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과병원의 경영전략 사례연구 : 경희대학교 치과대학병원을 중심으로

        박영국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79

        2000년을 목전에 둔 지금 치과대학병원은 환자의 진료라는 문제 뿐만 아니라 경영적인 관점에서 다수의 난제에 직면하여 있다. 먼저 국내 환경의 변화로서는 보다 양질의 진료를 원하는 환자들이 의료를 의ㆍ식ㆍ주에 부가하여 또 하나의 기본 권리로서 요구하게 되었고 이에 수반되는 병원에 대한 권리 의식의 증가를 꽂을 수 있다. 또한 필연적으로 대형화할 수 밖에 없는 대학 병원과 재벌의 의료계 진출에 따른 경쟁의 발생과 이로 인한 자기 희생적 시설 투자가 강요되고 있다. 이에 부가하여 현실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의료 보험수가가 지배하는 의료공급체계로 인한 경영 여건의 악화에 봉착하여 있다. 또한 대외적으로는 의료 시장의 개방이라는 난제가 목전에 다가와 있다. 특히 치과대학 병원의 경우 그 대상이 되는 치과 질환이라는 자체가 치명율이 낮으며 만성적인 병의 진행을 가짐과 동시에 경제적으로는 가격탄력성이 크기 때문에 어려움은 더욱 큰 실정이다. 이와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치과대학 병원은 일반 의과대학병원과는 다른 특이한 경영전략이 필요하며, 성공적인 치과병원 경영 사례의 연구와 분석 및 이에 근거한 미래지향적 경영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경희대학교 치과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전략적 경영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해 보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사실들이 성공적 경영을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전략적 경영이 중요하다는 점이다. 우리가 처한 상황에서 전략은 선택의 여지가 아니고 오히려 필수적인 것이다. 둘째, 전략적 경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전략적 사고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전략적 경영이 나오게 된 배경을 명확히 이해하고 문제에 부딪혔을 때 전략적 패러다임으로 문제에 접근을 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전략을 단순히 하나의 분석틀로만 생각한다면 급변하는 환경 하에서 유효 적절한 전략의 수립은 어려운 것은 전략의 본질적인 의미에서 깨달을 수 있다. 셋째, 전략적 경영은 고객의 가치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근본적으로 소비자가 원하지 않는 것을 위한 전략은 또 하나의 자원의 낭비가 될 것이다. 전략은 무한한 상황 하에서는 의미가 없다. 자원이 유한하기에 하나를 버리고 하나를 취하게 되는 것이 전략이다. 무엇을 취해야 하고 무엇을 버려야 하는지는 고객이 무엇을 원하는가에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넷째, 전략적 경영은 그것이 영리조직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왔지만 성격을 달리하는 비영리조직에서도 유효하다는 것이다. 경제적으로 비영리를 취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즉 비영리조직은 영리조직이 생산하지 못하는 사회적으로 필요한 공공재를 생산한다는 의미와 함께, 그 급부로 세금의 혜택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비영리조직에서의 전략적 경영의 적용이 무리가 있다고 볼 수 있으나 비영리조직이 공공의 목적을 위한 것이라면 유한한 자원의 배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실제 경희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사례에서 경영전략의 효익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경영전략이 주효 하였음을 인지하였다. (1) 지속적인 직원 교육을 통한 전 직원의 경영마인드 제고 및 경영의 중요성 인식 (2) 각종 위원회를 활성화 하여 보다 당면과제를 구성원이 직접 해결 (3) 각종 홍보활동을 통한 진료 권역의 지속적 확장 (4) 인화단결을 기본으로 한 인사 정책과 감사 제도의 활용으로 인한 합리적 경영 (5) 진료 및 진료지원부문의 조직 개편을 통한 다기능 수행 (6) 효율적인 경영정보시스템의 구축 (7) 진료환경의 개선으로 인한 근무의욕 고취 이러한 결과는 향후 환자들에 의한 진료서비스 만족도를 높임과 동시에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치과병원 경영을 도모함으로써 미래의 경쟁력 있는 치과병원 경영전략수립 자료의 일단으로서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management of dental hospitals has been challenging in terms of the maintenance of a reasonable level of income and high-rank reputation by domestic competition, and encountering the threat of entrepreneur-based hospitals. Dental hospitals, especially university infirmaries are facing against various issues of a qualified patient care as well as management efficiency. The domestic change in managemental environment forces the hospital to improve the quality of patient care to correspond to the increasing demand of the consumer group. An inevitable competition with entrepreneur-managed hospital and the domestic health care market structure controlled by HMO drive the university hospital to reform the management strategies. Dental disease itself is not so critical as disorders in the body elsewhere and chronic in its nature which makes bigger price-elasticity. To overcome all the hurdle, the dental hospitals are obliged to establish the specific management strategy which is based upon the actual case study and discriminative to the medical hospitals. It is the aim of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management strategies of Kyung Hee University Dental Hospital and suggest the working remedies for further management and marketing p olicy. Kyung Hee University Dental Hospital was investigated by means of review of the brief history, management environment, recognition of the crisis situation, establishment and execution of the strategies, and the efficiency of the very strategies were analyzed. The eight keys to success in financial status and eventual management situation attributed to ; 1)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the management by continuous employee education, 2) activation of the various committees followed by problem solving by their own, 3) expansion of hospital umbrella by effective public relation, 4) effective control in management of man power, 5) restructuring of the main and supporting system, 6) building up effective information system, 7) desirable motivation with improved working environment, 8) favorable response from union shop. These results signify that the strategie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status and will result in favorable assets in the future management goals.

      • 외식산업 경영에 관한 연구 : 최근 외식산업경영 동향분석을 중심으로

        김금자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79

        This study conducted both literary and empirical research in order to analyze the recent research trends on management of restaurant industry in the graduate school. First,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doctoral dissertation on the management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for the last five years were collected, and the literatur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addition, an empirical study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research. As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meta analysis technique was used to calculate the frequency and proportion of the analysis subjects and compare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was carried out in 26 universities during the study period. Three schools including Kyonggi University(21.3%), Kyunghee University (13.6%), and Sejong University (10.6%) took about half(45.5%), that is, 30 out of the total 66 papers, and remaining 23 universities carried out 3 to 1 papers respectively. And 29 cases of research were conducted at 3 departments of eating-out cooking, accounting for 43.94%, almost half of them. 20 cases of research were conducted at departments of tourism and hotel, accounting for 30.3%, 14, at departments of general business administration, accounting for 21.21%, and then 3, at departments of food and nutrition, accounting for 4.55%. Second, among the 66 research subjects, the quantitative research was 62 (93.9%) and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3 (4.5%). The number of complex studies in whic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combined was 1 (1.6%). The reason why the quantitative researches are too many is that the research result is highly reliable and feasible due to the numerical value. The subject of the research was a core element of the research purpose and showed almost conformity with the title of th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ubject of the study consisted of direct elements of management and subsidiary elements necessary for management. 17 cases(25.75%) were about the management strategies and management activities, 10 (15.15%), about employees, 9 (13.64%), about food franchises, 5 (7.67%), about entrepreneurship (founding), 4 (4.55%), about eating-out bakery and customers. In the study, there were 29 out of 66 studies in which there were sub-themes that put the core or central points of the topic after the topic of th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8 sub-topics (27.6%) were 'focused on eating-out industry' or similar ones and the most frequent, 5 sub-topics (13.8%) were about frequency of employees, and 4 sub-topics (13.8%) were about customers, trust and others. And 2 sub-topics (6.9%) were about group meals and franchises. Third, among the 64 papers with the sample of subject, 26 (40.62%) were about customers, 17 (26.57%), about employees, 15 (23.44%), about administrator, and 6 (9.37%), about enterprises in order.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taurant industry aims at profit, and its highest interest is in customers, and then employees who provide customers with direct service. As for the number of specimen, 34.38% was between 300 and 400. It is shown that the food service industry is segmented and divers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dustry by type, and globalized due to the development of global transportation network and informationization, and the specialized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is emerging. Fourth, in the analysis of the variable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22 variables (34.8%) were about customers, 12 (19.0%), about employees, 9 (14.2%), about management activities and management factors, 5 (7.9%), about business owners and franchise members respectively, 4 (6.3%), about franchises, 2 (3.2%), about online management activities and food materials, and 1 (1.6%), about smart environment and overseas market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subordinate variables showed that 21 (33.3%) were about customers, 13 (20.6%), about management performance, and 7 (11.1%), about management performance of franchise members. 20 (31.7%) were about the results of actual management performance, 9 (14.3%), about employees, 5 (7.9%), about brand, 2 (3.2%), about market value and business owners, and 1 (1.6%), about environmental management, organizational buying strategy and franchise respectively. As a whole, the results of analysis of subordinate variables were all element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management performance or have an important effect on it. In conclusion, most of the researches are related to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In general, research trends in the management of food industry have shown that quantitative resear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qualitative research, and research on customers and employees is conducted a lot in the selection of survey subjects and research variables. It was found out that these are 2 important factors of management. Key words: Foodservice industry, franchise, meta-analysis, management performance, research trend 본 연구는 최근의 외식산업 경영과 관련하여 최근 대학원에서 이루어진 외식산업 경영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최근 5년 간 외식산업 경영에 대한 박사학위 논문과 관련된 선행 연구결과를 수집하여 문헌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토대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 분석은 메타분석(meta analysis)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 주제별로 빈도, 비율을 산출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 기간 중에 26개 대학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경기대학교(21.3%), 경희대학교(13.6%), 세종대학교(10.6%)로 이상 3개 학교가 전체 대상 논문 66편 중30편으로 45.5%로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나머지 23개 대학에서 3 ̴ 1편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학과별 외식조리 계열의 3개 학과에서 29편의 연구가 이루어져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43.94%로 나타났다. 관광 및 호텔 계열에서는 20편의 연구가 이루어져 30.3%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경영일반 기타 계열에서 는 14편의 연구가 이루어져 21.21%로 나타났고, 식품영양 계열은 3편의 연구가 이루어져 4.55%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 대상 연구 66편 중 양적 연구가 62편으로 93.9%로 나타났고, 질적 연구가 3편으로 4.5%로 나타났다.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가 복합적으로 나타난 복합연구는 1건으로 1.6%로 나타났다. 양적 연구가 월등하게 많이 나타난 원인은 연구 결과가 수치(數値)로 이루어지는 특성상 연구 결과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게 인정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연구의 주제는 연구목적의 핵심적 요소이고, 연구의 제목과 거의 일치하는 현상을 보였다. 분석 결과 연구의 주제는 경영에 관한 직접적인 요소와 경영에 필요한 부수적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영전략 및 경영활동에 대한 주제가 17편(25.75%), 종업원에 대한 주제가 10편(15.15%), 외식프랜차이즈 9편(13.64%), 기업(창업)에 대한 주제 5편(7.67&) 순서로 나타났다, 이어서 외식베이커리와 고객에 대한 주제가 4편(4.55%)으로 뒤를 이었다. 연구에서 주제에 대한 핵심적인 사항 또는 중심적 사항을 논문의 주제 다음에 표시하는 부 주제(副主題)가 있는 연구는 전체 66편 중 29편 이었다. 분석 결과 ‘외식산업을 중심으로’ 또는 이와 유사한 내용의 부 주제가 8편(27.6%)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종업원에 대한 빈도가 5편(13.8%)로 나타났고, 고객, 신뢰, 기타에서 4편(13.8%)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단체급식과 프랜차이즈가 2편(6.9%)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 표본이 있는 64편의 논문 중 고객을 표본으로 하는 대상이 26편(40.62%). 종업원 17편(26.57%), 경영자 15편(23.44%), 기업체 6편(9.37%)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는 외식산업이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이기 때문에 고객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높았다고 판단되며, 다음으로는 고객을 직접 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업원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고 판단된다. 표본의 수는 300명 이상 400명 미만이 34.38%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외식산업 유형별 분석을 통하여 외식산업의 세분화와 다양화가가 이루어지고 있고, 또 세계적 교통망과 정보화의 발전으로 인하여 세계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외식업의 전문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양적 연구의 변인 분석에서 독립변인은 고객에 대한 부분이 22편(34.8%), 종업원 12편(19.0%), 경영활동 및 경영요인이 9편(14.2%), 으로 나타났고, 사업주와 프랜차이즈 가맹점이 각 5편(7.9%), 프랜차이즈 4편(6.3%), 온라인 경영활동과 식자재가 각 2편(3.2%), 스마트 환경과 해외시장이 각 1편(1.6%)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에 대한 분석 결과는 고객이 21편(33.3%), 경영성과가 13편(20.6%), 프랜차이즈 가맹점에 대한 경영성과가 7편(11.1%)으로 나타나 실질적인 경영성과에 대한 결과는 20편(31.7%)이었고, 종업원이 9편(14.3%), 브랜드가 5편(7.9%), 시장가치와 기업주가 각 2편(3.2%), 환경경영, 조직 구매전략, 프랜차이즈에 관한 것이 각 1편(1.6%)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에 대한 분석결과를 전체적으로 판단하면, 모두 경영성과에 직결되거나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서, 연구의 대부분이 외식산업 경영에 대한 성공적 성과에 관하여 연구가 이루지고 있다고 결론을 지을 수 있다. 종합적으로 외식산업 경영에 관한 연구동향은 양적 연구가 질적 연구에 비해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고, 조사 대상 표본의 선정과 연구의 변인에서 고객, 종업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이들이 경영의 중요한 2대 요소라는 것이 연구 결과 밝혀졌다.

      • 우리 나라 특수대학원의 관광관련학과 교과과정 모형설계에 관한 연구

        이동수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79

        특수대학원은 현재 업계에서 종사하고 있는 종사원들의 재교육장이라고 할 수 있다. 학계의 교수진은 대학원생들의 실무경험과 그들과의 교류를 통해 연구에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업계의 경우 자질을 갖춘 종사원의 이용성에서 뿐만 아니라 산학연구를 통한 업계의 발전을 기대할 수 도 있다. 학생의 경우 관리자급에서 요구되는 자질을 갖추기 위해 대학원교육을 통해 일반적으로 학부에서 얻기 어려운 전문화된 기술과 지식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현 관광관련 대학원의 교과과정의 개선을 위해 위의 3집단간 의견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특수대학원의 입학자격에 대한 중요도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 업계경력에 대해서 업계와 학계에서는 매우 중요하다고 평가한 반면 학생들은 중요도의 평가정도에서 이견(異見)을 보여 약간 중요하다는 평가를 하였다. 하지만, 입학자격과 관련된 전체항목에서 업계경력은 전체 집단이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평가하였다. 특수대학원의 입학목적에 대한 연구 결과에서는 특수대학원 입학에 대하여 직무능력과 자기개발을 목적으로 입학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강한 긍정을 보이고 있었다. 업계나 학계에서는 직장내에서 승진혜택을 얻기 위해 특수대학원에 입학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강한 반면 학생들은 승진혜택을 목적으로 입학한다는 생각이 약하므로 승진혜택이 특수대학원 입학의 강한 동기는 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특수대학원의 졸업소양에 대한 평가의 차이에서는 서비스 정신 항목에 대해서만 집단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특수대학원 졸업생의 소양으로 서비스 정신에 대하여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계와 학생은 이에 비해 낮았다. 졸업소양 항목 전반에 대하여 보통이상으로 평가한 가운데, 모든 집단이 졸업소양으로 가장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는 항목은 회사에 대한 충성심이었으며, 재무·회계적 능력에 대해서도 중요하게 평가하는 정도가 낮았다. 이는 재무·회계적 능력이 특별한 분야로 특수대학원 모든 졸업생들이 갖추어야할 소양으로 여기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수대학원의 중점교과과목에 대한 집단간 차이에 있어서 사회과학 조사방법론, 정보기술(MIS), 항공경영, 관광정책, 카지노경영, 국제회의 경영에서 집단간의 차이가 있었다. 사회과학조사방법론에 대해서는 학계, 학생, 업계의 인식이 모두 다르게 나타났다. 학계에서는 중점으로 두고 있다고 생각하는 반면 학생은 보통으로 업계는 상대적으로 인식의 정도가 낮았다. 정보기술에 대해서는 업계와 학계는 보통 수준으로 중점을 두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학생들은 별로 중점을 두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경영에 대해서는 업계에서는 중점을 두고 있다고 생각하는 반면, 학계와 학생들은 별로 중점을 두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관광정책에 대해서는 업계와 학생은 중점을 두고 있다고 생각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학계에서는 낮았다. 카지노 경영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별로 중점을 두고 있지 않다고 여기는 가운데, 업계와 학생들은 별로 중점을 두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는 정도가 학계에 비해서 낮았다. 국제회의경영에 대해서는 업계에서는 중점을 두고 있다고 여기는 반면, 학계와 학생들은 별로 중점을 두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는 정도가짙었다. 특수대학원의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의 차이에서 학계에서는 특수대학원의 교육과정이 업계발전에 도움이 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학생들과 업계에서는 별로 도움이 되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졸업논문에 대해서는 업계와 학생들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학계에서는 그 필요성에 크다고 생각하는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와는 반대로 학계에서는 학부에서 관광학을 전공하지 않은 재학생에 대해서 선수과목을 이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가 높았으나, 학생들과 업계에서는 선수과목을 이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가 학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았다 . 향후 관광관련산업의 발전전망에 대한 평가에서 호텔 및 숙박업, 문화관광업, 카지노사업에 대하여 집단간에 발전전망에 차이가 있었다. 호텔 및 숙박업에 대해서는 학계에서는 매우 발전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업계와 학생들은 발전전망에 대한 생각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문화관광업에 대해서는 학계와 학생들은 매우 발전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업게에서는 문화관광업의 발전에 대한 생각이 낮았다. 카지노 산업에 대해서는 학생들은 매우 발전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업계와 학계는 발전전망에 대한 평가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수대학원의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에서는 정보기술분야, 경영윤리, 경영전략, 관광법규, 교통관련분야, 관광시설, 여가연구, 관광자의 심리행동, 관광교육분야에 대하여 집단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기술분야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가하고 있었고, 경영윤리에 대해서는 업계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경영전략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앞으로 보강해야할 교과목으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관광법규와 관광교통분야, 관광시설분야, 여가연구, 관광교육과정에 대해서는 업계와 학생은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가 높은 반면, 학계에서는 그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관광심리 및 관광행동분야에 대해서는 학생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학계와 업계에서는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가 낮았다. The hospitality industry faces many critical challenges as the 21st century approaches. The changing expectations of owners, investors, guests and employees mean that managers must be flexible, creative, and sensitive to a variety of needs. One of the industry's most pressing questions is whether hospitality management programs are preparing students for a future characterized by increased competition, more demanding guests, and a changing work force. Hospitality educational programs vary widely and are continuously reevaluating their success at meeting theneeds of students and industry. But, there currently exists a gap between the hospitality industry and the academy. This void has not been consciously designed by any participant or by any specific activity. The development of hospitality education has simply overlooked the full potential of the hospitality faculty-student-industry triad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or no research on how well hospitality education prepares hospitality program graduates for their professional careers. Research on employers' perceptions of the knowledge and skills graduates should have, compared with the perceptions of hospitality educators regarding these skills and knowledge base, has been also lacking. Such research is critical to assure a professionally competent work force the Korean hospitality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ill be to determine the perceptions of hospitality educators, hospitality graduates and hospitality industry employees in regard to the hospitality curriculum, competencies and the specific management skills as taught in Korea university. And, the industry professionals are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they know the specific management skills that perceive as important for success in the hospitality industry. Hospitality educational programs vary widely and have to reform continuously. Hersey and Blanchard(1988) described the management process as one requiring skill mastery in three distinct areas: technical, human and conceptual. First, several authors have noted the importance of technical skill training in hospitality curricula. Mihalik(1992) discussed the skills of computers like using accounting and finance program into hospitality courses. Pederson(1993) wrote that students needed to learn writing skills in their hospitality courses. Pavesic & Brymer(1989) reported that hospitality educators must have emphasized course work related to areas such as finance/accounting and sales/marketing. Sneed & Heiman(1995) also emphasized that accounting and financial management were areas identified as being important for students. Second, some of the literature on hospitality curricula has debated the need for greater emphasis on human relations skills, like a leadership, in the curriculum. O'Halloran(1992), Umbreit(1992), Van Dyke and Strick(1990) and Williams & Hunter(1991) have identified the leadership as an element of managerial success. And Knutson and Patton(1992) also found that human relation skills such as managing employees and interaction with guest are important. O'Halloran also found that employee relations were one of the most important skills needed. Bach and Milman(1994) surveyed faculty, student and industry managers regarding curriculum issues and predicted greater emphasis on employee relations. Therefore, human skills have been identified as a major element to a manager's success in hospitality. Third, an increased emphasis on conceptual skills appears to be a growing theme(Levis, 1993; Powers and Riegel, 1993). Pavesic(1993) also discussed the need for analytical skills as well as the ability to transfer concepts across disciplines. Van Dyke and Strick(1990) reported that restaurant chains wanted candidate to demonstrate organization skills. Each of these researchers suggested that hospitality educators must create programs and curriculum that develop the ability to respond to an ever-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I sent three different groups questionnaires that reflected their perspectives ; faculties, students, industry professionals. Specially, to increase the response rate, I visited faculty members teaching undergraduate courses in theUniversities. At the same time, I visited junior and senior classrooms of hospitality field in order to get questionnaires from students accurately and easily. And, this study selected 801 of the hospitality industry's professionals in a nation-wide sample in Korea based on the categories in tourism law and the sales records of the first half of 2000 about hospitality industry. The response rate for the population in this study was 51.5%, which represents 601 respondents of total population of 1168. The 601 respondents included eighty-seven(67.9%) of the 128 hospitality educators, two-hundred thirty-nine(100%) of the 239 undergraduate students and two-hundred seventy-five(34.3%) of the 801 hospitality industry professionals. The reason that the hospitality industry professionals' response rate was low, compared to the faculties and students, was because they were too busy or simply weren't interested to answering questionnaire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mailed and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numerically coded and transcrib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PC 7.5.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mputed for each of the 12 management skills and general questions(personal profiles). The primary analytical tool employed by this study was the interval scale(5-point Likert scale) and ANOVA. This session contains the result and discussion of the data analysis and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lmost two-thirds of the faculty members(60.9%) have experience in the hospitality industry. And among students, 42.2% reported wanting to work in the hotel industry. But some students(27.6%) don't want to work in the hospitality industry. This phenomenon is due to the low salary and the environment of work place in the hospitality industry. Almost two-thirds of the industry's professionals(68%) have worked in the hospitality for more the 11years. Almost eight-six percent of them were male; twelve percent female. Twenty-two(21.4%) percent of the industry's respondents had an educational level lower than a bachelor's degree. This papers presents the mean scores for all managerial skills. The scores are based on the responses to this question: "Following managerial skills, please check the point that you think bachelor' degree graduates must have the basic element of the need at industry". The Leadership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of all the skills in industry. But, In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professional idea was chosen to be the most important of all the skills. This is identified that the curriculum must be changed along the industry perception. And, in finance and accounting, three groups have very critical differences. Although finance and accounting were found to be the second important of all the skills in industry, these were noticed to be the second least important of all the skills in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Conceptual skills, like professional idea, decision making and strategic mind, which ranked as less important than human skills, were still noticed to be very important in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As stated in the introduction, this article had an objective: To identify the specific management skills that hospitality industry managers perceive as important for success in the hospitality industry. The finding totally indicated that among the three skills,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make much importance of conceptual skills, and industry professionals give important to human skills. Here, it can be explained why I focused on industry professionals' perceptions. First,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don't know what are the important skills that industry is requested, because of bad condition between school-industry partnerships. Second, it is a best survival way to students that the requirement of industry is known. Third, if the requirement skills of industry could be included in curriculum, industry and student would be cut down expenses of re-education. According to the following reason, I suggest some changes of curriculum. First, it will be reinforced human resource management with leadership, service mind and employee relation skill. This means that the manner of lecture is changed form theoretical studying into experiential studying. Second, finance and accounting are the second important of managerial skills in industry perceptions. This means that bachelor degree students don't satisfy the condition of the industry's expectation because they think difficult o study about finance and accounting so they don't enroll those. Therefore, faculty members should notice the importance of finance and accounting and plan to change these subjects to core subjects. In this way, faculty members will give students self-confidence. Third, conceptual skill is just ranked to 5th, 6th, and 7th in industry professional's perception. But, this is still noticed to important skill. This means that programs will be strengthened for students to give an expert's eye. This study proves for the perceptions of hospitality educators, students and industry professionals in regardto the hospitality curriculum, competencies and the specific management skills as taught in Korea university. Faculty members must plan the curriculum of the future, and change to prepare students to be the professionals of the future hospitality industry. In particular, they will need the excellent human, technical, and conceptual skills. Human relation skills are clearly important for success in the hospitality industry. Therefore educators should consider adding or enhancing courses in leadership, relationship management and employee training.

      • 전자산업의 협업실행요인과 경영진관여도가 상생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CPFR(Collobrative Planning, Forecast and Replenishment) 운영역량 중심으로

        이영수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오늘날 일반소비자 시장에서의 과도한 경쟁, 저마진 구조에 따른 이익악화등으로, 유통업체와 제조업체간의 상생활동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여기서상생활동이란, 높아진 고객의 요구수준에 대응 하기 위해 제품의기획에서 부터 판매에 이르는 모든 Value chain상의 일어나는 활동상의협업을 의미하고, 이를 촉진하는 방법으로 기업간 공급망 관리가 매우 중요한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이러한 기업간 공급망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선진화된 프로세스가CPFR(Colloboratve Planning, Forecastand Replenishment)이다.CPFR의 기본적인 사상은 기업간의 협업을 통한 상생이다. 꾸준한 시스템의발전 및 협업의 노력에도불구하고CPFR이지향하는상생의 성과를실현하지못하는사례가많이보고되고있기때문에,본연구에서는전자산업군에서의 CPFR의성공적인도입 및 성과를 내기위한기업간협업실행요인과 경영진의 관여도가 어떤역할을 하는것이고, 이러한 실행노력이 무엇인지를살펴보는것에중점을두었다.특히제조업체가가지는CPFR운영역량이경영성과(재무성과,운영성과)와어떠한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실증적으로규명해보는것에더 중점을두었다.본연구의실행을통하여발견한주요한결과를정리 요약하면다음과같다. 첫째, 협업실행요인이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칠 때 운영역량의 매개효과 는유의미한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협업실행요인이 운영역량인, 유통정보활용, 수요예측, 영업활동, 납기준수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협업 의실행요인들이 잘정의되고 실행이 되어야,운영역량에긍정적인 효과가나타나 재무성과에 유의미한 효과를 준다는 의미이다. 둘째, 경영진관여도가 재무성과에영향을 미칠 때 운영역량의 매개효 과는 정(+)의효과를 갖는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진 관여도도 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는 임원급 레벨의 경영진의 관여도의 정도에 따라 재무성과에 유의미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셋째, 협업실행요인이 운영성과에영향을 미칠 때 운영역량의 매개효 과는 유의미한 의미를 갖는것으로 나타났다. 운영성과는 재고관리, 예측능력, 납기준수, 신뢰도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CPFR운영역량이 향상이 되면, 회사내의 운영프로세스가 건전해지고, 효율성 및 생산성이 높아진다는 것으로 해석을 할수 있다. 넷째, 경영진관여도가 운영성과에영향을 미칠 때 운영역량의 매개효 과는 유의미한 효과를 갖는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진의 관여도는 협업의 인식정도, 적극성, 참여도, 정기적인 평가를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를높은 레벨에서 실행을 하면, 운영역량 과 운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 한·미 FTA 정부조달 협정에 따른 국내 건설업체의 인식 및 영향에 관한 연구

        이진국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에서는 2007년 한·미 FTA 체결에 따른 조직구성원의 인식과 건설업의 영향을 분석하여 새로운 건설 경영 패러다임을 확립하고 피할 수 없는 세계적 흐름인 개방과 글로벌화 추세를 FTA를 통하여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아 선진국 진입을 위한 길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고자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는 FTA체결과 경영체제, 경영전략, 기업문화, 경영자의 리더십스타일 그리고 조직유효성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건설부문 한·미FTA 정부조달협상은 그동안 자동차나 농산물 섬유 의약품 등 핵심쟁점에 묻혀 별로 중요하지 않은 의제로 여겨졌지만 건설산업에서도 한·미 FTA의 영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한·미 FTA로 인한 건설산업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첫째, 해외건설시장에 대한 진출 기회 증대와 이로 인한 해외건설주액 확대에 기여한다. 둘째, 한·미 FTA 체결을 통하여 특정지역, 특정 공종 중심의 수주편향성을 탈피하여 지역과 상품면에서 다원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기술사 상호인정제도는 해외시장에서 통용 가능한 언어와 문화소화역량을 지닌 글로벌 건설 전문가의 양성을 통해 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향상시킬 수 잇을 것이다. 넷째, 한·미 FTA를 통해 양국간 건걸 부문에서 교류가 확대된다면, 우리나라 건설산업의 소프트 기술력제고를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가 기대된다. 다섯째, 건설업체간 전략적 제휴를 통한 사업구조 조정과 이를 통한 수익률 제고로 우리 건설업의 고부가가치화가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된다. 여섯째, 국내 스탠다드에서 글로벌 스탠다드로의 전환으로 국내 건설시장을 선진화하고 건설사들도 이를 바탕으로 세계시장에 대한 진출기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건설업체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2008년 10월 현재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종업원 50명 이상의 건설업체 200개사를 대상으로 직접 방문조사 및 우편, 전화조사를 실시하였으여 이를 통하여 일반적인 기술분석과 기업문화, 경영체제, 경영자의 리더십스타일, 경영전략유형과 조직구성원의 인식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존재하는가를 실증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집단을 구분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기업문화유형은 혁신지향적 문화(innovation-oriented culture)와 안정 지향적 문화(stability-oriented culture), 경영체제의 유형은 소유경영체제, 고용경영체제, 전문경영체제, 경영자의 리더십 스타일은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경영전략은 혁신적 선도형, 안정적방어형, 기회 분석형, 임시방편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논문의 가설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문화별 인식차이 검증결과는 FTA필요성, FTA영향에서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FTA에 대비한 전략에서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내어 기업문화가 혁신지향적일수록 한·미 FTA에 대비한 전략을 수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영체제별 인식차이 검증결과는 조직구성원의 인식은 FTA필요성, 총수주액증대에서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FTA에 대비한 전략에서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나타내어 경영체제가 소유경영자일수록 한·미 FTA에 대비한 전략을 수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십스타일, 경영전략별 인식차이 검증결과에 의하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FTA에 대비한 전략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아 차이가 있다는 가설을 기각하였다. The world is experiencing a drastic environmental change in the recent years, and the reason such change has a different meaning from the past lies in the fact that the change is occurring all throughout the economy, society and culture not just in the economy. South Korea opened its trade in full swing as a result of the successful agreement of the Uruguay Round in the 1990s and, especially, the establishment of the WTO in 1996, and the people's perception and perspective of a social phenomenon as well as their perception of a corporate management changed as a result of experiencing the IMF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new paradigm of construction management by analyzing the impact the US & Korea FTA completed in 2007 has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perception of its constituents, and to find ways for Korea to become a developed country by utilizing the opening of trade and globalization, which are inevitable global trends, as new growth engines through the FTA. A proof analysis was done by conducting both a literature research and a survey in order to achieve such purpose. As a basic research method, theoretical consideration that is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and the survey was given in order to find the causes that demand the paradigm change in construction management, identify the impact of the FTA, which is the heart of the change, has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identify our countermeasure strategy as well as the trend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advanced countries. Furthermore, the following information such as the statistical and reported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Construction Association of Korea, the International Contractors Association of Korea and construction newspapers, along with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information, various graduate thesis and seminar information were referred in order to seek information accuracy. To research the perception of construction companies, researches through direct visitation, mail and phone were conducted for two hundred construction companies with more than 50 employe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s of October 2008. A general techn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such survey results and, in order to find out if differences exist among corporate culture, management system, leadership style of the management, type of management strategy and constituents of organization, a hypothesis has been verified by separating groups as follows. The types of corporate cultures have been classified into an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stability-oriented culture, and the leadership styles of the management have been classified in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the management strategies have been classified into four types of innovation leading strategy, stable & defensive strategy, opportunity seizing strategy and temporary strategy.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ver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 a verification test result of the perception difference according to corporate cultures shows that the more innovation-oriented the corporate culture, the more prepared the companies in developing strategies for the FTA, as it show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areas of the need for the FTA and the impact of the FTA, as well as the strategy to prepare for the FTA. Second, a verification test result of the perception difference according to management systems show that the more self-owned the company, the more prepared the company in developing strategies for the FTA, as it show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constituents' perception of the need for the FTA as well as in the total amount generated from contracted projects and in the strategy to prepare for the FTA according to management systems. Third, a verification test result of the perception difference according to leadership style and management strategy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nor in the strategy to prepare for the FTA.

      • 공연예술분야의 최고경영자 리더십유형이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오지원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공연예술분야의 최고경영자 리더십 유형에 따라 기획경영인력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받고 있는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변수를 리더십 유형으로 설정하고 Bass의 개념에 따라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Greenleaf의 서번트 리더십으로 구분하였다. 종속변수는 조직몰입으로 Allen & Meyer의 구성개념 중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으로 구분했다. 조절변수로는 연령, 학력, 소득, 경력을 선정하여 개인적 차이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한 연구 대상은 국공립 예술단체, 공연시설, 공연단체의 공연예술분야의 기획경영인력으로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방법은 2010년 11월 19일~20일 서울시가 주최한 서울예술지원박람회에 참가한 단체를 대상으로 현장 조사와 기관 및 단체의 개별적인 접촉을 통해 기획경영인력 3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260부의 설문지를 취합하였다. 그 중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31개의 설문지는 제외하고 총 229부의 자료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 p<.01, p<.001 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리더십 유형으로 설정한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은 모두 기획경영인력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 중 전통적인 리더십 유형인 거래적 리더십과 최근 많이 연구되고 있는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높은 수치로 영향을 미쳤다. 세부 요인을 살펴보면 거래적 리더십의 조건적 보상, 서번트 리더십의 성장지원과 비전 제시는 조직몰입의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점 몰입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십별 세부 요인에 따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있었지만, 공연예술분야의 적합한 리더십이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의 규모와 성격에 맞는 리더십이 혼용되었을 때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리더십 유형에 따라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이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최고경영자와 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의 일환으로 리더십이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친다면,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공연예술분야 기획경영인력은 개인 특성 중 학력을 제외한 연령, 경력, 소득에 따른 조직 몰입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연예술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기획경영인력은 이미 분야의 특수적인 환경(보상적 임금격차, 노동집약형 산업 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업무에 대한 보람, 일에 대한 사회적 평판, 개인의 발전 가능성 등에 높은 가치판단을 하고 있으며, 이는 리더십을 통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연구결과 공연예술분야의 최고경영자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으로 하여금 조직에 헌신하고 몰입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공연예술분야의 최고경영자는 리더십 개발을 통하여 구성원에게 개인적 성장을 적극 지원하고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분명한 목표와 비전을 제시하며 구성원이 성취한 결과에 대하여 인정과 적절한 보상을 제공하는 등 조직몰입을 증진시키는 노력들을 지속적으로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 commitment according to the leadership styles in project management human resources of performing arts area. This study has set up the leadership styl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divided three kind of leadership, transactional, transformational, servant leadership of Greenleaf according to concept of Bass. Organization commitment as dependent variables was sub-categorized into affective commitment, continuous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And as for the moderate variables, personal differences were observed by selecting age, academic background, income and career. For this study, national and public arts organization, performing arts centers and project management members of the performing arts area has been selected as an object of study. The survey had been conducted from 19th to 20th November aimed at the organizations which installed promotional booth at 'Seoul Arts Support Programs Fair' hosted by Seoul city. 260 questionnaires out of 300 were gathered by this survey and except for 31questionnaires which were not appropriate for analysis, total 229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alysis of this study all verified at significance level p<.05, p<.01, p<.001, and using the SPSSWIN 12.0 program for statistical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sted below. First all kind of leadership styles(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and Servant leadership) w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roject management members. Although details of each leadership styles made differences in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 wasn't certain kind of leadership fits performing arts field, just we could know that when the leadership styles mixed each other according to scale and character of the organizati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ould enhanced. Secondly, traditional type of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which is highly studied recently had a big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Looking into details, it shows that conditional compensation of transactional leadership, support growth and offering a vision of servant leadership influence on affective commitment, continuous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In other words most effective leadership in performing arts field are transactional and servant leaderships. Eventually, chief executive officer have to continue their efforts for enhanc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supporting the members to make personal achievement and offering the opportunities to display their potential abilities, and also rewarding for their achievement properly.

      • 경쟁력 비교 분석을 통한 한·중 공항의 경영전략 연구 : 인천국제공항과 베이징수도국제공항을 중심으로

        신지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공항은 각 국가 방문시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공간으로서 공항공사는 국가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대표 기업이라 할 수 있다. 과거의 공항은 국가의 중요한 교통 기반 시설이자 공공사업의 성격이 강했으나, 최근에는 공항 경영의 상업화와 함께 사회공헌의 책임까지 요구되며 복합적인 기업의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한국의 IIAC는 세계공항평가에서 7회 연속 최우수 공항상을 수상하며 최단기간 성장하며 최고 수준의 서비스 표준을 제시한 사례로서 항공업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반면 중국, 홍콩, 일본, 싱가포르 등 동북아 공항의 빠른 성장 추세로 입지를 유지하는데 위협 요소가 존재한다. 특히 중국의 경우, 국가의 항공 대중화 정책에 따라 공항을 지속 확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IIAC의 경쟁 공항으로서 중국의 BCIA를 IIAC의 경쟁공항으로 설정하고 공항의 기본적인 시설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하나의 기업으로서 운영의 요소를 고려하여 각 공항의 경쟁력 요소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시설의 측면에서 두 공항 모두 대형공항으로서 자리매김 하기 위한 확대 및 리뉴얼을 진행중으로, 각 국가가 두 공항을 대표 공항으로서 성장시키려는 의지를 엿볼 수 있었다. 운영의 측면에서 IIAC은 사업 다각화를 통해 수익을 다각화 하고 있으나 BCIA는 항공수익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IIAC이 녹색 경영을 포함한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중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실행하고 있는 반면, BCIA는 단기적이거나 이벤트성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공항의 고객 유치 경쟁에 대응하기 위하여 미래의 공항은 기존의 승객·항공사 서비스는 물론이고 복합 레저·문화·쇼핑타운으로 변모해야 한다. 또한 공항이라는 공간에 대한 이용객의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음에 따라, 공항은 기존의 공공성 위주의 관리적 경영 보다는 기업으로서 경영 전략을 도출해 고객 니즈와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해야 하겠다. IIAC는 최우수 공항이라는 브랜드 인지도를 통해 해외 공항의 컨설팅, 경영관리 위탁 등으로 사업 다각화를 지속 추진함이 바람직하다. BCIA는 중국내 타 공항에 대한 비교우위를 통해 국내 공항의 경영관리 경험을 높임으로써 현재 항공수익에 의존하고 있는 수익구조를 개선할 수 있다. IIAC는 공항주변의 Air-City를 개발함으로써 지역을 상품화 하는 전략을 활용할 수 있으며, BCIA는 도심과의 높은 연결성을 이용하여 도심과의 연계 서비스를 발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 공항 모두 최근 항공 업계의 LCC의 증가 추세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 IPA분석을 활용한 중소기업경영자의 경영역량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김은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 문 초 록 IPA분석을 활용한 중소기업경영자의 경영역량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급변하는 글로벌 경쟁 시대에 중소기업은 외부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 기업은 지속적인 변화가 필요하고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경영자의 역할과 생각이 매우 중요하다. 경영자는 항상 새로운 경영환경에서 기회를 포착할 수 있어야 하고 내부 또는 외부적 혁신을 통해서 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이끌어야 한다. 중소기업의 최고경영자 경영방식 및 판단 능력은 곧 기업 성과나 매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의 경우 경영자의 영향력은 매우 크며, 이들의 경영 능력에 따라 기업의 경쟁력을 잃을 수도 있다고 선행연구들은 밝히고 있다. 경영자 특성 중 경영자의 교육 수준은 경영자의 능력과 관련성이 높다. 교육 수준은 현재 기업의 제반 상황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이 높다고 본다. 지적 자본은 오늘날 일반적으로 기업 가치 창출에 공헌할 수 있는 무형 자원들의 총집합으로 무형자산은 단순한 비용이 아닌 미래의 경제적 효익이라는 차원에서 기업의 시장가치에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인정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 까지 교육훈련 활동이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그 결과 또한 일관되지 않는다. 본 연구는 경영자경영역량교육을 받은 중소기업 CEO를 대상으로 중요도와 만족도를 도출하여 경영자 교육정책에 실질적으로 집중해야 할 시사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경영자경영역량교육을 받은 중소기업CEO의 인식에 대한 실증연구를 통해 그 분석 결과의 해석에 따라 개선사항에 대해 우선순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쉽게 이해 할 수 있는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분석기법을 이용 하였으며, 경영자역량교육을 받은 대상자가 중요하게 생각하고 만족할 수 있는 교육으로 서비스를 개선하고, 교육생들에게 교육에 만족도를 높이고 교육정책에 반영하게 하고자 하였다. 키워드 : IPA분석, 중요도, 만족도, 경영자교육, 역량

      • 중소기업의 문화경영 효과 연구 : 창의적 조직 강화와 기업 경쟁력 확보 측면에서

        방라영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디지털 정보 사회로 접어들면서 급격한 변화에 따라 혁신하고 창의적인 가치를 창출하지 못하는 기업들은 생존조차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변화하는 경영 패러다임에의 적응 여부가 기업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다. 이러한 환경 변화 속에 비즈니스를 하는 많은 기업들은 엄청난 시련과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대기업과의 경쟁, 중소기업간의 경쟁 등 시장경쟁에서 해결해야 할 부분이 산재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중요 과제로 대두되는 것이 창조경영과 창의성이다. 최근 들어 기업에서는 창조 경영을 강조하는 분위기와 함께 창의적 직원, 창의적 기업 문화 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기업들이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원천으로 기업 경영에 문화 예술을 접목시키는 사례들이 늘고 있다. 이는 문화예술이 직원의 창의성 배양 더 나아가 창의적 기업의 경쟁력을 제공하는 지렛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 중소기업의 대표적인 문화경영 사례를 통해 중소기업의 문화 경영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문화 경영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In the 21 century, customers have preferred to the companies and products providing pleasure rather than those of providing comparable level of quality and service. The world's leading economists and culture critics have predicted that the competition among companies would be the competition of culture. At the turn of the digital information society, companies that cannot create innovative value have faced with a difficult situation to survive. The only company which adapts to rapidly changing business paradigm would survive in the competition. That is, the adaptability of a company would determine the success of business. Most of the companies face to adversity and challenge in this business paradigm shift.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has a weak point to adapt to the rapid change of business environment. Creative management and creativity is one of the important Key Challenges for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to get over difficulties in the change of business environment. In recent years, many companies emphasize the role of a creative worker as well as aggressive culture in management. In order to improve the creativity, many companies associate business management with culture and art. This means that art and culture play an important role to develop the creativity of worker and make creative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cases of the art and culture business strategy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to investigate how to encourage the art and culture business strategy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First,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is study is based on research, Reference book, material from the Internet. Second, I choose 4 successful companies, Feelux, Genic, SungdoGL. Sprout, which are regarded as leading companies whose art and culture business strategy are successful and investigate the main activities and the effects of the art and culture business strategy. Third, I find out key success factors from case studies and theoretical foundation. First of all,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needs to establish a vision for art and culture business strategy by making use of aggressive support and taking advantage of professionals to execute the art and culture business strategy successfully. In addition, long-term strategies and operations of cultural management programs must be done to strengthen the core competence of a company. To this, free and creative organizational culture should be supported. Second, based on these implications, the system of using specialist such as a culture coordinator who helps to execute cultural management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features and sizes of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should be activated in order to vitalize art and culture business management of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Also, the consulting service for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should be activated. It draws the conclusion that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systematic supports to facilitate self-motivated and voluntary art and culture business management.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must execute the art and culture business strategy to elevate competitiveness. This is not optional but mandatory for survival in the future. Especially,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which cannot compete with a large corporation in terms of technology and competitiveness is able to compete with large companies if it makes good use of culture as a strategic management. That is, small and medium companies that can generate creative imagination in art and culture business management would have differentiated competitivenes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art and culture business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 businesses would enhance the creative organizations and competi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