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중 무형문화유산 관련 전공 설립과 인재 양성 비교 연구

        왕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71

        한·중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 비교 연구 무형문화유산은 세계 각국의 대중이 창조한 우수한 문명이다. 비록 경제의 세계화, 도시의 현대화 그리고 다른 문화권과의 충돌을 겪고 있지 만, 무한한 발전 가능성과 성장력,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점차 국가의 발전을 이끄는 중요한 요소이자 문화적 원동력이 되고 있다. 무형문화유 산의 전승과 보호는 정책·입법적인 보호 단계, 디지털화 보호 단계, 생산 적 보호 단계, 교육적 보호 단계 등을 겪었고 최종적으로 현재의 교육학 과적 보호 단계로 발전하였다. 무형문화유산 학과 보호의 전개는 전체 사 회구성원의 상호존중과 화해·공생에 유리하고 최종적으로 무형문화유산을 전승해야 한다는 자각 행위를 형성하였고 인간의 전면적 발전과 사회적 화해를 촉진하고 있다. 한·중 양국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 은 무형문화유산 보호 실천으로 깊이 각인되었으며, 특히 끊임없이 발전 하고 완벽해지고 있는 무형문화유산 보호법률, 무형문화유산 보호정책, 무 형문화유산 보호 체계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에 대한 영향력은 직관적이고 뚜렷하다. 여러 해의 발전을 거쳐 한·중 양국은 각자 특색 있는 성과를 형성하였다. 하지만, 양국에서 학과설립은 장기적으로 보호 실천에 치중되 어 있었고, 학과의 독립성이 모호하고 학문적 기초디자인의 부족함 등의 문제가 두드러졌다. 대학교 내 무형문화유산의 전승교육과 연구에 종사하 는 교수 자원이 크게 부족하고, 교재가 미비하며, 교육평가 표준 지표의 부족함의 문제가 드러났다. 이 문제들은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발전 및 대 학교 내 무형문화유산 전승 교육 발전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한국과 중국 대학교 교육체계 속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 의 실천에 대한 정리, 분석, 비교를 통해서, 한·중 양국의 학술적 무형문 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에 관한 내용을 충실히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한·중 양국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 체계 분석연구를 통해, 현대의 한·중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을 위한 심도 있 고 뚜렷한 이론적 연구 기초를 제공할 수 있었다. 학과 연구 속에 존재하 는 현실적 문제를 고찰함과 동시에 균형적인 무형문화유산 학과 체계를 설립하고,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체계적인 학술적, 교육적 디자인을 통해,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제도적 설립을 완성하는 등의 여러 방면에서 무형문 화유산 학과설립을 완성하는 데에 필요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기하였 다. 이는 한·중 양국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의 배경을 참고하여, 본 논문은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개념과 함 의를 명확히 하였다. 한·중 양국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형성 및 발전 과정, 학과의 규모와 현재 현황 등의 방면에서 충분한 비교를 진행했다. 이어서 학과의 설립, 인재 양성, 과정체계 3가지 측면에서 한·중 양국의 대학교 교육체계(학부 교육단계와 대학원 교육단계) 속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의 현황을 체계적으로 비교하였다. 대학교에서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설립은 대부분 지방의 무형문화유산 과 결합하며, 종종 학과의 위상과 특색 방면에서 대학교가 자체적으로 발 전시키지 않는 부분의 수요와 가치로 표현되기도 한다. 한국의 학부 교육 체계에 관해서는 주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국립안동대학교, 국립충북대학 교 3개 대학교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설립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중 국의 학부 교육체계 속 무형문화유산 학과에 관해서는 “문화유산”과 “무 형문화유산 보호” 2가지 전공을 연구 분석하였다. 이 2가지 전공에 총 31 개 대학교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 상황에 대하여 정리하고 통계를 냈으 며, 아울러 각 대학교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위상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대 학원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의 교육체계로 한국의 학과 분석 대상으로는 고려대학교, 중앙대학교, 동국대학교, 전북대학교 4 곳의 석·박사 양성 과정을 주로 분석하였으며, 무형문화유산 연수대학, 문 화유산협동과정 등도 포함하였다. 중국의 학과 분석 대상은 복단대학교, 화동사범대학교를 포함한 31곳, 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의 무형문화 유산 전공이 설치된 학교 18곳의 현재 전공 설치 상황과 각 학교의 교육 상황에 관해 비교 연구하였다. 인재 양성 방면의 비교는 주로 한·중 양국 대학교 교육체계 내 인재 양성 목표, 인재 양성 체계 및 교육 과정 양성 현황 3가지 측면에서 비교 를 진행했다. 본 논문에서는 한·중 양국 무형문화유산 인재 수요의 현황 을 분석했고, 한·중 각 대학교 인재 양성 목표를 정리했으며, 각 대학교의 인재 양성 표준 양식과 방법도 비교하였다. 또한, 공식적인 통계 수치에 근거하여, 일부 대학교 인재 양성 목표의 달성 상황, 인재 양성 체계의 과 학적 합리성 그리고 인재 양성 과정 및 무형문화유산 전공 인재의 실제 업무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분석하였다. 학과과정의 디자인은 인재 양성의 기본 조건이며, 무형문화유산 학과 설립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인재를 양성하는 기초 요소일 뿐 아니라 학과설립의 구체적인 표현이기도 하다. 한국 대학교 무형문화 유산 학과의 과정체계는 학부 과정체계, 대학원 과정체계 이외에 문화유 산협동 과정과 무형문화유산 연수학교 과정이 있다. 상대적으로 대중적 보급 정도가 더욱 넓고 전문성이 있으며 “전면적 보급” 과정체계를 형성 하고 있다. 중국 대학교 학부 단계의 과정체계는 학생의 사상·품성·소양의 양성을 중시하고, 복수학과, 융복합 전공, 교차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실천과 이론을 동시에 중시하고 실제 조사연구와 보호 이론의 결합을 중 시한다. 이상에서 본 논문에서는 분석연구를 통해 8가지 무형문화유산 학과설 립과 인재 양성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1. 무형문화유산 학과 교육의 수립과 발전의 필요성을 명확히 하고, 대학교 내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의 필요성을 강조하여야 한다. 무형문 화유산 학과설립을 원활히 진행하려면, 우선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독립성 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다른 학과의 영향을 쉽게 받 게 된다. 필자는 국가의 역량을 빌려서 학계, 교육계에서 대학교 내 무형 문화유산 학과설립을 호소하고, 무형문화유산 학과를 독립된 학과로 설립 하고 인재 양성을 추진해야 한다고 본다. 2. 대학교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은 박물관과 현지와의 관계를 강화 하고, 지방의 장점과 결합하여 특색을 형성해야 한다. 3.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의 핵심은 인재 양성이며, 특색있는 무형문 화유산 인재를 분류하여 양성해야 한다. 현재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에 필요한 인재는 관리형과 연구형 인재 2가지 핵심 방향으로 나눌 수 있는 데, 실제 무형문화유산 학과 교육에서 우리는 관리형과 연구형 인재의 양 성 목표와 과정체계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다. 4. 학제적(學際的) 성격을 따르는 기초 위에, 학과의 이론체계를 수립 하고 모듈화된 과정체계를 설립하며, 이론과 실천을 모두 중시해야 한다. 대학교 무형문화유산 학과 교육의 가장 핵심은 이론적 독립성을 확보하는 것이며, 동시에 학생의 실천 능력을 양성하는 데에 있다. 5. 무형문화유산 보호의 특징에 근거하여, 무형문화유산 교학 속 실천 활동의 비중을 강화해야 한다. 무형문화유산은 하나의 실천에서 나온 관 념으로 무형문화유산 보호와 전승의 실천적 특징을 주목해야 한다. 학과 교육은 단지 전통적인 지식 주입에 국한되어서는 안 되며 이론과 실천을 밀접하게 결합하여 교육, 전시 및 문화원형상품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새 로운 교육방식체계로 만들어야 한다. 6. 무형문화유산 전문 교학 팀의 설립을 추진해야 한다. 전통적인 무 형문화유산의 도제(徒弟) 제도와 비교했을 때, 대학교 무형문화유산의 전 승 교육은 독특한 장점을 가진다. 대학교의 교육자원과 학과 전공의 장점 을 더욱 잘 살릴 수 있고, 무형문화유산 전승자와 합작하여 무형문화유산 교육의 발전을 공동으로 추진할 수 있다. 7. 무형문화유산 “산, 학, 연, 창, 산”이 일체화된 플랫폼과 평가 체계 를 설립해야 한다. 사회경제의 쾌속 발전과 사회구조의 끊임없는 변화에 따라, 사회구성원들에게 더욱 강한 시대 적응 능력을 갖출 것을 요구받고 있다. 8. 무형문화유산 학과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처해 있음을 비추어 볼 때 학생들에게 정책적 우대와 재정적 보조를 많이 제공해야 한다. 학과설 립은 정책 방향과 재정적인 도움을 벗어날 수가 없으며, 특히 걸음마 단 계에서는 더욱 그렇다. 이런 제안들이 한·중 양국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한국과 중국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은 이미 가치 있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전면적인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 성 이념 및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기반을 다지고 다방면으로 디자인 되어야 한다. 세계 각국은 더욱 많은 합작과 공유가 필요하여, 이를 통해 강대하고 건전한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 국가와 정부는 무형문화유산 학 과의 발전을 적극적으로 지지해야 하며, 재정적 지원과 정책적 지지를 제 공하여 학술계와 무형문화유산 전승자 사이의 상호작용과 합작을 격려해 야 한다. 또한, 대학교는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설립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야 하고 맞춤형 교육 과정과 인재 양성 계획 수립을 통해 우수한 교수 자 원 역량의 유입을 유도하는 한편 학생들에게 광범위한 무형문화유산 교육 을 제공해야 한다. 대중은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전승에 적극적으로 참 여하고 무형문화유산 문화를 전승하며, 무형문화유산의 전승과 발전을 추 진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자국의 문화 전승과 발전에 이익이 될 뿐만 아 니라 전 인류문화의 다양성과 풍부성에 공헌할 수 있다. 핵심 키워드: 무형문화유산 학과, 학과설립, 인재 양성, 과정체계, 비교 연 구

      • Satir 변형체계치료의 일치성 평가 연구 : 상담전공 대학원생과 Satir 전문가과정 훈련생을 대상으로

        김종일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Satir 전문가과정 훈련생과 상담전공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일치성 수준을 평가하여 그 차이가 어떠한지 규명하고, 상담 및 심리치료 교육. 훈련과정이 치료사의 일치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지 그 의미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Satir 전문가과정 훈련생 43명과 상담전공 대학원생 35명이다. Satir 전문가과정 훈련생 집단은 서울 소재 K가족치료연구소 주최 정기 워크샵에 참석한 전문가들로 구성되었고 전국적인 분포를 가진다. 상담전공 대학원생은 서울 소재 S대학원의 상담심리를 전공하는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표집하였다. 일치성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 도구는 Satir의 변형체계치료에 근거하여 Lee(2002)가 개발한 일치성 척도 75문항과 Ng(2004)의 선행연구, 그리고 Satir의 의사소통 유형 척도를 기초로 고문정(2008)이 한국인에 맞게 타당화한 일치성 척도 30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atir 전문가과정 훈련생과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일치성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일치성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는 Satir 전문가과정 훈련생이 상담전공 대학원생들보다 일치성 총점과 일치성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대인간적 차원, 심리내적 차원, 영성적 차원 모두에서 일치성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문제 1>의 일치성 평균의 총점을 살펴보면 Satir 전문가과정 훈련생이 124.79점, 상담전공 대학원생이 111.97점으로 Satir 전문가과정 훈련생의 평균이 12.82점 높게 나타났다. 고문정(2008)의 선행연구에서 실시한 현직 상담자 집단과 일반인 집단을 평가한 결과는 상담사 집단의 일치성 평균 총점이 113.58점, 일반인 집단은 109.08점으로 일반인에 비해 현직 상담사 집단이 4.50점 높은 차이를 보였다. 또한 상담전공 대학원생(111.97점)과 현직 상담사집단(113.58점)의 일치성 평균 총점에서 현직 상담사 집단의 평균이 1.61점 높게 나타났고, Satir 전문가과정 훈련생(124.79점)은 현직 상담사 집단(113.58점)에 비해 일치성 평균 총점이 11.21점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Satir 전문가과정 훈련생(124.79점)의 일치성 평균이 상담전공 대학원생(111.97점), 일반인(109.08), 현직 상담사(113.58점)집단에 비해 가장 높은 평균을 보이는 경향이 있고, 상담전공 대학원생, 일반인, 현직 상담사집단의 일치성 평균은 낮은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Satir 전문가과정 훈련생이 93%가 현직 상담사라는 점과 고문정(2008)의 연구대상인 현직 상담사집단의 일반적 특성과 배경이 유사했다는 점에서 두 집단을 비교해 보면 Satir 전문가과정 훈련생들이 교육. 훈련받는 과정에서 일치성이 증진되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상담전공 대학원생과 현직 상담사집단이 낮은 일치성을 보인 것은 심흥섭(1997)의 연구에서 일반적인 상담자 발달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상담실습, 상담경험, 치료사의 상담, 슈퍼비젼 등이 교육과정에서 활성화되어 치료사의 일치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보완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한편, 본 연구의 일치성 척도에 의한 평가는 일반인의 일치성 평가뿐만 아니라 치료사의 발달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도 유용함을 시사한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라 Satir 전문가과정 훈련생과 상 담전공 대학원생의 일치성은 차이가 있는가?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일치성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test와 일원 변량분석(one way-ANOVA)를 실시하였고, 변량분석에 대한 사후검증(follow-up test)으로 Duncan's test를 실시하였다. 먼저, 상담전공 대학원생 집단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성별, 연령, 종교 변인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성별, 연령, 종교 변인에 의해 일치성 수준이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력에 따른 일치성 수준은 경력이 1~3년 이하의 경우가 일치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경력이 5년 이상인 경우가 오히려 일치성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일치성 세 가지 하위요인 중 대인간적 차원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경력이 낮을수록 일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리내적 차원과 영성적 차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경력이 높거나 낮다고 해서 일치성 수준이 높거나 낮게 나타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상담교육 및 워크샵 이수 시간, 상담 및 교육분석 받은 시간, 그리고 슈퍼비젼 받은 시간에 따른 일치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에서 연구대상의 일치성 수준이 낮고 불균형한 변화를 보인 것은 연구대상의 교육. 훈련 시간이 Satir 전문가과정 훈련생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것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한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이 결과는 일반적인 상담자 교육과정에 대한 심흥섭(1997), 주은선 & Sue & Orlinsky(2003)의 선행연구에서 문제점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이론적인 교육방법에서 벗어나 상담실습, 관찰학습, 역할실습, 모의상담, 도제식 교육, 슈퍼비젼, 상담자 개인문제를 해결하는 개인치료 등을 보완하여 치료사의 일치성이 증진될 This thesis was to evaluate the levels of congruence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congruence in grad students of major in counseling and trainees in Satir couple and family therapy program. And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clarify how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could help with improving the congruence of therapist. The research subjects were 35 grad students of major in counseling and 43 trainees in Satir couple and family therapy program. Trainees in Satir couple and family therapy program were in nationwide scale and composed of trainees participating in the regular workshop by K-Family Therapy Institute in Seoul. Grad students were sampled among students of major in counseling in S-Graduate School in Seoul. Survey instrument for congruence evaluation was congruence scale 75 questions developed by Lee(2002), preceding study of Ng(2004) and congruence scale 30 questions adjusted to Koreans by Ko, Mun-Jung(2008). The gathered data was analysed by SPSS WIN 12.0 program. The results in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What were the general tendencies of congruence in grad students of major in counseling and trainees in Satir couple and family therapy program? The general tendencies of congruence were defined by percentage and standard devi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rainees in Satir couple and family therapy program had higher total score in congruence and higher congruence in three subordinate dimensions of congruence, Interpersonal dimension and intrapsychic dimension and spiritual dimension, than grad students of major in counseling. Trainees in Satir couple and family therapy program had 124.79 points and grad students of major in counseling had 111.97 points in the total score of congruence average in <research question 1>. Trainees in Satir couple and family therapy program had 12.82 points higher, so their congruence was higher. Second, were there any differences in congruence between grad students of major in counseling and trainees in Satir couple and family therapy program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T-test and one way-ANOVA were used for defining differences in congruence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Duncan's test was used for follow-up test to variance analysis. To begin with, grad students of major in counseling didn't mak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ual, age, religion variables. This meant that there wasn't difference in congruence level according to sexual, age, religion variables. Congruence level according to career was the highest in the case of 1-3 years of career and was just lower in the case of over 5 yea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interpersonal dimension among the subordinate dimensions in congruence, but the lower career showed the higher congruence. Furthermore, there weren't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rapsychic dimension and spiritual dimension. Therefore, career didn't affect congruence level. There weren't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ime of completing counselling education and workshop and the time of taking counselling and education analysis and supervision. Next, trainees in Satir couple and family therapy program didn't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ual and religion variables. This meant that there weren't differences in congruence level according to sexual and religion variables. In the result of age variables, the older they were, the higher congruence level they have. And this meant that there was difference in congruence level according to the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personal dimension and intrapsychic dimension among three subordinate dimensions in congruence, however, there weren't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iritual dimension. In the total score of congruence according to career variables, the more career they had the higher congruence they made. However, there weren'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score and three subordinate dimensions in congruence. There weren't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gruence according to the time of completing counselling education and workshop and the time of taking supervision. Additionally, congruence according to the time of taking counselling and education analysis didn't mak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gruence total score and interpersonal dimension and intrapsychic dimension, but,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iritual dimension. Third, were there any differences in congruence between grad students of major in counseling and trainees in Satir couple and family therapy program? T-test was used for defining differences in congruence among groups. Trainees in Satir couple and family therapy program made higher congruence level than grad students of major in counseling in general congruence total score and average in interpersonal dimension and intrapsychic dimension among three subordinate dimensions in congruence, and this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sections. In conclusion, congruence of trainees in Satir couple and family therapy program was higher in all the sections than grad students of major in counseling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he congruence in groups participating in Sati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based on Satir transformational systemic therapy was higher a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course covering family of origin, intrapsychic dimension and interaction system which were the quality of Sati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was helping with improving congruence in interpersonal dimension and intrapsychic dimension and spiritual dimension, that was subordinate dimensions in congruence.

      • 교육대학원 과정과 교수 경험을 통한 예비영어교사의 정체성 발달에 대한

        권예진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 is an autobiographical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dentity. The study explores how a pre-service English teacher develop her identity as a teach through the coursework and teaching experiences. The research subject,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er, is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was examined employing narrative inquiry. Narrative inquiry refers to an individual's experience with an epic structure in the form of comparatively long sentences or a story that has been told historically. Within the narrative inquiry, all the educational activities that the researcher targets to study are a series of experiences that are considered a narrative. By employing a self-reflective method of analysis, the researcher who was also the participant presented a more in-depth analysis and gained a deeper understanding of herself.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ree research topics through narrative inquiry: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dentity through the cours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he experience of teaching. Through this study, I concluded that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eaching experiences helped pre-service English teachers develop expertise. First, with what motive did you enter an education graduate school and what did you experience the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a nonprofessional educator before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 researcher will first have to develop her teaching identity and theoretical knowledge of English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she will need to go through all the course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will need teaching experience.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graduate school education on the growth of tutoring and after-school teacher identity? It examines the past and the current situation by comparing the teaching methods before and after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rough actual teaching examples and textbook analysis. This is the process of acquiring professional knowledge when developing as a teacher and its essential qualities. This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teacher responsibilit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ird, what are the effects of a graduate education course on the growth of ideal teachers pursued by the researchers and what kind of teachers did it help create? Not only did I develop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as a prospective teacher, but I also had the opportunity to learn teacher-pupil relations. Thus, I can keep in mi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and educator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presents a life story that reflects on both personal and professional key experiences. This provides a chance for researchers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who they are and establish their identity as a preliminary teacher. I strongly hope that what we experience within the course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ill help prospective teachers when they choose their careers in the field of research. Key Words: Narrative, Identity, EFL Pre-teacher, Autobiographic Case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과 교수 경험을 통한 예비영어교사의 정체성 발달에 관한 자전적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의 연구자는 영어교육 전공을 공부하는 학생임과 동시에 연구대상자인 예비영어교사의 중간적 위치를 경험한다. 이러한 경험을 기반으로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하여 보여주고자 함에 있다. 내러티브 탐구는 비교 장문의 형태로 이루어진 서사 구조를 갖춘 개인의 경험이나 역사적으로 전해 내려온 이야기를 의미한다. 질적 연구의 관점에서 보면, 내러티브는 연대기적 시간의 연결로 이어져 있으며 하나 또는 일련의 사건을 설명하는 발화나 기록된 텍스트를 의미한다. 이에 활용하여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방법이 내러티브 탐구이다. 내러티브 탐구 속에서 본 연구자가 연구하고자 하는 모든 교육 활동은 일련의 경험이고, 이러한 경험은 내러티브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과정과 교수 경험을 통하여 정체성을 확립해 나아가는 과정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하여 세 가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어떤 동기를 가지고 교육대학원에 입학했고 교육대학원에서 어떤 경험을 하게 되었는가? 교육대학원 입학 전 비전문 교육자로서 겪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입학하여 교육대학원 과정과 교수경험을 통해 영어교육의 이론적 지식뿐만 아니라 교사정체성을 키워나가게 된다. 둘째, 교육대학원 과정이 튜터링과 방과 후 교사로서의 정체성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것인가? 교육대학원 입학 전·후의 수업 방식을 비교하며 과거를 분석하고 현재에 보완하는 모습을 실제 수업 사례와 교재분석을 통해 보인다. 이러한 과정은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필요한 자질을 계발해 가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교사가 지녀야 할 책임감과 전문성 발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육대학원 과정을 통해 연구자가 추구하는 이상적 교사로 성장해가는 데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고 어떤 교사로 성장하였는가? 예비교사로서 이론적·실천적 지식을 키웠을 뿐만 아니라 사제관계라는 새로운 인간관계를 배워가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학습자와 교육자 간의 상호관계에 유념하게 된다. 본 연구자는 이번 연구를 진행하면서 개인적·직업적 핵심 경험을 모두 반영하는 이야기를 제시한다. 이는 예비교사로서의 정체성 확립뿐만 아니라 연구자 자신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얻을 기회를 제공한다. 교육대학원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는지 또한, 연구자와 같은 진로를 선택할 예비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주제어: 내러티브, 정체성, 예비교사, 자전적 사례연구

      • 국악교육기관의 교과목 분석 연구

        방지선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ntends to organize the evolu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 and to analyze courses of current educational institu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uch as high school,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this end,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and the evolution of music education institutions were examined, and 6 arts high schools with Korean music department were compared based on the 2007 reformed curriculum of arts high school. Also, the installation status and courses of Korean music related schools of 14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located in Seoul, except for 6 universities with Korean music department and college of education with music education cours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2007 reformed music curriculum. Korea's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with the history of Koreans. Our ancestors, who already enjoyed and developed music and dance from ancient times, have enjoyed higher level of arts in Three Kingdoms Period, and handed down music through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 In Silla Dynasty, music was educated and handed down through national music organization, called ‘Eum-seong-seo,‘ and royal court music was educated through national music organization, called 'A-ak-seo’ in Koryo Dynasty and Jangakwon in Joseon Dynasty. Educational institu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constituted with Joseon Classical Music School('Joseon Jongak Jonsupso') of Japanese Colonial Period, training school of Lee Wangjik court music staff, national traditional music school, which is a successor of The National Centre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ffiliated National music academy for training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and traditional music high school of arts founded in 1960, as its principle axi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s currently conduc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22 arts high school where Korean music education is established, 30 universities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department, and 46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ere music education is established.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cours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related subjects in arts high school,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when Korean music related subjects of 6 arts high school were analyzed by school and subject, hours of performance of major courses and curriculum appeared to be similar in larger scale, but they were teaching required subjec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Secondly, when Korean music related subjects of 6 colleges were analyzed by activities and understanding, performance of major and Korean music orchestra were treated as essential major courses in instrumental area and variety of concert hours were in operation. Also, courses were established for vocal, creativity, and other area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but number of subjects between each university has shown much difference by school. In understanding area, called music theory area, the course name was different, but Korean traditional music theory related subjects were established. Thirdly, when Korean traditional music related subjects of music major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analyzed by area, the understanding related theory subjects were established in 14 schools, but subjects of activity area, which is considered important in 2007 reformed education curriculum, can be seen as insufficient. Although a lo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related subjects were established compared to the past, it is still lacking. Greater number of subjects does not mean the best, but instead, the ratio will need to be proper according to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if systematic and fine-grained subjects are organized, the formation of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balance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ill be established. 이 연구는 국악교육기관의 변천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현재 국악교육기관인 고등학교, 대학교, 교육대학원의 교과목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악교육의 중요성과 국악교육기관의 변천사에 대해 알아보고, 2007년 개정 예술계열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국악과가 설치된 6개의 예술계열 고등학교를 비교 · 분석하였으며,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국악과가 설치된 6개의 대학교, 그리고 음악교육전공 과정이 설치되어있는 사범대, 교대를 제외한 서울 소재 14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국악 관련 학교들의 설치현황과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전통적 음악교육은 한민족의 역사와 함께 한다. 고대 이전부터 이미 춤과 음악을 즐기고 발전시켜 왔던 우리의 선조들은 삼국시대에 이르러서는 더욱 수준 높은 예술을 향유하였으며, 형식적․비형식적 교육을 통해 음악을 전승하였다. 신라시대에는 ‘음성서’라는 국립음악기관을 통해 음악을 교육하고 전승하였으며, 고려시대에는 ‘아악서’, 조선시대에는 ‘장악원’ 등의 국립음악기관을 통해 궁중 음악을 교육하였다. 국악교육기관은 일제강점기의 조선정악전습소와 이왕직 아악부원 양성소 그리고 해방 이후 국립국악원 부설 국악사 양성소의 후신인 국립국악고등학교와 1960년 설립된 국악예술고등학교를 주축으로 이루어졌으며, 국악교육기관은 현재 국악교육이 개설된 22개의 예술계열 고등학교와 국악과가 설치되어있는 30개의 대학교, 음악교육이 설치되어있는 46개의 교육대학원에서 국악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예술계열 고등학교, 대학교, 교육대학원의 국악 관련 교과목을 분석한 결과와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6개의 예술계열 고등학교의 국악 관련 교과목을 학교별․과목별로 분석한 결과, 전공실기 교과의 시간 수, 교육내용 등이 큰 틀에서는 대체로 비슷한 듯 보이나 각 학교들의 특성에 맞게 필요에 의한 교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둘째, 6개의 대학별 국악 관련 교과목을 활동영역과 이해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활동영역인 기악영역에서는 전공실기와 국악 관현악을 전공필수로 운영하고 있으며 다양한 합주시간이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가창영역, 창작영역, 기타영역에서는 각 학교들의 특성에 맞게 교과목을 개설 하였지만, 각 대학 간의 교과목 수가 학교별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해영역인 음악이론영역에서는 교과목명은 다르지만, 국악이론에 관련된 교과목들을 개설하였다. 셋째, 14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국악 관련 교과목을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이해영역과 관련된 이론영역 교과목은 14개 학교에서 개설되어 있지만,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요시하는 활동영역의 교과목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국악 관련 교과목들이 예전에 비해 많이 개설되었다고 하지만 부족한 실정이다. 교과목 수가 많을수록 좋은 것이 아니라 국악교육에 맞게 그 비율이 적절해야할 것이며,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체계적이고 세분화된 교과목을 구성한다면 교과목의 정립과 균형 잡힌 국악교육의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 시대적 변화에 따른 UI(University Identity)의 효율적 디자인 연구 : 상명대학교 심볼마크를 중심으로

        김의석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요약 시대적 변화에 따른 UI(University Identity)의 효율적 디자인 연구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사회와 문화의 급격한 변화와 발전으로 인하여 대학은 질적 혁신을 통한 변화의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현재는 대학 간 경쟁에서 뒤쳐져 대학이 축소되거나 통합되는 경우가 나타나고 출생자수의 점차적 감소에 따라 대학 지원자도 줄어드는 현실에 있다. 그리고 입학전형의 다양한 변화와 국내 대학시장의 해외개방 등 다각도로 변화하는 환경으로 인해 생존을 위한 치열한 경쟁이 대두되고 있다. 대학은 이 같은 현실을 직시하고 미래지향적인 의식개선과 인식의 변화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른 대학의 다양한 노력 중 하나는 대학정체성 확립을 위한 UI(University Identity, 이하 UI라 칭함)시스템의 도입과 지속적인 개선 및 개발이다. UI는 직접적인 대학이미지의 대표적인 상징이기 때문에 이는 대학의 이미지와 마케팅 성과를 좌우하는 요소로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일반인과 대학 예비 구성원이 특정한 대학에 대해 가지는 생각과 표현의 결과는 대학 생존과 이미지 제고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대학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체계적이고 미래지향적인 UI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UI는 정립된 철학을 바탕으로 대학만의 정체성과 개성을 표현하고 신뢰감이 내제된 절제된 표현을 디자인적 감성을 통해 현대적이고 나아가 미래지향적인 이미지로 표현되어야 한다. 현재 국내외 대다수 대학들은 UI의 개선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대학 이해관계자의 시각들은 세계 비주얼 환경의 끊임없는 업그레이드와 다양한 변화에 동행하듯 발전해 가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대학들은 현재 시점에서 보다 업그레이드된 UI를 기반으로 홍보 전략을 수립하고 있으며, 급변하는 시각 환경에 동승하고 미래지향적인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UI 디자인의 개선과 개발에 따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사례인 상명대학교 UI의 경우 1996년에 현재의 심볼로고를 제작하였고, 2003년 10월에는 시스템화된 매뉴얼을 완성하여 대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통일적 지침서로서 역할을 해왔으며, 자긍심과 연대감 조성을 바탕으로 미래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중요한 기준이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변화ㆍ발전하는 대학이 많아지는 시대로 점점 접어들면서 상대적으로 UI를 14년간 활용해 왔던 상명대학교는 현재 경쟁력을 갖춘 적절한 UI로 개선ㆍ개발되어야만 하는 상황이 되었다. 상명대학교는 대학 UI가 갖는 경영전략적 효용으로써 비용대비가치(Value per dollar)를 높이고, 대학 구성원들의 인식 변화를 이끌며, 대학의 미래지향적 마인드를 담을 수 있도록 디자인적 방법론의 탐색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상명대학교 UI를 대상으로 하여 새롭게 개선된 ‘심볼마크’ 디자인을 전략적 접근 방법으로 제시하여 새로운 환경과 다양한 적용매체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시대변화에 따른 대학의 외생적 환경변화를 살펴보고, 대학의 전략적인 홍보와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한 디자인을 위해 국내외 대학의 심볼마크 사례 분석과 본 연구가 제시한 두 가지 상명대학교 심볼마크 개선안에 대한 실증조사 결과를 통하여 개선 전략을 수립하고 그에 따른 개선 전술 방안을 시작품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대학이 새로운 환경변화에 적응하는데 있어 명확한 기준과 지침이 될 것이며, 대학의 대내ㆍ외적인 교육사업 개발 및 진행시 비용절감에 유용한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대학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대학 간의 무한경쟁 속에서 생존과 위상을 높일 수 있으며, 대학 내의 조직원과 예비구성원, 그리고 일반대중들에게 대학이미지 제고와 홍보효과를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앞으로 대학 전 구성원이 대학발전을 위한 마인드 제고와 이를 밑바탕으로 한 꾸준한 연구와 노력으로 세계로 확장된 대학경쟁시장 속에서 상위권 대학으로 자리매김한 자랑스러운 상명의 모습을 기대해 본다.

      •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과정과 임용시험 1차 문항의 연계성 연구

        송미희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1992년 한중수교가 맺어진 이후 20년 동안 한국과 중국의 관계는 단순 우호협력관계로부터 출발하여 2008년 양국관계는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로 격상되었다. 이와 함께 중국의 경제가 급부상함에 따라 중국어의 수요자 역시 급증하여 국내 중국어 교육 관련 사업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현재 중국어 관련 도서는 한 대형 서점의 검색창에서‘중국어’라는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약 3,500여건이 나오며, 한 중국어 교육기관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중국어강좌 수강생이 2011년을 기준으로 전년보다 53%로 증가하고 2009년과 비교하면 224%나 늘어난 수치를 보여 중국어 열풍이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중국어와 관련된 시험도 HSK(중국한어수평고시), BCT(비즈니스 중국어시험), CPT(중국어실용능력시험), YCT(청소년중국어시험)등 그 종류와 응시율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중국어의 대표적인 시험 HSK를 주관하는 중국국가한반(中國國家漢班)에 따르면, 2011년 HSK를 응시한 외국인이 13만 1500명 가운데 한국인 응시자는 6만 5767명에 달한다고 한다. 이런 중국어 교육에 대한 변화는 사교육 뿐만 아니라 공교육 내에서도 살펴 볼 수 있다. 서울 지역 자율형 사립고(자율고) 13곳에서 동양문화권 제2외국어(일본어, 중국어)교육을 강화하는 내용을 반영한 특성화 교육과정 운영계획안을 내놓고 있다. 또한 교육과학기술부의 자료에 따르면 일반계 고등학교에서도 제2외국어로 일본어와 중국어를 선택한 학생의 비중이 전체의 90%를 넘었다. 특히 중국어는 2009년 27.2%에서 2010년에는 28.4%로 증가해 2년이 지난 지금은 그 비율이 더욱더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한다. 이러한 변화들을 살펴 볼 때 중국어 교육의 전문성 제고와 발전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특히 공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중국어 교육은 우리나라 국가의 중요한 국제 경쟁력이 되므로 이에 따라 공교육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중국어 교사의 역할도 더불어 중요해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현재 중국어 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은 일반대학의 교직과정과 교육대학원과정이 있다. 두 과정 모두 임용시험이라는 제도를 통해 교사가 선발된다. 그러므로 우수한 교사를 양성하고 선발 하는데 있어, 각 교육양성기관의 교육과정과 임용시험은 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교육대학원은 교사양성 뿐만 아니라 교사의 재교육 역할도 하고 있어 그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 둘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서로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겠다. 하지만 현재 중국어 교육과정과 임용시험에 관한 연구는 각각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만이 대부분이다. 특히 임용시험에 관한 분석은 임용시험 자체에 대한 문항 분석이 대부분이고, 교육과정과 시험간의 연계성에 관한 분석도 일반대학교 교직과정에 한해서만 연구되었다. 필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과 임용시험 양자 간의 연계성을 분석해 봄으로써 중국어 교사 양성기관과 그 시험제도의 현 상황을 파악해보고, 우수한 교사의 배출을 위한 앞길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한중 대학교 무용 교육과정의 비교 연구

        이권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무용은 사람들의 사상과 감정도 표현할 수 있는 예술 형식이다. 무용의 발전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용 교육이다. 무용 교육의 목적은 협의로는 무용 이론 지식의 전수로부터 광의로는 사회에 우수한 무용 인재를 배양하기 위함까지 넓은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최근 차세대 무용 인재를 배출하기 위한 대학 내 무용 교육의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서양보다 무용 발전이 비교적 늦었던 동아시아의 대학 무용교육에는 아직 개선해야 할 문제점이 남아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 무용 교육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양국의 무용 교육이 앞으로 발전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무용 교육에 있어 두 나라의 공통점은 보다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선진화 된 교육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만 한국과 중국의 무용계 환경 및 전통 문화, 대학 교육 체도의 차이점에 근거하여 한국과 중국의 무용 교육은 여러 차이점을 지니고 있기에 비교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한국의 상명대학교와 중국의 중앙민족대학교를 구체적인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교육목표, 교육과정 및 교육특징을 토대로 한국과 중국 대학 무용 교육 과정에 대해 비교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2개 대학 무용 교육에 대한 심층적 고찰을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각각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중 양국 무용 교육의 현 상황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여 양국 무용 교육의 선진화, 국제화 및 개선에 중요한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중한대학교,교육과정 Dance is an art form that can express people's thoughts and feeling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dance is dance education. In a narrow sense of the word, the purpose of dance education is to transfer the knowledge of dance theory and in a broad sense, it expands to the broader scope of cultivating talented dancers in a society. Recent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university dance edu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of dance talents.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still left to be improved in the university dance education in East Asia where dance development was relatively late than in the Wes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in both countries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university dance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which represent East Asia. These two countries have common points in dance education in that they are trying to introduce an advanced education system, recognizing the need for more systematic education. However, If you look more closely at Chinese dancers' environment, traditional culture, and university education system, you can find many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dance education, so I think it is worth conducting the comparative study on this matter. Therefore, I selected Sang-Myung University in Korea and Minzu University in China as specific research subjects, and tried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dance curriculum based on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and education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 analyzed the common point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wo university dance education in depth. I hope this study can help to achieve advancement, internationalization and improvement of the two countries dance education by providing some understanding on the current situation of dance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Key Word: University Of Korea And China, Dance Education

      • 대학교 학점은행제 실용무용 교육과정의 비교연구

        박연주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늘날 실용무용(스트릿 댄스)은 수많은 매스컴의 관심과 주목을 받고있다. 그로 인해 실용무용 (스트릿 댄스)은 여러 가지 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며, 여러 학자들에 의해 실용무용의 역사 및 용어 정리가 확립되는 중이다. 그중에서도 교육적 영역의 확립은 무용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해서 꼭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교 내 학점은행제 시설 운영이 활발한 오늘날, 학점은행제 평가인정 과목 수가 20개 이상인 대학교 중 4년제 학교에서 운영 하고 있는 4개의 학교(상명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 국민대학교 부설 평생 교육원, 한양대학교 부설 미래 인재 교육원, 세종대학교 미래교육원)을 선정하여 학교의 이론 및 실기교과목 교육과정과 교육 목표를 문헌조사와 사회조사를 활용하여 선행 논문, 인터넷 조사, 통계치 분석 및 인터뷰를 통해 고찰하고 각 학교 학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해 대학교 학점은행제 실용무용 교육과정의 방향성과 교육적 발전을 위해 문헌 연구를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별 교육 목표는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전문 인재 양성이라는 공통점을 지니며 더 나아가 다양한 장르를 습득하고, 기초이론 및 실기 교육 습득하여 개인의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둘째, 기관별 교육과정은 표준교육과정과 학점인정과목 (일반선택), 전공 심화 과정으로 구분되며, 표준교육과정은 전공 필수와 전공 선택으로 심층적 탐구를 진행하였다. 전공 필수는 총 8과목으로 기관별로 8과목 모두 운영하고 있으며, 전공 선택은 기관별로 차이가 있으나 모두 15과목 이상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학점인정 과목(일반선택)은 기관별 개설 운영과목이 큰 차이를 보였으나, 힙합Ⅰ,힙합Ⅱ의 과목은 4개의 기관 모두 운영 중이었다. 이는 각 기관의 학생들에게 열려있는 실용무용 관련 학점인정 과목이기 때문에 4개 기관 모두 운영 중인 것으로 판단했다. 또한 전공 필수, 전공 선택, 학점인정과목(일반선택) 모두 힙합Ⅰ,Ⅱ를 제외하곤 대부분 순수무용 과목과 타학과 과목으로 개설되어 있었다. 또한 이들의 과목 수를 합한 이론 및 실기 과목 비율이 70% 이상 실기 과목이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용무용 전공 심화 과목은 기관별 학과 교수역량으로 개설이 가능하며, 학점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가지지만 부족한 실용무용 역량을 채우기 위해 개설되고 있다. 과목은 락킹, 왁킹, 팝핀, 비보잉, 등으로 운영된다. 4개 기관 모두 모든 실용무용(스트릿댄스) 장르를 전공 심화 과목으로 운영 중이었다. 그중에서도 세종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은 21세기 멀티 무용 인재 양성이라는 교육 목표를 따라 개성과 특성이 보이는 다양한 전공 심화를 운영 중이었다. 그러나, 4개 기관의 전공 심화 과정 모두 실기수업으로 이론 수업이 전무 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과 중국 대학교의 현대무용 교육과정 비교 연구

        백맹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 문 요 약 한국과 중국 대학교의 현대무용 교육과정 비교연구 한국과 중국은 공통된 문화적 배경과 사회풍속을 갖고 있기 때문에, 중국의 경우 미국과 유럽 등 서양의 다른 나라보다 한국의 현대무용에 대한 비교 연구는 중국 현대무용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한국 대학교와 중국 대학교의 현대무용 교육과정 및 현황을 파악하여 그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한 후, 이를 바탕으로 하여 중국 대학교의 현대무용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대학교 중에서 이화여자대학교와 상명대학교를 선택하였고, 중국의 대학교 중에서 복경무용학원과 수도사범대학을 선택하였다. 이들 4개 대학을 대상으로 하여 중국의 현대무용 교육과정에 관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들 4개 대학교의 현대무용의 교육목표, 교육과정(이론과목, 실기과목), 교육내용 및 방법 등을 순서대로 고찰하고,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각각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추론할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대학교의 현대무용 교육목표처럼 중국 대학교의 현대무용 교육목표에도 무용 전문 인력의 양성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한국의 대학교와 마찬가지로 중국의 대학교에서도 현대무용의 이론과목으로서 “무용표기법”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국의 대학교의 현대무용 실기 과목을 10개 강좌 이상 확대하여 한국의 대학교처럼 반복적인 실기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Comparative Study of Modern Dance Curriculum in University of Korea and China Bai Meng Dept. of Damce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Korea and China have a common cultural background and social customs, because the comparative study of Korea's modern dance than any other country in Wester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can be consider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dance in China. Thu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problem of modern dance's curriculum and education status in the Korea's University and the China's University, and on this basis aims to establish a improvement for modern dance curriculum of China's University. In this paper, Ewha Womans University and Sang Myung University in Korea was selected, and Beijing Dancing Academy and Capital Normal University in China also was selected. and this paper was done comparative study about the curriculum of modern dance targeting these four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Specifically, the objectives of education, teaching courses (theoretical courses, practical courses),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of modern dance in these four Universities were analyzed f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conclusion in this paper can be inferred as follows. First, as with Korea's University in the object of modern dance at China's University the educational objectives for the training and upbringing of professional dance staff is even more desirable. Second, as with Korea's University in the theoretical courses of modern dance "dance notation" needs to be added in China's University. Third, as with Korea's University practical courses of modern dance should be increased more than 10 courses and repeated practical learning should be d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