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웹툰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중급 학습자 대상 플립러닝의 적용을 중심으로

        당영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韩国语教育主要是由听、说、读、写4个领域组成,其中写作是韩语学习者们感 到学习困难并想避开的领域。而且从韩国语写作教育的现状来看,目前还存在很多问题。比如说,写作不能像口语一样得到重视,写作练习的单一化。以韩语教材为例,韩语写作主要是给定主题,然后学生以围绕着这一主题进行写作。这样的写作是否能提高学生的学习积极性以及学习效果这件事上持怀疑的态度。如果不解决这样的问题,学生很难感到写作的乐趣,容易陷入恶循环。 尤其到了21世纪,学习韩语的学生越来越年轻化。对这些学生更容易对传统教育方式不满。随着时代的改变,教育也要改变。 网络漫画可以说是包括了韩国人生活方式、思考方式和价值观等内容语言文化集合体,超越时间和空间,是不论是谁都可以轻易接触到的文化。韩国语学习者不应该单纯地学习语言,也需要一起学习韩国的文化。因此,为了已经一定程度熟悉 了韩国语的中级学习者,使用网络漫画开发的课程不仅可以学习到韩语知识,还可以学习到韩国的日常文化。 因此,本论文利用了年轻的韩语学习者更容易接受的网络漫画,引进了“flipped learning”的教学模型,试图为中级韩语学习者开发更有趣、有效的写作教育方案。第一章主要包括研究目的、研究背景,以及本研究有关的先行研究。写作 是很多韩国语学者感到吃力的领域,但是写作同时又是表达人的感情和想法的重要手段。因此为了解决这个问题,本研究将利用有趣的网络漫画开发更能引起学习者兴趣的写作课程方案。 第二章主要是了解韩国语写作教育的特点和韩国语写作教育的现状,再找出问题点。以此再引发出网络漫画的教育价值和投入flipped learing的必要性。 第三章主要是以西江大学、首尔大学、延世大学、中央大学、东国大学使用的教材为中心,分析利用网络漫画进行的韩语教育的现状和问题点, 同时也分析了韩语写作教育的现况和问题点。 第四章利用“flipped learing”的教育模型开发了利用网络漫画的韩语教育方案。首先探讨了适合韩语教育的网络漫画的基准、如何利用媒体等问题,以此为基础设计出了一套高效的写作教育方案。 第五章以上述研究为基础,展示了具体可以在课上实行的教案。第六章是结论,整理了本研究的核心内容后,表明研究了界限。 本研究虽然有着一定的界限,但是在利用网络漫画和flipped learning开发韩语写作方案这一点来看,存在着很大的创新性,是有价值的研究。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있는 중급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영상 매체는 웹툰, 멀티미디어 매체는 플립러닝을 선택해서 논의를 전개하겠다. 본 연구는 ‘쓰기’에 주목하는데, 유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영역은 쓰기 영역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나 대학원에서는 쓰기가 중요하기 때문에 중급 학습자가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는 경우를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인기가 높아지는 웹툰에 주목하여 쓰기 교육 방안을 만들기 때문에 유학생의 유학 생활 적응과 한국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고취시키고,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할 때 학업 적응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예인의 인격권 보장에 관한 연구

        김마리아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헌법 제10조는 인간의 존엄과 가치와 행복추구권을 규정하여 인격의 주체인 인간이 스스로 자기결정권을 행사하고 창의적이고 독립된 주체임을 보장하고 있다. 인간이 존엄하고 가치가 있다는 것은 스스로 인격의 주체라는 것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규정하고 있는 헌법조항으로부터 인격권이 도출된다. 인격권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로부터 뿐만 아니라 행복추구권으로부터도 도출된다. 행복을 추구할 인간의 권리는 행동의 자유를 전제로 하는 일반적 행동권과 자유로운 인격의 발현을 추구하는 일반적 인격권 등을 내용으로 한다. 일반적 인격권은 명예, 초상, 성명 등을 그 내용으로 하며 인격적인 것뿐만 아니라 재산적인 것도 포함한다. 21세기에 오면서 우리나라는 한류를 통하여 대중음악과 드라마 및 영화 등이 세계화되면서 연예인들의 활동이 국내에서 외국까지 확대되고 있다. 연예인들의 활동이 두드러지고 많은 사람의 관심을 받게 되면서, 그들의 사생활이 노출되고 개인정보가 유출되면서 인격적 침해가 수시로 발생하고 있다. 일반 국민과 달리 언론의 조명을 받아야 하는 연예인에게는 개인정보의 보호가 오히려 그들의 활동가 장애로 작용할 수 있어서 어느 정도 개인정보의 노출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하여 발생하게 되는 인격권의 침해는 연예인에게는 심각한 기본권의 침해가 됨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어느 정도 용인되기도 하는 문제가 있다. 그동안 지속적으로 괴롭힘과 인격을 침해받았던 여러 연예인이 스스로 생명을 끊는 불행한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특히 새로운 미디어의 출현으로 인한 SNS의 확산은 인격권 침해의 중요한 수단이 되어 연예인의 사생활을 침해하고 인격권을 침해함으로써 사회적으로 문제화되었고, 이로 인한 대책도 세워지기도 하였다. 미디어를 이용한 연예인의 인격권 침해 문제는 다른 한편에서 표현의 자유 보장 문제와 충돌하게 된다. 그런 이유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이 논의되기 어려운 구조에 있다. 그렇지만 연예인이라고 하여 기본권의 보장에서 차이를 둘 수는 없다. 연예인의 인격권도 일반 국민의 인격권과 마찬가지로 최대한 보장되어야 한다. 인격권은 자유로운 인격의 발현을 위하여 보장되는 기본권으로 사생활의 영역에서는 개별적 기본권인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주거의 자유, 통신의 비밀을 통하여 보호되어야 한다. 이런 개별적 기본권에 보장되는 개별적 인격권과 달리 인격권에 해당하는 포괄적 보호인 사회적 영역에서 보호되어야 할 인격권은 일반적 인격권의 영역에서 보호되어야 한다. 개인의 인격과 관련하여 보호되어야 할 영역은 사생활영역과 사회적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연예인의 경우 대중예술활동을 통하여 사회에 알려진 유명인이지만 공적 업무를 수행하는 공인은 아니다. 그렇지만 공인처럼 연예인도 사회적 활동의 영역에서 일반적 인격권을 보호받는 범위는 일반 국민보다 축소된다. 연예인은 직업의 특성상 많은 사람에게 노출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사회적 영역에서 자유로운 인격의 발현을 보호하는 일반적 인격권에서는 상대적으로 보호의 범위가 축소된다. 그렇지만 연예인 역시 국민의 한 사람이며 개인으로 자신의 사생활영역에서 보호되어야 할 인격권은 헌법 제37조 제2항에 따른 사유가 없는 한 보호되어야 한다. 연예인은 공중에 많이 노출되어 있고, 상황에 따라서는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직업활동을 이어갈 수 있다는 점에서 개별적 인격권의 경우에도 사회활동과 연계되는 경우 일반 국민과 달리 그 보호의 범위가 축소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연예인의 인격권 보호에는 상황에 따라 범위가 제한되고 축소될 수 있다. 연예인이 직업활동을 하면서 개인정보가 노출되거나 사생활의 비밀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는 것도 문제이지만, 다른 한편에서 악의적인 댓글이나 악플로 인하여 인신공격을 받게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인격권의 보호범위를 축소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다. 특히 연예인에 대한 허위사실 유포나 사생활에 관한 개인정보를 노출하여 공격적인 언행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관련 법제를 적용하여 법적 책임을 묻는 것이 필요하다. 연예인은 공인이 아니기 때문에 사회적 활동을 통하여 형성된 인격의 범위를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예인이 유명인이라 하여도 그들의 사적 영역에 대한 보호는 일반 국민과 다를 바가 없다. 특히 근거도 없는 인신공격적 언행으로 연예인의 인격권을 침해하는 것은 철저하게 법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e dignity and value of human beings and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ensuring that human beings, the subject of personality, exercise their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are creative and independent subjects. Since human beings have dignity and value to say that they are the subject of one's personality, the right to personality is derived from the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that stipulate this. The right to personality is derived not only from human dignity and worth, but also from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The human right to pursue happiness consists of the general right to act, which presupposes freedom of action, and the general right to personality, which pursues the free expression of one's personality. General moral rights include honor, likeness, and name, and include personal as well as property. In the 21st century, Korean pop music, dramas, and movies have been globalized through Hallyu, and the activities of celebrities are expanding from Korea to foreign countries. As celebrities' activities become more prominent and attract attention from many people, their personal lives are exposed and personal information is leaked, resulting in frequent personal invasions. Unlike the general public, for celebrities who need to receive the attention of the media,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can act as an obstacle to their activists, so they have no choice but to accept the exp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to a certain extent. Although the violation of personal rights caused by this is a serious violation of basic rights for entertainers, there is a problem that is socially acceptable to some extent. In the meantime, there have been unfortunate incidents in which several entertainers who have been continuously harassed and infringed on have taken their own lives. In particular, the spread of SNS due to the emergence of new media has become an important means of infringing on personal rights, infringing on the privacy of celebrities and infringing on their personal rights, which has become a social problem, and countermeasures have been taken. On the other hand, the issue of infringement of personal rights of entertainers using the media collides with the issue of guaranteeing freedom of expression.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discuss active countermeasures against it.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guarantee of basic rights just because they are celebrities. The personal rights of celebrities should be guaranteed as much as possible, just like the personal rights of the general public. The right to personality is a fundamental right guaranteed for the free expression of personality. In the realm of privacy, it must be protected through the individual basic rights of privacy and freedom, freedom of residence, and confidentiality of communication. Unlike the individual moral rights guaranteed by these individual basic rights, the personal rights that should be protected in the social domain, which are comprehensive protections corresponding to the personal rights, should be protected in the domain of general moral rights. The areas to be protected in relation to an individual's personality are the private life area and the social area. In this regard, in the case of entertainers, they are celebrities who are known to society through popular art activities, but are not public figures who perform public duties. However, like public figur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general personal rights in the field of social activities for celebrities is reduced compared to the general public. Celebrities have no choice but to be exposed to many people due to the nature of their jobs, so the scope of protection is relatively reduced in the general right to personality, which protects the expression of personality freely in the social realm. However, entertainers are also citizens of the country, and the personal right to be protected in their private life as an individual must be protected unless there is a reason under Article 37 (2) of the Constitution. Celebrities are exposed to the public a lot, and in some circumstances, personal information can be used to continue their professional activities, so even in the case of individual personality rights, if it is linked to social activities, the scope of protection will be reduced unlike the general public. can In this regar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ersonality rights of entertainers may be limited and reduced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While it is a problem that celebrities are exposed to personal information during their professional activities or that their privacy is not properly protected, on the other hand,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scope of protection of personal rights in that they may receive personal attacks due to malicious comments or malicious comments. has a problem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trictly apply the relevant laws and hold legally responsible for the spread of false information about celebrities or the exp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ir personal life. Since entertainers are not public figures,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scope of personality formed through social activities. Even if a celebrity is a celebrity, the protection of their private area is no different from that of the general public. In particular, the law must be thoroughly applied to infringing on the personality rights of entertainers through unfounded, offensive words and actions.

      • 종교적 설득 메시지의 수용과 처리 과정에 관한 연구 : 메시지 내용과 정보원 유형의 영향을 중심으로

        김두식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47

        This study begins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process of attitude changes toward religion may have different ways of acceptance and processing from the persuasive messages in the area of advertising marketing or political communication. This is because religious attitudes are different from the attitudes that are easily formed in a short period of time due to the characteristic that once established, religious beliefs and attitudes do not change for a long tim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persuasion effect according to religion, assuming the type of message content (personal vs. social), the type of source (non-expert vs. expert), and the individual personality factors as important variables explaining the persuasive effects of the religion messages. First, the religious persuasion message was divided into personal message and social message by using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Then, it was expected that the group of religion with a high level of religious belief intensity and existing religious message processing tendency would process religious persuasion messages through the central route. It was assumed that there would be no difference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of religious messages.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ing was defined as the usual processing tendency of neutral religious messages. As for peripheral cues, the variables were composed of expertise among the source's credibility, openness of personality factors, and emotional instability.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urce's expertise, the effect was measured by dividing them into expert group and non-expert group. In this study, religious attitude refers to the degree of awareness of religion, and religious attitude was classified into attitude toward religion itself and attitude toward religious behavior. This is because attitudes toward religion itself are areas of belief, and religious acts are areas of likes and dislikes on specific issues with different dimension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ersuasion effect of religious messages according to the processing of the central route and the peripheral route? Research question 2. Is the persuasion effect of religious message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message (personal vs. social) and the type of source (non-expert vs. expert)? Research question 3. Does the persuasion effect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message and the type of source vary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openness and emotional instability? Research question 4.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relativ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involved in the persuasion effect of the message? A total of 78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rough purposive quota sampling method, divided into four groups: personal message vs. social message group and general informant vs. expert informant group. The result shows that attitude change in the peripheral route processing was greater than the central route. In the central route processing, nearly 60% of the respondents had more than 20 years of religiosity, resulting in a ceiling effect, so there was not much change in attitude. In the peripheral route processing with a relatively large change in attitude, openness was found to be the main variable in attitude change among the expert source and personality factors. With regards to the type of message content, attitude change by the personal message was greater than the social message as a whole. This seems to be related to the undulating faith, a distinct religious characteristic of Korean that prays for personal well-being and family happiness. In the type of source, messages from expert showed a greater change in attitude than non-expert.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studies that have verified the credibility of sources among studies using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However, unlike the expert source effect in the existing advertising marketing field, the religious persuasion message was found to produce a meaningful persuasion effect even for non-expert source. Such result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For personality factors, openness was found as a major variable in attitude change, but emotional instability appeared to have no correlations with attitude change. Also,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various factors together related with the persuasion effect of the message, in addition to the types of message content and source, the persuasion effects of the religious message were found to be affected by religious status, gender, age, and so on. This research differs from others, considering it expanded the academic realm of religious communication, tested the persuasion effect by dividing the contents of religious persuasion messages into personal and social types, and verified individual personality factors as persuasion effect variable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religious community in that it presented the direction of creating messages of evangelism (missio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non-religious people. Keywords: persuasive communication, religious communication, type of source, type of message content,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ELM), personality factors, openness, evangelism (mission) 본 연구는 종교에 대한 태도 변화를 일으키는 과정이 광고마케팅이나 정치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의 설득 메시지와 다른 수용과 처리 방식을 갖고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종교적 태도는 한번 가지면 수십년씩 그 신념과 태도가 변화하지 않는다는 특성 때문에 단기간에 쉽게 형성되는 태도와는 다를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메시지 내용의 유형(개인적 vs. 사회적)과 정보원의 유형(일반인 vs. 전문가) 그리고 개인적 성격 요인을 메시지 설득 효과를 설명하는 중요 변수로 상정하고, 그에 따른 설득 효과의 차이를 검증해 보았다. 우선 정교화 가능성 모델의 연구 모형을 차용해 종교적 설득 메시지를 개인적 메시지와 사회적 메시지로 나누었다. 그리고 종교를 가지고 있고, 신앙심 강도, 기존 종교 메시지 처리 성향 등이 높은 집단이 종교적 설득 메시지를 중심 경로로 처리한다고 보았다. 종교적 메시지의 정보처리 능력은 차이가 없을 것으로 가정하였고, 인지처리 유형은 중립적 종교 메시지의 평소 처리 성향으로 정의하였다. 주변 단서로는 정보원의 공신력 가운데 전문성과 성격 요인의 개방성 및 정서적 불안정성으로 변인을 구성했다. 정보원의 전문성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으로 나누어 그 효과를 측정했다. 본 연구에서 종교 태도란 종교에 대한 인식 정도를 의미하며, 종교 태도를 종교 자체에 대한 태도와 종교적 행위에 관한 태도로 구분했다. 종교 자체에 대한 태도는 신념의 영역이고, 종교적 행위는 구체적 이슈에 대한 호불호(好不好)의 영역으로 서로 다른 차원이기 때문이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중심 경로와 주변 경로의 처리에 따라 종교적 메시지의 설득 효과의 차이가 발생하는가? 연구문제 2. 종교적 메시지의 설득 효과는 메시지 내용(개인적 vs. 사회적)과 정보원의 유형(일반인 vs. 전문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메시지의 내용과 정보원 유형에 따른 설득 효과는 개인의 개방성과 정서적 불안정성에 따라 달라지는가? 연구문제 4. 메시지의 설득 효과에 관여하는 다양한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개인적 메시지와 사회적 메시지 그룹, 일반인 정보원과 전문가 정보원 그룹 등 총 4개의 집단으로 구분해 의도적 비례할당 표본추출법을 통해 총 789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중심 경로보다는 주변 경로의 처리에 의한 태도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다. 중심 경로의 경우 신앙심 강도가 20년 이상인 응답자가 전체의 60% 가까이 되어 천장 효과(ceiling effect)가 발생해 태도 변화가 크지 않았다. 상대적으로 태도 변화가 큰 주변 경로의 경우, 전문가 정보원과 성격 요인 가운데 개방성이 태도 변화의 주요 변인으로 밝혀졌다. 메시지 내용 유형의 경우, 전체적으로 사회적 메시지보다 개인적 메시지에 따른 태도 변화가 컸다. 이는 개인의 안녕과 가정의 행복을 기원하는 한국의 종교적 특성인 기복 신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보원 유형에서는 일반인보다는 전문가 정보원의 메시지가 더 큰 태도 변화를 나타냈다. 기존의 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활용한 연구 가운데 정보원의 신뢰성을 검증한 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다만 기존 광고마케팅 영역에서의 전문가 효과와 달리, 종교적 설득 메시지는 일반인 정보원도 의미 있는 설득 효과를 만드는 것으로 밝혀져 기존 연구와의 차별점이 발견되었다. 성격 요인의 경우, 개방성은 태도 변화에 주요한 변인으로 검증되었지만 정서적 불안정성은 태도 변화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외에 메시지의 설득 효과를 나타내는 다양한 요인들을 함께 검증한 결과, 종교적 메시지의 설득 효과는 메시지 내용의 유형과 정보원의 유형 이외에도 종교 유무, 성별, 연령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종교 커뮤니케이션의 학문적 영역을 확대하고, 종교적 설득 메시지의 내용을 개인적 유형과 사회적 유형으로 구분해 설득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 그리고 개인의 성격 요인을 설득 효과의 변수로 검증한 것에 다른 연구들과 차별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무종교인의 특성을 활용해 전도(포교) 메시지 작성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종교계에 실용적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간호전문직관이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에 미치는 영향

        박현경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tendency, nursing informatics capacit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ir patient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and thereby, arrange some educational data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in the age of the information societ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242 undergraduate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who had ever experienced accessing to and collecting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during their clinical practice and were using 1 or more SN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 to Nov. 2020.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for real numbers, percentage, means, SD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analyzing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ir average age was 23.20±1.28, while the absolute majority of them were females. 93.8% of them had used the SNS for ‘two more years’, while 33.1% of them were using the SNS for 4 or more hours a day. 57.8% of them had ever been educated on the protec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and 93% of them perceiv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protect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2. Subjects’ SNS addiction tendency scored 59.36±10.42 on average. Breaking it into its sub-factors, ‘failure of control and hindrance to the ordinary life’ scored 14.20±3.20 on average, while ‘indulgence and tolerance’ scored 21.19±3.86 on average. Moreover, ‘negation and escapism’ scored’ 12.59±2.94 on average, and ‘orientation towards a virtual world and abstinence symptom’ scored 11.38±2.63 on average. The differences depending on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experience of the education on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education were significant; subjects’ SNS addiction tendency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gender (t=-2.03, p=.043), hours of use a day (t=-5.59, p<.001), and experience of education (t=2.11, p=.037). Subjects’ SNS addiction was higher in ‘females’ (59.85±10.12) than ‘males’ (55.69±11.98), in ‘the group using the SNS for 4 and more hours’ (64.39±9.10) than their counterparts using it for less than 4 hours (56.88±10.16), and in ‘the group having been educated on protec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60.61±9.11) than their counterparts’ (57.67±11.81). 3. Subjects’ nursing informatics capacity scored 92.76±11.34 on average. Breaking it down, ‘their computer application skill’ scored 44.89±6.11 on average, while ‘their information application skill’ scored 19.61±2.58 on average, and their knowledge of informatics scored 28.29±4.46 on average.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ir education on protec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4. Subjects’ professionalism scored 105.28±12.86 on average. Breaking them down, ‘their self-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scored 34.29±4.66 on average, ‘their perceived social recognition’ scored 26.15±4.78 on average, ‘their perceived professionalism’ scored 19.30±2.78 on average, and ‘their perceived role as nursing practitioner’ scored 15.59±2.28 on average. Their perceived ‘identity’ as a nurse’ scored 9.95±2.36 on average. Subjects’ perceived professionalism with regard to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t=-2.65, p=.003), age (t=2.61, p=.010), hours spent using the SNS per day (t=-2.39, p=.018), experience of being educated (t=3.18, p=.002), and perceived need for education (F=3.36, p=.002). More specifically, subjects’ professionalism scored higher in ‘females’ (106.08±12.54) than ‘males’(99.41±13.90, ‘those aged 22~23’ than ’those older than 24’, those using the SNS for 4 or more hours a day (108.06±12.43) than those using it for less than 4 hours a day (103.91±12.89), ‘those educated on protec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107.50±11.81) than ‘those not educated’ (102.28±13.65), and ‘those who perceived the need for the education’ (106.09±12.44) than those saying ‘I have no idea’ (92.50±18.42). 5. Subjects’ perception of the protec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scored 99.16±9.39 on average. Breaking down, their ‘communication area’ scored 36.27±4.51 on average, and their ‘linked duty area’ scored 13.07±1.79 on average. Their patients’ information management area’ scored 49.82±5.34 on average. Subjects’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t=-3.55, p<.001), period of using the SNS (t=-5.79, p<.001), use of SNS per day (t=-2.27, p=.024), experience of education (t=8.13, p<.001), educational media deemed effective (F=5.80, p=.001), and need for education (F=6.72, p=.001). Namely, their professionalism scored higher in ‘females’ (99.93±9.39) than ‘males’ (93.48±7.32), ‘use of SNS for 2 years or longer’ (100.00±8.43) than ‘for less than 2 years’ (86.40±13.53), ‘use of SNS for 4 hours more longer a day’ (101.09±9.41) than ‘for less than 4 years’ (98.20±9.25), ‘experience of education’ (102.91±7.41) than ‘no experience of education’ (94.10±9.43), ‘group education’ (100.64±8.17) or ‘mixed one’ (100.30±8.10) than ‘on-line education’ (93.81±12.94), ‘perception of the need for education’ (99.82±8.89) than ‘no such perception’ (92.00±10.50) or ‘I have no idea’ (92.30±13.46).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depending on the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period of using the SN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experience of education. (x²=6.19, p=.013). The group who had used the SNS for 2 or more years had more experience of education with regard to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6.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among subjects’ SNS addiction tendency, nursing informatics capacity, professionalism and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it was found that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ir professionalism and their nursing informatics capacity (r=.24, p<.001), their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and their nursing informatics capacity (r=.31, p<.001), and their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and nursing professionalism (r=.29, p<.001). 7.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subjects’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education was most influential (β=.32, p<.001), followed by 2 or more year use of SNS (β=.23, p<.001), nursing informatics capacity (β=.20, p<.001) and nursing professionalism (β=.12, p=.038) in their order. These factors explained 36.0% of subjects’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the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would be most affected by their experience of education thereof. Hence, it is deemed necessary to repeatedly educate th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not to let them reveal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and help them enhance their nursing informatics capacity and professionalism and thereby, help them cultivate a correct ethical sense of responsibility to protect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본 연구는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간호전문직관이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정보화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여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향상을 위한 교육자료 기틀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임상실습 중 환자개인정보 접근, 수집 경험이 있으며 SNS를 최소 1개 이상 사용하는 간호대학생 3,4학년 2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0월에서 2020년 11월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은 평균 23.20±1.28세, 대부분 여성 응답자였으며, SNS 사용 기간이 ‘2년 이상’인 경우가 93.8%, 하루 SNS 사용 시간이 ‘4시간 이상’인 경우가 33.1%이었다.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관련 특성에서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는 57.4%였으며, 효과적으로 생각하는 교육매체로는 ‘집합교육’이 39.3%, ‘혼합(집합교육, 온라인, 유인물)’이 36.0%이었다. 교육이 필요성에서는 ‘필요하다’가 91.3%로 대다수의 학생들이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2.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은 평균 59.36±10.42점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인별 점수는 ‘조절실패 및 일상생활 장애’ 평균 14.20±3.20점, ‘몰입과 내성’ 평균 21.19±3.86점, ‘부정회피 정서’ 평균 12.59±2.94점, ‘가상세계 지향성 및 금단’ 평균 11.38±2.63점이었다. 일반적 특성과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관련 특성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은 성별(t=-2.03, p=.043), SNS 하루 사용시간(t=-5.59, p<.001), 교육경험(t=2.11, p=.037)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성’(59.85±10.12)이 ‘남성’(55.69±11.98)보다, 하루 SNS 사용시간이 ‘4시간 이상’(64.39±9.10)인 경우가 ‘4시간 미만’(56.88±10.16)보다, 교육 경험 ‘있음’(60.61±9.11)인 경우가 ‘없음’(57.67±11.81)인 경우보다 SNS 중독경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3.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역량은 평균 92.76±11.34점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인별 점수는 ‘컴퓨터 활용기술’ 평균 44.89±6.11점, ‘정보 활용기술’ 평균 19.61±2.58점, ‘정보학 지식’ 평균 28.29±4.46점이었다. 일반적 특성과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정보역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은 평균 105.28±12.86점이었다. 각 하위요인별 점수는 ‘전문직 자아개념’ 평균 34.29±4.66점, ‘사회적 인식’ 평균 26.15±4.78점, ‘간호의 전문성’ 평균 19.30±2.78점, ‘간호실무 역할’ 평균 15.59±2.28점, ‘간호의 독자성’ 평균 9.95±2.36점이었다. 일반적 특성과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은 성별(t=-2.65, p=.003), 나이(t=2.61, p=.010), SNS 하루 사용시간(t=-2.39, p=.018), 교육경험(t=3.18, p=.002), 교육필요성(F=3.36, p=.002)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성’(106.08±12.54)이 ‘남성’(99.41±13.90)보다, ‘22세-23세’(106.48±12.51)가 ‘24세 이상’(101.48±13.33)보다, 하루 SNS 사용시간이 ‘4시간 이상’(108.06±12.43)인 경우가 ‘4시간 미만’(103.91±12.89)보다, 교육 경험 ‘있음’(107.50±11.81)인 경우가 ‘없음’(102.28±13.65)인 경우보다,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이 ‘필요하다’(106.09±12.44) 생각한 경우가 ‘모르겠다’(92.50±18.42)보다 간호전문직관이 높게 나타났다. 5. 간호대학생의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은 평균 99.16±9.39점이었다. 각 하위요인별 점수는 ‘의사소통 영역’ 평균 36.27±4.51점, ‘연계업무 영역’ 평균 13.07±1.79점, ‘환자 정보관리 영역’ 평균 49.82±5.34점이었다. 일반적 특성과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은 성별(t=-3.55, p<.001), SNS 사용 기간(t=-5.79, p<.001), SNS 하루 사용시간(t=-2.27, p=.024), 교육경험(t=8.13, p<.001), 효과적으로 생각하는 교육매체(F=5.80, p=.001), 교육필요성(F=6.72,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성’(99.93±9.39)이 ‘남성’(93.48±7.32)보다, SNS 사용기간이 ‘2년 이상’(100.00±8.43)인 경우가 ‘2년 미만’(86.40±13.53)보다, 하루 SNS 사용시간이 ‘4시간 이상’(101.09±9.41)인 경우가 ‘4시간 미만’(98.20±9.25)보다, 교육 경험 ‘있음’(102.91±7.41)인 경우가 ‘없음’(94.10±9.43)인 경우보다, 효과적으로 생각하는 교육매체가 ‘집합교육’(100.64±8.17), ‘혼합’(100.30±8.10)인 경우가 ‘온라인’(93.81±12.94)보다,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이 ‘필요하다’(99.82±8.89) 생각한 경우가 ‘필요없다’(92.00±10.50), ‘모르겠다’(92.30±13.46)보다 간호전문직관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SNS 사용기간에 따라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차이를 추가분석 한 결과 SNS 사용기간과 교육경험 간에 유의한 연관성이 확인되었으며(x²=6.19, p=.013), SNS를 2년 이상 사용한 그룹의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경험이 더 많았다. 6.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간호전문직관,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정보역량(r=.24, p<.001),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과 간호정보역량(r=.31, p<.001),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과 간호전문직관(r=.29, p<.001)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7. 간호대학생의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관련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β=.32, p<.001)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SNS 사용 기간이 2년 이상인 경우(β=.23, p<.001), 간호정보역량(β=.20, p<.001), 간호전문직관(β=.12, p=.038) 순이었다. 이들 요인은 간호대학생의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을 36.9%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에는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관련 교육 경험이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SNS 사용에 있어 환자개인정보를 유출하지 않도록 반복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간호정보역량을 통해 올바른 정보 파악 능력 함양과 간호전문직관을 바탕으로 윤리적 책임감을 함양하여 올바르고 확실한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의 정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경찰 위기협상가의 상황 대응과정 및 전략유형 연구

        김태헌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Interpersonal conflicts, economic poverty, and social dissatisfaction are the main causes of recent crimes. This is leading to crisis situations caused by hostages, suicide attempts, domestic violence, and people with mental illness, and the role of crisis negotiators to minimize damage and resolve it early is getting more attentions.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n exploratory approach to the situation response process of police crisis negotiato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e negotiator’s negotiation experience and negotiation satisfaction, how to respond at each stage of negotiation, the negotiator’s propensity and negotiation response strategy, and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negotiator’s quality and ability. As a result, in order to contribute to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police and establish a basis for establishing a crisis negotiation policy and a Korean crisis negotiation model, Rennie’s hermeneutical grounded theory has been reviewed and studied. In the study, 10 participants of police crisis negotiators from their age 30s to 50s were participated, and conducted a 1:1 in-depth interview with them.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categorization work was conducted, and a core category that penetrated all categories was derived. In addition, the relevance of the overall context was objectively confirmed through hermeneutical questions about the core categories. Based on this, the negotiation process was analyzed, the case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were studied, and the typ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opensity of the participants and persons in crisis was conducted. The summary of the abov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73 semantic units, 21 sub-categories and 10 super-categories identified in the interviews with crisis negotiators were derived. As the core category that embraces these categories, 'A worthwhile life that save a persons and change me by fighting perseverance’ was derived. Second, a common pattern was found at intervals of time through the experience of responding to crisis situation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Based on this, the 5th stage of process analysis, 「BASIC Process」, was derived. Third, through a type analysis that combines the negotiators' aggressiveness in negotiations and the factors of persons in crisis’ severity of violence and insanity, it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Comparing these types with Thomas & Kilmann’s conflict management types,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study the correlation in viewpoints of conflict. However, regardless of innate inclination, all study participants tried to resolve crisis situations through dialogue negotiation while listening calmly and flexibly in negotiations. Considering the oral statement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at appeared in a series of processes, the importance of crisis negotiations will be further expanded in the future. Therefore, the items presented below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promoting related policies. First, the education system for recruiting and nurturing crisis negotiators should be improv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areer Development Plan(CDP) for a series of processes from recruitment to selection and nurture of negotiator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policing to strengthen the role of local police. The role of local police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and a subject of interest. As the police's policing are carried out by the local police, the social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police may vary depending on their role. Third, the status of crisis negotiators should be strengthened by expanding their expertise. An environment in which negotiators focus on negotiating by guaranteeing the negotiating authority in which they can demonstrate their professional capabilities is required. In addition, an organizational atmosphere that respects the negotiator's status should be institutionally created.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inkage system with third parties and the scope of follow-up management. Persons in crisis potentially have the possibility of causing another crisis. And the networks with suicide prevention centers and specialized hospitals should be strengthened because secondary crises can cause greater risks unlike the initial ones. In addition, legal and institutional discussions are needed on the extent to which negotiators will intervene in follow-up management, and guidelines must be established. Lastly, the effectiveness of crisis negotiations should be secured by establishing the basis for the Korean crisis negotiation process. Detailed action plans for this are listed as follows. 1) unification of the command system, 2) establishment of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crisis negotiation team, 3) introduction of a regional team system or manpower system for wide area, 4) introduction of an analyst system, 5)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with the dialogue police and restorative dialogue programs, 6) Support and compensation measures for negotiators. 7) Establishing a database of crisis events.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 it can be said that it is helpful to provide Korea's crisis negotiation research directions and develop related policies as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a different research method from the existing crisis negotiations was presented. By studying the experiences of police crisis negotiators through in-depth interviews, it can provide a new direction for crisis negotiation research in Korea. Second, a new framework was presented for the step-by-step response method of crisis negotiations. By confirming and analyzing the roles and actions of negotiators at each stage, it can provide a guidelines for future crisis negotiation activities. Third, crisis response strategies according to the propensity of negotiators and persons in crisis were discovered and analyzed by comparison with conflict management theories. A person’s propensity is fundamentally an important factor in forming relationships. Therefore, in crisis negotiations, this research has tried to find out how the negotiator's and persons in crisis' propensities can affect the outcome of negotiations. Despite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as abov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as an analysis of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police crisis negotiators, there is an aspect that reveals the essential limitations of qualitative research in the valid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Second, there was an imbalance between the participants in the selection of targets and negotiation experiences mainly in the metropolitan area due to the narrow human resources of the negotiators. Third, the problem of generalizing the research results may arise due to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negotiations between city and provincial police agencies. Fourth, most of the crisis types showed limited negotiation experience as suicide attempters. Therefore,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arry out quantitative research based on statistics as a database of crisis ev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in order to generalize or improve the objectivity of qualitative research. Thir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evelopment of a training system to secure a pool of risk negotiators. Fourth, research on trauma countermeasures following shock of crisis negotiators should be conducted in earnest. Fifth, The objectivity of the propensity analysis of negotiators must be secured. Sixth, manualization by crisis type is necessary.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is an attempt at research based on Rennie’s hermeneutical ground theory, and it is expected that such research will be actively conducted to serve as an opportunity for the entire police organization to renew and develop awareness of crisis negotiation. 이 연구는 위기협상가의 상황 대응과정 및 전략유형에 대해 연구참여자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한 경험적 자료에 의해 대응과정 분석 및 협상가의 성향에 따른 유형분석을 거쳐 전략유형을 분류한 후 연구결과에 따른 중요한 의미를 발견하였다. 이상과 같은 자료분석을 기반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기협상가의 상황대응 경험을 분석해 핵심범주는 ‘위기협상은 인내와 싸우며 사람을 살리고 나를 변화시킨 보람 있는 삶’으로 설정하였다. 핵심범주 설정을 위해 73개의 의미단위와 21개의 하위범주를 관통하는 상위범주로 10개를 도출했다. 이를 기초로 범주 간의 관계성 분석을 위해 원자료로 돌아가 확인하는 절차를 거침으로써 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해석학적 주제들을 포괄하는 의미를 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의 상황대응 경험은 시간적 흐름에 따라 공통된 패턴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 과정을 분석하여 ‘연구 및 준비단계, 정보수집 및 상황분석단계, 안전 확인단계, 개입 및 교감단계, 안정화/전술대응 단계’의 5단계로 구성하였다. 위기상황 대응 경험은 사건마다 다르게 나타나므로 협상과정을 일률적으로 평가할 수 없으나 연구참여자들의 경험 속에서 준비부터 종료까지 대응과정에 일정한 패턴이 발견되었다. 셋째, 연구참여자의 협상 적극성과 위기자의 폭력성 및 정신이상성을 요소로 유형분석을 한 결과 ‘문제해결형, 공감형, 양보회피형, 현실수용형’의 4가지 전략유형으로 분류했다. 이렇게 도출한 유형을 Kilmann & Thomas의 갈등관리유형과 비교해서 갈등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계기를 제공했다. 그러나 모든 협상가의 특징은 타고난 성향과 관계없이 협상 때는 차분하고 유연하게 대응하고 경청하면서 대화를 이어감으로써 전술적 대응은 고려하고 있지 않았다. 그 결과 ‘회피형과 현실수용형’에 해당하는 연구참여자는 없었다. 이것은 위기상황을 회피하거나 주어진 상황에 맡기는 수동적 내지 방임형은 협상가로서의 자질 및 능력의 문제임을 방증하는 것이다. 따라서 10명의 연구참여자 모두는 타고난 성향과 관계없이 협상에는 적극적이고 주도적으로 대응하므로 ‘문제해결형’과 ‘공감형’의 특징을 갖고 있었다. 위기협상가의 협상경험은 협상과 갈등조정이라는 관점에서 현대에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웃 간 범죄, 인질 및 가정폭력, 정신질환자에 의해 발생하는 사회현상을 보면서 위기협상의 중요성이 갈수록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담고 있다. 첫째, 기존의 위기협상과 다른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위기협상가의 경험을 심층면담을 통해 연구함으로써 우리나라 위기협상 연구의 방향을 새롭게 만들어가는 기틀을 제공하고자 했다. 본격적으로 우리나라에 위기협상 연구가 시작된 것은 2000년대 이후이며 외국에서 발생한 인질 및 테러협상 사례연구가 중심이었다. 아울러 우리나라는 위기협상에 대한 개념이 부족해 사건의 체계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지금까지 이루어졌던 연구의 관점에서 벗어나 위기협상가와 1:1 면담을 통해 실제 현장에서의 경험에 기초하여 범주를 구성하고 상황 대응과정 분석과 전략유형 분석을 거쳐 새로운 위기협상의 개념을 정립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 점이다. 둘째, 위기협상의 단계별 대응방법에 대한 새로운 틀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의 위기협상 모델에 대한 연구는 S.A.F.E 모형에 의한 위기협상기법(정우일, 2009) 및 위기협상의 행동변화 단계 모델(BCSM) 이해와 실패사례 분석(김태헌․최응렬, 2021b) 등이 이루어질 정도로 고유의 위기협상 모델 연구는 열악한 수준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위기협상가가 협상 발생 이전의 협상활동부터 협상 종료 및 이후까지의 전 과정을 탐색함으로써 위기상황 특성을 고려한 고유한 이론적 프로세스를 정립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셋째, 협상가 및 위기자의 성향과의 관련성에 따른 위기대응 유형을 발굴하고 갈등관리이론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협상가의 타고난 성향은 협상에 영향이 적게 나타났으며 협상 시에는 위기자의 성향과 관계없이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해결형 내지 공감형의 성향으로 변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Kilmann & Thomas의 갈등관리유형과 비교함으로써 갈등조정이 중요하게 부상하는 현대에 위기협상과 갈등관리의 결합성 연구에도 관심을 가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와 함의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갖고 있다. 첫째, 질적 연구의 본질적 한계의 문제이다. 이 연구대상은 경찰 위기협상가로서 연구참여자들과 1:1 심층면담을 통해 확보한 참여자의 주관적 경험을 분석한 것이다. 이는 연구자의 창의성 및 심층적 지식을 발휘할 수 있는 측면은 좋으나 해석학에서 요구하는 타당성 및 신뢰성 확보에서는 약점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였는지에 대한 검증에서의 한계를 드러낸 측면도 있다. 둘째, 협상가의 인적자원 협소로 수도권 위주의 대상자 선정 및 협상 경험에서의 연구참여자 간 불균형이 나타났다. 서울과 경기도가 7명으로 많았으며 부산, 대전, 울산이 각각 1명이다. 협상경험도 많게는 70여회 이상부터 적게는 5회로 차이를 나타냄으로써 위기상황 대응경험 연구로서의 타당성 확보의 한계도 존재한 측면이 있다. 셋째, 시․도 경찰청 간 협상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및 경기도 남부와 북부의 협상환경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문제가 대두될 수 있다. 넷째, 위기유형의 대다수가 자살기도자로서 한정된 협상경험을 나타냈다. 연구참여자 중에도 인질협상은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 사람도 있었다. 따라서 광범위한 위기협상 연구에는 많은 한계를 드러냈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함의와 한계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다음의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첫째, 한국형 위기협상 프로세스 구축과 관련하여 위기사건의 데이터베이스화로 통계 기반의 양적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위기협상팀의 광역화 등 체제 개편과 맞물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협상경험 차이 및 협상인식 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따라서 위기협상 대응의 일반화 내지 객관성 제고에는 많은 기여를 할 것이므로 연구의 폭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위기협상가의 풀(pool) 확보를 위한 육성체계 개발의 연구가 필요하다. 위기협상은 다양성이 존중되는 사회에서 갈등과 연관되어 더욱 중요해지는 영역이다. 아울러 갈등조정가로서의 역할도 필요하므로 협상가의 양성이 곧 치안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경찰의 위상과 신뢰를 증진하는 촉매제로서의 기능을 할 것이다. 넷째, 협상가의 감정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지금까지 위기협상이 위기자를 대상으로 하므로 위기자의 감정 완화에 초점이 맞춰졌다. 향후에는 협상가의 심리 및 충격에 따른 트라우마 대책의 연구도 본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협상가의 성향분석에 대한 객관성 확보다. 연구참여자 자신의 주관적 진술에 의존한 분석이 아니라 MBTI 검사방식 등 객관적으로 증명이 되어 있는 연구의 툴(tool)을 활용한 분석의 연구가 필요하다. 여섯째, 위기유형별 매뉴얼화가 필요하다. 위기상황은 앞으로 인질이나 테러, 가정폭력 등 다양하게 전개될 것이다. 협상 종료 시 개입범위에 대해 협상가마다 다르게 인식하고 있듯이 매뉴얼화되어 있지 않으면 상황 변화에 따른 대비가 어려울 수 있다. 인간은 학습의 동물이다. 따라서 꾸준한 학습을 통해 경험하지 못한 상황에도 무의식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매뉴얼을 갖추어야 한다. 이 연구는 위기협상 분야에서 위기협상가의 협상경험에 기반을 둔 대응과정 및 전략유형을 분석한 연구의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위기협상 대응 프로세스의 기초를 제공한 연구이다. 또한 협상가의 협상 스타일을 갈등관리유형과 비교하여 도출함으로써 위기협상의 임무를 수행하고 위기협상가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데도 기여할 것이며, 상담과 일반협상과의 통합적 관점의 대응 필요성을 제기한 점이다. 그리고 연구참여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한국형 위기협상 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방향과 가이드를 제시한 점이다. 이 연구를 기회로 향후에도 새로운 연구자가 다양한 시각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 경찰조직 전체가 위기협상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발전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손실보상의 법적 개념 재정립에 관한 연구

        이하영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Loss compensation is a system that compensates when a legitimate act of the state violates an individual's property rights and causes special sacrifices. Article 23(3) of the Korea Constitution stipulates legal compensation for infringement of property rights. The requirements for loss compensation are public necessity, public violation of property rights, legality, a special sacrifice, regulations of loss compensation. Article 23 of Korea Constitution and Art 14 of the GG have similar legal structures and contents, but there are differences. Namely, our concept of loss compensation is different from the Germany concept of loss compensation. The loss compensation must meet the requirements of property rights and special sacrifices. Loss compensation does not have a basic legal system, so it is stipulated in individual laws. However, the concept of loss compensation in individual laws is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loss compensation in the Korea Constitution. Specifically, 「Patent Act」 includes the right entitled to Patent in the subject of loss compensation, but the right is not a property right. 「Act on Special Measures for Development of Small and Micro Enterprises」is not clearly stipulated about the criteria for special sacrific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stipulates compensations for loss of life and bodily injury as loss compensation.「Act on Compensation for Persons related to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ETC.」 changed as state compensation in accordance with a legal fiction as the state compensation, but it still maintains a loss compensation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legal concept of loss compensation. The administrative damage compensation system is divided into Loss compensation and state compens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ss compensation and state compensation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redefine the legal concept of loss compensation. Recently, the requirements of state compensation and loss compensation have become similar. Both systems aim to relieve rights violated by the State actions. Thus, it is proposed to integrate the concepts of loss compensation and national compensation into “Recompense for damage caused by the State actions” and to adopt the 「State liability Act」. 손실보상이란, 공공의 필요에 따른 적법한 공권력의 행사에 의해 개인의 재산에 가하여진 특별한 희생에 대하여 행정주체가 행하는 조절적인 재산적 전보이다. 헌법 제23조 제3항은 적법한 공권력의 행사에 의한 재산권의 제약과 법률에 근거한 보상을 명시하고 있다. 손실보상은 국가배상과 달리 일반법체계가 부재하여 개별법에 보상규정이 산재되어 있는 구조이다. 기존에 손실보상에 관한 문제가 주로 제기되는 분야는 공익사업으로 인한 토지의 보상 문제이다. 이에 따라 손실보상의 요건은 ① 공공의 필요, ② 재산권에 대한 공용제약, ③ 적법성, ④ 특별희생, ⑤ 보상규정존재로 자리 잡게 되었다. 재산권의 보장 및 손실보상에 관한 헌법 제23조는 독일기본법 제14조와 조문구조 및 내용이 유사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독일기본법상 손실보상의 대상은 공용수용인 반면, 우리 헌법은 공용수용, 사용, 제한을 모두 명시하고 있다는 차이가 있다. 또한, 독일은 적법과 위법의 관습・보충적 영역으로 희생보상청구권과 수용유사적침해, 수용적 침해를 인정하고 있으나, 우리 헌법은 이를 인정하고 있지 않다. 이외에도 공용 제약과 보상규정 간 불가분성을 인정하고 있는 독일과 달리 우리헌법은 명확하게 밝히고 있지 않는다는 점을 통해서도 우리헌법상 손실보상은 독일기본법상 손실보상 구조와는 다른 독자적인 형태를 보인다고 할 것이다. 개별법에서 구체화되는 손실보상의 개념은 점차 토지보상의 개념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새로운 형태의 보상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특허법」, 「소상공인법」, 「경찰관직무집행법」, 「5・18보상법」상 손실보상 개념 및 요건은 재산권과 특별희생성의 측면 및 국가배상과의 관계성에서 기존의 손실보상 개념과 다른 형태를 보이고 있다. 「특허법」은 특허행사권과 특허 받을 권리의 수용을 손실보상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특허는 공법상 확인행위로, 특허 받을 권리가 수용되는 것은 특허 신청을 확인받을 수 있는 권리가 수용되는 것일 뿐 재산권성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소상공인법」은 영업권의 제한으로 발생한 손실을 손실보상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특별희생의 발생 시점에 대한 명확한 해석이 어렵고 사회적 분위기 및 정책적 고려에 따라 특별희생의 기준이 달라진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손실보상의 요건은 점차 국가배상 요건과의 차이가 좁혀지고 있다. 「경찰관직무집행법」은 국가배상의 범위인 생명・신체의 침해까지 적법한 손실보상의 대상으로 규정하였으며, 「5・18보상법」은 배상 의제조항만 둔 채, 여전히 손실보상체계를 유지하고 있어 손실보상과 국가배상의 개념이 혼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는 헌법 제23조 제3항에서 명시한 손실보상의 개념에서 벗어난 위헌의 소지도 인정된다. 따라서 손실보상의 법적 개념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손실보상의 법적 개념을 재정립하기 위해서는 국가배상과의 관계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국가배상은 고의・과실성과 위법성을 핵심적인 배상 요건으로 하고 있으나, 손실보상은 공용 제약 행위의 고의・과실성을 판단하지 않고, 행정의 법원칙에 위반되는 특별희생이 발생하더라도 재산권에 내재된 사회적 구속성에 따라 적법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따라서 손실보상의 법적 개념을 헌법 제23조 제3항의 재산권과 특별희생으로 축소하는 방안은 현행법체계상 국가배상으로 해결할 수 없는 권리구제의 공백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적절치 못하다. 다만, 「국가배상법」의 절대적 원칙이던 과실책임주의는 점차 객관화되는 경향이다. 위법성의 측면에서도 기존의 추상적 일반원칙이던 행정의 법원칙이 성문화됨에 따라 구체적・개별적 성문법적 지위가 인정되고 있다. 「국가배상법」제5조 영조물책임은 무과실책임을 적용하고 있으며, 영조물의 불완정성까지 위법의 영역으로 이해하고 있는 경향이다. 즉, 손실보상의 대상 확대와 국가배상의 고의・과실 및 위법성 요건의 완화 추세는 행정상 손해전보체계의 요건 간 차이가 좁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손실보상과 국가배상은 모두 국가작용에 의해 침해당한 권익을 구제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손실보상과 국가배상의 개념 및 요건의 변화 추세를 고려하였을 때, 손실보상과 국가배상의 개념을 구분하지 않고 국가 책임의 측면에서 양자를 통합한 개념 및 법체계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따라서 국가책임법제를 도입하여 “국가의 공권력 행사로 인해 발생한 피해의 구제”로 국가 책임의 개념을 개괄적으로 규정하고, 각 개별법에서 행정작용의 특성을 고려한 책임의 범위 및 절차를 구체화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현행 손해전보체계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새로운 행정영역의 창출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권익 침해 위험을 최소화하여 권리구제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국가책임체계가 정립될 것으로 기대한다.

      • 중국의 모바일 결제 활성화를 위한 정부 지원 정책에 대한 연구

        왕소니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Nowaday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and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round the world, the Internet is affecting social economy and people’s life, study and work. As an important link of the Internet, mobile payment will certainly play a very important role. Mobile payment, as a means of payment started and gradually developed in recent years, has been familiar with and used by more and more people. However, any science and technology has its constraints on the development of factor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put forward theoretical thinking for the problems existing in mobile payment. Mobile phones are more and more closely related to people’s life, especially after countries enter the era of mobile phones are no longer simply limited to providing voice and SMS services and other basic functions. There will be many requirements related to daily life adds functionality to the application of mobile phone and mobile payment is a kind of through the use of mobile phones instead of cash and bank CARDS to pay a way it not only provides a new means of payment at the same time also will affect the payment of consumers behavior this change will also bring a new reVolution to the financial industry affects the financial industry in the future The development of. At present, mobile payment applications have a very large number of mobile phone users, a variety of mature technical solutions and novel business models, which will accelerate the further promotion of mobile payment. Any change that can change people’s consumption habits is worth careful analysis and research. The article is divided into five chapters, in order to put forward the problem, analyze the problem, solve the problem as the basic idea,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gradually in-depth analysis. This paper introduces the basic situation of mobile payment from various aspects, so that readers can have a mor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mobile payment, and summarizes the security, technology and imperfect policies and regulations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Mobile payment in China and South Korea. And lists several other developed country’s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mobile payment, to contrast from South Korea and China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mobile payment is insufficient, has also learned from some successful experiences, in combination with the practical situation of Han Zhongguo analysis, in view of the insufficiency in the field of Han Zhongguo mobile payment puts forward some corresponding measures, And put forward some constructive suggestions on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mands and policies needed for its development, so as to promote the healthy and stable development of mobile payment in Korea and China. Through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nalysis of mobile payment, this paper explores a series of more suitable methods and policies for the development of mobile payment, so as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maximizing the value of mobile payment. Thus promoting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economic construction. 현대 과학 정보 기술의 빠른 발전은 중국 사회의 산업 발전과 사람들의 일상생활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정보 기술과 금융 산업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결제 방식인 모바일 결제가 생겨났고, 사람들의 일상과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모바일 결제는 최근 몇 년간 결제 서비스 방식의 중요한 혁신 중 하나이며, 전자 결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인터넷이 개통된 지역이 늘어나면서 인터넷 사용량이 점점 더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모바일 결제가 시작되었다. 현재 모바일 결제 사용자는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현재 모든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는 혁신 가치를 발굴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중국의 혁신은 모바일 결제를 다른 국가보다 선제적으로 도입하고 확장함으로써 모바일 핀테크 사업 부문에서 타국보다 비교우위를 가지게 되었다. 중국은 모바일 결제 시장의 발전을 디딤돌삼아 다양한 분야로 혁신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중국 모바일 결제 업계의 성공은 사회의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비록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 중국에 처음 등장한 것은 아니지만, 널리 사용되는 모바일 결제 플랫폼들은 대성공을 거두었다. 위챗페이와 알리페이와 같은 모바일 결제 플랫폼들은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연구할 가치가 충분하다. 정치경제학 분야에서는 국가의 경제에서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는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로써 중국 경제 발전의 성공을 통해 중국 정부의 경제적 역할과 위상이 달라졌다고 하였다. 그리고 사회주의제도 아래에서 경제발전을 이루었다. 사회주의 경제 체제 하에서 어떻게 사기업이 이익을 얻고, 국가 최고 수준의 투자를 진행하며,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의 협동을 통해 사회이익을 최대화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모바일 결제는 일반적으로 민간 기업에서 제공하지만, 그것을 이끄는 역할은 정부의 몫이다. 모바일 결제 산업이 중국 경제의 한 축이며, 다른 여러 국가의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 영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전문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김미자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social structure and family forms in the rapidly changing contemporary society strengthen the social responsibili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This leads to anticipation of surrounding people on the professionalism of the principal as the highest figure responsible for operation of an institute. The principals must be able to establish the vision for management based on proper faith in education and implement more efficient operation and management and are required to be professional enough to develop the institute and generate sound management performance by striving to ensure sincere management of curricula and pleasant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In evaluation of professionalism of the principals,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changes of the society and environments of their time. It is also necessary to diversify evaluato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measurement scale for teachers as institutional agents who can more objectively evaluate professionalism of the principals which is required for the highest figure responsible for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how about the structure of the questions pertaining to the scale of professionalism of the princip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Second, how about validity of the scale of professionalism of the princip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Third, how about reliability of the scale of professionalism of the princip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The procedure for development of the scale i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extract the components of the scale of professionalism of the princip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the author reviewed related literature, follow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related people as well as a questionnaire survey for principals and teachers. Based on the elements of professionalism of the principals extracted in these steps, a draft of the scale consisting of the first five component factors was devised. This draft was subjected to three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s by an expert group that took part in the delphi survey. Later, the first 83 preliminary questions were adjusted to three factors, 12 sub-factors and 43 questions in total. Based on these preliminary questions, a preliminary study with 121 teachers was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collected data, leading to completion of a draft on the scale of professionalism of the principals consisting of three factors and 38 questions. Second, in order to verify validity of the completed draft on the scale of professionalism of the principals,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515 teachers were subjected to this study. Based on the data collected, quality factors of the questions of the draft were confirmed, followed by verification of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ecurity of construct validity of this scale. In the process, the components of the scale of professionalism of the princip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were finally composed of three factors and 33 questions in total. Also, concurrent validity of the scale was secured through the draft of the scale of professionalism of the principal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and correlation analysis involving the professionalism test tools of the principals conducted by Minyoung Kwak (2020). Finally, sound reliability of this scale was confirmed.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questions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ale of professionalism of the princip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consists of three sub-factors and 33 questions in total. These are ‘advancement of management of an institute’ (11 questions), ‘implementation of future education’ (10 questions) and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12 questions).Second, three components of the scale were found to explain 67.57% of all variables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factors is in the order of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advancement of management of an institute and implementation of future education. The goodness of fit of the measurement model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review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items to measure the three extracted factors was found to be conforming, securing construct validity of this tool.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ale of professionalism of the princip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and the components of measures of professionalism test developed by Minyoung Kwak was .50 or above, securing concurrent validity of this scale. Third, based on the examination of Cronbach’s α coefficient in order to confirm reliability of the scale of professionalism of the princip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total reliability coefficient was .973. In conclusion, the scale of professionalism of the princip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developed for teachers through this study is a measurement tool of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Also,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is scale, the author tried to reflect the voices of various related on-site persons. The author also tried to reflect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changes in education of future society. The tool is believed to have developed evaluation of professionalism of the principals as it was developed as a tool that can be evaluated by teachers.

      • 中國 民法上의 非營利法人制度에 관한 硏究 : 韓國 民法과의 比較를 中心으로

        요가천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비영리조직은 사회 구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비영리법인제도의 입법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중국은 법체계와 입법 전통이 대륙법계나 영미법계와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참고할 입법자원이 매우 부족하다. 한국은 중국의 가까운 이웃으로 역사적 연원이나 사회현실상의 유사한 점이 많아 한국법은 중국의 법 개정 때 참고할 수 있는 많지 않는 입법자원 중 하나이다. 중국민법상의 비영리법인제도는 확립한 지 불과 5년밖에 지나지 않았으므로 민법과 특별법상의 규정은 아직 부족하며 주로 행정법규인 각종 ‘條例’, ‘辦法’, ‘通知’ 및 ‘指南’에 의존하여 규제하고 있어 법체계가 상당히 혼란스럽다. 중국 비영리법인의 설립에서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허가주의를 채택하고 있어 설립절차상 이중 또는 다중 허가라는 문제점이 있다. 중국은 법인의 대표기관에 대해서는 독립직권제를 채택하고 있으므로 다른 이사의 대외대표권을 제한하고 있어 법인의 사무를 처리할 때 법정대표인의 권한이 지나치게 크다. 비영리법인의 청산사무나 절차에 대해서는 민법은 규정하지 않고 영리법인인 회사의 규정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적격성의 문제를 야기한다. 본고는 한국의 법률 조문과 입법 경험을 분석하고 정리하여 중국 민법상 비영리법인제도의 문제점에 대해 시사점과 개인적인 개정방안을 제시한다. 중국 민법상의 비영리법인제도의 개정에 대해 필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주장을 가지고 있다. 첫째, 비영리법인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중국민법상의 관련 법률규정을 조속히 보완하고 합법적 우려가 있는 ‘장정시범문본’은 폐지해야 한다. 둘째, 비영리법인 설립에서의 입법주의는 허가주의에서 인가주의로 개정하며 인가요건까지 세분화할 필요도 있다. 셋째, 비영리법인의 설립절차를 줄여 비영리조직이 법인격을 편하게 취득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비영리법인 기관에 대한 이사의 대외적 대표권을 방출해야 한다. 다섯째, 비영리법인 청산에 관한 민법의 일반적 규정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Non-profit organizations are important members of the social structure and play an important service in social affairs, so legislation of the non-profit corporate system is very important. However, China lacks legislative resources because its legal system and legislative traditions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continental and Anglo-American law system. Korea is a close neighbor of China and has many similarities in historical origin and social reality, making Korean law one of the few courts that can be referred to in China‘s revision of the law. Since the non-profit corporation system under Chinese civil law has been established only five years ago, the legal system is quite confusing as it is regulated mainly by various administrative laws such as ordinances, methods, notices, and guidelines. In the establishment of a non-profit corporation in China, like Korea, permissionism is adopted, so there is a problem of double or multiple permits in the establishment procedure. Since China adopts an independent authority system for the representative agency of a corporation, the authority of the legal representative is too large when handling the affairs of a corporation as it restricts the authority of other directors. The civil law does not stipulate the liquidation work or procedures of a non-profit corporation, but applying the regulations of a company that is a for-profit corporation as they are causes a problem of eligibility. This paper analyzes and organizes Korean legal provisions and legislative experiences and presents implications and personal amendments to the above problems of the non-profit corporate system under Chinese civil law. Regarding the revision of the non-profit corporation system under Chinese civil law, author has several argument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non-profit corporations, relevant legal regulations under Chinese civil law should be supplemented as soon as possible and the "example copy of the articles of association" with legal concerns should be abolished. Second, legislativeism in the establishment of non-profit corporations needs to be revised from permissionism to authoritarianism and subdivided into authorization requirements. Third, it reduces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non-profit corporations so that non-profit organizations can easily acquire corporate identity. Fourth, it is necessary to release the director's external representative rights to non-profit corporations. Fifth,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Civil Act on the liquidation of non-profit corporations.

      • 몽골불교 승가교육에 끼친 『Lam rim』의 영향 연구

        Demberel, Duinkharjav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Шагжамүни Буддагийн сургаал нь Судар, Виная, Абхидхарма зэрэг гурван сав аймгийн номын цогц бөгөөд Буддын шашны сургаал номлолын охь дээж мөн. Бурхан багшийн сургаал нь хүмүүний түүхэнд олон соёл иргэншил дамжин шүтэгдэж, судлагдаж ирсэн зонхилох шашин суртгаал юм. Бурхан Буддагийн номлосон гэгээрэлд хүрэх зам, сургаалыг хэрэгжүүлэх түүхэн үйл явцад бусад урсгал чиглэл, ялгамжтай номлолууд их хөлгөний уламжлалд бий болж, олон нарийн тайлбар бүтээлээр баяжин хөгжиж иржээ. Бурханы ном Монголд дэлгэрсэн түүхэн гурван цаг үе байдаг гэж үздэг бөгөөд Монголын Бурханы шашны сургаал номлол, ялангуяа Буддын гүн ухааны үндэс нь Бурхан Буддагийн айлдсан судрын аймаг, Наландарын их мэргэдийн сонгодог бүтээлүүд, хожмын үеийн Төвөд, Монголын эрдэмтэн хуврагуудын зохиосон үнэт тайлбар зохиолууд мөн болно. Эртний Энэтхэгийн Буддын шашны төв болох Наландарын их сургууль нь IV зуунд анх суурь нь тавигдсан бөгөөд тухайн үеийн Энэтхэгийн буддизмын хөгжилд ихээхэн чухал хувь нэмэр оруулсан байдаг. Харамсалтай нь XII зуунд бусад шашны түрэмгий нөлөөллийн улмаас Энэтхэг орноос даажихад хүрсэн юм. Наландарын эрдэмтэн Атиша (982-1054) нь Гаадамбын урсгалыг үндэслэгч бөгөөд Төвөдөд Бурханы шашныг шинэчлэн дэлгэрүүлэхэд ихээхэн нөлөөлсөн хувраг байжээ. Атиша гэгээн нь Бурхан багшийн сургаал номлолыг үндэс болгон Их хөлгөний бодьсадвын явдлыг чухалчлан "Бодь мөрийн зул" хэмээх номоо айлдсан нь Төвөд, Монголын Бурханы шашин, ялангуяа Гэлүгбийн ёсны дэлгэрлэлтэд чухал үүрэг гүйцэтгэжээ. Эзэн Чингис хаан Их Монголын эзэнт гүрнийг байгуулснаас хойш уламжлалт бөө мөргөл ба Бурханы шашныг тэнцвэрийг хадгалж, эв найрамдалтай зэрэгцэн орших нөхцлийг бий болгосон бөгөөд Христ, Исламын болон Азийн бусад улсуудын шашныг хүлээн зөвшөөрсөн бодлого барьж байжээ. Монголд Төвөдийн Бурханы шашин анх орж ирэх үед нүүдэлчдийн дунд бөө мөргөлийн нөлөө давамгай хэвээр байсан бөгөөд Бурханы шашин нь тухайн үеийн язгууртнуудын шашин шүтлэг болж байжээ. XIII-XIV зуунд Төвөдийн Бурханы шашны Сажаба, Гаржүдбын урсгал Юань гүрний Монгол хаад, ноёдын дунд шашин шүтлэгийн зонхилох үүрэгтэй байв. XIV зуунд Монгол эцэг, Төвөд эхийн гэр бүлд төрсөн Богд Зонхов нь Төвөдийн Бурханы шашинд томоохон өөрчлөлт, шинэчлэл хийж, 18 боть бүхий сургаал номлолыг айлдан дэлгэрүүлсэн нь Гэлүгба ёсны суурь болжээ. Зонховын Бодь мөрийн зэрэг нь Атишагийн Бодь мөрийн зул номд суурилан, түүнийг дэлгэрүүлэн айлдсан Гэлүг ёсны суурь сургаал номлолын дээж хэмээн үздэг. Богд Зонховын бүтээлүүд нь Бурхан багш, Наландарын их мэргэдийн сонгодог бүтээлүүдийг нарийвчлан судалж, дэлгэрүүлэн тайлбарласан зохиолууд байдаг. XIV зууны хоёрдугаар хагаст Зонховын үүсгэн байгуулсан Гэлүгба урсгал нь Төвөд болон Монголын бурханы шашинд томоохон өөрчлөлт хийж, энэхүү шинэ урсгалыг дагах, шүтэх, судлах зэрэг шашин номын үйл ажиллагаа идэвхтэй өрнөжээ. Монголын хаад, ноёд Бурханы шашны Гэлүгба ёсыг дэлгэрүүлэх зорилгоор Гуравдугаар Далай лам Содномжамцыг урин залж, ном сургаал айлдуулж, Далай хэмээх алдрыг хайрлажээ. Тэр цагаас хойш Монголын Бурханы шашинд Гэлүг уламжлалын сүм хийд, боловсролын тогтолцоо дэлгэрч, Буддын шашны үнэт зүйлд суурилсан урлаг, соёл, ёс суртахуун бий болж, Монголын ард түмний эв нэгдлийг бэхжүүлэхэд ихээхэн чухал үүрэг гүйцэтгэсээр байна. Анхдугаар Богд Өндөр гэгээн Занабазар бээр энэхүү Гэлүг урсгал Монгол оронд дэлгэрэхэд түүхэн хувь нэмэр оруулсан бөгөөд түүний зохиосон ном зохиол, дэглэсэн зан үйл, ая дан, хувцас хэрэгсэл зэрэг нь хуврагийн чуулганы дахин давтагдахгүй өв соёл болон өвлөгдөн иржээ. Тухайлбал Лхасын их ерөөлийг Монгол оронд хурдаг болгож өөрийн ерөөл, магтаал, маань татах зэргээр баяжуулсан төдийгүй энгийн ард иргэдийн дунд дэлгэрсэн зан үйлийг бий болгожээ. Мөн Өндөр гэгээний үе буюу 1686 онд Халх, Ойрадын хаад, хутагт хувилгаад нэгдэн чуулсны дараа Майдар эргэх ёслолыг анх тэмдэглэжээ. Хоёрдугаар Богдын үед буюу 1736 онд анхны гүн ухааны сургууль болох Дашчойнпэл дацанг байгуулсан. Их хүрээнд 1844 онд Ламрим дацан байгуулснаар шашны боловсролд чухал үүрэгтэй байсан төдийгүй бодь мөрийн зэргийн номыг гүнзгийрүүлэн судлах, гүн ухааны хэлцэл мэтгэлцээн хийх зэрэг сургалтын үйл ажиллагаа явуулж байсан зэргийг дурдаж болно. Монгол орноо дээдийн номын гурвантаа дэлгэрүүлэх эхэн үесд Төвөд багш нарыг залж байсан бол улмаар эрдэмтэй Монгол лам нар олноор төрөн гарсан XVII-XX зууны эхэн үеийг Бурхан шашин ихээр дэлгэрсэн үе гэж үздэг. Энэхүү их дэлгэрэлтийн үеийн боловсрол, эрдэм судлалын цөм нь Богд Зонховын сургаал номлол, тэдгээрийн дундаас “Ламрим” буюу Бодь мөрийн зэргийн зохиол бүтээлүүд байжээ хэмээн дүгнэхээр байна. 본 연구의 목적은 몽골불교의 성립에 끼친 티벳불교 겔룩빠의 영향을 고찰하고, 인도 날란다 마하비하라를 계승한 몽골불교 승가교육의 학제와 사자상승(師資相承)의 전통을 고찰하는 데에 있다. 이 과정을 통해 본 논문에서는 인도의 날란다의 학제와 티벳 겔룩빠가 몽골의 불교교육과 몽골 사회문화에 끼친 영향을 조명하였다. 몽골불교 승가교육에 끼친 『Lam rim』의 영향을 논의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티벳불교와 『Lam rim』의 성립 배경’에서는 티벳불교가 인도불교를 계승하게 된 역사와 인도불교의 성격을 살피고, 이후 몽골과의 교섭을 통해 티벳불교의 겔룩빠가 몽골불교의 형성에 기여한 문헌과 쫑카빠, 달라이라마 제도와의 관계들을 역사적 상황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날란다대학은 4세기 전후 그 원형이 갖추어진 이래로 인도불교의 모든 문헌과 연구, 불교문화와 의례의 중심지였다. 몽골불교가 인도불교와 만난 때는 12세기 불교가 인도에서 사라진 이후 날란다대학의 전통을 계승한 티벳불교를 만나게 되면서부터였다. 몽골은 칭기스칸에 의해 건국된 이래 전통신앙과 불교를 조화롭게 유지하면서 아시아의 문화를 골고루 받아들이고, 몽골의 독창적인 불교문화를 발전시켰다. 둘째, 『Lam rim』의 교육과정과 사상’에서는 몽골불교와 교섭한 티벳불교 겔룩빠의 본질을 인도 날란다 마하비하라(Nalanda Mahavihara)이라 규정하고 이를 계승한 몽골불교에 대해서도 근본적으로 불교의 본향인 인도불교의 계승자가 되는 이유를 조명하였다. 티벳불교 겔룩빠는 인도에서 활동하였던 아띠샤의 『보리도등론』과 이를 계승한 쫑카빠에 의해 인도불교 날란다 마하비하라의 계승자라는 선언을 다수 발견할 수 있다. 14세기 전후 몽골인 아버지와 티벳인 어머니사이에서 태어난 쫑카빠는 아띠샤의 교학과 수행체계를 계승하고, 많은 저술을 남겼다. 쫑카빠는 인도 날란다대학의 17논사의 교학을 중심으로 『Lam rim』과 『비밀도차제론』 양 저술을 통해 인도불교의 모든 사상과 수행체계를 요약하였다. 『Lam rim』에 나타난 사상은 날란다대학에서 까말라실라의 『수습차제』와 아띠샤의 『보리도등론』에서 보이듯 방대한 문헌을 정리하고, 혜학을 인명학으로, 정학을 밀교를 방편으로 수습하는 전통을 계승하였다. 셋째, ‘몽골 겔룩빠의 승가교육과 『Lam rim』’에서는 겔룩빠의 영향에 의해 『Lam rim』 다창과 조르하인 다창에서 현교교육과 밀교교육을 전담한 몽골승가의 독특한 양상에 주목하여 논의하였다. 몽골 승가교육의 중심이었던 ‘다창’에서 티벳불교 승원의 과정과 거의 동일하게 계율, 『구사론』, 『현관장엄론』, 『입중론』, 논리학의 오명학으로써 현교의 중심으로 삼았다. 또한 밀교의 수행은 마지막 단계에서 자격있는 제자에게 수행의 기회를 부여하였다. 아울러 티벳불교 승원과는 차별화된 몽골 다창의 특징으로, 불상조성, 사찰건립, 범패문화, 불교미술, 의례음악, 불교무용 등에 대한 교육을 현교교육 못지않게 중시하며 몽골의 문화 전체를 발전시키는데 큰 역할을 한 점을 논의하였다. 넷째, ‘Ⅵ 몽골 승가교육과 『Lam rim』의 불교사적 의의’에서는 먼저 몽골불교를기존의 샤머니즘과 밀교 중심의 시각에서 벗어나 인도불교의 정통인 날란다 마하비하라나 위끄라마실라 마하비하라의 전통을 계승한 역사적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몽골불교는 13세기 쿠빌라이칸에 의해 초기에는 사꺄빠와 깊은 관계를 가졌으나 점차 겔룩빠의 영향을 많이 받아 날란다대학과 쫑카빠의 교학을 중시하게 되었음을 고찰하였다. 특히 『보리도차제론』에 나타난 계율관과 윤리관, 대승보살의 자비사상과 논리학의 언어와 논리를 받아들여 몽골불교뿐만 아니라 몽골사회와 문화를 크게 향상시켜 오늘에 이르게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As the core teachings of the Sakyamuni Buddha, the Tripitika collections containing the Sutras, Vinaya and Abhidharma texts or the original teachings of Buddhism have been thoroughly studied and practiced throughout different civilizations and at different historical eras. The system of practicing the path to enlightenment preached by the historical Buddha has consequently led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achings and practices depending on the sects of Buddhism, especially Mahayana Buddhism. Similarly, Mongolians have attempted to introduce Buddhism three times at three different historical times in its history.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Mongolian Buddhism is based on the sutras of the historical Buddha, the classic works of the Nalanda Buddhist masters, and valuable texts composed by Tibetan and Mongolian scholar monks of the later periods. Nalanda University was established in the 4th century in its original form, and it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Indian Buddhism at that time. Unfortunately, Buddhism disappeared from India in the 12th century due to the oppressive activities of other religions. It was Atisha (982-1054) who largely caused the reformation of Buddhism in Tibet as the founder of Kadampa school. Atisha wrote, "The Lamp of the Bodhisattva Practice", emphasizing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the Buddha Sakyamuni. Since the Mongolian Empire was founded by Genghis Khan, it has harmoniously maintained an effective balance of coexistence between traditional Shamanism and Buddhism while embracing other faiths of Christianity, Islam and Asian origins. When encountering Tibetan Buddhism, the influence of shamanism was still dominant among the nomads and Buddhism was attractive to the aristocrats of the society only. In the 13th and 14th centuries, the Sakya and Kagyu sects of Tibetan Buddhism were introduced to the Mongol rulers of the Yuan Dynasty. Born to a Mongolian father and a Tibetan mother in the 14th century, Tsongkapa not only inherited the teachings and practices of Atisha but he wrote a large number of works resulting in 18 volumes of highly valued works. The ideas that appeared in "Lam rim" texts were originated in the classic works of the Nalanda masters such as in Kamalasila's "Stage of Path" and Atisha's "The Lamp of the Bodhisattva Practice". Following the of Gelug-pa school founded by Je Tsongkha-pa in the second half of the 14th century, there was a tremendous shift among Tibetan and Mongolian Buddhists from the traditional schools to a new sect called Gelug-pa in the following centuries. It is believed that the Tsongkha-pa’s teachings, especially the Lamrim texts, were based on the original teachings of the Buddha and the classic works and commentaries of the Indian Buddhist masters. In order for the Mongolian rulers to reintroduce Buddhism via Tibet that time, the Mongol khans invited the Third Dalai lama in the late 16th century. Ever since, in Mongolian Buddhism, the monastic educational system of Gelug-pa tradition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educating and training monks, creating art and culture based on Buddhist values, promoting ethical principles in the society, and strengthening unity among the Mongolian people. The First Bogd Jetsundamba Zanabazar had made a valuable contribution to the dissemination of Gelug-pa sect of Buddhism in Mongolia through his writings, works on rituals and rites that served as the foundation of monastic culture and heritage of Mongolian Buddhism. He successfully modified the Lhasa Monlam prayer as the key monastic ritual for a new year, Maitreya Circling ritual and enabled the followers to perform laypeople rituals harmonized with Mongolian traditional ways. The Second Jetsundamba established the first school of Buddhist Philosophy and Dialectics in 1736. Lamrim college was founded in 1844 further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monastic education, practice and debating in Mongolia. In the beginning of the third Dharma spread period in Mongolia, Mongolians invited Tibetan scholar monks for higher monastic education and training. However, from the 17th to the early 20th century, there had been a large number well educated Mongolian scholar monks, who had produced valuable scholarly works, many of which were based on the works of Je Tsongkha-pa, especially Lamrim teach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