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장별 중요도를 반영한 문서 수준 감성 분류

        최기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감성 분류(Sentiment Classification)는 입력 받은 텍스트에 대하여 사전 정의된 감성 라벨에 맞춰 분류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 때, 감성 라벨은 단순 긍, 부정이 될 수도 있고, 특정 범위로 정해진 감성 점수가 될 수도 있다. 감성 분류에 대한 기존 연구는 문서 내에 존재하는 문장들의 중요성에 대해서 고려하지 않는다. 문서의 극성을 보다 정확히 분류하기 위해서는 문서 내부의 문장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중요도를 부여해야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을 기반으로 문서 내에 존재하는 문장들에 대한 중요도를 선별하고 이를 최종 문서 분류에 반영하는 감성 분류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에서 문장 별 중요도는 게이트 계층(Gate Layer)을 통해 자동으로 결정된다. 또, 분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라벨 임베딩 계층(Label Embedding Layer)을 사용하여 문서 또는 문장과 분류할 라벨 사이의 관계 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자질을 추가하여 성능을 높였다. IMDB, YELP-HOTEL, YELP-REST, AMAZON 데이터 셋을 사용하여 실험하였으며,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이 IMDB 데이터 셋을 사용한 실험에서 state-of-the-art 성능을 보였다. 또, YELP-HOTEL, YELP-REST, AMAZON 데이터 셋을 사용한 실험에서 기본 ALBERT 모델과 ALBERT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제안 모델 사이의 성능 비교를 통해 평균 1.17%p의 성능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Sentiment classification refers to the task of classifying input text according to a predefined sentiment label. For the sentiment label, it can be simply positives and negatives, or sentiment score set within a specific range. Previous studies on sentiment classification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importance of sentences in the documents. In order to classify more accurately the polarity of the document, degree of importance for sentences should be given.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an emotional classification model that selects sentences by the importance based on deep neural networks and reflects them in the final document classification. In the proposed model, the importance of each sentence is automatically determined through the gate layer. In addition, in order to maximize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We used the label embedding layer to add features based on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the sentence(or document) and the label to be classified to increase the performanc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IMDB, YELP-HOTEL, YELP-REST, and AMAZON dataset, and the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showed state-of-the-art performance in the experiment using IMDB dataset. In addition, in experiments using YELP-HOTEL, YELP-REST and AMAZON datasets, performance improvements of an average of 1.17%p were identified through performance comparisons between the basic ALBERT model and the proposed model based on ALBERT model.

      • 한국근대문학관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최기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분야는 한국어 의사소통 기능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문화교육은 의사소통 기능 향상을 위한 부수적인 수단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언어는 단독적으로 형성될 수 없으며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문화를 기반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언어교육에서 문화교육도 반드시 필요하다. 문화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는 크게 문화교육의 방향, 문화교육의 내용, 그리고 문화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로 진행되었다. 특히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는 TV드라마, K-POP, 문학텍스트, 웹툰 등을 활용한 문화교육 방안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공간을 활용한 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한 연구도 찾아볼 수 있었는데 민속촌이나 박물관, 미술관을 활용한 문화교육 방안 연구에 비해 문학관을 중심으로 연구한 논문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는 박물관이나 미술관에 비해 문학관이라는 공간은 숫자, 접근성, 인지도 등에서 박물관이나 미술관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근대문학관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이다. 한국근대문학관은 인천문화재단이 인천광역시 개항장 거리에 조성한 공간으로 한국 근대문학 관련 3만여 점의 자료를 소장하고 있으며 전시, 교육, 연구, 문화행사 등을 진행하는 곳이다. 한국근대문학관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의 특성으로는 다양한 근대문학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 문화예술과 연계한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다는 점, 역사문화 교육으로의 확장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한국근대문학관의 전시콘텐츠, 문학작품, 문화예술 프로그램 활동과 주변에 위치한 근대 문화유산을 활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에게 효과적으로 한국문화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한국근대문학관의 특성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교실 내 활동, 문학관 전시 관람을 통해 입체적으로 문학작품의 내용을 접할 뿐만 아니라 역사문화 프로그램 활동까지 진행할 수 있다. 본 연구가 한국문화를 학습하는 외국인들에게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1인 가구를 위한 주택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국내현황과 일본 공유주택 사례를 중심으로

        최기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0년대 초반까지 우리나라의 보편적 가구형태는 3~4인으로 구성된 핵가족 형태였다, 하지만 최근 만혼과 비혼율의 상승, 이혼율과 노인가구의 증가로 인한 단독가구의 증가 등으로 인해 새로운 가족형태가 등장하고 있으며 가구의 규모는 점차 작아지고 있다. 2015년 통계청에서 실시한 인구주택 총 조사에 따르면 1인, 2인으로 구성되어있는 소규모 가구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30년에는 전체 가구형태의 절반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1인가구의 경우 구성원의 특성상 다양한 수요와 특성을 지니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주택시장은 급속도로 진행되는 가구규모의 축소와 그에 따른 요구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보기는 힘들다. 특히 아직까지 사회적, 경제적으로 안정되지 못한 1인 가구의 경우 더 힘든 상황에 놓여있다. 최근 이러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도시형 생활주택의 공급이나 건축법의 개정과 같은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민간에서도 많은 대안들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 중 공유주거형태의 경우 도시의 1인가구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청년 1인가구의 주거 문제와 함께 향후 늘어날 노인, 비혼 1인 가구의 주거 또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주목 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정부의 지원 또한 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 공급되고 있는 공유 주거 형태는 단순히 원룸, 아파트와 같은 주택을 재임대하여 거주자 여러 명이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공급되고 있어 공유주거로 인한 사회적 문제 해결과 같은 순기능을 발휘하기에 부족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현재 1인 가구의 변화추이와 주거형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도출한 뒤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우리나라와 비슷한 상황을 10여 년 전에 겪었던 일본의 1인 가구 주거유형과 공유주거 방식 중 대중화 되어있는 두 가지 공유주거 형태를 해결 방안중 하나로서 제시한다. 이후 두 가지 공유주거의 국내 사례와 일본의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일본의 공유주거 형태가 성공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부분을 크게 공유 공간의 구성과 정책적인 차이로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공유주거 형태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제언한다. 이를 통해 현재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청년 1인 가구뿐만 아니라 나아가 미래에 급격하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노인 1인가구와 그 밖의 사회적 소외계층이 거주하는 열악한 주거 환경을 극복하고 더 나은 환경을 조성하는데 대응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사용되어지길 기대한다.

      • 관광목적지 사회적 책임(DSR)에 대한 인식이 남·북한 정부 정책신뢰와 개발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 DMZ 공동개발을 중심으로

        최기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Until now, the DMZ(Demilitarized Zone), a symbol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an area that blocks access and monitors each other amidst the sudden tension since the Korean War. A blitz at the border village of Panmunjeom, April 27, 2018, has a lot of change and inter-Korean relations after the inter-Korean summit in active exchanges began. The development of the DMZ, which was a symbol of division and confrontation, is the most talked-about as a tourist destination at a time when the two sides are looking for ways to make peaceful use of the DMZ. When tourist attractions are developed, investments are made, concentrated, and large-scale development is made by many types of companies. However, this may cause disputes among stakeholders. Thus development as a sustainable tourist destination requires understanding and coordination among all stakeholders. To address these problems,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s been emphasized until recently. However, CSR activities alone have shown limitations in resolving the recent more complex and diverse conflicts and environmental issues among stakeholders. That is why the DSR (Destination Social Responsibility) that scholars who advocated a new concept of social responsibility of stakeholders in tourist destinations emerged. In this study, the new concept of DSR was introduced in the joint development of DMZ to examine the impact of DSR on government policy trust and development support. In particular, the government's policy trust was analyzed by both South and North Korean government's policy credibi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DSR was delinenated by four sub-factors: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socio-cultural responsibility, economic responsibility, and ethical responsibility. Result reveal that environmental and economic responsibilities have a positive impact on both South and North Korean government‘s policy trust.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environmental and economic responsibilities had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policy. Result also reveal that social and cultural responsibilities and ethical responsibilitie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both the South and the North Korean government's policy trust where the two responsibilities had more negative effect on the North Korean government's policy trust. Finally both the South and North Korean government's policy trus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development support for DMZ.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the academic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here is an academic significance in terms of introducing the new concept of DSR into the to tourism development of DMZ. Second, it is of academic significance becaus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SR and trust can be applied to the tourism development of DMZ. Third, considering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development support, trust is an important variable of predicting support for DMZ tourism development. The finding of this study als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ourism policy–makers should adopt the concept of DSR when they develop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for DMZ. Second, the burden on the environment should be minimized and the profits after development should be returned to the community. Third, the government's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to meet the eye level of residents with high expectations for socio-cultural and ethical responsibilities. Fourth, considering government policy initiatives lead to positive support for tourism development the South and North Korea governments should make residents trust in their tourism policies of DMZ tourism development. Therefore, the development entities should promote consistent development that meets the expectations of residents so that they can gain the trust of locals. 그동안 한반도 분단의 상징인 DMZ(DMZ: Demilitarized Zone. 비무장지대)는 한국전쟁 이후 일촉즉발의 긴장감 속에서 접근을 차단하고 서로를 감시하는 지역으로 유지되어왔다. 그러나 2018년 4월 27일 판문점에서 전격적인 남북 정상회담이 이루어진 후 남북관계는 많은 변화가 일어났고 활발한 교류가 시작되었다. 분단과 대립의 상징이었던 DMZ을 평화적으로 이용할 여러 가지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 시점에 가장 많이 거론되는 것이 관광지로의 개발이다. 관광지가 개발될 경우, 다양한 기업들로부터 투자가 이루어지고 집중되며, 대규모의 개발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는 이해관계자들 간에 분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지속 가능한 관광목적지로 개발을 하려면 모든 이해 당사자들 간에 이해와 조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까지 CSR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 강조되어왔다. 그러나 최근의 더욱 복잡하고 다양해진 이해 당사자들 간의 갈등과 환경문제 등을 CSR 활동만으로는 해결하는데 한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DSR(Destination Social Responsibility) 즉, 관광목적지 이해관계자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주장하는 학자들(Su, Huang, & Huang, 2018a: Su, Huang, & Pearce, 2018b: Su & Swanson, 2017)이 등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SR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국내 관광지개발에 도입하여 정부 정책신뢰와 개발지지도 간의 구조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정부 정책신뢰는 남한정부 정책신뢰와 북한정부 정책신뢰를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DSR의 하위요인은 환경적 책임, 사회문화적 책임, 경제적 책임, 윤리적 책임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환경적 책임과 경제적 책임은 남・북한 정부 정책신뢰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경적 책임과 경제적 책임은 남한정부 정책신뢰에 더 큰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문화적 책임과 윤리적 책임은 남・북한 정부 정책신뢰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한정부 정책신뢰에 더 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한정부 정책신뢰와 북한정부 정책신뢰는 모두 개발지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따라 학술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첫째, DSR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남북한 DMZ 공동개발이라는 연구에 처음 도입하였다는 측면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DSR과 신뢰도 간의 긍정적 구조관계를 지지하며 국내 관광지개발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셋째, 신뢰와 개발지지도 간의 영향관계를 통해 남북한 DMZ 공동개발의 경우 정부 정책신뢰는 지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을 요약하면 첫째, CSR의 한계를 극복하고 확장시킨 새로운 개념인 DSR을 도입하여 남북한 DMZ 공동개발 시 지속 가능한 관광지로 개발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둘째, DMZ 공동개발 시 환경훼손을 최소화하며 개발 후의이익은 지역사회로 환원되어야 한다. 셋째, 남북한 DMZ 공동개발 시 사회문화적, 윤리적 책임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은 주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정부의 정책이 수행되어야 한다. 넷째, 남북한 DMZ 공동개발 시 국민들은 일관성 있는 정부의 정책 추진을 볼 때 정부와 정책을 신뢰하게 되고 이러한 신뢰는 개발에 대한 긍정적인 지지로 이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개발 주체들은 지역주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일관성 있는 개발을 추진하여 지역주민의 신뢰를 받도록 해야 한다.

      • 미・중 패권경쟁 분석과 한국의 안보정책에 관한 연구 -정치・외교 분야를 중심으로-

        최기현 상지대학교 평화안보 상담심리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난 30여 년간 중국의 급속한 성장은 미국 중심의 국제질서에 변화를 일으켜 국제정치와 함께 양국 간 경쟁을 촉발하고 있다. 중국은 세계 2위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하면서 군사력까지 신장하여 일본, 필리핀 및 베트남, 인도 등과 영토분쟁 등을 통해 역내 및 국제사회에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하고 있다. 최근에 중국은 2013년 일대일로 프로젝트를 통해 아시아, 아프리카 및 유럽을 무역, 금융, 문화, 인프라, 정보 통신 기술 등으로 연결함으로써 거대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려 하고 있다. 이에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중국의 영향력 확대는 현실이 된 것은 자명한 사실이며, 그간 아시아 태평양지역에서 패권국 영향을 미치던 미국에게 위협을 안겨줄 변화일 수밖에 없다. 미중 패권경쟁으로 인해 동북아지역 또한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중국은 냉전종식이후 소련의 붕괴로 한반도에 주요 행위자로 등장하였고, 경제가 취약한 북한체제에 대한 후견자 역할을 자임하게 되었으며 북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은 미중 패권경쟁의 전개 방향이 한반도 안보와 운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한반도의 분단과 평화정착은 특수한 지정학적 위치와 함께 강대국들의 이해관계가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미중 패권경쟁에 대한 우리의 안보정책을 면밀히 살펴보기 위해서는 미중 패권경쟁 대립양상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관계를 전망하고 이에 대한 우리의 안보정책 방향 수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미중 패권경쟁을 규명하고 전망해보았다. 구성주의적 관점은 지정학적 접근을 통해 현재 국제 상황을 면밀히 분석할 수 있고, 국제질서 속에서 강대국 패권 추구 원인을 규명할 수 있으며, 미중 패권경쟁을 패권국과 도전국의 패권추구로 분석함으로써 이론적으로 미중갈등을 가장 적합하게 해석할 수 있다.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미중 패권경쟁에서 양국이 격돌할 수 있는 시나리오 분석결과, 남중국해 우발충돌, 대만독립으로 인한 미국의 태평양 해·공군 전력 투입, 센카쿠열도 군사적 충돌로 중일 전쟁에 미국 개입, 보복무역 격화로 군사적 격돌, 북한 붕괴로 한반도에서 국제전 전개로 예상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구성주의적 관점을 기본으로 하여 독립변수를 미중 패권경쟁의 정치․외교적 양상으로 하고, 종속변수를 군사로 하여 대한민국 국방정책에 미치는 안보정책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가정1. 미‧중 패권경쟁에서 미국의 패권 유지시 우리의 안보정책은 어떠한 방안을 선택해야 할 것인가? 가정2. 미‧중 패권경쟁에서 중국의 패권 승리시 우리의 안보정책은 어떠한 방안을 선택해야 할 것인가? 가정3. 미‧중 패권경쟁에서 미‧중 신형대국관계가 형성된다면 우리의 안보정책은 어떠한 방안을 선택해야 할 것인가? 가정4. 미‧중 패권경쟁에서 미‧중‧러‧일 4강의 세력균등시 우리의 안보정책은 어떠한 방안을 선택해야 할 것인가?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정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미국의 패권 유지시 대미편승 정책을 취해야 한다. 미중 패권경쟁은 미국 패권이 지속되는 것이 현재로서 가장 높은 전망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대미편승 정책은 한미동맹을 강화하여 북한 도발을 억지하고 아태지역에 대한 중국의 세력 확장과 한반도 영향력 강화에 대응해야 한다. 둘째, 중국의 패권 승리시 대중편승 정책과 균형정책 병행이다. 만약 한미동맹이 와해되고 주한미군 감축 또는 철수할 경우 한국의 독자적인 군사력으로는 중국에 대적할 수 없기 때문에 대중편승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또한 북한의 외교관계를 관찰하며 다자외교를 통한 균형정책을 병행해야 할 것이다. 셋째, 미중 신형대국관계 형성시 대미정책․대중정책을 모두 추진해야 한다. 미국과 중국이 경쟁을 뒤로하고 동북아시아에 대한 세력분할에 합의하여 협력의 시대를 열 가능성이 있다. 협력의 시대는 한국의 입장에서 바람직한 상황으로 전개되는 것으로서, 북한에 대한 중국의 전략적 가치가 낮아들게 되고 통일한국의 대한 거부감이 줄어들어 한반도 안보 위험이 낮아질 수 있다. 넷째, 미․중․러․일 4강의 세력균형 시 자체 무장력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국제질서처럼 뚜렷한 패권국가 없이 미․중․러․일 4강이 함께 경쟁하는 체제는 한국에게 가장 위험한 상황이므로 한국은 북한의 핵위협으로부터 한국의 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자체 핵무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