding needs" and GROW models and helps resolve conflicts, including the content of "distraction.“ Through conflict resolution, the change and growth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will affect the establishment and sustainability of the community for a happy life that everyone aims for. t will also contribute to the spread of the conflict coaching culture required by modern society

      • 학생축구선수들의 자아존중감이 운동스트레스 및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권영선 한국커리어·학습코칭연구소 2018 커리어·학습코칭연구 Vol.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학생축구선수의 자아존중감이 운동스트레스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중학교 20곳의 남학생 축구선수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응답완료 된 총 291부의 설문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빈도 및 기술통계, 상관 분석을 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자아존중감이 운동스트레스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이 높을수록 운동스트레스가 커지고, 학습몰입의 경험이 적어지며, 일평균 공부시간과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학교 자아존중감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는 저학년일 때부터 학습과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운동스트레스를 줄이고 학습몰입의 경험을 늘리는 결과를 낳는다. 둘째, 자아존중감이 높으면 운동스트레스가 낮아지는데, 이것은 자신을 통제하는 힘이 생겨 학습몰입의 경험을 증가시킨다. 셋째, 학교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우 운동스트레스가 낮아지고, 가정 자아존중감은 운동스트레스 하위요인인 부당행동, 기능불만, 진로문제에 영향을 미쳐 가정 자아존중감이 낮을 경우 스트레스가 높아지게 된다는 결과는 가족들과의 관계가 매우 중요함을 보여 주는 것이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학습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학습몰입의 하위변인 중 도전과 능력의 조화, 구체적 피드백, 자의식 상실, 시간감각 왜곡, 자기목적적 경험에 영향을 미치고, 가정적 자아존중감은 학습몰입의 하위변인 중 행위와 의식의 통합, 명확한 목표, 과제집중, 구체적 피드백, 통제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교 자아존중감은 학습몰입의 하위변인 중 자의식 상실과 시간감각 왜곡을 제외하고는 모두 학교 자아존중감의 영향을 받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the self-esteem of middle school student soccer players affects exercise stress and learning flow.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s, the survey was taken by 300 male middle school student soccer players who are attending 20 different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291 completed surveys were used as research data. First of all, with using data from the collected surveys, this study was applied to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n, the effect of self-esteem on exercise stress and learning flow was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bo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discovered that the exercise stress increases and the experience of learning flow decreases as student soccer players’ advance through middle school. Second, if the middle school student soccer players have high self-esteem, their exercise stress is much lower. Third, if they have high self-esteem in school, their exercise stress is lower; and then self-esteem at home affects improper action, complaints about skill, and concerns about the future, which were involved in exercise stress. Fourth, as self-esteem has a beneficial effect on learning flow, social self-esteem affects harmony between challenge and ability, specific feedback, losing self-consciousness, distorting time sense, and autotelic experience that are sub-factors of learning flow; and domestic self-esteem has effect on integration between action and consciousness, clear objective, specific feedback, focusing on their tasks, and control that are also sub-factors of learning flow.

      • 경력단절 청년층 여성의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코칭 모델 개발: FREEDOM Mode

        박경은 한국커리어·학습코칭연구소 2024 커리어·학습코칭연구 Vol.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 청년층 여성의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코칭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선행연구 자료 분석 및 문헌고찰을 분석을 토대로 경력단절 청년층 여성의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코칭에서 필요한 구성요소를 추출한 후 1차 전문가 인터뷰와 2차 전문가 패널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 청년층 여성의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코칭 모델은 도입, 진행, 평가의 3단계로 구성되었다. 둘째, 경력단절 청년층 여성의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코칭 모델의 각 단계의 내용 타당성을 점검했다. 셋째, 경력단절 청년층 여성의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코칭 모델 진행 단계인 코칭 대화 진행과 전문가들이 추출한 코칭의 필요 요소들을 결합하여 경력단절 청년층 여성의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FREEDOM 코칭 모델로 명명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경력단절 청년층 여성의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코칭 모델 개발은 경력단절 청년층 시기 여성이 전문코치와 함께 자기 통제에 근간을 두며 자기 스스로를 이끌어 나가는 리더십을 바탕으로 스스로 자신의 강점과 잠재력을 깨달아 목표달성을 위한 행동과 성장을 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aching model to improve self-leadership of young women with career break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aching model for improving self-leadership of young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 consisted of three stages: introduction, progression, and evaluation. Second, the content validity of each stage of the coaching model for improving self-leadership of young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 was checked. Third, it was named as a FREEDOM coaching model to improve self-leadership of career-interrupted young women by combining coaching conversation progression. The conversation progress of FREEDOM coaching to improve self-leadership of young women with career breaks is as follow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a coaching model for career-interrupted young women will help women to realize their strengths and potential and act and grow to achieve their goals based on self-control with professional coa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