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영아 어린이집 선택요인과 이용만족도

        김병희,김정준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9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4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the selection factors and satisfaction by the individual variables of the mothers who sent their children to infant child-care cent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ection factors and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51 mothers with infants using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s, t -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 post hoc test.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mothers chose the child-care centers, the human environmental factor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Second, the utilization satisfaction was high, and home child-care center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among the subvariables. Thirdly, the more factors the mothers considered when they chose their child-care centers, the more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centers.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practical data for understanding the factors of mothers’child-care center selection and increasing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enter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어린이집 선택요인과 이용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351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백분율,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é의 사후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어머니들은 어린이집을 선택할 때 인적환경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였으며 이는 어머니의 연령과 월소득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학력, 취업여부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둘째, 어린이집에 대한 이용만족도는 높았으며 그 중에서 가정어린이집의 이용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이는 어머니의 월소득과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학력, 취업여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셋째, 어린이집을 결정할 때 다양한 선택요인을 중요하게 고려할수록 이용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과 실천 과정에서 어머니의 어린이집 선택요인을 파악하고 이용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실제적 자료를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어린이집 교원의 직업 가치관과 전문성 인식 및 갈등관리 전략의 세대별 차이 분석

        김용애,장경은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2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7 No.2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원의 직업 가치관과 전문성 인식 및 갈등관리 전략에서 세대별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와 세종시에서 임의표집으로 선정된 45개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어린이집 교원 253명이었다. 어린이집 교원의 세대별 직업 가치관, 전문성 인식, 갈등관리 전략의 차이는 일원배치분산분석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어린이집 교원은 내재적 직업 가치관에서 세대별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증 결과, 베이비부머 세대가 MZ세대보다 자기능력과 인간관계중심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전문성 인식에 있어서는 각 전문적 지식과 기술, 자율성에서 세대별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증 결과, 베이비부머 세대가 MZ세대보다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며, 베이비부머 세대가 X세대보다 자율성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갈등관리 전략에서는 통합적 전략과 회피적 전략에서 세대별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증 결과, 베이비부머 세대가 MZ세대보다 갈등관리에 있어 통합적 전략을 더 사용하고 있었으며, MZ세대가 베이비부머 세대보다 갈등관리에 있어 회피적 전략을 더 사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세대별 차이 분석을 통해 다세대 일터인 어린이집에서 교직 사회의 개선을 이루고, 교사 간 세대 차이의 간극을 좁힐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유아건강교육 대학교재의 내용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이 강조한 교수학습방법의 반영에 대한 분석

        김희진,최혜윤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2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7 No.2

        본 연구는 유아건강교육 대학교재에서 어떠한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내용에 2019 개정 누리과정이 강조한 교수학습방법이 반영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이후 발행된 유아건강교육 대학교재 12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용 구성 분석을 위해서는 목차 수준에서 다루어진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한 교수학습방법 분석을 위해서는 이론 부분과 실제 부분으로 나누어 분 석을 진행하였다. 이론 부분은 서술된 내용 분석을 통해 2019 개정 누리과정이 강조한 교 수학습방법이 적용된 서술을 문장 단위로 집계하였으며, 실제 부분은 2019 개정 누리과정 이 강조한 교수학습방법이 반영된 사례의 맥락을 사례 단위로 집계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건강교육 대학교재에서 다루어지는 내용 요소 간 비중에 차이가 있으며, 다루어지는 내용 요소 또한 교재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건강교육 대학교재의 내용에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강조한 교수학습방법은 이론 부분과 실제 부분에 각각 다른 방식으로 적용되었으며, 내용 요소에 따라 적용된 정도가 다르고 각 교수학습방법의 빈도 에도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추후 발행될 유아건강교육 대학교재의 집필 방향을 제시하 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행복감, 자아존중감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이지연(Lee Jiyoun),김정희(Kim Junghee)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9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4 No.2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개인 변인에 따른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의 차이와 임파워먼트와 행복감, 자아존중감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직장어린이집에서 효과적으로 영유아의 권리를 존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위치한 직장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20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경력, 근무기관의 학급 수, 담당 영유아의 수에 따라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임파워먼트, 행복감, 자아존중감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행복감, 자아존중감이높을수록 영유아의 하루일과 존중 실행과 아동 최선의 이익을 위한 보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행복감, 자아존중감을 높이면서 직장어린이집에서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이 더욱 향상되는데 기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right respect care for infants and childre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teachers. It is also to examine the effects of empowerment, happiness, and self-esteem on the right respect care for infants and children. Such findings will be the cornerstone for finding ways to effectively respect the rights of infants and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9 teachers who work in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data analysi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the right respect care for infants and children according to the teacher career, the number of class and the number of infant and child. Second, the empowerment, happiness and self-esteem were all major predictors of positive effects on rights respect c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 framework for the improvement of childcare for right respect for infants while enhancing the empowerment, happiness and self-esteem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teachers.

      • 어린이집 오후 일과 운영에서 유아의 참여 지원 방안에 관한 실행연구

        허솔미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6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1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d execute a plan for supporting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operating afternoon routines at a childcare center an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pla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class named Heanim at a S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 in Seoul, which is composed of 7 five-year-olds, 1 class teacher, and 1 assistant teacher.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 plan for supporting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operating afternoon routines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was developed and executed. One-to-one interview, decision on the nap time through discussion with young children, and operation of two plays for morning routines in association with the afternoon course. Second, as for the effects of the plan for supporting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operating afternoon routines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it reinforced young children’s motive for routines, gave them positive awareness of routines, promoted a sense of community both among children and between children and a teacher, and gave chances for child-parent communic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presented a process of supporting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operating afternoon routines by accepting their opinions, by creating many chances to express their ideas, and through the course of discussion, execution, and assessment.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오후 일과 운영에서 유아들의 참여를 지원하고자 방안을 마련하여 실행하고, 방안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S직장어린이집 만 5세 유아 7명이며, 오후 일과 운영 시 유아 참여 현황에 대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방안을 마련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어린이집 오후 일과에서 유아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1:1 면담, 유아와의 토의를 통한 오후 일과 운영, 오전 일과에서 선정된 2가지 놀이를 연계해서 놀이하기가 있었다. 1차 방안을 평가 한 결과 모든 유아가 참여할 수 있는 의사결정방법의 필요성을 느껴 의사결정방법을 선정하여 실행하여 일과를 운영하였다. 둘째, 어린이집의 오후 일과에서 유아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의 효과를 살펴보면, 일과에 대한 유아의 동기가 강화되었고, 유아가 일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유아-유아, 유아-교사 간의 공동체 의식 함양되었고, 마지막으로 유아와 부모간의 의사소통의 기회가 마련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의견을 수용하고, 의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마련하였으며, 함께 협의하고 실행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어린이집 오후 일과 운영에서 유아의 참여를 지원하는 과정을 제공했다. 이를 통해어린이집에서의 오후 일과 운영에 있어서 유아의 참여권을 위한 교사의 인식과 노력이 필요하며, 유아의 참여를 위해서 유아의 의사표현을 장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과 회복탄력성이 조직문화를 매개로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김혜원(Kim Hye Won),이경화(Lee Kyung Hwa)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9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4 No.2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어린이집이라는 조직에서 효과성을 증진시켜야 할 필요에 의해 어떤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보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근거를 찾고자 하였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과 회복탄력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문화가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총 386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셀프리더십 측정도구, KRQ-53 회복탄력성 측정도구, 조직문화 측정도구, 조직효과성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조직문화를 매개로 하여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어, 조직문화의 매개효과가 검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여 보육현장의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육의 질적 제고에 가장 중요한 요인인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과 회복탄력성이 높아져야 한다는 점과 더불어 어떤 조직문화를 조성할 것인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 어린이집에서의 유연하고 효율적인 조직문화를 마련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임을 시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necessit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daycare center. Therefore, this study was to confirm whether the organizational culture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elf-leadership and resilience of child-car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6 daycare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self-leadership measurement tool, KRQ-53 resilience measurement tool, organizational culture measurement t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easurement too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leadership of the child-care teacher influence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was confi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child-care field, selfleadership and resilience of the child-care teacher, and it can be suggested that a plan should be prepared to provide flexible and efficient organizational culture in future day-care centers.

      • 안전한 보육환경 조성 관련 어려움에 대한 가정 어린이집 원장들의 인식

        장경은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6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1 No.1

        This study examined family child care center directors’ perceived difficulties in constructing safe learning environments for young children. For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eight directors in family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Kyounggi areas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The texts drawn from the interviews were thematically analyzed based on the methods used for Polkinghorne’s(1995) analysis of narrativ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es, the directors’ perceived difficulties include the following: financial issues, negligence towards safety issues due to teachers’ overload, management of teachers, overloads in working towards evaluative accreditation, collaboration with parents in regard to the attendance issues of children with contagious disease, and difficulties in caring children due to increase in the number of children in care; increased workload. The participants suggested that substitute teachers should be provided without any friction and that government systems should not give any ex post facto support. Child safety in child care centers can be ensured by strengthening external support systems through governmental actions and restructuring the overall child care system. 본 연구는 안전한 보육환경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가정 어린이집 원장들이 느끼는 어려움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서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위치한 가정 어린이집의 원장 8 명을 면담하고 Polkinghorne(1995)이 제시한 내러티브에 대한 분석 방법을 통해서 참여자들의 면담 내용을 주제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가정 어린이집 원장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한 어려움은 재정적인 어려움, 과도한 업무량으로 인해 안전관리에 대한 어려움, 교사관리의 어려움, 평가인증을 통과하기 위한 작업에 따른 교사들의 보육활동에 있어서 소홀함과 이에 대한 해결책 모색에 있어서의 어려움과 전염성이 있는 질병에 걸린 아동들의 등원 문제에 대해서 부모의 협력을 구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 무상보육 시행 후 아동 수 증가로 인한 보육과 감독의 어려움 등이 있었다. 참여자들은 사후대책식 지원 정책이 아닌 원활한 대체교사 공급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으며 이러한 외부 지원 체계를 강화하고 보육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재구조화함으로써 어린이집에서의 아동 안전 확보가 가능하다고 하였다.

      • KCI등재

        사회정의에 대한 보육교사의 관심과 태도 연구

        이지연,김혜경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2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7 No.3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사회정의에 관한 관심과 태도를 알아보고 개인 변인(연령, 학력, 경력, 어린이집 유형)과 사회정의 관련 경험(차별 경험, 교육 유무, 매체접촉)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재직 중인 가정, 민간, 국·공립, 직장 어린이집 보육교사 240명이었다. 사회정의의 관심과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회정의 이슈 척도와 사회정의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들의 사회정의에 대한 관심과 태도는 중간값보다 높게 나타나 사회정의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긍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변인과 사회정의 관련 경험에 따른 차이는 다음과 같다. 보육교사는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사회정의에 대한 더 많은 관심과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관 유형의 경우, 가정어린이집의 교사는 다른 집단의 교사보다 낮은 사회정의에 대한 관심과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간경력의 교사들과 사회정의 관련 교육을 받아본 경험과 관련 매체를 자주 접한 교사들일수록 사회정의에 대한 관심과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개인 변인과 사회정의 관련 경험은 사회정의에 대한 보육교사의 관심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정의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보육교사의 개인적 요소와 사회정의 관련 경험의 다양성을 고려해야함을 시사한다.

      • 어린이집 영아반 옥내중간놀이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실행연구

        윤진주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6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xecute a plan for using the indoor intermediate playing space of Yeolmae Class efficiently and determine its effects on the young children and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13 two-year-olds and 3 teachers of Yeolmae Class in the indoor intermediate playing space of the class at an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 in Seoul from January 25 to May 31, 2016. Through Mills(2005)’s action research, the previous activity in the indoor intermediate playing space was analyzed and assessed and equipment and instruments were inspected; then, a specific plan for using it was developed and executed on the basis of emergent curriculums.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indoor intermediate playing spaces at nurseries was followed by development of the first execution plan, the first execution, assessment of the first execution and development of the second plan, the second execution, assessment of the second execution and development of the third execution plan, the third execution, assessment of the third execution and development of the fourth execution plan, the fourth execution, and assessment of the fourth execution and the final assessment. Through these execution plans, the indoor intermediate playing space of Yeolmae Class became useful to run childcare and curriculums of the class properly, closely connected and expanded indoor and outdoor activities, and became a nature-friendly space to experience nature on a daily basis. The teachers made efforts to recognize and promot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competence and got a better understanding of emergent curriculums.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옥내중간놀이터의 효율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영아와 교사에게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 만 2세 열매반 영아 13명과 교사 3명이며, 연구 기간은 2016년 1월 25일부터 5월 31일까지였다. 연구방법은 Mills(2003/2005)의 ‘변증법적 나선형 실행연구’에 따라 옥내중간놀이터의 개선점을 인식하고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후 옥내중간놀이터에서 진행한 과거 활동 분석과 평가, 비품과 교구 현황을 파악한 후, 발현적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실행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평가하였다. 1차 실행부터 4차 실행에 걸쳐 수집한 자료는 영아와 교사에게 미치는 효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영아는 옥내중간놀이터에서 과학과 수학 교과 관련 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주도성, 호기심, 관찰력 등의 학습 성향을 증진시키며 보다 적극적으로 감각탐색활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교사는 환경적 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신장하고자 노력하였고, 발현적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육현장의 건축설계자나 사업주, 원장, 보육교사에게 ‘옥내중간놀이터’를 활용한 실제적 사례를 제시하며, 어린이집 물리적 환경을 보다 다각도로 모색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유치원 교사의 자기성찰지능 및 전문성발달의 경향 및 관계

        최상희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8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by kindergarten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nd to determine how the kindergarten teachers’ intrapersonal intelligence was associated with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210 kindergarten teachers from Seoul, Gyeonggi and Incheon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differences in intrapersonal intelligence by variables are as follows: Intrapersonal intelligence in general, self-understanding, self-control and utilizing and self-planning differed significantly by both career and education level. Intrapersonal intelligence in general and each of its sub-factors differed significantly by institution type. Second, the differenc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by variables are as follow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general and each of its sub-factors differed significantly by caree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general and knowledge and skill development and ecological development among its sub-factors differed significantly by education level and institution type. Third, as for the associatio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intrapersonal intelligence in general and each of its sub-factors and among professional development in general and each of its sub-factors. The intrapersonal intelligence in general of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general. This study aimed to give a better understanding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for kindergarten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of drawing up plans to improve the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자기성찰지능과 전문성발달의 차이를 살펴보고, 유치원 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전문성발달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자기성찰지능과 전문성발달 수준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자기성찰지능은 경력 및 교육정도에 따라서는 자기성찰지능 전체와 하위요소 중 자기이해, 자기조절 및 정서활용, 자기설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기관유형에 따라서는 자기성찰지능 전체와 모든 하위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전문성발달 수준은 경력에 따라서는 전문성발달 전체와 모든 하위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육정도 및 기관유형에 따라서는 전문성발달 전체와 하위요소 중 지식과 기술 발달, 생태적 발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전문성발달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치원 교사의 자기성찰지능 전체 및 모든 하위요소와 전문성발달 전체와 모든 하위요소 간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자기성찰지능 및 전문성발달에 대한 이해를 돕고, 유치원 교사의 자기성찰지능의 중요성을 파악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유치원 교사의 자기성찰지능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