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정책사업 참여자들의 참여동기가 이미지, 참여만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계배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83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otivations of participants in KAWF policy projects and determine those factors that positively influence the foundation’s image and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while further aiding in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future project participants. The results of our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nce of differences by age, a demographic factor, in participation motive, image, participant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s, was verified as differences existed only by age in terms of all participant motivation factors including learning orientation, activity orientation, and goal orientation. Second, a correlation between participation motive and image (variability, professionalism and service) was verified as learning orientation (p<.001) and activity orientation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Third, a correlation among image, participant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s was verified as variability (p<.001) and service (p<.001) out of image fact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Finally, the hypothesis that participant satisfaction would positively influence behavior intentions was adopted because participant satisfac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se findings showed that each of the professional factors is significant, but this does not hold true for general demographic factors, suggesting that the professional backgrounds of project participan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KAWF policy projects. As KAWF policy projects were found to be greatly influenced by the participants’ behavioral characteristics, it is important to organize projects taking into account these distinct characteristics in instituting policies. In particular, the fact that all factors related to the age parameter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even though no relevant hypothesis was adopted demonstrates that the KWAF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but also their ages. In addi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KAWF should carefully consider categorization by genre and age when designing projects, accounting also for the distinctiveness of each particular artistic genre. It is also necessary to diversify projects to include various other genres, as they are currently focused on only a couple of genres or generations as is the case with the ongoing creative capacity building project under which separate services are offered to working artists and veteran artists. Based on empirical analysis conducted under this study, the focus should be on reconsidering how to effectively publicize the policy projects of KAWF and enhance its image, while also maximizing the possibility of invigorating the foundation’s projects through policy. “Artists Welfare Policy” may be viewed as a concept maintained as a result of political decisions to provide selective welfare as the country entered advanced nation status. Although social welfare projects, which are considered public goods, are basically funded by the government, revitalizing the foundation also requires private sector support to a certain extent. Thus, attracting private investment may ultimately prove to be a challenge for the KAWF.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for artists’ welfare should be addressed first and foremost as these projects must inevitably rely on public assets for their basic operation. After all, in order to transform artist support policy into an advanced model, amending and supplementing current artists welfare policy should be allowed with a view to realizing a better and brighter future of endless possibilities. Keywords: Artists welfare, artists welfare law, KAWF(Korean Artists Welfare Foundation), participation motive, image, participant satisfaction, behavior intention, participants in policy projects 본 논문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정책사업에 참여하는 대상자의 참여동기 및 기관 이미지와 참여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향후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정책사업 참여자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변인에 따른 참여동기, 이미지, 참여만족, 행동의도 차이는 연령에서만 참여동기의 학습지향, 활동지향, 목표지향의 모든 요인에 차이가 나타나 채택되었다. 둘째,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참여동기와 이미지(변화성, 전문성, 서비스)간의 결과는 참여동기 중 학습지향(p<.001), 활동지향(p<.001)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셋째,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정책사업 참여자의 이미지와 참여만족, 행동의도 간의 결과는 이미지 중 변화성(p<.001), 서비스(p<.001)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넷째,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정책사업 참여자의 참여만족과 행동의도 간의 결과는 참여만족(p<.001)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가 나타나 참여만족 요인은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채택되었다. 이를 통해 인구통계학적 일반요인보다 각각의 전문요인별 결과가 모두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정책사업 참여자의 전문성이 정책사업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사업은 정책사업 참여자들의 행동활동 특성에 민감하게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어 정책적으로 특수성을 살린 사업의 구성이 필요하다. 특히 채택은 되지 않았으나 일반 요인 중 연령이 모든 요인에서 채택된 것은 예술인복지재단 정책사업 참여자들의 특수성도 중요하지만 연령별 사업의 구성이 필요한 것을 뜻한다. 또,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사업 중 예술계의 전문적인 특수성을 감안한 장르별 전문성과 연령대에 따른 맞춤형 정책사업을 세심하게 설계해야 함을 뜻한다. 현재 창작역량지원사업이 일반과 원로로 나뉘어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예술계의 세대별 지원사업이나 아직 한 두 장르에 집중되는 사업들을 고루 평준화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분석을 토대로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사업의 홍보 방법과 이미지 제고, 나아가 재단 사업의 정책적 활성화의 가능성을 극대화 시키는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예술인 복지정책’은 선진국으로의 진입과 함께 선택적 복지 차원에서의 정치적 선택에 의해 지원된 개념이라고도 할 수 있다. 사회복지영역은 공공재로서 정부가 기본적인 지원은 하지만, 재단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일정 부분 민간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재단은 궁극적으로는 민간투자를 이끌어내는 것이 큰 과제로 보이며, 공공재원에 의한 기본 운영이 불가피함으로 예술인 복지의 재원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우선이다. 결국 예술인 지원정책의 선진적 모델로의 확장을 위해서는 현행 예술인 복지 정책이 수정 보완과 앞으로의 무한한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 국내 예술인복지법의 성공적 시행을 위한 연구

        양창옥 동국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31

        This thesis centers on the Artists Welfare Act which was enacted on November 17, 2011, spurred by the tragic death of a young screenwriter, Choi Go-eun. While the Korean government is set to announce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November 18, 2012, this thesis aims at exploring the ways of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Act. The Artists Welfare Act has laid out only a declaratory framework, revealing limitations and raising further questions. First, the Act would mainly benefit professional artists, leaving out many artists with irregular income from their artistic activities. Second, the Act has not lived up to expectations in providing artists with social protection. The Act lacks a provision for employment insurance for artists, and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would apply to artists only on certain conditions. Third, although the Act has set forth a legal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a welfare foundation for artists, it is unclear whether the foundation even if established would be able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at a steady level. To address the foregoing issues, first of all, official survey on the definition and scope of artists must be conducted immediately. On the part of the 19th National Assembly, it should revise the Act so that artists may benefit from employment insurance.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also make strong efforts to secure sufficient funds for the welfare foundation for artists. In the management of the foundation, participation of artists should be ensured. In conclusion, the Artists Welfare Act would produce its desired results only if supported by political will. Furthermore, artists as beneficiaries of the Act are required to take part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Act.

      • 클래식음악 분야 예술인 복지정책 연구 :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사업을 중심으로

        김진영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831

        This study looks into the direction that welfare policies for artists in classical music (from now on referred to as ‘classical musicians’) should take, focusing on the Korean Artists Welfare Foundation's (from now on referred to as ‘KAWF’) project. The artistic activities of classical musicians contribute to the nation's cultural,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enrichment. It contributes to the betterment of societ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artistic activities of classical musicians have socioeconomic value, and they should continue to reproduce socioeconomic value by freely guaranteeing the classical musicians' artistic activities and securing their rights through artist welfare, resulting in a more prosperous society. Thu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welfare policy of classical musicians. Since the KAWF is the representative and only institution where true social security level welfare for classical music is currently provided, this study aimed to closely examine the business status, beneficiaries status, and problems and study improvement measures focusing on the Foundation's project.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beneficiaries, the KAWF's projects and the welfare status of classical musicians were first examined through the KAWF's project guide and secondary data. Then, it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o examine the overall participation status of classical musicians in the project, factors that reduce their welfare benefits related to social insurance premiums, the correlation between classical musicians' activity styles and their awareness,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of arts welfare, and their evaluation of the project. It then identified problems and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To this end, it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wo policy experts and six classical artists with experience in KAWF’ work.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below. Among the projects of the KAWF, the only one based on field-specific criteria is the certification of artistic activities, and the other projects are universal,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fields. Therefore, it took work to find data on the status of beneficiaries for artists in classical music. Most were internal data; even if one finds data, one can only check the data released through the KAWF's research report or data collection. The limited information shows that the music sector has received the largest share of foundation funding since 2020. Classical musicians are more likely to be involved in livelihood support, creative empowerment, and vocational empowerment projects than in other sectors, except for social safety net building. Classical musicians mainly encountered the foundation business through recommendations from acquaintances and mandatory applications for state support projects, and the main projects they participated in were artistic activity certification, creative support grant projects, and art passes. Regarding the project related to social insurance premiums, which was identified as being of most interest to classical musicians, although they recognized the need, they felt burdened by applying for it. In response to the question, “What are the factors that reduce the welfare benefits of social insurance premium-related projects?” it was found that social insurance premium-related projects did not conside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musicians and that classical musicians are indifferent to the projects or feel burdened by them, which reduces its participation rate. In addition, regarding the research question of whether the activity style of classical musicians affects the low awareness of artists' welfare, it is true that classical musicians have many individual activities. Still, compared to other fields, they also have many group and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in terms of soliciting business, group and collaborative activities affect business awareness and participation. However, since there will be welfare services for group and collaborative activities, it cannot be assumed that it will lead to an increase or decrease in welfare benefits. The KAWF's projects give classical musicians direct financial support, indirect support in expanding their capability,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However, negative evaluations included long waiting periods and poor website readability, the scope of benefits of the Art Pass, the appropriateness of the questions in the application documents for the Artists' Dispatch Support Project, and the discriminatory nature of the criteria for proving artistic activities. Expectations for the business included more support for artistic opportunities, higher stability in income, growth in policy horizons, and increased welfare benefits through the business.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s three problems and recommends for improvement. The first is that classical musicians' passive attitude toward Foundation and welfare programs is a problem, and appropriate ways to promote the welfare of artists are required. Even though many classical musicians still need to be made aware of the business, the Foundation is not proceeding with sufficient promotions due to the current overheating of its work. Even if classical musicians are aware of the Foundation, they are not familiar with the details, so the Foundation should find an appropriate promotion method that fits its situation. The second issue is the complexity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the website's readability, which increases business entry barriers. To lower the barriers,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simplifying the application process and making the website more readable. The last problem is the wrong perception of classical musicians, and there is a need for an awareness project to improve such.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situation where unfair practices are taken for granted and opportunities for welfare benefits are missed. Awareness-raising education and outreach efforts should be undertaken to communicate that the welfare of classical musicians is not focused on their economic ability but on recognizing their socioeconomic value and ensuring that value is reproduced.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the Korean Artists Welfare Foundation's programs for classical musicians to receive artist welfare to develop a welfare policy for artists in classical music. Although it was difficult to find data on the project's status, good programs were in place, and the awareness and participation of classical musicians in the KAWF had improved significantly. However, classical musicians' perceptions of current welfare policies for artists need to be improved. The study hopes that in-depth follow-up research will be conducted so that classical musicians can view and enjoy artist welfare with the proper awarenes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클래식음악 분야 예술인(이하 ‘클래식음악인’)을 대상으로 예술인 복지 정책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사업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클래식음악인의 예술활동은 국가를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으로 풍요롭게 만드는 데 공헌한다. 사회적 향상과 공헌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클래식음악인의 예술활동은 사회경제적인 가치를 품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우리는 더욱 풍요로운 사회를 위해 예술인 복지를 통해 클래식음악인의 예술활동을 자유롭게 보장하고 권리를 확보하여 사회경제적 가치의 재생산을 지속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클래식음악인을 위한 예술인 복지 정책에 대해 연구해야할 필요가 있고, 현재 진정한 사회보장차원의 클래식음악 분야 복지가 이뤄지고 있는 곳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이 대표적이며 유일하기에 재단 사업을 중심으로 사업현황 및 복지수혜현황, 문제점을 면밀히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클래식음악인 복지 수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먼저, 문헌조사로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사업안내서와 2차 자료들을 통해 재단에서 수행 중인 사업과 클래식음악인이 수혜 하고 있는 복지 현황을 살펴본 후, 심층면접을 통해 클래식음악인의 전반적인 사업 참여 현황, 사회보험료 관련 사업 복지 수혜 저하 요인, 클래식음악인의 활동스타일과 예술인복지에 대한 인지도·참여도·이해도를 통한 그 상관관계, 사업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았다. 그 후에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재단 실무 경험이 있거나 그에 준하는 경력을 가진 정책전문가 2명과 재단 사업 참여 경험이 있는 클래식 분야 예술인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그에 대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사업 중 분야별 기준을 두고 사업을 진행하는 것은 예술활동증명 뿐이며, 그 외의 사업은 분야별 구분을 두지 않고 보편적인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클래식음악 분야 예술인 복지 수혜 현황 자료를 찾는 것이 쉽지 않았고, 대부분 내부자료로써 활용되고 있으며, 자료를 찾더라도 재단의 연구보고서나 자료집을 통해 공개된 자료만 확인할 수 있었다. 제한적인 정보 안에서 발견한 점은 2020년부터 재단 내 인입된 비중은 음악 분야가 가장 컸으며, 사회안전망 구축 분야를 제외한 생활안정지원 분야, 창작역량강화 분야, 직업역량강화 분야 사업에서는 타분야 대비 클래식음악인의 참여가 적지 않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클래식음악인은 주로 지인의 권유, 국가 지원 사업에 의한 의무신청 등으로 재단 사업을 접하며, 주로 참여하는 사업은 예술활동증명, 창작지원금사업, 예술인패스였다. 클래식음악인이 가장 관심 있어 하는 것으로 파악된 사회보험료 관련 사업에 대하여는, 그 필요성에 대해서는 느끼고 있지만 신청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보험료 관련 사업 복지 수혜를 저하시키는 요인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에 대하여, 사회보험료 관련 사업이 클래식음악인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한 채 진행되고 있다고 볼 수는 없으며, 클래식음악인이 사업에 무관심하거나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점이 사회보험료 관련 사업 참여율을 낮추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클래식음악인의 활동스타일이 예술인 복지에 대한 낮은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문제에 대하여는, 클래식음악인의 개인활동이 많은 것은 맞지만 타분야 대비하여서 볼 때는 단체·협업활동도 많은 편이며, 사업을 권유하는 측면에서 단체·협업활동이 사업 인지와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단체·협업활동 자체의 복지서비스도 있을 것이기 때문에 그것이 복지 수혜 증가나 감소로 이어진다고 볼 수는 없었다. 재단 사업을 통해 클래식음악인은 경제적으로 직접적인 도움을 얻고, 저변을 넓히는 데에도 간접적인 도움을 얻으며, 심리·정서적으로 보호 안에 있다는 안정감을 얻는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그러나 부정적인 평가로는 행정적으로 오랜 대기기간, 낮은 홈페이지 가독성을, 정책적으로 예술인 패스의 혜택 범위, 예술인파견지원사업 신청 서류 내 문항의 적절성, 예술활동증명 기준의 변별력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사업에 대한 기대방향은 예술활동 기회에 대한 다양한 지원, 수입의 안정성 강화, 정책적 시야의 성장, 사업을 통한 복지 혜택 증가를 꼽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3가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첫 번째는 클래식음악인의 재단이나 복지 사업에 대한 수동적인 태도를 문제로 보았고 이를 위해 예술인 복지에 대한 적절한 사업 홍보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아직 사업에 대해 무지한 클래식음악인이 많음에도 재단에서는 현재 재단 업무의 과열로 별다른 홍보를 하고 있지 않고, 클래식음악인이 재단에 인지하고 있더라도 세부적으로는 제대로 잘 모르고 있는 현 상황을 위해 재단에서는 재단 상황에 맞는 적절한 홍보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두 번째 문제점은 사업에 대한 진입장벽을 높이는 복잡한 행정절차와 홈페이지 가독성이며, 이를 개선해야함을 나타내었다. 복지 수혜 허들을 낮추기 위해서는 신청 절차를 간소화하고, 홈페이지 가독성을 높이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 문제점은 클래식음악인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며, 이를 개선시킬 수 있는 인식개선사업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불공정관행에 대해 당연시하며 복지 수혜에 대한 기회마저 놓치고 있는 현실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예술인 복지는 클래식음악인의 경제적 능력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인정하고 그 가치가 재생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뤄지고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인식 개선 교육과 홍보 등의 사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클래식음악 분야 예술인 복지정책의 발전을 위해 클래식음악인이 예술인 복지를 수혜할 수 있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사업을 중심으로 사업현황과 그 실태를 알아보았다. 사업현황에 대한 자료를 쉽게 찾아볼 수는 없었지만, 제도적으로 좋은 사업들이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전에 비해 클래식음악인의 재단에 대한 인지도나 참여도가 많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클래식음악인이 현 예술인 복지 정책에 갖고 있는 인식들에 대하여는 개선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클래식음악인이 앞으로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예술인 복지를 바라보고 누릴 수 있도록 심층적인 후속 연구가 수행되길 기대한다.

      • 한국 만화예술인 복지사례 분석을 통한 발전 방안 연구

        하윤정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31

        웹툰의 등장으로 만화산업은 급변하게 되었으며, 국민 3명 중 1명이 매주 즐기는 문화로 자리 잡았다. 이처럼 검증된 시장성을 바탕으로 드라마, 영화, 게임 등 타 장르와 융합해 만화산업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 저급하게 인식하던 사회적 편견이 호의적으로 바뀌었고, 신인 작가들의 등용도 쇄도하게 되었다. 하지만 정식 작가로 계약까지 가는 경우는 극히 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한마디로 만화창작자가 되는 길은 쉬워졌지만 만화예술인으로 인정받는 것은 어려운 현실이 되어버렸다. 만화(漫畵)는 2013년 발표한 문화예술진흥법에서 예술의 범주 안에 들어감으로써 만화예술인을 위한 복지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만화예술인들에 대한 복지제도는 아직 초기 단계이며, 다양한 플랫폼으로 인한 방대한 규모로 변모 중인 만화산업의 규모나 현황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조사와 사례 분석, 만화 창작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국내외 예술인 복지 현황을 알아보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국내·외 예술인 복지사례의 비교를 통해 만화예술인을 위한 복지제도의 방향을 모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년마다 시행되는 『문화예술인실태조사』처럼 만화예술인 실태조사가 꼭 필요하다. 무엇보다 주기적이며, 광범위한 실태조사가 현실적이며 사각지대가 없는 정책을 만들어 낼 기반이 된다. 신인 작가의 경우, 인큐베이팅 코너에 연재하는 경우는 사실상 원고료가 없으며 정식 계약으로 이어지지 못해 사각지대에 고스란히 놓이게 되기 때문이다. 둘째,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예산 확보 수준이 넉넉하지 못하다. 예술인에게 많은 복지혜택을 주기 위해서는 기금조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셋째,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정책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만화예술인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제도의 시행조차 모르는 만화예술인도 적지 않으며 제도를 안다고 해도 만화예술인 대부분이 소극적인 반응과 태도를 취하고 있다. 적극적인 관심과 자발적 참여는 만화예술인 복지 개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넷째, 현실적인 복지 대안이 필요하다. 이에 저금리 대출이나 대출심사자격을 완화하는 등의 생활과 밀접한 현실적 대안을 강구해야 한다. 다섯째, 4대 보험으로 점차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소한 만화예술인의 특수성을 고려한 연재와 연재 사이를 보호해줄 장치가 필요하다. 여섯째, 마지막으로 불공정계약에 놓이지 않도록 정책적 보호가 필요하다. 만화분야 표준계약서가 제정, 발표되었지만 의무사항이 아니다. 따라서 점차 계약서를 안 쓸 경우 불이익을 받게끔 재단이나 정부가 다른 시책을 제시해야 한다. 사실 예술인들의 일상이 위태하여 창작에 전념할 수 없으면 그 어떤 작품도 나올 수 없다. 안정된 만화복지 환경의 구축이야말로 만화예술인의 예술활동과 창작활동을 통해 문화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되어 국가적 발전은 물론 문화적 풍요로움과 향유를 끌어낼 수 있다. 본 연구를 계기로 사각지대에 놓인 만화예술인의 삶의 질이 개선되기를 기대해 본다. In particular, rapid change was introduced in the cartoon industry thanks to the appearance of web-toon, which became a culture enjoyed by 1 out of 3 nationwide. Based on such verified marketability, it played a key role in leading cartoon industry in combination with drama, movie and game. Cartoon was incorporated in to the category of art according to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that started welfare for cartoon artists. But, such welfare system is in its initial stage and is far insufficient considering the size and status of cartoon industry which is in transition to a large scale through various platforms. So, many new artists come in to exist, but only a few could be actual artists by contract. While the way to be a cartoonist become easy, the recognition as cartoon artists is difficult. This study carried out literary survey, cas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with cartoon artists to figure out welfare status of domestic and overseas artists and to examine problems. And the study carried out comparison with domestic and overseas artist welfare cases to seek welfare direction of cartoon artist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ly, it is essential to carry out status survey on cartoon artists like “cultural artist survey” that is performed every three years. Periodic and large scope survey is utmost realistic and becomes a foundation for policy without any dead zone. For new artists, if they post works on incubating corner, they actually receive no payment and there might be cases that no formal contract is achieved, which put them in the dead zone. Secondly, Korean Artists Welfare Foundation has lack of policy promotion and therefore, activ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cartoon artists are required. It will greatly affect cartoon welfare improvement. Thirdly, a realistic welfare alternative is required. A realistic alternative for living must be studied such as low-interest loan or reduction of loan qualification Fourthly, it is desirable to expand to 4 major insurance. At least, there is a systematic deice to protect cartoonists between serial publication considering specialty of cartoon artists. Fifthly, policy protection is required to prevent any unfair contract. While standard contract for cartoon is enacted and published, it is not compulsory. So, the foundation or the government provides another policy to give disadvantage if contract is not kept in writing. Sixthly, lastly the budge of Korean Artists Welfare Foundation is not sufficient. Fund raising is important to give more welfare benefits for artists. If artists cannot concentrate themselves on creation, no work would be created literally. Establishment stable welfare environment would enable cartoon artists to dedicate artistic and creative activitie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culture industry of the country leading cultural abundance as well as national develop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used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cartoon artists beyond the dead zone.

      • 한국 음악예술인을 위한 복지 제도의 연구 : - 해외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이현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0

        최근, 한국 문화 산업의 발달이 활성화됨으로 인해 문화예술 또한 자동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그 근거로 K-Pop의 열풍이 있으며 해외에서의 K-Pop은 단순한 음악이 아닌 하나의 하위 장르로 분류되게 되었고 문화예술은 더 이상 개인의 사업이 아닌 국가의 사업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문화예술이 발전하는 만큼 문화예술을 하는 사람들인 즉, 예술인의 혜택도 그에 따른 발전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한국은 현재 그들의 노력에 비해 혜택이 적은 편이다. 그 근거로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2015년부터 매 3년 예술인 실태조사를 시행하고 있는데 최근 자료(2018년)에 따르면 생활고에 문제를 겪고 있어 ‘겸업’을 통해 생활 수당을 마련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으며 창작 공간 금액 부담과 시설이 부족하여 예술인들이 작업 공간을 이용하기 어렵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 표준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아 많은 불공정행위에 노출되고 있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한국 예술인복지제도의 홍보가 부족하여 예술인이 그에 따른 혜택을 받지 못하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하게 되었다. 실제로 조각가 故 구본주의 죽음(2003)이 일어난 후에 예술인 복지에 관한 이야기가 국회에 나오기 시작되었지만 폐기 후 계류 상태가 되었으며 그 후 2011년, 생활고로 인한 故 최고은 작가의 사망으로 최고은 법이라 불리는 ‘예술인 복지법’이 2012년에 제정된 것으로 보아 한국의 예술 복지는 최근에 만들어진 제도가 많다. 이에 본문에서는 예술인들을 위해 진행하고 있는 한국의 복지 제도를 조사하고 음악예술인을 위한 협회 조사와 메세나 협회의 조사를 진행한 후 해외의 복지 제도와 메세나 협회를 조사 후 비교분석 하여 한국에 접목할 수 있는 제도를 참고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우선 홍보의 부족을 위한 개선 방향이 필요하고, 한국 예술인이 적극적으로 혜택을 받기 위한 노력의 필요성이 필요하다. 이미 시행되고 있는 예술인 공공주택사업은 음악가들을 위해 그들만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어야 하며 예술가들을 위한 보험 개설, 정부에서의 적극적인 개입을 통하여 불공정행위의 예방이 시행된다면 복지 제도의 발전에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모든 예술인이 그들의 범주 내에 존재하고 있는 예술인 복지 사업제도의 혜택을 받게 되어 온전한 예술 활동을 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되게 하며, 예술 복지 제도의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로써, 예술인들이 다른 직업군과 차별화되지 않도록 한다.

      • 만화콘텐츠산업발전을 위한 만화작가 창작여건 개선방안 연구

        오덕영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28

        The government recognizes the value of comics as a source industry of the cultural industry. For the promotion of the cartoon industry, the government implemented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established the cartoon industry development plan, enacted and revised the laws for promoting the cartoon industry, and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Recognition and support for comics and cartoonists are more favorable than ever. Since the start of webtoons in the early 2000s, interest in webtoons has been explosive, and the arrival of the webtoon platform, which is now over 70, gives a lot of creative activities to cartoonists unlike other fields of culture and arts. Laws and institutions, policies, and social interests and perceptions surrounding comics and cartoonists have been improved more favorably than before, and despite the increased opportunities to publish comic works, the conditions for creating comic artists are very poor. In 2013, the cartoon genre was included in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nd became a recipient of the artistic welfare system. Still, cartoonists are placed in the blinds of economic hardship and social security systems.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cartoon industry in Korea, the support policies related to the cartoon industry, the welfare policies of the artists and the welfare cases of the foreign countries. And I looked at the welfare of cartoonists surveyed by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and Korea Manhwa Contents Agency. And suggested the problems and remedie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able financial resources in order to revitalize artistic welfare system and perform stable policy. Second, the definition of a cartoonist should be defined in the "Act on the Promotion of Manga". And the welfare concept should be introduced into the cartoon industry promotion policy. In addition to securing creative space, which is the basic element of creative activities, it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creative support project for welfare, so that young artists and low-income cartoonists can continue their creative activities in the cartoon market. Third, it is not easy to prove the artistic activities of cartoonists, and participation rate is also low. In the case of newly emerging cartoonists or cartoonists who do not have income, the income standard of proof of artist activity should be lowered to the reality. Also, in case of the closure of the webtoon platform, digital materials collected and preserved by public institutions should be used as evidence of activities of artists. And the ambiguous creative reserves should be converted into creative grants, not livelihoods, and should be used as a cost for authors and writers who do not have income during the creative preparation period. In addition, the criteria should be selected by examination of the activity plan, not the art activity certificate.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encourage corporations that earn profit by using comics to introduce creative reserve system. In addition, there are provisions for senior artists in the welfare system of Korean artists, but there are no regulations for young artis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eparate program for new artists to induce soft landing of market entry. Finally, through the solidarity of manga artists themselves, self-help efforts such as the creation conditions of cartoonist and mutual assistance to the social security system are needed. And it is necessary to argue the necessity of government, parliament and society. As with all cultural artists, including cartoonists, it is impossible to create creative activities without the basic stability of life. Cultural industry is a key variable that determines national competitiveness as a future growth engine of the nation. It is a role to create diversity of our society and to enjoy culture and spiritual abundance. The government should now have an active policy for artists. And for the social consensus to build a social safety net for artists,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take action. And artists need their efforts, their solidarity and participation. Key words : comic contents, cartoon writer, cartoon contents industry promotion policy, artists, artists welfare policy 초록 정부는 만화가 문화산업의 원천산업으로서의 가치를 인지하고 문화산업진흥기본법, 출판문화산업진흥법, 만화진흥에관한법률, 문화예술진흥법 그리고 한국콘텐츠진흥원 설치와 만화산업중장기발전계획의 수립 등 만화산업진흥을 위한 법의 제정과 개정 그리고 다양한 정책을 전개하고 있어 만화와 만화작가들에 대한 인식과 지원은 그 어느 때보다 호황이다. 그리고 2000년대 초기 웹툰이 등장한 이래 웹툰에 대한 관심은 가히 폭발적이며 현재 70여개에 이르는 웹툰 플랫폼의 등장은 다른 문화 예술 분야와는 달리 만화작가들에게는 창작활동의 기회가 많아졌다. 이처럼 만화, 만화작가를 둘러싼 법과 제도, 정책 그리고 사회적 관심과 인식 등은 예전보다 많이 우호적으로 개선되었고 만화작품을 발표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음에도 불구하고 만화작가의 창작 여건은 어느 예술인과 마찬가지로 열악한 것이 현실이다. 2013년 만화가 문화예술진흥법에 만화분야가 포함됨으로써 정부의 예술인복지제도의 수혜의 대상자가 되었으나 여전히 만화작가들은 경제적 곤란과 사회보장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여져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만화작가의 창작환경을 알아보고자 먼저 우리나라 만화산업현황과 정부의 만화산업 관련 지원정책과 예술인복지정책 그리고 해외의 복지사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한국콘텐츠진흥원과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등에 의하여 조사한 만화작가들의 복지실태를 살펴보았으며 그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예술인복지제도의 활성화 및 안정적 정책수행을 위해서는 우선 안정적인 재원의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관련 법규정을 개정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 용이하지 않다. 이에 분야별 진흥기관으로 복지 업무를 이관하거나 또는 2013년에 제정된 ‘문화예술후원 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통한 재원 마련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만화 진흥에 관한 법률」에 만화작가에 대한 정의를 규정해야 하며 만화산업진흥정책에 복지 개념을 도입하여 창작 활동의 기본 요소인 창작 공간 확보와 함께 실적 중심의 몰아주기식의 창작지원이 아닌 많은 신진작가와 저소득의 만화작가들이 만화시장에서 계속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복지 차원의 창작 지원사업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셋째, 만화작가의 예술활동 증명이 용이하지 않고 참여율 또한 저조하다. 이에 신진만화작가나 소득이 없는 만화작가의 경우 예술인 활동 증명의 소득기준을 현실에 맞게 낮추어야 하며 또한 웹툰 플랫폼의 폐쇄될 경우를 대비 공공기관에서 수집·보존하고 있는 디지털자료를 예술인 활동 증빙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애매모호한 창작준비금을 생계비용이 아닌 창작지원금으로 전환하여 신진작가나 창작 준비 기간 동안 수입이 없는 작가를 위한 비용으로 사용해야 하며 또한 그 기준도 예술 활동 증명이 아닌 창작 활동 계획서의 심사에 의하여 선정되어야 한다. 또한 정부에서는 만화를 이용하여 수익을 얻는 기업이 창작준비금 제도를 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 예술인복지제도에는 원로 예술인에 대한 규정은 있으나 신진 작가에 대한 규정은 없다. 이에 시장 진입의 연착륙을 유도하기 위한 신진작가를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만화작가 스스로의 연대를 통하여 만화작가의 창작여건과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상호부조와 같은 자구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정부와 국회 그리고 사회에 그 필요성을 주장하고 대안을 만들어 제시하는 행동이 필요하다. 만화작가를 포함한 모든 문화예술인들이 그러하듯이 기본적인 삶의 안정 없이는 제대로 된 창작활동을 할 수 없다. 문화산업이 국가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국가 경쟁력을 결정짓는 주요 변수로서 그리고 우리 사회의 다양성을 창조하고 문화적으로 정신적으로 풍요를 향유케 하는 역할자로서 인정되는 지금 예술인들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예술인의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한 사회적 합의를 위하여 정부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그리고 예술인들도 이를 위한 노력, 스스로의 연대와 참여가 절실히 필요하다. 주제어 : 만화콘텐츠, 만화작가, 만화산업진흥정책, 예술인, 예술인복지정책

      • 청년예술인 창작활동을 위한 지원정책 개선 방안 연구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고지연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815

        본 연구는 국내 예술인 지원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부산 청년예술인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청년예술인은 만 18세 이상 만 34세 이하로 예술대학 등을 졸업한 ‘예비예술인’과 예술활동을 업으로 하고 있으나 예술활동증명 기준을 아직 충족하지 못한 ‘신진예술인’ 등으로 경력형성의 초기 단계에 있다. 다시 말해 대부분의 청년예술인은 과거 활동내역이 없거나 아직 예술활동증명이 어려운 상황이다. 하지만 국내 예술인 지원정책의 지원 대상을 예술인 복지법에 정의한 ‘예술활동을 업으로 하며 그에 따른 예술활동을 증명할 수 있는 사람’로 제한하고 있어 청년예술인은 창작활동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초기 사회 진입의 높은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다수의 청년예술인들은 프로젝트 단위의 창작활동으로 인한 직업적 특수성으로 인해 사회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으며 코로나19는 이러한 현실을 더욱 악화시켰다. 또한 청년인구 역외 유출로 인한 지역 간 문화 격차의 가속화는 부산지역 문화예술계의 침체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까지 위협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 청년예술인의 지속가능한 창작활동의 지원방안을 개선하고자 예술인복지법에 근거한 부산 예술인 지원정책이 청년예술인의 창작활동을 보장하는지 부산예술인복지재단 지원사업 현황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산 청년예술인 창작활동 지원사업의 대부분 예술활동증명 대상 완료 예술인에 한정되어 있어 청년예술인의 참여가 제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다음과 같이 부산 청년예술인의 예술창작활동 지원정책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였다. 첫째, 예술인복지법에 근거하여 추진해오던 청년예술인 지원정책의 지원대상과 범위를 최근 제정된 예술인권리보장법에 근거하여 추진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다. 예술인 권리보장법은 예술인복지법에서 정의하는 예술인 뿐만 아니라 예술 활동을 업으로 하는 사람 또는 교육·훈련 등을 받았거나 받는 사람으로 범위를 확대하였다. 또한 예술활동 범위를 예술창작활동의 중요한 기간인 창작준비기간을 포함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청년예술인 지원정책을 추진한다면 지속가능한 청년예술인의 창작활동으로 이어지리라 기대한다. 둘째, 청년예술인들의 예술활동증명에 대한 유예기간의 설정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러한 유예기간 설정을 통해 예술창작활동에 가장 중요한 시기이나 청년예술인들이 가장 어려움을 겪는 시기인 ‘준비기간’에 안정적인 창작활동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는 미래세대인 청년예술인들이 예술창작활동 이외의 다른 요인들로 인해 꿈을 포기하지 않도록 할 것이며 지역사회에 경제활동인구로서 정착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여겨진다. 셋째, 예술활동증명의 행정절차의 개선과 심의과정의 투명성 제고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예술활동증명의 복작한 행정절차로 인해 오랜 기간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심의과정의 불투명성은 계속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 예술인복지법 8차 개정을 통한 예술활동증명 대행기관의 기관 확대는 행정절차에 대한 문제점은 다소 해결할 것으로 보이나 행정절차 시스템의 심의위원회의 투명성에 대한 제고 방안은 아직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향후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청년예술인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제고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부산 청년예술인의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은 사각지대에 놓인 청년예술인의 예술창작활동을 권리 보장하고 지역 문화예술의 발전과 지역사회 경제에 기여하리라 기대한다.

      • 무용인을 위한 복지제도 개선 방안 연구

        김성의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83

        21세기 현대인들의 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지역, 기업, 산업 발전에도 문화의 힘이 큰 영향을 미쳤고 이에 따라 문화기반경제(Culture based Economy)로 진입하였다. 문화예술산업을 중축하는 예술인도 예술의 가치를 인정받게 됨으로써 문화산업의 경쟁력과 문화가치를 인식하여 지속적인 예술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 목표가 되었으며, 문화산업에 대한 예술인의 기여도가 높아짐에 따라 예술인 복지지원제도에도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무용인을 위한 복지제도를 분석하여 현재 활동하고 있는 무용인들에게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복지제도는 무엇인가를 알아보는 것에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 한국의 전문무용인의 복지제도 현황과 복지 관련 기관의 운영제도를 살펴보고 해외의 무용 복지기관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해 본다. 그리고 실현 가능한 복지제도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전문무용수지원센터에서 시행하는 「2013년 전문무용수 실태조사」를 통해 무용인의 인식을 보안하고 현재 활동 중인 전문무용인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전문 무용인의 경제활동, 무용 관련 복지기관 활용 사항 및 기관에 대한 인식 조사 등의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와 같이 문헌 조사, 국내외 복지 기관 사례 조사, 심층 면담을 통해 국내 무용인 복지제도의 개선책을 모색해 본다. 국내 무용인 복지제도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인은 고학력에 비해 일자리가 부족하여 무용 활동 수입만으로 안정적 인 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둘째, 무용인은 4대 보험 중 산재보험만 가입이 가능하다. 셋째, 사회의 인식이 부족하고 복지 기관의 책정된 예산이 낮아 지원 받을 수 있 는 무용인이 한정된다. 넷째, 무용인은 복지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또한 복지 기관의 활용도가 낮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로 본 연구에서는 무용인을 위한 복지제도의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는 바이다. 첫째, 무용인의 법적지위 확립과 복지 재정 확충에 대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무용인의 복지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셋째, 무용인들은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을 구축해야한다. 넷째, 기존 예술복지기관의 제도적인 정착이 구축되어야 한다. 다섯째, 전문무용수지원센터는 무용인을 위한 직업 전환·재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 무용인은 예술활동 자체만으로는 필요한 수입을 얻을 수 없으며, 그중에서도 독립무용인은 창작활동의 기회가 매우 적다. 그 결과 예술인들의 특수성을 고려한 제도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즉, 문화예술산업이 발달됨에 따라 무용인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하며 경제활동의 한 분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사회적·경제적 보장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무용인의 복지를 위해 일하는 관련 기관과 관계자들의 활발한 지원 활동은 향후 무용계의 환경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무용계 내부에서도 자발적인 참여와 적극적인 관심을 갖는다면 무용인의 복지 개선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안정된 무용복지환경은 무용인의 예술 활동과 삶의 질을 높여 줄 것이며 국가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풍요롭게 만드는 데 공헌하게 될 것이다. As people in the 21st century have an increasing awareness of culture, more importance has been put on cultural aspects of regional, commercial, and industrial development, which has opened the door to “Culture Based Economy.” Accordingly, artists who lead the cultural industry came to be recognized for their artistic value, and their raison d’etre is now to raise awareness of the competitive advantages and values of the cultural industry with their more contribution, which in turn is drawing attention to the welfare system for them. S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firstly to analyse domestic and overseas welfare systems for dancers, and secondly to propose practical improvements of the welfare systems for the currently active dancers. The research method is to look over the status of the existing welfare system and the policies of the welfare-related organizations for professional dancers in Korea, and to draw the implications by comparison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welfare institutions. To think of the possible solutions to the new welfare system, 6 currently active professional dancers undergo in-depth interviews for their awareness of economic activities, their dependency on the welfare institutions related to dancing. With literature investigation, case studies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welfare institutions, in-depth interviews, the possible improvement for the domestic dancers will be considered. The status of the welfare system for the domestic dancers is as follows. First, despite their high-level education, dancers don’t have enough job opportunities, so the income from the dancing profession cannot support their stable living. Second, among the four major insurances for employees, only workers compensation is applicable. Third, with lack of social awareness and low allocation of the budget of the welfare organizations, only the limited number of dancers are supported. Fourth, dancers lack the proper awareness of the welfare, and rarely utilize the welfare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nough income cannot be obtained solely from the artistic profession, and the independent dancers suffer most in creative activities. This means that there is a dire need of the system which supports artists’ creative activities and considers the special conditions of them. That is, as the cultural and artistic industry develops, the policy which directly supports dancers is needed, and the social and economic system which makes dancing an economically stable profession should be prepared. Additionally, the supports from the people working for the institutions which deal with dancers’ welfare will contribute to the positive modification of the future dancing profession. And th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more active interest from inside the dancing societ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welfare system for dancers. So the stable welfare system for dancers will improve the level of their artistic activities and daily living, which in turn should contribute to national, social, and cultural richness.

      • 연극배우를 위한 표준계약서의 단계적 개선방안 연구 : 미국 배우 조합(AEA)의 단체협약을 중심으로

        양규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82

        본 논문은 한국예술인 복지재단에서 도입 및 배포한 공연예술 표준출연계약서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단계적 개정방안을 제시한다. 이러한 개정방안은 연극배우에게 적절한 수준의 임금을 제공하고, 연극배우에 대한 불공정 계약행위를 방지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우선 예술 노동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이론적 검토 과정은 현재 법체계가 예술인을 노동자로 인식하는지와 예술 노동의 특수성, 예술 노동이 처한 부정적인 외부 환경에 대한 고찰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이때, 부정적 외부 환경은 예술인의 아비투스(habitus) 와 예술인 공급과잉 현상, 신자유주의 하의 예술인 프레카리아트화(precariat)를 의미한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예술 노동을 둘러싼 다양한 맥락들로 인해 예술인이 맺는 계약에 대한 법적 보호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기 힘들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후, 현행 표준계약서의 형성과정과 현장에서의 표준계약서 채택률, 현재 표준계약서 작성 시 계약 환경의 문제점을 분석했다. 표준계약서 형성과정은 「예술인 복지법」의 변화와 「예술인의 지위와 권리의 보장에 관한 법률」의 제정을 바탕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연극배우의 권익을 단체협약을 기반으로 한 표준계약서를 통해 포괄적으로 보호한 미국 배우조합 AEA(Actors’ Equity Association)의 사례를 분석하여, 연극배우의 권리를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해서는 단체교섭 기반의 표준계약서 도입이 필수적임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표준계약서에 근로조건과 임금 책정에 대한 정보를 공개할 것을 의무화하는 조항을 신설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이차적 개선방안으로써 연극배우 조합이 주도하는 단체교섭 계약을 제시했다. This study presents the procedural revision plan to promote the effectiveness of the performing arts standard contract introduced and distributed by the Korean Artists Welfare Foundation. The revision plan aims to ensure a fair wage for theater performers and prevent “Unfair Practices” acts against theater performers. To that end, a theoretical review was conducted. The review comprises examinations of the definition of artists in the legal system, the atypical features of art labor, and the external surroundings of the artists. The external surroundings of the artists refer to the artist’s Habitus, the oversupply of artists, and artists becoming “Precariat” under Neo-liberalism.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it was confirmed that artists were isolated from legal protections due to the contexts related to art labor. Followed by the review, the paper studied the history of forming and adopting the current standard contract, the adoption rate of standard contracts in the field, and the status quo in the theatrical performers’ contract environment. The history of the standard contract was summarized based on the change in 『Artist Welfare Act』and the enactment of 『Act on the Guarantee of Artists’ Status and Right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case of the Actors’ Equity Association, which comprehensively protects the rights and interests of actors and stage managers through collective agreements, it affirmed that collective bargaining-based standard contracts are essential to ensure the rights of performers thoroughly. Accordingly, it was proposed to establish a new clause in the standard contract to oblige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on working conditions and wage settings. Subsequently, as a secondary improvement plan, a collective bargaining contract led by the associations of performers was proposed.

      • 입법을 통한 예술인 복지 정책의 개선방향 연구

        정다정 성균관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32447

        본 논문은 국내외 예술인 복지 정책들의 현황을 살펴보고 국회 입법과정의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예술인 복지 정책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향을 입법적, 정책적으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 사회나 국가의 예술 수준이 해당 사회의 역량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는 것은 우리 모두가 공감하는 바이다. 그러나 정작 예술활동의 주체인 예술인의 처우와 경제적 상황은 아직까지도 매우 열악한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2015년 문화예술인실태조사에 의하면 예술인 개인이 예술 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연간 평균수입은 1,255만 원에 불과하며, 예술인의 50%는 예술 활동 외의 직업에 종사하는 겸업 예술인으로 확인되었다. 예술인의 창작여건을 개선해야 한다는 사실이 전 세계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에서도 예술인이 처한 경제적 어려움과 복지문제의 해결을 위한 움직임이 일기 시작했다. 2011년 11월 17일 「예술인 복지법」이 제정되었고, 그로부터 1년 후인 2012년 11월 18일부터 이 법이 시행되게 되었다. 하지만 일정한 기준의 성과나 실적을 담보하지 못하면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예술인에게 지원을 배제한 점, 예술인 대상 사회보장제도를 공전에 공전을 거듭한 끝에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은 가입할 수 없다고 한계지운 채 도입한 점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법 시행 5년을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문화예술 현장에서 생활고를 겪는 예술인의 삶의 질은 크게 개선되지 않고, 예술인이 체감하는 혜택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예술인 복지 정책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 과정을 국회에서 법안이 만들어 진 후 어떤 과정을 거쳐서 법안이 최종 실행되는지에 착안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법안의 제․개정 과정에서 만들어진 검토보고서, 회의록, 심사보고서 등 각종 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수집․정리․분석하여 고찰하였다. 「예술인 복지법」이 예술인을 위한 실질적인 복지 증진이라는 제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지적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제도의 보완을 단계적으로 실시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극복해야 할 문제점으로는 첫째 예술인의 정의와 범위 제한, 둘째 고용보험 적용의 어려움, 셋째 산업재해보상보험의 적용 범위와 가입 절차 상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예술인 복지의 입법적 개선방향으로는 첫째 예술인의 사회보장제도 권리에 대한 근거 마련, 둘째 예술인 근로자 의제 및 고용보험 가입 조항 신설, 셋째 예술인의 노동조합 등 결사의 자유 보장 조항 신설, 넷째 수혜 예술인 우선순위 조항 신설, 다섯째 신진 예술인의 예술 활동 지원근거 마련, 여섯째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재원 마련 방안 및 예술인 소득보장제도 지원 조항 신설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예술인 복지의 정책적 개선방향으로는 첫째 중․장기적 관점에서의 복지 증진 정책 다변화, 둘째 예술인 및 예술인 단체 인식변화와 적극적 참여, 셋째 예술인 복지정책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전달체계 구축, 넷째 복지 사각지대 예술인에 대한 관심, 다섯째 예술인 대상 사회 교육 마련, 여섯째 예술인 심리 상담 확대, 일곱째 복지사업 수행을 위한 법적, 제도적 기반 확충, 여덟째 문화관련 상임위 위원 대상 전문교육 실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검토 내용 및 제안이 향후 예술인 복지 관련 법과 제도를 개선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