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inchon Transit Mall Project on the Pedestrian Satisfaction and Commercial Area : 신촌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이 보행자 만족도 및 지역 상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Kim, Sung Eun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가로의 보행환경 개선을 통해 보행활동을 증진시키고 지역의 침체된 상권을 회복시키고자 서울시 최초 대중교통전용지구로 조성된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를 대상으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의 보행환경 변화를 도시설계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에 따른 보행환경 개선이 보행자 만족도 변화 및 지역 상권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분석은 크게 세 가지로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보행환경 변화 분석,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보행환경에 대한 만족도 변화와 만족도에 영향을 준 보행환경 요인 및 인구특성 분석, 그리고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신촌 지역의 보행량, 매출, 지가 변화 분석 및 신촌 지역 상권 변화 관련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 분석이다. 분석방법으로는 첫 번째,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보행환경 변화는 도면 및 실측 조사와 자료 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두 번째,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보행환경에 대한 만족도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만족도 차이 분석은 chi-square test, 조성 전후 만족도 변화는 paired t-test, 만족요인 분석은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및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신촌 지역의 보행량 변화는 보행량 조사, 매출 및 지가의 변화는 자료 조사를 실시한 후 기초통계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상권 변화에 대한 신촌 상인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In-Depth Interview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보행환경 변화를 분석해 본 결과 조성 후 보도폭 확장, 보차분리 및 진출입구 안전 강화, 보도포장 개선, 위생시설 설치, 교통안전정보시설 추가 설치, 가로등 조도 강화, 횡단보도 추가 신설, 보행자 신호대기시간 감축, 벤치 설치, 명물거리와 연계한 벚꽂나무 식재, 노상적치물 및 불법노점상 철거 및 이전, 불법주정차 철거, 버스승강장 설치 및 BIT(버스도착안내 단말기) 설치로 인한 대중교통 접근성 강화, 명물거리 광장 조성 및 유효보도폭 확장을 통한 인근지역과의 연계성 강화, 다양한 문화 활동 공간 및 휴식공간 조성 그리고 지역 특색을 반영한 다양한 조형물 설치 등을 통해 연세로 보행환경이 개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보행자 만족도 변화 분석 결과 통계적 유의수준 내에서 전반적 만족도는 조성 전 `불만족'(2.37)에서 조성 후 `만족'(4.12)으로 크게 변화하였으며, 18개 보행환경요소별 만족도 모두 통계적 유의수준 내에서 조성 전보다 조성 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응답자의 성별, 연령, 직업, 거주지를 포함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전반적 만족도 수준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행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보행환경요인 분석결과 통계적 유의수준 내에서 `매력'(.282), `연속성'(.242), `안전성'(.172) 인자 순으로 영향력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매력' 요인의 구성요소는 볼거리, 즐길거리, 벤치, 위생시설, 노점상이며, `연속성' 요인의 구성요소는 횡단보도위치, 보행자 신호대기시간, 인근지역과의 연계성, 가로수, 대중교통 접근성이며, `안전성' 요인의 구성요소는 보차분리, 진출입구 안전, 보도폭이다.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보행량 변화 분석결과 조성 전보다 조성 후 전반적으로 보행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에 따른 보행환경 개선이 연세로 보행량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추론해 볼 수 있겠다. 그리고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신촌 지역 내 점포 월별 매출액이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조성 후인 2014년-2016년 연세대 상권 1인당 카드 매출이 다른 대학 상권(홍대 2.2%, 서강대 3.2% 포함)에 비해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에 따른 보행환경 개선이 매출액 상승과 관련이 있다고 유추해볼 수 있겠다.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신촌 지역 지가 변화를 살펴보고자 연세로에 인접한 필지와 신촌 인근 홍대 `걷고 싶은 거리'에 인접한 필지를 대상으로 조성 전 개별공시지가 증감률과 조성 후 개별공시지가 증감률을 비교 분석해 본 결과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에 따른 연세로 보행환경 개선이 신촌 지역의 지가 상승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지역 상권 변화에 대한 상인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분석해 본 결과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후 연세로의 보행환경이 개선된 것에 대해 대부분의 상인들은 만족스럽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세로 차량 통행 불편과 주차 공간 부족, 연세로 이면도로 보행환경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후 연세로에서 진행되고 있는 행사들 관련 의견을 분석해보면 대부분의 상인들은 연세로 내 다양한 행사 유치로 인한 유동인구 증가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었으나 행사를 즐기러 온 사람들이 행사 후 이면도로로 유입되지 못하는 문제점, 자연발생적 문화 컨텐츠 창출이 아닌 서대문구의 개입으로 인한 인위 발생적 문화 컨텐츠 창출의 문제점과 U-Plex 앞에서 중점적으로 행사가 집중되어 진행되는 문제점에 대해서 지적했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신촌 지역 전체 매출 변화 분석 결과에 의하면 조성 전보다 조성 후 지역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성 전후 매출 변화에 대한 상인들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매출이 증가했다는 상인들이 있는 반면 매출이 감소했다는 상인들도 있었다. 매출 감소를 경험하고 있다는 상인들은 연세로 차량 진입 통제로 인한 차량 통행 불편과 주차 공간 부족이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주원인으로 꼽았다. 그러나 모든 상인들의 답변을 종합해보면 2013년 연세대학교 1학년 학부생 송도캠퍼스 이전, 경기침체, 세월호 참사, 메르스 사태 등 복합적인 요인들이 부정적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conducted the analysis the changes in the pedestrian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creation of transit mall in Yonsei-ro targeting the Seoul's first public traffic-only district in view point of urban design in order to promote walking activity through the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and restore the downturn in commercial areas of the region. This study also analyzed influences of the changes in pedestrian environment on satisfaction of pedestrians and commercial supremacy in Sinchon. As the analytical methods; First, the changes in pedestrian environment after the creation of transit mall were analyzed in terms of urban design by studying plans, field and data. Second, a survey of satisfaction of pedestrians with pedestrian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creation of transit mall was conducted.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nges in satisfaction of pedestrians with pedestrian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creation of transit mall.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satisfaction factors of pedestrians. Finally, the basic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nges in pedestrian volume, sales and land price in Sinchon after the creation of transit mall.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take opinions about the changes in commercial supremacy from mearchants. An analysis of the changes to the pedestrian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creation of the Yonsei-ro transit mall showed that the pedestrian environment in Yonsei-ro was improved by expanding the width of the sidewalk, enhancing the level of safety at the entrance, separating the sidewalk and the roadway, improving the pavement of the sidewalk, installing a sanitation facility, further installing traffic safety information facilities, improving the streetlights' illumination intensity, adding more crosswalks, reducing the amount of time pedestrians were required to wait for a signal to change, installing benches, planting Oriental cherry trees, removing distribution box, illegal roadside piles and street stalls, removing illegal parking, installing bus stops and bus information terminals (BIT), creating the Myeongmul street Plaza, expanding the effective width of the sidewalk, creating spaces where people can enjoy the culture and take a rest, and installing three-dimensional artwork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inchon. An 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 level of pedestrians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the creation of the Yonsei-ro transit mall showed that overall, pedestrians' satisfaction changed from `dissatisfied' (2.37) to `satisfied' (4.12), an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eighteen pedestrian environment elements improved following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thes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 analysis of pedestrians' overall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age, occupation, and residence), show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overall satisfaction. An analysis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factors that influence pedestrians' satisfaction levels showed that `attraction' (.282) had the highest influence, followed by `continuity' (.242) and `safety' (.172);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lements related to `attraction' comprise anything that can be seen or enjoyed, as well as benches, sanitation facilities, and street vendors, Components of `continuity' include the location of crosswalks, time for pedestrians to wait for signal to change, connectivity to neighboring areas, street trees, and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and, `safety' includes elements such as separation of the sidewalk and roadway, safety at the entrance, and width of the sidewalk. An 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 pedestrian volume before and after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showed that pedestrian volume increased after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This suggests that improvements to the pedestrian environment are related to an increase in pedestrian volume in Yonsei-ro. Monthly credit card sales per person in the trade area of Sinchon increased as a whole, when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creation of transit mall. Moreover, the sales per card in the trade area of Sinchon increased considerably when compared with the sales other areas including Hongik University (2.2%) and Sogang University (3.2%).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mprovements to the pedestrian environment by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are associated with a rise in sales in Sinchon. An analysis of the changes in official land prices (in percentage) based on lots in the vicinity of Yonsei-ro and `walkable street' near Hongik University to examine how land prices in Sinchon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showed that improvements in the pedestrian environment by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did not result in an increase in land prices in Sinchon. After compiling merchants' positions and opinions on the changes in commercial supremacy following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interviewed merchants were satisfied with the improvements to the pedestrian environment after the creation of the Yonsei-ro transit mall; however, they were dissatisfied with the inconvenience of vehicular traffic in Yonsei-ro, the lack of parking spaces, and the pedestrian environment in the alleys. After analyzing the merchants' opinions about the events held in Yonsei-ro following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interviewed merchants were satisfied with the increase in the floating population, which resulted in response to an attraction to various events in Yonsei-ro; however, the merchants pointed that as downsides, the participants in the events did not stay in Sinchon for long, the cultural contents were created artificially by the intervention of Seodaemungu office, and events were held mainly in front of the U-Plex. An analysis of changes in overall sales in Sinchon after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showed that sales after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were greater than before its creation. Some merchants said that their sales increased after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whereas others said that their sales decreased. Those merchants who said that their sales decreased after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pointed out that the inconvenience of vehicular traffic arising from the restricted access of cars into Yonsei-ro and the lack of parking spaces served as the main causes of these declining sales. After compiling the responses of all interviewed merchants, it was determined that complex factors, such as the relocation of freshmen at Yonsei University to the Songdo Campus in 2013, the economic recession, the sinking of the Sewol ferry, and the MER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outbreak also likely had negative influences on sales.

      • Effects of Fun-Factor of Physical Activity Class and Self-Actualization on Psychological Happiness in Korean University : Examining the Mediating Role of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 대학생의 교양체육 수업 재미요인과 자아실현이 운동지속의도와 심리적 행복감에 미

        윤성욱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 among fun factors, self-actualization,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statistically, to promote university students' desirable sociality, morality and moral strength needed to overcome many difficulties throughout lifetime by maintaining and improving health through physical activities along with classes in school and by clarifying self concept, and to suggest resources for academical knowledge accumulation to promote national leisure culture through physical activity class in university, which can be physical education for life rather than one of the classes in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selected 589 physical activity class participants as subjects from June 2014 to December 2014. First of all,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n the basis of 566 questionnaire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using SPSS/PC ver. 18.0 version for the Windows and AMOS 21.0 version program and reliability analysis was executed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among each factor using Cronbach α. 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was implemented in order to examine the populatio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descriptive statistics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satisfaction, place attachment, and place loyalty was operated. After that, confirmative analysis was executed in order to select the items of question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implemented in order to examine the suitability of hypothetic models, through which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and statistic significance was also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The conclusion obtained from this is as follow. First, it is indicated that fun factor impacts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Second, it is indicated that fun factor impacts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happiness. Third, it is indicated that self-actualization impacts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psychological happiness. Fifth, it is indicated that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impacts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happiness. Sixth, it is indicated that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has a partial meditating effect in relationship among fun factor and psychological happiness, self-actualizat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When summarizing above opinions, it is indicated that fun factor and self-actualization of participant to physical activity class in university are important factors to raise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which is led to psychological happiness of participants to physical activity class. In addi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accomplishment of happiness can be maximized when it is paired with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For this, continuous measures need to be prepared for the development of physical activity class in university, and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harmonious school life and social life through qualitative improvement of classes should be focused on. 본 연구는 여가활동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점차적으로 높아지면서 여가 수요가 높아지고 단순히 여가시간을 즐기는 것에서 벗어나 여가활동을 통하여 만족을 얻고자 하는 의지가 강해지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 교양체육 참여자의 재미요인이 자아실현, 운동지속의도 그리고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여 대학생이 학교의 수업과 더불어 신체활동을 통하여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고 자아개념을 확실히 하여 바람직한 사회성과 도덕성을 함양시켜 생을 영위하면서 접하게 되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강한 정신력과 수업의 하나로 끝나는 것이 아닌 평생체육으로 이어져 교양체육을 통해 국민적 여가문화를 향상시키는 학문적 지식축적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4년 6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대학교 교양체육 참여자 58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수거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거나 이중응답 등 본 연구에서 사용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설문지를 제외한 총 566 명의 자료가 실제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Windows용 SPSS/PC ver. 18.0 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의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도구의 최종분석을 위한 문항 선별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후, 각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 모형의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델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미요인은 운동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미요인은 심리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실현은 운동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실현은 심리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운동지속의도는 심리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운동지속의도는 재미요인과 심리적 행복감, 자아실현과 심리적 행복 감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살펴보면,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재미요인과 자아실현은 운동지속의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며, 이것은 교양체육수업 참여자들의 심리적 행복감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동지속이 병행될 때 심리적 행복감 달성의 극대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에서의 체육수업의 발전을 위해 지속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며, 더불어 수업의 질적 개선을 통해 원활한 학교생활과 사회생활에 기반을 마련 할 수 있는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 A Study on Correlation of the Atmosphere and Physical Environment in the Space of the Building; Focused on the Light Atmosphere and Light Environment of Geriatric hospital : 건축의 물리적 환경과 공간 분위기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노인요양병원의 빛 환경과 빛 분위

        Moon,SunYoung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노인요양병원의 각 공간(병실, 데이룸, 진료실)에서의 빛 환경 권장값을 도출하고, 그를 바탕으로 생성한 평가이미지의 빛 분위기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노인요양병원에서 빛의 물리적 측면과 심리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제시하고, 빛 분위기를 연령과 공간에 따라 어떻게 조성하여야 하는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최근, 고령인구의 증가로 인해 장기요양의료서비스의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로인해 우리사회는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요양병원의 개설허가기준을 완화시키는 등, 양적인 증대에만 치중하고 요양환자의 심리적 고려나 생활환경의 질적인 발전은 여전히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요양병원은 주로 요양환자가 고령자라는 특징이 있고 일반병원에 비해 장기입원으로 인한 거주성이 강조되므로 요양환자들이 내 집과 같이 편안하게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공간에서 대체로 고령자는 고령자의 권장값을 기준으로 제작한 평가이미지 1을, 일반인은 일반인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하여 제작된 평가이미지2를 더 선호하였고 적합하다고 평가하였다. 둘째, 장년 집단과 고령자 집단을 기준으로 분석했을 때, 4가지 빛 분위기 척도에 대해 병실에서는 ① 평가이미지1: 아늑함> 활기 넘침> 긴장함> 객관적임, ② 평가이미지2: 아늑함> 활기 넘침> 객관적임> 긴장함 순으로 인지하였고, 데이룸에서는 ① 실험이미지1: 아늑함> 활기 넘침> 객관적임> 긴장함, ② 평가이미지2: 아늑함> 활기 넘침> 객관적임> 긴장함 순으로 인지하였다. 또한, 진료실에서는 긴장함> 아늑함> 객관적임> 활기 넘침, ② 평가이미지2: 아늑함> 객관적임> 활기 넘침> 긴장함 순으로 인지하였고 이를 통해 공간에 대한 심리적인 요인이 분위기를 인지하는데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각 분석요소 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활기 넘침’는 주로 조도와, ‘아늑함’은 주로 색온도와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따뜻한 빛일수록 아늑한 공간으로 인지하고 시원한 빛일수록 활기 넘치고 신나는 공간으로 평가함을 알 수 있다. 최근 에너지 성능이나 물리적 건축 환경에 대한 연구에서 더 나아가 간접적이고 감성적인 요인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 국내에서 진행되는 연구는 물리적 평가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는 기존에 국외에서 연구되고 있는 빛 분위기에 대한 평가 도구에서 빛 환경에 대한 인지정도, 선호도, 용도에 대한 적합성의 항목을 추가하여 물리적, 감성적 인지 측정을 시도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는, 빛 환경과 빛 분위기의 관계를 규명하고자한 출발점으로서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나아가 증가하는 요양병원의 생활환경의 문제에서, 요양환자들에게 시각적으로 쾌적하고 심리적으로 편안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eeks to conduct a literary review to conclude the recommended values for light condition in the respective spaces of a geriatric hospital (ward, dayroom, consultation room), and use the values to generate an evaluation image to evaluate light atmospher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light in a geriatric hospital will thus be comprehensively presented for a discussion on how the light atmosphere of a given space needs to be created and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age and purpose of the plac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With the increase in the aged population, the demand for long-term convalescence and medical services is on the rise. In order to meet this increasing demand, the Korean society has been focusing on a quantitative increase while qualitative progress in the field such as consideration for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or living environment is lagging behind. Since convalescence hospital are, by nature a place for older people who stay a longer time, it is important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help the convalescent patient feel more at hom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for all spaces, overall the elderly group preferred evaluation image 1 which was generated based on the recommended values for the elderly, while the general population preferred evaluation image 2 which was generated to appeal to their visual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Second, when analyzed for the middle-aged group and the elderly group among the four light atmosphere dimensions, they perceived for the ward in the following order: ① evaluation image1: Coziness> Liveliness> Tenseness> Detachment, ② evaluation image2: Coziness> Liveliness> Detachment> Tenseness. For the dayroom, they perceived the dimensions in the following order: ① evaluation image1: Coziness> Liveliness> Detachment> Tenseness, ② evaluation image2: Coziness> Liveliness> Detachment> Tenseness. In addition, for the consultation room, they perceived in the following order: Tenseness> Coziness> Detachment> Liveliness, ② evaluation image2: Coziness> Detachment> Liveliness> Tenseness. This indicates that the psychological factors greatly affect how atmosphere is perceived. Third, a correlation analysis of the various analysis factors showed that liveliness is mostly associated with brightness, while coziness is associated with color temperature. The warmer the light the cozier a given space was perceived, and the cooler the light, the more lively and exciting a space was recognized to be. Recent years have seen an increase in studies that approach indirect or emotional factors related to the physical architectural environment or energy functions. However, many studies conducted in Korea are still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physical aspects. This study is degree of recognition for the light condition, preference, fitness for the purpose of the space were added as categories for the tool to evaluate light atmosphere, as part of an attempt to measure the physical and emotional recognition by subjects. Also,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its quantitative approach to an evaluation of emotions in regards to atmosphere within an architectural space, and for seeking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light condition and light atmosphere. Furthermore, the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basic set of data for creating a visually pleasant and psychologically comfortable environment for convalescence patients when resolving the issues of living environment within convalescence hospitals that are on the increase.

      • Dissociating the effects of pre-experimental vs. intra-experimental familiarity on source memory: an fMRI study : 출처 기억에 대한 실험 전 친숙성과 실험 내 친숙성의 출처기억의 상호작용 효과

        Park, Sunyoung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Objects and events we experience everyday are accumulated in a form of memory. New episodes are collected in relations to what we have already experienced and how experienced we are with certain objects or events.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inconsistent resul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iarity and source memory; familiarity of an item enhances its source memory in some cases, but impairs it in other cases (Kim et al., 2012; Poppenk et al., 2010). Lee et al. (2012) suggested that the type of familiarity matters. Specifically, intra-experimental familiarity (i.e., repetition) is beneficial for the source memory of pre-experimentally unfamiliar (i.e., unknown) faces, whereas it is detrimental for that of pre-experimentally familiar (i.e., famous) ones. In this study, I replicated the previous finding and extended it using fMRI. Twenty-four participants performed a three-phase experiment. The first phase presented a set of famous or unknown faces 10 times to increase their intra-experimental familiarity. In the second phase, the repeated face set and a new set of famous and unknown faces were randomly presented in one of four screen quadrants. The last phase tested if participants correctly remembered in which quadrant each face appeared during the second phase. The source memory performance replicated Lee et al.’s (2012) results. In addition, a generalized linear mixed effect modeling revealed that the activity in ventromedial prefrontal cortex,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predicted subsequent source memory performance in unrepeated famous condition, ventrolateral prefrontal cortex (VLPFC) in both repeated and unrepeated famous condition, and parahippocampal gyrus in repeated unknown condition. The results implies that pre-existing representation is the key to interaction effect of pre-experimental and intra-experimental familiarity.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pre-experimental familiarity can be a potential modulator of intra-experimental familiarity effects on source memory and that control of episodic retrieval for pre-experimentally familiar item may be responsible for the modulation.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사물이나 사건들은 기억의 형태로 저장된다. 새로운 일화는 우리가 이미 경험한 내용과 그에 따른 친숙성에 기반하여 수집된다. 이러한 친숙성의 차이가 기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 상반된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어 왔다. 선행연구 결과, 친숙성은 어떤 경우에는 출처 기억을 향상시키고(Kim et al., 2011), 어떤 경우에는 기억을 저해한다(Poppenk et al., 2010). 또 다른 선행연구에서는 출처 기억이 친숙성의 종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이홍미, 2011). 실험 내 친숙성은 처음 보는 얼굴에 대한 출처 기억에 도움을 주는 반면 실험 외적으로 이미 친숙한, 유명한 얼굴에 대한 출처 기억은 저하시켰다. 본 연구는 이 결과를 fMRI를 통해 재검증하고 확장시켰다. 24명의 참가자가 세 단계로 구성된 실험에 참여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친숙화 단계로, 유명인과 일반인 얼굴을 반복하여 보고 성별을 판단하는 과제를 수행하면서 이후에 기억할 얼굴 자극 중 일부에 친숙해지도록 했다. 두 번째, 학습 단계에서는 매 시행, 사분면 중 한 곳에 하나의 유명인 또는 일반인 얼굴이 제시되었고 각 얼굴이 어느 사분면에 제시되었는지 기억하도록 했다. 마지막 검사 단계에서 각 얼굴이 학습 단계에서 어느 사분면에 나왔는지 보고하도록 하였다. 뇌 영상 촬영은 두 번째 단계를 수행하는 동안에만 실시하였다. 기억 검사 결과, 일반인 얼굴의 출처는 실험적으로 반복되었을 때 더 잘 기억했지만 유명인 얼굴의 출처는 반복되지 않았을 때 더 잘 기억하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 결과가 재현되었다. 일반화된 혼합 선형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복내측 전전두피질, 배외측 전전두피질의 활성화는 반복되지 않은 유명인 얼굴에 대해, 복외측 전전두피질의 활성화는 반복과 비반복 유명인 얼굴에 대해, 해마방회의 활성화는 반복된 일반인 얼굴에 대한 후속 출처 기억 수행을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 전 친숙성이 기존에 갖고 있는 표상을 통해 실험 내 친숙성의 출처 기억에 대한 효과를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Run-Time Sampling-Based Phase Detection and Adaptive Warp Scheduling for GPUs

        Kim, Minsu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In the many-core era, GPU architectures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for general-purpose computation owing to the excellent performance of a large number of parallel processors. Therefore, GPGPU research has grown to effectively process large volumes of data for GPGPU workloads. Several prior studies have proposed a variety of ideas for improving memory performance of multiple kernels across the GPGPU workloads that are distinct from CPU memory. However, although most GPGPU workloads consist of one or more iteration kernels that represent distinct characteristics, the existing single-warp scheduling policy that is fixed after being launched from the CPU across all kernels does not consider these characteristics. Therefore, GPUs conventionally make the scheduling policy tolerate the memory latency and retain high locality without considering them. In this thesis, we analyze the scheduling policy and kernel characteristics aspects of the performance and memory pressure and propose an adaptive warp scheduling that allows decisions on the more useful scheduling policy based on the profiled data for separation kernels during runtime. W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kernels in GPGPU workloads that are based on decisions to select the better scheduling policy as a prediction of kernel characteristics. To detect and predict the kernel phase, we propose a decision logic to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kernels for each scheduling policy and determine which scheduling policy is actually superior. The key objectives are: 1) to predict an adaptive scheduling policy from the profiled data that considers the independent kernel in the GPU architecture, and 2) to propose decision logic to predict the useful scheduling policy. Profiling cycles executed on all kernels comprise 50,000 cycles, which are analyzed by converging the accuracy of different profiling cycles to the optimal value and not being wasted on an execution to compare the profiled data. Experimental evaluations across a diverse set of workloads show that adaptive warp scheduling based on kernel characteristics achieves a performance improvement of 8.7%, 7.8%, and 14.3% and up to 26.4%, 36.7%, and 30.3% compared to the baselines with negligible overhead for LRR, GTO, and TLV, respectively; this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existing single-warp scheduling policy. 현재, 싱글 코어에서의 성능 향상의 한계로 인하여, 멀티 코어의 병렬화 측면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GPU를 기반으로 하는 병렬화 처리 기법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GPU는 그래픽 처리의 고속화를 위한 장비이지만, CPU와 비교하여 대량의 코어를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고속 병렬화를 가능하게 하여 일반적인 연산을 위한 장비 (General-purpose GPU) 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따라서 GPU상에서 구동하는 대량의 일반적인 연산 워크로드 (GPGPU 워크로드) 가 존재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대부분의 GPGPU 워크로드는 각각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커널들로 구성되어 있거나 혹은 하나 또는 두 종류의 커널이 반복 실행됨에도 불구하고 다른 입력 데이터 또는 실행 단계의 영향으로 인하여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커널들이 반복되어 전체적인 워크로드가 실행됨에도 불구하고, 커널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단일 warp 스케줄링 정책으로는 GPU의 잠재성능을 모두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GPGPU 워크로드를 구성하는 커널의 특성을 분석하여 커널의 특성에 알맞은 프로파일링 정책과 앞으로의 커널에 대한 예측을 통해 적절한 스케줄링 정책을 기반으로 워크로드를 수행함으로써 GPU의 연산 성능을 높이는 기법을 제안한다. GPGPU 워크로드는 2가지로 분류가 가능하다. 첫 번째, 워크로드를 구성하는 커널들이 동일한 특징을 나타내는 경우이다. GPGPU 워크로드는 대부분 병렬화를 통한 연산을 처리하므로 몇 종류의 커널들을 반복수행하며 실행된다. 그러므로 프로파일링을 통해 실시간 샘플링을 하여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스케줄링 정책을 할당함으로써 성능을 향상시킨다. 만약 커널의 특징이 다른 경우, 커널 단위로 프로파일링한 데이터 값을 기반으로 효율적인 스케줄링을 예측하여 워크로드를 수행한다. 그러므로, 실시간으로 커널에 대한 샘플링을 통해 커널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로 인해 앞으로 실행될 커널에 대한 패턴을 예측하여 알맞은 스케줄링을 통해 GPU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GPU에서 실행되는 각 커널의 특성을 실시간으로 프로파일링을 기반으로 샘플링하고, 커널 특징을 예측하여 GPU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소개한다. 만약 각 커널의 특성에 맞는 스케줄링을 통해 GPU 내에서의 memory pressure를 줄이고 연산 성능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면, 보다 높은 성능 향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커널이 실행될 때, IPC및 발생되는 memory operation의 패턴들을 GPGPU 워크로드마다 분석하여 제안한 메커니즘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하는 아이디어를 통한 스케줄링 정책과 기존 스케줄링 정책을 비교하여 성능향상을 확인한다.

      • 암 경험 유무에 따른 인지도식의 차이 : 우울과 불면 증상을 중심으로

        진시영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우울과 불면은 암환자들이 가장 빈번하게 겪는 심리적 문제이며, 효과적인 근거기반치료로 인지행동치료가 활용되고 있다. 인지도식의 파악은 인지행동치료에 있어 매우 핵심적인 요소로, 일부 연구에서는 같은 우울과 불면 증상이라도 암과 같은 심각한 질병에 의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인지도식에 차이가 있음을, 다른 연구에서는 차이가 없음을 보고한다. 우울과 불면을 경험하는 암환자들에게 효과적인 개입을 제공하기 위해, 암 유무에 따른 인지도식 차이에 대한 추가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사한 수준의 우울과 불면 문제를 경험하는 암환자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암 유무에 따라 인지도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우울한 암환자 42명, 암 경험 없이 우울한 대상자 22명, 암 경험 없이 우울하지 않은 대상자 98명, 불면 겪는 암환자 23명, 암 경험 없이 불면 겪는 대상자 42명, 암 경험 없이 불면 겪지 않는 대상자 78명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집단별 역기능적 인지도식을 비교하고자 역기능적 태도, 긍정적 자동적 사고, 자신관련단어평가 척도를 실시하였다. 암 여부에 따른 인지도식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유사한 수준의 우울과 불면 문제를 호소하는 암환자와 일반인을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우울한 암환자가 우울한 일반인보다 부정적인 인지도식을 가지고 있음이 나타났으며. 불면을 경험하는 암환자가 불면을 경험하는 일반인보다 부정적 인지도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울 또는 불면을 경험하는 암환자가 동일한 증상을 경험하는 일반인에 비해 더욱 역기능적인 인지도식을 가지고 있어 인지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위 같은 결과의 연구적, 임상적 함의와 함께 본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Depression and insomnia are the most frequent psychological problems in cancer patients. Some studies report that cognitive schemas may differ in the presence of a serious disease such as cancer, eve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ame symptoms of depression and insomnia. The understanding of cognitive schema is a critical component fo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since its main goal is to reconstruct maladaptive thoughts. In this study cancer patients and healthy participants who were experiencing similar levels of depression and insomnia were compar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cognitive schema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cancer. A total of 65 cancer patients (42: experiencing depression, 23: experiencing insomnia), 64 people experiencing depression and insomnia without a cancer diagnosis (22: experiencing depression, 42: experiencing insomnia) and 176 people with no cancer and no psychological problems (98: no depression 78: no insomnia) were recruited. In order to compare differences in cognitive schema, the dysfunctional attitudes scale, positive automatic thought scale and a computer task measuring emotional bias were administer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cognitive schema in the presence of cancer, groups were categorized by matching cancer patients to healthy participants who complained of similar levels of depression and insomnia. A one-way ANOVA showed that the depressed cancer pati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dysfunctional cognitive schema than the depressed healthy participants (negative bias, dysfunctional attitude). Also, the cancer patients who experienced insomni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negative bias than the healthy participants experiencing insomnia without cancer. The study implied that people who have depressive symptoms and insomnia symptoms with cancer have higher levels of dysfunctional cognitive schema than those without cancer.

      • COVID-19 팬데믹 이후 응급실 임종 환자의 전자간호기록 분석

        이효진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전자간호기록 분석을 통해 COVID-19 팬데믹 이후 응급실 임종 환자의 특성 및 수행된 임종 간호 내용과 빈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2020년 3월 1일부터 2021년 2월 28일까지 응급실 임종 환자 506명의 전자간호기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익명화된 자료를 제공받아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R 4.1.2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을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진단명 및 주호소는 각각 가장 많은 10개의 항목을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전자간호기록을 간호진단/프로토콜, 간호중재, 간호활동 3개로 분류하여 각각 가장 많은 10개의 항목을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일반적 및 임상적 특성에 따라 수행된 간호진단/프로토콜, 간호중재, 간호활동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각 항목의 빈도와 백분율, independent t-test, ANOVA, Chi-squared test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남성이 40.1%, 여성이 59.9%였으며, 65세 이상이 75.9%였으며 평균 연령은 74.19±15.52세였다. 기저질환으로 내원한 경우가 92.5%였으며, COVID-19 의증에 따른 격리를 시행한 환자가 43.7%이었다. 연명의료중단 서류를 내원 전에 작성한 경우가 7.7%, 내원 후에 작성한 경우가 27.5%, 작성하지 않은 경우가 64.8%였다. KTAS 중증도는 1단계가 가장 많았으며 64.8%를 차지하였다. 사망의 종류는 ‘도착 전 사망’이 55.7%였으며 내원 경로는 직접 내원이 91.7%로 가장 많았으며 내원 수단은 119 구급차가 63.8%로 확인되었다. 도착 당시 의식 상태는 ‘No response’가 66.8%로 가장 많았고 응급실 체류시간은 4시간 미만이 63.0%였으며 평균 체류시간은 270.41±319.201분 이었다. 대상자의 전체 주호소는 595개였으며, 주호소 중에 가장 많은 것은 ‘No response’로 53.4%를 차지하였고, 진단명은 총 1,519개로 진단명 중에 가장 많은 것은 ‘도착 전 사망’으로 18.8%를 차지하였다. 간호진단/프로토콜의 총 개수는 18,067개였으며 가장 많은 항목은 ‘심폐소생술’로 28.6%를 차지하였다. 간호중재의 총 개수는 19,289개이고 ‘응급 상황 관리’ 항목이 26.3%로 가장 많았다. 간호활동의 총 개수는 31,383개이고 가장 많은 항목은 ‘약물을 투여함’으로 10.1%를 차지하였다. 일반적 및 임상적 특성에 따른 수행된 임종 간호 개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나이와 사고 여부에 따른 그룹 간 빈도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COVID-19 의증에 따른 격리 여부, 연명의료중단 서류 작성 여부, KTAS 중증도, 사망의 종류에 따른 그룹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적 및 임상적 특성에 따른 임종 간호 비율의 차이는 나이, 사고여부, COVID-19 의증에 따른 격리 여부, 연명의료중단 서류 작성 여부, KTAS 중증도, 사망의 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실제 응급실 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임종 간호의 빈도와 내용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으며 추후 응급실 임종 간호를 위한 프로토콜 개발과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팬데믹 상황을 고려한 추가적인 응급실 임종 간호 프로토콜 개발을 위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frequency of palliative care for patients who died in the emergency room during COVID-19 pandemi by analyzing electronic nursing records. Method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 electronic nursing records of adult patients who died in the emergency room from March 1, 2020 to February 28, 2021. Data were analyzed using R 4.1.2 program for the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t-tests, ANOVA, and Chi-squared test. Results: This study included 506 patients. The most frequent items wer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nursing diagnoses/ protocol, ‘code management’ in nursing interventions, and ‘medication administration’ in nursing activitie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are according to suspected COVID-19, registration of DNR, KTAS, and type of death.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ratio of care according to age, accident, suspected COVID-19, registration of DNR, KTAS, and type of death. Conclusion: Our study findings suggest that the emergency palliative care protocol and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pandemic situation.

      • Semantic Segmentation for a Mobile Robot Operating in a Manufacturing Factory

        Suyeon Kim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In factory automation, semantic segmentation plays a vital role in guiding mobile robots to perform various tasks, such as scene understanding, obstacle avoidance, and localization. Unfortunately, no publicly available dataset shows visual information inside the manufacturing factory due to confidentiality issues. Users must manually collect samples to operate mobile robots inside the factory, which is a laborious and expensive task. Since collecting labeled samples is time-consuming, this paper proposes a practical semi-supervised semantic segmentation method specified for a manufacturing factory, where labeled samples are extremely limited. Based on the intrinsic properties in the manufacturing factory we have carefully identified, we propose Multiple-view Aggregation Module to generate high-quality pseudo-labels by filtering out inaccuracies via different predictions on multiple views. Furthermore, we introduce Depth-Aware Cut-and-Paste and a robust augmentation method called Cut-Line adequate for a factory environment. Since there are no publicly available factory datasets, we release our synthetic dataset IsaacFactory, which was generated using the NVIDIA simulator Isaac Sim. Our method achieves high performance on our synthetic dataset IsaacFactory, as well as in the real factory dataset Zed2iFactory we have acquired. Furthermore, we leverage depth information to enhance the robustness of our approach in challenging no-light scenarios commonly encountered in factory environments. 제조 공장 자동화 분야에서 모바일 로봇의 자율주행은 시각 정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장면 이해, 장애물 회피, 위치 파악과 같은 작업을 위해서는 픽셀 수준의 객체 분류가 가능한 의미 분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그러나 제조 공장 내부의 시각 정보 데이터셋은 기밀성 문제로 인해 오픈 데이터셋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직접 데이터를 수집해야 하지만, 이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작업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제조 공장 환경에서 레이블이 극히 제한적인 상황에서도 효과적인 RGB-D 준지도 의미론적 세분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정확한 인식 정보를 얻기 위해 깊이 정보도 함께 활용한다. 연구에 앞서, 제조 공장 내 본질적인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이후, 각 특성에 맞는 해결 방법을 제시한다. 첫째로, 제조 공장은 일반적으로 천장이 높아서 강한 조명이 활용되며, 이로 인해 비닐 포장된 물류 제품, 철골 구조물, 평평한 바닥과 같은 물체는 빛을 강하게 반사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다양한 반사체들이 존재하므로, 딥러닝 네트워크가 객체를 오인식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Multiple-view Aggregation Module을 제안하여 고품질의 수도레이블을 생성한다. 둘째로, 도심 속 자율주행 자동차는 다양한 도시 환경에서 운행해야 하므로 딥러닝 네트워크가 여러 도메인에 일반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조 공장에서 사용되는 모바일 로봇의 경우, 사용자는 대체로 작동할 공간을 정확히 인지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 딥러닝 네트워크는 일반화보다는 특정 작업 도메인에 더욱 특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Depth-Aware Cut-and-Paste 기법을 활용하여 깊이 정보를 고려하여 라벨이 있는 샘플을 효과적으로 활용한다. 셋째로, 제조 공장에는 맨해튼 형식의 구조물이 많이 존재한다. 따라서 선 형태로 샘플을 가리는 Cut-Line이라는 새로운 증강 방법을 제안하여 네트워크의 학습 성능을 향상시킨다. 제안한 방법을 검증하게 위해 기밀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가상 공장 환경 데이터셋 IsaacFactory를 구축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제안된 방법을 평가한다. 더불어, 실제 공장 환경에서 직접 취득한 Zed2iFactory에서도 성능평가를 진행하여 제안한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제안된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는 극히 적은 라벨의 양으로도 뛰어난 성능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 일 종합병원 간호사의 영성과 임종간호태도에서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김은희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일 대학 병원 간호사의 영성과 임종간호태도의 관계에서 공감역량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W시에 소재한 Y대학 병원 병동, 중환자실, 응급실 간호사 1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 영성은 Howden(1992)의 영성 척도와 오복자와 강경아(2000)의 영성 척도를 수정 보완한‘영성 척도’(박현준, 2003)를 사용하였으며, 공감역량은 이영진(2014)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임종간호태도는 Frommelt(1991)의 ‘Frommelt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Dying Scale(FATCOD)’를 번안한 조혜진과 김은심(2005)의‘임종간호태도’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3월 28일부터 4월 6일까지이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PASW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와 차이검정(two samples t-test),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 사후분석(scheffe test), 상관관계분석 (pearson cor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영성의 평균 점수는 수직적 영성 94(±4.71)점, 수평적 영성 27.4(±4.44)점으로 통합 점수는 67.33(±8.13)점이다. 공감역량은 61.23 (±7.85)점이었으며 임종간호태도는 85.75(±6.05)점 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성, 공감역량, 임종간호태도의 관계는 다음 과 같다. 수직적 영성은 연령(F=8.243, p=.000), 학력(F=5.513, p=.005), 근 무부서 (F=4.486, p=.013)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20대, 30대 보다 40대 이상 에서 수직적 영성이 높았으며, 학력은 석사 이상에서, 근무부서가 응급실인 대상자가 중환자실 근무자보다 수직적 영성이 높게 나타났다. 수평적 영성은 연령(F=8.709,p=.000), 배우자 유무(t=2.99, p=.003), 종교 (t=3.565,p=.003), 학력(F=4.144 p=.018), 임상경력(F=7.532, p= 0.001)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40대 이상에서, 배우자가 있는 집단에서 종교가 있는 대상자 가 대학원 이상의 대상자들이 수평적 영성이 높았다. 공감역량은 연령(F=5.849, r=.003), 배우자 유무 (t=2.434, p=.016), 종교 (t=2.610, p=.010) 학력(F=6.227, p=.002)에서 차이가 있었고 40대 이상에서, 배우자가 있는 집단에서, 종교가 있는 대상자와 석사 이상의 대상자들이 공 감 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임종간호 태도는 일반적 특성에 서는 차이가 없었 으나 임종간호 특성의 임종간호 교육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없는 대상자보다 임종간호태도가 더 높았다(t=4.930, p=.000). 3) 대상자의 영성, 공감역량, 임종간호태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 다. 수직적 영성은 수평적 영성(r=.557, p=.000), 공감역량 (r=.528, p=.000), 임종간호태도(r=.215, p=.005)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수평적 영성은 공감역량(r=.730, p=.000), 임종간호태도 (r=.234, p=.002)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성이 높을수록 공감역량과 임 종간호태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공감역량은 임종간호태도 (r=.289, p=.000)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 공감역량이 높을수록 임종간호태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4) 다중 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 결과 수직적 영성과 임종간호태도의 관 계에서 공감역량이 완전매개효과가 있었으나 수평적 영성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영성, 공감역량, 임종간호태도에서의 상관관계뿐 아니라 영성과 임종간호태도의 관계에서 공감역량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규명되어 간호사의 공감역량 증진이 영성을 향상시키고 임종간호태도를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단위검사 구성 검사점수의 신뢰도 추정 방법 비교

        김나나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교육학에서 대부분의 표준화 검사들은 하나 이상의 문항이 동일한 자료를 공유하는 형태의 단위검사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검사의 문항들은 상호 의존성을 지니기 때문에 자료의 구조를 고려하지 않은 채 신뢰도를 추정할 경우 과대 또는 과소 추정된 결과를 산출할 위험이 있고, 잘못된 신뢰도의 사용은 검사점수 해석과 사용의 오류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항반응이론의 접근을 중심으로 단위검사 구성 검사점수의 신뢰도를 추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항반응이론 모형을 적용하여 단위검사 구성 검사점수의 신뢰도를 추정할 때, 단위검사의 측정 구조에 접근하는 방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그 차이가 단위검사의 특성 변수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문항반응이론과 일반화가능도이론을 적용하여 추정한 신뢰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두 측정 이론의 신뢰도 간 차이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검사에 대해 서로 다른 가정을 갖는 세 가지 문항반응이론 모형(일차원 이분문항반응이론 모형, 일차원 다분문항반응이론 모형, bifactor 다차원 문항반응이론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 추정된 신뢰도는 단위검사의 두 가지 특성(단위검사 효과의 크기, 단위검사의 불균형 수준)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단위검사에 대해 서로 다른 가정을 갖는 세 가지 문항반응이론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 추정된 신뢰도는 단위검사의 두 가지 특성에 따라 각각 어느 정도의 오차를 보이는가? 셋째, 단위검사에 대해 서로 다른 가정을 갖는 세 가지 문항반응이론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 추정된 신뢰도는 일반화가능도이론을 적용하여 추정한 신뢰도를 기준으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에 응답하기 위하여 bifactor 모형을 통해 모의 자료를 연구 조건별로 반복 생성하였고, 이분문항반응이론 모형(2모수 로지스틱 모형), 다분문항반응이론 모형(등급반응모형), bifactor 모형을 적용하여 신뢰도를 추정한 뒤, 그 값을 단위검사의 특성에 따라 비교하였다. 또한 준거 신뢰도(true reliability)를 기준으로 산출한 모형별 신뢰도 추정치의 평균 절대 오차(mean absolute error)를 단위검사의 특성에 따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세 모형을 적용하여 추정한 신뢰도를 단위검사의 특성에 따라 산출한 일반화가능도계수와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뢰도 추정치가 이분문항반응이론 모형, bifactor 모형, 다분문항반응이론 모형의 순으로 크게 나타났고 이분문항반응이론 모형과 나머지 두 모형의 신뢰도 추정치 간 차이는 단위검사 효과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커졌다. 단위검사의 불균형 수준은 신뢰도 추정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신뢰도 추정치의 오차는 bifactor 모형, 다분문항반응이론 모형, 이분문항반응이론 모형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 그중 이분문항반응이론 모형의 오차는 단위검사 효과의 크기가 커질수록 커졌고 단위검사의 불균형 수준이 심해질수록 조금씩 커졌다. 마지막으로 세 모형의 신뢰도 추정치와 일반화가능도이론의 신뢰도를 비교한 결과, 다분문항반응이론 모형이 일반화가능도계수와 가장 근접한 값을 보였고 bifactor 모형이 일반화가능도계수보다 약 0.01정도 더 큰 값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이분문항반응이론 모형과 다분문항반응이론 모형이 단위검사 구성 검사점수의 신뢰도를 과대·과소 추정하고, bifactor 모형이 가장 정확하게 추정한다. 하지만 다분문항반응이론 모형을 사용하여도, 신뢰도 과소 추정의 정도가 작기 때문에 단위검사 구성 검사점수의 신뢰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둘째, 단위검사의 효과가 클수록 이분문항반응이론 모형을 적용하여 검사점수의 신뢰도를 추정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단위검사의 불균형 수준은 신뢰도 추정 방법을 결정할 때 단위검사 효과의 크기만큼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셋째, 문항반응이론이 일반화가능도이론보다 높은 신뢰도 추정치를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두 측정 이론이 사용하는 정보의 양과 동형검사에 대한 가정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Most standardized tests in education or psychology are composed of item bundles called testlets. A testlet is often used not only because it is useful when measuring problem-solving or integrated skills but also time and cost efficient in test construc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tem response theory (IRT) approaches to estimating the reliability of testlet composed test scores by applying three IRT models: the two parameter logistic (2PL) model, the graded response model (GRM), and the bifactor model. As previous studies have found that the testlet effect size and the degree of imbalance in testlet lengths may influence the estimation of reliability, their effects on the reliability estimates and corresponding errors derived from each of the three IRT models were also examined. Moreover, the reliabilities estimated using the three IRT models were compared with the ones estimated via the generalizability theory approach. Using simulated data, the reliability estimates and corresponding mean absolute errors (MAEs) were obtained from the three IRT models. Then respective estimates and errors from each IRT model were compared along the conditions of five different testlet effect sizes and three varying degrees of imbalance in testlet lengths. Furthermore, the reliabilities estimated using the three IRT models and the estimated generalizability coefficients were compared in each cond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Comparing the reliability estimates and corresponding MAEs derived from the three IRT models, the 2PL model overestimated while the GRM underestimated the reliability of testlet composed test scores. However, the magnitudes of underestimation in the GRM were very small; it produced almost the same MAEs as the bifactor model. Hence, though the bifactor model appear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IRT model to be applied when estimating the reliability of testlet composed test scores, the GRM can also be used as a quite appropriate model. Regarding the effects of the testlet effect size and the degree of imbalance in testlet lengths on estimating the reliability of testlet composed test scores,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testlet effect increased, the MAEs of the reliability estimates from the GRM and the bifactor model did not change while the ones from the 2PL model increased.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the increase of dependencies between items causing a severe violation of the local independence assumption in IRT, and it consequently increasing the magnitude of overestimation in the 2PL model. Therefore, researchers should take heed of using the 2PL model for estimating the reliability of testlet composed test scores, especially when the testlet effects are large. The degree of imbalance in testlet lengths also influenced the MAEs of reliability estimates derived from the 2PL model, but the effects were relatively small. This implied that the degree of imbalance in testlet lengths is not as important as the testlet effect size when estimating the reliability of testlet composed test scores using IRT models. Lastly, comparison of the reliabilities estimated from the IRT models to the generalizability coefficients revealed that the GRM produced the closest estimates to the generalizability coefficients while the estimates from the bifactor model were about 0.001 higher than the generalizability coefficients. This indicated that the IRT approach produces slightly higher reliability estimates compared to the generalizability approach, presumably due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ories such as their different parallelism assumptions on a t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