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우울증상 분포

        하운식(Unshik Ha),전덕인(Duk-In Jon),현주(Hyun Ju Hong),정명훈(Myung Hun Jung),김미경(Mi Gyeong Kim),홍나래(Narei Hong) 대한노인정신의학회 2015 노인정신의학 Vol.19 No.2

        Objective: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Methods:Through a community mental health mass screening program in senior society, 197 elderly were evaluated for de-pressive symptoms with Korean version of 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K). The subjects were grouped into nor-mal or caution groups with a cut-off score of 6. The response rate and odds ratio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in each ques-tion. Results:Although they had low total score, many subjects in normal group have the symptoms of the question 2, 13, 5, 10, 7, 4 (in order). Question 12, 6, 8, 4, 14, 3 (in order) showed higher odds ratio in caution group than normal group. Questions be-longed to a factor ‘general depressive mood’ scored much higher odds ratio than the other. Conclusion:Even the elderly with low score in SGDS-K might complain of symptoms such as decreased level of energy, ac-tivities, interests, and memory. However the subjects with high score tend to report feeling more worthless, afraid, helpless, bored, hopeless, and empty. It can be helpful to know the distribution of depressive symptoms for providing careful mental health ser-vice to the elderly dwelling in the communities.

      • KCI등재

        사교육 시간에 따른 외현화 문제와 내면화 문제의 성별 차이

        송정은(Jungeun Song),전덕인(Duk-In Jon),석정호(Jeong Ho Soek),홍나래(Narei Hong),김영신(Young Shin Kim),현주(Hyun Ju Hong)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10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21 No.1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gender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he internalization or externalization of symptoms according to the amount of time spent engaged in extracurricular education. Methods:The study included a community sample of 755 boys and girls (mean age, 6.6 years), collected from five elementary schools in Gunpo, South Korea. Primary caregivers completed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information on demographics, the amounts of time children spent in extracurricular education and with other activities, and an adapted form of the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BASC-2). Gender differences regarding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ere examined according to extracurricular education. Results:With respect to the boy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those who ha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ccording to their time spent in extracurricular education. In contrast, the girls exhibited no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ose children who spent a lot of time engaged in extracurricular education, there was a gender-specific difference only with respect to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Conclusion:A gender-specific difference exists only in terms of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ccording to time spent engaged in extracurricular education.

      • 회복탄력성이 직장인의 주관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전가혜(Ka Hye Chun),전덕인(Duk-In Jon),현주(Hyun Ju Hong),정명훈(Myung Hun Jung),홍나래(Narei Ho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6 사회정신의학 Vol.21 No.2

        연구목적 : 직장인의 스트레스는 개인적 차원에서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부담의 증가를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사회 직장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스트레스 및 우울증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회복탄력성이 주관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고자 한다. 방 법 : 일개 시에 위치한 사업장에서 근무 중인 직장인 46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또한 PWI-SF(Psychosocial Well-being Index-short form), 한국어판 CES-D(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여 중증 스트레스 및 우울증의 유병률과 관련 요인을 조사하 였다. 유의미한 중증 스트레스와 우울증은 PWI-SF 27점, CES-D 21점을 각각 절단점으로 하였다. 결 과 : 연구 대상자들의 17.1%가 중증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증 스트레스에 관하여 성별(p=0.004) 및 회복탄력성 (p<0.001)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근속연수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특히, 회복탄력성이 낮을 경우 중증 스트레스를 겪을 위험도가 4.78배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유의미한 우울증의 유병률은 14.9%였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직장인의 중증 스트레스의 규모와 우울증의 유병률을 알아 볼 수 있었다. 또한 회복탄력성이 주관적 스트레스에 대해 잠재적 보호요인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직장인의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회복탄력성의 향상을 포함한 다양한 정신건강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함을 제안할 수 있다. Objectives : Stresses of employees not only reduce the quality of life but also increase socioeconomic burd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severe stress and depression in community employees and to confirm the effect of resilience on subjective stress. Methods : Four hundred and sixty two community employees at one city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sociodemographic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 reports. We used PWI-SF (Psychosocial Well-being Index-short form), Korean version of CES-D(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and the scale of resilience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correlation of severe stress and depression. Cutoff of clinically significant severe stress and depression was PWI-SF≥27 and CES-D≥21, respectively. Results : Seventeen point one percent of subjects suffered with severe stress. Although the prevalence of severe stress was not different by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and service year, it was different by gender (p=0.004) and resilience (p<0.001). Employees who have low resilience experience severe stress 4.78 times more than other employees.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was 14.9%. Conclusion : This study revealed the prevalence of severe stress and depression in community employees and confirmed the role of resilience as a potential protective factor against subjective stress. The results suggest that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community, it is important to manage the stresses of employees and require variable mental health services including enhancement of resilience.

      • 인터넷 중독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박민수(Minn Suh Park),전덕인(Duk-In Jon),현주(Hyun Ju Hong),정명훈(Myung Hun Jung),홍나래(Narei Ho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7 사회정신의학 Vol.22 No.2

        연구목적 :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인터넷 중독의 피해가 확산되고 있고, 청소년기는 중독에 대해 취약한 시기이기에 인터넷 중독에 대한 예방 책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기존 인터넷 중독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중독 증상의 정도와 양상의 변화를 통해 확인하고자 했다. 방 법 : 경기도 1개 시의 5개 초등학교에 소속된 4, 5학년 초등학생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이중 프로그램 시행 전, 직후 2번에 걸쳐 청소년 인터넷중독 자가진단 척도(KS-II)을 작성한 556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일반 사용자군, 위험 사용자군으로 나눠 일상생활 장애, 가상적 대인관계 지향성, 금단, 내성의 척도 내 4가지 영역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과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프로그램 시행 후 일반 사용자군과 위험 사용자군 모두 일상생활 장애, 가상적 대인관계 지향성, 금단, 내성 등 전 영역에 걸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감소하였다. 일상생활 장애, 금단, 총점의 경우, 두 군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 일반 사용자군에 비해 위험 사용자군에서 점수가 더 감소하였다. 결 론 : 인터넷 중독 예방 프로그램이 인터넷 중독 위험 사용자군과 일반 사용자군에서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인식 정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통해 중독 증상의 정도와 양상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청소년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척도의 변화로써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중에서도 일상생활 장애, 금단 및 총점의 경우, 위험 사용자군에서 특이적으로 점수를 더욱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 While Internet is being spread, the problems of internet addiction is also increasing in the world. Because adolescent is fragile to addiction,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is important. This study tries to check the effect of the established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change of addiction-related symptoms. Methods : The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was run for 4th and 5th grade students of 5 elementary schools in 1 city of Gyeonggi-Do, Korea. 556 participants completed Internet Addiction Scale for Adolescent (KS-II) before and after the 3-session program. We divided the participants into 2 groups, normal user group and risky user group, and conducted independent T test and repetitive ANOVA over 4 domains, disturbance in daily life, cyber world oriented, withdrawal symptom, and tolerance. Results : Over all domains, each score was statistically lowered in both normal user group and risky user group after the program. Due to interaction effect, score of disturbance in daily life, withdrawal symptom, and total score was decreased more in risky user group than in normal user group.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which would change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internet addiction in normal user group and risky user group could affect severity and aspects of addiction symptom with change of score of self-report scale. Also, especially in disturbance in daily life, withdrawal symptom, and total score, decrease of the score decreased more than other domain.

      • 일 도농복합지역 주민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및 정신보건문제와 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인식도에 관한 연구

        지은희(Eun Hee Ji),연병길(Byeong Kil Yeon),한창환(Chang Hwan Han),홍나래(Narei Hong),최수련(Soo Ryun Choi),권희정(Hee Jung Kwo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8 사회정신의학 Vol.13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아산시 지역주민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및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함으로써 향후 아산시 정신보건사업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방 법 2007년 2월 아산시 온양3동과 도고면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만 70세 미만 성인을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최종 대상자는 310명이었다. 연구도구는 Community Attitude to the Mentally Ill Inventory(CAMI)를 사용하였다. 결 과 아산시 지역 주민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는 덜 권위적이고 동정적으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정신보건문 제와 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인식도는 굉장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학력, 불교, 도고면 주민, 농업에 종사, 월수입 300만원 이상, 정신질환자와 접촉이 많은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특히 저학력층과 농업에 종사하는 집단은 정신보건 문제와 사업에 대한 인식도도 낮았다. 결 론 정신질환자에게 부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대상을 우선적으로 정신질환자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교정시키기 위한 교육을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정신보건문제 및 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인식도가 낮으므로 그에 대한 정확한 지식의 제공 및홍보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get basic data to develop plan and strategy of community mental health care services in Asan city. So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attitudes toward mentally ill and the knowledge about mental illness and mental health care services among the residents of Asan city. Methods: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310 persons aged between 20 and 69 who live in Onyang 3-dong and Dogo-myeon, Asan-si, Chungcheongnam-do. Tool of the study is Community Attitudes to the Mentally Ill Inventory (CAMI). Results:The residents of Asan city showed generally positive attitudes to mentally ill. But they lacked the knowledge about mental illness and mental health care services. The lower educated, buddist, farmers, persons who live in Dogo-myeon, persons whose monthly income are above three million won, persons who have experience for contacting mentally ill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s to the mentally ill. The lower educated and farmers lacked overall awareness of mental illness and mental health care services, too. Conclusion:The community education to reduce the prejudice and misunderstanding against the mentally ill should be actively and intensively concentrated upon the persons who showed negative attitude. Furthermore, systematic public education and information should be constantly delivered to community residents to improve the awareness of mental illness and mental health care services

      •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등록된 정신질환자의 자살 태도에 관한 연구

        김원우(Won-Woo Kim),전덕인(Duk-In Jon),현주(Hyun Ju Hong),정명훈(Myung Hun Jung),홍나래(Narei Ho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22 사회정신의학 Vol.27 No.2

        연구 목적 : 우리나라의 높은 자살률은 지속적으로 사회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자살 태도란 개인이 자살에 대하여 가지는 일관된 견해를 말하며, 이는 교육을 통해 변화하여 자살 예방을 위한 긍정적인 행동을 하도록 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고 밝혀진 바 있다. 정신 건강복지센터에서는 다양한 사업들을 통하여 자살 고위험군을 관리해오고 있으나, 아직까지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등록된 정신질환 자들을 대상으로 한 자살 태도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개 시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사례관리 중인 정신 질환자들의 자살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을 조사하여 자살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일개 시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받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 내용은 사회인구학적 및 임상적 특성, 자살에 대한 태도와 인식, 자살을 주제로 한 대중매체에 대한 태도 등으로 이루어졌다. 결 과 : 본 연구 대상자들 중 다수가 자살에 대해서 허용적인 태도를 보였고 자살에 대한 사회책임인식도 낮았다. 60세 이상의 집단에서는 젊은 연령에 비해 자살에 대하여 금기시(p<0.001)하고 비윤리적으로 바라보았고(p<0.001), 기혼 혹은 동거 중인 집단에서도 기타 결혼상태의 집단에 비해 자살에 대해 금기시(p=0.005) 하고 비윤리적(p=0.015)이라고 생각하는 태도를 보였다. 신경증을 진단받은 집단에서는 정신증을 진단받은 집단에 비해 자살에 대해 수용적 태도를 보이면서(p<0.001) 비윤리적으로 보는 시선은 적었고(p= 0.035), 자살예방센터를 이용 중인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자살에 대해 수용적인 태도를 보였으며(p=0.001),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시선은 적었다(p=0.029). 결 론 : 본 연구에서 조사한 지역사회의 정신질환자들은 인구사회학적 및 임상적 변인에 따라서 자살 태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점들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및 정책 반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The high suicide rate in Korea is a continuous social burden, and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establish an effective suicide prevention policy. Attitude toward suicide can be defined as a consistent view of suicide held by an individual,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changing attitude towards suicide through education can be effective in encouraging positive behaviors regarding suicide prevention. Although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in Korea have been managing the suicide high-risk group through various programs, there remains a lack of studies on attitudes toward suicide of patients with psychiatric disorders registered in mental health cente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ttitudes and perceptions toward suicide of patients registered at one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Methods : Two hundred adults aged 19 years or over who registered and received mental health services from one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in an urban area were assess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attitudes toward and perceptions of suicide, and attitudes toward mass media on suicide-related topics. Results : Many participants in this study showed a permissive attitude toward suicide, and their percep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regarding suicide was low. The 60 years and older group viewed suicide as taboo (p<0.001) and unethical (p<0.001) more than younger groups, and the married or living together group also considered suicide taboo (p=0.005) and unethical (p=0.015) more than other groups. Compared to the group diagnosed with psychosis, the group diagnosed with neurosis showed a more accepting attitude toward suicide (p<0.001) and viewed suicide as less unethical (p=0.035). Similarly, the group receiving services from the suicide prevention center showed a more accepting attitude toward suicide (p=0.001) and viewed suicide as less unethical (p=0.029) than other groups. Conclusion : Patients with psychiatric disorders in the community surveyed in this study showed a permissive attitude toward suicide, and had a lack of awareness of social responsibility regarding suic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rther studies exploring efficient policies for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 KCI등재

        항정신병 약물 사용 및 치매의 심리행동 증상과 알츠하이머 환자의 인지능력 저하와의 연관성

        장준호(June Ho Chang),전덕인(Duk In Jon),현주(Hyun Ju Hong),정명훈(Myung Hun Jung),홍나래(Narei Hong) 대한노인정신의학회 2021 노인정신의학 Vol.25 No.2

        Objective: Neuropsychiatric symptoms are common among patients with major neurocognitive disorder. Antipsychotic medications have been widely used to manage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however efficacy and safety of these agents are conflicting. In this study, we tried to overview the association of antipsychotic medication use and neuropsychiatric symptoms with cognitive decline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charts of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major neurocognitive disorder due to Alzheimer’s disease from November 2014 to October 2015. We reviewed whether the subjects had used antipsychotics, and whether patients had neuropsychiatric symptoms. We used linear mixed models to examine th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Results: Total of 106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 declin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score change) between subjects with or without BPSD (p=0.62), and between subjects with or without antipsychotic medication (p=0.09). Conclusion: There was no evidence that antipsychotic medication and BPSD are associated with more cognitive decline. Findings imply that neuropsychiatric symptoms and cognitive impairment come from different etiologic causes, which highlights the heterogeneity of the disorder. Clinician should decide whether to use antipsychotic medication while carefully considering the effect and side effects of antipsychotic medication throughout the treatment period.

      • 회복탄력성 및 우울 증상 개선을 위한 단기 커뮤니케이션 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김가경(Ka Kyung Kim),전덕인(Duk –In Jon),현주(Hyun Ju Hong),정명훈(Myung Hun Jung),김현(Hyun Kim),김미경(Mi Gyeong Kim),홍나래(Narei Ho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5 사회정신의학 Vol.20 No.2

        연구목적 : 회복탄력성은 스트레스를 잘 대처하고 회복하여 원래 상태로 돌아오는 능력으로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특히 그 중요성이 강조 되면서 회복탄력성을 키우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회복탄력성의 하위개념 중 꾸준한 훈련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큰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초점을 맞추어 그것을 증진시킬 수 있는 2회기 단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그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이 프로그램을 홍보하여 자발적 동의 하에 모집된 43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프로그램의 시행 전, 시행 직후, 4주 후 총 3번에 걸쳐 회복탄력성, 우울, 자살사고를 평가하였다. 시간이 흐르면서 각각의 척도들이 점진적인 호전을 보이는지 살펴 보기 위해 반복측정 공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마지막까지 프로그램과 평가를 모두 완료한 33명의 데이 터를 분석하였다. 결 과 : 프로그램 시행 직후 우울과 자살사고가 프로그램 시행 전에 비해 호전 된 결과를 보였다. 또한 회복탄력성 총점과 그 소척도 중감정조절력, 충동통제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공감능력은 시행 전에 비해 4주 후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호전을 보였다. 결 론 : 프로그램 시행 후 회복탄력성의 하위개념 중 특히 감정조절력, 충동통제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공감능력의 변화가 두드러졌는데 소통의 양과 질이 개선됨에 따라 대인관계능력뿐만 아니라 자기조절능력도 함께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기분개선에 영향을 주어 우울 및 자살사고가 호전되는 것을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 The resilience that is ability to cope with stress and to turn back to the original state is important in a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so many programs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are created. Communication skill is easier to change than other subgroups of resilience, so we had been developed the short-term program focused to communication competence. Methods : 43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ough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promotion. We had conducted the 2-session program and there was a week interval between the sessions. We evaluated them with self-reporting scales of depression, suicide idea, and resilience. The subjects were evaluated 3 times, before starting the program,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is completed, and 4 weeks later. Repeated measure ANOVA was perform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33 subjects who completed all evaluation.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the program in depression, suicide idea and the resilience. Also, emotion regulation, impulse regula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empathy among the resilience subgroups were gradually improved after the program. Conclusion : Among the 9 resilience subgroups, emotion regulation, impulse regula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empathy are improved through the program. In other words, the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self-control ability as well as the interpersonal skills and then it affects the improvement of mood. So we can try to run this communication competence promoting program in the general population or the depression for improving resilience and depression.

      • 일 도농복합지역 주민의 우울증 유병률 조사

        최수련(Soo Ryun Choi),연병길(Byeong Kil Yeon),한창환(Chang Hwan Han),홍나래(Narei Hong),권희정(Hee Jung Kwo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7 사회정신의학 Vol.12 No.1

        목 적: 우울증의 조기 발견 및 치료는 정신보건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우울증을 조기에 발견해서 치료함으로써 정신 및 신체 질환의 일반적인 예후를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자살률 또한 낮출 수 있다. BDI는 일차 진료현장에서 비교적 쉽고 빠르게 우울증상을 발견할 수 있는 척도이다. 이 연구는 BDI를 이용하여 우울증 및 우울증상의 유병률을 밝혀 지역 사회 정신건강 증진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 법: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온양 3동에 거주하는 주민 291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기초정보 및 BDI를 조사하였다. 우울증은 BDI 점수를 기준으로 남성의 경우 23점, 여성의 경우 24점 이상으로 정의하였고 우울증상은 BDI STEN 점수 7점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결 과: 연령 보정 후 우울증의 유병률은 전체 8.9%, 남성 4.1%, 여성10.0%로 나타났으며 우울증상의 유병률은 전체 17.9%, 남성 12.5%, 여성 23.1%이었다. 우울증상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성별, 정신과 질환의 가족력, 내과적 질환 등으로 나타났으며 나이, 교육정도, 수입, 결혼력과의 관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 론: 도농복합지역에서의 우울증 및 우울증상의 유병률은 국가 전체를 대상으로 했을 때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우울증 및 우울증 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하여 정신보건 서비스를 제공하여 우울증상을 조기 발견, 치료한다면 지역사회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depression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community mental health. Finding and treating depression early can improve general prognosis of mental and physical diseases and reduce the rate of suicide. Using BDI, primary practitioner can easily find depressive sympto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s and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to suggest baseline data. Methods:We investigated 291 people who were residing in Onyang 3-dong and Dogo-myun, Asan-si, Chungcheongnam-do. Our research team visited their residence and gathered information using the questionnaire about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BDI. Depression was defined as BDI total score over 23 in males and over 24 in females. Depressive symptom was defined as BDI STEN score over 7. Results: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Asan-si was 8.9% in total, 4.1% among males, 10.0% among females.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was 17.9% in total, 12.5% among males, 23.1% among females. The related factors of depressive symptoms was sex, family history of psychiatry and medical disease. Age, education years, incomes and marital statu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Prevalence of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a mixed region of urban and rural communities is similar with those among national wide sample. With mental service for those who are in high risk group, early detection of depressive symptoms from community will be needed to improve general health status.

      • 일개 시 지역의 정신건강 인식에 대한 10년 전후 비교 분석

        전우혁(Woo-Hyeok Jeon),조명선(Myung Sun Cho),전덕인(Duk-In Jon),현주(Hyun Ju Hong),홍나래(Narei Hong),정명훈(Myung Hun Ju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20 사회정신의학 Vol.25 No.2

        연구목적 : 정신질환에 대한 적절한 관리의 필요성이 점점 증가하는 한편 이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과 태도는 여전히 부정적인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각각 2008년과 2018년에 조사한 안양 시민의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과 정신건강 수준을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방 법 : 안양시에 거주 중인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6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설문 내용은 사회 인구학적 요인과 함께 정신 건강 종합서비스 욕구,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질문, 연령에 따른 대상자 별 정신건강 서비스 욕구에 관한 질문, 자살 사고에 대한 인식도 및 경험 유무 등으로 이루어졌다. 결 과 : 안양시민은 2008년에 비해 2018년에 스스로의 정신건강 점수를 더 낮게 평가하였으며, 정신건강에 대한 도움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비율 및 실제 도움을 받은 비율 또한 감소하였다. 연령별로는 청소년과 노인에서 정신건강 문제의 중요도가 증가하였으며 연령 전반에서는 ‘정서’ 문제의 중요도가 크게 상승하였다. 한편 자살에 대한 인식에 개선이 뚜렷하지 않았고 자살 위기 시 정신건강의 도움에 대한 필요성은 낮게 평가되었다. 결 론 : 일반 시민들이 정신건강에 대한 도움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정신질환 자체에 대한 편견과 부정적인 인식에 의한 것으로 추론된다. 이와 같은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 및 편견 해소와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청소년 및 노인의 정신건강 문제가 중요하게 보고되며 시민들의 자살 문제는 여전히 개선되지 않아 해당 연령층 및 위험 군을 대상으로 한 세분화된 개입과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 While the necessity of proper management for mental illness increases gradually, the attitude toward mental health and psychiatric treatment is still remaining nega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yang citizens’ aware-ness and level of mental health surveyed in 2008 and 2018, respectively. Methods : About six hundred men and women over 20 years old residing at Anyang city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consists of the sociodemographic data, needs for overall mental health service, methods to solve their own mental health problem, age-specific needs for the mental health service, and awareness and experience of sui-cidal ideation. Results : Anyang citizens rated their mental health score lower in 2018 than in 2008, and the rate of the need for help to mental health as well as the rate of getting actual help were decreased. Age-specifically, there were large increases in the impor-tance of adolescent and senior citizens’ mental health problem. In all ages, there was a large increase in the importance of emotional problem. Meanwhile, there is no clear improvement in the perception of suicide, and the need for help to mental health at suicidal crisis was estimated low. Conclusion : It is inferred that a negative awareness of the help to mental health is due to negative perception and prejudice toward mental illness itself. Therefore we suggest that multifarious efforts are needed to reduce citizens’ negative perception and prejudice toward mental health as well as to make use of the mental health services. Furthermore, as adolescent and se-nior citizens’ mental health problem were reported importantly, as well as suicide problem is still unimproved, specific intervention and support targeting the relevant groups ar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