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신 문제와 후설

        조관성 범한철학회 2011 汎韓哲學 Vol.61 No.2

        글쓴이는 아래 논문에서 인간의 철학함과 과학 함 그리고 일상적 삶 속에서 가장 큰 쟁점들 가운데 하나인 심신 문제를 후설에 초점을 맞추어 주제 삼는다. 정확히 말하여 후설 철학 또는 그의 자아의 현상학에서 심신 문제와 심신 관계에 관한 후설의 통찰 내용과 견해를 읽어내고자 시도 한다. 이러한 시도에서 글쓴이는, 1. 후설 철학에 관한 내재적 해석을 수행하며, 2. 철학사 속에서 찾을 수 있는 주요 심신 이론의 약사를 도입하며, 3. 부정의 길을 따라서 후설의 심신 이론이 철학사 속에서 잘 알려진 한 가지 대표적 유형의 심신 이론인 데카르트적 심신 이원론(과 심신 상호작용론)이 아님을 주장하며, 4. 긍정의 길을 따라서 후설의 심신 이론의 핵심 특징을 심신 융합 모형에서 찾아내면서 심신 문제에 관한 언어적 논리적 해명과 경험 과학적 설명보다 마음과 몸이라는 사태 자체에 관한 통찰과 기술을 더 중시하는 후설의 현상학적 심리 철학이 현대의 철학함과 과학 함 그리고 일상적 전체 삶에 속에서 가질 수 있는 건설적 함의의 윤곽을 제시하고자 한다. Dieser Aufsatz behandelt das Leib-Seele Problem,das für unser Alltagsleben, Philosophieren und die Wissenschaften grosse Relevanz hat. Hauptsächlich Husserls Einsichten über das Leib-Seele Verhältnis stehen im Mittelpunkt.Es wird beabsichtigt, an der von Husserl beschriebenen Phänomenolgie des Ich die von ihm aufgewiesene Leib-Seele Theorie abzulesen. Dieser Aufsatz gründet sich auf die Husserls Phänomenologie des Ich, die sich thematisch auf das Bewusstseinsleben,den Leib und die verschmolzene personale Einheit von Leib (Körper) und Seele(Geist) bezieht, und geht wie folgt vor:1. Eine kleine Geschichte des Leib-Seele Problems wird herangezogen, um via negativa Husserls Leib-Seele Thoerie im Gegensatz zu Descartes Leib-Seele Dualismus und seinen Varianten aufzuzeigen, 2. Via positiva werden die Grundzüge der von Husserl eingesehenen Philosophie des Geistes hervorgehoben,die für verschmolzene personale Einheit von Leib und Seele plädieret. Husserls phänomenologisch geprägte Leib-Seele Theorie lässt sich unterscheiden vor allem von der gegenwärtigen Leib-Seele Theorie, die in ihrer thematischen Beschäftigung mit dem Leib-Seele Problem auf die Sprachlogik und Neurowissenschaften besonderen Nachdruck legt.Dieser Aufsatz vertritt die folgende Hauptthese, dass Husserls (auf seine Phäenomenologie des personalen Ich intim bezogene)Philosophie des Geistes im Kontrast zu der von Sprachlogik und Neurowissenschaften durchtränkten Leib-Seele Theorie eine positive und konstruktive Rolle für unser Alltagsleben, Philosophieren und die Wissenschaften spielen kann. Dies lässt sich zum Beispiel an einer einfachen, aber grundlegenden Theorie in der Moralphilosophie (d.h.the theory of agency in general or the theory of moral agents in particular) beweisen.

      • KCI등재

        일본 춤 부토(舞踏) 속 육체의 의미: 스피노자의 심신일원론을 중심으로

        어진 한국예술교육학회 2023 예술교육연구 Vol.21 No.1

        부토는 1960년대 일본에서 발생한 춤의 한 형태이자 예술 현상이다. 제 2차 세계대전에서 패배한 일본은계속된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권위에 순응하는 인습과 전통으로부터 탈피하고자 전 예술 분야에서 실험적인활동이 본격화되었다. 이때 인간의 신체를 표현의 직접적인 도구로 사용하는‘퍼포먼스’형태의 예술이 시작되었다. 부토 역시 일본 전통춤인‘노(能)’나 ‘가부키(歌舞伎)’가 가지고 있는 특징에서 탈피하여 현대예술이 가진 신체 중심의 표현기법에 편승하였다. 부토의 창시자인 히치가타 다츠미는‘부토란 목숨을 걸고 일어선 사체’라고표현하였다. 이는 부토가 육체에의 철저한 탐색을 근본으로 한다는 것을 뜻하며, 인간의 육신이 부토의 근본이라는 뜻이다. 이것은 이후의 부토가들의 근본 사상으로 이어졌으며 지금도 부토가들 작품의 중심 사상이다. 부토는 표현주의 무용의 영향을 받아 일본인의 신체 속에 내재된 원형의 독특한 몸동작을 표현하는 것으로발전한다. 그러면서 부토는 움직임 형식보다는 춤의 근간이 되는‘신체의 표현’에 집중한다. 이러한 부토의 표현주의에 대하여 부토평론가 이찌가와 미야비는“포스트모더니즘이 탈근대라면 부토는 전 근대의 환류이고 동양적인 심신일원론을 기반으로 하였다”고 하며 부토와 심신일원론을 연결 지었다. 또한 부토가 오노 가즈오도영혼과 육체를 하나로 생각하고 영혼을 생명의 뿌리로 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부토의 육체에 대한 인식과 미학적 태도를 조명하고 그것을 스피노자의 심신일원론에 근거하여 더 자세히 다뤄보고자 한다. 스피노자는 인간의 이성과 사유의 우월성을 강조하며, 신체를 물질로보는 데카르트의 심신이원론에 반하여 유일 실체만을 인정하여 정신과 신체를 동등한 실체로 보는 입장의 심신일원론을 주장하였다. 스피노자의 심신일원론에서는 인간의 관념과 인식은 신체를 통해 이루어지며, 신체의중요성이 강조된다. 또한 스피노자에게 인간의 신체를 통한 무용은 정신세계가 동반되는 활동이자 인간의 본성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가치를 가진 예술로 인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스피노자의 일원론의 개념을 바탕으로, 부토의 육체와 표현의 의미를 재조명해본다.

      • KCI등재후보

        전통적 신체관의 분석 및 대안

        이행원 한국체육철학회 2003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1 No.1

        Analysis & alternative of traditional concept of physique. Lee, Haeng-Won(Incheon City College) Were body and mind seper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ature of body and mind through historical contemplation a) meaning of body b) nature and concept of body c) relation between physical education and Dualism and Monism.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body and mind Also this study identified the nature of body and mind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ble and Dualism and Monism. This study focused on Plato, Asceticism, and Descartes. In order to solve the question, the studies used analytic method and speculative method were selected and reviewed.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Dualism and Monism were perceived differently according to concept and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Dualism emphasized mind but neglected body. The problem was that Dualism emphasized mind. A viewpoint of physical education It is important that systematic theory which overcome Dualism. Monism had various aspects and concerns about a question of moment. so it is important to be aware of limitation in Dualism and Monism. As Overviewed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mind from traditional opinion to the present opinion, we can prepare the foundation which solves the present questions. 과연 身體와 精神은 분리되어지는 것일까? 아니면 서로 優劣이 있는 것일까? 여기서 심신 통합체로서의 인간을 전인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필요한 학문이 바로 철학이다. 체육이 신체활동을 통한 교육(education through the physical), movement education, human movement이라고 정의되기까지 체육의 본질 및 개념 정립의 바탕이 되는, 1. 신체가 어떠한 의미로 해석되어져 왔는가? 2. 신체관에 따라 체육의 위상은 어떻게 달라지고 신체관과 관계를 갖는 체육적 의의는 무엇인가? 3. 전통적 신체관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은 무엇인가를 규명하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주된 연구내용은 심신관과 신체이론에 대하여 지금까지의 연구결과 축적된 자료들을 정리하여 조명하고 분석함으로써 시대조류에 어울리는 체육의 개념정립에 접근하고자, 1. 정신과 신체의 문제, 즉 인간의 몸(body:신체)과 마음(mind:정신)에 대한 본질, 몸(body:신체)과 마음(mind:정신)이라는 두 실체 간의 관계 조명, 2. 일원론과 이원론적 신체관에 대한 개요조명, 3.전통적 신체관의 주류를 이루는 이원론의 대표적 학자로 지목되는 고대 Greece의 Platon의 신체관과, 근대철학의 아버지로 일컬어지는 프랑스가 낳은 위대한 철학자 Descartes의 신체관에 대한 조명과 분석, 4. 이원론이 갖는 한계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현대적 의미의 代案的 신체관에 대한 분석, 5. 이를 토대로 체육의 학문적 위상과 철학적 價値를 논하였다. 따라서 철학적, 세계사적, 체육사적 의미를 갖는 신체관, 심신관, 또는 신체이론에 대한 사료와 선행연구 사례를 광범위하게 수집하여 수집된 자료를 비교분석하였다. 아울러 종단적 사료에 의한 문헌연구임을 밝히며 광범위한 자료에 대하여 주로 분석적 방법과 추론적 방법에 의존하였다. 전통적 신체관으로 Platon의 신체관과 Descartes의 신체관을 택한 이유는 이들 두 명의 철학자들은 고대와 근현대를 상징하는 대표적 철학자이며 철학사에서 불후의 이름을 남기는 철학자로 후세에 추앙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학문적으로도 당시를 주도했고 또한 심신관에서도 남달리 뚜렷한 이론을 정립한 철학자들로서 심신 이원론을 주장한 대표적 철학자들이기 때문이다. 연구결과 심신관의 일원론과 이원론의 여부에 따라 체육의 개념과 체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결정된다는 사실이다. 종래의 심신 이원론적 사고는 정신을 지나치게 중시하고 신체를 경시하고 있다. 이원론에서 精神重視의 사상을 체육학에서 문제시하는 이유는 정신중시 사상이 체육학을 경시하는 필연적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체육학적 관점에서 볼 때 身體賤視 내지 身體蔑視 사상이 심신관계에서 이원론을 근간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이론적 체계의 확립은 중요한 문제이다. 심신 일원론은 매우 다양한 형태를 갖고 있으며 체육학의 당면문제와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다. 체육학의 당위문제와 관계가 되는 전통적 신체관을 극복하려면 일원론이든 이원론이든 그 각각의 한계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며 오늘날 전통적 신체관에 대한 代案으로 心身統一體論이 대두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전통적 견해로부터 오늘날의 주장에 이르기까지의 개괄적인 분석과 검토를 통해 체육학의 당면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심신(心身)의 질병과 건강에 대한 아유르베다의 관점

        김미숙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8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7 No.4

        In this paper, I suggest that the ideological source of āyurveda can be found at the intersection of śramaṇa and brāhmaṇa and traditions, and compare it with the doctrines of Buddhism and Jainism. And based on the Ayurvedic monism of the body and mind, I analyze the philosophical goal of pursuing āyurveda. In addition, how can one balance and restore the state of mind and body and recovery. I also discuss the pain of the mind and body, illness and cures, health maintenance and art of living a long life. There is no organized single scripture in āyurveda, and various scriptures have been established over a long period. Therefore it is not easy to establish a philosophical theory from a consistent point of view. However, as a minor veda of the Atharvaveda, it is believed that the ideological structure of āyurveda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literature of Sāṃkhya-yoga school. Therefore, the origin of the standpoint of āyurveda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 and body is also found in Sāṃkhya philosophy. Though Sāṃkhya philosophy is known for taking a position of dualism of mind and body(matter) in principle, some support the monistic position of mind and body. Based on Sāṃkhya philosophy, I question the idea the āyurveda takes substance monism as a principle. In short, in Sāṃkhya philosophical system, everything except puruṣa is only a combination of three elements(tri-guṇa) : sattva, rasas and tamas. In other words, in āyurveda, body or mind, and the complex of mind and body are only the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rajas and tamas, and illness occurs when such combination loses its balance. As included in the Rigveda, the oldest veda, human beings can not avoid pain caused by diseases, and have long sought for healing as well as health and longevity. Such efforts are not simply the Brahmanic tradition nor of the āryans. The śramaṇa traditions, centered on Jainism and Buddhism, also studied this topic, and similar theoretical structures can be easily found in their philosophical systems. The purpose of the text on longevity, referred to in the 8 medical texts, to disarm human’s fear of death and illness, and lengthen one’s life. Āyurveda is the wise means of longevity, giving holistic healing. The standpoint of Āyurveda, that each parts of the body are closely linked with each other an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control one’s mind and emotion for health can be closely connected with contemporary medical views. 아유르베다는 요가와 더불어서 우리나라에 유입된 지 오래된 대표적인 인도 문화이다. 본론에서는 아유르베다의 사상적 원천을 슈라마나(śramaṇa) 전통과 브라마나(brāhmaṇa) 전통의 교합에서 찾아보았다. 슈라마나 전통의 대표 종교인 불교와 자이나교의 교리와 비교하여 그 원류를 분석하고, 심신(心身)의 질병과 건강에 대한 인도의전통적 관점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몸과 마음에 대한 아유르베다적관점, 즉 심신 일원론(心身 一元論)에 따라서 아유르베다의 추구 목적을 철학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또한 심신의 고통, 질병과 치유, 건강의 유지와 장수(長壽) 비법에 대해, 아유르베다 전통에서 주장하는 내용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아유르베다 전통에서 다루는 핵심 주제는 브라마나 전통만이 아니라, 자이나교와 불교를 비롯한 슈라마나 전통에서도깊이 연구되었고, 그들의 철학적 체계 안에서도 아유르베다와 유사한 이론 구조를 찾아볼 수 있었다.

      • KCI등재

        고시조에 나타난 신체어 연구 - 우탁, 정몽주를 중심으로 -

        이재희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1

        본고는 시조 형성기의 우탁과 정몽주의 작품에서 신체어 몸과 백발을 통하여 우탁의 몸에 대한 성찰과 몸으로 표현된 정몽주의 정치적 철학을 살펴보았다. 살펴본 작품은 고려 말기 시조 발생설과 관련하여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되는 우탁의 「탄로가」와 충절의 표상인 정몽주의 「단심가」이다. 먼저 동․서양의 신체미학 이론을 제시하고 몸의 개념을 정리했다. 이를 바탕으로 작품에 나타난 몸과 백발이 전통의 동양사상인 심신일원론과 맥을 같이 하고 있음을 밝히고, 신체어가 현대적으로 수용된 미학을 살펴보았다. 성리학은 고려 말기에 들어와 조선의 통치 이념이 되었다. 고려 왕조와 조선 초기의 성리학적 관점에 근거한 몸의 철학은 시조 형성기에 우탁과 정몽주에 의해서 표출되었다. 역동의 몸에 대한 성찰은 혼란스러운 고려 말엽 상황을 자신의 백발에 빗대어 나타냈다. 포은 또한 살신성인의 자세로 스러져 가는 고려 왕조를 자신의 몸과 함께 지키는 정치적 철학을 보여주었다. 포은은 현실의 육신과 내세의 넋을 바쳐 끝까지 고려를 지키는 충신불사이군(忠臣不事二君)을 지켰다. 이처럼 우탁과 정몽주의 시조는 동양의 전통사상인 심신일원론에 기저하여 작가 의식이 신체어를 통하여 잘 나타났다. 우탁의 「탄로가」와 정몽주의 「단심가」에 드러난 신체어는 ‘온몸’으로 표현된 군주를 향한 충절과 신의이다. 서양의 몸과 정신이 이원화된 신체론과 달리 동양은 심신일원론으로, 우리 몸에 대한 인식은 시조 형성기부터 발현되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렇게 우리 시가에 나타난 ‘몸’의 대한 인식은 유학 사상을 수용한 우리 시조 형성기부터 등장하면서 현대에 이르러 ‘몸’에 대한 미학의 단초를 제공한 사실 또한 매우 의미가 있다. This book examined the political philosophy of Jeong Mong-ju, which was expressed through reflection on Utak's body through body language, body, and gray hair, in the works of Utak and Jeong Mong-ju during the formation of the Sijo. Wu Tak's "Tanroga," which is considered to have significant literary significance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the birth of the founder of the late Goryeo Dynasty, and Jeong Mong-ju's "Dansimga," a symbol of loyalty. First, he presented the body aesthetics theory of the East and the West and organized the body's Based on this, it was revealed that the body and gray hair in the work are in line with the traditional oriental ideology of mind and body, and that the aesthetics of the modern acceptance of body language were examined. Neo-Confucianism entered the late Goryeo Dynasty and became the ruling ideology of Joseon. The body's philosophy based on the Neo-Confucian perspectives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expressed by Wu Tak and Jeong Mong-ju during the formation of the Sijo dynasty. The reflection on the body of Yeokdong compared the chaotic late Goryeo situation to his gray hair. Poe also demonstrated his political philosophy of keeping the Goryeo Dynasty, which was falling into the position of a slaughtered saint, with his own body. Poeun protected the loyalist Bulsaigun, who protected Goryeo until the end by sacrificing the body of reality and the spirit of the afterlife. As such, Wu Tak and Jeong Mong-ju's poems were based on the principle of mind and body, which is a traditional Eastern idea, and the consciousness of writers was well expressed through physical language. The body language revealed in Wu Tak's "Tanroga" and Jeong Mong-ju's "Dansimga" is loyalty and faithfulness to the monarch, expressed as "all body." Unlike the dualized body theory of the Western body and mind, it is meaningful that the East was expressed as a one-pronged theory of mind and body, and the perception of our body was expressed from the time of the formation of the sijo. The perception of the "body" in our poetry has also been very meaningful since the formation of our sijo, which accepted the idea of studying abroad, and provided clues to aesthetics about "body" in modern times.

      • 범진(范縝) 심신론의 특색

        홍성민(HONG, Seong Mean)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5 인문학연구 Vol.10 No.-

        범진의『신멸론』은 지금까지 중국 유물주의 사상사에서 괄목할 이 정표를 수립한 사상으로 평가되어왔다. 그런데 본고에서는 기존의 평가에서 진일보하여 범진의『신멸론』과 그를 둘러싼 불교 측과의 논쟁을 현대 심리철학적 관점에서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우선 신멸/신불멸 논쟁의 핵심 키워드인 신(神)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그 다음 범진의 신멸론에 나타난 물리주의적 심신일원론의 특징을 조망하고 이에 대한 불교 측의 비판이 타당한가 검토하였다. 범진은 사려라는 정신 활동의 근거를 심장이라는 신체 기관에 귀속시키고 정신 현상이 신체에 수반한다는 물리주의적 수반론을 주장하면서 완전한 물리주의적 심신일원론을 구축한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범진에게 있어 정신의 가치는 무엇이며, 정신과 신체는 어떻게 관계 맺고 있는가의 문제를 고찰해보았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범진의 심신론에서는 물리주의적 심신일원론의 특징이 주장되면서도, 정신이 신체의 필수 요소로 규정되고 있다는 점일 밝힐 수 있었다. 이점은 현대 심리철학의 물리주의와 다른 범진 심신론의 특색이라고 이해할 수 있겠다. The aims of this thesis is to re-illuminate Fan Zhen's Shen-mie Lun(神滅論: Treatise on the Destructibility of the Spirit) form a standpoint of contemporary mind philosophy newly, developing from established appraisal on this by modern chinese materialist. First, this thesis have arranged the concept of 'Shen'(神: MInd), that is the keyword of controversy between Fan Zhen and Buddihsts. Second, this thesis have inquired into Fan Zhen's materialistic mind-body monism. Fan Zhen had reverted human thinking faculties to 'heart' which is human body organ, and asserted materialistic supervenience. Last, this thesis have studied on the value of mind and the relation between mind and body in Fan Zhen's thought. He had not only asserted materialistic mind-body monism, but also stipulated mind to be indispensable. This point is the characteristic of Fan Zhen's theory of mind and body which is discriminated from contemporary mind philosophy.

      • KCI등재

        스피노자: 신체와 합리적 정서의 문제

        이지영(Ji Young Lee) 한국철학회 2013 철학 Vol.0 No.116

        본 논문은 스피노자가 근대 초기에 신체의 지위를 재고(rethought)하는 방식을 통해 정서의 인지성과 합리성을 주장했다는 사실을 보여줄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서(affect)는 대개 순수 정신, 즉 이성에 대비해 비합리적이며 몰이성적인 것으로 여겨져 왔다. 스피노자는 정서의 능동성과 합리성을 주장하기 위해 우선 심신의 이분법적 위계 구조를 부정한다. 스피노자는 심신 이분법적 실체관을 부정하고 심신이 절대적으로 무한한 실체의 유일한 본질을 동등하게 표현한다고 주장하는 것에서 정서론을 풀어나간다. 정서가 전통적으로 수동적이며, 불합리한 것으로 여겨져 온 것은 무엇보다도 정서의 근원인 신체의 특성을 정신과는 달리 수동적이고 불합리한 것으로 판단해 왔기 때문이다. 스피노자는 이성지를 신체들이 함께 공유하는 공통 성질에 대한 관념이라고 정의 내린다. 이런 공통 성질에 부합하여 다른 신체들과 결합한 신체는 능동적이고 합리적이다. 스피노자에게 있어서, 신체가 능동적이고 합리적일 때에는 정신과 이에 반드시 수반하는 정서 또한 능동적이고 합리적인 것이다. 반대로 신체의 수동은 정서의 수동성과 비합리성으로 이어진다. 이와 같이 신체, 인지, 정서의 합리성과 능동성을 일관된 방식으로 설명하는 스피노자의 정서론은 전통적 의미의 정서의 위상 뿐 아니라 정서가 근거로 삼고 있는 신체의 역할을 재고하는 데 역시 큰 도움을 줄 것이다. Affect is indispensably relations to the rational and active judgment for Spinoza. For proving this argument, Spinoza above all denies a hierarchical dichotomy between mind and body to be similar to platonism. Traditionally, Only the pure mind is active, rational. Belief in Passive and irrational nature of body has been found for passive and irrational affect. Spinoza supports the metaphysical doctrine of monism?the immanence, rather than transcendence, of one substance, God, or nature. The infinite attributes and finite mode are all immanently within substance or nature, and all attributes have an equal state, mind and body have equal state, too. Adequate encountering of other things"s body is a prerequisite of understanding active, adequate ideas, common notions, and reason. Active, rational encountering those things‘s body that result in joy-affect and eliminate those things that result in sad-affect. Above of all, active joy-affect is considered best to man. Active joy-affect is different from passive joy- affect, as well as sad-affect, in that active joy-affect is accompanied by adequate ideas, which gives invariable power to man’s existence. Therefore, Activeness and rationality of body means that a activeness and rationality of affect including mind for Spinoza. From above argument, Spinoza"s body and affect-theory could paly important role to rethink states of body and affect. And Spinoza"s affect - theory could contribute study of pioneering modern thought of contemporary emotion-cognitivism and so on.

      • KCI등재

        스피노자의 신체관

        이상호,이동건 한국체육철학회 2009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Spinoza's body-mind problem surmounted the Cartesian dualism. The main thought of Spinoza, based the concepts of substance, attribute and mode, is to understand clearly the meaning, role of human body and the psycho-physical relationship of Spinoza. And it is to find what kind of meanings has in the sport philosoph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body in Spinoza was affectio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It means the unconscious body's movement corresponding to other behaviors. Second, the role of body in the Spinoza has pussiance as individual in the point of the body's affection. That is to say, we need to understand endeavor, striving, and power to be unified the body and mind. It is very useful philosophical word for foreign people to be easily understood the Qi(氣) of the East. Third, the relationship of body and mind in Spinoza is parallelism and monism. The meaning of parallelism in Spinoza was to be explained the instrument to conceive the state of body-mind. We do not understand the essential meaning of parallelism without understanding the monism of body-mind to understand clearly the body-mind problem in Spinoza, we have to ontologically grasp the human being. Spinoza's body-mind problem shows the philosophical and logical backgrounds why we have to accept the monistic approach in the physical education. 본 연구는 스피노자의 신체관을 규명하고자 한다. 그의 주요 사상가운데 실체, 속성, 양태의 개념을 기반으로 신체의 의미와 역할을 명확히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스피노자의 신체관이 체육철학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피노자가 생각하는 신체의 의미는 개별체(individu)로서 타인과의 관계에서 변용체(affectio)의 의미를 가진다. 체육학적인 의미에 적용한다면 타인의 움직임에 대한 무의식적 신체 움직임이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신체적 능력이 뛰어난 만큼 그 속에서 정신적 힘도 크게 발휘할 수 있다. 즉 신체적 능력이 뛰어나면 정신적 힘의 능력은 신체적 능력의 크기에 비례하여 크게 발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체육에서 신체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스피노자의 신체의 역할은 개별체로서 인간 개인의 역량(potentia)을 바탕으로 한 신체와 정신을 합일하려는 경향, 힘, 노력, 욕망인 코나투스(conatus)의 개념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코나투스는 서양인에게 체육현상에서 보여주는 동양적인 기(氣)를 설명하는데 가장 유용한 철학적 개념이다. 셋째, 스피노자의 병행론 의미는 신체와 정신이라는 각각의 힘을 강조하기 위해 병행론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스피노자 병행론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스피노자의 병행론이 일원론적인 이해를 전제로 하여 서술하고 있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스피노자의 심신관계는 일원론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당위성의 주장이 아니라, 심신일원론일 수밖에 없는 원인을 스피노자의 신체관은 보여 주고 있다. 스피노자의 신체관은 체육에서 신체를 하나의 대상으로 보기보다 존재론적 입장에서 규명하기 위한 이론적 정초가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황제내경』에 나타난 정지학설 소고

        김종두 ( Kim Jong Du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1

        황제내경(黃帝內經)의 정지학설(情志學說)은 동양의학 체계의 기초이론을 구성하는 중요한 이론으로서, 중국 고대의 `심신일원론(心身一元論)` 사상을 기초로 질병의 전변(轉變) 과정에 대해 이론에서 임상(臨床), 병증(病症)에서 정지요법(情志療法)에 이르는 내용을 포괄하는 동양심리학의 핵심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문헌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오지(五志)와 칠정(七情) 이론을 근간으로 한 황제내경(黃帝內經)의 정지학설(情志學說)의 기본 개념과 정지의 병인(病因), 병증, 치유방법, 예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인류의 건강과 질병 문제에 대해 서양 심리학적 관점과는 상이한 태도를 취하는 동양심리학의 기초적인 이론 정립과 극변하는 오늘날의 심리학 패턴에 심신통합(心身統合)적 사고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theory of emotion(情志學說) in Huangdineijing, one of the key theories that constitute the foundation of oriental medicine, is also the core of the oriental psychology that covers not only the theories as to the changing process of diseases based on the theory of unification of physique and spirit(心身一元論) in ancient China but also clinical test, symptoms and the emotional therapy as well. This study will examine the basic concept of the theory of emotion in “Huangdineijing” based on the theories of five emotions(五志) and seven emotions(七情) as well as emotional etiology, symptoms, curing methods and prevention through philological research and is expected to provide the basic theoretical foundation for oriental psychology that takes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western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the health and diseases of human beings and special values in today`s psychology patterns featuring radical changes.

      • KCI등재

        성경에 나타난 체육 -신체관, 스포츠, 여가관을 중심으로-

        김옥태 ( Ok Tae Kim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2 신앙과 학문 Vol.17 No.2

        이 논문은 신·구약 성경과 관련 문헌을 통하여 신체관, 스포츠, 여가관 등을 중심으로 성경에 나타나 있는 체육의 개념에 대해 고찰한 것으로서 결과는 대체로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경에서의 신체관은 피조의 영적 존재이다. 즉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에 따라 창조된 육을 가진 존재이나 영혼도 소유하고 있다. 육체는 약하지만 무시할 것이 아니라 잘 관리할 책임도 있다. 일찍이 성경은 오늘날 체육의 개념인 심신일원론적이었다. 둘째, 성경에 나타난 스포츠는, 구약시대에는 주로 활, 칼, 창, 물매 등 전쟁과 관계있는 것과, 무용, 수영 등이 성행하였다. 신약시대에는 바울서신에 여러 비유로 나타나 있는데, 이로써 스포츠가 부정되지 않고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성경에서의 안식일은 인간의 일과 탐욕에 대한 규제와 하나님이 보인 만족이라는 측면에서 여가적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축제는 하나님이 만든 일종의 놀이라 할 수있고, 특히 그리스도인은 예배를 통하여 축하와 기쁨과 자유를 누려야 하는데, 인간의 문화는 그것을 위축시키고 있다. 결국, 체육이 역사적으로 기독교에서 부정된 적이 많았지만, 성경에 나타나 있는 진정한 의미는 긍정적이며 오히려 권장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는 것이다. This paper considered the concept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Bible. The three topics presented were the view of the human body, sports and the view of leisure through the Bib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iew of the body in the Bible, is that we are created by God as spiritual beings both in body and soul. Though the body is weak, we must not neglector the body, but we must manage it responsibily. In the Bible, one can identify similar ideas that are practiced in modern physical education, the Bible shares the same view as modern physical education. Second, in the Old Testament days, archery, fencing, spear and sling were all physical activities related to war, while dance and swimming were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In the New Testament days many metaphors are written in Pauline letters, it suggests that sports were not denied but were encouraged and venerated. Third, the Sabbath in the Bible encompasses the meaning of leisure, control of the human`s work ethics, greed and God`s satisfaction. Festivals are a sort of play God has made. Christians should enjoy celebrations, joy and freedom through worship, However human culture restricts these celebrations. Ultimately, though physical education has been denied in Christianity historically, the true meaning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Bible is positive and encouraging message for all to practice and enjoy physic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