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역과 세계, 상대성 보편성의 경계에 선 철학

        박치완(Tchi wan PARK)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3 철학과 문화 Vol.26 No.-

        철학의 세계성(globality)은 실제 철학의 지역성(locality)이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지역성, 상대성이 높을 때 세계성, 즉 보편성에 다가갈 확률이 높다는 것을 증험(證驗)한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사람들은 철학을 논할 때면 예외없이 비지역적이고 초시간적인 보편성만을 사유의 모범으로 고집한다. 보편성, 세계성은 물론 시공간을 초월하며,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과연 그런 인문 지식의 보편성이 존재할까? 서구인들을 위한 서구적 보편성이 동양이나 한국에서도, 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에서도 타당한 담론일까? 본고에서 우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지역학으로서 철학(philosophy as a localology, the study of localness)의 밑그림을 제시해보았다. 지역학으로서 철학은 기본적으로 철학에 대한 지리ㆍ문화적 해석에 기초한 것이며, 실제 우리가 구분하곤 하는 독일고전철학, 프랑스현상학, 영미분석철학, 한국불교철학 등도 이에 기초한 것이다. 이렇듯, 서로 다른 지역에는 서로 다른 철학이 존재한다. 한국철학도 결국 자신의 지역성, 상대성을 모태로 연구될 때 이제까지의 외부에 의해 강요된 타자의 시선으로부터 독립되어 자발적ㆍ창조적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지역학으로서 철학'을 통해 본고에서 우리가 강조해보려고 했던 것은 다음 명제다: 철학이란 지역성에 도달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지역성에서 출발한다. 즉 땅의 정령이 숨 쉬는 지역이 철학의 출발지요, 모태라는 것과 지역성의 표현이 철학의 최종 목적지라는 것은 구분되어야 한다. 지역의 독립은 결코 세계로부터의 고립을 의미하지 않는다.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philosophical globality is controlled by the philosophical locality. This has proved that the provability to approach to the globality, in other words universality is getting higher when the locality, the relativity is higher. But for what reason, people stick to the non-local and trans-temporal universality as the norm of rational faculty of the mind without exception when discussing philosophy. Of course it can be said that the universality, in other word globality is transcend time-space, and applied to everyone. By the way, really can such a universality of the knowledge of humanities be existing? Can the western universality for Westerners be a rational discourse in the East, Korea and Ethiopia in Africa? In this study, under this critical mind, the rough sketch of the philosophy as the study of localness has been proposed. The philosophy as the study of localness is fundamentally based on the geographical and cultural interpretation of philosophy, and German classic philosophy, French phenomenology, Anglo-american analytic philosophy, and Korean Buddhism, practically classified by us are also based on this concept. So, every different region has its own philosophy. Eventually Korean philosophy, when its location, locality and relativity are the matrix of studies, can be independent from the forced external eye-line and spontaneously and creatively restructured. Through Philosophy as the study of Localness the propositions intended to emphasize is: "A locality is not the destination of/to philosophy, but the starting point." In other word, the fact that the region, where the spirit of the soil is breathing, is the starting point as well as the matrix of philosophy and the fact the expression of localness is the final destination of philosophy shall be segregated.

      • 글로컬 시대의 철학

        박치완(Tchi-wan PARK)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2 철학과 문화 Vol.25 No.-

        이 논문에서 우리는 글로컬 시대의 철학이 천착하고 또 지향해야 할 방향이 무엇인지를 거시적으로 제시하면서 한국철학의 정체성, 현주소를 점검해보는 자리를 마련해보는데 연구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서론에서는 현대철학의 지형도 변화를 설명하면서, 차이와 타자를 배제의 대상이 아니라 교류, 소통의 대상으로 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논리를 통해 철학이 일반적으로 기대고 있는 서구유럽적 보편성, 보편주의를 문화적 상대성, 특수성과의 관계 속에서 새롭게 조명해보았다. 그리고 본론에서는‘glocalization’(국내에서‘세계지역화’로 번역하고 있는)에 대한 새로운 번역과 해석(‘지역세계화’)을 통해 시장경제의 세계화나 문화의 세계화도 문제지만 특히 지식의 세계화를 미연에 막기 위해 대한민국의 철학계에서 고민하고 또 풀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적시해보았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모든 철학은 기본적으로 지역성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독일철학, 프랑스철학, 영미철학 등), 한국철학도 이제는 우리의 삶-생활 연관적 지역성을 살려야만 하고, 그렇지 못하면 보편성/특수성에도, 지역성/세계성에도 다다를 수 없다는‘화두’를 던져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모든 철학에도 문화적 색깔이 상존한다는 점을 확인할수 있었다. 미국, 프랑스, 독일 등 경제∙문화강국일수록 그렇다. 게다가 현대에 이르러서는, 19세기에‘과학’이 그랬던 것처럼,‘경제’가 모든 학문 영역을 좌지우지 한다. 사유-자유의 추구를 본질로 하는 철학이‘과거의 죽은 보편성’에 빠져 소일 할 수 없는 이유이다. 이 시대가 요구하는 보편성은 ‘로컬들’을 넘나들 수 있는 보편성이어야 하며, 그때 비로소 철학은 소수자에게만 이로운 것이 아니라 온 인류에게 봉사하는 공공성을 살릴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article, we intend to propound macroscopically the adequate direction of Korean philosophy, which is inquired in the age of glocalization, by presenting the identity and current position of it. Firstly, a new logic which embraces difference and other-ness as objects of exchange and communication, not objects of elimination, is proposed. In this perspective, the western european universality and universalism, in relation with the cultural relativity and cultural speciality, is also examined, along with explaining the change of the topographic map of contemporary philosophy. Secondly, we discuss the problem of glocalization (interpreted as 'localization of global' in Korea) of the market economy and culture, in order to highlight the danger of the globalization of knowledge. It is also argued that the task of Korean philosophy is to avoid this danger, through a new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of glocalization as 'globalization of local'. Finally, in conclusion, we argue that Korean philosophy must vitalize the locality related to life-living of its own, to establish the Korean indigenous perspectives of universality/speciality, locality/globality. It is imperative to consider that what we call 'philosophy' in the academic world, fundamentally, reflects it's own locality, as German philosophy, French philosophy, and Anglo-American philosophy, etc. Through this study, we find every philosophy connotes its own cultural color, as is remarkable in the economic and cultural super-power countries, like USA, France, Germany, etc. Moreover, as 19th century’s science did, economy overwhelms every region of studies. This is why philosophy, that pursues thought-freedom, should not flounder in the realm of dead universality. Thus, it is not until the concept of the contemporary universality crosses over locals that philosophy can revitalize its public nature by serving not a few but whole mankind.

      • 中國哲學史上的 “系統說” 與 “道統” 觀念

        임명희(林明熙)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9 철학과 문화 Vol.18 No.-

        宋明儒學的分派問題是書寫中國哲學史的特點之一。本文以勞思光先生的論點為主,考察“一系說”的理論特點,進而反思其理論前提的合理性問題。本文提出“一系說”所依靠的理論前提:一、“尊孟”;二、“道統”。勞思光先生首先按照“道統”觀念,以孟子為孔子的繼承者,推崇孟子;再按照“尊孟”的標準,並重視孟子的“心性之學”,以心性論為宋明 儒學的頂點,進而把先秦儒學解釋為“主體性”觀念最為重要的“心性論中心之哲學”。這種書寫方法往往混淆了對哲學史的客觀敘述和建立主觀理論之間的區別,容易把時代性的哲學詮釋當作思想本來面目。 이 논문의 목적은 중국철학사의 주된 기술방식 중 하나인 계통이론에 대한 반성을 시도하려는 데 있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노사광 철학사의 1계통설을 중심으로, 1계통설이 2계통설(풍우란)과 3계 통설(모종삼)을 비판하기 위해 제시한 논거들을 검토하고 1계통설이 기반하고 있는 이론 전제(존맹사상, 도통관념)를 분석하여, 중국철학사의 계통론적 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 사진치료를 통한 다문화사회의 상호문화소통에 대해

        김종대(Jong dae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3 철학과 문화 Vol.26 No.-

        Fototherapie ist eine Art von Psychotherapie, die als Kommunikationsmittel dient. In diesem Aufsatz erörtern wir die alltäglichen, medialen Methoden der Fototherapie. Das Foto ist ist ein nützliches, umfangreiches, kommunikatives Medium. Wer das Foto versteht, kann sich besser mit der Welt und dem Mitmenschen umgehen, weil im Foto das Geistige und das Materielle gleichzeitig liegen. Foto ist ein gegenwärtiges und auch zukünftiges Medium zum Ausdruck der menschlichen Angelegenheiten. Nach Benjamin nimmt das Foto die Rolle des Propheten über im Zeitalter der technischen Reproduzierbarkeit. Zur Anwendung der Fototherapie auf die multikulturellen Schulkinder ist zuerst vom Begriff und Verstehen des Fotos die Rede. Ohne Vorverständnis des Mediums Foto ist die Fototherapie nicht zu verstehen, weil das Foto selber spricht, sieht und darüber hinaus ausstellt. Im dritten Kapitel dieser Abhandlung geht es dann um die Anwendungsmethoden der Fototherapie im Alltag. Es gibt hauptsächlich drei Methoden im Bereich von der Fototherapie, nämlich Focus, close-up und Ausstellung, die zur indirekten Heilung des Gesprächspartners dienen sollen. Die Vorteile und Merkmalen dieser therapeutischen Ebenen werden im Text vorgestellt. Und dann sprechen wir schließlich von der Kommunkationsmöglichkeit durch Fototherapie zwischen den Kulturen in der multikulturellen Grundschule. Zur Kommunikation mit den Anderen in der multikulturellen Welt bedingt es das Verstehen des Anderen in der Gesellschaft voraus. Mithilfe der Fototherapie kann sich die Kommunikationsmöglichkeit in der multikulturellen Grundschule erhöht werden. Zur Analyse der Kommunikationsmöglichkeit der Multikulturalität wird u. a. Jaspers' These der existenziellen Erfahrung der Menschen eingeführt. 다문화가정의 청소년들에게 사진 미디어를 활용해 심리 상담하는 방법에 대해 논한다. 특히 사진치료의 방법들을 상호문화소통의 관점에서 고찰한다. 이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문화사회의 특성을 알고, 문화전수자로서의 개인의 역할에 주목한다. 상담 과정을 통해 마주보기, 경청, 말하기, 표현하기, 어울리기 등 기본적인 인성 교육적 소양을 갖추게 한다. 사진치료를 위해 우선 내담자에게 사진이란 무엇인지 알게 한 후 사진에 흥미를 가질 수 있게 한다. 내담자가 미디어에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사진 미디어의 장점들을 소개한 후, 미디어를 통해 마음을 열고 점차 내담자가 처한 내면의 문제들을 말할 수 있도록 한다. 상담자는 내담자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상담 분위기를 만든다. 이어서 사진 미디어의 일반적 특성들 가운데 특히 포커스, 클로즈 업, 전시 기능을 상담 자료로 활용한다. 내담자가 세 가지 방법론을 충분히 익힌 후, 자신이 처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내담자는 자신이 처한 문제를 직시하고, 우선순위를 두어 특정 사건이나, 인물, 기억 등을 부각시킨 후, 사진 미디어를 보면서 자신의 이야기를 서술하는 과정을 통해 치료된다.

      • 한국과 일본 정원문화에 함축된 철학과 미의식 : 일본의 '료안지'와 한국의 '부용지'를 중심으로

        김후련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14 철학과 문화 Vol.27 No.-

        본고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는 일본 교토(京都)의 선사(禅寺)인 료안지(龍安寺)와 한국 서울의 창덕궁 후원(後苑) 부용지(芙蓉池)에 함축된 철학과 미의식을 분석한 논문이다. 일본의 료안지는 선불교 코드를 함축한 정원으로, 선(禪, Zen)의 정신을 고도로 함축한 정원이다. 따라서 료안지 정원은 돌아다니면서 감상하는 정원이 아니라, 한 곳에서 조용히 바라보면서 관조하고 사색하는 정적인 정원이다. 반면에 창덕궁 부용지는 성리학 코드가 함축되어 있는 정원으로 물경(物景), 정경(情景), 의경(義景)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정원이다. 부용지는 단순히 한 곳에서 조망하며 감상하는 정원이 아니라 학문과 정치 공간으로도 활용된 동적인 공간이다. 그런데 이들 정원에 함축된 철학과 미의식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사실은, 선불교 코드의 대표적 정원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료안지는 선불교의 철학보다 이미지, 즉 미의식에 치중하고 있는 이미지텔링의 정원에 가까웠다. 반면에 자연과 동화되어 아무 것도 담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한국 정원은 정원의 경물을 이미지텔링하여 당대의 철학을 완벽하게 인코딩(encoding) 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원은 세계 정원사에 독보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반해, 한국 정원이 차지하는 위상은 아직 미미하다. 그 이유는 한국 정원은 자연과 정원의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자연과 정원이 물아일체(物我一體)가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 정원에 인코딩되어 있는 철학과 미의식을 우리 스스로 제대로 디코딩(decoding) 해내지 못하면, 한국 정원의 아름다움을 제대로 알릴 수가 없다. 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the philosophy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mplied in two UNESCO World Heritage sites - Ryoanji, a Zen temple in Kyoto, Japan and Buyongji, the Changdeokgung's main backyard landscape element which is located in Seoul, Korea. Japan's Ryoanji is a garden that poignantly portrays the spirit of Zen Buddhism. On the other hand, Buyongji of Changdeokgung is designed to accommodate three appreciations - object appreciation, landscape appreciation and psychological appreciation. During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philosophy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mplied in the these gardens, it was revealed that the Japanese garden, which is acclaimed worldwide as the most renowned Zen Buddhism code garden, is actually an image-telling garden that is lopsided toward the aesthetics consciousnes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Zen Buddhism philosophy.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arden that looks somewhat desolate by being assimilated with the surrounding nature was actually perfectly "encoding" pertinent period's philosophy by image-telling its landscape elements.

      • 영화 <세 얼간이>와 다문화사회 인도 엿보기

        박치완(Tchi-wan PARK)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1 철학과 문화 Vol.23 No.-

        라즈쿠마 히라니(Rajkumar Hirani) 감독의 2009년 슈퍼급 히트 작품인 <세 얼간이(3 Idiots)>는 인도는 물론이고 인도 밖에서도 널리 흥행한 마살라무비(Masala Movie)의 대표작이다. 2011년 8월 한국에서 개봉되었으며, 특히 한국의 주입식 교육현실의 폐해가 무엇인지를 되돌아보게 한다는 측면에서 이 영화는 매스컴의 지목을 받기도 했다. 본고에서 우리는 이 영화를 표층구조 상으로 드러난 ‘로맨스 코미디’나 ‘코미디 드라마’로 분석하는 항간의 일반적인 비평방식을 탈피해 ‘문화적 독법(cultural interpretation)’이라는 새로운 방법론을 적용해보았다. 이러한 우리의 선택은 영화 <세 얼간이>에 감추어진 인도 문화의 심층, 즉 인도의 문화코드(Culture Code)를 분석해보기 위해서다. 주지하듯 인도는 다문화(다종교, 다인종, 다언어, 다신분)사회다. 그런데 히라니 감독은 이러한 인도의 다문화성을 단지 현상적으로 묘사하는데 그치지 않고 그 심층의 고리를 보여줌으로써 인도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그 해결책도 제시한다. 12억 인도인이 좋아하는 마살라뮤직을 적절히 사용하면서 대사를 이중언어(힌디어와 영어)로 처리한 것도 같은 고민에서 나온 결과라 할 수 있다. 음악과 대사는 인도의 명문 공대인 ICE(Imperial College of Engineering)의 세 반항아가 던지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개이자 인도의 다문화성을 아우르는 촉매제이기도 하다. 모든 문화는 각기 고유한 토양을 가지고 있다. 다문화사회는 인도뿐 아니다. 그런데 불행히도 신자유주의의 등장과 더불어 ‘문화’는 점점 세계화의 먹이로 전락하고 있다. 전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무한경쟁, 약육강식의 논리가 그 주범이다. 그런데 <세 얼간이>에서는 바로 이것이 우리가 극복해야 할 제일 적임을 보여준다. 문화가 그렇듯, 삶의 서사(Narrative of Life)도 정체불명의 글로벌체제를 위해서 복무하는 것이 아니라 로컬에서 만들어지고 보존되며 전파된다. 그리고 그때에 한 해 그 로컬의 문화는 글로벌 세계로 나아갈 수 있다. 한류 열풍으로 들떠 있는 우리에게 <세 얼간이>가 건네는 교훈이 여기에 있다. <3 Idiots> by director Rajkumar Hirani, which was a big box office hit in India and in other countries in the year 2009, is a representative Masala movie. It was premiered in Korea in August 2011, and it received attention from the media, because it made viewers reflect on the harmful effects of the Korean education system. This article goes beyond the general method of reviewing the movie which is based on its superficial structure, i.e. the view that it is a ‘romantic comedy’ or a‘comedy drama’, and applies a new method of reviewing called ‘cultural interpretation’. This method was applied in order to analyse the deep structure of the Indian culture, i.e. the ‘culture code’ of India, that is hidden in the movie. It is well-known that India is a multi-cultural (multi-religious, multi-racial, multi-lingual, and multi-stratal) society. Hirani not only describes the multi-culturality of India phenomenologically, but also reveals the chains that lie underneath it, thereby critically showing the problems of the Indian society and proposing some solutions. The fact that he used Masala music, a favorite of the 1.2 billion Indian people, and made the movie bilingually using Hindi and English can be understood as a sign of his agony. The music and the dialogue are the media that deliver the message of the three rebels of ICE (Imperial College of Engineering), a prestigious college of engineering in India. At the same time, they are the catalyst that embrace the multi-culturality of India. Every culture has its own soil. And India is not the only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world. Unfortunately, however, with the advance of neo-liberalism, ‘culture’ is being reduced to prey to globalization. The culprit is the unlimited competition and the law of the jungle that dominate the world. <3 Idiots> shows that these are ourprincipal enemies that must be overcome. Like culture, the narrative of life does not exist to serve the elusive global system, but is made, conserved, and transmitted locally. And only that will make a local culture global. This is the lesson of <3 Idiots> to those of us who are overly excited about the Korean Wave.

      • 그리스 철학신의 탄생과 완성

        김민수(Min su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6 철학과 문화 Vol.35 No.-

        본 논문은 서양 고대철학에서 철학신이라는 철학적 개념이 만들어진 과정을 철학사적인 맥락에서 살펴본다. 탈레스, 아낙시만드로스, 크세노파네스, 파르메니데스로 대표되는 자연철학자들의 학설을 우선적으로 살펴본 뒤, 그들의 후계자인 플라톤이 스승들의 학설을 어떻게 수용하고 자신만의 독보적인 이데아론으로 발전시켜 신학(또는 신론) 이라는 체계로서 서양철학의 합리주의적 토대를 구축하였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결론에서 본 논문은 플라톤 철학에서의 이데아가 아르케·원인·로고스·근거·hypothesis로서의 원리임과 동시에, 신·목표·선으로서의 이상임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소크라테스 이전의 자연철학자들과 플라톤이 스승들의 학설을 계승·비판함으로써 탄생·완성시킨 그리스의 철학신이 비합리적인 신 전통으로부터 벗어나, 오늘날 이성을 기반으로 한 합리주의 전통의 거대한 토대를 구축하였음을 이해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the process which the concept of philosophical god had been formed in ancient greek philosophy in a historical context. First we look into the doctrines of the early natural philosophers like Thales, Anaximander, Xenophanes, Parmenides, and also how Plato as their successor had accepted their explanations so that he developed them as his own theory of Idea , constructing the foundation of rationalism in western philosophy. In conclusion, this paper explains the Idea in Plato s philosophy means the principle as arche, cause, logos, hypothesis, and at the same time the ideal as god, telos, and the good.

      • 문화의 탈경계 현상과 연결되는 다섯 용어에 대한 검토

        김성수(Soung su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3 철학과 문화 Vol.26 No.-

        Commonly used terms when explaining the phenomenon of the trans-boundaries of culture includes consilience, fusion, and convergence. Related terms include complex and articulation, which can be understood respectively as an example and an additional concept. These terms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se concepts have been influencing each other. Looked at more closely, however, we can find that these concepts have their own ways to relate to the phenomenon of the trans-boundaries (of culture) and cultural contents studies. Due to the confusion in the use of these terms, the descriptions of a specific object in cultural contents studies have not been as rigorous as one could hope for. Based on this observation,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definitions of these five terms. Through the examination, it is hoped that it gives the reader an opportunity to think deeply about how we can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the trans-boundaries of culture and also how it may be developed. It is argued that the five terms are likely to play important roles in the future when analyzing the individual trans-boundary cases of cultural contents. Using these terms more precisely and appropriately will be a starting point that enables us to better understand and analyze the various phenomenon of the trans-boundaries of culture. 문화의 탈경계 현상을 설명할 때 흔히 사용되는 용어는 통섭(consilience), 퓨전(fusion), 컨버전스(convergence) 등이다. 그와 관련되는 용어는 복합공간(complex)과 절합(articulation) 등이다. 이 두 개념은 탈경계현상이 구체화되어 실현되는 사례 및 추가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보통 이 용어들은 명료하게 구별되지 않고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물론 이들 개념이 서로 간에 깊은 영향을 주고받는 측면이 있지만, 사실상 그 의미들은 각기 독립적이면서 각자의 방식으로 탈경계 현상은 물론, 문화콘텐츠학과 관계 맺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들이 혼동하면서 쓰는 까닭에 문화콘텐츠학에 있어서의 특정 대상에 대한 분석이 엄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기도 했다. 본고는 이 부분에 착안하여, 이 다섯 가지 용어들의 정의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했다. 이 다섯 가지 개념의 검토를 통해 필자가 의도하려 한 바는 문화콘텐츠학에서의 탈경계 현상이 어떻게 이야기되어야 하는지, 또한 전개되어야 하는지를 고민해 보는 것이다. 향후, 통섭, 퓨전, 컨버전스, 복합공간, 절합이라는 다섯 가지 용어는 탈경계현상이 많은 특정의 문화콘텐츠 사례들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나름대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가능성이 많을 듯하다. 이 다섯 용어에 대한 적절한 사용은 문화콘텐츠학에 있어서 다양한 탈경계 상황들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해주는 하나의 출발점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문화, 권력, 그리고 문화정책

        김기홍(Ki-hong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2 철학과 문화 Vol.24 No.-

        넓은 의미에서 문화정책은 정부 부처의 업무뿐만 아니라 문화와 권력이 관계 맺는 공적영역 전반을 일컫는 용어로도 볼 수 있다. 따라서 문화정책 연구 또한 경제, 경영, 사회, 행정과 같은 기존의 사회과학적 연구뿐 아니라 그 의미와 가치를 해석하는 인문학적 연구도 필요하다 할 것이나, 국내에서 그런 접근은 찾아보기 힘들다. 본 논문은 문화정책 연구의 지평을 넓혀보자는 취지에서, 문화정책 존립의 근거와 의미를 알아보고자 했다. 특히 문화와 권력의 관계라는 관점에서 문화정책의 형성을 역사적으로 고찰해보고 주요 쟁점들을 짚어 보았다. 무엇보다 서구 문화정책의 이면에 중앙집권적 권력의 도구로서의 문화와 ‘문명화의 사명(civilising mission)’이라는 배경을 전제하고 있음을 밝히고, 이것이 고급문화와 저급문화의 계서화적 관점에서 권력과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계서화를 강화하는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아보았다. 이는 역사적 맥락에서 현대 문화정책의 주요 기저인 문화 민주화(democratization of culture), 문화 민주주의(cultural democracy)라는 서로 충돌하는 두 개념과 자연스럽게 연계되는데, 그 함의에 대해 알아보고 주요 쟁점들과 과제를 짚어보았다. In a broad sense, cultural policy refers not only to the administrative implementations of government, but to the public areas as a whole in which culture and power interact. Thus, it is generally taken for granted that the nature of cultural policy studies needs humanities and social scientific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culture and power, which cannot be observed in the empirical studies driven Korean cultural policy studies discourse. This essay, fundamentally aims to enrich the methodologies of the cultural policy studies, examines the foundational background of cultural policy in terms of the instrumental of the political power and its implication. Most of all, civilizing mission, which implie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high and low culture, and its specific influences on the Western society which formed and reinforced social stratification, are scrutinized. In this perspective, two most significant conceptions in the Western cultural policy discourse, democratization of culture and cultural democracy, which are not commensurate to each other, are examined.

      • 프랑수아 줄리앙 François Jullien의 철학적 방법론과 그 의의

        강상림(Sang-Lim, K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0 철학과 문화 Vol.21 No.-

        F. 줄리앙은 다양한 문화들의 개별성이 부대끼고 공존 하는 21세기 세계화 시대에 그에 걸맞는 새로운 철학이 요구됨을 말한다. 이는 줄리앙에게 기존과는 전혀 다른 철학적 답 내지는 해결에 대한 문제가 아닌, 새로운 문제에 대한 요구이며 더 나아가 다르게 철학해 보기에 대한 요구이다. 그럼으로써 글쓴이는, 줄리앙의 새로운 철학에 대한 부르짖음은 합리적 이성을 통해 존재 형이상학적인 진리의 ‘앎’을 향한 시선의 전환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시선의 전환을 요구함이라고 보며, 이를 위하여 줄리앙은 다음 세가지의 과정을 수행하고 있음을 논거로 설명한다 : 이타성 l'alterite, 의미의 전환 le changement de signe. 서양 전통의 목적 존재 지향적 세계관과 도가의 내재적 세계관의 드러냄. 이타성인 중국 문화를 통해 자신의 문화와 사유틀을 반추해보는 줄리앙의 작업은 사고의 고착화와 정체됨을 막고 환기할 수 있는 사유의 창을 마련하고, 이는 21세기의 - 전체화가 아닌 - 세계화 시대에 걸맞는 철학함의 하나의 이상적인 방법론 내지는 자세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줄리앙의 작업은 프랑스인이 아닌 우리에게도 의미가 있는데, 줄리앙의 작업을 통하여 자신의 문화와 사유틀의 익숙함에서 나와 그들을 새로이 반추해 보며 그의 시선의 이타성 속에서 우리의 정체성에 대해 다른 시선으로, 새롭게 고민하여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F. Jullien réclame qu'il est nécessaire d'avoir une philosophie neuve au 21ème siecle, digne de ce nom. Avec ce demande de F. Jullien et face à la diversité interculturelle où on est aujourd'hui, j'envisage ici d'entrevoir le methode de sa facon de philosopher. Je lance donc le sujet en dévéloppant ainsi : savoir ce que signifie l'altérité qui est la Chine, changer le signe commun et voir une autre manière de concevoir des choses ou le monde sur le taoïsme; Par exemple, le bonheur n'est pas quelque chose à tendre comme un but mais comme une voie à découvrir ou accueillir en pleine vie. En effet, ces operations de F. Jullien ne sont rien d'autre que d'essayer de convertir le regard de manière autre et de philosopher autrement. Autrement dit, on peut prendre conscience que, pour sa philo neuve, comme le dit Jullien, il s'agit pas d'une réponse qui n'a jamais été proposée pendant toute histoire philosophique mais des problèmes qui n'ont jamais été posés. Et en ce qui concerne sa façon de philosopher, on peut aussi certainement savoir qu'il est aussi valable pour nous, coréens, parce que'une double vision prise par elle fait aussi réfléchir de façon neuve sur l'identite qui est à nous, fâce à notre propre réalité. C'est que son essai de s'appuyer sur le choix culturel d'une autre civilisation et ses propres partis pris anthropologiques à travers l'altérité fait communiquer les diversités intercultirelles, et, par là, fait place de philosopher autr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