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로봇산업과 문화예술산업의 융합 활성화 방안 연구 : 4차 산업혁명의 관점에서

        맹주영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최근 들어, ‘4차 산업혁명이 다가오고 있다. 우리도 뒤처지지 않게 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부척 커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을 둘러싼 충분한 사회적 이해가 부족한 가운데서도 경제계는 물론 정치권의 대선주자들도 이슈 선점을 위해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제 4차 산업혁명의 도래는 거역할 수 없는 물결이고, 우리에게 남은 과제란 물결에 휩쓸리지 말고 올라타는 것뿐인 것 같은 분위기가 연출되고 있다. 아무래도 최근 불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의 붐’은 알파고와 떼어내서 생각하긴 힘들 것 같다. 2016년 3월, ‘세기의 대결’로 이름 붙여진 그 바둑 대국은 우리에게 큰 충격으로 다가왔다. 하필 한국에서, 한국인 바둑기사가 대국자가 나섰고,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예상이 보기 좋게 빗나가 인공지능 알파고의 일방적 승리로 끝났으니 말이다. 알파고의 놀라운 기술적 성장에 대한 찬사와 함께 인간이 기계에 뒤처지기 시작했다는 우려와 탄식, 기계에 의한 지배라는 SF 영화적 상상력이 공포심을 자극했다. 알파고의 성능과 우수성은 자율주행차량을 비롯한 인공지능의 상업화에 대한 기대감을 한껏 키웠고, 동시에 미래 일자리가 줄어든다는 위기의식이 고조되었다. 이세돌과 알파고와의 대국은 문화예술 산업화에 적잖은 과제를 남겨줬다. 일반적으로 산업화는 생산성의 증대, 분업화, 시장의 고도화를 바탕으로 제조 위주의 1차 산업에서 2차, 3차 산업의 비중이 높아지는 현상과 변화를 의미한다. 반면에 문화예술의 산업화는 제조업과는 다른 관점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대중성이라는 큰 명제로 집약할 수 있고, 인공지능이 보다 가깝게 다가올 미래 시대의 유일한 대항 산업이라는 측면에서 활성화의 당위도 충분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관점에서 로봇산업과 문화예술산업의 융합 활성화 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두 산업의 국내외 융합 성공사례를 조사하였고, 중앙정부(문화체육관광부, 산업통상자원부, 미래창조과학부, 방송통신위원회) 와 광역자치단체(경기도, 대경권, 서울특별시)의 지원정책을 분석하였다. 지원정책을 바탕으로 전문가 설문을 구성하였다. AHP 분석에 활용된 설문의 구성은 로봇산업과 문화예술산업 지원정책에 대한 3개의 상위요인(핵심인력 양성 체계 구축,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 R&D 종합 역량 제고)과 9개의 하위 항목(재직자 교육 강화, 학생 실무교육 강화, 스마트 교육환경 구축, 공간 지원, 자금 지원, 공용장비 지원, 정책펀드 조성, 전담조직 신설, 로드맵 수립)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두 산업의 지원기관 및 관련 산업군 종사자 등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총 26개의 설문을 회수하여 회수율은 86%를 나타내었다. 전체 우선순위 분석 결과의 상위 3개 요인은 정책펀드 조성, 스마트 교육 환경 구축, 자금 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가의 의견은 로봇산업과 문화예술산업의 융합 활성화를 위하여 정책펀드 조성이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로봇산업과 문화예술산업의 융합 활성화를 하기 위한 네 가지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로 융합산업 융성을 위한 정책 펀드 조성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민간의 융합산업 투자를 확대시키고,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할 Key-Tech에 투자하기 위해 정책 펀드를 조성해야 한다. 정부와 금융권의 투자 재원을 공동으로 조성하는 대형 펀드로 고위험 융합산업 분야에 대한 투자 리스크를 경감시켜 민간의 적극적인 투자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정부와 금융기관이 힘을 합친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두 번째로 창의적·혁신적 과학기술인력 양성 체계 구축이다. 무학제/무학과 무학년 개념의 온/오프라인 학제 등 새로운 교육 시스템을 도입하고, 이공학적 소양과 디자인적 사고를 갖춘 창의적·융합적 과학기술인재의 육성을 위해 지식 중심이 아닌 “역량 키우기” 중심의 교육시스템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R&D 역량 강화(광역·지자체 관점에서)이다. 혁신 인큐베이터 기능을 할 수 있는 R&D연구소를 만들어 개별기업에게 직접적인 자금지원보다 다른 혁신기관들과의 협력 하에 R&D연구소가 개별기업의 수요에 맞추어 R&D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네 번째로 혁신 스타트업 활성화이다. 기존의 자금지원이 아니라 기술지원이나 혁신적인 비즈니스모델의 창출을 지원하는 창업지원정책도 필요할 것이다. 혁신적인 창업은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며 미래의 고부가가치산업을 육성시킬 수 있으며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활성화 방안이 인공지능인 과학기술과 예술분야가 융복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예술 전 분야에 인간 중심적 사고에서 출발한 창의적인 콘텐츠가 개발되고 사회적, 경제적으로도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인공지능이 창의성을 요구하는 문화예술분야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디지털 네이티브의 여행 스타일이 여행 비즈니스 환경에 미치는 영향

        이애림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사람들의 여행 스타일이 바뀌고 있다. 사람들은 더 이상 집 앞 여행사 대리점을 찾아 여행 정보를 얻거나 여행상품을 예약하지 않는다. 휴대폰으로 직접 필요한 여행 정보를 찾아보고, 인터넷에서 항공권과 숙소를 직접 예약한다. 이는 국내 유수 여행사들의 실적하락과 글로벌 OTA의 성장과도 연관 지어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디지털 네이티브의 등장과 이들이 구매력을 갖춘 핵심 소비자로 부상하기 시작하면서 더욱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네이티브의 여행 스타일이 여행 비즈니스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는 디지털 네이티브, 여행 스타일, 여행 비즈니스, 체험 마케팅의 개념과 용어 정리, 디지털 네이티브의 특성, 욕구, 가치체계 분석, 라이프스타일과 해외여행상품 선택요인, 체험마케팅과 관광에 관한 선행연구, 업계 현황 파악, 설문조사, 결과 분석, 결론 도출 순으로 진행되었다. ​설문조사는 만 29세 이하의 디지털 네이티브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에서 진행되었으며, 조사 내용은 크게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일반사항, 여행 목적, 여행 인식, 주 이용 여행 방식, 향후 이용 의사가 있는 여행 방식 및 여행사 서비스로 이루어졌다. 설문조사를 통해 획득한 143개의 유효 표본은 SPSS를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T-검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디지털 네이티브의 여행 목적은 감성적 측면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성, 감각, 행동, 관계, 인지 순으로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비용 측면에서 살펴본 여행에 대한 인식조사에서는 이들이 비용에 민감하면서도, 패키지여행은 선호하지 않으며, 같은 지역을 여행할 때 설령 비용이 더 들더라도 자유여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맥락에서 여행 비용이 절약되더라도 여행사의 옵션, 쇼핑센터 이용 의사는 없으며, 여행의 품질이 보장된다면 비용이 비싸져도 이해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다만, 이들은 특별한 경우에는 패키지 이용 의사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 정보 수집 측면에서 살펴본 여행에 대한 인식조사에서는 이들이 여행 정보를 수집하는 데는 자신감을 느끼나, 스스로 수집한 정보에 대한 신뢰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런데도 여행 정보를 위해 비용을 지급하거나 여행사를 이용하겠다는 생각은 5점 척도 기준 평균 3.5 수준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 측면에서 살펴본 여행에 대한 인식조사에서는 이들이 여행 중 안전문제에 대해 불안함이 있으며, 이로 인해 여행사 이용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 방식에서는 완전 자유여행 또는 자유여행+여행사 단품 서비스 결합형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다만, 자유여행을 하더라도 일정 부분에서는 여행사를 이용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선 인식조사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안전문제와 관련한 여행사 서비스 이용 의사가 가장 높았으며 현지투어, 레저/액티비티, 교통패스, 입장권과 같은 단품 부분에서도 높은 이용 의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집단을 성별, 연령, 해외여행 경험 여부, 여행 시 동반자 유무, 여행사 이용 경험 여부에 따라 실시한 T-검증 결과, 여행 목적, 여행 인식 모두 여행 동반자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 동반자가 없을 때 응답자들은 여행에서 보고, 배우고, 이야기하고, 새로운 인간관계를 만드는 데 더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행 동반자가 없는 경우, 여행 정보 수집과 수집한 정보의 신뢰도 부분에 더욱 자신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여행사의 옵션과 쇼핑에서는 여행 동반자 없는 경우 더욱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여행 동반자가 있는 경우에는 안전사고 발생 시 여행사 이용 의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상한 바와 같이 디지털 네이티브는 자유여행을 선호하며, 여행사에는 특정한 경우에만 서비스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행사는 소비자가 기대하는 특별한 경우를 정확히 파악하여,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여행사는 트렌드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며, 패키지 위주의 상품군에서 탈피해야 할 것이다. 패키지 여행상품이 아직은 여행사의 가장 큰 수익창출원인 것이 분명하지만, 패키지여행은 소비자 개개인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어렵고, 여행사의 가장 큰 잠재 고객인 디지털 네이티브에게 이미 외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패키지 여행상품은 진화가 필요하며, 여행사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여행사가 기획한 여행상품을 소비자에게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형태가 아닌 소비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는 특색있고 전문화된 상품을 제공해야 하며, 이를 위해 차별화된 여행 콘텐츠를 확보해야 한다. 여행사가 가지고 있는 전문적인 여행 지식을 서비스하면서, 동시에 여행자가 직접 경험한 여행 정보를 공유하는 여행 정보 공유의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여행사들이 갖추고 있는 국내외 인프라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전 세계의 여행 시설과 서비스 업자 등 여행 콘텐츠를 발굴하고, 이들과 여행자를 중개하는 즉, 이들의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유통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통합DB 구축을 통해 개개인에 맞춘 즉각적인 실시간 마케팅과 개별 맞춤형 여행 제안이 수반될 때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changed the way of how people travel. Those who are planning a trip no longer visit tourist agencies for package tour. They rather look up information themselves and directly book flight, hotel or other tickets through internet. In the same vein, the high growth of OTA(Online Travel Agency) and the poor performance of leading Korean travel companies can be explained. Furthermore, this trend seems to be accelerated as digital native grows into a key consumer. So, in this thesis, an exploratory study of the effects of digital native’s travel style on the travel business was conducted. This study consists of definition of concept, precedent research, understanding of the industry, survey, SPSS analysis and conclusion. The survey which consists of general details of respondents, their purpose and awareness of travel as well as their way of travel was conducted both on and off-line for digital native under the age of 29. 143 valid samples were analyzed using SPSS for statistic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According to the analysis, emotional aspect was the most influential reason of digital native's purpose of travel. About their awareness of travel, the research proved that digital native reacts sensitively to expenses. However, it also showed even though package tour is cheaper than FIT, they prefer FIT to the package. Also, it turned out they are willing to spend money when the quality of the travel service is guaranteed in spite of their sensitivity to expenses. In addition, they on and off have a willing of use travel agencies in special occasions. Also, it proved that they are good at finding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even though they are not sure about the credibility of the information. Nevertheless, they don't consider paying money or using travel companies for information. However, it turned out they have quite concerns about safety when they travel, and, on that account, they consider to use travel companies. About their way of travel, the research proved their favor of FIT. But, it also showed that, occasionally, they are willing to use the service such as safety-related services, local tours, leisure, activity, rented car, travel passes, etc. from travel companies even if they favor FIT. According to the T-test, respondent groups which is grouped by existence of travelling companion showed differences on the purpose and awareness of travel. When there is no partner, they tend to be more supportive of seeing, learning, talking and building new relationships on their travel. Also, in the absence of partner, they tend to be more confident in finding information and the credibility of the information they found. However, when it comes to options and shopping at travel companies, they tend to be more negative.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partner, they have tendency to use travel companies when safety related problems happen. As I expected, digital native prefer FIT to package tour and they seldom expect to use services from travel agencies on special occasions. Therefore, travel agencies should find out what are the special occasions and provide the services they need. Also, to meet the diverse needs of consumers, especially digital native consumers, travel agencies should respond sensitively to changing trends and diversify their products and services instead of obsessing the package. To do this, firstly, it is important to provide a distinctive and specialized information and service which meets the needs of the consumers. And the way of sharing information should be bilateral and convenient so that the consumer and the provider can make expansive reproduction. Furthermore, when the travel companies find out competitive travel related contents from the world by using their global network and mediate it between producers and the consumers, it may strengthen its own competitiveness. In addition, when it build a integrated database and offer individual and specific travel advice and do real-time marketing through the DB, it will have market competitiveness.

      • 뮤:콘, 잔다리페스타 비교분석을 통한 국내 뮤직마켓 활성화 모델 연구

        김미소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transition from the recording industry to the digital music industry has led to innovation in distribution. The development of wired and wireless networks and the birth of various smart devices have created an environment where people can listen to music anytime and anywhere. As a result, distribution of records and sound sources has become possible not only in Korea but also around the world. The music performance industry, which emerged as an alternative business model in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recording industry to the digital music industry, has grown grea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omestic music industry ecosystem and the flow of market changes in the structure of the world music industry and to derive the domestic music market activation model through the analysis of MU: CON and Zandari Festa. In order to do this, literature study related to the music industry is done to understand the market trends of the domestic recording, digital music and performance industries. In addition, through Michael Porter 's value chain, this study analyzed the value-added creation structure of domestic recording industry, digital music industry and music performance industry.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downturn in the domestic market, the musical performance industry has emerged and has grown significantly since then. Large-scale entertainment companies led the intensive export of K-POP, and the music market was established as part of the government's content industry policy.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various changes occurred in the distribution part of the value chain of creation - production - distribution – consumption. Also, the digital industry that was strongly affected b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ms similar ecosystem as the C-P-N-D value chain of ICT ecosystem. The Music Market is a place to promote distribution of music contents. In the music market, B2B music business between producers and intermediaries of music contents is intensively performed, and domestic music contents are mostly paving the way for overseas expansion through music market. In this study, the music market is understood as an integrated music ecosystem where the purpose of music contents such as records, sound sources, performances and the purpose of interested persons in music industry are strongly connected. There are public-sponsored MU: CON and privately-held Zandari festa, which were both established in 2012 and operated up to 7 times. In this study, Contents(C), Operation System(O), Network(N) and Stage(S) are drawn as core elements of a music market, and this is how MU:CON and Zandari Festa are analyzed focused on these ele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stability factors of the public and private music market are shown to be manpower and financial resources respectively.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N (Network) - S (Stage), this process is cut off without indirect support of policy and financial resources. In the music market, it is important to connect to N (Network) - S (Stage) to spread distribution. The domestic music market is a public distribution platform that the core attributes(creator, creativity) of contents centered on music performances are emphasized. And it is difficult to sustain the platform without the policy support of the music industry promotion and the input of public resources. It is important to revitalize the music market by establishing a public-private partnership model that can secure the stability of the platform and organically link the process of C-P-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music contents and music companies, a virtuous circle of the music industry ecosystem, global growth and enhancement of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music industry.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the music industry, especially the music market, is analyzed in connection with the ICT C-P-N-D ecosystem. Also, it is expected that various researches for revitalizing the domestic music industry circulation and various policy development for establishing a healthy music ecosystem will be possible centering on the models presented in this study. 음반 산업에서 디지털 음악산업으로의 전환은 유통의 혁신을 가져왔다. 유·무선 네트워크의 발달과 각종 스마트기기의 탄생은 언제 어디서든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국내 뿐 아니라 전 세계에 음반·음원의 유통이 가능해졌으며,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 플랫폼,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SNS를 통해 음악을 활용한 다양한 연계 콘텐츠가 제작되어 전 세계로 공유된다. 또한 음반 산업에서 디지털 음악산업으로의 과도기에 대안적 비즈니스 모델로 등장한 ‘음악공연산업’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크게 성장했다. 본 연구는 세계 음악산업의 구조 안에서 국내 음악산업 생태계와 시장 변화의 흐름을 살펴보고, 뮤:콘(MU:CON)과 잔다리페스타 분석을 통해 국내 뮤직마켓 활성화 모델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음악산업과 관련된 문헌연구를 통해 국내 음반·디지털음악·공연산업의 시장 동향을 파악하였고, 마이클 포터(Michael Porter)의 가치사슬을 통해 국내 음반 산업, 디지털 음악산업, 음악공연산업의 부가가치가 창출되는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음악시장은 2,000년 이후 음반시장의 급격한 하락과 디지털 음악산업으로의 전화의 과정에서 불법다운로드, 음원 수익분배 같은 문제들이 제기되면서 정체 현상을 보였으며, 내수시장의 침체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2007년 이후 음악공연산업이 크게 성장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SM, YG, JYP 로 대표되는 국내 대형 엔터테인먼트사의 비즈니스 전략으로 K-POP의 집중적인 해외수출이 이루어졌으며, 정부의 콘텐츠 산업 정책의 일환으로 뮤직마켓이 설립되어 국내 음악 콘텐츠의 해외진출이 증가하는 등 창작-제작-유통-소비의 가치사슬 중에서 유통 부문에서의 다양한 변화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강력한 영향을 받은 디지털 음악산업은 ICT 생태계의 C(Contents)-P(Platform)-N(Network)-D(Device) 가치사슬과 유사한 생태계를 형성한다. 뮤직마켓은 음악콘텐츠의 유통을 촉진하는 장으로, 음악콘텐츠 생산자와 매개자간의 B2B 형태의 뮤직비즈니스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며, 대형 엔터테인먼트사에서 제작되는 음악 콘텐츠를 제외하고, 국내 음악 콘텐츠는 대게 뮤직마켓을 통해 해외진출과 판로를 개척하는 양상을 보인다. 뮤직마켓은 음반·음원·공연 등의 음악콘텐츠와 음악산업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목적이 강력하게 연결되는 곳으로, 음악생태계의 집약체라 할 수 있다. 국내 대표적인 뮤직마켓에는 공공에서 주최하는 뮤:콘과 민간에서 주최하는 잔다리페스타가 있으며 이들은 2012년에 설립되어 7회까지 운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뮤직마켓의 핵심 요소로 콘텐츠(Contents), 운영시스템(Operation System), 네트워크(Network), 스테이지(Stage)를 도출하고, 이를 중심으로 뮤:콘과 잔다리페스타를 분석한다. 그 결과, 공공 뮤직마켓은 뮤:콘은 컨벤션 유형으로 국내 인디음악, K-POP 쇼케이스 콘텐츠가 중심이 되고, 국내 음악콘텐츠의 해외진출의 직접적인 성과가 배출될 수 있는 유럽 및 북미 음악페스티벌, 부킹 에이전시를 중심으로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뮤:콘에서 배출되는 성과는 공공기관의 다른 해외진출 지원사업을 통해 성과가 연결되었다. 그러나 뮤:콘의 경우 공공기관 사업의 성격상 민간 위탁 용역의 형태로 마켓이 운영되는 시스템으로 운영주체가 유동적이고 일부 기간만 운영이 되는 위협요인이 있었다. 민간 뮤직마켓 잔다리페스타는 쇼케이스 페스티벌 유형으로 국내 및 해외 인디음악 쇼케이스 콘텐츠가 중심이 되고, 국제교류 형태의 성과가 배출될 수 있는 유럽 및 아시아 음악페스티벌, 해외 음악 무역 기관을 중심으로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잔다리페스타에서 배출되는 성과는 국내 아티스트의 해외 진출, 해외 아티스트의 아시아 진출, 국내 신규 음악프로젝트 제작 등이 있었다. 그러나 잔다리페스타의 경우, 민간에서 운영되는 행사의 성격상 공공 기관 지원금, 티켓 수익, 스테이지 판매, 기업스폰 등으로 운영 예산이 마련, 매해 불안정한 예산 구조와 금액이 위협요인이 되었으며, 잔다리페스타를 통해 해외진출의 성과가 배출되어도 해당 아티스트가 공공기관의 국제교류 지원금을 받는 것이 어려운 경우 성과가 이어지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 두 뮤직마켓 모두 콘텐츠의 정체성과 확립과 범위 재설정이 요구되며,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운영시스템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공연, 페스티벌 네트워크를 핵심 타깃으로, 음악산업 전반으로의 네트워크 개발과 확장되어야 하며, 다양한 성과 모델 개발과, 뮤직마켓 핵심 구성요소 마다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성과가 배출 관리 될 수 있는 사후 관리와 환류 체계가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공연, 음원, 음반의 가치사슬을 연결하고 통합하는 과정, 세계 음악시장 동향과 구조에 부합하는 뮤직마켓 중장기 전략과 로드맵 구축이 필요하다. 위의 한계점과 시사점을 바탕으로 뮤직마켓의 핵심 구성요소 C-O-N-S 강화, 디지털 음악시장 C´-P-N-D와 연결, 국내 음악콘텐츠가 C(뮤직마켓 쇼케이스)-C´(음원)-C´´(해외 음악공연)로 연결되는 성과가 다양하게 배출될 수 있는 국내 뮤직마켓 활성화 모델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음악산업과 뮤직마켓을 연계한 국내 음악산업의 구조와 생태계를 살펴본 데 의의가 있으며, 뮤직마켓을 통한 국내 음악콘텐츠의 해외진출과 유통활성화 모델을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을 중심으로 국내 음악산업 유통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와 건강한 음악 생태계 구축을 위한 다양한 정책개발 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포스트 방송한류를 위한 정책지원 모델

        성임경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Korean Wave-Hallyu’ is sweeping the world. Considering the global interest and popularity of hallyu, we may say that it has become a kind of global cultural trend or a cultural element or genre. The original genre of hallyu is broadcasting. The drama created hallyu, followed by K-Pop and entertainment programs, which captivated Asian viewers. Since then, hallyu, which seemed to be faltering due to the ‘Han-Han-Ryeong’ and anti-Korean sentiment in some countries, is making K-Pop more and more extraordinary. What is the next aspect of hallyu? How will the Broadcasting hallyu, which led to the beginning of the hallyu, evolve and how will we prepare for the future of the Broadcasting hallyu? Based on the survey of 10 field experts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the research aim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Broadcasting hallyu and to present a desirable policy support model. In particular, reflecting the rapid proliferation of OTT(Over The Top) and the explosive growth of personal media, the category of broadcasting contents comprehensively addressed not only traditional legacy media but also all platforms and devices. The first model of policy support for post-Broadcasting hallyu was the use of big data due to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llyu datafication is needed to develop, analyze and provide data of high value utilization, and the role of the datafication needs to be actively consider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Hallyu Data Center'. ‘Hallyu Data Center’ functions to establish and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urrent and future of hallyu. It should not be an only archive. Various data related to hallyu should be collected to build and analyze big data in demand at the site and utilize it in industry and policy sectors. In addition, it should comprehensively analyze and provide laws and institutions that are useful for advancing into hallyu by region and country, status and trend of contents consumption, current status of Korean contents, local responses,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Second, industries that utilize evolved media such as N-Screen should be supporte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expansion of infrastructure are completely changing the way content is used. Television viewing through traditional media is declining and access via online or mobile is becoming common. In particular, exposure of content including broadcasting are being conducted through OTT platforms and smart devices, and leading companies in the world are jumping into the market. It is evident that the emergence of a powerful platform with powerful funding, global distribution and drastic change in content consumption behavior. It is a change to a distribution structure of contents that does not differentiate between regions. Now, if contents are competitive, viewers from all over the world can be attracted through global platforms at the same time. The third is branding. There should be a brand that you can trust and look for again. A brand with loyal customers should be launched. MBC's <Infinite Challenge> is an example of broadcasting contents that has been established as a brand. It has closed but the fandom is steady, as if it has not shut down. This is the case with the famous sitcom <Friends>. However, it is a platform brand that needs to be established long-term to expand overseas advancement of Korean broadcasting contents, although popularity of individual contents is also important. Consumers continue to look for content on platforms they believe will b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purchase. The platform's brand power is formed. Supporting the establishment of a brand means support for a company and support for a person, not for a work. In the current structure, where production and broadcasting are not strictly separated and ownership of broadcasting contents is not fully guaranteed by the manufacturer, improvement in government support model is more urgent. Follow-up support should be provided if a certain level of performance is confirmed after government support. It is similar to discovering and incubating companies with high growth potential and fostering them into unicorn companies. We need brands such as Dreamworks, the absolute power of animation, and BBC, which specializes in documentaries. Finally, we need to improve the structure of our broadcasting industry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e paper script’ is said to be a symbolic term that reveals the inferiority of the Korean broadcasting industry. Production schedule is always in a hurry. Even though it is not enough time to increase the level of immersion in acting and perfection of the work, actors and staff in our production field have produced amazingly high-quality contents and created hallyu. However, there needs to be a change in production of contents that are labor intensive and time intensive. People-centered change.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mandatory application, not recommended, of the standard contract. The answer to hallyu is human, from beginning to end. Broadcasting hallyu is no different. people are more important. Only when the entire ecosystem environment is created through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 broadcasting industry will competent people be brought in and meaningful creative activities be carried out. They will lead the post-broadcasting hallyu. What should always be maintained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 aforementioned policy support model is the cultural approach to broadcasting hallyu. Before discussing creating industrial and economic values, we should discuss hallyu as a culture. Broadcasting is a common and main means of cultural enjoyment and sharing. That's why the broadcasting hallyu is the mainstream. An effective policy support model for post-broadcasting hallyu and access and agonizing over broadcasting hallyu could serve as a reference in other cultural industries, helping to improve the yield and minimize the industry's trial and error. 한류 열풍이 세계를 휩쓸고 있다. 현재 한류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과 인기를 고려하면 일종의 글로벌 문화 트렌드 혹은 하나의 문화요소나 장르로 자리 잡았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다. 본래 한류의 원조 장르는 방송이다. 드라마가 한류 열풍을 만들어냈고 K-Pop과 예능이 그 뒤를 이어 아시아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그 후 한한령과 일부 국가의 혐한·반한 등으로 인해 주춤하는 듯 했던 한류는 K-Pop을 필두로 더 크게, 더 멀리 비상하고 있다. 이러한 한류의 다음 모습은 무엇인가? 한류의 시작을 이끌었던 방송한류는 어떤 방식으로 진화할 것이며 우리는 방송한류의 미래를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본 연구는 방송산업의 현장 전문가 10인의 설문을 토대로 방송한류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미래 방송한류의 지향점과 바람직한 정책지원 모델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OTT의 급격한 확산과 개인미디어의 폭발적인 증가를 반영하여 방송콘텐츠의 범주는 전통적 올드미디어 뿐만 모든 플랫폼과 디바이스에 탑재되는 것을 포괄적으로 다루었다. 포스트 방송한류를 위한 정책지원 모델의 첫 번째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에 따른 빅데이터 활용을 꼽았다. 활용 가치가 높은 데이터의 개발과 분석, 제공을 위해 한류 데이터피케이션이 필요하며 그 역할을 ‘한류데이터센터’의 설립을 통해 수행하는 것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한류데이터센터는 한류의 현재와 미래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구축,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순한 아카이브에 머물러서는 안된다. 한류 관련 다양한 자료의 수집을 통해 현장의 수요가 있는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분석하고 산업계와 정책 분야에서 활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해외 권역별, 국가별로 한류 진출에 유용한 법·제도, 콘텐츠 소비 현황과 추이, 우리 콘텐츠의 진출 현황, 현지 반응 및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포괄적으로 분석하고 제공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두 번째로 N스크린 등 진화된 미디어를 활용하는 산업을 지원해야 한다. 기술의 발달과 인프라의 확충은 콘텐츠를 이용하는 행태를 완전히 바꿔놓고 있다. 전통적인 미디어를 통한 방송 시청은 크게 줄어들고 있으며 온라인 또는 모바일을 통한 접근이 보편화 되고 있다. 특히 방송을 포함한 온갖 콘텐츠의 노출 경로가 OTT 플랫폼과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세계 굴지의 기업들은 앞다투어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막강한 자금력과 글로벌 배급력을 갖춘 강력한 플랫폼의 등장과 콘텐츠 소비행태의 급격한 변화가 의미하는 것은 너무나 자명하다. 바로 지역 구분 없는 콘텐츠 유통 구조로의 변화다. 이제는 콘텐츠의 경쟁력만 있다면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 시청자를 동시에 끌어들일 수 있다. 세 번째는 브랜딩이다. 믿고 보고 다시 찾는 브랜드가 나와야 한다. 충성도 높은 고객을 보유한 브랜드가 나와야 한다. MBC의 <무한도전>은 하나의 브랜드로 자리 잡은 방송 콘텐츠의 대표적인 예가 될 수 있다. 종영되었지만 종영되지 않은 듯 팬덤이 꾸준하다. 유명한 시트콤 <프렌즈(Friends)>가 그러하다. 그러나 개별 콘텐츠의 인기도 중요하지만 우리 방송콘텐츠의 해외진출 확대를 위해 장기적으로 구축해야 하는 것은 플랫폼 브랜드다. 소비자는 구매 만족도가 높을 것이라 믿는 플랫폼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찾게 된다. 그 플랫폼의 브랜드 파워가 형성되는 것이다. 브랜드 구축을 지원한다는 것은 곧 작품에 대한 지원이 아닌 기업에 대한 지원이자 사람에 대한 지원을 의미한다. 제작과 편성이 엄격하게 분리되어 있지 않으며 방송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이 제작사의 것으로 온전히 보장받지 못하는 현재의 구조에서는 지원방식에 대한 개선이 더욱 시급하다. 정부의 지원 이후 일정 수준의 성과를 확인하게 되면 후속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치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발굴, 인큐베이팅부터 시작해서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시키는 것과 비슷하다. 애니메이션의 절대강자 드림웍스, 믿고 보는 다큐멘터리 전문 플랫폼 BBC 같은 브랜드가 우리에게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4차 산업혁명의 급변하는 환경에 대처할 수 있도록 우리 방송 산업계의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 쪽대본은 우리 방송 제작현장의 열악함을 드러내는 상징적인 용어로 통한다. 편성에 쫓겨 제작이 이뤄지고 배우들은 가까스로 완성된 대본을 숨 가쁘게 소화해야 한다. 연기 몰입도와 작품 완성도를 높이기에 턱없이 부족한 시간임에도 그간 우리 제작 현장의 배우와 스태프들은 놀랍도록 수준 높은 콘텐츠를 만들어냈고 한류를 일궈냈다. 그러나 이제는 노동집약적, 시간집약적인 콘텐츠 생산현장에 변화가 필요하다.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변화 말이다. 표준계약서의 권장이 아닌 강제 적용을 검토할 필요도 있다. 한류답사. 한류의 답은 사람이며 시작도 사람, 끝도 사람이다. 방송한류도 다르지 않다. 아니 더더욱 사람이 중요하다. 방송산업의 지속적인 체질 개선을 통해 온전한 생태계 환경이 조성되어야 역량 있는 인재들이 유입되고 의미 있는 창작활동을 펼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이 포스트 한류를 선도하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 언급한 정책지원 모델을 계획하고 시행함에 있어서 항상 견지해야 하는 것은 방송한류에 대한 문화적 접근방식이다. 산업적, 경제적 가치창출을 논하기 이전에 문화로서의 한류를 논해야 한다. 방송은 문화의 향유와 공유를 위한 보편적이고 주된 수단이다. 방송한류는 그래서 주류다. 방송한류에 대한 접근과 고민, 포스트 방송한류를 위한 효과적인 정책지원 모델은 여타 문화산업에서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며 투입 대비 산출효과를 제고하고 산업계의 시행착오를 최소화 하는데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신진패션디자이너의 해외 진출 플랫폼 모형 개발 연구

        이지환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15

        국내 패션디자이너 브랜드 관련 산업이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축하여 일정 규모 이상으로 성장을 기대하는 근본적인 고민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패션디자이너 브랜드의 요구와 애로사항을 면밀히 분석함과 동시에 이를 바탕으로 현재까지 진행된 다양한 해외 진출 지원방식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고 이러한 지원방식이 실제 비즈니스로 원활히 연결되어 성과를 창출하고 있는지 점검하고 현 방식의 문제점과 패션디자이너 요구를 종합하여 국내 신진패션디자이너의 해외 진출에 실제 적용 가능한 해외진출 지원 플랫폼 모형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국내 최대 규모의 수주회를 다년간 진행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의 ‘패션코드(Fashion Kode)’행사에서 축적된 자료와 KOTRA, 서울산업진흥원 등의 해외 진출 프로그램에서 나온 각종 자료를 종합하여 기존 모형을 연구 분석하고 디자이너 심층 인터뷰와 미국 뉴욕 현지 답사를 통해 조사한 현지 상황과 자료를 바탕으로 최종 플랫폼 모형을 완성하였다. 심층 인터뷰를 통해 진행한 국내 신진급 디자이너의 해외 진출 요구 개별 인터뷰 내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정리해 보면, 체계적인 지원, 단기보다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지원, 디자이너별 상황과 환경이 다른 부분을 모두 포용할 수 있는 맞춤형 지원,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지만 실제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 디자이너 고유의 창의적 차별화와 시장 가치 담보, 판로의 다양한 접근 등이 새로운 플랫폼 모형에서는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해외 진출을 위한 기본적인 신진패션디자이너 기본교육을 통해 연속성을 확보하고, 이후 본격적인 플랫폼 모형의 1단계인 ‘전시PT쇼’, 2단계인 ‘패션쇼’, 3단계인 ‘쇼룸 구축’, 4단계인 ‘라이프스타일숍 구축’으로 단계별 지원체계 형식을 기본으로 하였다. 새로운 신진패션디자이너에 맞는 새로운 지원 방식의 발굴 필요성에서 시작된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도 다양하고 더 진화된 지원 체계가 구현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해외 진출은 현지와의 거리상 제약뿐만 아니라 언어, 작업방식 등의 차이로 긴밀한 커뮤니케이션이 어렵기 때문에 한국 문화 및 패션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있는 현지 패션전문가 및 바이어를 중장기적으로 관리하고 DB화하여 관리하는 장기 추진 과제도 지속적으로 고민되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motion of the Korea fashion designer brand industry. First, in addition to analyze promotion programs. example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 Fashion Kode (Fashion Kode)', 'KOTRA', 'The Seoul Industry Promotion Agency'. For this study, visited the New York, july 2015, and in-depth interview of korean fashion designers. Through suggest a new platform model. The main model structure is as follows. Pre-Step is 'Education', Step1 is 'Show Exhibition Presentation'. Step2 'Fashion show', Step3 "The showroom", Step4 'lifestyle shop'. This study propose a new support platform for young korea fashion designers. I hope this study will continue through the diverse and more evolved support system research progress. The way of work is very difficult as the difference between Overseas cultural differences, distance, language, and etc. This close communication and ongoing effort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Korea fashion needs. Since then, further research is needed make a DataBase of the local fashion experts and buyers, and management.

      • 전기자동차 보급 활성화에 관한 연구 : -AHP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정의경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15

        최근 온실가스 증가 및 고농도 미세먼지의 잦은 발생으로 인해 환경오염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고조되면서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각국은 석유자원의 고갈과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기자동차 보급을 확대할 다양한 정책들을 도입 추진하고 있으나 높은 초기 구매비용과 1회 충전 시 가능한 주행거리 한계 등 전기자동차가 가지는 단점으로 인해 보급실적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정부는 전기자동차의 보급 확대를 위해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전기자동차 사용에 불편함이 없게 지속적으로 충전 인프라를 확충할 계획이며 인센티브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기자동차 보급 활성화를 위하여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책들을 진단하고 향후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를 위해 정부가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이론적 고찰로 전기자동차 보급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한 후 AHP 계층분석방법을 통해 정부가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정책에 관해 알아보았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위영역의 분석결과 전기자동차 보급 활성화 영향요인들 간의 우선순위에 있어 충전 인프라 구축이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기자동차 보급 활성화에 충전 인프라 구축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요인이며 그 다음으로 인센티브, 법적·제도적 정책 순으로 우선순위가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둘째 하위요인들의 종합적 분석결과는 ‘가정, 직장, 공공시설 등 편리한 충전장소 확보’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그 뒤로 ‘주유소 수준의 급속충전시설 확보’, ‘초기 구매비용지원’, ‘전기자동차 기술개발 지원’ 순으로 전기자동차 보급 활성화를 위해 우선시 되어야 할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전기자동차 이용에 따른 불편함과 초기구매비용에 따른 부담감에 의한 결과로 전기자동차 보급을 활성화를 위해서는 우선 충전 인프라를 확충하고 초기구매 비용과 전기차 이용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을 최대한 지원해야 하다. 또한 전기자동차 이용의 최대 걸림돌인 1회 충전 시 짧은 주행거리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가 지속적으로 기술개발을 지원하여 밧데리 기술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상위영역인 충전 인프라 구축의 하위 영역들 간 우선순위를 살펴보면 ‘가정, 직장, 공공시설 등 편리한 충전장소 확보’가 ‘주유소 수준의 급속충전시설 확충’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보여주며, 하위 영역들 간 우선선위 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전기자동차가 가지는 장점이 반영된 것으로 내연기관 자동차와 달리 긴 충전시간이 필요하지만 가정, 직장, 공공시설 등에서 주차된 상태로 저렴하고 편리하게 충전이 가능하다는 것이 전기차의 보급 활성화에 가장 큰 유인책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충전 인프라 확충 시 가장 우선 적으로 고려해 할 것이다.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national concerns about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the increased greenhouse gas and the frequent occurrence of high-concentration fine dusts, the interest in electric vehicles emitting no air pollutant has been on the increase. While each country as well as South Korea are currently taking and implementing a diversity of measures to extend the supply of electric vehicles with the aim of solving the problems of petroleum resources exhaus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 limited number of electric vehicles have been supplied due to their limitations, including costly initial purchase and limited per-charge mileage. Still, the government has laid the institutional ground for extending the supply of electric vehicles, plans to supplement charging infrastructures continuously so that people can use electric vehicles conveniently, and is actively using incen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agnose the policies currently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to activate the supply of electric vehicles and to present a direction for policies to which the government must give the first consideration in extending the supply of electric vehicles. For this purpose, theoretical review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activation of the supply of electric vehicles; the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olicies to which the government must give the first consideration. First, the analysis of the principal areas gave the first priority to charging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mong the factors affecting the activation of the supply of electric vehicles.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ctivating the supply of electric vehicles is charging infrastructure construction, followed by incentives and legal and institutional policies. Second,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sub-areas gave the first priority to 'the supply of convenient charging sites at home, workplace, public facilities, etc.', followed by 'the supply of rapid charging facilities at the level of gas stations,' 'financial support for initial purchase,' and 'support for technical development of electric vehicles,' in activating the supply of electric vehicles. This result is due to the current inconvenience in using electric vehicles and financial burden of initial purcha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charging infrastructures and give the maximum financial support for initial purchase and additional costs in using them with the objective of activating the supply of electric vehicles. In addition, the government needs to become competitive in battery techniques by giving constant support to technical development with the aim of solving the problem of limited per-charge mileage, which is the greatest obstacle to the use of electric vehicles. Lastly, as for the priorities among the sub-areas of charging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 principal area to which the first priority should be given, 'the supply of convenient charging sites at home, workplace, public facilities, etc.' was found to be relatively more important than 'the supply of rapid charging facilities at the level of gas stations' and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 sub-areas. These results reflect the advantages of electric vehicles, which require more time for charging than those wit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greatest incentive for activating the supply of electric vehicles is the possibility of inexpensive and convenient charging while parked at home, workplace, public facilities, etc.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give the first priority to this issue in supplementing the charging infrastructures.

      • 외국인의 서원 체험관광 활성화 방안연구

        손소희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15

        2011년 12월 9일, 한국의 서원이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Seowon, confucian Academies of Korea"로 이름을 올렸다. 유네스코 등재를 위해 한국에서는 서원을 활용하기 위해 여러 노력을 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2014년부터 “최고의 보존은 지속적인 활용”이라는 비전 아래 ‘살아숨쉬는 향교ㆍ서원 활용사업’ 진행하고 있고, 이 사업에 참여하는 서원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문화유산인 서원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려는 연구들(2016년 기준, 20편)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이 내국인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외국인관광객들을 위한 서원 체험 관광 상품은 활성화 되지 않은 상태이다. 서원은 조선시대 중기에 발생한 사립 교육기관으로 그 안에 유교사상과 공동체 생활, 한국의 전통문화가 담긴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사(士)들이 모여 지내던 서원은 학생들뿐 아니라 그들을 가르치던 원장과, 그들의 생활을 도왔던 노비, 그리고 서원 주변 마을사람들의 이야기까지 모두 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국의 선비문화와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서원이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은 타겟인 외국인관광객들을 대상으로 관광자원으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그 가치를 살펴보고, 그에 맞는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서원체험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월봉서원과 한국의 대표적인 서원이라 할 수 있는 도산서원의 사례 조사와 문헌조사를 통한 선행연구, 일반 외국인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도산서원 관계자 인터뷰 및 도산서원 외국인관광객 인터뷰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한국을 찾은 외국인관광객의 특성과 서원 체험관광 활성화 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한국을 찾은 외국인관광객들은 대부분이 한국의 전통문화를 체험하였고, 그에 대한 만족감을 나타냈다. 또한 서원체험에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외국인관광객들의 서원 체험관광 시장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은 공예, 마을 답사 등 참여적 체험형과 탐방형 프로그램을 선호하며, 강의형 프로그램에는 큰 흥미를 느끼지 않았다. 응답자들은 서원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였지만, 아직 서원에 대한 홍보가 충분히 이뤄지고 있지 않아 서원을 알지 못 하는 관광객들이 많았으며, 이에 대한 정보지식 서비스 체계가 구축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서원 관광의 홍보를 위한 지식정보 서비스 체계 구축과 미디어를 활용한 국내외 마케팅, 외국인관광객을 위한 안내 서비스 활성화 및 전문인력 양성, 외국인관광객의 특성을 고려한 관광 콘텐츠 개발과 한류 문화 관광과 연계한 관광 연계 시스템 및 문화 상품 개발, 서원의 운영을 활성화하기 위한 문중-지자체-문화기획자들 간의 파트너십 구축과 그들의 협업, 4차 산업 혁명 트렌드에 발맞춘 VR과 AR 콘텐츠 제공을 서원 체험관광의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 사회복지법인의 회계시스템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방영희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15

        Today, social welfare projects are increasing in importance, and responsibility for transparency and accuracy of budget execution is increasing. In order for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 to properly provide the social welfare service, which is a unique purpose, it is urgently necessary to establish an accounting system that can secure the trust of the members of the society.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results of the survey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social welfare accounting system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four research projects are as follows: recognition of the accounting system of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 problems with the accounting system, transparency according to utilization of the social welfare facility information system, and problems of the social welfare institution information system.   First, in the recognition of accounting system, accounting process is applied in accordance with accounting regulations, accounting system is improved compared to before the introduction of computerized accounting, and disclosure of settlement of accounts has been well done based on financial accounting rules. However, the insufficient knowledge of the current accounting system led to a high desire for education.   Second, the problem of the accounting system was lack of professional education on financial accounting rules and difficulties in the business system with administrative agencies.   Third, the transparency of social welfare facility information system reflects the transparency due to the use of the system, which contributes to the standardization and transparency of the system.   Fourth, the problems of the social welfare facility information system are not the improvement of the program function and the quality according to the different faciliti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re given. As for the accounting system, first, the accounting manual necessary for the accounting work should be made at least by the administrative unit of the municipal government, so that it can be applied in common regardless of the change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work. Second, customized accounting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competency of the accountant. Also, not only the institution but also the person in charge of administration should be able to participate in education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ird, the problem of application of double bookkeeping should not be applied unconditionally to institutions, but the accounting system for nonprofit social welfare corporations should be defined reflecting the social welfare field.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system that reflec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specialized education on social welfare facility information system and strengthen the capacity of counselors so that the system can be operated well. Third, the server and system should be strengthened so that accessibility and work efficiency can be secured at the same time. Fourth, when system maintenance and improvement are reflected, it should be easy to carry out smooth work by temporary adjustment according to the accounting work in the field.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analyzing causality in the questionnaire structure due to the analysis through the questionnaire. If further analysis is done in future studies, a wide range of improvement measures will be suggested. 오늘날 사회복지사업은 그 중요성이 더해가고 있으며, 그에 따른 예산 집행의 투명성과 정확성에 대한 책임도 증가하고 있다. 사회복지법인이 고유목적인 사회복지서비스를 제대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회 구성원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회계시스템의 구축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법인 회계 시스템의 운영 실태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사회복지법인의 회계제도에 대한 인식, 회계제도에 대한 문제점,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의 활용에 따른 투명성,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의 문제점이라는 네 개의 연구 과제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계제도의 인식에 있어서는 회계 관련 법규를 준용하여 업무처리를 하고 있고, 전산회계 도입 이전에 비해 회계제도가 개선되었으며, 결산공시 등도 재무회계규칙에 입각하여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만 현 회계제도에 대한 불충분한 지식으로 교육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둘째, 회계제도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재무회계규칙 관련 법규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의 부족과 행정기관과의 업무체계에서의 어려움을 들었다. 셋째,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의 활용에 따른 투명성에 있어서는 시스템 사용으로 인해 투명성이 잘 반영된다는 결과를 보여 국가에서 주도적으로 실시한 시스템의 운영 목적에 적합하게 표준화와 투명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시설별 차이에 따른 프로그램 기능과 품질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는 점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회계제도에 대해서는 첫째, 회계업무처리에 필요한 회계 매뉴얼이 적어도 시군구 관할 행정단위로라도 만들어져 업무 담당자의 변동에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회계 담당자 역량에 맞는 맞춤형 회계 전문교육이 실시되어야 하며, 기관 뿐 아니라 행정기관의 담당자 역시도 함께 교육에 참여하여 서로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기존에 제시되었던 복식부기의 적용 문제도 무조건적으로 기관에 적용하기보다 비영리 사회복지법인에 맞는 회계제도를 사회복지 현장을 반영하여 규정해야 한다.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에 대해서는 첫째, 사회복지시설의 개별적인 특성을 반영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에 대한 전문 교육을 실시하고 상담원의 역량을 강화하여 시스템이 잘 운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접근성과 업무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서버 확충과 시스템을 강화하여야 한다. 넷째, 시스템 유지 보수 및 개선사항 반영 시 현장의 회계업무에 맞춘 일시 조정으로 원활한 업무수행에 무리가 되지 않아야 한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한 분석으로 인해 설문지 구성상 인과관계 분석의 어려움이 있어 다변량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 좀 더 다양한 방법으로의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폭넓은 개선방안이 제시되리라 기대된다.

      • 카쉐어링 사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배지호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15

        국문초록 카쉐어링은 환경문제와 교통혼잡 문제를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정책이다. 본 연구는 카쉐어링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요인들을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출한 후 계층분석법(AHP)으로 요인 간의 우선순위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카쉐어링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위영역의 분석결과를 보면 카쉐어링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들의 우선순위에 있어 인프라 요인이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로 도출되었으며, 다음으로 운영적 요인, 제도적 요인 순으로 우선순위가 도출되었다. 둘째, 하위영역의 분석결과 인프라 요인 부문의 하위영역 간의 우선순위로 ‘이용자들이 어디서든 이용 가능하도록 차량대여소 확보’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도심지역, 주택 밀집 지역에 카쉐어링 전용 주차 공간 확보’ 순위이다. 셋째, 하위영역의 분석결과 운영적 요인 부문의 하위영역 간의 우선순위로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자들의 부담 감소’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사고 시 보험처리가 가능하여 위험부담 감소’ 순위이다. 넷째, 하위영역의 분석결과 제도적 요인 부문의 하위영역 간의 우선순위로 ‘법인, 단체 업무용으로 카쉐어링 도입 시 인센티브 지급’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카쉐어링 사업자에 친환경 자동차 구매 보조금 지원’ 순위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우선순위에 따라 카쉐어링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제안 1 인프라 요인 첫째, 이용자들이 카쉐어링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이 좋은 장소에 차량대여소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둘째, 복잡한 도심지역과 주차공간이 부족한 주택 밀집 지역에 카쉐어링 전용 주차공간을 확보하여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제안 2 운영적 요인 첫째, 보조금 지원, 인센티브 제공을 통해 카쉐어링 업체가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둘째, 업체 보험 가입을 의무화하고, 보험 상품을 다양화하는 등 이용자가 사고처리에 부담 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제안 3 제도적 요인 첫째, 법인/단체에서 업무용으로 카쉐어링을 도입할 경우 세제 혜택 등의 인센티브를 지급하여야 한다. 둘째, 친환경 차량 구입 보조금 지급 대상을 확대하여 카쉐어링 사업자의 차량 구입 부담을 줄여 주고, 환경문제를 완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결과가 카쉐어링 서비스 도입을 앞두고 있는 지자체 정책결정에 도움이 되고, 카쉐어링 사업의 활성화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Car sharing is an effective policy in solving the environmental problem and that of traffic jams at the same time. In this study, theoretical review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activating car sharing; the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olicies among the factors. On this basis, a plan for activating car sharing was presented.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principal areas gave the first priority to the infrastructural factors, followed by the operational and institutional factors, in activating car sharing. Second, the analysis of the sub-areas gave the first priority to 'the supply of car rental stations so that users can use them conveniently,' followed by 'the supply of parking lots exclusively for car sharing in urban and residential areas,' among the infrastructural factors. Third, the analysis of the sub-areas gave the first priority to 'a decrease in the burden on users by lowering the price,' followed by 'a decrease in the risk burden through insurance against accidents,' among the operational factors. Fourth, the analysis of the sub-areas gave the first priority to 'incentives for introduction of car sharing for corporational and group business,' followed by 'financial support with a subsidy to car-sharing entrepreneurs purchasing an eco-friendly vehicle,' among the institutional factors. Lastly, the following plan for activating car sharing was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se priorities: Suggestion 1: Infrastructural Factor First, it is necessary to supply car rental stations at accessible sites so that users can use car sharing service with ease.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ly parking lots exclusively for car sharing in complex, urban and residental areas with limited parking lots so that users can use them more conveniently. Suggestion 2: Operational Factor First, it is necessary to give financial support with a subsidy and incentives so that car-sharing entrepreneurs can serve users at a good price. Second, it is necessary to make it obligatory to take up an insurance policy and diversify relevant insurance goods so that users can use service without any burden of accident treatment. Suggestion 3: Institutional Factor First, it is necessary to give incentives, such as tax ones, to corporations or groups that introduce car sharing for busines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lieve the burden of purchasing a vehicle for car-sharing entrepreneurs and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 by extending the target of subsidies for purchasing an eco-friendly vehicl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local governments make a policy-related decision before the introduction of car sharing service and to contribute to activation of car sharing.

      •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활동이 기업평판과 조직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 종사원을 중심으로

        이정암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15

        우리나라는 과거 1980년대 까지 기업의 집중과 독과점 그리고 매점매석 등 기업폐해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에서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논의가 시작됐다. 이후, 1997년 IMF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 등 경제금융위기가 출현하였음에도 기업관련 부패의 고리는 여전히 근절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와중에 비자금을 조성하고 기업세습과 일감몰아주식(부당내부거래) 등의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기업에 대한 적대적인 정서와 사회적 갈등이 깊어지게 되었었고, 기업에서는 이를 해소하고 사회통합을 이끌어 내기 위한 방안으로 윤리경영시스템의 도입 등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가 구체화되었다. 하지만 사회적 책임 활동은 주로 대기업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서는 관심이나 활동수준이 미미하였다. 그렇지만 우리나라 경제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2012년 기준 전체 기업체 수의 99.9%, 종업원 수의87.7%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책임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고 그 중요성을 강조해야 할 시기인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해와 활동 수준, 종사원의 기업평판에 대한 인식 및 조직충성도에 관한 설문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의 종사원들이 각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따른 인지된 기업평판과 조직충성도 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독립변수인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경제·법·윤리적 책임유형과 자선·환경적 책임유형으로 크게 2가지 요인으로 분리되어 나타났으며, 기업평판과 조직충성도는 각 1개의 요인으로 제시가 되었다. 요인분석에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을 통해 가설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로,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하위 요인인 경제법윤리적 책임과 자선·환경적 책임활동 모두 기업평판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나타났으며, 둘째,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하위 요인인 경제법윤리적 책임과 자선·환경적 책임활동 모두 조직충성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나타났고, 셋째로 기업평판은 조직충성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업평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조직충성도에서 종사원이 인식하는 긍정적인 기업평판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이번 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종사원들의 반응과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방향과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