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기유학경험자의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연구

        나용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99

        논문 초록 정부의 조기유학 자유화 방침을 타고 조기유학의 열기가 지속적으로 확산되어 더 나은 양질의 교육을 받고자 조기유학은 떠나는 학생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조기유학을 경험한 학생들의 조기유학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조기유학의 장점 및 귀국 전과 후의 어려운 점을 비교하여 성공적인 조기유학을 위한 방안 및 근본적인 대책을 조사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본 연구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고, 이를 토대로 서울 강남구 소재 중학교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로 한 양적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자료는 Window용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응답자 배경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사용하였으며 조기유학의 실태 및 문제점, 대책에 대한 배경변인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배경변인(성별, 학년, 조기유학기간, 부모동행여부)에 따라 각 문항에 대한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χ2검증(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조기유학을 경험한 학생들은 조기유학을 결정하는데 부모님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조기유학을 떠나는 이유는 영어/외국어 실력향상 및 우리나라에서 공부를 열심히 해도 좋은 학교에 진학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조기유학을 간다고 했다. 또한 한국 공교육의 불신, 과다한 사교육비 지출, 극심한 대입입시 경쟁, 외국의 학력을 더 인정하고 높게 평가하는 사회 풍토 때문에 조기유학을 떠난다고 조사되었다. 또한 대다수의 학생들은 조기유학을 가는 것에 긍정적인 생각을 하고 있으며 창의적인 수업과 자유롭고 자발적인 학생 문화와 새로운 친구들을 사귀고 외국문화 체험을 통해 외국어 실력도 향상된다고 조사되었다. 하지만 조기유학 시 학교수업은 다양한 외국어 실력 차로 인한 어려움과 새로운 친구들과의 마찰 및 인종차별적인 대우와 한국과 다른 생활환경이 어렵다고 조사되었다. 귀국 후 에는 국어와 외국어 사이의 언어문제로 인한 재능/소질의 상실 및 학습 분위기 저하가 문제가 된다고 했으며 종합적으로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가족 및 친구들과의 이별로 인한 외로움과 외국어로 진행되는 학교수업으로 나타났다. 조기유학을 경험한 귀국학생들의 적응을 도와주기 위해선 외국과 한국에서의 공부하는 방법의 차이가 없도록 해야 하며 조기유학 후 자신의 노력이나 의지 및 학교 친구들의 배려를 요구하고 있었다. 조기유학의 근본적인 대책 및 방안으로는 외국인 학교설립을 완화하여 다양한 학교선택을 할 수 있어야 하고 외국인 홈스테이제도를 통해 한국 가정에서 자연스런 외국문화를 경험하며 부모의 욕심으로 조기유학을 보내지 말고 학생과 충분히 상담 후 의사를 존중하며 '영어마을' 같은 외국어 환경시설을 확충 하며 전 과목 학교수업을 영어/외국어로 진행된다면 조기유학의 장점을 살리고 우리사회의 문제가 되고 있는 '기러기 아빠' 와 같은 부작용을 대신할 수 있는 제도가 될 수 있다고 조사되었다.

      • 중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 과정에서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이수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445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was to explore Chinese graduat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and the learning process in acculturation process in Korea’s graduate schools and understand deeply the meaning of nature that their learning experience. Therefore, to attain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 of the purpose was set up: what is the meaning of Chinese graduat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in acculturation process at Korea’s graduate schools? To solve this research purpose, two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how are Chinese graduat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shown and interpreted in their acculturation process? Second, what is the meaning of nature that their learning experiences shown and interpreted in acculturation process? To obtain in-depth understandings of Chinese graduat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in their acculturation process,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apply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among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Seven research participants were chosen using purposive target sampling and then were interview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data collection method was carried out apply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duction and bracketing past experience and knowledge. The research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pplying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reduction, bracketing, reflective thinking and free imaginative variation of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In more detail, 723 meaning units and then 101 core themes of meaning units interpreted and measured by appropriating his clarification of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s were extracted from collected research data. Then research participants’ statements were changed into academic terms my free imaginative variation. They were integrated into a whole and arranged as a whole through a systematic semantic structure. The situated meaning structure and the general meaning structure were drawn through the research analysis and then were described with a delineation of the step-wise procedures using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coming into existence. In more detail, the situated meaning structure was extracted, and described to understand individual experience from research subjects’ points of views. Then the general meaning structure that had been generalized from individual experience of the situated meaning structure into collective experience by working through a systematic semantic structure was extracted and described by appropriating the eidetic method of descriptively studying research participants’ phenomenon that was shown and interpreted in the acculturation process: 6 key constituents and 26 subordinate constituents of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tial meaning structure were drawn and analyzed. The 6 core constituents of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tial meaning structure are as follows: first, intrinsic motivation: the desire for growth; second, extrinsic motivation: the footstep for growth; third, learning experience during the master’s course: the continuity of hardships and the continuous knowing; fourth, acculturational experiences in the general life at graduate schools: the improvement of knowing; fifth, the growth of self: the achievement of learning; sixth, the maturity of self seeking ‘the meaning’: the continuity for learning. Research participants issued the new challenge of mobility to Korea’s graduate school after the university graduation and then had unique, specific experiences in acculturation process at Korea’s graduate schools through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with Koreans like professors, other graduate students etc. I could find out that, with their strong-willed minds, they are expanding and integrating their knowing and learning from learning experience by applying them to their daily lives in acculturation process. While this research analysis was being performed for finding out and describing the meaning of nature in step-wise acculturation process, I could capture the meaningful learning process in each core constituent through the research analysis process and then understand by interpreting and analyzing it. Also the step-wise changing and growing, unique self could be understood through it. ‘The meaningful step-wise process for learning’ and ‘the self-changing and self-growing self’ inside each constituent was found out, interpreted and described. This could be understood and interpreted as the process that the self is moving forward to ‘the mature self’ that wants to continue learning, while being changed and grown from to the desire for growth, to the footstep for growth, to the continuity of hardships and the continuous knowing, to the improvement of knowing, to the achievement of learning, and to the continuity for learning in each core constituents of the acculturational process. Also, the meaning of nature of Chinese graduat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given to research participants’ present and future lives was drawn, interpreted and described. ‘The process of learning’ from their learning experience in the acculturational process was repeated, circulated, internalized and interiorized during the whole period of the master’s course. Consequently, Chinese research participants’ meaning of nature of learning experience in acculturation process that was found out and deduced from the above research results is ‘the continuous passion for learning and self-empowerment’, which implies the future-oriented attitudes and values of their lives, not giving up ‘the continuity of learning’ and moving forward to ‘the mature self’ during the mater’s course at Korea’s graduate schools and for the later lives. The implications in a theoretical perspectiv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can inform the basic data by helping understand deeply on the unique phenomenon that was found out though learning experience in Chinese graduate students’ acculturation process. Second,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expanding a academic prospect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of both higher education and adult education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by offering the basic data of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learning experience and widening the deep understanding on their master’s course. Third,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to put is to offer help in order to expand wider understanding that how Chinese graduate students will lead their future lives as adult learners and how their lifelong education will open up their life’s prospect, based on learning experience at Korea’s graduate schools. Fourth, this research can offer the basic information in order to make much more potential foreign students have the positive perspectives on acculturation and challenge the opportunities of academic growth at Korea’s graduate schools. The implications in a practical perspectiv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results can help to contribute to rearranging programs and systems performed by national universities for Chinese graduate students’ acculturation and academic adjustment. Second, the research results can inform the basic data for exercising public relations and government policies targeting foreign graduate students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Korea’s Ministry of Education. Third, the findings have the meaning of helping to make research participants have the turning points of their future life so as to create foundation of cooperation and formation of human capital with Korean specialists concerning their majors through their life and learning experience in Korea. 본 연구는 외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 과정에서의 학습경험이 어떠한지를 탐색하고, 그 학습경험의 의미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외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 과정에서의 학습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 과정에서의 학습경험은 어떠한가와 외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외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 과정의 학습경험을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 방법 중에서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본 연구의 자료 수집 및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의도적 표집으로 7명을 선정하였고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Giorgi의 판단중지와 환원의 방법을 활용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Giorgi의 판단중지와 환원을 활용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개별적 경험에 대한 진술을 연구 자료로 수집하였다. 그 연구 자료로부터 판단중지와 환원의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 참여자 관점에서 파악된, 총 723개의 개별적 경험의 의미단위들을 도출하였고, 그 의미단위들을 연구자의 상상과 자유변경의 방법으로 학문적 용어로 전환하였다. 그 학문적 용어로 전환된 의미단위들을 중심주제별로 분류하고, 이를 통합하는 구조화 단계를 거쳐 101개의 주요 의미단위들을 도출하였고, 연구 참여자들의 상황적 구조로부터 구조화 단계를 거쳐 개별적 경험을 공통된 경험으로 일반화시킨 일반적 의미구조인 26개의 경험의 하위구성요소와 6개의 핵심구성요소를 구조화 단계를 거쳐 도출하였다. 이를 연구 참여자들의 일반적 구조로 제시하고, 이를 기술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공통 경험으로부터 도출된 일반적 구조의 6개의 핵심구성요소는 1) 한국 유학의 내재적 동기 : ‘성장의 욕구’ 2) 한국 유학의 외재적 동기 : ‘성장의 발판’ 3) 한국 대학원의 삶 : ‘어려움 연속과 배움의 계속’ 4) 사회문화적응의 삶 : ‘적응 및 배움의 증진’ 5) 자아의 성장 : ‘배움의 성취’ 6) ‘의미’를 찾기 위한 자아의 성숙 : ‘배움의 지속’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 졸업 후 한국 유학이라는 새로운 도전을 하였다. 국내 대학원의 석사과정에서 한국 사람들과의 상호작용과 교류를 통해 사회문화적응의 과정에서 가지는 고유하고 독특한 학습경험을 하였다. 그 학습경험을 통하여 습득한 ‘배움’을 사회문화적응의 삶 속으로 확장시키고, 자신의 삶의 의지와 통합시켜 나가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사회문화적응의 과정에서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6개의 핵심구성요소의 각 단계에서 의미 있는 ‘배움의 과정’을 포착하여 해석하고, 분석하였다. 그 배움의 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변화되어 가고 성장하여가는 자아’를 해석하고 분석하였다. 그 자아는 각각의 핵심구성요소 안에서 ‘성장의 욕구’, ‘성장의 발판’, ‘어려움 연속과 배움의 계속’, ‘배움의 증진’, ‘배움의 성취’, ‘배움의 지속’으로 변화되어 가고, 성장하여 가면서 배움을 지속하고자 하는 ‘성숙된 자아’로 향하여 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자아는 학습경험의 의미를 찾아가는 자아의 형태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유학 기간 동안 그 배움의 과정이 반복되고, 순환되어 내면화되고, 내재화되었다. 따라서 연구 참여자들의 석사 과정 전체의 기간 동안에 사회문화적응 과정에서 나타난 학습경험의 본질은 ‘지속적인 학습열정과 셀프임파워먼트’로 나타났다. 이것은 지속적인 ‘성숙된 자아’를 위하여 ‘배움의 지속’을 포기하지 않는, 미래 지향적인 삶의 태도와 가치관을 가지게 하는 본질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중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을 위한 학습경험과 그 현상에 대하여 심도 깊은 이해를 돕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중국인 대학원생의 석사과정 학습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더하고, 학습경험에 대한 실존적 현상학적인 기초를 제공함으로써, 중국인 대학원생을 포함한 국내의 외국인 대학원생에 대한 고등교육과 성인교육 분야의 학문적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를 할 수 있기를 바란다. 셋째, 본 연구는 중국인 대학원생이 한국 유학을 통해 성인학습자로서의 삶을 어떻게 살아가고, 어떻게 평생학습의 삶의 지평을 열게 되는 경험을 하게 되는지의 과정에 대해 이해를 확장시켜 준다는 것에 그 의의를 둔다. 넷째, 본 연구는 중국인 대학원생을 포함한 국내 유학생의 사회문화적응에 대한 긍정적 관점을 확장하게 하고, 더 많은 유학생이 한국 대학원으로의 도전과 학문적 성장의 기회를 가지도록 기초 자료의 제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유학생을 유치하고 있는 각 대학에서 실시하는 중국인 대학원생의 사회문화적응 및 학업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및 제도의 점검에 기여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정부와 교육부의 국내 중국인을 포함한 외국인 대학원생 유치 및 관리의 정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 대학원의 삶을 통해서 국제 인적 자본 생성 및 국제 협력의 토대를 만들 수 있는 삶의 전환점을 가지게 되었다는 데 그 의의를 둔다.

      • 재한 유학 경험 중국인의 문화접촉 및 적응 연구 : 유학 생활에 대한 기억과 사회 경험을 중심으로

        왕치엔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32431

        재한 유학 경험 중국인의 문화접촉 및 적응 연구 : 유학 생활에 대한 기억과 사회 경험을 중심으로 이 글은 한국 거주 유학 경험 중국인(고학력 직장인) 한국에 유학을 왔다가 졸업 후 한국에서 취직하게 된 고학력 중국인을 가리킨다. 본 문에서 '유학생 출신 중국인 고학력 직장인(연구대상자)'으로 기재한다. 이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을 밝히고, 이들의 향후 삶과 새로운 이주민 집단으로서의 전망을 진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고찰과정에서 역점을 둔 부분은 유학생 출신인 이들이 한국에 오게 된 배경과 한국에서의 적응과정, 그리고 졸업 후까지 한국에 남아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어려움 등 삶의 실천적인 부분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1990년대 초 한·중 수교가 이루어지고 난 이후 양국의 정치, 경제적 관계가 본격화 되었다. 과거에도 그랬듯이 한·중 양국은 높은 기술력과 함께 앞으로도 서로에게 커다란 시장으로 그 긴밀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실로 양국 사이에서 이러한 긴밀한 관계의 가교역할을 할 수 있는 집단은 다름 아닌 양국의 언어와 문화를 잘 이해하고 있는 유학생일 것이다. 최근 한국사회에 중국인 유학생 증가와 함께 늘어난 외국인 유학생 연구들을 살펴보면 이들의 학업, 학교생활 적응 및 적응과정에서의 스트레스 등이 주요 관심사이다. 즉, 유학생을 한국에서 학업만을 목적으로 해 단기적으로 머물다가 떠나는 사람들로 보고 진행한 연구들인 것이다. 실제로 이들의 역할은 한중간의 정치경제적 역학구도가 확대될수록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양국은 이들을 좀 더 체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필자는 논의의 범위를 좁혀 한국 내 고학력 중국인 유학생들이 졸업 후 한국사회에 적응해가는 실태를 질적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The Research of Culture Contact and Adaption Related to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 The life of studying abroad mainly focusing on memory and social experienc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adaptive process for Korean society based on Chinese informants who study and live in Korea with well-educated and experienced, and to take an outlook for their new life if they become to be Korean settlers later.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is focus on the background and adaptation course of Chinese students and their difficulty during living in Korea after graduation. As known to all, the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has been normalized as diplomatic relations established in the early 1990s. There is an expectation for more close connection between Korea and China with larger market place to each other just like high technical skills as before. As a matter of fact, Chinese students who study in Korea know much language and culture about Korea have played the role of bridge for tighter connection between Korea and China. Recently, more and more foreign students come to Korea for study just like Chinese students, many researchers take their research mainly focus on learning, college life adaption and the stress produced during adaptive process. Namely,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the Chinese students who study in Korea for a short-term with a main purpose for getting degree. In fact, more expectation is anticipated for those students who can mak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with politics and economy larger and larger.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se two governments to find out a systematic way for utilizing these students. The author makes the range of discussion narrow and has a research on qualitative adaption process for Korea society after graduation for those Chinese students who have high level education.

      • 홍콩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경험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

        이수경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32431

        본 연구에서는 홍콩에서 한국어를 학습한 이후 한국으로 유학을 온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과정을 학습생애사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 같은 홍콩출신 한국어 학습자의 사례를 바탕으로 그들이 경험한 한국어 학습과정의 의미를 구조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홍콩에서 유학 온 한국어 학습자의 홍콩에서의 한국어 학습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홍콩에서 유학 온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에서의 한국어 및 전공학습은 어떠한가? 셋째, 홍콩에서 유학 온 한국어 학습자의 두 지역에서 학습경험은 생애과정에서 어떻게 의미화되는가? 하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 같은 연구문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첫째, 홍콩에서 한국어를 학습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둘째, 본인의 학습경험을 한국어로 이야기할 수 있는 의사소통능력이 있으며 셋째, 현재 한국에서 유학하고 있는 학생으로 넷째, 성실하고 자신의 삶을 솔직하게 전달할 수 있는 대학생 중에서 연구 참여자를 물색하였으며, 세평적 사례방식(Reputational case selection)을 통해 연구문제에 적합한 자료를 제공해줄 것으로 판단되는 홍콩 출신 유학생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 생애 연구에서 강대중(2009, 2012)이 제시한 ‘학습조건’, ‘학습내용’, ‘학습자 자세’, ‘조건화된 학습자’라는 네 가지 분석단위와 생애사 연구에서 Mandelbaum(1973)이 제시한 ‘차원’, ‘전환’, ‘적응’이라는 세 가지 분석단위를 통합한 구조모델 1, 2를 설정하였다. 통합적 구조모델 1에서는 연구 참여자의 생애과정(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에서 작동되는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요인을 상호작용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했고, 통합적 구조모델 2에서는 학습 환경의 변화(홍콩, 한국, 또는 제3국)에 따른 적응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했다. 이렇게 개발한 모형을 바탕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자료는 연구 참여자들의 자기서사를 통해 드러나는 의미구조로 다시 통합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드러난 연구 결과를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어 학습 이전인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모든 연구 참여자들은 각자 주어진 학습 환경 속에서 상호작용을 하면서 학습자의 태도와 자세를 형성하였다. 또한 각자의 학습조건 속에서 학습내용을 수용하였으며 조건화된 학습자로서 태도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중에는 적극적인 학습자 자세를 유지한 사례도 있었으나, 부정적인 생애사건으로 인해 수동적인 학습자로서 삶을 살았던 사례도 존재했다. 이처럼 다양한 학습 환경 속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어를 학습하기 시작했으며, 이를 삶의 전환의 계기로 삼고자 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어 학습 과정에서 모두 적극적인 태도를 취했으며, 조건화된 학습자의 어려움들을 극복하면서 한국어 학습을 지속하고자 했다. 이 같은 학습자의 자세와 태도를 유지하는 와중에 한국어 구사능력은 증진되었으며, 이에 따른 자신감이나 자기효능감은 점차 높아졌다. 한국 유학은 학습조건과 학습내용 측면에서 또 하나의 전환점이었다. 적극적인 학습 자세를 견지해오던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 유학생활을 통해 부족한 한국어 능력이나 한국 대학문화에 만연한 외국인에 대한 편견 등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같은 학습 환경 속에서 연구 참여자는 좌절감과 위기감을 느끼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 같은 위기의식 속에서도 연구 참여자들은 적극적인 학습자의 자세를 취하면서 삶의 전환을 시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자가 처한 위기를 극복하고자 했다. 그런데 이 같은 삶의 전환의 시도 속에는 실존적인 자기이해가 밑바탕이 되었다. 즉, 한국 유학과정에서 겪는 좌절과 고통은 그들 스스로 선택한 결과이며, 이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 역시도 자신들의 몫이라는 상황인식이 새로운 전환을 가능하게 한 것이었다. 이런 점에서 그들이 겪는 좌절과 고통은 하나의 성장통이라 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서, 홍콩에서 좌절과 무기력에서 벗어나게 한 계기로서 작용한 한국어 학습은 좌절과 고통을 주는 원인이 아니라 새로운 성장을 위한 발판이라는 것이었다. 더 나아가 연구 참여자들은 향후 자신의 미래를 개척해나가는데 있어서 한국어가 삶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었다. 정리해보면, 홍콩에서 유학을 온 연구 참여자에게 한국어는 단순히 외국어가 아닌, 자신의 성장이야기가 담긴 ‘디딤돌’, ‘나이테’, ‘나의 언어 -길라잡이’였다. 아동청소년기나 성인기를 거치면서 자신의 청춘과 성장 기억들이 담겨진 언어가 한국어였으며, 자신의 미래를 기획하는 데 발판이 되는 것도 한국어였다. 논의에서는 이 같은 연구 결과를 Dewey가 제시한 교육철학과 이에 기반 한 경험학습이론과 전환학습이론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이 자기서사를 통해 제시한 한국어학습 과정과 의미가 구성주의 교육철학과 이론과도 무관하지 않음을 제시하였다. 이외에도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정책 및 실천적 기틀을 마련함에 있어서 전환학습이론이 갖는 유용성을 밝히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가 가지는 함의를 제시하고자 했다. 먼저 이론적 함의에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경험 연구에서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적응’내지는 ‘배타적인 대학문화’와 같은 내용들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시켰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를 지지하고 강화하는 측면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반면에, 경험학습이나 전환학습 관점에서 성장의 의미를 제시함으로서 선행연구들이 밝히지 못했던 새로운 이론적 함의도 같이 제시하였다. 둘째,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해 ‘심리정서서비스나 구체적인 학교행정서비스, 교수자의 감수성교육과 같은 보다 실천적인 지원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들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언어사용능력을 키우기 위한 제도적인 방안으로 한국어능력시험제도의 관리, 한국어교원자격제도의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applies the life history research approach to the investigation of the learning process of students who studied Korean language in Hong Kong and subsequently came to Korea as foreign student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such cases, it seeks to provide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nce of their Korea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s. The investigation focuses on thre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are the subjects’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in Hong Kong? Second, how are the subjects’ learning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and other subjects in Korea? Third, how do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these two different places become signified in their life histories? For the exploration of these research questions, four participants were selected, who studied Korean language in Hong Kong, possess the ability to discuss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Korean, currently study at the collegiate level in Korea, and are willing and able to share their life experiences with openness.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m was analyzed with the life history research approach, under two structural models that integrate the four analysis units – ‘learning conditions’, ‘learning contents’, ‘learner attitude’, and ‘conditioned learner’ – proposed by Kang, Dae-Jung(2009,2012) and the three analysis units – ‘dimensions’, ‘turning’, and ‘adaptations’ – proposed by Mandelbaum(1973). The integrated structural model 1 explores the interplay of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factors that operate in the subjects’ life history stages (childhood, adolescence, and adulthood). The integrated structural model 2 approaches the research questions with a focus on the adaptation to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Hong Kong, Korea, or other countries). These models provide the basis for the analysis of collected information, which is integrated into a meaning structure(의미구조) via the participants’ autobiographic narrative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reveal that all the participants formed their learner attitude during their childhood and adolescence while interacting with their learning environments prior to thei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y started their Korean language learning in various learning environments, and sought to use it as a transformative opportunity in life. They maintained active attitudes in their Korean language learning process, and tried to continue learning while overcoming difficulties as conditioned learners. In the process, they grew in confidence and sense of self-efficacy. Coming to Korea served as another opportunity of transformation for the participants. By living as foreign students in Korea, they realized the limitations of thei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the prevalent prejudice against foreigners on campuses. Nevertheless, they sought to accomplish life transformation by maintaining a positive attitude and overcoming various crises. The participants’ efforts for life transformation were founded on their existential self-understanding that the disappointments and pains they experienced while studying in Korea were the consequences of their own choices, and, thus, overcoming such difficulties was also their responsibility. In this sense, their difficulties were understood as a growing pain, and Korean language was regarded not as the cause of disappointment and pains, but, instead, as a stepping stone for new growth. In this way, to the participants, Korean language is not merely a foreign language but “their language” that serves as a vehicle of their stories of personal growth. Thes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in the light of Dewey’s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 associated theories of experiential learning and transformative learning. Also discussed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of constructivism and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process and significance reflected in the research participants’ autobiographic narratives. In addition, the author seeks to highlight the usefulness of the transformative educational theory for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regarding foreign students. While pointing at the recurring themes of ‘adaptation’ and ‘exclusive campus culture’ addressed in existing literature on foreign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lso present new theoretical implications. Furthermore, they suggest the need of systematic improvements in educational administrative services, educator training in emotional sensitivity, Korean proficiency test programs, and Korean language educator certification.

      • 베트남인 한국학 전공자의 유학 경험과 학습 동기 변화 연구 :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김민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428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학 전공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과 한국 유학 경험에 대한 학습자 내러티브를 탐구하였다. 학습자의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학습자의 경험이 갖는 의미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연구 참여자들의 삶의 이야기 속에서 한국학 전공자가 장기간 한국어를 학습하는 과정 속에서 학습자의 자아가 학습 맥락과 상호작용하며 동기가 역동적으로 재구성되는 양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한국어 학습 동기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삶의 경험을 연구하는 정성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베트남의 4년제 대학 전공으로 한국학을 선택하여 현지 대학에서 한국어를 학습한 후, 다양한 유학 경로를 통해 한국 대학에 유학을 온 5명의 학습자로 구성되었다. 2019년 9월부터 11월까지 4개월 동안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현장 텍스트를 수집하였고, 수집한 현장 텍스트는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시간, 장소, 상호작용) 속에서, 학습자의 자아 인식의 변화와 동기가 재구성되는 주요 사건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연구 참여자와 공동 확인 과정을 통해 한국어 학습과 한국 유학 경험에 대한 학습자 내러티브로 구성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 속에 드러나는 한국어 학습 동기는 장기적인 학습 과정에서 일정한 심리적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경험 속에서 자아 인식과 학습 맥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역동적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연구 참여자의 한국어 학습은 단순한 언어 숙달도의 향상 과정이 아닌 사회적, 직업적 정체성을 획득하기 위한 과정이며, 학습자의 제2 언어 동기적 자아가 지속적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이다. 특히, 한국 유학 경험은 한국 사회 경험과 자신만의 전문성과 경쟁력 확보를 통한 이상적 제2 언어 자아의 실현 기회를 찾기 위한 구체적인 투자 행위로 인식되었다. 또한, 한국 유학 맥락에서 학습자들이 경험하는 구체적인 일 경험과 학습 경험은 학습자의 이상적 제2 언어 자아를 신뢰하고 강화하게 하는 한편, 한국 사회에서 경험하는 문화적 편견이나 차별감 등을 통해 한국인과 한국 사회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재인식하며 학습자의 한국어 사용 양상과 이상적 제2 언어 자아상 설정, 향후 학습 계획에도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 동기가 학습자 내적인 심리 상태가 학습 결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자아 인식 과정 속에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역동적 과정으로서 인식되어야 하며, 한국어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가 설정하는 이상적 제2 언어 자아상에 대한 이해와 학습자의 자아 재구성 과정을 고려한 교육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미시적 관점에서 학습자 자아와 학습 맥락의 상호작용과 학습자 자아의 재구성 과정을 탐구함으로써 기존의 동기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못했던 학습 동기의 종단적 변화 양상을 살피고자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정성적 연구 방법을 통해 학습자의 실제 학습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고 총체적으로 이해하며, 한국어 학습자가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학습 경험에 대한 의미 부여 양상을 살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베트남인 한국학 전공자의 학습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데 활용될 수 있고, 향후 한국학 전공 학습자에 대한 교육적 지원 방안이나 유학 지원 정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재한 중국유학생이 지각하는 전공몰입경험이 대학생활적응 및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지된 적합성의 조절 효과

        마저리앙 호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2383

        유학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적응이라 할 수 있다. 문화와 사회적 배경이 다른 낯선 나라인 외국에서 살아가고, 나아가 외국어로 학업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은 누구나 가정하는 사실이고, 그것을 극복해 나가는 중요한 과정이 적응이기 때문이다. 이에 한국으로의 유학 동기 및 초기 적응 과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개인적 성장과 학문적 성취를 이루기 위한 활동들은 대학 생활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이러한 활동에 재미를 느끼고 몰입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대학 적응으로 이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전공에 대한 몰입경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또한 대학생활적응의 최종 결과는 학생들이 얼마나 학업을 성공적으로 잘 이수하였는지 이다. 이러한 학업의 성공여부는 학업중단의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행동과학자들은 개인이나 상황 특성이 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이들 개인과 상황이 서로 상호작용하고 적합성을 이룰 때 그 효과성이 높아진다고 하였다. 즉 인지된 적합성은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고, 학업중단의도를 낮출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한 중국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몰입경험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전공몰입경험이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이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전공몰입경험, 대학생활적응, 학업중단의도의 관계에서 인지된 적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전공몰입경험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전공몰입경험에 대한 지각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에 대해 높게 지각하고 반대로 학업중단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전공수업에 대한 몰입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직업가치관 중 내재적 가치관에 대해 높게 지각하도록 교육을 하여야 할 것이며, 전공수업이외의 이중 언어 수업지원이나 한국어 보충수업을 개인차에 따라 단계별로 운영하여 체계적인 학업지원과 중도탈락을 방지 할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 지원 및 제도적인 절차를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 둘째, 대학생활적응이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지각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중단의도가 낮아진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학에서는 중국어와 중국문화에 익숙한 전담 교수진 및 인원이 배치하여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대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권위주의적이고 위계적이며 남녀차별적인 한국문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문화이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전공몰입경험과 대학생활적응, 그리고 학업중단의도의 관계에서 인지된 적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한 인지된 적합성은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고, 반대로 학업중단의도를 낮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전공에 대해서 비전을 느끼고 스스로의 길을 만들어 나갈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학습참여, 현장실습, 산학연계 등을 개발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학생들은 스스로 선택한 전공 및 학교에 대한 믿음과 확신을 통해 만족도를 높일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중국 유학생의 한국 내 관광경험이 관광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연 대구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382

        최근 교육부 통계에 의하면 국내에 체류 중인 중국인 유학생의 수가 급속히 증가하여 2007년 12월 현재 약 27912여 명으로 집계되고 있으며,그 수도 매년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관광, 사업, 취재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과 달리 유학을 목적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유학생의 경우는 한국 내에서 총 체류기간이 평균 2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이들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들이 한국에서 유학생활을 마친 후 본국으로 돌아가 각자 전문직을 가진 엘리트 그룹에 속해지며 사회 곳곳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여 중국 유학생의 국내관광경험이 관광만족도와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표본은 대구시 6개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기간은 2008년 4월 1일부터 5월 2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조사하였다.분석은 유효표본 242부를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관광경험에 관한 5개의 요인 중 사회적 교류감을 제외하고 자기향상감, 해방감, 자연교류감, 신기성/각성 경험,자기결정감 순으로 관광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이러한 관광만족은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에도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관리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유학생들의 신기성/각성 경험의 욕구 충족을 위해 한국 내 전반적인 관광 프로그램을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중국 유학생들의 자기결정감을 위해 그들이 소속된 단체에서는 수동적인 관광 형태를 벗어나 중국 유학생들 스스로 결정하는 적극적인 관광형태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재 실시중인 멘토 또는 도우미 제도를 더욱 활성화 하여 중국 유학생들의 관광일정에 함께 참여함을 유도하여 사회적 교류감을 길러줘야 할 것이다. 셋째, 중국 유학생들의 자기향상감을 위해 한국 고유의 문화를 체험하고, 관광지의 위치나 관련 지식 등을 습득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서 관광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전반적 관광만족은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의 관광만족을 높이기 위하여 소프트 프로그램의 개발과 더불어 하드웨어 측면의 기반시설이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대구시 6개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현재 한국 내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의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고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만큼 향후연구에서는 기타 지역의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을 포함하여 관광만족 및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 관한 연구가 심도 있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recent statistics by Education Ministry of Korea, the number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reached 27,912 now, December 2007. It has been rapidly increasing for last few years. Differently from the case of travelers or businessmen, the average residence period of students is over 2 years so that it needs conscientious care program for them. Thereupon,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closely effects which the domestic tourism experience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have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it, intention of revisit and recommendation from the consciousness of matter that they will return from study in Korea, belong to an elite group who has their each career and influence all around the society directly, indirectly The sample for this study was chinese student in six university, Daegu.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nalyzed from April 1 to May 2, 2008.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the available 242 samples, using SPSS 12.0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established hypothesis. The results extracted from the deep research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in regard to the effects of tourism satisfaction and re-visitation on tourism experience which the chinese students, among the five factors of the tourism experience, the factors of self-enhancement, escaping experience, nature relation, novelty/arousal, self-determination, not the factor of social relatio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tourism satisfaction. Also, in regard to the tourism satisfaction on the chinese student in south korea, the factors of re-visitation and intension of recommendation, have a positive influence. Based on above results, following are the administrative suggestion available for business practice; First, we must put overall tourism program to practical uses for satisfying chinese students' desire of novelty and arousal experiences. Second, for their feeling of self-determination, the party including Chinese students must induce them to take up not passive but active attitude in tour. Also, to cultivate their social relationship we must activate mentor or assistant-student system and lead them to take part in chinese students' tour schedule. Third, for their feeling of self-enhancement, we must help them experience our traditional culture and learn diverse knowledge about Korea for their tourism satisfaction. Last, we must develop not only hardwares like tourism facilities but also software like various tour program for satisfying them. Generally, tourism satisfaction have a favorable influence upon their intention of re-visitation and recommendation. This study has practiced an empirical study for the chinese students of only six university in Daegu. Now, the number of Chinese students are increasing rapidly, and they are wherever. Therefore, research about Chinese students' intention of re-visitation and recommendation depending on their tourism satisfaction will be spread to Chinese students in other region and other universiti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