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가체육정책에 대한 인식이 체육학과 대학생들의 진로에 미치는 영향

        마복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중국국가 정부와 체육 부문에서 체육 정책을 반포하여 참고와 지도 배경에서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국가 체육 정책에 대한 인식에 국가 체육 정책이 체육학과 전공 학생들의 취업 진로와 대학원 진학 및 비 체육분야의 취직을 어떤 영향을 미칠지 연구하기 위해 예비조사(pilot test) 후 2022년 1월부터 2022년 2월까지 중국 흐베이성 라팡시에서의 랑팡사범대학교와 흑용강성 하얼빈시에서의 하얼빈 체육대학교 및 사천성도시에서의 사천대학교로 3개 체육학과 대학생들 총 478명 대상으로 조사했다. 수접된 자료들은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 독립 표본T-테스트(Independent Sample T-test), 독립표본T-테스트(Independent Sample T-test),상관관계분석(Correlation)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위에 연구방법을 통해 이 연구에서 결론이 얻었다. 첫째, 남녀 간 T 검정에 따라 성별 간에 검정 결과는 체육 분야 취업, 비 체육분야 취업에서만 현격한 차이점이 나타났다. 둘째 연령 차이 분석에 따라 연령별로 생활체육 정책에 대한 인식, 스포츠 산업정책에 대한 인식 및 학교 체육정책에 대한 인식, 체육분야 취업 대학원 진학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생활체육 정책에 대한 인식에서 1999년 및 이상의 응답자들은 평균 점수가 현저히 높았다. 스포츠산업 정책에 대한 인식 속에서 1999년 및 이상 응답자들은 스포츠산업 정책에 대한 인식의 평균 점수도 평균치 높아 볼 수 있다. 학교체육 정책에 대한 인식 속에서 1999년 및 이상 응답자들의 평균치가 더 높았다. 2001년, 2000년의 사람들은 학교체육 정책에 대한 인식의 평균치가 2002년 및 이하 사람들보다 높았다고 나타났다. 돌째, 체육 분야 취업과 대학원 진학 문항의 조사에서 2001년, 2000년의 응답자들은 체육분야 취업과 체육분야 대학원 진학의 평균 점수가 2002년 및 이하보다 높았다. 또한, 1999년 이상 응답자는 2002년 및 이하, 2000년, 2001년보다 체육분야취업·대학원 진학의 평균 점수가 높았다. 셋째, 전공별에 따라 생활체육 정책에 대한 인식, 엘리트스포츠정책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생활체육 정책에 대한 인식에서, 사회체육학과 응답자들은 생활체육 정책에 대한 인식의 평균 점수는 체육관리학과 사람들보다 높아 보일 수 있다. 또는 엘리트스포츠정책에 대한 인식에서는 체육학전공, 체육교육 전공의 응답자들은 엘리트스포츠정책에 대한 인식에서 체육 관리학과 학생들보다 높았다. 넷째, 학년별에 따라 생활체육 정책에 대한 인식과 스포츠 산업정책에 대한 인식, 학교체육 정책에 대한 인식, 체육분야 취업 및 체육 학과 대학원 진학에서 현격한 차이를 분석해 냈다. 체육분야 취업과 대학원 진학 대학은 4학년 학생들이 체육학과 문항의 평균 점수가 대학 3학년 학생들보다 높았다. 다섯째 상관성에 따라 생활체육 정책(인식)과 스포츠산업 정책과 엘리트스포츠정책, 학교체육정책 간에 체육 분야에 취업 및 체육학과 대학원 진학, 비 체육 분야 취업은 모두 정(+) 관계 나왔다. 스포츠 산업정책과 엘리트 스포츠 정책, 학교체육 정책, 체육 분야에 취업은, 체육학과 대학원 진학, 비 체육 분야 취업 모두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 엘리트 스포츠정책과 학교체육 정책, 체육 분야에 취업, 체육학과 대학원 진학은, 비 체육 분야 취업으로 모두 정(+) 상관관계가 있다. 학교체육정책과 체육 분야에 취업, 체육학과 대학원 진학, 비 체육 분야 취업. 체육 분야취업 모색과 체육학과 대학원 진학, 비 체육 분야 취업, 체육학 대학원 진학과 비 체육 분야 취업 모두 정(+)의 관계가 있다. 대중 회귀분석에 따라 체육학과 대학생들은 생활체육 정책에 대한 인식은 체육 분야 취업과 체육대학 진학에 현저한 영향을 미쳤다, 2. 체육학과 대학생들은 스포츠산업 정책에 대한 인식은 체육 분야 취업과 체육학과 대학원의 진학에는 현저한 영향을 미쳤다. 3. 체육학과 대학생들은 엘리트스포츠 정책에 대한 인식은 체육 분야 취업에 체육학과 대학원 진학과 비 체육 분야 취업 모두 영향을 미친다. 4. 체육학과 대학생들은 학교체육 정책에 대한 인식은 체육 분야 취업과 체육학과 대학원 진학이 현저한 영향을 미친다. 5. 비 체육 분야 취업 모두 (정+)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현저한 것은 아니다. 통신 디지털 시대에서 체육학과 대학생들은 미디어 융합 방식으로 대형 스포츠 경기의 영향을 결합하여 스포츠 정책 안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으며, 체육학과 대학생들의 스포츠 정책에 대한 이해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 대학생 취업률을 높이는 근본적인 보증은 다재다능 인재양성하는 목표로 체육학과 대학생들의 취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목적이 있다. 학교 차원에서도 학년별로 전공이 다른 체육 정책의 특성 속에서 체육 정책이 서로 융합되어 대학생들에게 체육 정책이 잘 정착될 수 있도록 홍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 중국 소비자 한식 레스토랑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 중국 상하이 중심으로

        곽춘려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71

        국외논문 Christopher W.L. Hart & Gregory D. Casserly, 1985, Quailty A Brand-Bew, Time-Tested Strategy, The Cornell H.R.A. Quarterly, Vol.26, No3, pp.52-63. David L. Romm, The Quiet Revolution at Allies: The Cornell H.R.A. Quarterly, Vol.30, No.2, pp.26-34. Dominngo Ribeiro Soriano, 2002, Customers’ expections Factors in Restaurants, Internation Joural of Conternporary Hospitality Management;19, 8/9, p.1055. Ernst R. Cadotte and Norman Turgeon, Key Factors in Guest Statisfaction, The Cornell H.R.A. Quarterly, Vol.28,No.4,pp.45-56. Filliantrault, Pierre and Brent Ritche, J. R. (1988), the impact of situational factor of hospitality service, Journal of research, spring, pp.67. Jaksa Jack Kivela, 1997, Restaurant Marketing: Selection and Segmentation in Hong Kong, Internation Joural of Conternporary Hospitality, 9/3, pp.116. James F. Engel and Roger D. Blackwell (1982), Cornsumer Behavior, 4th ed, The Dryden Press, p.415. (1986),and Paul W. Miniard, Cornsumer Behavior, 5th ed, The Dryden Press, p.521. John J. Schroeder 1985, Restaurant Critics Respond "We’re doing our job, The Cornell H.R.A. Quarterly, Vol.25, February, pp.57-63. L.Dube, L.M.Renagh& J.M.Miller (1994),"Measuring Customer Satisfaction for Strategic Management", The Cornell H.R.A. Quarterly(Feb) Lundberg Donald E. (1989), The Hotel and Restaurant Business. NY: Vam Nostrand Reigold, p.228. Marta Pedraja & Jesus Yague, 2001, What Information do Customers use When Choosing a Restaurant? Internation Joural of Conternporary Hospitality Management,13/6, pp.316-318. Morgan Michael S. 1993, Benefit Dimensions of Midscale of Midscale Restaurant Chains,The Comell H.R.A. Quarterly, Vol.34, No.2, pp.40-45. National Restaurant Association Research and Information Serivice Department, Consumer Expectation With Regard to Dining at Family Restaurant, 1983 Peter Jones, Stress: Are you serving it up your restaurant pardoned, The Comell H.R.A. Quarterly, Vol.31, No.3, pp.38-43. Segan spiggle and murply A. Sewall (1987), A choicesets model of retail selection, Journal of Marketing, Vol. 51. Aprilp.98. Soriano, D. R. 2002, Customers' expectations factors in restaurants; The situation spain,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 reliability management, vol.19 no.8/9, pp.1055-1067. Susan Auty, 1992, Consumer Chioce and SEGMENTATION IN THE Restaurant Industry, The Serice Industries Journal, Vol.12, NO.3, PP.324-339 Swinyard, W. B. & Struman, K. D. (1986), Marketing segmentation; Finding the heart of your restaurant's market, the cornell H.R.A.quarterly, may, pp.126-127. Swinyard & Struman, 1986, Willian R.Swinyard and Kenneth D.Struman, Market Segmentation: Finding the Heart of Your Rsetaurant Market ,the cornell H.R.A.quarterly, June, PP. 55 Willian R.Swinyard and Kenneth D.Struman, Market Segmentation: Finding the Heart of Your Rsetaurant Market, the Cornell H.R.A. Quarterly, Vol.27. No.1 pp.89-96 국내논문 강운영, 2005, "한국 중소기업의 대 중국 직접투자 전략에 관한 연구", 중양 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석사논문, pp.13-15. 고호석, 1996,"패밀리 레스토랑 고객 된 서비스 품질에 따른 이용고객 만족 도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삭사학위논문 구경현. 김장하. 이상우. 1999, <식음료 실무론>, 백산출판사, PP.41-42. 금회연, 2002, 중국인의 라이프스타일 , 도서판출 그린 , pp.190-191. 김광 규,1984, 전략적 소매 마케팅, 서울: 형설출판사,pp.81-82. 김동현, 2002, "한국기업의 대중투자에 따른 현지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31. 김민경, 2005, "중국 외식소비자의 한식당 이용 속성에 관한연구", 경기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1. 김용준, 2000 , 중국 소비자와 중국시장, 박영사 ,p.61. 2000 , 중국 소비자와 중국시장, 박영사, pp .61-65. 2006, 중국 마케팅 , 박영사, pp.89-97. & pp.100-134. 김용호, 2002, 판매촉진유형과 소비자 구매행동 변화에 관한 연구 –아기 기 저귀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31-34. 김재숙.정해옥, 2004. 3.,《한국 조리학》 pp.16-17. 김종달, 2004, "글로벌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에 관한 연구–중국 천연조미료 패키지를 중심으로-",홍익 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 논문 p.13. 김헌회, 1995, "외식서비스 신 경영" pp.167-168. 김홍범.허창, 1998, "고객의 외식동기에 따른 레스토랑 선택속성의 차이", 한 국 관광 학회- 관광학 연구 제21권 제2호, pp.209-210 노호정, 2001, "외식산업 서비스 품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한양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pp.17-18. 박병렬.김대경,1994 “호텔식당경영관리" , 첨단과학기술도서출판원회, 1992, “현대호텔식당 경영론”, 대왕사,pp.45-46 박정준, 1998 , "레스토랑 고객의 선택기준에 관한 실증적 연구" , 대한관광 경영헉회, PP. 66. 박형진, 2002, "합리적 소비생활을 위한 소비자 행동에 관한 연구",호남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pp.32-33. 박희정. 양위주 (2002), "이용행태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선택속성간 관계 에 관한 연구" –패스트푸드점을 중심으로-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3), pp. 492-499. 송윤아, 2003, "한국 의류업체와 중국 거래업체간의 '관시가 관계성과에 미 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6-7 서성한, 1990, "소비자 행동론",서울 .박영사, p.13. 오세철,박헌중,정승화, 1999, "중국기업의 구조적 변화", 경영학연구28권4호. 오정환, 1985, "호텔케이터링 원론",기문사,p.52. 원융회, 1992, "현대 호텔식당 경영론", 대왕사, pp.45-46 유영진, 2001,"패밀리 레스토랑 이용행태에 따른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대구중심 으로 – <관광.레저연구> (제11권 제1호) pp.44-45. 육주희, 2005, "13억 중국인의 입맛을 공략하라" ,월간식당241호, p.91 윤인상, 2003,"한국적 외식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중국시장 진출에 관한 연 구, 조선대학교 석사논문, pp.1-2. 윤향란,2006, "한류의 흐름을 보다", p.15. 임계순. 우심화. 양오진. 于长江 .전게서, p.108 이대식, 1997, "프랜차이즈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 교 석사 학위논문, p.36. 이보연, 1999,"호텔 외식업체 이용객 만족에 관한 연구",경희대학교 식사 학위논문 이애주.황보성,2002,"호텔의 외식사업부에서 운영하는 레스토랑 선택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호텔관광경영2002.3.17. 155-43 이용석, 2005, "외식기업 해외시장진출의 문화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 중. 일 외식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분대학 원 박사학위논문,pp.33-34. 이정학, 1999, "호텔식음료 상품의 고객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아대하교, 경 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26. 2001, "호텔식음료 실무론",기문사, p.15. 이지호. 임붕영, 1996, <외식산업경영론>, 형설출판사, PP.67-69. 임정현, 2002, "매장 선호에 따른 스포츠 상품 구매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 대학교 석사논문, pp. 14-17。 장영훈, "우리나라 식문화와 외식산업의 발전방향",新韩给合研究所 1988,p20 전근홍, 2003, 중국시자의 한류를 통한 스타마케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0-13). 정덕현, 1998,"호텔 연회고객 선택속성과 만족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5-6. 정덕화, 2001"소비자의 패밀리레스토랑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서비스 경영전문 학원 석사학위논문, pp.35. 2001,"소비자의 패밀리레스토랑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서비스 경영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48-50 최언호, 2003, "패밀리레스토랑 이용고객의 선택속성",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6-32. 한양옥, (2003),외식산업의 중국진출 현황에 관한 연구 – 중국심양을 중심 으로 - 한국조리학회,pp.139-140. 丁美阑, (2005)“호텔 레스토랑 선택속성과 고객만족에 관한 연구 - 이태리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관광학원 석사학위논문

      • 대학원 교육투자수익률에 대한 분석

        최효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South Korea is a society that puts great emphasis on educational background. Most high school students are committed to entering top universities as academic background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getting a good job. According to rapid growth of higher education, a question has raised about the rate of return to investment in education in a present status where the ratio of students who go on to a postgraduate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rate of return to investment in education by educational attainments. An analysis model of the rate of return to investment in education to be utilized in the study is Jacob Mincer's earning-power generation function. Objects of analysis in the study is wage workers, aged from 30 to 55, who have been employed, with restriction to people who have monthly average incomes and educational attainments equal to and higher than those of college graduates. Plus, it is to analyze the wage differentials by major fields.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By OLS estimation result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ate of return to investment in education by educational attainments. Such results of the estimation prove that the investment in higher education may make higher wage in the future. There was no change in the wage rates when I compared the rate of return to investment in education befor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after. But it is possible to prediction the demand for higher education will be continuously getting higher. In addition, the data showed, as the current trend in which the investment is heavily skewed in popular majors, that the rate of return to investment in different majors had the similar order. Further studies needed on the analysis of which socially required number of higher education labor force and the cause of inflation of higher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rate of return to investment in the level of education. Moreover, the triggers of the discrimination for the people with graduate degrees in the labor market and the social phenomenon that those people are treated no differently than college graduates should be studied in depth. 우리나라 사회는 학력에 상당한 비중을 두고 있다. 학력이 좋은 직장에 취직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고 있어 대부분의 고등학생들은 명문대학에 입학하기를 원한다. 고등교육의 급속한 팽창으로 대학원 진학률이 늘어가고 있는 현재, 고학력화가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교육투자수익률도 증가하는지에 대한 의문도 증가해왔다. 본 연구는 학력 간 임금 격차를 비교 분석하여 교육투자의 상대적인 임금 변화를 검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할 교육투자수익률 분석모형은 민서의 임금함수 추정모형이다. 이 연구의 분석 대상은 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주 36시간이상 근무하고 있는 30~55세의 남성으로 하여 교육투자수익률을 비교하였다. 여기에 학력뿐만이 아닌 계열 간, 계열 내, 그리고 시간의 변화에 따른 교육투자수익률의 차이에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OLS 추정 결과 대학원으로 진학 할수록 수익률이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대학원에 진학할수록 더 높은 경제적 수익이 있다는 점을 증명해 준다. 세계 금융위기 전과 후의 교육투자수익률의 차이를 비교하면 연도에 따른 임금격차의 차이의 변화는 없었다. 그렇지만 더 높은 고등교육이 얻을 수 있는 임금 프리미엄은 여전히 높았다. 또한 인기학과로 몰리고 있는 현재의 추세처럼 전공별 교육투자수익률도 그와 비슷한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학력 간 교육투자수익률 분석 결과에 대한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적정 고등교육 인력과 고학력 인플레의 원인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학원 졸업자들에 대한 노동시장에서의 차별이나 대학 졸업자들과 동등학력으로 인정하는 현상에 대한 원인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교육대학원 교육과정과 교수경험을 통한 예비영어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영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how thre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undergo professional development while participating in graduate school study and different teaching practices. It illustrates thre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stories through narrative inquiry. The main voice of the stories is J(I,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J's school fellows L and K have accompanied her during the journey─our lives from the time when the participants decided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ntil toda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research questions are posed as follows. First, what did English education graduate students experience while they carried out the curriculum? Second, how do graduate school curriculum and teaching experiences affect pre-service English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Upon reaching a destination in this journey, J came to firmly believe that the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eaching experiences helped develop expertise as a pre-service English teacher because of the following four reasons. Firstly, the participants have gained the ability to use communicative language English teaching while making an effort to apply newly learned pedagogical knowledge in their working field. For example, J applied total physical response to her English play class. Also, in order to perform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it became natural for them to analyze learners' needs and consider these needs when selecting the teaching materials. In their conversations, the participants all agree that it was a great advantage to acquire new professional knowledge because the knowledge has improved their teaching skills, despite the difficulty with working and learning at the same time. Secondly, during the journey, three pre-service teachers became aware of new values of education through the courses such as 'educational philosophy', 'educational sociology' and 'educational psychology'. In particular, these courses let the participants recognize and discuss the issues such as students lacking learning skills, or having poor family background, classes divided into levels of student, and private education. It means that, by applying what they learned from the courses to teaching experience, the participants started to have new perspectives about students and educational issues. In other words, the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eaching experiences affect the pre-English teachers'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English education. The participating pre-service teachers thirdly realized that cultivati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tudents is a very crucial factor in conducting a successful class, It was also found that the even conflicts with students became the opportunity to be a mature teaching processionals. Therefore teaching experiences affect pre-English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because they provide us with the opportunity to learn about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Lastly, all three participants believe that they have gained a new identity of a competent English teacher. Before the graduate study, they expected that the graduate study would empower them with a English teacher certificate for secondary school. However, as their graduation is getting closer, they all agree that becoming confident and responsible as an English teacher is as important as receiving the certificate. While talking about each other's life, most of all, J had opportunities to reflect her past and present. This opportunity has also made her build the ways of making her life more meaningful and valuable. In Korea, there might be many pre-service English teachers, having similar experiences lik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 hope that this story will inspire some of them to look back on their experience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과 교수경험이 예비영어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세 명의 예비영어교사의 삶의 이야기를 내러티브 탐구로 보여준다. 이야기의 중심적인 목소리는 본 연구자 J이며 동기생 L, K가 내러티브 탐구로의 여행에 동행하였다. 본 연구자는 우리의 삶을 대학원을 입학을 결정할 때부터 졸업을 앞두고 있는 현재까지를 내러티브 탐구로의 긴 여행으로 바라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은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동안 어떤 경험을 하였는가? 둘째 영어교육전공 교육대학원 교육과정과 교수경험은 예비영어교사들의 전문성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여행의 목적지에 도달하면서 본 연구자는 교육대학원 교육과정과 교수경험은 예비영어교사들이 전문성 발달에 다음과 같은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확신하게 되었다. 첫째 우리는 새롭게 배운 교육지식을 교육현장에 적용하는 동안 의사소통 영어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예를 들어 연구자 J는 전신반응교수법을 영어연극수업에 적용해 보았고, 우리는 학생들을 위해 더 효과적인 교수법을 수행하기 위해 학생들의 요구를 분석하고 교육 자료를 선택하는 일을 당연하게 여기게 되었다. 이야기를 하는 동안 우리는 새로운 이론적 지식을 통해 우리의 가르치는 기술이 향상될 수 있었다고 말하며, 일하고 공부하는 것을 동시에 하기가 힘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전문적 지식을 획득하는 것이 큰 기쁨이었다고 했다. 둘째, 여행을 하는 동안 우리는 교육철학, 교육심리와 같은 교직과목 이수를 통해 우리가 새로운 교육관을 가지게 되었다. 인터뷰를 하는 동안우리는 전에는 그렇게 관심을 두지 않았던 학습력이 부족하거나 불우한 가정배경이 있는 학생들, 수준별 학습, 사교육의 문제점과 같은 다양한 교육문제에 관해 자주 이야기하였다. 이것은 우리가 학생들에 대한 새로운 면이나 교수경험 속에서 찾은 교육문제 등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과 교수경험이 예비영어교사들의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주었다고 본다. 셋째, 우리는 수업 중 학생에게 화를 내었던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교사와 학생간의 좋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성공적인 수업을 이끄는 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깨달았다. 또한 우리는 전문적인 대화와 개인적인 저널을 통해 학생과의 갈등에 대해 스스로를 반성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교수경험은 예비영어교사들에게 사제관계라는 새로운 인간관계를 배워가는 기회를 제공해주므로 전문성을 발달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세 명의 예비영어교사들은 이제 영어교사로서 새로운 정체성을 가지게 되었다. 교육대학원에 입학하기 전에 우리는 교육자로서 또는 직업을 찾는 사람으로서 열등감을 가지고 교육의 전문성을 인정해주는 교사자격증을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교육대학원에 입학하였다. 그러나 졸업이 가까워 올수록 우리는 교사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는 사실보다는 교사로의 새로운 정체성과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고 이야기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이 세 명의 예비영어교사들은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에서 배운 교육지식을 교육현장에 적용하려고 노력하고 반성하면서 예비영어교사로서 전문성을 확보하였다고 볼 수 있다. 연구자는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는 동안 그 안에서 과거를 회상하고 반성하는 기회를 가지며 자신의 삶을 의미 있고 소중하게 다루는 법을 배웠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수많은 교육대학원 재학생들이 예비교사가 되기 위해 연구자와 비슷한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자는 내러티브 탐구를 마치며 이 연구가 미래의 예비교사들에게 간접적으로 현장을 체험하면서 의미를 갖고 감동을 느낄 수 있는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 교육대학원 과정을 통한 예비영어교사의 전문성 성장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혜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세 명의 예비영어교사가 교육대학원 과정과 그 과정 중 이루어지는 다양한 교수 경험을 통하여 어떻게 성장하는지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본 연구는 2차에 걸쳐 실시되었다. 1차는 2010년 9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총 9개월 동안이며 연구 자료는 개인저널, 교수일지, 대화 및 인터뷰 녹취록 등을 포함한다. 2차는 2015년 7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 자료는 본 연구자가 다른 연구자들에게 교육대학원 이후 경험에 대한 현장 텍스트를 추가로 요청하여 그에 대해 작성한 개인 저널이 기준이 된다. 이 자료를 통하여 해결 하고자 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대학원을 통하여 어떤 경험을 하였으며 그를 통해 교사전문성에서 어떻게 성장하였는가?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대학원 과정 중 가졌던 교육실천의 기회를 통해 교사전문성에서 어떻게 성장하였는가?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대학원 과정 이후의 교직경험을 통해 교사전문성에서 어떻게 성장하였는가? 본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의 대학원 과정과 교수경험을 분석함으로써 그들이 다음과 같은 성장을 이루었음을 발견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대학원 수업을 통해 영어이론지식을 갖추게 되면서 이제는 이론적 근거를 가지고 주변사람들에게 영어와 관련된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자신감도 가지고 되고, 교육 현장에서 궁금한 것이 생기면 필요한 정보나 지식을 조사할 수 있는 능력도 키울 수 있었다. 또한 교직수업을 통해서 수준별 학급편성의 장단점, 공교육과 사교육의 차이점, 사회계층별 교육 현황 등 다양한 교육 문제에 관하여 자주 이야기하였는데 이는 연구 참여자들이 그동안은 교수경험 속에서 간과했던 교육문제를 발견해내고 함께 생각을 나눌 수 있는 힘이 생겼다는 것을 의미한다. 새롭게 배운 이론적 교육지식을 통해서 연구 참여자들은 가르치는 사람으로서의 내적 자신감을 갖고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키워나가게 된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대학원 과정 중 가졌던 교육실천의 기회를 통해 교육대학원에서 배운 영어교육지식을 현장에 적용해보며,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수업을 진행하고자 교재 추가·재구성, 적절한 멀티미디어 사용, 역할놀이 활용 등 다양한 시도를 하며 그 과정 속에서도 배움을 얻게 된다. 또한 교수경험을 이야기하면서 교사로서 풍부한 교과지식을 갖추고 있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도 존중해주면서 교사와 학생간의 좋은 관계를 형성해나가는 것이 수업을 이끄는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알아가게 된다. 그러므로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실천의 기회는 예비영어교사들에게 실천적 지식을 알게 하고 사제관계라는 새로운 인간관계를 배워가는 기회를 제공해주므로 전문성을 발달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의 교육대학원 졸업 이후 시간을 따라가 봄으로써 교육대학원에서의 이수 경험과 교수 경험이 가르치는 사람으로서의 새로운 경험에도 계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교육대학원을 통해 신장된 전문성을 꾸준히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교사가 스스로 수업을 반성, 재구성해보고 수업에 대한 고민을 하는 등 계속적인 자기계발 및 공부가 필요함을 현장에서 더더욱 느끼게 된다. 본 연구자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과거를 회상하고 반성하는 기회를 가지며 그동안 흩어졌던 작은 경험에도 의미를 부여하게 되는 법을 배우게 되었다. 소수의 연구 참여자들의 개인적 경험이지만 교육대학원과 다양한 교수경험을 통해 어떻게 영어교사로 성장해 나갔는가에 대한 이번 이야기는 멀지 않은 미래에 교육자의 길을 가고자 교육대학원에 진학하려는 사람들에게 교육대학원을 미리 보여주는, 하나의 길잡이 역할을 하며 함께 공감할 수 있는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과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의 연계성 분석

        염지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의 교육과정과 '중등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영어과 시험 문항을 분석하고, 둘 사이의 연계성에 관하여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영어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양성과 임용이 얼마나 적절하게 연계되어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6개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을 영어교육학, 영어학, 영문학, 일반영어의 4대 영역으로 분류하여 영역별 출제 비율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 1차 시험 문항을 위와 같이 4대 영역으로 분류하여 영역별 출제 비율을 연도별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위 결과를 토대로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과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 1차 시험 문항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교원양성기관 전공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교육전공 평가에서 A등급, B등급, C등급을 받은 교원양성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교육대학원을 각각 2개씩 선정하여, 각 학교별로 교육과정 전공과목을 4대 영역으로 분류하고, 각 영역별 비율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을 A, B, C등급으로 분류하여 등급에 따라 영역별 평균 비율을 분석한 후, 6개 교육대학원의 영역별 비율의 전체 평균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6개의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 전공과목의 비율을 등급별로 분석한 결과, 우수하고 전문성 있는 영어교사를 양성하기에 비교적 적합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교육대학원은 A등급 교육대학원이라고 할 수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교육과정의 운영에 있어서 각 등급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보아, 교원양성기관 평가 결과는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의 차이에서 온 결과이기도 하겠지만, 그보다는 교원, 교육성과, 시설 및 행․재정, 발전노력 및 특성화 등의 다른 평가항목의 차이에서 온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6개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의 영역별 전체 평균 비율을 분석한 결과, 영어교육학(45.2%), 영어학(22.7%), 영문학(18.6%), 일반영어(13.5%)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르면, 교육과정에서 전공과목이 영어교육학 영역에 다소 편중된 모습을 보이고 일반영어 영역은 낮은 비중을 보여, 표면상으로는 영역 간에 다소 불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교육대학원의 입학 자격 요건과 그에 따른 학생들의 학사학위 전공 및 영어능력 수준 등 교육대학원의 특수한 여건, 영어교육에 있어서의 각 영역의 중요도 등을 고려하여 볼 때, 교육대학원이 교육과정을 대체로 적절하게 운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2009학년도부터 2012학년도까지 최근 4년간 실시된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 1차 시험 문항을 연도별로 영어교육학, 영어학, 영문학, 일반영어의 4대 영역으로 출제 비율을 분석하여 4개년의 평균 비율을 산출한 결과, 일반영어(36.9%), 영어교육학(35.3%), 영어학(18.3%), 영문학(9.5%)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이 일반영어 영역에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출제되고 있는 모습을 통하여, 임용시험이 현시대가 요구하는 영어교사의 자질 및 능력을 적절하게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제7차 및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이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신장하는 것에 가장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영어구사력이 우수한 교사의 확보가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임용시험 문항의 영역별 출제 비율에서 일반영어 영역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모습은 임용시험이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된 교사의 역할을 평가에 잘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영어교육학 영역도 일반영어 영역과 비슷하게 높은 출제 비율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임용시험이 영어교사의 자질과 능력을 평가함에 있어서 영어교육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교수 능력을 강조함으로써, 영어교사로서의 전문성을 중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비율을 살펴본 결과, 임용시험 제도가 개편된 2009학년도부터 출제 영역별 비율을 정해놓음으로써 그 비율이 비교적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었다. 따라서 2009학년도에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 제도가 새롭게 개편된 이후로 그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과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 문항의 연계성을 살펴본 결과, 영어학 영역과 영어교육학 영역은 비교적 연계성이 높은 편이었으며, 영문학 영역과 일반영어 영역은 연계성이 낮은 편이었다. 이는 교육대학원 등급별 비율과 임용시험 출제 비율 간의 분석, 그리고 교육대학원 전체 평균 비율과 임용시험 출제 비율 간의 분석에서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수치상으로만 분석한 것이므로, 이를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교육대학원의 제반 여건을 고려하여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수하고 전문성 있는 교사의 양성과 임용을 위하여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과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과 둘 사이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과정에서 일반영어 영역의 심화 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에서 영문학 영역에서 순수학문이나 이론 위주의 교과목들의 비중은 낮추고 영어교육 현장과 연계되는 교과목들을 제공하여, 영어영문학전공 교육과정과 차별화되는 교육과정을 운영하여야 한다. 셋째, 임용시험의 영문학 영역과 영미문화 영역에서는 각 영역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 있어야 풀 수 있는 문항, 그리고 타 영역의 문항과 구별되는 독창성을 지니는 문항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일반영어 영역에 있어서 교육과정과 임용시험의 연계성을 직접적으로 높이고자 한다면, 임용시험 2․3차 시험에 대비하는 교과목을 개발하는 것이 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육대학원에서 방학기간을 이용하여 임용시험 특강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도 교육과정과 임용시험의 연계를 꾀하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제언이 교육과정과 임용시험에 반영된다면 보다 바람직한 교원 양성과 선발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icula for the English Education Major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and correlations between them. It ultimately aims to evaluate how well educating teachers and selecting teachers a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progress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elected the English Education Major of six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hich give the students a teacher’s certificat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for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which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nounced in 2010 and 2011. The curricula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into four domains, which are English Pedagogy, English Linguistics, English Literature and General English. Second, the 160 examination items for the national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from 2009 to 2012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into the same four domains as above, and then each domain was divided into subcategories. Lastly,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urricula for the English Education Major in the six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average of the percentages according to each domain of the curricula and the examination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nglish Pedagogy domain had the highest average percentage(45.2%) of the four domains when the curricula for the English Education Major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ere analyzed. This means the curricula reflected well specialization and professionalism of the English Education Major as a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On the other hand, General English domain had the lowest average percentage(13.5%), but that resulted from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or example, the fact that most graduate students already took a lot of General English courses during their undergraduate studies. Second, General English domain had the highest average percentage(36.9%) of the four domains when the examination items for the national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urricula reflected well the goals of the 7th curriculum and the teacher’s qualities currently required. Also, English Pedagogy domain had the second highest percentage(35.3%) by a narrow margin over General English. This means the examination continues to lay importance on theoretical knowledge and teaching ability as well as English language ability when the teacher’s qualities are evaluated. Lastly, the curricula and the selection examination we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Pedagogy domains, but they were not closely connected in the English Literature and General English domains when connections between the two were analyzed. However, this study drew the conclusion that the curricula and the selection examination tend to be properly correlated on the whole if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considered as mentioned above.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curriculum, the selection examination and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five concrete suggestions are made: First, more advanced and intensive courses in General English need to be developed. Second, the importance of the pure literature subjects need to be reduced, and more practical subjects which are related to the education field are required to be developed instead. Third, the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needs to offer original items which require specialized knowledge in the English Literature and English Culture domains. Fourth, the courses which prepare for the second or the third examination in the teacher selection process are required to be developed. Lastly,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can open a special lecture series on the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during vacations. Educating teachers and selecting teachers can be closely related with each other if the suggestions in this thesis are reflected in the curricula for the English Education Major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 재한 중국조선족 대학원유학생들의 학습과정에서 언어문제에 대한 질적 연구

        탁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재한 중국조선족 대학원유학생들의 학습과정에서 겪는 언어문제, 언어문제를 겪는 원인, 그리고 언어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서울지역에 재학 중인 중국조선족 대학원유학생 10명을 선정하여 질적 연구법으로 연구했다. 본 연구에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재한 중국조선족 대학원유학생들의 학습과정에서 겪는 언어문제는 수업내용과 영어능력, 그리고 언어억양으로 겪는 언어문제다. 재한 중국조선족 대학원유학생들의 학습과정에서 언어문제를 겪는 원인은 한국어와 중국 조선어 두 언어 간의 차이와 중국조선족 대학원유학생들의 학습경력의 차이다. 중국조선족 대학원유학생들은 언어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언어학습과 언어억양을 개변하는 노력을 했다. 연구결과에 따라 정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한 중국조선족 대학원유학생들의 학습과정에서 언어문제를 겪는 것은 학생들의 개인 학습경험과 관계가 있다. 둘째, 재한 중국조선족 대학원유학생들이 대학생활적응과정에서 학습에서의 언어문제를 겪는 것은 학생들의 언어 환경에서 형성된 언어억양과 관계가 있다. 셋째, 재한 중국조선족 대학원유학생들은 학습과정에서 언어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지만 큰 효과는 없었다. 넷째, 재한 중국조선족 대학원유학생들의 학습과정에서 언어문제에 대한 연구를 탐구하며 중국조선족 대학원유학생들이 중국 한족문화에 동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는 중국조선족 대학원유학생들의 개인적인 노력으로 언어문제를 극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학교 및 한국사회에서 중국조선족 대학원유학생들을 위해 전문적인 한국어 수업을 개설하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 국내 MBA 교육환경 변화와 경영전문대학원의 구조 적합성에 관한 연구

        정호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조직군 생태학을 이론적 기반으로 국내 MBA 교육환경의 변화와 경영전문대학원의 생성 및 성장과정을 검토하여 구조 적합성을 분석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직군 생태학은 동일한 형태나 동일한 환경에 놓인 조직들의 집합을 한 조직군으로 분류하여 환경 간 동태적이고 장기적인 조직 생존 및 조직 간 행동을 보다 정확히 설명하고자 한 이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영전문대학원을 하나의 조직군으로 보고 조직군 생태학의 핵심 키워드인 변이, 선택, 보존 프레임에 따라 변화하는 교육환경에서 경영전문대학원의 구조적합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설치를 인가받은 12개 경영전문대학원을 연구 대상으로 교과부의 공시자료 및 교육관련기관 정보공개 법률에 따른 대학정보 공시사이트 ‘대학알리미’와 각 학교 홈페이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으며 교과부에서 실시한 경영전문대학원 2010 재학생만족도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경영전문대학원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영전문대학원은 기업과 정부 및 학생 등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에 따라 경영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도입되어 국내에서는 한차례 제도의 개정을 거치며 점차 안정화되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경영전문대학원 간의 운영 및 재학생 만족 수준에 차이가 존재하며 이에 대한 원인은 경영전문대학원의 인가시기 차이와 대학들의 규모 및 연령적 특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경영전문대학원의 활성화를 위한 대학 조직과 제도 차원의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