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울증 환자에서 신체화 증상에 따른 질병행동의 차이

        윤창영,장세헌,제영묘,이대수,최진혁,Yoon, Chang-Young,Jang, Se-Heon,Jae, Young-Myo,Lee, Dae-Su,Choi, Jin-Hyuk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9 정신신체의학 Vol.17 No.2

        연구목적 : 질병행동은 건강 상태 또는 그에 상응하는 증상을 지각, 평가, 반응하는 적응적/비적응적 방식을 의미한다. 인지치료적인 측면에서 볼 때, 신체화 증상은 신체 지각적 측면에서 증상을 지각, 평가, 반응할 때 확대나 증폭과 같은 왜곡이 일어나 생긴다고 설명된다. 즉, 신체화를 질병행동의 이상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체화 우울증군과 비신체화 우울증군 간의 질병행동을 비교하여 우울증 환자에서 보이는 신체화와 관련된 질병행동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ICD-10의 진단 기준으로 진단된 우울증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한국형우울증척도(Korean Depression Scale)를 이용하여 신체화 우울증군과 비신체화 우울증군을 나누었으며, 두 집단에서의 질병행동의 차이점을 질병행동질문지(Illness Behavior Questionnaire)를 통해 비교하였다. 결과 : 신체화 우울증군은 비신체화 우울증군에 비해 질병확신 하위척도($6.79{\pm}2.08$ vs $4.76{\pm}2.23$, p=0.003)와 부인 하위척도($3.25{\pm}1.22$ vs $2.10{\pm}1.41$, p=0.006)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건강염려 하위척도와 불안정성 하위척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질병행동 하위척도들이 신체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회귀분석의 결과에서도 신체화 우울증군이 질병확신 하위척도(odds ratio=1.418, p=0.089)와 부인 하위척도(odds ratio=1.880, p=0.083)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신체적으로 질병을 확신하고 심리적으로 질병을 부인하는 것이 우울증 환자에서 신체화 증상을 특징짓는 질병행동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질병행동의 하위척도들은 우울 기분과 신체화 증상을 보이는 정신질환을 감별하고 예측하는 유용한 심리적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 Illness behavior is defined as the persistence of an adaptive/maladaptive mode of perceiving, evaluating and responding to health status and symptoms according to the status. In a cognitive aspect, somatizing symptoms are regarded as being originated from distortions, including magnification and/or amplification, of perceiving, evaluating and responding to symptoms such as bodily sensations. That is somatization may be explained by maladaptive illness behavior.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illness behavior in depressive patient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somatization. Methods : We divided 45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depression with ICD-10 diagnostic criteria into two groups(somatizing and non-somatizing group) according to the somatization subscale of Korean Depression Scale and compared two groups in the differences of illness behavior using the Illness Behavior Questionnaire. Results : Somatizing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non-somatizing group on the disease affirmation subscale($6.79{\pm}2.08$ vs. 4.76, p=0.003) and the denial subscale($3.25{\pm}1.22$ vs. $2.10{\pm}1.41$, p=0.006).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n the general hypochondriasis subscale and the affective unstability subscale. In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omatizing group also showed higher odds ratio (OR) scores on the disease affirmation subscale(OR=1.418, p=0.089) and the denial subscale(OR=1.880, p=0.083). Conclusion : The disease affirmation and denial may be a discriminative mechanism of somatization in depressive patients. These subscales of Illness Behavior Questionnare could be useful markers, and psychiatric illnesses with somatizing and depressive symptoms may be differentially diagnosed and be predicted through these subscales.

      • KCI등재

        삼환계 항우울제(Dothiepin)가 우울증 환자의 수면에 미치는 영향 : 수면 다원 검사에 의한 연구 A Polysomnographic Study

        홍승철,한진희,이성필,방승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4

        우울증환자군에서 삼환계 항우울제인 dothiepin 투여 후의 수면이 변화양성을 알아보며, 치료 후의 호전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치료 전과 치료 후의 수면변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면상태는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여 평가하였고, 우울증상의 심각도와 임상양상의 정도는 Hamilton 우울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대상은 최소 14일 이상 약물을 투여 받지 않은 우울증 환자 16명(남자 7명, 여자 9명, 연령분포 23∼64세)으로 구성되었다. 수면다원검사는 약물을 투여하기 전과 약물투여 후 1주와 3주에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항우울제 투여 1주와 3주 후 수면 연속성은 기준수면에 비하여 총수면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수면잠재기는 단축되었으며, 수면도중 각성시간은 감소하였고, 수면효율은 증가되었다. 2) 항우울제 투여 1주와 3주 후 수면구조에서는 기준수면에 비하여 2단계 수면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항우울제 투여 1주와 3주 후 급속안구운동 수면은 기준수면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급속안구운동 수면잠재기는 증가하였다. 4) 항우울제 투여 1주 후와 3주 후의 수면을 비교시 수면잠재기가 3주에 유의하게 감소된 외에는 수면 변인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우울증상의 평가를 위하여 약물투여 1주 후와 3주 후에 시행한 Hamilton 우울척도 점수는 약물투여 전에 비하여 줄어들어 우울증상이 호전됨을 나타내었다. 6) 항우울제 투여 3주 후 치료반응이 좋았던 군의 수면특징은 기준수면에서 수면도중 각성시간이 증가된 경향을 나타내었고, 약물투여 1주 후의 수면에서는 4단계 수면의 양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우울증환자에서 삼환계 항우울제인 dothiepin 투여 후의 수면변화는 치료초기에 나타났다. 기준수면에서 각성기간의 증가와 1주 후의 수면에서 4단계 수면의 감소는 약물치료에 좋은 반응과 관련된 수면변인으로 생각되었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1) sleep changes after antidepressant (dothiepin) treatment, and 2) sleep variables which seem to be associated with clinical response in the depressed 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16 patients who fullfilled the criteria for major depression by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4th edition). Their sleep was recorded using polysomnography at the baseline and after one week and three weeks of dothiepin treatment. All subjects were further interviewed using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RSD) to rate the severity of their depression. High response to the drug was defined as a reduction of more than 50% of the HRSD score.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Depressed patients after dothiepin treatment showed more total sleep time(p=0.019), shorter sleep latency(p=0.05), less awake time(p=0.033), more sleep efficiency(p=0.018), more stage 2 sleep(p=0.002), less REM time(p=0.000), and longer REM sleep latency(p=0.004) than before treatment. 2)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leep variables between those who received 1 week and 3 weeks of dothiepin treatment except for the shortening of sleep latency after 3 weeks(p<0.05). 3) Depressive symptom scores on HRSD were reduced after 1 week and 3 weeks of dothiepin treatment as compared with the baseline. 4) High responders showed a tendency of increased wake time(p=0.054), while their stage 4 sleep decreased after 1 week of dothiepin treatment as compared with the low responders(p=0.0136).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leep of the depressed patients after dothiepin treatment tends to be normalized and sleep changes seem to appear early in the treatment phase. In addition, clinical response might be associated with greater wake time at the baseline and lesser stage 4 sleep after 1 week of dothiepin treatment.

      • KCI등재후보

        한국성인에서 영양소 섭취 상태와 우울증과의 연관성: 2014년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박서연,한아름,신새론,어재은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2

        Background: Many studies have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nutrient element and depression independently, but few have assessed the effect of dietary intake on depression, as diagnosed using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intake and depression, which was diagnosed using the PHQ-9. Methods: This study used the second data set (2014)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Our analysis included 5,897 persons who answered the PHQ-9, aged 20 to 60 years. They were categorized into either a male or female group, which were then subdivided into a depression group of patients who were diagnosed using the PHQ-9, and those without depression (control group). The patients’ dietary intakes were obtained using the 24-hr recollection method in KNHN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intake and depression was investigated for each group. Results: In males, dietary intake was not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both groups, except in relation to carotene. While in females, the depression group had lower fiber and vitamin C dietary intake than the control group (fiber P=0.015, vitamin C P=0.020). The dietary intakes of all other nutrients had no associations between the depression and control groups, in both males and females. Conclusion: According to our results, low dietary intake of fiber and vitamin C may be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fema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diet regimen that includes fiber and vitamin C may help prevent and reduce depression in females. 연구배경: 많은 연구들이 각각의 영양성분과 우울증의 관계를 평가해왔으나, 한국판 우울증 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PHQ-9)에 의해 진단된 우울증에 대한 식이섭취의 영향은 거의 평가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식이섭취와 PHQ-9에 의해 진단된 우울증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방법: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제6기 2차(2014년)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만 20세 이상에서 60세 이하의 성인 중 PHQ-9에 응답한5,897명이며, 이들은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어, 각각의 군은 PHQ-9에의해 진단된 우울증 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식이섭취는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였다. 각군의 식이섭취와 우울증과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결과:남성에서는 우울증 군과 대조군 모두 카로틴을 제외한 식이섭취가 우울증과 관련이 없었다. 반면 여성에서는 우울증 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은 섬유소와 비타민 C 섭취를 보였다(섬유소 P=0.015, 비타민 C P=0.020).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다른 영양소들의 식이섭취가우울증 군과 대조군 간의 차이가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여성에서 섬유소와 비타민 C의 낮은 식이섭취는 우울증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여성에서섬유소와 비타민 C를 포함한 식이요법은 우울증의 예방과 감소에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한국 성인 남녀의 우울증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박재규,이정림 한국보건사회학회 2011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2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factor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existence or increase of depression, in particular the gender difference on the change of depression. In order to do this work, this study uses the data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collected by Kor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the Social Welfare Research Center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2006 and 2009, respectively. That is, this study used the data of 10,225 persons answering all 11-item questions which are composed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From data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existence or increase of depression i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respondent's age, education, marriage status, the status change of labor market, income level, health level, family and social relations. In particularly, the existence or increase of depression is more critical to female than male. According to logistic regression on the existence or increase of the depression, the female respondents who were less educated and were divorced from or bereaved of their husbands tend to remain in the state of depression and become depressed. Also the female who were out of work or belonged to poor family tend to be depressed continuously. However, the health or family relationship factor is more significant to the male's depression than one of the female. From tho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 some policy measures which can prevent women from depr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증 변화, 우울증이 지속되거나 혹은 비우울증 상태에 있는 사람이 우울증 상태로 이행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특히 성별 차이에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2006년 및 2009년 자료에서 우울증 척도 문항을 이용하여 3년 사이 우울증 변화를 분류하여 검토하였다. 우울증 변화와 개인적 특성 간의 관련성 분석에 의하면, 우울증 지속과 우울증 증가 등은 응답자의 연령, 교육, 혼인상태, 경제활동, 노동시장 변화, 소득, 건강, 가족관계 및 사회관계 만족도 수준 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며,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우울증 집단에 비해 우울증 지속 혹은 우울증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남성에 비해 여성은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배우자를 상실할 경우 우울증이 지속되거나 혹은 비우울 상태에서 우울증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이혼한 여성이나 별거상태에 놓인 여성의 경우 더욱 취약했고, 노동시장에서 퇴출되거나 혹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경우 여성도 남성보다 우울증 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았다. 반면 건강이나 가족관계 만족도는 여성보다 남성의 우울증 지속이나 혹은 비우울 상태에서 우울 상태로 이행하는데 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결핍의 의식(deprivation cult)과 우울증: 코로나 이후 우울한 영혼 돌봄과 목회상담

        하재성 한국목회상담학회 2023 목회와 상담 Vol.40 No.-

        Contrary to previous common expectations or concerns, suicide rates did not increase in Korea during COVID-19. Interestingly enough, the worldwide pandemic did not bring about an outbreak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or suicides that medical professionals had warned of due to isolation, fear of infection or death. The result was the opposite: the suicidal rates had decreased, although the change was small. It is true that Korea has kept the disgraceful position of the highest suicidal rates among OECD countries for the many years, and the numbers have continued to grow. However, MDD seems to have maintained independence from the global pandemic, during which most were commonly afraid of the often deadly infection. MDD is not biologically inherited, but clinical observations may lead to a conclusion that it has much to do with the chronic deficiency of childhood attachment or emotional bonds to primary caregivers. The deficiency may come from a wider context of a sociocultural level beyond the individual one, which resonates with the deprivation cult, in other words, the spirit possession, that many women in different cultures are known to experience at a psycho-spiritual level. MDD is closely related to any kind of deficiency, from losses of both childhood attachment relationships outside and love objects inside. It does not come solely from common disasters outside, but with triggers at certain life stages, individual experiences of chronic emotional deficiency contribute largely to the outbreak of MDD. Pastoral counselors are expected to recognize those individualized deficiencies and, together with counselees, seek in hope for the proper expressions in the gospel, which may compensate for their long deprivations at the individual emotional and socio-spiritual levels. 전문가들의 우려와는 달리 코로나 시기에 한국에서 우울한 사람들의 자살률은 이전보다 더 낮았다. 이것은 코로나블루를 염려하던 전문가들의 예상과는 사뭇 다른 결과로서 세계적인 전염병이 우울증과 자살률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준다. 물론 한국에서의 전연령별 우울증과 자살 발생 비율은 7년 전에 비해 계속 증가하고 있고 또 OECD 국가들보다 평균 두 배나 높은 수치여서 경계심이 필요하다. 세계적인 재난 가운데서도 우울증이 큰 변동 없이 지속성을 유지하는 것이 한편으로는 다행이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특별한 우려를 낳기도 한다. 왜냐하면 우울증이 팬데믹과 무관한 독립적 생존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우울증은 유전되지 않는다. 그러나 어릴 때부터 경험하는 만성적 공감 결핍은 한 인간의 안정적인 성장을 방해하고 장기적인 소진과 우울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이것은 종교·인류학적 결핍증상이라 할 수 있는 ‘결핍의 의식’과 유사하며 정신·영적인 면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여기서 결핍의 의식이란 사회문화적 특권에서 배제되거나 박탈된 사람들이 비인격적인 상태에서 겪게 되는 비밀스런 통과의례를 가리킨다. 프로이트와 달리 DSM-V에서는 외적 대상의 상실조차 우울증과 연관되어 있다고 진단한다. 우울한 내담자들은 흔히 성장기 자원의 결핍을 겪은 경험자들로서 심신증을 겪으며 삶의 에너지의 고갈을 고통스럽게 느낀다. 청소년, 여성, 노년 등 다양한 계층의 우울증 양상을 살펴볼 때 성장기 결핍은 우울증 발생에 중요한 원인이며 작용을 한다. 다만 공동의 연대감이 작용하는 자연재해나 전쟁의 상황보다는 관계의 고립과 특권의 배제에서 비롯된 내면의 결핍에서 더 크게 발생한다. 목회상담자는 그리스도의 복음 안에서 이같은 개개인의 내적 결핍을 인지하고, 그것을 표현할 언어를 탐색함으로써 우울증의 오랜 시간의 정서적 결핍만 아니라 사회·영적 결핍을 보상하고 회복시키는 소망의 작업자들이다.

      • 일 도농복합지역 주민의 우울증 유병률 조사

        최수련(Soo Ryun Choi),연병길(Byeong Kil Yeon),한창환(Chang Hwan Han),홍나래(Narei Hong),권희정(Hee Jung Kwo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7 사회정신의학 Vol.12 No.1

        목 적: 우울증의 조기 발견 및 치료는 정신보건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우울증을 조기에 발견해서 치료함으로써 정신 및 신체 질환의 일반적인 예후를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자살률 또한 낮출 수 있다. BDI는 일차 진료현장에서 비교적 쉽고 빠르게 우울증상을 발견할 수 있는 척도이다. 이 연구는 BDI를 이용하여 우울증 및 우울증상의 유병률을 밝혀 지역 사회 정신건강 증진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 법: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온양 3동에 거주하는 주민 291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기초정보 및 BDI를 조사하였다. 우울증은 BDI 점수를 기준으로 남성의 경우 23점, 여성의 경우 24점 이상으로 정의하였고 우울증상은 BDI STEN 점수 7점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결 과: 연령 보정 후 우울증의 유병률은 전체 8.9%, 남성 4.1%, 여성10.0%로 나타났으며 우울증상의 유병률은 전체 17.9%, 남성 12.5%, 여성 23.1%이었다. 우울증상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성별, 정신과 질환의 가족력, 내과적 질환 등으로 나타났으며 나이, 교육정도, 수입, 결혼력과의 관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 론: 도농복합지역에서의 우울증 및 우울증상의 유병률은 국가 전체를 대상으로 했을 때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우울증 및 우울증 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하여 정신보건 서비스를 제공하여 우울증상을 조기 발견, 치료한다면 지역사회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depression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community mental health. Finding and treating depression early can improve general prognosis of mental and physical diseases and reduce the rate of suicide. Using BDI, primary practitioner can easily find depressive sympto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s and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to suggest baseline data. Methods:We investigated 291 people who were residing in Onyang 3-dong and Dogo-myun, Asan-si, Chungcheongnam-do. Our research team visited their residence and gathered information using the questionnaire about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BDI. Depression was defined as BDI total score over 23 in males and over 24 in females. Depressive symptom was defined as BDI STEN score over 7. Results: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Asan-si was 8.9% in total, 4.1% among males, 10.0% among females.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was 17.9% in total, 12.5% among males, 23.1% among females. The related factors of depressive symptoms was sex, family history of psychiatry and medical disease. Age, education years, incomes and marital statu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Prevalence of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a mixed region of urban and rural communities is similar with those among national wide sample. With mental service for those who are in high risk group, early detection of depressive symptoms from community will be needed to improve general health status.

      • KCI등재

        반복 경두개자기자극술의 우울증 치료효과 및 최신동향에 대한 고찰

        김신태,김혜원,김세주,강지인,Kim, Shin Tae,Kim, Hae Won,Kim, Se Joo,Kang, Jee I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7 생물정신의학 Vol.24 No.3

        본 종설에서는 우울증에서의 rTMS 임상연구를 임상특성과 TMS 적용방법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새로운 TMS 치료기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rTMS는 항우울제에 반응이 적은 단극성 우울증 환자의 치료에 병용 혹은 단독요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안전하고 비침습적인 뇌조절술이다. rTMS는 고빈도 좌측 DLPFC, 저빈도 우측 DLPFC, 그리고 양측성 DLPFC 적용방법이 비슷한 수준으로 허위자극에 비해 유의하게 항우울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치료저항성 단극성 우울증에 대한 항우울효과 크기는 작았다. 또한 정신병적 증상이 동반된 우울증의 치료와 양극성 장애의 우울삽화에 대해서는 치료효과가 불분명하다. 기존 rTMS의 항우울효과 크기는 작은 정도로 그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고용량의 자극, 보다 깊이 자극할 수 있는 코일을 이용한 rTMS 치료, 표적영역에 보다 정확하게 코일을 위치시키는 신경항법 등을 이용한 TMS 적용 등의 새로운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세타돌발자극과 자기경련치료와 같은 새로운 치료기법을 이용한 시도가 우울증 치료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비록 현재까지 rTMS의 항우울효과가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임상양상을 세분화한 치료적용과 개선된 치료기법의 적용 등을 통해 더 많은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여러 형태의 TMS 기법에 대해 잘 설계된 허위자극에 대한 통제연구뿐만 아니라 서로의 비교연구를 통해 우울증 치료에서의 근거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 is a non-invasive neuromodulation technique which can change cortical excitability in targeted area by producing magnetic field pulses with an electromagnetic coil. rTMS treatment has been used to treat various neuropsychiatric disorders including depression. In this review, we evaluate the literature on rTMS for depression by assessing its efficacy on different subtypes of depression and different technical parameters.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result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and meta-analyses for depression after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pproval in 2008, which acknowledged its efficacy and acceptability. We also review the new forms of rTMS therapy including deep TMS, theta-burst stimulation, and magnetic seizure therapy (MST) that have been under recent investigation. High frequency rTMS over left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DLPFC), low frequency rTMS over right DLPFC, or bilateral rTMS is shown to be effective and acceptable in treatment for patients with non-psychotic, unipolar depression either as monotherapy or adjuvant. Deep TMS, theta-burst stimulation and MST are promising new TMS techniques which warrant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우울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고찰

        정락길(Chung, Lak-Ki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0

        우울은 개인의 가족사, 사회적 관계, 빈곤의 문제, 논쟁중인 육체적 기질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증상이기에 인문치료의 중요한 성찰대상이다. 이 논문은 프로이드의 우울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우울증을 ‘죽은 어머니’라는 개념으로 확장하고 있는 프랑스 정신분석학자 앙드레 그린의 논의를 우선 살펴 본 후, 인문치료적 관점에서 우울에 대한 이론적 입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프로이드는 ‘우울’의 무의식적 차원을 강조하고 있는데 우울자는 대상에 대한 관심이 없다고 이야기 하지만 자아도 모르게 혹은 자신의 바람과 다르게 어떤 대상에 동일시를 행하고 있다는 이중적 상태를 주목하고 있다. 그는 우울증의 특성의 일부는 애도에서 찾을 수 있으며 좀 더 심각한 우울증의 경우에는 자기애적 대상 선택이 자기애로 퇴행하는 과정에서 병리적인 양상으로 나타난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는데, 이는 모자관계론에 기반한 자기애론으로부터 우울의 문제를 해명하고 있다는 점이 주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앙드레 그린은 이러한 프로이드의 논의로부터 출발해 아이가 경험하게 되는 상처를 ‘죽은 어머니 콤플렉스’라는 개념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린은 결핍의 주제와 연관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중심의 인간 이해만이 아닌 죽은 어머니 콤플렉스라는 개념을 통해 모자관계의 해명과 상실 경험이라는 주제를 부각시키고 있다. 이는 정신분석학적 인간 이해의 확장을 기도하는 시도이다. 죽은 어머니 콤플렉스는 어머니의 죽음 이후의 아이가 겪게 되는 현실적인 심리적 결과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 콤플렉스에서 어머니는 아이의 곁에, 아이의 지각의 장에 존재하지만 아이에게는 존재하지 않는 어머니이다. 따라서 아이의 상처는 어머니의 부재의 결과들이 아니라 어머니의 현존의 특이한 특성이고 이러한 의미에서 죽은 현존이기도 하다. 갑작스런 우울의 결과로 아이는 애도의 상황과 비교되는 상실과 허무, 불능, 고독이라는 상황에 빠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논문은 우울의 정신분석학적 함의로부터 우울에 대한 치유의 문제를 살펴보고 있다. 우울의 치유의 특이성은 상담에서 과도한 동감과 즉각적인 문제해결의 방식보다는 조용한 침묵과 듣기 그리고 글쓰기와 같은 간접적 방식을 통해 서서히 대상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과정이 중요한 치료과정이라는 점이다. 이런 의미에서 인문치료의 콘텐츠는 우울과 치유를 사유할 때 가장 이상적인 도구임을 이 논문은 주장하고 있다. As a complex symptom where intervenes diverse factors such as an individual"s familial history, his social relations, problem of poverty and even his controversy bodily disposition, melancholia is an important object of reflection of Humanities therapy. This study mainly analyzes French psychoanalyst Andre Green"s thesis extending Freud"s analysis of melancholia into the notion of "Dead mother". By doing so,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proposing a theoretical explanation of melancholia from an Humanities therapy angle. Freud, insisting on "melancholia""s unconscious aspect, says that a melancholist does not have any interest in the real object but identifies himself into the unconscious object in spite of his ego or his wish. Freud claims that a particular part of melancholia can be found in the act of mourning. Yet he explains the case of a pathological melancholia with narcissism, based on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appearing when the choice of narcissist object turns into narcissism. Andre Green translates the wound that a child experiences from Freud"s theory of narcissism into a "Dead mother complex". Green"s reasoning is in fact an attempt to, through the Dead mother complex, extend the psychoanalytic theory of the comprehension of human being by emphasizing on the elucidation of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the experience of loss. It is in fact a reinforcement of the Oedipus comprehension of human being. Nonetheless, this Dead mother complex does not represent the psychologic effect of a child after his mother"s real death. This complex actually represents a mother existing near the child and in the field of the child"s perception, a mother psychologically absent. In other words, it is a complex occurring when a mother who is an important source of the child"s survival, due to depression fails to interact with his child. Therefore, the child"s wound is not the result of a mother"s absence but of a particular characteristic of her existence, and for this reason a dead existence. As an effect of sudden depression, the child gets exposed to a situation of loss, futility and solitude comparable to a situation of mourning. Finally this article seeks a therapeutic possibility of melancholia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The therapeutic tactic of melancholia does not consist of an excessive empathy of the counselor, nor a proposal of an instant solution, but of indirect tactics such as a silent listening and writing. Such indirect tactics can slowly arouse the interest of the melancholist in the object. Considering this, the contents of Humanist therapy is the best instrument in terms of therapy of melancholia.

      • 한국 여성에서 비만과 우울증의 연관성

        윤대현,박진호,이철민,신찬수,조상헌,오병희,Yoon, Dae-Hyun,Park, Jin-Ho,Lee, Cheol-Min,Shin, Chan-Soo,Cho, Sang-Heon,Oh, Byung-Hee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7 정신신체의학 Vol.15 No.1

        연구목적 : 비만과 우울증은 모두 심각한 공공 의료 문제이고 특히 주된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이다. 비만과 우울증 상에 관한 해외 연구는, 일정한 결론은 아니나, 여러 연구에서 연관성 존재를 보고하고 있고 특히 일부 연구는 여성에서 그 연관 정도가 큼을 보고 한 바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여성에서 있어 비만, 특히 복부비만과 우울증상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여성 연구 대상자 4,609명을 대상으로 Beck 우울 척도 및 체계측을 시행한 결과를 이용 우울증상과 비만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비만도는 체질량지수로 정하였으며 체질량지수 $25kg/m^2$ 이상을 비만으로 하였고 복부비만은 허리둘레 85cm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임상적으로 우울증을 의심할 수 있는 Beck 우울척도 분할점은 16점으로 하였다. 결과: 정상 체중군에 비해 비만 여성군에서 우울 여성의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고(27.6% VS. 23.2%, p<0.01), 복부 비만 여성에서도 우울 여성군의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26.9% VS. 22.7%, p<0.01), 비만 여성군 중 우울 여성에서 복부 비만 가진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93.2% VS. 86.9%, p<0.01).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여성에서 비만, 특히 복부비만과 우울증간 연관성이 존재함을 보였고 향후 전향적 연구를 통한 비만과 우울증간 상호 역할에 대한 적극적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s: Obesity and depression are serious health problem and also constitut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Some studies found an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higher rates of depression in women but not in men.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obesity, especially central obesity in Korean women.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4,609 Korean women aged 20-85 years. Each individual was assessed for the presence of obesity and central obesity using the criteria suggested by WPRO(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the Western Pacific). Depressive symptomatology was measured by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Results : In obese women, rate of depressed women i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normal group(27.6% VS. 23.2%, p<0.01). The rates of depressed women is higher in women who had central obesity(26.9% VS. 22.7%, p<0.01). Depressed women had higher rates of central obesity(93.2% VS.86.9%, p<0.01). Conclusion Our findings show obesity especially central obesity is associated with depressed women and suggests that further investigation for interaction between depression and obesity is needed.

      • KCI등재

        우울증에 대한 구강건강 및 관리행태 위험요인

        이경희 ( Kyung Hee Lee ) 한국감성과학회 2021 감성과학 Vol.24 No.3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7기(2016~2018) 자료를 이용하여 의사로부터 우울증 진단을 받았거나 우울증 선별도구 (PHQ-9)를 바탕으로 우울증 분류된 대상자의 구강건강 상태와 구강 건강관리행태를 비교하고 관련 위험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국민건강영양조사 7기 전체 대상자 수는 16,489명이며, 그중 성인(19세 이상)이며 구강검진을 시행한 13,19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 중 성별, 연령, 소득수준, 교육수준, 흡연과 음주 모두에서 우울증군과 비우울증군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구강검진 및 구강 건강상태에서 비우울증군과 비교하여 우울증 군에서 말하기 불편감(OR=2.82), 저작불편감(OR=2.41), 치통경험(OR=1.49), 보철물(OR=1.33)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우울증 발생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가공의치 필요 수는 우울증 발생관련 위험요인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심리적 요인에 있어서는 전신건강이 나쁘다고 인식할수록 우울증 발생 유병률이 증가하였으며(OR=9.10), 구강건강이 나쁘다고 느끼는 경우도 증가하여(OR=1.94) 우울증 발생 관련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구강 건강관리 행태에서는 일일 칫솔질 횟수가 감소할수록(OR=1.81), 치실을 사용하지 않고(OR=1.42) 구강검진을 받지 않는 사람 일수록(OR=1.31) 우울증 발생 위험도가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구강건강 상태 및 구강건강 행태는 성인 우울증의 잠재적 위험요인으로 인지되며, 이를 바탕으로 성인 우울증 관리에 있어서 일반적 정신건강뿐만 아니라 구강건강과 구강관리행태 고려한 성인건강 관련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oral health and th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adults. Data on 13,199 people (male 5,793, female 7,406; age ≥19 years old) were extracted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Ⅷ (KNHANES Ⅷ) (2016~2018) and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an x<sup>2</sup> test, a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pression was defined as either a medical diagnosis or a score ≥10 on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The probability of depress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different for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school grade, income, and drinking.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s, general health awareness (OR=9.094, 95% CI 7.139∼11.585) and oral health awareness (OR=1.936, 95% CI 1.465∼2.560), we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speaking discomfort, chewing discomfort, oral pain (within 1 year), and prosthesis were found to increase depression probability. The depression probability was also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by 1.81 times if brushing frequency was less that once a day, if people used dental floss (OR=1.42), and had to have an oral examination (OR=1.3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oral health and oral health behaviors are associated with the depression, with the influencing factors having oral health and behavior-related characteristics. Therefore, proper oral health and oral health risk factor behavior managemen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assist in reducing de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