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면유도를 위한 라벤더와 클라리세이지 에센셜오일 흡입이 중년여성의 뇌파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채영,심준영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3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three treatments (non-stimulation, lavender and clary sage) on the change of frontal lobe EEGs during sleep induction for 20 minutes and aimed at seeking the clinical availability of aroma essential oils as a means of sleep induction. For this, it administered three treatments to 25 middle aged women of average 47 years old at the interval of 3~5 days with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After the data of EEGs measured for total 20 minutes was divided into five stages for 4 minutes respectively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the treatments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were compared. Major results of repeated measures of ANOVA were suggested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clary sage oil was most influential in inducing sleep, followed by lavender at 12~16 minutes compared to non-treatment beginning from 8~12 minutes after common treatment at the rate of T-A mean frequency, Theta/Alpha and Alpha/Delta. In addition, clary sage oil in alpha asymmetry was influential in inducing rapid rhythm of left brain into relaxation and rest by increasing the alpha power of left br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if the characteristics of two essential oils and their effects over time are used at daily life and clinical situations, it will be very helpful in enhancing clinical availability of aroma therapy for sleep induction. 이 연구는 세 종류 처치(무자극, 라벤더, 클라리세이지)가 20분간의 수면유도 동안 시간 경과에 따라 전두엽 뇌파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해보고, 수면유도의 도구로써 아로마 에센셜오일의 임상적 활용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평균나이 47세의 중년여성 25명을 대상으로 개인에게 3~5일 간격으로 교대중재설계를 하여 세 종류의 처치를 제공하였다. 분석은 총 20분간의 뇌파측정 자료를 4분씩 5단계로 구분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처치의 특성과 효과를 비교하였다. 반복측정분산분석 결과의 주요 내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T-A 평균주파수와 Theta/Alpha 및 Alpha/Delta 비율에서 공통적으로 처치 후 8~12분 시점부터 시작하여 12~16분 시점에서 무자극에 비해 클라리세이지 오일이 뇌파의 느린 리듬을 유도하여 수면을 유도하는데 가장 큰 영향력이 있었고, 다음으로 라벤더였다. 또한 Alpha 비대칭에서도 클라리세이지 오일이 좌뇌의 알파파워를 증가시켜 좌뇌의 빠른 리듬을 이완 및 휴식의 방향으로 유도하는데 영향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상생활이나 임상 현장에서 두 가지 에센셜 오일이 갖는 특성과 시간 경과에 따른 효과를 활용한다면 수면유도를 위한 아로마테라피의 임상적 활용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충북지역 주요 밭작물 재배지 발생 잡초 분포 현황

        이채영,박재성,김은정,이희두,홍의연,우선희 한국잔디학회 2015 Weed & Turfgrass Science Vol.4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weed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n the upland crop fields (garlic, barley, potato, maize, red pepper, soybean and Chinese cabbage) at 795 sites in Chungbuk province of Korea from Apr. to Oct. in 2014. From the result of this survey, 188 weed species in 42 familie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to 96 annuals, 40 biennials and 52 perennials. Based on the occurrence ratio, the most dominant weed species in Chungbuk province upland crop fields were higher in the order of Portulaca oleracea (8.14%), Digitaria ciliaris (6.72%), Echinochloa crus-galli (6.55%), Rorippa palustris (6.00%) and Chenopodium album (5.89%). The composition of major occurred weed families, Compositae, Poaceae, Polygonaceae and Cruciferae were 19, 10, 7 and 6%, respectively. In the winter upland crop fields, the dominant weeds were in the order of Capsella bursa-pastoris (12.36%), Alopecurus aequalis (11.05%) and Stellaria alsine (8.42%). In the summer upland crop fields, the dominant weeds were in the order of Portulaca oleracea (8.58%), Digitaria ciliaris (7.18%) and Rorippa palustris (6.28%). Fiftythree exotic weed specie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information for estimation of future weed occurrence, weed population dynamics and establishment of weed control methods on the upland crop fields in Chungbuk province of Korea.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10월까지 충북지역 11개 시· 군의 795지점에서 주요 밭작물 재배지의 잡초 발생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충북지역의 밭잡초 조사결과, 42과 188종이 발생하였고, 생활사별로는 각각 일년생이 96종, 월년생이 40종, 다년생이 52종이 발생하였고 대부분 일년생 잡초였다. 과별로는 국화과가 36종, 벼과 19 종, 마디풀과 13종, 십자화과 12종, 사초과, 콩과 각각 11종순이었다. 동계작물 재배지의 우점잡초는 냉이(12.36%), 뚝새풀(11.05%), 벼룩나물(8.42%), 광대나물(4.82%), 쇠별꽃(4.60%)의 순이었고, 하계작물 재배지의 우점잡초는 쇠비름(8.58%), 바랭이(7.18%), 속속이풀(6.28%), 흰명아주(6.22%), 중대가리풀(4.95%)의 순으로 발생되었다. 충북지역의 우점잡초는 쇠비름(8.14%), 바랭이(6.72%), 피(6.55%), 속속이풀(6.00%), 흰명아주(5.89%), 중대가리풀(4.64%), 깨풀(4.10%), 개비름(3.84%), 한련초(2.52%), 냉이(2.15%)의 순이었다. 쇠비름, 바랭이, 피 등 상위 10종의 우점도는 전체 잡초종의50% 이상을 차지하였다. 10년 단위로 작물 재배지의 잡초분포를 조사하여 잡초군락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기초자료를 활용하여 체계적인 밭잡초 관리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생물전기화학적 혐기성 수소 발효를 이용한 음식물류 폐기물로부터 바이오수소 생산

        이채영,손한형,김대환,최재민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수소는 에너지 수율이 높으며 산화 시 발생하는 부산물이 물로써 미래의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다.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생물학적 공정에는 직·간접 생광분해(direct-indirect biophotolysis), 미생물 전해 전지(microbial electrolysis cells), 광발효(photo fermentation) 그리고 혐기성 발효(anaerobic fermentation) 등이 있다. 혐기성 수소 발효는 다른 수소 생산 방법에 비해 수소 전환율이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발효 후 부산물로 활용성이 높은 휘발성 지방산(volatile fatty acids)을 생산하며 상대적으로 고농도의 유기물질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혐기성 수소 발효의 낮은 수소 전환율과 휘발성 지방산을 활용하기 위해 후속공정으로 메탄발효(methane fermentation), 미생물 연료 전지(microbial fuel cells), 미생물 전해 전지 등이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혐기성 수소 발효의 전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미생물 전해 전지와 혐기성 수소 발효를 결합하였으며 이에 따른 효율을 평가하였다. 반응조는 기존의 회분식 혐기성 수소 발효 장치에 환원전극와 산화전극을 설치하였다. 환원전극은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와 흑연을 혼합하여 제작하였으며 산화전극은 질산처리된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하였다. 전극이 설치된 반응조 내 음식물류 폐기물과 식종 미생물을 혼합하여 투입하였으며 혐기성 상태로 치환 후 0.8 V의 인가전압을 흘려보냈다. 전극을 장착하지 않은 반응조에서는 0.6 mol H<sub>2</sub>/mol hexose의 수소 전환율이 나타났으며 전극을 설치한 반응조에서는 2.5배 높은 수소 전환율이 나타났다. 전극을 설치한 반응조의 휘발성 지방산의 농도는 전극을 설치하지 않은 반응조에 비해 91.1% 낮게 나타났다.

      • KCI등재

        충북지역 과수원 발생 잡초 분포 현황

        이채영,박재성,이희두,김은정,홍의연,홍성택,우선희 한국잔디학회 2016 Weed & Turfgrass Science Vol.5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weed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n the orchard fields (apple, pear, peach, grape) at 387 sites in Chungbuk province of Korea from May to September in 2015. From the result of this survey, 200 weed species in 47 familie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to 82 annuals, 40 biennials and 78 perennials. Based on the occurrence ratio, the most dominant weed species in Chungbuk province orchard fields were higher in order of Digitaria ciliaris (4.12%), Echinochloa crus-galli (3.60%), Stellaria aquatica (3.45%), Artemisia princeps (3.07%) and Chenopodium album (3.06%). The composition of major occurred weed families, Compositae, Poaceae, Leguminosae and Cyperaceae were 21, 9, 6 and 6%, respectively. Coefficient of similarity between a various orchards based on the degree of dominance were ranged from 68.7-91.8%. The most important weed species at apple, peach, grape was Digitaria ciliaris while these for pear was Poa annua. Fifty-one exotic weed species were also ident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information for estimation of future weed occurrence, weed population dynamics and establishment of weed control methods on the orchard fields in Chungbuk province of Korea. 본 연구는 2015년 5월부터 9월까지 충북지역 11개 시· 군의 387지점에서 과수원의 잡초 발생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충북지역의 과원 발생 잡초를 조사한 결과, 총 47과 200종이 발생되었다. 생활사별로는 각각 일년생이 82종, 월년생이 40종, 다년생이 78종 발생되었고, 일년생 잡초와 다년생 잡초의 발생 비율이 비슷하였다. 과별로는 국화과가 41종, 벼과 18종, 콩과 12종, 사초과 11종, 십자화과 10종, 현삼과 9종, 석죽과, 마디풀과 각각 8종 순이었다. 충북지역에서 우점잡초는 바랭이 4.13%, 피 3.60%, 쇠별꽃 3.46%, 쑥 3.07%, 흰명아주 3.07%의 순으로 발생되었고, 상위 20종의 우점도는 전체 잡초종의 50% 이상을 차지하였다. 전체 과원별 발생 잡초의 유사성 계수는 평균 84.9%로 사과와 복숭아가 91% 이상이었고, 시설 포도 78.7%, 노지 포도 81.3%, 배 83.1%로 비슷한 경향이었다.

      • KCI우수등재

        GPSS/H와 PROOF5를 이용한 지하광산 트럭-로더 운반시스템 시뮬레이션과 애니메이션의 결합

        이채영,최요순 한국자원공학회 2018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5 No.3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ethod that can combine the GPSS/H simulation language and the PROOF5 program so that the simulation results of truck-loader haulage systems in an underground mine can be intuitively confirmed through animation. GPSS/H was used to simulate the truck-loader haulage system in an underground mine, and the results were output to a file format that can be input to PROOF5, allowing simulation and animation to be combine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to an underground limestone mine in Korea, the simulation result such as the truck position, waiting time, loader utilization rate and crusher utilization rate with time could be confirmed at a glance through animation. 본 연구에서는 지하광산 트럭-로더 운반시스템 시뮬레이션 결과를 애니메이션을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GPSS/H 시뮬레이션 언어와 PROOF5 프로그램을 결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GPSS/H를 이용해 지 하광산 트럭-로더 운반시스템을 시뮬레이션한 후, 그 결과를 PROOF5에 입력 가능한 파일 형식으로 출력하여 시뮬레 이션과 애니메이션을 결합할 수 있었다. 국내 석회석 지하광산에 이 방법을 적용해본 결과 시간에 따른 트럭 위치, 대 기시간, 로더 이용률, 파쇄기 이용률 등과 같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애니메이션을 통해 한눈에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수평 흐름형 미생물 연료전지에서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전력수율에 미치는 영향

        이채영,박수희,우정희,유규선,정재우,송영채 유기성자원학회 2011 유기물자원화 Vol.19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ydraulic retention time(HRT) on the power density in a horizontal flow microbial fuel cell(MFC) reactor. When HRTs were 15min,30min, 60min and 180min, maximum power densities were 24.7 mW/㎡, 27.3 mW/㎡, 22.8mW/㎡ and 17.2 mW/㎡, respectively. The highest power density was obtained at HRT of 30min. It was 59% improvement when compared to the power density at an HRT of 180min. When HRT was increased, COD removal rate increased whereas the coulombic efficiency remained constant. The result shows that the optimal performance of the horizontal flow MFC reactor could be achieved at HRT of 30min. 본 연구에서는 수평 흐름형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하여 수리학적 체류시간에 따른 전력수율을 평가하였다. 수리학적 체류시간 15분, 30분, 60분 및 180분의 경우 전력수율은 각각 24.7 mW/㎡, 27.3mW/㎡, 22.8 mW/㎡ 및 17.2 mW/㎡으로 나타났다.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30분으로 유지하는 경우 전력수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수리학적 체류시간 180분과 비교시 전력수율이 최대 59% 증가하였다. COD 제거율은 수리학적 체류시간 증가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쿨롱효율은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30분으로 유지하는 경우 수평 흐름형 미생물 연료전지성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