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치원 도서대여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 이해와 표현에 미치는 영향

        이수연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유치원 도서대여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 이해와 표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전공 이수연 지 도 교 수 이경화 본 연구는 유치원 도서대여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 이해와 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유치원에서 도서대여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실험집단 유아들은 가정으로 도서를 대여하여 책 읽기 활동을 한 도서대여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의 유아들에게는 도서대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다. 그리하여 유치원 도서대여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 이해와 표현에 미치는 영향의 실험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안양시에 위치한 D유치원의 만5세아 50명이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각각 25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한글 출발, 한글 도착' 검사(이경화, 2004)이다. 실험집단은 2013년 9월 25일부터 10월 25일까지 5주간에 매주 2회씩 총 10회에 걸쳐 가정으로 책을 대여하는 도서대여 프로그램을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도서대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다. 사전검사 결과는 집단 간 동질성 확인을 위해, 사후검사는 실험효과 검정을 위해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적인 분석을 위하여 SPSS win 21.0 프로그램으로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대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유아간의 언어 이해는 사후검사 비교에 있어 실험집단의 점수가 높게 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유치원 도서대여 프로그램은 유아의 언어 이해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서대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유아간의 언어 표현은 사후검사 비교에 있어 실험집단의 점수가 높게 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유치원 도서대여 프로그램은 유아의 언어 표현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유치원 도서대여 프로그램은 유아의 언어의 이해와 표현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유치원에서 도서대여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통해 유아 언어의 이해와 표현 향상을 위하여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유아가 가장 친근하게 느끼는 가족과의 책을 통한 언어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도서대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계획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ABSTRACT The Effects of Kindergarten Book-Lending Program on Preschoolers' Language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Lee, Suyeon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Lee, Kyunghwa In this study, the Kindergarten book lending program on preschooler's language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out by looking at the effect on effectively operating in kindergarten wish to book lending program.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se book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fants were lending a home activity book reading a book lending program participated in the control group of infants who did not conduct book lending program. Thus, it confirmed the experimental results on the effects of the kindergarten book-lending program on preschoolers' language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children at Western age 5 of D kindergarten where is located in Anyang city of Gyeonggi Province.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was random assignment, each 25 people at a time. A test tool, which was used in a study, is ‘Hangeul Departure’ and ‘Hangeul Arrivals’ Test (Lee, kyeonghwa, 2004). The experimental group in 2013 September 25 to October 25 in five weeks, twice a week to a total of 10 times in the book home loan program and participated in a book lending, book lending program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It used the pre-test outcome for confirming group-based homogeneity and the post-test for verifying experimental effec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based on computational processing by using SPSS win 21.0 program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language comprehension among preschool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participation in book-lending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ithout participation, th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appeared to be high in post-test comparison, thereby having been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kindergarten book-lending program was indicated to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improvement in preschoolers' language comprehension. Second, as for the language expression among preschool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participation in book-lending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ithout participation, th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appeared to be high in post-test comparison, thereby having been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kindergarten book-lending program was indicated to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improvement in preschoolers' language expression. Se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kindergarten book-lending program could be known to have the effects on improvement in preschoolers' language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Accordingly, a kindergarten will need to strive to improve preschoolers' language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through effectively operating book-lending program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be desirable to form, plan, and carry out book-lending program that preschoolers can have verbal interaction through a book together with a family of being felt most familiarly.

      • 특수학급 및 특수학교에서의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지원 실태

        이수연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 which was provided by special classes and special schools to satisfy the needs of clients, in an effort to find out the reality of related service for special education. The concret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ind out the reality of related service for special education in special classes and special schools. Second, find out the reality of related service for special education by working regional group. Third, find out the reality of related service for special education by special education caree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5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classes in three different special schools for youth with mental retardation. The questionnaire which includes 31 questions was developed by researcher. One hundred and five teachers who working for special classes and special school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collected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eacher's career, types of the school and working regional group. Data analysis is done using by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state of related service among the special classes and among the special schools, but the majority of the special classes and special schools offered the service. The urban teachers had more experience to offer community-related service than the rural teachers. As for the problems with the service, lack of cooperating institutions and shortage of resources were most widely pointed out. In order to step up the revitalization of related service, more professional personnels should be secured, and the kind of delivery system that links special schools and local institutions should be built. 본 연구는 특수학급 및 특수학교 현장에서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관련서비스를 어떻게 제공하고 있는지 파악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 목적은 특수교육 관련서비스의 지원 실태를 밝히는데 있다. 이 연구는 강원지역의 정신지체 특수학교 3개교의 교사와 특수학급 담당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학급 및 특수학교에서 제공하는 관련서비스의 지원 실태는 변인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나 대부분이 제공되고 있었다. 그리고 시·군지역 교사가 읍·면지역 교사보다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관련서비스를 지원한 경험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관련서비스 제공의 문제점으로는 연계기관 및 자원의 부족 문제가 가장 많이 지적되었다. 그러므로 관련서비스 제공의 활성화를 위해 전문 인력 배치의 확충과 지역사회 기관과 연계할 수 있는 전달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의 인성 및 직무수행 연구

        이수연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A study on personality and job performance of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 teachers Lee, Soo-yeo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Ha, Seung-min This study aims at comparing the personality and job performance of the teachers who serve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and at examining the influence in job performance of the childhood teacher personality, the teachers who serve at the two groups. The objects were 297 childhood teachers such as 150 nursery school teachers and 147 kindergarten teachers, the facilities located at Jeonju-si and Wanju-gun, Jeollabuk-do. The measurement tool for the childhood teacher personality used in this study was personality self-appreciation tool invented by Jeon, Jaesun (2011) and revised and complemented by Jeong Myeong Ja (2016). This study revised and complemented it again, appropriate to the study quality. The measurement tool for job performance was a questionnaire used by Lee, Su Jin (2016), revised and complemented on the basis of Yang, Gyeong Hye (2012)'s job performance role category which was presented by Saracho (1988).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in general the personality of the teachers who served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was affirmative. In the two cases, concerning on the teachers who served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the job performance attitude category, subsidiary to personality, was highest. The personality depending on age of the teachers who served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was high at the group older than the forties. The personality of the married teachers was more affirmative than that of single teachers. As for the analysis of personality difference, depending on career, the nursery school teacher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ut the kindergarten teacher had it. As for the result of personality difference, depending on academic history, major department, and belonging organization, the two groups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s for the personality difference, depending on certificates, the personality of the teachers who held regular kindergarten teacher certificate class1 was more affirmative. Second, in general, highest was the job performance of the teachers who served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In two groups, the role as the counselor and advisor was the highest. The job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age of the teachers who served in the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so much. But, as for the job category as educational designers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forties performed the job the better. As for the job performance depending on marriage, the married teachers of the two groups performed the job better. As for the nursery school teacher, the married teacher performed better ‘the job category as a curriculum designer’, ‘the job category as a worker, planner, and performer’, and as for the kindergarten teacher, the married teacher performed the better 'the job category as a curriculum designer’. This study examined the job performance deference depending on the career of the teachers who served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The nursery school teacher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ut the kindergarten teacher holding longer than 7 year's career performed the better. As for the analysis of role performance difference depending on academic history and major departments of the teachers who served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the two groups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performance statistically. The job performance depending the certificate held by the teachers who served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s for the nursery school teacher, the teachers who held care teacher class1, regular kindergarten teacher class1 performed jobs the better, and as for the kindergarten teacher, the teachers who held care teacher class1, regular kindergarten teacher class2, and regular kindergarten teacher class1 performed jobs the better. Job performance depending on organization types in which the nursery school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belonged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ersonality and job performance of the teachers who served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The more affirmative the personality of the teachers who served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the higher the job performance was.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forgiveness category’ and ‘job category as the person in charge of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subsidiary category of personality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neither was there the correlation among ‘altruistic category’, ‘job category as a curriculum designer’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Fourth, the personality of the teaches who served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had an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The subsidiary factor to the personality which influences in nursery school teacher's job performance the most was a creative tendency.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의 인성 및 직무수행 연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전공 이수연 지도교수 하승민 본 연구는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의 인성 및 직무수행을 비교해 보고, 두 집단의 유아교사 인성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전주시와 완주군에 위치한 어린이집 교사 150명과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147명으로 총 297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유아교사의 인성에 대한 측정도구는 정명자(2016)가 전재선(2011)의 인성 자기평가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것을 본 연구의 특성에 맞게 재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직무수행 측정도구는 이수진(2016)이 양경혜(2012)의 Saracho(1988)가 제시한 직무수행 역할 범주에 기초하여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인성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 모두 인성의 하위요인인 직무수행태도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연령에 따른 인성은 두 집단 모두 40대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고, 기혼인 교사의 인성이 미혼인 교사보다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교직경력에 따른 인성 차이 분석에서 어린이집 교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치원 교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과 전공학과와 소속 기관유형에 따른 인성 차이 결과에서는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격증에 따른 인성 차이에서는 두 집단 모두 유치원 정교사 1급을 가지고 있는 교사의 인성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으로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직무수행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모두 상담자 및 조언자로서의 역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연령에 따른 직무수행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설계자로서의 직무 영역에서는 40대의 유치원 교사가 직무수행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유무에 따른 직무수행에서는 두 집단 모두 기혼인 유아교사가 직무수행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의 경우 ‘교육과정 설계자로서의 직무’, ‘일과 계획 및 수행자로서의 직무영역’이, 유치원 교사의 경우 ‘교육과정 설계자로서의 직무 영역’에서 기혼인 유치원 교사가 직무수행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른 직무수행 차이 검정 결과를 살펴보면, 어린이집 교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치원 교사는 7년 이상의 교직경력일 때 직무수행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학력과 전공학과에 따른 역할수행 차이 분석에서는 두 집단 모두 직무수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가 소지한 자격증에 따른 직무수행 차이에 대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의 경우, 보육교사 1급, 유치원정교사 1급을 가지고 있는 교사가 직무수행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치원 교사는 보육교사 1급, 유치원정교사 2급, 유치원정교사 1급을 가지고 있는 교사가 직무수행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소속 기관유형에 따른 직무수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인성과 직무수행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인성이 긍정적일수록 직무수행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단, 어린이집 교사는 인성의 하위요인인 용서 영역과 ‘행정업무 및 관리자로서의 직무 영역’이, 유치원 교사는 이타성 영역과 ‘교육과정 설계자로서의 직무 영역’, 그리고 자기조절 영역과 ‘행정업무 및 관리자로서의 직무 영역’은 무상관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인성이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수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성 하위요인은 공감적 이해로 나타났으며, 유치원 교사의 역할수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성 하위요인은 창의적 성향으로 나타났다.

      • 토지거래허가제도 개선방안 연구 : 경기도 김포시 운용실태 분석을 중심으로

        이수연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토지거래허가제도 개선방안 연구 -경기도 김포시 운용실태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부동산학 전공 : 이 수 연 지 도 교 수 : 서 순 탁 토지거래허가제도는 토지에 대한 투기를 억제하고 실수요자 위주의 토지거래를 유도하기 위하여, 토지의 투기적 거래가 성행하거나 지가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지역과 상승우려가 있는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고 허가구역 내 토지거래를 대상으로 실수요자 여부, 이용목적의 적절성 등을 심사하여 허가해주는 제도이다. 그러나 각종 논문, 신문기사 등에 의하면 토지거래허가단계에서 실수요성 여부와 토지이용목적의 적절성을 판단하는데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허가를 받은 후 사후관리 과정에서도 이용목적대로 이용하지 않고 불법으로 사용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나 인력부족 등으로 인하여 사후관리가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일선 시·군·구의 제도운용실태와 문제점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개선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지역으로 선정한 기초지방자치단체 단위인 김포시의 토지거래허가제도 운용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기존연구와의 차별화를 도모하고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일선 허가관청에서 허가단계에서 실수요성 여부와 이용목적의 적절성 판단은 어떻게 이루어지며, 허가구역에 대한 사후관리는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토지거래허가제도 관련 법령, 예규 등 법제내용 검토와 기존문헌을 통하여 관련 선행연구의 결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실증적 자료 분석을 위하여 사례지역으로 선정한 김포시의 토지거래허가제도 운용실태와 문제점에 대하여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사례지역의 설문조사 및 인터뷰 결과를 분석한 결과 토지거래허가단계에서 실수요자 여부와 이용목적의 적절성 판단을 위한 신청서류나 신청내용의 진위여부 판단과 사실 확인이 기술적으로 매우 어렵고 인력부족, 허가기준의 모호성, 담당공무원의 조사권한 부족 등으로 확인이 곤란하여 형식적 요건만 맞으면 허가를 해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예측에 의한 허가구역 지정 및 해제가 적기에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제도운영상 신축성이 부족하고, 사후관리는 인력부족, 위반여부 판단기준의 모호성, 조사권한 미흡 등으로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제도운용상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지거래허가제도 운용상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은 첫째, 실수요성 및 이용목적의 적절성 판단 제고방안으로 실수요성 및 이용목적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허가기준을 보다 구체화하고, 담당공무원에게 가택조사권, 금융계좌조사권 등 실효성 있는 조사권한을 부여하고, 허가사항 위반에 따른 벌칙을 강화하고 주민 홍보를 통한 의식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실효성 있는 사후관리를 위해서는 위반여부 판단기준을 구체화하는 제도개선과 담당공무원의 조사권한 확대, 이행강제금의 인상 등 벌칙을 강화하고 부족한 인력지원이 필요하며, 제도의 개선과 함께 업무처리시스템도 효율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허가구역 지정 및 해제의 신축성 유지를 위하여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허가구역 지정 및 해제기준을 마련하고, 절차를 간소화하여 신속하고 신축성 있는 제도 운영이 필요하다. 지가급등을 예상한 사전대응방안으로 향후 지가가 상승하는 지역이나 개발계획이 확정되거나 논의단계에 있는 개발예상지역에 대해서는 지가변동률 등을 사전에 수시로 모니터링 하여 필요시 신속하게 허가구역을 지정하여 토지투기가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민선자치단체장은 토지거래허가제도 운용과정에서 중앙정부와 이해관계가 상충되는 측면이 있을 수 있겠지만, 토지거래허가제도가 공익적인 측면에서 순기능이 많은 국가의 중요한 정책이므로 제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핵심주제어 : 토지거래허가, 실수요성, 이용목적의 적절성, [ABSTRACT]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Land Transaction Permit System in Gimpo City Land Transaction Permit System is for prohibiting land trade of speculative demanders, and inducing the transaction of real demanders, by regulating lands which have been experiencing sudden price rising or prevailing of speculative trades. The government entitles these lands as ‘land transaction allowed zone’. Then the government screens all of the land trade happened in the area chosen to be ‘the zone’ whether the land is traded between real demanders. However, many of the researches and the press have criticized fairness and appropriateness of the screening procedure in land transaction allowed zone, because unpermitted land use in the zone has been frequently occurred. Even though the authority has a duty to audit the actual use of the land in the zone, but it is difficult for the authority to audit the legal use of land, because the authority is lack of human resources. In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land transaction permit system in Gimpo area and figure out its institutional limitation. This research also suggests solutions to the problem by reviewing on land transaction permit system in practice of Gimpo. To be more specific, this study aims to provide feasible improvement plan for the land transaction permit system, by analyzing the measures that land transaction audit uses and the post-audit in practice. The research is conducted by reviewing the land regulations, laws, ordinances and preceding reports, then a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on land transaction permit system in Gimpo was followed. The interviewees stated that it is hard for the agents who concerns land transaction permit to examine whether the contents of submitted document are genuine or not. They also added that the measures for judging legal land transaction are tending to be ambiguous. Plus, the government agents do not have right to investigate whether the given document includes true facts or not, so the agents have no way but to approve the land transaction if the application fits in its legal form.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land transaction system in practice is operated rigidly and ambiguously, and human resources for the land transaction permit administration are lacking. To improve the current land transaction permit system, three suggestions for application of the system are listed as below. Foremost, ambiguous measures for judging land transaction for legal purpose should be clarified. Plus, measures for judging illegal purposed land transaction and deciding anti-land speculation area have to be specifically prepared. To enhance effectiveness of the regulation, the government should put its effort to enhance people’s proper recognition of legal land transaction. Second of all, the investigative right has to be given to the government agents in charge, such as authority to investigate suspicious site or bank account. At the same time, government should reinforce human resources for administration of land transaction permit and increase penalty on unlawful land transaction behaviors. Thirdly, efficient administration system is also need. Putting it differently, flexible administration system for land transaction affair will enable the government to build a counter plan for blocking land speculation in developing area or place to be developed in near future. Monitoring land price statistics would also be affective tool for establishing counter plan for land speculation. Lastly, it is expected that the conflicts on interests of operation of system would occur between a city mayor and the central government interested. Still, land transaction permit system is absolutely needed and should be efficiently operated, because it is possible to provide public welfare to Korean society through the system. Keywords: Land Transaction Permit System, Real Demand, Suitable Purpose of Use,

      • 무용수 긍정심리자본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검증

        이수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ABSTRACT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Dance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Soo-Youn Lee Department of Dance The Graduate Schoo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scale of DPPCQ(Dance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and to check the validation. For this, in research 1, questionnaires development and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established concept of DPPCQ in preceding study of Lee & Kim(2018). On the basis of developed component factor, 116 of preliminary questions were made and content validity and face validity were confirmed. After that, 52 secondary preliminary questions were completed. Subjects of preliminary questions were 731 people who major in Ballet, Korean dance or Modern dance, over 18 years old high school or college students and professional dancers gather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Through the descriptive statistics,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5 resilience questions, 6 optimism questions, 6 hope questions, 5 artistic competency questions, and 3 self-efficacy questions, in total 5 factors and 23 questions were selected. In research 2, validity analysis about DPPCQ was conducted with 344 dancers. First, with the result of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verage Variance Extracted(AVE) of 5 factors, the concept validity was secured. Second, to verify predictive validity, scale of satisfaction in dance performance was used. The result of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PPCQ was a factor to predict the satisfaction in dance performance, securing predictive validity. Lastly, DPPCQ scale was used to test DPPCQ, according to dance major and level. The result shows that according to their major, Korean dance majors were higher than ballet and modern dance majors in hope and optimism questions. According to level, the more satisfied subjectively they are about their skill, the higher their results were in hope questions than normal satisfied or dissatisfied groups. In optimism questions, satisfied group is more cognitive than normal group and normal satisfied group is more cognitive than dissatisfied group. In artistic competency questions, the satisfied are higher than the normal, the normal are higher than the dissatisfied. In self-efficacy questions, satisfied and normal satisfied groups are higher than dissatisfied group In resilience questions, satisfied group is higher than normal satisfied and dissatisfied groups. Therefore, DPPCQ scale of this study prov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With this, the evaluation of DPPCQ can be used as a valuable material for developing dance-customized psychological program and educational program as well as dancer’s development and improvement. Key words : dance, positive psychology capital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무용수의 긍정심리자본(DPPCQ: Dance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문헌고찰과 선행연구(이수연, 김미선, 2018)를 통해 무용수의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정립된 개념을 바탕으로 문항개발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발된 구성요인을 토대로 116개의 예비문항을 제작하여 내용타당도, 안면타당도를 확인한 후 52문항으로 2차 예비문항을 완성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 경기지역의 발레, 한국무용, 현대무용을 전공하는 만 18세 이상 고등학교, 대학교 학생과 무용단에 소속된 무용수를 목적표집(purposive sampling)하여 731명을 대상으로 예비문항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거된 설문지는 기술 분석, 문항 분석,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의 과정을 거쳐 회복탄력성 5문항, 낙관주의 6문항, 희망 4문항, 예술적역량 5문항, 자기효능감 3문항으로 5요인 23문항이 최종 선정되었다. 연구 2에서는 무용수 344명을 대상으로 무용수의 긍정심리자본 척도에 대한 타당화 분석이 실시되었다. 첫째, 개념타당도 검증을 위해 상관계수와 분산추출지수(AVE)를 확인한 결과 5개요인 모두 평균분산추출지수 값이 결정계수보다 높아 개념타당성이 확보되었다. 둘째, 예측타당도 검증을 위해 공연수행만족 척도를 사용하여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무용수 긍정심리자본이 공연수행만족을 예측하는 변인임이 확인되었으며, 동시에 예측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마지막으로 무용수 긍정심리자본(DPPCQ)척도를 이용하여 전공과 수준에 따른 무용수 긍정심리자본 차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공에 따라 희망과 낙관주의에서 현대무용과 발레 전공자보다 한국무용 전공자들이 높았으며, 수준에 따라 본인이 인지하는 무용 실력에 대한 주관적 만족감에서 희망 요인은 만족 집단과 보통 집단이 불만족 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낙관주의 요인은 만족 집단이 보통 집단 보다, 보통 집단이 불만족 집단 보다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적역량은 만족 집단이 보통 집단 보다, 보통 집단이 불만족 집단 보다 높게 인지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은 만족 집단과 보통 집단이 불만족 집단 보다 높게 인지하였으며, 회복탄력성은 만족 집단이 보통 집단이나 불만족 집단보다 높게 인지하는 것을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무용수 긍정심리자본척도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이를 토대로 무용수들의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평가는 무용수 개인의 발달 및 수행 향상은 물론, 무용 상황에 맞는 심리프로그램과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 무용수, 긍정심리자본, 척도 개발

      • 페미니즘 태도와 출산의사 : 2·30대를 중심으로

        이수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페미니즘 태도와 출산 의사 연구 이수연 사회복지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페미니즘이 출산율에 부적 영향을 준다는 논의가 있어왔다. 이는 현 재진행형이며 이에 대한 상당한 의견이 존재한다. 이러한 논의를 연구를 통해 확인해보는 것이 현재 대한민국에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는 저출산 문제에 실효성 있는 정책을 제언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페미니즘이 출산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논의를 확인해보고 대한민국의 저출산 대응정책에 대한 제언을 제공하고자 한 다. 본 논문은 서울, 경기, 인천 소재 20-30대생을 중심으로 총 1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총 137부 연구에 사용하였다. 페미니즘 에 대한 태도를 3가지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출산의사를 종속변수로 설 정하였다. 페미니즘에 대한 태도는 페미니즘에 대해 긍정적인지 부정적 인지에 대한 태도, 페미니즘을 여성중심주의로 생각하는지에 대한 태도, 페미니즘을 양성평등으로 생각하는지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였다. 페미니 즘을 바라본 태도, 페미니즘을 여성중심주의로 바라본 태도, 페미니즘을 양성평등으로 바라본 태도 세 가지의 관점이 출산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 xliii -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페미니즘을 여성중심주의 혹 은 양성평등으로 규정하는 것에 따라서 출산의사가 다르게 나타나지 않 았다. 둘째, 남성과 여성 전체 표본에서는 페미니즘에 대한 태도와 출산 의사 간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여성들 중에는 페미니즘 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수록 출산의사가 낮아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 제언하는 정책적 함의로서 첫째, 올바른 페미니즘에 대한 정의를 구체화하는 방안으로 온라인이나 미디어에서 페미니즘에 대한 건전한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적 방안이 마련되 어야 한다. 둘째 저출산을 해결하기 위해서 출산하고 싶도록 노동시간 규제와 고용안정 그리고 기업과 사회의 성평등한 문화를 조성해야 할 것 을 제안한다. There have been discussions that feminism negatively affects the fertility rate. This is currently ongoing and there are considerable opinions on it. It is expected that confirming these discussions through research can suggest effective policies on the low birth rate problem, which is currently a serious problem in Korea.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confirm the discussion through research on the effect of feminism on childbirth intention and to provide suggestions on Korea's policy to respond to low birth rates. This paper surveyed a total of 159 students in their 20s and 30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nd used them for a total of 137 studies. Three attitudes toward feminism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intention to give birth was set as dependent variables. Attitudes toward feminism were measured as attitudes toward whether it was positive or negative, attitudes toward feminism as feminism-centeredness, and attitudes toward feminism as gender equality.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effects of three perspectives on the intention to give birth.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ntion to give birth did not differ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feminism as feminist or gender equality. Second, in all male and female samples,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feminism and the intention to give birth. However, it can be seen that among women, the more positive they have toward feminism, the lower their willingness to give birth. In addition, as a policy implication suggested in this study, first, policy measures should be prepared so that sound discussions on feminism can be made online or in the media as a way to materialize the definition of correct feminism. Second, in order to solve the low birth rate, it is suggested to regulate working hours, stabilize employment, and create a culture of gender equality between companies and society so that they want to give bir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