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의 체제적 인과분석

        이은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공학적 관점에서 체제접근을 토대로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에 대한 인과분석을 하는 것이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둘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은 어떠한가?’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내용 및 절차는 다섯 가지였다.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하여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정 요인들을 도출하고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설정하였다. 둘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 영향요인 및 성과 측정을 위한 설문 문항은 선행연구에서 타당도 및 신뢰도가 검증된 설문 문항을 토대로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셋째, 경기도 소재 ‘ㄱ’ 대학에서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을 수강한 학습자 1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넷째, 설문응답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각 요인이 교육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다섯째,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연구결과는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었다. 첫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조절학습능력,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교육방법, 교육내용, 대학교육지원이었다. 둘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요인인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자기조절학습능력, 교육방법, 자기효능감, 대학교육지원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셋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요인인 정서적응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자기조절학습능력, 대학교육지원, 자기효능감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넷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요인인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조절학습능력, 대학교육지원, 자기효능감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세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조절학습능력, 자기효능감, 교육방법, 대학교육지원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특히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자기효능감이 학업적응, 정서적응, 학업지속의향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규명된 것은 학습자의 긍정적인 자기 인식이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교육환경과 대학환경을 포괄하는 대학교육지원도 학업적응, 정서적응, 학업지속의향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규명되었는데, 이는 성인학습자 신입생이 경험하는 학교의 다양한 지원이 학업적, 정서적 안정감과 학업을 지속하고자 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느꼈음을 의미한다. 교육방법이 학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규명된 것은 성인학습자에게 적합한 교육방법을 제공하고, 구성주의적 관점을 적용한 교수학습환경이 학업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고 유추할 수 있다. 둘째, 의사소통능력과 교육내용은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정해진 시간에 비해 많은 내용을 다루다 보니 양질의 상호작용과 적절한 설명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교육프로그램 시간 및 내용의 양적, 질적 측면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 학업적응, 정서적응, 학업지속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횟수와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업적응, 정서적응, 학업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모두 자기조절학습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인학습자가 자아발전을 위해 새로운 것을 학습하고 숙달하는 과정에서 학업에 자신감과 책임감을 갖게 되며, 성공적인 정서적응으로 이어져 학업을 계속하고자 하는 동기가 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성인학습자가 학습에 자신감과 책임감을 높일 수 있는 교수학습체제 설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전문대학에 재학하는 일부 성인학습자 신입생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대학교육 맥락에 일반화하여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다양한 대학의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후속 연구를 하여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 문항들이 교육프로그램의 성과와 관련된 학습자 특성, 프로그램 특성, 환경 특성의 모든 요인을 포함한다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이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다양한 잠정요인에 대한 고찰을 통해 성과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성과와의 관계를 체제적으로 분석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이 연구에서 종속변인으로 설정한 학업지속의향은 학습자가 스스로 인지한 정도를 자기보고식 설문 응답을 통해 측정한 점수이므로 실제 학업지속 여부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교육이 종료된 후 연구대상자의 실제 학업지속 여부를 추적하여 재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외로움과 학업소진의 매개효과

        신규은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외로움과 학업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를 하위변인별로 나누어 자기지향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외로움과 학업소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를 위해 전국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8세 이상의 성인 남, 여 대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척도는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 외로움 척도, 학업소진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및 Pearson 상관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ROCESS Macro for SPSS(ver. 4.0) 프로그램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대학생활적응, 외로움, 학업소진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타인지향 완벽주의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외로움은 완전 매개하였고, 타인지향 완벽주의가 외로움과 학업소진을 거쳐 대학생활적응으로 이어지는 순차적 이중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외로움과 학업소진이 부분 매개하였으며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외로움과 학업소진을 거쳐 대학생활적응으로 이어지는 순차적 이중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완벽주의 하위차원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외로움과 학업소진이 다른 양상으로 기능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개인이 가진 완벽주의의 특성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자원을 구축하고, 외로움과 학업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개입 방법과 심리·정서적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부모와의 갈등적 독립 및 가족응집력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신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가족간의 역동적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와의 갈등적 독립과 가족응집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연세대학교 대학생 364명이었다. 대학생활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 적응의 하위척도로 이루어진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부모와의 갈등적 독립척도는 심리적 독립 척도 중 하위척도인 갈등적 독립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 가족 응집력은 가족응집력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와의 갈등적 독립은 대학생활적응과 하위척도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응집력은 학업적 적응과 대학환경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와의 갈등적 독립이 가족응집력에 비해서 대학생활적응에 대해 상대적으로 설명력이 높았다. 본 연구 결과는 부모와의 갈등적 독립이 대학생활적응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부모와 갈등적으로 독립이 잘 되어있을수록 대학생활에 보다 잘 적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족응집력 또한 대학생활적응에 중요한 변인이지만, 부모와의 갈등적 독립과 매우 밀접한 상관이 있으므로 상대적 중요도는 떨어졌다. 그러므로 부모와의 갈등을 해결하는 것이 대학생활적응에 중요한 열쇠가 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examine the the relation of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family cohes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a sample of 364 university students.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was measured by Baker & Siryk's(1984)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J. A. Hoffman's(1984) Psychological Separation Inventory was used to obtain a measure of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Family cohesion was measured by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Scales. The result showed that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family cohesion was positively related adjustment to college and subscles, including academic, social, personal-emotional, and institutional attachment adjustment. In other to see the impact of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and family cohesion on adjustment to colleg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applie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is imperative to adjustment to college and subscles, including academic, social, personal-emotional, and institutional attachment adjustment. Family cohesion affects academic and institutional attachment adjustment. Also,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had more important effects on adjustment to college than family cohesion.

      • 장애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장애정체감의 매개효과

        서지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및 장애정체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장애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장애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대학생활 적응의 향상을 위하여 사회적 지지와 장애정체감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회적 지지는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장애정체감은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사회적 지지와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장애정체감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연구 대상자는 서울·경기 지역의 대학교에 재학중인 장애대학생 117명이며, 우편설문과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 과정과 오류검토 작업을 실시한 후, PASW 18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 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인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가 모두 대학생활 적응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전체적인 사회적 지지의 정적 영향은 장애대학생이 높은 수준의 사회적 지지를 가지고 있을수록 자신의 대학생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림으로써 대학생활 적응의 질이 향상됨을 보여준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장애정체감도 대학생활 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대학생이 높은 수준의 장애정체감을 가지고 있을수록 자신의 대학생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함으로서 대학생활 적응의 수준이 향상됨을 보여준다. 세 번째 연구문제인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장애정체감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변인들과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장애정체감은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소인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가 모두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장애정체감은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적응, 일반적 적응과의 관계에서만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적 지지를 강화함으로써 장애정체감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장애대학생에게 실제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회적 지지체계를 발굴 및 연계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 대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윤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인지하는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학년, 전공에 따라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부적응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자치활동참여에 따라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부적응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전국 대학생 7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대학생 스트레스 척도, 대학생활 부적응 척도, 대인관계능력 척도를 사용하였고,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의 사후검정, 상관분석 및 다중 회귀분석(Mutl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학년, 전공계열, 동아리 활동, 자치활동 참여에 따른 대학생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부적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 신입생, 인문·사회·사범계열 학생이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부적응 수준이 높고, 동아리 활동과 자치활동 참여는 대학생활 부적응 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활 스트레스는 대학생활 부적응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 부적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교수관계, 학업문제, 경제문제, 장래 문제, 가치관 문제는 대학생활 부적응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요인 중 관계형성, 타인배려, 갈등관리, 자기개방은 대학생활 부적응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고, 권리주장은 대학생활 부적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이 대학생활 부적응을 낮추고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이 수반되어야 하기에, 대학생들은 대인관계의 중요성에 대해 인지하고, 대학교는 대인관계 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스트레스 조절을 도울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university life stress and interpersonal skills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on university life maladjustment while consider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s in university life stress and university life maladjustment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major?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s in university life stress and university life maladjustment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autonomous activities? Third, do university life stress and interpersonal skills affect university life maladjustment?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773 university students. Among them, data of 22 unfaithful respondents were excluded and data o f 751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it is important to lower university life stress in order to reduce university life maladjust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need to introduce an university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campus has emerged. Second, university life stress was found to be more severe by freshmen, female students, and departments of humanities, social studies, and education. Furthermore, the need to focus on those more vulnerable group is emerged with a systematic in-school stress management program. Third, as club participation was effective in stress management, the ne ed to actively encourage university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ubs is emerged. Finally, as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students to develop satisfactor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order to reduce mal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nd to adapt well to university life, university student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urthermore, in order to lower university students’ stress level, it would be crucial and beneficial to introduce a program on campus to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accordingly

      • 대학교 축구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유승희 한국체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축구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규명을 통하여 경기력 향상과 자기역량을 강화함은 물론 대학축구선수들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여 선수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발휘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연구대상, 조사도구, 조사절차 및 자료처리로 구성하였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표집 대상처를 연구자와 보조자가 직접 방문하여 “운동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설문지를 배포한 다음 응답 요령 및 주의사항을 설명한 다음 자기평가기입(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응답하도록 한 후 설문지를 회수하는 방식으로 설문지에 대해 응답이 완성된 자료를 회수한 후 이중기입 및 무기입한 자료는 분석대상에서 제외시키고 유효표본만을 코딩의 지침에 따라 부호화(coding)하여 자료를 컴퓨터에 개별 입력시킨 후 통계 프로그램인 SPSS Windows 18.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 축구선수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운동스트레스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지역에 따라 선배의 부당한 행동에, 개인시간 제약은 서울지역 축구선수가 경기지역 축구선수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고민은 경기지역 축구선수가 서울지역 축구선수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수경력에 따라서 10년 이상인 선수가 10년 이하의 선수보다 진로고민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는 선배의 부당한 행동, 개인시간제약, 기능불만은 1학년이 4학년보다 진로고민은 4학년이 1학년이 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수준에 따라서는 선배의 부당한 행동, 지도력 불만은 생활수준이 상인집단이 하인 집단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교 축구선수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대학생활 적응은 학업적 적응, 사회적적응, 개인-정서적 적응, 대학-환경적 적응은 경기지역 축구선수가 서울지역 축구선수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수경력에 따라서는 사회적 적응만은 선수경력이 10년 이상인 선수가 10년 이하인 선수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는 개인-정서적 적응은 4학년이 1학년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수준에 따라서 학업적 적응은 생활수준이 하인집단이 상인집단보다 사회적 적응은 생활수준이 상인 집단이 하인 집단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교 축구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능불만, 진로고민, 선배의 부당한 행동이 적을수록 학업적 적응이 높아지며 선배의 부당한 행동, 개인시간 제약, 기능불만, 진로고민이 적을수록 사회적 적응이 높아진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배의 부당한 행동, 개인시간 제약, 기능불만, 지도력 불만 적을수록 개인-정서적 적응이 높아지며 선배의 부당한 행동, 기능불만, 진로고민이 적을수록 대학-환경적 적응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ot only improve athletic performance and strengthen self-competence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of college soccer players but well adapt college soccer players to school life to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player’s emotions. A study method to achieve such a purpose consisted of study subjects, survey tool, survey procedures and data processing. The details are as follows: The researcher and assistant directly visit a sampling target place and distribute the questionnaire about “exercise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hen, explain responding tips and precautions and then, ask participants to respond with a self-administration method and collect the questionnaire. Data of completed response to th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and then, double entry and no entry data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target and only effective samples were coded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s of coding and data were individually entered on a computer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using the statistics progra m, SPSS Windows 18.0 Version.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abov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exercise stress was partial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llege soccer players. That is, depending on the region, Seoul soccer players were found to recognize improper actions of seniors and personal time constraint higher than Gyeonggi soccer players and Gyeonggi soccer players were found to recognize career concern higher than Seoul soccer players and depending on player's career, players of more than 10 years were found to recognize career concern higher than those of less than 10 years. Depending on the grade, freshmen were found to recognize improper actions of seniors, personal time constraint, function dissatisfaction higher than seniors and seniors were found to recognize career concerns higher than freshmen and depending on the living level, the group with high living level were found to recognize improper actions of seniors, leadership complaint higher than the group with low living level. Seco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partial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llege soccer players. That is, in adaptation to college life, Gyeonggi soccer players were found to recognize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personal-emotional adaptation, college-environmental adaptation higher than Seoul soccer players and depending on player's career, play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player's career were found to recognize social adaptation alone higher than those with less than 10 years of player's career. Depending on the grade, seniors were found to recognize personal-emotional adaptation higher than freshmen and depending on living level, the group with low living level was found to recognize academic adaptation higher than the group with high living level and the group with high living level was found to recognize social adaptation higher than the group with low living level. Third, exercise stress of college soccer players was found to partially affect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at is, academic adaptation was found to be higher as function dissatisfaction, career concern and improper actions of seniors are less and social adaptation was found to be higher was improper actions of seniors, personal time constraint, function dissatisfaction and career concerns are less. Personal-emotional adaptation was found to be higher as improper actions of seniors, personal time constraint, function dissatisfaction and leadership complaint are less and college-environmental adaptation was found to be higher as improper actions of seniors, function dissatisfaction and career concern are less.

      • 대학생의 코로나 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우울의 매개효과

        윤태경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코로나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우울이 매개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8세 이상의 대학생 386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스트레스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 우울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PROCESS MACRO model 6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코로나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우울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 상담현장에서 코로나 스트레스로 인해 대학생활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 내담자들을 효과적으로 돕기 위해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우울 증상에 대한 적절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if any,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questionnaire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s between covid-19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86 adults aged 18 ∼ 30 years old in college students with scale of covid-19 stress, college life adaptation,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questionnaire, and depression,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ata using PROCESS MACRO model 6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questionnaire and depression complete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questionnaire and appropriate intervention in depressive symptoms are needed to effectively help college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adapting to college life due to covid-19 at the college counseling site.

      • 부모와의 애착 및 분리-개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조화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건강한 이전과 발달에 필수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선행연구들은 부모와의 안정적인 애착 및 분리-개별화를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애착이론가들의 주장에 근거한 Mattanah 외(2004)의 애착과 대학생활적응 사이의 분리-개별화 매개모형을 받아들여, 부모와의 애착과 분리-개별화의 긍정적인 상관을 밝히고, 현재의 분리-개별화 수준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안정애착의 영향을 매개할 수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각종 부적응으로 인해 대학상담소를 찾는 대학생 내담자를 발달적 측면에서 보다 잘 이해하고, 그들의 문제 해결을 돕는데 있어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본 연구는 진행되었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의 애착 및 분리-개별화와 대학생활적응 간에는 어떠한 상관이 존재하는가? 둘째, 부모와의 애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부모와의 애착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분리-개별화가 그 영향을 매개하는가?이러한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4년제 3개 대학의 학생 총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총 424부 중 편부, 편모 가족유형의 12명과 부실기재 응답자 11명을 제외한 총 401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부모애착 척도(IPPA), 분리-개별화 척도(SIS), 대학생활적응 척도(SACQ)를 사용하였고, Pearson 적률상관분석, 표준 중다 회귀 분석, 위계적 중다 회귀 분석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에는 SPSS 12.0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부모와의 안정적인 애착 및 분리-개별화, 대학생활적응 간에는 상호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존재하였다. 특히 애착의 하위영역 중 소외는 분리-개별화 및 대학생활적응과 가장 높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아버지 및 어머니와의 애착은 대학생활적응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애착의 하위영역 중 아버지 및 어머니로부터의 소외는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이었고, 학업적응의 경우, 아버지에 대한 신뢰도 유의미한 변인이었다.셋째, 학업 및 사회적응에서 분리-개별화는 아버지로부터의 소외의 영향을 완전 매개 하였고, 학업적응의 경우에는 아버지에 대한 신뢰의 영향도 완전 매개 하였다.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에서는 아버지로부터의 소외의 영향을 부분 매개 하였다. 어머니로부터의 소외의 경우, 분리-개별화는 어머니로부터의 소외가 대학생활적응의 모든 하위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부모와의 안정된 애착은 대학생 자녀에게 안전기지(secure base)로서의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새로운 환경을 탐색하고, 심리적으로 보다 편안한 상태에서 부모, 혹은 그 이외의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분리-개별화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대학생활에서도 좀더 유능하게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개인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상대적으로 소홀히 하는 전통적인 가족 제도의 영향으로 상호의존 혹은 집단주의가 강한 우리 사회에서도 분리-개별화는 대학생활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둘째, 대학생 자녀의 건강한 성장, 발달, 그리고 적응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부모의 온정적이고, 애정 어린 정서적 측면에서의 돌봄이 중요하다. 이는 대학생활부적응으로 상담소를 찾는 대학생들에게 현재 부모와의 애착, 특히 정서적 친밀감의 수준을 점검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셋째, 청년 발달에서 ‘관련 내에서의 개별화 모형(individuation-within-relatedness model)’은 지지되었다. 이는 대학교 상담 장면에서, 대학생으로 하여금 타인과의 지속적인 정서적 유대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자연스럽게 분리-개별화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 청각장애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효율적인 수어 통역 지원 방안 탐색

        이현주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청각장애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효율적인 수어 통역 지원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문헌 고찰을 통하여 국내ㆍ외 청각장애 학생 대상의 수어교육과 수어 통역 지원 상황을 파악하였고,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수어 교육과 수어 통역 지원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D대학교와 H대학교, K대학교, N대학교 수어 통역 지원 업무 담당자와 전화 인터뷰를 하였다.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수어 통역 지원에 대한 당사자의 인식과 요구, 당사자가 생각하는 수어 통역 지원 방안을 조사하기 위하여 2015년 이후 D대학교와 H대학교, K대학교, N대학교에 입학하여 수어 통역을 지원받았거나 수어 통역을 지원받고 싶어 하는 청각장애 대학생 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015년 이후 대학에 입학한 청각장애인 6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수어교육과 수어 통역 지원 실태는 열악해 서 학생들은 수어를 체계적으로 배울 수 없으며, 대학은 수어 통 역사를 원활하게 확보할 수 없는 실정에 놓여 있다. 둘째,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수어 통역 지원에 대해 당사자들은 수어 소통 능력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속기 및 강의안 제공과 함께 수 어 통역사에 의한 수어 통역 지원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하 지만 심리적 위축으로 필요한 지원을 신청하지 않는다. 셋째, 대학생활적응을 위하여 교과 수업뿐만 아니라 대학 생활 전반에 걸쳐 전문적 수어 통역을 속기 및 강의안 등의 추가 지원과 함께 충분히 지원할 것과 수어 통역 내용의 외부 유출 금지, 청인과 농인이 함께 배우는 수어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넷째, 청각장애 학생의 성공적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는 청각장애 대 학생을 대상으로 한 대학의 지원 내용 홍보, 교육 전문성을 갖춘 수어 통역사 지원, 속기 지원, 이를 위한 충분한 예산 지원이 이 루어져야 하며, 아울러 청각장애 대학생 자신들도 변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각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효율적인 수어통역지원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청각장애 대학생이 어릴 때부터 수어를 접하고 수어를 체계적으 로 배울 수 있는 방안을 국가 차원에서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청각장애 대학생의 수어 통역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 대학의 정확한 실태 파악 조치가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대학은 수어 통역을 신청한 청각장애 대학생에게 수어 통역과 함께 속기와 강의안 등의 지원을 병행해야 한다. 넷째, 최근 대학 생활의 변화를 수어통역 지원에 반영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대학 수어 통역사의 보수 체계 기준과 수어 통역 업무 체계가 정책적으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청각장애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수어 통역지원 관련 법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정부는 청각장애 대학생의 수어 통역지원을 위한 예산을 100%부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수어교육과 수어 통역지원 실태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청각장애 대학생의 수어 통역지원 요구를 대학 생활 별로 분석하여 효율적인 수어 통역지원 방안 마련에 유용한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조사 대상을 4개 대학으로 한정하였고, 대학 생활 별 요구를 구체적으로 반영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확대하여 해석함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과 조사 내용을 더욱 확장하여 좀 더 구체적인 수어 통역 지원 요구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ive methods of sign language interpreter supports for helping d/Deaf and hard of hearing(d/DHH) university students adjust to their campus life. This study is conducted as preliminary research accompanied by the literature review to achieve this study's purposes. Telephone interviews are conducted with the individuals in charge of providing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s at D University, H University, and K University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sign language education and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s for d/DHH students. Beside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63 d/DHH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D University, H University, K University who are interested in receiving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the needs of d/DHH college students about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s for adjustment to campus life, and their thoughts on how to apply for effectiv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s. Moreover,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d/DHH students who enrolled in college since 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urrent conditions are found significantly poor in sign language education and support for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to adjust to campus life. Therefore, d/DHH students cannot learn sign language systematically, and universities are unable to secure professional sign language interpreters easily. Second, d/DHH students are aware of the need for various support such as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tenography, and learning materials, including syllabuses and handouts, despite the lack of sign language proficiency. However, they usually do not apply for the support(call for or demand) due to psychological withdrawal. Third, In order to adjust to campus life, d/DHH university students are requesting proper supports not only for helping them study but also throughout their entire academic years in universities. Also, they demand sign language education with peers without disabilities and additional supports, including stenography and learning materials. Fourth, for the successful adjustment to campus life of d/DHH students, it is crucial to secure a sufficient budget to make collaborative efforts for d/DHH university students. For example, promoting the content of diverse supports, providing sign language interpreters with educational expertise, and stenography services are significantly needed. Also, d/DHH university students are aware that they should go on the extra mile to improve this current status.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for effectiv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 for d/DHH university students to adjust to their campus life are as follows. First, systematic measures to access and learn sign language from childhood should be considered as nation-wide plans. Second, making excessive efforts should be preced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to deal with the d/DHH university students' requests for th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enography and learning material with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for d/DHH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applied for a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 Fourth, additional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to reflect recent changes in campus life. Fifth, it is vital to establish systems related to university sign language interpreters' salary systems and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s. Sixth, it is crucial to strengthen th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s so that d/DHH university students can easily adjust to their campus life. Seventh, the government should pay 100% of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s for d/DHH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implies that it has prepared useful materials to prepare effectiv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 plans by identifying the recent status of sign language education and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s in Korea and analyzing requests for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 of d/DHH university students. However, since this study includes limited participants enrolled in four universities and does not specifically reflect every university life needs,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the expansion and interpretation of results. Therefore, follow-up studies are suggested to expand further the questionnaire's participants and content to investigate more specific requests for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