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척수손상 유발견에서 자가 및 동종이계 골수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이식효과 비교

        정동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herapeutic effect of autologous and allogenic bone-marrow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canine SCI. Thirty adult Beagle dogs were divided into 3 groups of 10 dogs each as follows: 1) Control group; no MSC transplantation after SCI, 2) Autologous group; autologous MSC transplantation after SCI, 3) Allogenic group; allogenic MSC transplantation after SCI. Five dogs in each group were euthanized at 2 weeks after SCI, and the other 5 dogs in each group were euthanized at 5 weeks after SCI. Prelabeled MSCs were transplanted into the injured lesion at a density of 1 × 107 cells by intrathecal injection into the lumbar spinal cord 7 days after SCI. On behavioral analysis, dogs receiving autologous and allogenic MSC transplantation showed improved neurological function in their pelvic limbs after SCI in comparison with those that did not receive MSC transplantation after SCI. At 5 weeks after SCI, the Olby score of dogs in control, autologous, and allogenic group were 0.2 ± 0.44, 5.4 ± 0.54, and 3.2 ± 0.83, respectively. Moreover, the valuable efficient of autologous and allogenic MSC transplantation were also identified in MRI results. The CSF analysis results from autologous group showed no remarkable findings. Whereas, the number of mononucleated cells in CSF was increased after allogenic MSC transplantation. Histopathological findings showed that autologous and allogenic MSC transplantation reduced cystic cavity formation after crushing damages in spinal cord compared to control group. On immunofluorescence analysis, prelabeled autologous and allogenic MSCs were detected on the injured lesion both at 1 and 4 weeks after transplantation. However, the distribution ratio of transplanted allogenic MSCs on injured are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4 weeks after transplantation. The results of expression of the mRNA species encoding for neurotrophic factors indicated that SDF-1, VEGF, and TGF-β expression levels in autologous and allogenic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control groups. Although autologous MSC transplantation showed more therapeutic effect than that of allogenic MSC transplantation, it was obvious that transplantation of allogenic bone marrow-derived MSCs improved functional recovery of the spinal cord in dogs after severe SCI. This study indicates that both autologous and allogenic MSC transplantation could be clinically useful therapeutic approaches for treating severe SCI. 이 연구의 목적은 척수손상 유발견에서 자가 및 동종이계 골수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이식 후 치료 효과를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30 마리의 비글견들을 본 실험에 사용하였고 실험군은 3군 (대조군, 자가 줄기세포군, 동종이계 줄기세포군)으로 나누었으며 각 군에 비글견 10마리를 배정하였다. 대조군은 척수 손상 후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식하지 않았으며, 자가 줄기세포군과 동종이계 줄기세포군은 척수손상 후 각각 자가 및 동종이계 골수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식하였다. 각 군에서 5마리는 척수손상 2주 후 안락사를 실시했으며, 나머지 5마리는 척수손상 5주 후 안락사를 실시하였다. 척수손상 7일 후, 표지물질을 염색한 1 × 10^(7) 개의 중간엽 줄기세포를 요추부에서 수막 공간 내로 주입하여 이식하였다. 행동학적 평가에서 척수손상 후 자가 및 동종이계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식한 경우 이식하지 않은 경우보다 후지의 신경학적 기능이 향상되었다. 척수손상 5주 후, 대조군, 자가 줄기세포군, 동종이계 줄기세포군 실험견들의 올비 스코어(the Olby score)는 각각 0.2 ± 0.44, 5.4 ± 0.54, 그리고 3.2 ± 0.83 이었다. 또한 자기공명영상 결과에서도 자가 및 동종이계 중간엽 줄기세포 이식의 유의한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자가 줄기세포군의 뇌척수액 검사에서는 특이소견이 없었지만, 동종이계 줄기세포군에서는 이식 후 뇌척수액에서 단핵구들의 증가 소견을 보였다.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자가 및 동종이계 줄기세포 군에서 척수의 압착 손상 후 공동 형성 부분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면역형광항체 검사에서 표지물질을 염색한 자가 및 동종이계 줄기세포들이 이식 1주와 4주 후에서 모두 척수 손상 부위에서 관찰이 되었으나, 이식 4주 후 동종이계 줄기세포의 손상 부위 내 분포율이 크게 감소하였다. 신경작용성 인자들의 발현에 관한 검사 결과, SDF-1, VEGF, 그리고 TGF-β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자가 및 동종이계 줄기세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자가 중간엽 줄기세포 이식이 동종이계 중간엽 줄기세포 이식보다 더 효과적이었지만, 동종이계 중간엽 줄기세포 이식도 심한 척수손상 후 기능적인 회복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자가 및 동종이계 중간엽 줄기세포 이식은 심한 척수 손상을 치료하는 것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유용한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 여고생들의 흡연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 (D여자 실업고)를 중심으로

        정동인 대전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1855

        한 국가의 장래를 짊어지고 있는 청소년들의 정신과 신체가 건전하고 건강할 때 그 국가의 밝은 미래를 보장받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청소년 시기는 일생을 통해서 정신적, 신체적으로 가장 많은 성장과 성숙을 하는 중요한 시기로 청소년들의 건강증진과 체력 향상에 지장을 초래하며, 특히 여성은 차세대의 자녀들의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흡연의 예방과 지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문헌을 통해 흡연 실태에 대한 연구와 문제 해결의 통향을 파악하고, 실업계 여고생의 흡연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실업계 여고 1개교를 대상으로 3개 학년 4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으로는 일반적 사항, 흡연실태, 금연실태, 담배 구입 장소, 흡연에 관한 지식, 흡연자의 주위환경, 미래의 자녀 흡연에 대한 생각 등으로 나누어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흡연율은 43.4%로 1979년 정경임의 25.6%(고교생 남)와 1987년 정해룡 36.2%(고교생 전체)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흡연을 시작하게된 시기도 연령이 점차 낮아져 초등학생 때부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을 하게된 동기는 호기심이 가장 많았으며, 부모의 직업이 불안정하고 맞벌이 부부일 때 흡연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다. 담배 구입 장소로는 대부분이 수퍼나 편의점이었고, 미성년자 확인 유무 받지 않고도 구입할 수 있어 성인들의 도덕성이 의문시되었다. 금연시도에 대해서는 건강 악화에 대한 우려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이 금연을 시도한 적이 있었으나 중독성과 주위의 유혹 때문에 실패한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되었다. 흡연장소로는 학교 내에서는 화장실이 가장 많았으나 교실 및 복도 등에서 피우는 경우도 있었으며, 교외에서는 PC방, 오락실 등 학생들이 자주 이용하는 장소였다. 미래의 자녀 흡연에 대한 생각으로는 조언을 해주고 학생 스스로 판단하도록 한다가 가장 많았다. 이 연구의 결과로 보아 여고생의 흡연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가정에서의 지속적인 관심과 사회에서의 성인들의 책임감이 요구되며, 흡연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자료의 보급이 절실히 요구된다.

      • 2003년 1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 동물병원에 내원한 160두의 신경계 환축에 대한 회고 연구

        정동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55

        한글초록:이 연구의 목적은 2003년 1 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 동물병원에 내원한 신경계 환축의 통계학적인 분포를 요약하는 것이다.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 동물병원에 신경 증상으로 내원한 160두의 환축을 대상으로 연구가 실시되었다. 이 연구의 항목으로는 종, 성별, 임상증상, 진단, 그리고 폐사율 등이 포함되었다. 신경계 진단을 위해 신체 검사, 신경학적 검사, 혈액학적 검사, 뇨 검사, 방사선학적 검사, 초음파 검사, 개 홍역 바이러스 검사 (RT-PCR), 뇌척수액 검사, 핵 자기공명 영상 진단 (MRI), 그리고 뇌파 (EEG)가 이용되었다. 임상증상은 발작 (70/160), 보행부전 (38/160), 부전마비 (29/160), 사경 (9/160), 선회운동 (5/160), 전신적인 진전 (4/160), 근 약화 (2/160), 산동 (2/160), 그리고 과민반응 (1/160)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품종 소인은 요크셔 테리어 (37/160), 말티즈 (29/160), 시츄 (13/160), 토이 푸들 (12/160) 순으로 나타났다. 신경계 환축의 평균 나이는 3.7세였고 주로 중간 나이 대에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160두의 환축 중 47두가 뇌수두증으로 진단되었고, 17두가 추간판 질환, 15두가 특발성 간질, 14두가 두부 외상, 14두가 개 홍역 바이러스 감염, 7두가 육아종성 뇌수막염, 6두가 뇌종양으로 진단되었다. 160두의 환축 중 74두가 핵 자기공명 영상 (MRI) 촬영을 실시하였다. 현재 160두 중 36두가 폐사하였고 나머지 124두는 생존하고 있다 영문초록: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statistical predisposition of the neurologic patients of the Veterinary Medical Teaching Hospital (VMTH) of Konkuk University during the study period (from Jan. 2003 to Oct. 2004). One hundred sixty cases of neurologic problem were diagnosed and treated at the VMTH of Konkuk University. The articles of this study were evaluated according to breed, age, sex, clinical signs, diagnosis, and the number of death. Physical examination, neurological examination, complete blood count, serum chemistry, urine analysis, radiographic examination, ultrasonography, canine distemper virus (CDV) RT-PCR, cerebrospinal fluid (CSF) analysi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electroencephalography (EEG) were performed. The clinical signs were recorded seizure (70/160), ataxia (38/160), paresis (29/160), head tilt (9/160), circling (5/160), generalized trembling (4/160), muscle weakness (2/160), mydriasis (2/160), and hyperesthesia (1/160). The most common four breeds involved were Yorkshire terrier (37/160), Maltese (29/160), Shih-tzu (13/160), and Toy poodle (12/160). The mean age of neurologic patients was 3.7 years old. Out of 160 dogs examined, 47 cases (29.3%) were diagnosed with Hydrocephalus, 17 cases (10.6%) were inter-vertebral disk disease(IVDD), 14 cases(8.7%) were head trauma (traumatic injury), 15 cases (9.3%) were idiopathic epilepsy, 14 cases(8.7%) were canine distemper virus infection, 6 cases (3.7%) were brain tumor, 7 cases (4.3%) were granulomatous meningoencephalitis (GME) and other cases were brain cyst, hepatic encephalopathy, bacterial meningoencephalomyelitis. MRI was examined in 74 of 160 cases. Thirty six of one hundred sixty neurologic patients were died and remainder one hundred twenty four patients were surviving at this time

      • 다중 가짜뉴스 탐지를 위한 데이터 관계 모델링 기법

        정동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온라인에서 뉴스를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되면서 다양한 유형의 가짜뉴스가 등장하였다. 사실이 확인되지 않은 기사를 조회수를 올리기 위해 게재하면서 인터넷 뉴스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그로 인한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여러 유형의 가짜뉴스 중 낚시성 뉴스와 허위 정보 뉴스에 초점을 맞추어 해당 뉴스를 그래프 기반의 모델로 탐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래프 구조는 데이터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에 효과적이며 두 유형의 가짜뉴스에 탐지하는데 주요한 핵심 관계를 모델링한다. 먼저, 낚시성 기사의 경우 본문 내용 사이의 관계성을 그래프로 표현하여 본문의 일관성을 모델링하여 가짜뉴스를 탐지한다. 둘째, 허위 정보 뉴스의 경우 진짜 뉴스와의 뉴스 확산 방식이 구조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사회망 서비스에 확산되는 구조적 정보와 시간적 정보를 모델링하여 가짜뉴스 여부를 탐지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기존 모델 대비 향상된 성능을 보이며 기존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직접 수집한 데이터를 포함한 이전 연구에서 사용한 데이터를 통해 모델의 성능을 평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작업 목적에 따라 데이터 간의 관계 모델링에 초점을 맞추어 실험을 통한 모델의 효과를 확인한다. As news became easily accessible in online, various types of fake news appeared. By publishing unconfirmed news, the quality of Internet news is deteriorating, and the damage is also increasing. Among the various types of fake news, we focus on clickbait and disinformation news and propose graph-based methods for detecting these types of fake news. Graph structure is effective to capture relation between data and we model major relationships in detecting two types of fake news. First, in clickbait news, model can detect inconsistent news by capturing relation between the text contents in a graph. Second, since disinformation news is diffused to social network service structual differently from real news, model detect structural information and temporal information to detect disinformation news. The proposed model performs better than the previous models and we suggests a method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work. We evaluate the model on the data used in previous studies, including the our own data. In this paper, we confirm effectiveness of our model through experiments, focusing on modeling the data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as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