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문장원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8 정서 학습장애아교육 학술발표회 Vol.16 No.-
본 연구는 새로운 교육과정의 틀에 맞춰 현장에서 정서·행동장애학생들을 위한 교육적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을 강구하기 위하여, 현재의 특수교육 현황 및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들의 검토를 통해 정서·행동장애학생들을 위한 교육 과제와 대안 방법들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행동장애학생들을 위한 교육 과제들이 언급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별화교육계획의 적합성 확보를 위해 교육과정 개별화를 위한 개별화교육계획, 지역사회중심 교수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 치료지원 및 관련서비스 제도의 확충 등의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만다라 기법에서의 매체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이완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채영,최은영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7 정서 학습장애아교육 학술발표회 Vol.15 No.2
본 연구는 만다라기법에서 다양한 매체(점토, 핑거페인팅, 파스텔, 한국화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를 ADHD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자율신경계의 생리적 반응에 있어서의 이완의 효과 및 문제행동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초선 5회기와 중재 16회기의 미술활동 전과 후의 자율신경의 변화량을 심전도 측정장비 QECG-3(모델명: LXC 3203)과 오실로메트릭방식의 A&D 디지털혈압계(UA-786)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변화량 및 직접관찰을 통한 문제행동 빈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매체에 따른 본질적 속성에 따른 이완의 정도는 차이가 있었으나 모든 매체에서 이완반응의 생리적 변화가 나타났으며 문제행동도 감소되었다.
유아의 정서 능력과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정서조절양식, 정서반응태도와의 관계
송영혜,김은경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7 정서 학습장애아교육 학술발표회 Vol.15 No.2
유아의 정서적 능력은 또래 유능성,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과 관련이 있으며 유아기의 사회화 과정에서 발달시켜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능력과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및 정서조절양식, 정서반응태도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5-6세 유아의 어머니에게 질문지를 통해 자신의 아동기 경험, 정서조절양식, 정서반응태도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교사에게는 유아의 정서능력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상관 및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가 아동기에 과잉보호 또는 거부당한 경험이 많을수록 스트레스 상황에서 능동적인 정서조절양식은 적게 사용하고 회피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스트레스 상황에서 어머니가 능동적인 정서조절양식을 적게 사용할수록 자녀의 정서조절능력 점수는 낮았다. 또한, 어머니가 아동기에 부모로부터 거부당한 경험은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통제적인 반응태도와 상관이 있고, 어머니의 통제적인 반응은 자녀의 정서조절능력 점수와 상관이 있다. 반면,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 및 정서반응태도와 유아의 정서인식능력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은 부모로부터 과잉보호 받았던 경험과 상관이 높은 반면, 어머니의 정서반응태도는 아동기에 거부당한 경험과 상관이 높았다. 요약하면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은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 및 정서반응태도와 상관이 있으며 이러한 어머니의 정서적 특성은 자녀의 정서능력과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정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어머니에게 바람직한 정서조절양식 및 수용적인 정서반응태도를 교육해야하고, 이를 위해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상담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of mother`s` childhood experiences, mother`s emotional regulation style, mothers attitude toward her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eschoolers` emotional ability. The subjects were 137 preschoolers`(65boys, 72girls, aged 5-6) mothers and teachers. Emotional ability was measured by their teacher. Mother`s childhood experience, mother`s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mother`s attitude toward her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measured by mother. The data were analyzed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 used much more active-regulation way, their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as better. Second, the more permissive mother`s attitude toward a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better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ird, the more overprotected and rejected experience in childhood, the lower level of mother`s active-regulation way. The more rejected experience in childhood, the more compulsive attitude toward child`s expressiveness Forth, mother`s attitude toward their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active-regulation way had effect on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is results showed that parents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permissive attitude towards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active-regulation way should be developed, counselling on mothers` childhood experiences should be done designed in order to improve a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is study implicated father`s role in paren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