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입원중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비전형 및 전형 항정신병약물에 대한 주관적인 반응

        윤보현,시영화,배승오,이은숙,이형영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2 생물치료정신의학 Vol.8 No.2

        입원중인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항정신분열약물에 대한 주관적 반응과 약물에 대한 태도가 비전형 및 전형 항정신병약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전형 항정신병약물을 복용중인 31명과 전형 항정신병약물을 복용중인 42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모두 급성기를 지나 안정기에 있는 환자들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자료, 임상력 및 임상상태를 비교하였으며, 항정신병약물에 대한 주관적 반응 및 약물에 대한 태도를 평가하기 위해 10문항의 자가 평가 설문지인 Drug Attitude Inventory(DAI-10)를 시행하여 양군 간에 비교하였다. 전형 항정신병약물군은 비전형 항정신병약물군에 비해 입원 치료 중에 더 많은 항콜린성 약물을 복용하고 있었으며, 추체외로계 증후군과 약물의 진정효과로 인한 불편감을 호소하였다. DAI-10에서 비전형 항정신병약물군은 전형 항정신병약물군에 비해 항정신병약물에 대한 주관적 부정적 느낌이 적었으며, 최종 점수에서 훨씬 긍정적인 약물에 대한 주관적 반응과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전형 항정신병약물은 약물로 인한 부작용의 효과로 인해 부정적 반응에 영향을 주었으며, 반면에 비전형 항정신병약물은 긍정적인 약물에 대한 반응과 태도에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 Drug Attitude Inventory(DAI) was used to compare the subjective response to antipsychotics between schizophrenic inpatients receiving atypical and typical antipsychotic medications. Method : Seventy three patients meeting selection criteria and receiving atypical(N=31) and typical antipsychotics(N=42) were examined. All of them were in the stabilized stage of their illnesses. Subjective response to neurolepics was evaluated using 10-items of Drug Attitude Inventory(DAI-10). Demographic and clinical data were also analyzed between two groups. Results : Patients receiving typical antipsychotics had adjuvant medications such as anticholinergics and more complained of the neuroleptic-induced side effects. They showed more dysphoric responses to the subjective responses to neuroleptics. Patients taking atypical antipsychotics showed significantly non-dysphoric responses on the items asking the negative aspects of medications and more subjective positive responses on the final score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typical antipsychotics influenced on the subjective positive responses to neuroleptics and neuroleptic-induced side effect affected the subjective negative feelings and attitude to antipsychotics.

      • KCI등재후보

        한국인과 중국 한족의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Angiotensin 전환효소 유전자 Insertion/Deletion 다형성 연합 연구

        이서경(Seo-Kyong Lee),김종우(Jong-Woo Kim),임성빈(Sung-Vin Yim),정주호(Joo-Ho Chung),송지영(Ji-Young Song)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6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2 No.2

        목적 : ACE와 정신분열병과의 관련성에 대해서 현재까지 여러 연구가 있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중국 한족간의 ACE 유전자 Insertion/Deletion(I/D) 다형성에 대한 민족간 비교 연구는 아직 시행되지 않았기에 이들을 대상으로 정신분열병과 ACE와의 관련성 및 ACE 유전자 I/D 다형성의 민족간 분포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한국인 정신분열병 153명, 중국 한족 정신분열병 82명, 한국인 정상 대조군 154명, 중국 한족 정상 대조군 88명을 대상으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으로 ACE 유전자의 I/D 다형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 한국인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 사이에 유전자형의 빈도(p=0.001)와 대립유전자의 빈도(p=0.021)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국 한족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 사이에 유전자형의 빈도(p=0.520)와 대립유전자의 빈도(p=0.313)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한국인 정상 대조군과 중국한족 정상 대조군 사이에 유전자형의 빈도(p<0.001)와 대립 유전자의 빈도(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ACE 유전자의 I/D 유전자 다형성과 정신분열병이 관련이 있음을 관찰하였고, 한국인과 중국인의 정상 대조군에서 ACE 유전자의 I/D 대립유전자의 비율이 의미 있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더 많은 정신분열병 환자군을 대상으로 다양한 표현형을 분류하여 분석하는 연구, ACE와 관련이 있는 여러가지 신경전달물질에 대한 유전자와 같이 분석하는 연구 등을 실시하여 ACE 유전자 다형성을 분석한다면 더욱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기존과 다른 결과에 대해서는 향후 다른 대조군에서의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iv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Insertion/Deletion(I/D) polymorphism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ACE) gene and schizophrenia in Korean and Han Chinese population. Method:We examined the frequency of a polymophism characterized by the insertion of a 287bp in intron 16 of the ACE gene(located on chromosome 17q23). A sample of 153 Korean schizophrenics, 154 Korean healthy controls, 82 Han Chinese schizophrenics and 88 Han Chinese healthy controls were genotyped by size-analysis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products. Results: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otype frequencies and allelic frequencies of ACE I/D polymorphism between Korean schizophrenics and controls.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otype frequencies and allelic frequencies of ACE I/D polymorphism between Han Chinese schizophrenics and control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otype frequencies and allelic frequencies of ACE I/D polymorphism between the Korean and Han Chinese controls. Conclusion:The present study reveals significant association of ACE gene I/D polymorphism in Korean schizophrenics. And there was ethnic diffence between the Korean and Han Chinese polulation.

      • KCI등재

        항정신병약물을 복용 중인 환자의 공복혈당장애 : 이환율과 공복혈당의 내당능장애에 대한 선별 검사로서의 유용성

        최진환(Jin-Hwan Choi),박영민(Young-Min Park),조진석(Jin-Seok Cho),정순민(Sun-Min Jung),정봉주(Bong-Ju Jung),변원탄(Won-Tan Byun)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7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3 No.1

        목적 : 항정신병약물을 투여 받는 환자에서 당뇨병과 고혈당의 이환율이 높음을 시사하는 연구들이 많이 있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을 포함한 다양한 항정신병약물을 투여 받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공복혈당장애의 이환율을 알아보고,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를 잘 반영한다고 알려져 있는 당부하 검사를 함께 시행하여, 공복혈당과 당부하 후 혈당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항정신병약물을 투여 받고 있는 환자들에서의 공복혈당 선별 검사의 유용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 최소 2개월 이상 같은 종류의 항정신병약물을 복용한 환자 96명을 대상으로 8시간 이상의 공복 상태를 유지하게 한 후 공복혈당 검사를 하였고, 바로 경구 포도당 75g을 복용하게 한 후 2시간 후에 다시 혈당 검사를 하였다. 환자를 미국 당뇨협회에서 제시한 공복혈당(fasting blood glucose, 이하 FBG)을 기준으로 하여 정상 공복혈당군(FBS <100㎎/dl)과 공복혈당장애군(FBS ≥100㎎/dl)의 두 군으로 나누어 당부하 후 혈당을 비롯한 인구학적인 특성과 임상적인 특성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환자에 대한 기본 정보는 환자와의 직접 면담과 의무 기록을 통해 얻었으며, 기존의 당뇨병 환자는 제외되었다. 결과 : 총 96명의 대상 환자 중 공복혈당장애는 22명(22.9%)였으며 이 중 10명(45.5%)에서 당부하 검사 상 내당능장애가 있었고 나머지 12(54.5%)명은 정상 소견이었다. 정상공복혈당 군 74명 중 52명(70.3%)은 당부하 검사상 정상이었고, 22명(29.7%)에서는 공복혈당장애가 없으면서 내당능장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복혈당장애군과 정상 공복혈당군 간의 당부하 후 혈당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공복혈당과 당부하 후 혈당의 상관관계는 높지 않았으며(Spearman’s R=0.265, p<0.01). 항정신병약물 중 정형 약물과 비정형 약물 간의 공복혈당 및 당부하 후 혈당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항정신병약물을 복용 중인 환자에서 공복혈당은 환자의 당부하 혈당과 상관 관계가 낮아 환자의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선별 검사로서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Objectives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impaired fasting glucose,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fasting glucose level with 2-hour glucose level after oral glucose loading, and to clarify the usefulness of the fasting glucose test as screening in the patients who are taking antipsychiotic medications. Methods : We examined the fasting glucose level and 2 hour glucose level after loading 75g of glucose in 96 hospitalized psychiatric patients who had been taking the same medications for at least 2 months. We divided the subjects into 2 groups, impaired fasting glucose and normal fasting glucose group, based on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criteria proposed in 2004, and compared the demographic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The subjects with preexisting diabetes mellitus were excluded. Results : Among 96 subjects, impaired fasting glucose group were 22(22.9%), 10 of them(45.5%) had impaired glucose tolerance, and the rest 12(54.5%) were normal in oral glucose t lerance test. In the normal fasting glucose group of 74 subjects, 52(70.3%) were normal, and 22(29.7%) had impaired glucose tolerance but normal fasting glucos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sting glucose levels and 2-hour glucose levels after oral glucose loading but the correlation was not strong(Spearman’s R=0.265, p<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sting and 2-hour glucose levels between typical and atypical antipsychotics groups. Conclusion : Fasting glucose test could not reflect the cardiovascular risk well in patients who are taking antipsychotics, thus it would not be appropriate to use this as screening test.

      • KCI등재

        정신과 입원환자에서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급성 근긴장 이상증과 혈청 철 농도와의 관계

        이동진,박인준,권영준,정희연,한선호,Lee, Dong-Jin,Park, In-Joon,Kwon, Young-Joon,Jeong, Hee-Yeon,Han, Sun-Ho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8 생물정신의학 Vol.5 No.2

        순천향대학 천안병원 신경정신과에 입원하여 항정신병 약물로 치료 받고 있는 78명의 환자 중 약물로 인한 급성 근긴장 이상증이 나타난 41명의 환자들을 대상군으로 하고 급성 근긴장 이상증이 나타나지 않은 37명의 환자를 대조군으로 하여 약물 투여전과 투여후 혈청 철의 농도를 측정하여 급성 근긴장 이상증과 혈청 철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상군에서 항정신병 약물을 투여하기 전 혈청 철의 농도는 $104.8{\pm}30.8{\mu}g/dl$,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급성 근긴장 이상증이 발생한 후 혈청 철의 농도는 $87.2{\pm}21.2{\mu}g/dl$이었으며 양 군간에 통게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조군의 경우 항정신병 약물을 투여하기 전 혈청 철의 농도는 $92.5{\pm}34.5{\mu}g/dl$, 항정신병약물을 투여한 후 혈청 철의 농도는 $88.3{\pm}35.3{\mu}g/dl$이었으며 양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항정신병 약물을 투여하면 일부의 환자에서는 혈청 철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결국 정상적으로 철을 포함하고 있는 도파민 $D_2$ 수용체의 기능이 저하되어 급성 근긴장 이상증의 발생에 취약하게 된다는 것을 뒷받침 해 주는 소견이다. Object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acute neuroleptic-induced dystonic reactions and serum iron level. Method : Serum iron levels were measured in psychiatric inpatients who had developed acute neuroleptic-induced dystonia(N=41) and in control patients with no history of acute dystonic reactions(N=37). Serum iron levels were compared in acute dystonic inpatients before starting treatment with neuroleptics and after acute dystonic reaction. Results : The patients exhibiting acute dystonic reactions had significantly lower serum iron levels than the patients without acute dystonic reactions. Conclusion : This result supports an association between low serum iron and the occurrence of neuroleptic-induced acute dystonic reactions.

      • KCI등재후보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에서 지능장애 및 기억장애 유무에 따른 정신과적 증상의 비교

        구본훈(Bon Hoon Koo),배대석(Dai Seg Bai)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6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2 No.2

        외상성 두부손상 환자들의 지능장애와 기억장애의 유무에 따라 인지기능장애의 양상과 정신과적 증상의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9년 3월 1일부터 2004년 12월 31까지 두부외상 후 정신과적인 증상을 나타내어 진료를 받았거나 자문이 의뢰된 경우 및 후유장애 평가를 위해 내원한 환자 중 배제기준을 제외한 161명을 대상으로 K-WAIS, K-MAS, K-BNT, SCL-90-R, MMPI를 실시하였다. K-WAIS와 K-MAS, 그리고 K-BNT의 경우, 지능장애와 기억장애를 모두 동반한 군에서 나머지 두군보다 전반적으로 더 많은 인지장애를 보였고 특히, 주의력을 포함한 군집화와 침입화 등의 기억전략의 문제를 보였다. SCL-90-R의 경우, 지능장애와 기억장애를 모두 동반한 군에서 정신병적 경향을 포함하여 정신과적 증상의 종류와 정도를 가장 많이 보이고 있었으며, 기억장애만을 동반한 군에서는 지능장애나 기억장애를 동반 하지 않은 군과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MMPI의 경우, 지능장애와 기억장애를 모두 동반한군에서 정신과적 문제의 정도나 정신병리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억장애만을 동반한 군에서는 정신과적 증상에 대해 다소 방어적인 태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하위척도 중 우울증척도에서는 인지장애의 동반 유무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기억장애만을 보이는 군의 경우, 정신과적 증상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며 임상현장에서 이러한 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sychiatric symptom in traumatic head injury with and without intelligence and memory impairments. Methods:The patients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differences between intelligence and memory impairments, such as, the group who has both intelligence and memory impairments(AD), the group who has only memory impairments(MD), and the group who has no or mild intelligence and memory impairments(ND). We compared with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sychiatric symptom by each groups using K-WAIS, K-MAS, K-BNT, SCL-90R, MMPI. Results:In the results of K-WAIS, K-MAS, and K-BNT, AD was shown more severe cognitive impairments than other groups, especially, certain kind of memory strategies including attention, clustering, and intrusions. In the results of SCL-90R, A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scale and global index than other groups, but there was any differences between ND and MD. In the K scale score in MMPI, MD has higher scores than other groups. Conclusion:In this research, both intelligence and memory function damaged group has experienced more severe cognitive and emotional dysfunction. The group with only impaired memory function has also psychiatric symptoms but they tend to more defensive attitude to the psychiatric symptoms.

      • KCI등재후보

        만성 정신분열병 여성에서 고프로락틴혈증과 골밀도 및 골대사 표지의 상관

        원승희(Seung-Hee Won),곽경필(Kyung-Phil Kwak)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6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2 No.2

        목적 : 정신분열병 환자는 질병 자체와 복용하고 있는 여러 약물들로 인하여 골다공증 및 골절의 위험성이 높다. 고프로락틴혈증은 골다공증을 유발하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는데, 일부 항정신병약물은 혈중 프로락틴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는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지속적인 프로락틴 증가가 골밀도와 골대사 표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 DSM-IV 진단기준에 부합되는 만성 정신분열병 가임기(20~45세) 여성 환자 36명을 선별검사 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최소 1년 이상 한 가지 항정신병약물을 복용하고, 통원치료를 받고 있으며, 최근 1년 이내 골대사에 영향을 주는 병력이 없었다. 환자의 월경력을 미리 조사하여 중기 황체기에 신체계측, 기본 검사실검사, 호르몬, 골대사 표지, 정신병리, 일일 영양소섭취량, 일일 활동량등을 측정하였다. 골밀도는 이중방사선흡수 계측기를 이용하여 원위요골, 요추, 대퇴경골의 골밀도를 측정하여 젊은 정상성인의 평균치와 비교한 T값을 이용하였다. 최종 검사결과 대상자는 프로락틴이 증가한 실험군 16명(리스페리돈 복용 15명, 올란자핀 복용1명)과 프로락틴이 증가하지 않은 대조군 12명(올란자핀 복용 12명)으로 분류되었다. 결과 : 프로락틴 수치는 실험군이 더 높고( t=5.583, p=0.000), 콜레스테롤 수치는 대조군이 더 높았으며(t=-2.107, p=0.046), 에스트라다이올 수치는 실험군 2명만 감소되었고 나머지 대상자 모두는 정상범위이었다. 골밀도 T값이 실험군은 모든 부위에서 감소되었고 대조군은 요추와 대퇴경골에서만 감소되었지만, 두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단지, 원위요골에서 실험군의 골밀도 T값(-0.16±0.73)이 대조군의 골밀도 T값(0.36±0.66)보다 낮은 경향(t=-1.968, p=0.06)을 보여주었다. 프로락틴과 골밀도 T값 또는 골대사 표지와는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군 16명만을 대상으로 시행한 상관분석(r=-0.627, p<0.01)과 전체 피험자를 대상으로 현재 항정신병약물의 복용기간, 프로락틴, 체질량지수를 통제한 부분상관분석(r=-0.418,p<0.05) 모두에서 콜레스테롤과 원위요골의 골밀도 T값 사이에 유의한 음의 상관이 나타났다. 결론 : 만성 정신분열병 여성 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로 유발된 고프로락틴혈증은 골소실을 증가 시키는 위험요인이었다. 또한, 프로락틴 수치와는 무관하게 콜레스테롤도 위험요인이었다. 이에 반해 에스트로겐은 골소실의 예방요인으로 작용하였다. Objectives:Osteoporosis is regularly mentioned as a possible consequence of treatment with prolactin raising antipsychotic medications.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chizophrenia and a decrease in bone mineral density(BMD) and to get more insight into potential underlying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Methods:In a cross-sectional study, we screened 36 schizophrenic outpatient women(age 20-45 years) who were treated with same antipsychotics for at least one year. BM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DEXA) in the distal forearm, lumbar spine and femoral neck. We also estimated psychopathology, menstrual regularity, body mass index(BMI), daily nutritional status, daily physical activity, hormones and bone marker (osteocalcin, deoxypyridinoline). As the results of prolactin levels,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prolactin raising group(PR, 16 subjects) and not raising group(No-PR, 12 subjects). Results:Mean prolactin level in PR was higher than in No-PR and mean cholesterol level in No-PR was higher than in PR significantly. Mean estradiol level was within normal ranges excluding 2 subjects in PR. The proportions of reduced bone mass(osteopenia, osteoporosis) at each sites were 12.5-31.3% in PR and 0.0-25.0% in No-PR. Mean BMD T scores at distal forearm in PR mildly lower than in No-PR( t=-1.968, p=0.06), but those of other site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Correlations between prolactin levels and BMD T scores at all sit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ce. Correlations between the levels of prolactin and bone markers were not significance too. After adjusting for prolactin, BMI and medication period of current antipsychotics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 was observed for cholesterol levels - BMD T scores at the distal forearm. Conclusion: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hyperprolactinemia induced by long-term neuroleptics may be at high risk of reducing BMD and may be counterbalanced with estradiol incompletely in schizophrenic women. In addition, we noticed that cholesterol may be a risk factor in losing bone mass irrespective of prolactin levels.

      • KCI등재

        정신분열병환자에 있어서 식후에 관찰되는 비정형 항정신병약물과 관련된 음식 갈망 회로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연구

        정범석(Bum Seok Jeong),이창화(Chang Hwa Lee),홍성균(Sung Kyoon Hong),최지욱(Jee Wook Choi),김지웅(Ji-Woong Kim),이선우(Sun Woo Lee)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6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2 No.2

        목적 : 음식을 충분히 섭취한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관련 음식 갈망 뇌 구조물 탐색. 방법 : 배고픔을 배제한 음식에 대한 갈망만의 뇌회로를 탐색하기 위해 음식을 충분히 섭취한 상태에서 음식물과 무생물 사진을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 중인 정신분열병 집단 및 정상 대조 집단에게 수동적으로 보여주면서 기능적 뇌영상을 촬영하였다. 자극 파라다임은 24초짜리 세 블록으로 구성된 음식물 혹은 무생물 사진들로 구성된 블록 디자인을 사용하였다. 집단 별음식 갈망 관련 뇌 회로, 두 집단 간 음식 갈망 관련 뇌 활성도 차이, 뇌 활성도와 임상 변인과의 상관관계를 SPM2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식후에 촬영한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 연구 결과 정신분열병 집단이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함에도 불구하고 음식물 자극 및 음식 갈망 관련 회로의 활성도가 상대적으로 저조하였다. 시상 및 시상 하부의 활성도는 현재 약물의 복용 기간과 유의미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체중 혹은 음식 갈망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진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하더라도 음식을 충분히 섭취할 경우 음식 갈망 관련 뇌 활성도가 정상 대조 집단에 비해 증가하지 않으며, 항정신병 약물 관련 체중 증가 혹은 입맛 당김 현상이 지속적으로 약물을 복용에 따라 감소하게 되는 현상이 시상하부의 활성의 점차적 감소와 관련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To explore the neural correlates of antipsychotics related food craving i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s:A T2<SUP>*</SUP>-weighted echoplanar imaging sequences obtained were used to collect 120 BOLD images during the passive seeing of food paradigm after meal. The food paradigm was consisted of three blocks of food pictures and three blocks of pictures of natural thing in both ten healthy volunteers and schizophrenic patients having second generation antipsychotics. The imaging data were investigated to find differences in the food cue and craving related network between healthy volunteers and schizophrenic patients after meal.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cue or craving related neural activity and clinical variable was explored. Activation maps were acquired by means of the random effect model using SPM2. Results:Less extensive food cue and craving related regions were activated in schizophrenic patients having second generation antipsychotics after meal. Neural activities of both hypothalamus and thalamus were correlated with the prescribed duration of current antipsychotics. Conclusions: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chizophrenic patients' brain is less respond to food cue after meal even though they are having second generation antipsychotics. The decrease of hypothalamic activity could explain the plateau phenomenon or decrease of both food craving and body weight according to persistent second generation antipsychotic medication.

      • KCI등재후보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Heat Shock Protein 70(HSP70) 유전자 다형성

        이대호(Dae-Ho Lee),이선우(Sun-Woo Lee),왕성근(Seong-Keun Wang),신윤오(Yun-O Shin),지익성(Ik-Seoung Chee),김정란(Jeong-Ran Kim),이영호(Young-Ho Lee),김지욱(Ji-Wook Kim)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6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2 No.2

        목적 : 본 연구는 정신 분열병과 관계 있다고 알려진 HSP70 유전자 중, HSP70-2(HSPA1B) 유전자 다형성에 초점을 맞추어 정신분열병과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 DSM-Ⅳ 진단기준에 의해 진단된 정신분열병 환자군 104명과 정상 대조군 10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HSPA1B 유전자형 판별을 위해 restriction fragment length enzyme(RFLP)을 이용한 polymerase chain reaction(PCR)이 사용되었다. 결과 :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HSPA1B 유전자형의 분포는 AA 32(30.8%), AG 57(54.8%), GG 15(14.4%)였으며, 대립 유전자의 빈도는 A 121(58.2%), G 87(41.8%)였다. 정상 대조군에서 HSPA1B 유전자형의 분포는 AA 35(32.7%), AG 63(58.9%), GG 9(8.4%)였으며 대립 유전자의 빈도는 A 133(62.1%), G 81(37.9%)였다.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대조군 간 HSPA1B 유전자형의 분포와 대립 유전자의 빈도에 있어서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환자군을 성별, 정신과적 질병의 가족력, PANSS scale에 따른 증상 심각도 등의 변수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도 유전자형의 분포와 대립 유전자의 빈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 정신분열병 환자들에서 HSPA1B 유전자 다형성이 정신분열병의 병인과 관계가 없음을 나타낸다. 가족-기초 비교 위험 연구와 정신분열병의 다른 임상적 변수들을 포함한 향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The heat shock protein 70(HSP70) is believed to b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schizophrenia with regards to neurodevelopment. An aberration in the HSP70 has been proposed in schizophrenia patients, suggesting that it is a candidate gene for schizophrenia.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polymorphsims of HSP70-2(HSPA1B) and schizophrenia. Methods:One hundred and fou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One hundred and seven normal controls were enrolled in the study. A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with restriction fragment length enzyme(RFLP) was used to genotype the HSPA1B polymorphisms. Results:1) In schizophrenic patients, genotype distributions of the HSPA1B polymorphism were AA 32(30.8%), AG 57(54.8%) and GG 15(14.4%), and allele frequencies were A 121(58.2%), and G 87(41.8%). In normal control, genotype distributions of the HSPA1B polymorphism were AA 35(32.7%), AG 63(58.9%) and GG 9(8.4%), and allele frequencies were A 133(62.1%), and G 81(37.9%).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llelic or genotype frequencies of the HSPA1B polymorphisms between the schizophrenia patients and the controls. 2) There were no difference in genotype distribution and allele frequencies of the HSPA1B polymorphism, when patients were categorized by sex, family history of psychiatric disease, severity of symptom with PANSS scale.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 a HSPA1B polymorphism is not causally related to the pathogenesis of schizophrenia in the Korean population. Further study of HSPA1B polymorphism should be needed, including family based association study and other clinical variations of schizophrenia.

      • KCI등재후보

        마음이론과 정신분열병

        손은희(Eun-Hee Son),김양태(Yang-Tae Kim),정성훈(Sung-Hun Jeong)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6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2 No.1

        마음이론은 자신이나 타인의 정신상태, 예를 들면 사고, 믿음, 의도 등을 추론할 수 있는 인지능력이다. 이러한 인간의 능력에 대해 최근 관심이 높아지면서 마음이론이 진화론적으로 그리고 소아발달학적으로 어떻게 발달하였는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마음이론의 생물학적인 기전을 밝히기 위해서 많은 기능적 뇌 영상 연구가 시행되었다. 다양한 마음이론 과제들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중앙 전전두엽피질, 상측두고랑, 측두극이 일관되게 활성화되었다. 현재 자폐증, 전두엽이 손상된 환자, 치매, 양극성장애, 반사회적 인격장애, 그리고 정신분열병과 같은 다양한 신경정신과 장애에서 마음이론의 장애를 보고되고 있다. 정신분열병 환자의 증상과 마음이론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특히 음성증상을 보이는 환자들에서 마음이론이 가장 심하게 손상되었다. 하지만 정신분열병에서 보이는 마음이론의 장애가 다른 인지영역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상태 의존적인지 아니면 성향 의존적인지, 그리고 언어사용에 있어서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 중이다. 정신분열병에서 보이는 마음이론의 장애에 대한 이해를 통해 환자의 치료와 재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ory of mind(ToM) refers to the capacity to infer one's own and other person's mental states such as thoughts, beliefs, and desires. Interest in this human ability has engendered a substantial body of research concerning its evolution and development and the biological basis of the mechanisms underpinning it. Functional neuroimaging studies have been undertaken to isolate the neural substrates of mentalizing ability. These have demonstrated that three brain areas -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the superior temporal sulcus, and the temporal pole - are consistently activated in association with ToM. In fact, impaired ToM has been described in a variety of neuropsychiatric disorders, for instance, autistic spectrum disorder, patients with frontal lobe damage, frontotemporal dementia, bipolar affective disorder,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nd schizophrenia. There is a growing body of evidence that ToM specifically impaired in schizophrenia. It is likely that schizophrenic patients with negative symptoms were the most severely impaired in ToM, in particular when the symptomatology resembles that of autism. However, it is still under debate how an impaired ToM in schizophrenia is related to other aspects of cognition, whether this represents a state or trait variable, and how this affects the patients' use of language. We expect that the understanding of ToM mechanism would serve as guide for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schizophrenia.

      • KCI등재

        만성 여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Estrogen 병합투여의 임상시도

        권의정,김진세,이동우,정인과,Kwon, Ei-Jung,Kim, Jin-Se,Lee, Dong-Woo,Jung, In-Kwa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8 생물정신의학 Vol.5 No.1

        본 연구는 만성 정신분열병 여성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에 대한 estrogen병합투여 효과를 정신병리 측면에서 조사한 것이다. Estrogen 투약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8주에 걸쳐 시행하였고, 그 결과를 PANSS, CGI를 통하여 비교하였다. 8주간의 연구기간 동안 PANSS, CGI모두에서 투약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투약군에서 연구 8주동안의 PANSS 각 소항목군의 변화율은 양성증상 30.52%, 음성증상 15.06%, 일반정신병리증상 13.60%로 양성증상이 다른 군에 비하여 큰 호전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만성정신분열병의 치료에 있어 기존의 항정신병 약물과 estrogen의 병합투여가 치료적 효과적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estrogen의 항정신병적 효과의 기전은 명확치 않지만, estrogen이 뇌에서 도파민과 세로토닌체계에 영향을 주어 정신분열병의 호전에 기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a open clinical trial aimed at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combined treatment with estrogen and antipsychotics to the chronic female schizophrenics. Method : 40 female patients who met DSM-VI criteria for schizophrenia who were chronically ill were randomly assigned to estrogen group(EG) and control group(CG). EG patients were received estrogen 1.25mg for 8weeks in addition to their routine antipsychotic regimens. CG patients were received their routine antipsychotic regimens only. Both groups were evaluated by PANSS(Pos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at 0, 4, 8 week during the trial period and compaired with each other. Results : 40 female patients have completed the study during 8weeks. EG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PANSS and CGI scores than CG during the 8weeks. In EG patients, all symptom subtypes(positive symptoms, negative symptoms, general psychopathology symptoms) of PANS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nd positive symptoms were most significantly improved at 8week. Conclusions : This results support the clinical value of combined estrogen therapy among chronic female schizophren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