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3세대 아이돌 산업의 친밀성 구조 : BTS 팬덤을 중심으로

        장지현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1

        This thesis aims to identify the varied dynamics created between the third generation Korean idol industry and fandom using ethnography as a methodology, and seeks to examine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se dynamics and the online feminism that surfaced since 2015 in Korea. While there have been substantial attempts to academically analyze idol fandom in Korea, these have been predominantly built around the motivations and subjectivities of agents. This thesis meticulously examines the social fields of the idol industry and its fandom by using the method of digital ethnography and refers to “structured intimacy” as a significant research concept. Upon selecting Bangtansonyeondan, now more renowned by its international name “BTS”, and BTS fandom as an appropriate research subject, a pilot investigation was conducted for the duration of 9 months in 2014. The main research methods employed in this study wer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digital participant observation between January of 2015 and June of 2019, which were supported by a discourse analysis. The following is the findings of the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his thesis. First, Korea’s third generation idol industry and fandom operate within a series of structured intimacy. Here, structured intimacy indicates more than the affect circulating within the industry, but subsumes the entirety that incorporates the economic and social systems and cultural customs that may spark and maintain such emotions. Second, this structured intimacy is created by becoming interwoven, and made and remade in the commercialization strategy of the idol industry, fast-changing digital technology, and mutual exchange of affect amongst fans; it is represented by three factors that are the entertainment management companies’ strategic use of merchandises (referred to as “goods” in Korean) and narratives, new ‘games’ played by fandom now possible due to the availability of instant communication and advanced video/image technologies, and the intensification of the previous cultural structure of fandom. Finally, the structure of intimacy imbedded in the idol industry has allowed female fans to relish a sense of empowerment generated by consumption. This, however, does not indicate a possibility of a positive politicization. Women in fandom are growing to be more proficient in intricately objectifying and capitalizing human relationship within the Korean idol industry, a process in which they acquire the previously illustrated ‘empowerment through consumption’. Meanwhile, they perform ‘good citizenship’ to rid of prejudice against women fandom which they have long internalized. These practices engage with structured intimacy and inevitably produce a particular effect. This thesis contextualizes and analyzes the points of conflict inside fandom that only recently emerged online through structured intimacy. 본 논문은 빠른 속도로 변화하여 현재 3세대로 분류되는 한국 아이돌 산업의 구성요소와 그 팬덤간 역학을 디지털 에스노그라피 방법론을 통해 밝히고, 그것이 현재 한국 온라인 페미니즘과 접합할 때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탐구한다. 이를 위해 당시 연구 대상으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던 방탄소년단(현 BTS)과 그 팬덤을 대상으로 하여 담론분석을 실시하였고, 2014년부터 약 9개월간의 예비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2015년 1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참여관찰 및 디지털 참여관찰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본 연구가 분석한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아이돌 산업과 팬덤은 일련의 친밀성 구조structured intimacy 속에서 작동하고 있다. 이 때 친밀성 구조란 단순한 개인 대 개인의 감정적 교류만을 의미하지 않고, 그러한 감정을 촉발시키고 유지시키는 경제, 사회체계와 문화적 관습 전반을 이른다. 둘째, 아이돌 산업의 친밀성 구조는 아이돌 산업의 상품화 전략, 급변하는 디지털 테크놀로지, 팬 상호간의 정동이 복잡하게 얽혀 형성 및 해체되기를 반복한다. 이는 첫째, 현재 굿즈로 불리는 머천다이즈와 아이돌을 서사화하는 아이돌 매니지먼트사의 전략, 둘째, 통신 속도 및 영상 기술의 발전과 그를 통해 가능해진 팬덤의 새로운 ‘놀이’, 셋째, 기존 팬덤 문화의 심화를 의미하며 이러한 메커니즘이 복잡하게 얽혀 친밀성이라는 하나의 구조를 형성하고, 팬덤은 이와 교류하며 구조의 형성-해체를 반복하며 빠르게 변화한다. 이는 3세대 아이돌 팬덤의 주된 특징이다. 그간의 팬덤 연구가 행위자 중심의 동기나 주체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면, 본 연구는 디지털 에스노그라피라는 방법론을 통해 세밀하게 아이돌 팬덤의 사회적 장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분석하고 이를 일련의 구조로 바라보았다. 마지막으로 아이돌 산업의 친밀성 구조 속에서 여성-팬들은 소비를 통한 역능감을 향유헤 왔다. 그러나 이는 긍정적 행위주체성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여성-팬들은 아이돌 산업 내에서 점차 인간과의 관계를 정교하게 객체화 및 자본화하는 데 매우 능숙해지고 있으며, 앞서 말한 소비를 통한 역능감은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에서 이들은 오랜 기간 내재화하여온 여성-팬에 대한 편견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하여 ‘착한 시민’ 되기를 실천하려 하는데, 이는 필연적으로 최근의 온라인 페미니즘과 혼란을 빚게 될 수밖에 없고, 격론을 일으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최근에 빚어지는 이러한 일련의 양상들을 앞선 친밀성 구조를 배경으로 하여 맥락화하고, 또한 분석한다.

      • 중년여성의 팬덤 문화 수용과 참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임영웅 팬카페 회원을 중심으로

        김진하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트로트 열풍과 함께 새롭게 등장한 중년의 팬덤 중 가장 큰 규모를 가진 임영웅의 팬카페 ‘영웅시대’를 대상으로 중년여성의 팬덤 활동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중년여성이 팬덤 문화를 수용하고, 참여하며 어떤 변화를 경험하는지, 그 과정과 의미를 파악하고 이해하여 중년여성을 위한 가족상담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팬카페에 가입하여 1년 이상 팬덤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중년여성 8명을 연구참여자로 구성하여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참여자들의 생생한 일상적 경험의 본질 구조를 드러내기에 적합한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분석 절차를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220개의 의미 단위가 구성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41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12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구성요소는 ‘세상과 상황에 맞추며 살아옴’, ‘중년의 고비를 맞음’, ‘불현듯 찾아온 설렘’, ‘팬카페를 통해 만난 새로운 세계’, ‘팬덤 응원을 시작’, ‘팬덤 활동 영역을 확장’, ‘팬덤 활동의 어려움’, ‘돌파구를 마련’, ‘영웅시대의 마음’, ‘팬덤 일원으로 나로 한 뼘 더 성장’, ‘청춘의 열정과 활기를 되찾음’, ‘변함없이 응원’으로 나타났다. 구성요소를 통합한 본질적 주제는 “인생의 파고 속에 만난 빛나는 별을 따라 다시 찾은 청춘의 나”이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중년의 위기 속 가수의 노래에 위로와 힘을 받으며 팬덤 활동을 시작했고, 다양한 지식습득과 가족의 부정적 시선, 많은 시간과 비용 소요 등의 어려움을 경험했다. 참여자들은 가족의 도움과 자신의 노력으로 이를 극복했고, 팬덤에 대한 책임감과 자부심, 능력을 갖추며 팬덤의 일원으로 당당히 성장하였다. 이 과정에서 도움을 준 가족과 소통이 늘고, 친밀해지며 가족관계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건강하고 능동적인 자아정체성을 재정립한 참여자들은 청춘의 열정과 활기를 되찾는 경험을 하였다. 둘째, 팬덤 문화수용과 참여 경험의 의미는 ‘인생의 파고 속에 만난 빛나는 별을 따라 다시 찾은 청춘의 나’이다. 참여자들은 팬덤 활동을 통해 중년의 위기를 극복하고, 활기 넘치는 청춘의 ‘나’로 돌아가 자신의 만족과 즐거움을 존중할 수 있었다. 중년여성은 스스로 선택한 팬덤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활기 넘치는 젊은 시절로 돌아간 것 같은 ‘인생의 봄’을 경험했다. 이는 설레는 마음으로 젊게 살게 되었다는 의미와 함께 나에게 집중했던 젊은 시절처럼 나를 위한 시간을 내고, 내가 좋아하는 일에 투자하고, 나의 만족과 즐거움을 위하는 경험을 통해 진가를 발휘했다. 이는 다양한 변화에 적응하고 심리적 어려움을 극복해야 하는 중년기 과제 해결에도 부합한다. 셋째, 중년여성의 팬덤 문화수용과 참여 경험의 가족상담적 의미는 중년여성의 팬덤 활동을 통한 가족관계 변화과정에 가족의 관심과 지지, 소통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중년여성은 팬덤 활동 전 갱년기와 노화, 은퇴 등으로 힘든 상황에서 가족에게 이해받지 못한다고 느꼈다. 하지만 팬덤 활동을 시작한 중년여성에게 가족은 든든한 지지자가 돼주었다. 팬덤 응원을 알려주며 서로 돕고 협조하는 활동이 늘어났고, 중년여성은 힘이 돼주는 가족에게 더 잘하려 노력했다. 세대 차이를 넘어 자녀와 팬덤에 관해 대화하고 문화를 공유하며 소통이 늘어났고, 긍정적인 가족관계로 발전할 수 있었다. 하지만 중년여성의 팬덤 활동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입장이었던 가족에게서 가족관계의 친밀감 향상과 활발한 소통 등의 변화 경험은 적었다. 다만 중년여성이 팬덤 활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활력을 찾으며 결과적으로 가족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팬덤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들여다본 이번 연구는 중년여성의 팬덤 문화 수용과 참여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가족 안에서의 ‘나’라는 틀을 넘어 스스로 정체성을 재정립하려 노력하는 중년여성의 특성을 팬덤 활동을 통해 밝히는 데 이바지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팬덤에 참여하는 중년여성과 가족의 관계 변화가 가지는 의미와 특성을 이해하여 가족상담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가수 팬덤활동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정서와 생활 변화 사례 연구 - 팬클럽 영웅시대 참여자 중심으로 -

        임혜경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한 가수의 팬덤 활동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수행된 사례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팬덤 활동 참여 과정에서 경험하는 정서와 생활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중년여성들의 긍정적인 생애 전환과정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고,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건강한 가족의 일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데 도움을 제공할 뿐 아니라 나아가 다양한 여가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D시 및 S시에 거주하고 있는 가수 팬덤 활동을 하는 중년여성 10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인터뷰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인터뷰 자료 수집과 분석을 통해 얻은 가수 팬덤 활동 참여 경험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팬덤 활동을 시작한 계기에 대해 알아보았을 때 미스터트롯이라는 TV 경연프로그램 시청, 주위 지인들의 소개로 인해 그리고 콘서트 관람 후 가수가 좋아져 팬덤 활동 계기가 되었다고 하였다. 둘째, 구체적인 팬덤 활동으로는 SNS 활동(인스타,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시상 관련 각종 투표, 공식 팬카페 활동 등의 온라인 활동과 콘서트 참여, 봉사 및 기부 활동 참여의 오프라인 활동 등 다양하게 활동을 하고 있었다. 셋째, 팬덤 활동 참여 과정에서 나타난 정서와 생활 변화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먼저, 가족관계에서는 긍정적 변화와 부정적 변화가 있었으나 부정적 변화보다는 대부분 긍정적 변화가 일어났다고 하였으며 팬덤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천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사회관계가 확대됐다고 하였으며 콘서트 참여로 인해 힘들고 우울했던 마음이 즐거움이 생겼다고 하였다. 또한 가족관계 변화 및 사회관계 형성을 넘어서 봉사 및 기부 활동 등을 수행하며 적극적 사회 참여자로 변화하고 있었다. 팬으로서 활동에 즐겁게 참여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가수 또한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가수가 되어 매우 뿌듯해하였다. 정서변화로는 팬덤 활동으로 인해 삶의 활력소를 얻었으며 빈 둥지 증후군의 개선과 삶의 멘토를 얻었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소수의 사례를 수집했다는 한계는 있지만, 중년여성의 팬덤 활동 경험에 대한 진솔한 이야기를 도출해내고 중년여성의 생활과 정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심도 있게 살펴볼 수 있었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팬덤 활동을 경험하는 중년여성 팬들이 자신의 정서와 생활 변화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주변 상황들을 지각하고, 자신의 건강한 정서를 이해하고 수용한다면 활동으로 인해 가족 구성원 간의 좋은 관계를 촉진하고, 주위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여성 팬은 어떻게 여성 아이돌을 해독하는가? : - 4세대 여성 아이돌 여성 팬덤에 대한 연구 -

        김세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19

        The 4th generation of K-pop girl groups is gaining huge popularity in Korea. In contrast to the past, their popularity is now based on broad support from Korean women. How should we interpret this recent phenomenon of K-pop girl groups gaining strong support from women? Female fandom of K-pop girl groups is largely marginalized, receiving little attention from academi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broaden the scope of fandom research to include the often-overlooked female fandom and their fan activities. This study also seeks to analyze the affect behind Korean women’s recent adoption of girl groups and examine how female fans interpret the image and music of the 4th generation of K-pop girl groups. To achieve thi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women above the age of 18 who identify themselves as fans of the 4th generation of K-pop girl groups. According to the interviews, female fans argued that disappointment with male idols starting with the ‘Burning Sun Scandal’ and the ‘Feminism Reboot’, led them to become fans of girl groups. However, contrary to their argument, a desire to continue engaging in idol fandom activities that do not contradict feminist values also influenced in this fandom shift.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feelings of admiration also played a role in women’s participation in female idol fandom. There are also points of criticism in female fandom and fans’ interpretation of idols. For instance, female fans tend to be less critical of the feminist strategies manufactured by entertainment agencies. Additionally, female fans tend to accept images related to female idols’ bodies and appearances presented by the companies unquestioningly. However, when it comes to images associated with wealth, female fans exhibited a more critical perspective, alternating between negotiated and oppositional reading. Nevertheless, despite the heightened sensitivity to feminism among female fans, the ways they interpret the cultural diversity of idol groups show little change. Consequently, different interpretations have led female fans to experience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with other female fans during their fan activ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phenomenon of increasing female fans of girl groups and extended the discourse on female fandom. However, this research has limitations since it only focused on heterosexual female fans, failing to grasp the multi-dimensional aspects of female fandom. 4세대 여성 아이돌 그룹이 두각을 나타내며 여성 아이돌 전성시대를 이끌어가고 있다. 이들은 과거와 다르게 여성 팬들의 폭 넓은 지지를 바탕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남성 아이돌은 팬덤형 그리고 여성 아이돌은 대중성’이라는 대중문화 산업에 자리잡고 있던 해묵은 공식에 균열을 일으키는 것이기도 하다. 이처럼 최근 몇 년 사이 여성 아이돌 그룹이 같은 여성으로부터 강력한 지지를 얻는 현상은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 것일까? 언론에서는 2010 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여성 연예인의 여성 팬덤에 주목하며, 관련된 담론을 생성해 왔지만 아직까지 학계에서 여성 아이돌의 여성 팬덤은 주변화됐으며,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여성 아이돌 그룹의 팬덤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으며, 팬덤 연구의 범위를 넓혀 그간 등한시되어온 여성 팬덤과 이들의 팬덤 활동 방식에 주목하고자 했다. 이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최근 여성이 여성 아이돌의 팬이 되는데 작용한 정동을 파악하고자 했다. 또한 여성 팬덤의 달라진 성격과 행동 양식을 고찰하고, 페미니즘과 신자유주의와 관련된 이론적 논의를 적용해 여성 팬들의 팬 활동이 페미니즘 그리고 신자유주의적 가치와 어떤 가치를 맺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스스로를 4세대 여성 아이돌 그룹의 팬이라고 생각하는 만 18세 이상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여성 팬들은 ‘버닝썬 게이트’를 필두로 연예계에서 벌어진 남성 아이돌의 사건 사고로 인해 남성 아이돌에게 실망하게 되고, 이들의 팬 활동에 대한 관심이 시들었다고 주장했다. 비슷한 시기 한국 사회에서 페미니즘 대중화가 이뤄지고, 여성 연예인의 인권 문제를 비롯한 여성 의제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여성 아이돌 그룹의 팬 활동에도 참여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 이면에는 페미니스트로서 페미니즘과 모순되지 않는 아이돌 팬덤 활동을 이어가고 싶은 욕망이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좋아하는 여성 아이돌을 향해 동경의 감정을 느끼고, 이들을 따라 자기계발에 집중하는 모습을 통해 신자유주의적인 열망 역시 함께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성 팬덤의 성격과 팬들의 아이돌 해독 방식에는 비판의 지점도 존재한다. 가령 여성팬들은 기획사가 만들어낸 페미니즘과 주체성의 전략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여기에 포섭되는 한계를 보인다. 또한 여성 팬들은 여성 아이돌의 몸과 외모의 텍스트 역시 저항적으로 해독하지 못하고, 기획사가 주조한 대로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최근 기획사에서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부와 관련된 이미지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등 타협적 해독과 저항적 해독을 오고 가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이 밖에도 여성 팬들을 중심으로 페미니즘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아이돌 그룹의 문화적 다양성을 해독하는 방식에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다른 해독 방식으로 인해 여성 팬들은 팬 활동 중 모순을 느끼기도 하고, 다른 팬들과 갈등을 빚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성 아이돌 그룹의 여성 팬이 늘어나는 현상을 분석하고, 이를 의미화하는 과정에서 여성 팬에 대한 담론을 확장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여성 팬덤의 성격과 실천이 페미니즘 대중화 그리고 신자유주의적 이데올로기에 어떠한 영향을 받고 있는지 탐구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다만,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을 이성애자 여성으로만 한정한 탓에 여성 팬의 다층적인 정동을 파악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갖는다.

      • 여성 아이돌 그룹의 30-40대 남성 팬덤에 관한 연구 : <소녀시대>의 삼촌 팬덤을 중심으로

        강은경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2303

        이 연구의 목적은 대중문화 팬덤의 장에 최근 들어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30-40대 남성 팬덤, 이른바 여성 아이돌 그룹의 삼촌 팬덤 현상이 나타나게 된 배경을 사회문화적 및 산업적인 맥락에서 살펴보고, 그들의 스타 및 문화 향유방식을 분석해봄으로써 삼촌 팬덤이 대중문화의 장에서 갖는 함의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삼촌 팬덤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인식과 마찰하며 극복하는 과정 속에서 어떻게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해나가는지 주목하고, 삼촌 팬덤의 문화적 실천 주체로서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하였다. 그 동안 10대 및 여성 이라는 특정 나이와 특정 젠더에 편중되어 움직여 왔던 대중문화와 팬덤 지형의 지각변동이 주변인으로 소외되어 왔던 30-40대 남성들의 팬덤을 어떻게 새로운 문화주체로 위치시키고 있는지 밝혀내는 것이 이 연구의 궁극적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삼촌 팬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현상적인 면에만 치우쳐 삼촌 팬을 지나치게 타자화하고 분절화한 관념적 판단일 수도 있겠다는 문제의식 하에 삼촌 팬덤 현상에 대한 맥락적인 이해와 내면적 분석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소녀시대>의 30-40대 남성 팬들에 대한 포커스 그룹연구의 심층 인터뷰방법과 언론 보도 기사 등의 담론 분석 방법을 병행 이용하여 다음의 몇 가지 결론을 얻어낼 수 있었다. 삼촌 팬덤 현상은 그동안 수혜자이자 희생자로 살아오게 했던 가부장제의 모순성에 대한 남성들의 자성적 의식전환의 결과로써, 근대적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질서로부터 스스로 탈각하고자 하는 욕구가 수익성의 위기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전략적 기획의도와 맞물리면서 상호작용적으로 이루어진 문화적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삼촌 팬들이 <소녀시대> 멤버들을 대하는 이성적 감정이나 느낌은 매우 복합적이며 팬들 개개인마다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일반화시켜 말할 수는 없으나 공통적으로 성적유희 대상이기보다는 돌봐주고 이끌어주어야 할 조카나 딸, 음악적 실력을 갖춘 엔터테이너, 학창시절 연모했던 첫사랑의 판타지 차원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삼촌 팬이라는 명명은 친족적 친밀성을 앞세운 관계설정으로 성애적 요소를 제거하고 불건전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효과적인 장치가 되고 있다. 또한 삼촌 팬덤 활동은 사회적 규범과 끊임없이 마찰하고 경합하는 과정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부정적으로 비춰지고 있는 삼촌 팬덤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자원봉사 및 기부활동과 같은 사회적 선행을 자발적으로 시행함으로써 성숙한 팬덤 문화를 주도하는 새로운 문화세력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해나가고 있다. 특히 다양한 사회적 자원과 안정적 경제력을 바탕으로 한 소비의 재생산화는 수동적 문화소비자의 역할을 벗어나 생산적 문화실천의 능동적인 주체로까지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제 팬덤은 옹호와 비난, 긍정과 부정의 이분법적 차원으로 설명할 수 없을 만큼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다층화되고 다변화되고 있다. 팬덤 문화의 건전하고 발전적인 진화는 삼촌 팬덤 스스로의 숙제이지만, 맥락적 이해가 결여된 삼촌 팬덤에 대한 비판적 인식도 수정될 필요가 있다. 또한 10대 및 여성 위주의 팬덤 연구를 탈피하여 30-40대 남성 팬덤에도 관심을 가져 팬덤 연구의 범위를 확장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최근 팬덤 연구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여성 팬덤 논의의 흐름에서 벗어나 남성 팬덤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팬덤 연구의 젠더적 편향성을 극복하려 했다는 점에도 의의가 있다. 키워드 : 팬덤, 여성 아이돌 그룹, 삼촌 팬, 남성 팬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wly emerging male fandom, particularly those in their 30s and 40s in the Korean pop-culture on female idol groups and their background on cultural and industrial context and analyze the ways of enjoying their stars and the culture to understand the under-meaning of what, so called, the "uncle" fandoms have in the pop-culture. This study especially focuses on how this "uncle" fandoms run into conflicts with the society's negative perception and how they establish their cultural identity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such issues and examine the possibility of "uncle" fandoms being the culturally acting subject.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this "uncle" fandom of male in their 30s and 40s, who have been isolated in the pop-culture and diastrophism of fandom geography which was mostly moved by specific age and gender of teen girls so far, are relocating themselves as a new cultural subject. Being aware that the negative perceptions on "uncle" fandom is solely based on what seems to be the sexual attraction on young girls which excessively distanced them and can be a conceptually segmented judgment, the need for the contextual understanding and internal analysis is acutely felt and used discussion analysis such as in-depth interview methods and mass media reports side by side to focused group study on "Girls Generation's" male fans in their 30s and 40s. Now the fandom has multi-layered and diversified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which can't be explained in dichotomous level of protection and criticism and affirmation and negation. Healthy and advanced evolution of the fandom culture is what they need to work on, however, the negative perception on "uncle" fandom with the lack of contextual understanding needs to be corrected as well. In addition, we need to break away from the teenage and female oriented fandom studies and expand the scope of the study by also having interests on male fandom in 30s and 40s. Therefore, this study, by taking its steps away from the main female fandom discussion trend of recent fandom studies and having attempted to try rather in-depth analysis to overcome the gender-wise biased fandom study, proves some significance. Key word : Fandom, Female-Idol Group, Uncle Fans, Male Fandom

      • 성인여성의 지각된 청소년기 팬덤활동 경험과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 1세대 팬덤을 중심으로

        심도희 건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32287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에 팬덤활동을 경험한 성인여성들의 팬덤활동 경험 과 더불어 이를 통한 자아정체감 발달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를 보고자함이 다. 이를 위해 1세대 팬덤을 경험하고 청소년기 팬클럽활동을 최소 2년 이상 경험 한 성인여성 10명을 선정하였고, 각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 다. 면접을 위해 반구조화 질문지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심층면담을 필사한 축어 록은 합의적 질적 연구(CQR)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자를 포함하여 총 4명으 로 구성된 합의팀은 10개의 사례에서 영역과 핵심개념을 도출하였으며, 감수자 의 감수를 거쳐 재합의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후에 영역에 대한 핵심개념을 범주 화하는 교차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총 6개의 영역과 13개의 범주가 도출되 었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의 대부분은 안정되고 일관된 자신을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기의 팬덤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정서(즐거움, 행복감, 신남, 편 안함, 안정감, 밝은 느낌)를 경험하였고, 학업과 반복적인 일상에서의 스트레스 (짜증, 우울, 불만)가 해소됨을 경험하였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팬덤활동을 통해 대인역할 기대에 긍정적인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팬덤활동에만 무분별하게 몰입을 하기보다는 학생으로써 학교 와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역할에 충실하며 팬덤활동을 하나의 취미생활이자, 여가 활동으로 여겼다. 또한 타인들과 팬덤 안에서 스타와 관련된 정보공유와 자신의 재능을 나누면서 따뜻함과 뿌듯함을 느꼈다. 이로서 타인에게 배푸는 즐거움과 배려하는 마음을 경험하였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팬덤활동을 하면서 자신이 어떠한 사람인지를 알게 되고 이해함으로써 자기수용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팬덤활동을 통해서 자 신이 잘하는 것을 발견하고 또래 친구들로부터 인정을 받으면서 자신감을 가지 게 되었다. 이로서 능력 밖의 일이라고 생각한 것들을 해내려 하거나 자신의 목 표를 위해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는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행동을 하는 자신의 열 정을 발견하였다. 거기에 더하여 팬덤활동이라는 집단활동 속에서 리더십을 발휘 하는 경험(게시판 관리자, 팬클럽 임원, 팀코스 리더)을 가지게 되었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을 지지해주고 격려해주는 주변 팬들을 통해 자기주장을 펴는 경험을 나타냈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분명히 인식하거나 감정을 표현하는 능력이 부족하였는데 주변 팬들의 지지와 격려, 인정을 받은 경험들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거리낌 없이 자유롭게 표현하는 경험을 하였다. 다섯째, 연구 참여자들은 팬덤 활동을 통해 대인관계가 긍정적으로 발달됨을 경험하였다고 나타냈다. 좋아하는 스타를 매개체로 하여 처음 보는 사람과 쉽게 대화를 나누며 친해지고 학생으로서 일상생활 이외에 접할 수 없는 다양한 지역의 다양한 연령, 직업을 가진 사람들을 만남으로써 대인관계 폭이 넓어짐을 경험하였다. 또한 상징적인 색상이나 자신들을 나타낼 수 있는 물건 등을 통해 서로를 알아보거나 공동의 목표의식을 가지고 행동하면서 집단 소속감이 생기고 집단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려 하였다. 마지막으로 팬덤활동을 통해 자기존재의식에 대한 부정적인 경험이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은 팬덤 활동을 하면서 무모한 행동(노숙, 연예인 차량 따라가기, 연예인의 소지품 훔치기)을 하거나 공격성을 보이는 자신을 경험하였 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서봉연(1975)의 자아정체감 8가지 구성요인을 적용해 봄으로써 팬덤 활동이 자아정체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 알아볼 수 있었다. 둘째, 청소년기의 팬덤활동 경험과 지각된 자아정체감 발달에 대해 범주화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사례들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들은 1세대 팬덤을 경험한 성인여성들로 선행연구에서 밝힌 연구결과들의 초기영향이 장기영향으로 이어져 왔는지에 대해 볼 수 있다. 이로서 팬덤 활동을 통해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나타날 특성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로서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an in-depth understanding of experience of Fandom activity and ego-identity development by adult women who has the experience of the first generation fandom in adolescence period from their point of view.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view to answer the following major questions, “What experiences of fandom activity does one have in adolescence?” and “What does one perceive of how the fandom activities influence ego-identity development? This study focused on adult women who have experiences of the first generation fandom activities . In the light of the wide rage of fandom activity, after reviewing the advanced studies, this study selected 10 women experiencing more then 2 years of joining the fan club and carried out an interview with them for about 1 hour each. For the interview, This study used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based on the self-identity scale tool developed by Seo BongYeon. The intensiv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The consensual team which consists of four judges including the researcher drew domains and core ideas from 10 cases, and went through the process of re-agreement under the auditing of auditor. After this process, the research went through the process of cross-analysis, categorized the core ideas in the fields. The results of cross-analysis also reached a new conclusion through supervis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data from the CQR analysis were categorized into 6 major domains with 13 categories. First, the result revealed that most of the participants had the experience of stability and consistency. The fandom activity gave a positive emotion(please, happy, excited, comfortable, stable, bright feeling) and stress reduction from studies and repetitive life style. Second, the participants had a positive experience of interpersonal role expectation. They fulfilled their lives as a student in school and role in daily life contrary to completely immersion in fandom activity. They balanced it as a leisure and hobby. Also they felt proud sharing information about their favorite star and their abilities. Therefore, they learned the enjoyment of sharing and how to be considerate of others. Third, the participants had experience of self-acceptance as they knew and understood who they were. Through different fandom activities, they found what they did well and gained confidence as they were acknowledged by their friends. They tried to do something with effort which they have never done and spent their time and energy or their aim and discovered their passion. In addition, they had the experience of performing leadership in the fandom activities through group activities. Fourth, through fandom activities, the participants got experience of self argument. They had not known what they wanted and how to express themselves but they coul d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freely as experiencing support, encouragement and acceptance from other close fans. Fifth, the participants had a positive experi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y could communicate with the person whom they met for the first time and becamme friends easily with their favorite star. And they had the chance to meet people of different areas, ages, jobs and as a result, they could experience a broad rang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lso they could recognize each other through symbolic colours representing certain idol stars and goods which express one's identity. And by acting with a sense of purpose, they got a sense of being part of a group, and acted for the group’s interests. Lastly, the participants indicated the negative experience of self existence awareness. They showed reckless actions and aggression of themselves through the fandom activities. In this study, above all, it gives what the fandom activity has effects on ego-identity by applying the sub factors in the scale by Seo Bong Yeon. Secondly, it gives more specific cases by categorizing the fandom activities in adolescence and the ego-indentity development. Third, the participants are the adult women who have experienced the first fandom. Therefore, the study can prove whether the first effect of study results in the advanced studies have lasted or not. This offers a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s of forming ego-identity in adolescence and the basis.

      • 중국 한류 팬덤의 한국 이주와 초국적 활동

        Peng, Jinni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285

        This research examines fan work of Korea-based Chinese fans whose decision to move to South Korea was largely influenced by their fan interest in the Hallyu (Korean Pop Culture Wave). While living and engaging in fan activities in Korea, they hold various social ident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rasp transnational mobility as a stage in the life course of these young women who grow in the spread of consumer-driven popular culture, and to expand the meaning of fandom located only in its relationship with certain industries and stars. To do this, concepts of 'fan affect' and 'transnationalism' were used in analyzing their fan activities and fan migration to Korea drawing on the methods of qualitative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literature reviews. The women covered in this research were the only daughters born in middle-class families newly emerged after the Chinese economic reform in the late 1970s and received considerable material and spiritual support from their parents in the process of migration to Korea. The change in perception of women's image due to the expansion of the consumer-driven popular culture in China and the overseas study brokerage industry that has been caused by overseas study boom make it easier for the fans to migrate to Korea. In addition, the Korean government's relaxed tourist visa and student visa policies provide the female enthusiasts with institutional conditions for migration. Fans move to Korea driven by their paensim(literally translated 'fan-heart' or 'heart/mind of a fan') to meet their stars and to accomplish goals such as pursuits of academic career, of professional careers related to Hallyu and of lifestyles based on cultural consumption. When the goals of academic achievement encountered during the young adulthood(or adolescence) meet those of paensim, they may choose to move to Korea. This implies that Hallyu migration is a migration of intimacy propelled by the intimate sentiment the fans developed with their stars, and that it is used as a life strategy. These Korea-based female fans are doing various fan activities centered around stars. They produce certain images of their stars both online and offline. And to secure funds for fan work, they are actively engaged in fan-economic activities such as providing and making profits from proxy/agent fan services, and fan merchandise production and sales. Competition and division can occur within the migrant fandom due to the desire to become more intimate with the stars or to hold higher status inside. The transnational network of image, information, goods and desires is created with these women's migration and fan works at times forming unique mediascape, financescape and ethnoscape. The female fans who create fan affect through producing favorable image of their stars reevaluate their status as regards their relationship with the stars and industry. They actively incorporate fan activities into the market economy, thereby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ir material life in Korea. These images of fandom have not been dealt with in the existing fandom studies that have focused on digital space only. The women encounter numerous conflicts in the process of fan work. They sometimes witness the gap between the stars' real image and popular image, and confront borders of nation-states in the wake of unpredictable political tensions such as those instigated by the THAAD missile defense system. Moreover, the process of performing both the fan activity and the social role is limited by time. Nevertheless, even amid these conflicts, they continue to perform fan activities. Their fan work is not temporary because they grew up in an environment where the country began economic restructuring centering on cultural industry and Hallyu began to enter into China since the mid-1990s. For these reasons, being a fan is an important category of personality for the long-term fans of Hallyu. Through active and persistent fan work, they enable fan affect to operate sustainably and create their own self-worth as a fan and the value of individual life. Woman fans venture on migration to Korea to continue a body of work they have loved and become familiar with since childhood, fulfill their desire of building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stars, plan a career related to Hallyu and pursue a fancied lifestyle. This research reveals that the fan activities of women that have been evaluated as emotional, consuming, private and temporary are combined with their life strategy as they become associated with migration in the global era. 본 연구는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 이주를 선택한 중국의 여성 팬들을 주목하여 이들의 팬활동의 의미를 규명한다. 중국의 한류 팬들은 다양한 사회적 신분으로 한국에서 거주하며 팬활동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여성 팬들의 초국적 이주를 소비대중문화의 확장 속에서 성장하는 젊은 여성의 생애과정의 한 단계로 파악하고, 산업과 스타의 관계속에서만 위치 지어진 팬덤의 의미를 확장시키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팬 정동'과 '초국주의'의 개념으로 팬덤의 팬활동과 한국 이주를 분석했고, 문헌연구, 심층면접, 참여관찰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중국 여성들은 중국 1970년대 말 개혁개방 이후 새로 출현한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난 독녀로, 한국으로 이주의 과정에서 부모로부터 상당히 많은 물질적·정신적 지원을 받았다. 중국에서 소비대중문화 시장의 확대에 따른 여성상에 대한 인식 변화, 해외 유학 붐으로 생겨난 유학 중개 산업은 팬들의 한국 이주를 수월하게 만든다. 또한 한국 정부의 부단히 완화된 관광비자와 유학비자 정책은 여성 팬들에게 이주의 제도적 조건을 제공한다. 팬들은 스타를 만나고 싶은 열정적인 '팬심'의 추동으로, 한류 관련 커리어 기획 및 학문 추구, 문화소비적인 라이프스타일 등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한국으로 이주한다. '팬심'과 청(소)년기에 직면하는 학력 취득의 목표가 부합할 경우 이들은 한국 이주를 선택하기도 한다. 이는 한류 이주가 팬들의 스타와 맺은 친밀감을 추동력으로 이뤄진 친밀성의 이주이고 생애전략으로써의 이주임을 함의하고 있다. 여성 팬들은 한국에서 스타를 중심으로 다양한 팬활동을 하고 있다. 이들은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스타 이미지를 생산하고 팬활동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팬활동 대행, 팬 굿즈 제작 및 판매 등 팬 경제활동을 하고 있다. 스타를 향한 친밀성의 욕망과 팬덤 내부 지위에 대한 추구로 인해 이주 팬덤 내부에서 경쟁과 분열이 일어나기도 한다. 여성들의 이주와 팬활동에 수반하여 이미지, 정보, 물품, 욕망의 초국적 회로망이 만들어지고, 이주 팬덤의 독특한 미디어, 자본, 인간의 풍경이 구성되기도 한다. 스타 이미지 생산을 통해 팬 정동을 창출해내는 여성 팬들은 산업, 스타와의 관계에서 자신의 지위를 제고한다. 이들은 팬활동을 시장경제에 적극적으로 편입시킴으로써 한국에서 물질적 삶의 기반을 마련한다. 이들의 이러한 모습은 디지털 공간에만 주목해왔던 기존의 팬덤 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은 부분이다. 여성들은 팬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여러 갈등에 부딪친다. 이들은 스타의 이미지와 실제 사이의 간격을 목도하기도 하고, '사드'와 같은 불예측적인 정치적 긴장이 드러내는 국민국가 간의 경계를 직면하기도 한다. 또한 팬활동과 사회적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과정에서 시간적 제약을 겪는다. 그러나 이 같은 갈등 상황에서도 이들은 팬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이 여성들의 팬활동이 임시적이지 않은 이유는 1990년대 중후반부터 중국이 문화산업을 중심으로 경제적 구조조정을 하기 시작하고 한류가 중국에 진입하기 시작한 환경에서 팬들이 성장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장기적인 한류 팬인 이들에게 팬이라는 것은 인격체의 중요한 범주다. 이들은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팬활동을 통해 팬 정동의 작동을 유지시키고 팬으로서의 자신의 가치와 개인의 삶의 가치를 만들어낸다. 그리고 어렸을 때부터 좋아하고 친숙한 일, 스타와 맺은 친밀감에 대한 욕망, 한류에 관련된 커리어 기획,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을 실현시키기 위해 여성 팬들은 한국 이주를 감행한다. 본 연구는 감정적, 소비적, 사적, 임시적인 것으로 평가되어왔던 여성의 팬활동이 글로벌 시대에서 이주와 결속되면서 이들의 생애기획과 결합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 중년여성의 팬덤 활동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방탄소년단(BTS) 팬덤(ARMY) 활동을 중심으로

        김은숙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15935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의 방탄소년단 팬덤 활동 경험이 이전의 삶과 어떻게 관련되며, 중년여성이 방탄소년단 팬덤 활동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그리고 방탄소년단 팬덤 활동 경험이 중년여성들의 삶 속에서 어떻게 구성되어 가는지를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는 개인의 이야기화된 경험을 시간의 흐름과 상황에 대한 고려를 바탕으로 탐구하는 연구 방법이므로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적합한 연구 방법이다. 연구참여자는 방탄소년단 팬덤 활동을 2년 이상 지속해 온 30대, 40대, 50대의 중년 여성 3명이며, 살아 온 이야기와 방탄소년단 팬덤 활동 경험을 심층 면담, 보완이 필요한 내용에 대한 전화 인터뷰 등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의 내러티브가 구성되었다. 자료수집은 2022년 9월 동안 진행되었고, 자료 분석 과정은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안한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연구참여자들의 경험 이야기는 살아낸 이야기와 방탄소년단을 만난 후의 이야기의 두 가지 주제로 구성되었다. 전아미의 이야기에서 살아낸 이야기는 <부지런히 지나온 어제들 속에, 참 아름답게>, <애쓰지 좀 말어, 져도 괜찮아>, <난 너를 보며 꿈을 꿔>, <밤이 깊을수록 더 빛나는 별빛>으로, 방탄소년단을 만난 후의 이야기는 <믿어도 괜찮아, 널 위로해 줄 매직샵>, <함께임에 우린 더 빛나잖아>, <수없이 헤매도 난 나의 길을 믿어 볼래>, <매번 같은 하루들 중에 너를 만날 때 가장 난 행복해>로 나타났다. 박아미의 이야기에서 살아낸 이야기는 <외딴 섬 같은 나도 밝게 빛날 수 있을까>, <또 겨울이 와도, 누가 날 막아도, 걸어가>, <너의 모든 해답은 니가 찾아낸 이곳에>, <삶은 살아지는 게 아니라 살아내는 것>으로, 방탄소년단을 만난 후의 이야기는 <내게 아침을 선물한 건 너야>, <칠흑 같은 밤들 속 서로가 본 서로의 빛>, <이건 꽤나 긴 즐거운 롤러코스터>, <좀 더 힘을 내 볼래, 너의 힘이 돼 줄래>, <내 숨, 내 걸어온 길 전부로 답해>로 나타났다. 신아미의 이야기에서 살아낸 이야기는 <사무치게 외로워 조용히 입 다무네>, <그 손을 내밀어 줘>, <사실 난 너무 좋아, 근데 조금 불편해>로, 방탄소년단을 만난 후의 이야기는 <너는 내 삶에 다시 뜬 햇빛>, <하나부터 열까지 모든 게 특별하지>, <넌 나의 구원, 넌 나의 창>, <그럼 뭐 여길 내 세상으로 바꿔보지 뭐>로 나타났다. 방탄소년단 팬덤 활동 경험의 의미는 만남, 배움, 성장, 확장이라는 네 가지 주제로 구성되었다. 첫째, 만남은 연구참여자들이 방탄소년단으로부터 심리적인 영양분을 공급받아 성장을 위한 다양한 시도를 지속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배움은 연구참여자들이 방탄소년단의 노래와 콘텐츠를 통해 내적 욕구를 충족하는데 필요한 태도와 가치를 발견하여 배우고, 이러한 것을 실제 삶에 적용하여 자기 성장을 이루어 나갔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성장은 연구참여자들이 셀프리더십을 발휘하여 자기 삶을 주도하고 성장을 이루어 나갈 때, 방탄소년단이 셀프리더십을 지속하도록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확장은 연구참여자들이 방탄소년단 팬덤 활동을 통해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나아가 사회와 공동체를 위해 기여하고자 하는 사회적 존재로 확장해 나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들이 심리적 유연성과 자기결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심리적 영양분이 필요하며 방탄소년단 팬덤 활동이 그 역할을 할 수 있다. 둘째, 중년여성들의 팬덤 활동은 우연학습 또는 평생학습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하며, 일상의 경험을 통해 배움이 일어난다는 인식의 전환과 함께 중년여성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기회를 제공해야 함을 의미한다. 셋째, 중년여성들의 자기실현 경향성과 셀프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 사회적 지지가 필요하며 방탄소년단 팬덤활동이 사회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중년여성들은 자기 성장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삶의 의미를 찾으려 하며 공동체와 사회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방탄소년단 팬덤 활동이 이러한 과정을 촉진한다.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의 삶에서 팬덤 활동이 갖는 의미를 내러티브 연구를 통해 깊이 탐색하였다. 둘째, 중년여성의 삶의 이야기를 내러티브 탐구 공간에서 탐구함으로써 중년여성의 성장과정을 보다 유기적이고 폭넓게 보여주었다. 셋째, 방탄소년단의 팬덤 활동이라는 특정 경험이 중년여성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탐색하였다. 넷째, 중년여성의 팬덤 활동을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팬덤 활동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였다.

      • 여성 청소년의 초국가적 온라인 팬덤에 나타나는 민족주의에 대한 이해

        정예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99551

        본 연구는 초국가적 온라인 팬덤에서 한국 팬덤이 해외 팬덤에게 행하는 차별과 배제를 이해하기 위해 한국 팬덤이 내면화하고 있는 민족주의의 양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세계화 및 인터넷의 발달로 해외 팬덤과의 상호작용이 늘어나면서 한국 팬덤은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해외 팬덤과 끊임없이 구별짓는 양상을 보이며, 때에 따라 이들에 대해 적대감을 보이기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이돌 팬덤의 주요 구성원은 여성 청소년이며, 이들이 온라인 팬덤 내부에서 ‘외퀴’와 같이 해외 팬덤에 대한 혐오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바람직한 온라인 아이돌 팬덤 문화를 구성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여성 청소년 팬덤의 상호작용 양상에 대한 이해가 먼저 수반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온라인 팬덤 주체로서 여성 청소년이 팬덤과 상호작용하면서 경험하는 민족적 이질감과 유대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가 설정한 연구 문제는 ‘여성 청소년의 온라인 공간 초국가적 팬덤 경험에 나타나는 민족주의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이며, 이를 탐구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여성 청소년은 온라인 공간상의 초국가적 팬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 ‘여성 청소년이 온라인 공간상의 초국가적 팬덤과 상호작용하면서 경험하는 민족적 유대감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여성 청소년이 온라인 공간상의 초국가적 팬덤과 상호작용하면서 경험하는 민족적 이질감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문화기술지 중 온라인 문화기술지를 연구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문화기술지는 특정한 집단의 사람들의 삶, 사회 세계 혹은 문화를 묘사하고 분석하는 연구 방법을 의미하며, 온라인 문화기술지는 문화기술지의 원칙과 기술을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이전한 것이다. 연구 참여자로는 1년 이상 온라인 팬덤 활동을 적극적으로 한 중·고등학교 여성 청소년 10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심층 면담과 현지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Spradley(1979/2003)의 주제분석을 활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아카데믹 팬(academic fan)’의 관점에 기반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여성 청소년 팬덤은 해외 팬덤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한국식 ‘덕질’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해외 팬덤에 대해 이질감을 느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각 팬덤이 사용하는 언어가 달라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해외 팬덤이 케이팝 아이돌이나 한국 팬덤과 소통할 때 한국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에 대해 민족적 이질감을 넘어 적대감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한국 여성 청소년 팬덤은 연령, 충성도, 그리고 자본에 따라 팬덤 내부에서 위계를 형성하고, 그러한 위계에 따라 구별짓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런 위계에 따른 구별짓기는 해외 팬덤에게도 적용되며, 아이돌에 대한 충성의 정도, 그리고 자본의 투자 정도에 따라 민족적 이질감이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이때, 해외 팬덤에게 행해지는 위계 구분은 한국 팬덤에게 행해지는 것보다 더욱 엄격하다. 셋째, 주류 문화 구성자로서 한국 여성 청소년 팬덤은 그들이 가진 우월성을 바탕으로 한국 팬덤과 해외 팬덤을 구별짓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들이 형성한 팬덤 문화를 기준으로 바람직한 문화적 행위와 그렇지 않은 행위의 경계를 규정하고, 이를 위반한 해외 팬덤에 대해 민족적 이질감을 넘어 적대감을 표출하고 있었다. 이와 달리 경계를 위반한 영향력 있는 한국 팬(네임드)을 포함한 한국 팬덤의 행위에 대해서는 관대한 태도를 보였으며, 오히려 기존의 경계를 재구성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도출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국가적 온라인 팬덤에서 여성 청소년이 경험하는 민족적 유대감과 이질감에 대한 구체적인 맥락을 제시하였다. 여성 청소년이 한국 팬덤 및 해외 팬덤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언어와 문화, 자본, 그리고 아이돌에 대한 충성도라는 맥락을 바탕으로 민족적 유대감과 이질감이 역동적으로 변화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민족주의 이념은 여성 청소년이 한국 팬덤 및 해외 팬덤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순환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즉, 여성 청소년이 한국 팬덤 및 해외 팬덤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민족적 이질감과 유대감을 느낌과 동시에, 이러한 민족적 이질감과 유대감을 한국 팬덤과 해외 팬덤을 구별하기 위한 기제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호작용의 결과물이자 구별짓기의 전제 조건으로서 민족주의 이념은 케이팝 아이돌 팬덤 문화 안에서 끊임없이 순환하며, 이에 따라 더욱 강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셋째, 여성 청소년이 온라인 팬덤 속 해외 팬덤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민족적 이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민족주의는 케이팝 아이돌 온라인 팬덤 문화를 형성하는 데에 있어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따라서, 세계시민교육을 통하여 바람직한 온라인 팬덤 문화를 구성하고, 해외 팬덤과 소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질감을 해소할 것을 제안한다. 궁극적으로 온라인 팬덤 내부의 바람직한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향후 세계시민으로서 타 문화를 존중하고, 그들의 가치를 존중하는 마음을 가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motivated by the necessity of examining the forms of nationalism that Korean fandom internalize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of Korean fandom from overseas fandom in transnational online fandom. Contrary to the expectation that Korean fandom can cultivate global citizenship due to globalization and the advancement of the Internet, this study found that Korean fandom constantly distinguishes itself from overseas fandom. Moreover, Korean fandom even shows hostility towards overseas fandom.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e main members of idol fandom are female adolescents, and that hateful expressions against foreign fandom, such as ‘owequi,’ are used among them. Therefore, the researcher recognized that it is necessary to first understand the interaction patterns of female adolescent fandom, in order to explore alternative ways to construct a desirable online idol fandom culture. In particular,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ethnic heterogeneity and bond that female adolescents experience in their interactions with their online fandom. Based on these concern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How can nationalism be understood in female adolescents' experiences of transnational fandom in online spaces?’, ‘How do female adolescents interact with transnational fandom in online space?’, ‘How do female adolescents experience ethnic bonds in their interactions with transnational fandom in online space?’, ‘How do female adolescents experience ethnic heterogeneity in their interactions with transnational fandom in online space?’. To this end, this study used online ethnography. Ethnography is a research method that describes and analyzes the lives, society, or culture of a particular group of people. Online ethnography is a research method that transfers the principles and techniques of ethnography to a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environment. Ten female adolescents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who have been actively engaged in online fandom activities for more than one year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In-depth interviews and local materials were used as data collection methods, and Spradley’s theme analysis was used as data analysis methods.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collect and analyze data based on the perspective of academic fa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und that female adolescents feel otherness to overseas fandom when interacting with them since they are unfamiliar with Korean ‘fangirling/fanboying’ culture. In addition, the study found that the different languages used by each fandom created difficulties in interaction. Moreover, Korean fandom showed hostility toward overseas fandom for not using Korean when communicating with K-pop idols and Korean fandom. Second, the study found that Korean fandom, including female adolescents, forms a hierarchy within the fandom according to age, loyalty, and capital, and distinguishes them according to that hierarchy. This hierarchical distinction also applies to overseas fandom, and the study revealed that ethnic heterogeneity chang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loyalty to idols and the degree of capital investment. In this case, the classification conducted on overseas fandom is more strict than that conducted on Korean fandom. Third, the study found that Korean fandom, as a mainstream cultural constructor, distinguishes itself from overseas fandom based on its superiority. By defining the boundaries of desirable and undesirable cultural behaviors they had formed, they were expressing hostility toward overseas fandom that violated these boundaries. In contrast, they were tolerant of the behavior of ‘Korean fans,’ including influential Korean fans, who violated the boundaries. Moreover, they even reconstructed the boundar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presented a specific context for the ethnic bonds and heterogeneity experienced by female adolescents in transnational online fandom. In the process of female teenagers interacting with transnational fandom, the study found that ethnic bonds and heterogeneity change dynamically based on the context of language, culture, capital, and loyalty to idols. Second, the study found that nationalism circulates in the process of female adolescents interacting with transnational fandom. In other words, the study found that female adolescents felt a sense of ethnic heterogeneity and bonds in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transnational fandom, and at the same time used these senses as a mechanism to distinguish Korean fandom from overseas fandom. Nationalism, as a result of interaction and a prerequisite for distinction, is constantly circulating within the K-pop idol fandom culture, and even strengthening. Third, the study identified the necessit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a way to resolve the ethnic differences experienced by female teenagers in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transnational online fandom. Nationalis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mation of K-pop idol online fandom culture. Therefore, the study proposes to form a desirable online fandom culture through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o resolve the sense of heterogeneity that occurs while communicating with overseas fandom. Based on the desirable interaction within the online fandom, the author hopes to respect other cultures and values as global citizens in the future.

      • 중국 여성 팬들의 심리적 욕구와 온라인 팬덤활동 참여가 인지된 자기 주도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오이연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99550

        인터넷 시대로 접어들면서 팬들이 스타와의 커뮤니케이션뿐만 아니라 팬덤 안에서의 커뮤니케이션도 더욱 활발히 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 19 확산으로 인해 최근에는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활동에 더욱 집중하고 있다. 또한, 팬들이 온라인 팬덤활동을 참여할 때 개인 능력 개발도 하고 있다. 따라서, 미디어 대 환경에서 팬들을 한 집단으로 보고 그들이 한 집단 구성원의 한 사람으로서 팬덤 활동을 참여할 때 가지고 있는 심리적 욕구와 온라인 팬덤활동의 참여가 인지된 자기 주도 학습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여성 팬들의 심리적 욕구와 온라인 팬덤 활동의 참여가 인지된 자기 주도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현 단계 대표적인 3세대 케이 팝 아이돌 그룹 엑소(EXO), 방탄소년단(BTS), 세븐틴(SEVENTEEN), 엔시티(NCT), 블랙핑크(BLACKPINK)의 중국 여성 팬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총 832명의 설문을 수집하여 무효 설문을 제거하고 총 540명의 설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20대가 더 많았고, 학력은 대학 재학 중 및 졸업인 경우가 많았다는 결과가 나왔다. 둘째, 중국 여성 팬들이 온라인 팬덤활동을 참여할 때 대부분 일정한 팬덤 활동의 경력을 기지고 있고 하루에 온라인 팬덤 활동을 위해 일정한 시간을 투자한다. 셋째, 중국 여성 팬들의 심리적 욕구인 인정욕구와 준거집단 순응욕구가 인지된 자기 주도 학습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국 여성 팬들의 인정욕구가 높을수록, 준거집단 순응욕구가 높을수록 인지된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그러나, 중국 여성 팬들의 소속욕구가 인지된 자기 주도 학습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미치지 않았다. 끝으로, 중국 여성 팬들이 온라인 팬덤 활동의 참여가 인지된 자기 주도 학습 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온라인 팬덤 활동에 많이 참여할수록 여성 팬들의 학습과정, 학습동기 및 학습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K-POP가 중국 여성 팬들의 일상생활이나 심리적 특성, 개인 능력 개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가지며, 아이돌 팬덤 문화를 개인 능력 개발이라는 긍정적인 측면에서 논의할 수 있는 학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fter entering the online era, communication not only with celebrities but also within fan groups has become more active. In particular, due to COVID-19 there has been a greater focus on online activities than offline activities recently. In addition, fans engage in personal competence development when they participate in online fan group activities. Therefore, in the general media environment, fans should be considered as a group, and it is necessary to observe the psychological needs they have when participating in fan activities as a member of a group and how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participating in online fan activities will be affec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needs of Chinese female fans and the influence of online fan activity participation on independent learning ability, Chinese female fans of the current representative third-generation K-POP idol groups EXO, BTS, SEVENTEEN, NCT(NCT 127/NCT DREAM), and BLACKPINK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A total of 83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54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invalid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this study show that there are more people in their 20s and more people with degrees in college and beyond. Secondly, when Chinese female fans participate in online fan activities, most of them have some experience in fan activities and spend a certain amount of time every day in online fan activities. Third, the psychological needs of Chinese female fans-need for approval and reference group compliance-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perceived self-learning ability. That is, the higher the need for approval and the higher the reference group compliance of Chinese female fans, the stronger the cogniti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Chinese female fans' perceived desire to belong. Finally, it can be seen that Chinese female fans' participation in online fan activities positively affects the perceiv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at is, the more participation in online fan group activities has more impact on female fans' learning proces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interact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confirm that K-POP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aily lif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capacity development of Chinese female fan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tudies and can be of great significance in providing an academic basis for the discussion of idol fan culture from the positive level of developing personal 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