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교사의 다문화수학수업 설계역량 분석

        송륜진,주미경 대한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학연구 Vol.31 No.1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teachers’ pedagogical design capacity for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purpose, we collected teaching plans developed by inservice teachers who registered in a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course of graduate level. The analysis focused on how the teachers reorganized mathematical contents and adapted instructional strategies in order to achieve the instructional goal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teachers applied the ‘Principle of Equity’ most frequently compared to other principles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ethnomathematics and to develop PCK to reorganize curricula contents by integrating ethnomathematics. Second, it was observed that the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y in adapting the levels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coherently. This suggests that when teachers tried to design lessons from a new perspective, they often turned back to teacher-centered teaching practices that they had been used to. Third, in the teaching plans adapting the ‘Principle of Transformation’, although Level 4 appeared most frequently, mathematical contents and social issues were placed separately without being integrated. Although the course helped the teachers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nd human practice, the teachers might keep their previous beliefs about mathematics as academic knowledge separated from human life. Thus, this limitation may persist without a change of the teachers’ beliefs regarding the cultural origin of mathematics. Based on the results, we draw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석사과정에 개설된 ‘다문화수학교사교육’ 강의에 참여한 초·중등 수학교사들이 설계한 수업지도안을 분석하여 수학교사들의 다문화수학수업 설계역량에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다문화수학교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수업지도안 분석 결과 첫째, 다문화수학수업 설계 원리 중 교육 내용 요소와 관련하는 ‘문화성 원리(PC)’와 ‘개혁성 원리(PR)’보다 교수 방법 및 전략과 관계되는 ‘평등성 원리(PE)’를 더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학적 지식의 문화성에 대하여 심도 있는 교육이 강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평등성원리(PE)’를 활용한 수업설계 사례에서 활동지과제와 지도안에서 서술하고 있는 수업 진행 계획의 수준이 불일치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는 교사들이 새로운 관점으로 수업을 설계하였더라도 수업에서 주도적인 역할은 교사가 담당해야 한다는 기존의 교수관행을 쉽게 따르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개혁성 원리(PR)’에서는 수준4가 가장 많이 등장하였으나 교육과정 내적, 외적 영역의 지식, 관점을 적절하게 융합하지 못한 채 이분법적으로 수업을 설계하는 한계점이 발견되었다. 이는 교사의 수학에 대한 신념체계의 변화가 다문화수학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다문화수학수업 설계역량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심층적인 다문화적 교수내용지식(Multicultur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에 대한 교육내용 강화, 둘째, 자신의 교수 관행을 반성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실습 활동 포함, 셋째, 온전한 다문화적 존재로 변화를 위한 실행공동체 구성 및 지속적인 활동을 향후 개발될 다문화수학교사교육을 위한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비판적 수학교육의 원리와 방법 탐색: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송륜진,주미경 대한수학교육학회 2017 수학교육학연구 Vol.27 No.4

        Due to globalization, diversification, and informatization, modern society confronts change and crisis in a variety of areas such as economy, politics, and culture. In that context, mathematics educators seek for how to reform school mathematics for democratic and just society. This research proposes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as an alternative model of school mathematics for democratic society. In particular, this research is an explorative study to construct a model of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the purpose, we conducted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to identify goals, contents, and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method of assessment for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We checked the validity of the model by using the cases of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Since this research is explorative in the regard that the model is based on theoretical literatures,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extend the model through design research in school context. 세계화, 다원화, 정보화,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현대사회는 사회, 경제, 문화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보다 민주적이고 평등한 미래사회로의 발전에 기여하는 수학교육방안의 탐색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비판이론으로부터 발달한 비판적 교육이론 및 비판적 수학교육이론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해 비판적 수학교육의 목표,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을 도출하여 비판적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을 구성하였다. 또한 문헌분석에 기초하여 개발한 프로그램 모델을 비판적 수학교육 사례에 적용하여 모델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비판적 수학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에 기초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우리나라 수학교사의 다문화역량 실태 연구 : 다문화수학교사교육 방안 탐색을 위한 제언

        송륜진,노선숙,주미경 대한수학교육학회 2013 수학교육학연구 Vol.23 No.3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ers constructed a survey questionnaire for measuring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of Korean mathematics teachers and administered the survey to 309 mathematics teachers. The analysis indicates that Korean mathematics teachers’ level of multicultural competence is rather low (the mean is 2.636 and the standard deviation .290). In particular, the mean of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related to mathematics was lower than the mean of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in general. Moreo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eaching experience, the participation into the course in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and the experience of indirect exposure to people of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On the contrary, the experience of direct exposure to people of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and teachers’ major led t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ithin group comparison. Moreover, the analysis showed that mathematics teachers’ level of competence in subject matter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ir teaching practice responsive to students’ backgrounds.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s presente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to enhance mathematics teachers’ competence required for their teaching in culturally diverse school. 본 연구는 초·중등 수학교사의 ‘다문화역량’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교과에서 다문화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역량 함양을 위한 다문화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검토 및 통계적 검증을 거쳐 5점 척도의 ‘수학교사의 다문화역량 측정도구’를 구성하고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초·중등 수학교사 3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학교사들의 다문화역량 평균은 2.636(표준편차 .290)로 조사되었고 다문화와 관련한 일반적인 지식 및 신념을 묻는 범주A와 비교하여 수학교과의 특성이 반영된 범주 B, C, D의 평균이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집단별 비교를 위한 분산분석 결과 ‘교사의 경력’, ‘다문화교사교육 이수 여부’,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에 대한 간접 접촉 경험 여부’에 따른 집단별 차이가 없는 반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사람들과 직접 접촉 경험 여부’, ‘교사의 전공’에 따라 다문화역량이 집단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교과를 통해 다문화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실천적 맥락의 다문화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수학교사교육의 원리와 방법

        송륜진,문종은,주미경 대한수학교육학회 2010 학교수학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for principles and methods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It began with an overview of theor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of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in order to address the questions of what is the go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what constitutes the competence of multicultural teachers. Then, cases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were reviewed. Based on that, this research identified three domains of teacher competence: domains of affect, of cognition, and of behavior. This paper also presented what constitutes each domains of competence and how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each type of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e. This paper discussed implications to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in Korean society. 최근 국내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논의의 확산과 더불어 다원화된 사회에서 요구되는 공존을 위한 삶의 태도 함양과 교육적 기회 평등 보장을 위한 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교사 양성이 교사교육의 주요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 및 다문화수학교육 관련 이론, 그리고 다문화수학교사교육 사례 검토에 기초하여 다문화수학교사교육의 원리와 방법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본 논문에서는 다문화적 수학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정의적 영역’, ‘인지적 영역’, ‘행동적 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들 영역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내용적 요소로서 ‘문화성’, ‘다양성’, ‘평등성’, ‘자기정체성’, 그리고 지도원리로서 ‘반성’, ‘참여’, ‘실행’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다문화수학교사교육에 제공하는 시사점 논의를 통해 다문화적 역량을 갖춘 수학교사양성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수학교사교육모델 개발연구: 수학교육 현장 상황분석 기반 예비모델 탐색

        송륜진,주미경 대한수학교육학회 2014 수학교육학연구 Vol.24 No.2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preliminary model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to foster mathematics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ies. For the purpose, we investigated the multicultural competency of mathematics teachers with a survey questionnaire. We also interviewed mathematics teachers to analyze mathematics teachers’ need of teacher education for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survey and the interview, we conducted a review of literatures to identify the principles, goals, contents, and methods for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In this research, we have identified 4 principles for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mathematics as culture, respecting diversity and equity, and identity. Under the principles, we presented 6 educational goals of teacher education for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We chose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to promote the multicultural competency of mathematics teachers suitable for educational situation of Korean school. We integrated the principles, goals, contents and methods to design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in-service teachers. Finally, we discussed the features and benefits of the preliminary model based on situational analysis for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We proposed that follow-up study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odel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model.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학교사들이 다문화수학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다문화적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다문화수학교사교육 모델 개발을 위한 예비모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수학교사들의 다문화적 역량 ‘실태’와 다문화교육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여 교육 현장의 상황분석이 먼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후 국내외 다양한 문헌 고찰 및 상황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다문화수학교사교육을 위한 ‘다문화수학교사교육 원리’를 도출하고, ‘목표’를 선정한 이후 그에 따르는 ‘교육내용과 방법’을 조직하여 우리나라 교육 상황에 적합한 다문화수학교사교육 예비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문화수학교사교육 예비모델에 근거하여 프로그램의 사례를 구성하여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수학교육 현장의 상황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예비모델은 어떤 특징과 장점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논의한 이후 모델 개발연구의 완성을 위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비판적 수학교육 관점에 따른 수학교과서 분석준거 개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송륜진,주미경 대한수학교육학회 2017 수학교육학연구 Vol.27 No.1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develop an analysis framework for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from a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perspective. For this, we conducted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regarding critical theory, critical education, and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we derived a preliminary framework for textbook analysis. To validate the preliminary framework delphi survey was carried out twice with 21 expert panelists 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firs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open-ended questions to investigate diverse opinions regarding educational goals,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of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The seco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Likert-type scale and it was analyzed using Mean, Contents Validity Ratio, Degree of Consensus. As the result of the whole research procedures, the final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consisting of four categories: classical knowledge, community knowledge, communicative knowledge, and political knowledge. A development of the analysis framework from a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perspective could gi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mathematics curriculum or mathematic teacher education in the Korea and a meaningful initial step for the effort of practicing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not only incite consideration for the better mathematics education but also expand the prospect of research and practice in mathematics education. This study would provide a new paradigm of future mathematics education with which to teach and guide students to become members of world civil society with mathematical power and critical competency. 본 연구는 비판적 수학교육의 관점에서 수학교과서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준거 개발을 목표로 하여 이루어졌다. 이를 위한 첫 단계로서 비판적 수학교육의 이론적 근간이 되는 비판 이론과 비판적 교육이론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해 비판적 수학교육의 철학적, 인식론적 기저를 고찰하였다. 또한 비판적 수학교육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분석하여 비판적 수학교육의 개념화 논의, 실제 수업사례 등을 종합하여 ‘비판적 수학교육 관점에 따른 수학교과서 분석준거 안’을 구성하였다. 이후 제시한 준거 안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에 따라 제시한 준거 안을 수정, 보완하여 ‘고전적 지식’, ‘공동체적 지식’, ‘대화적 지식’, ‘정치적 지식’ 네 범주로 이루어진 ‘비판적 수학교육의 관점에 따른 수학교과서 분석준거’를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 KCI등재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다문화수학교실의 수업실태 분석

        송륜진,노선숙,주미경 대한수학교육학회 2011 학교수학 Vol.13 No.1

        This research had investigated the teaching practice in the mathematics classrooms with immigrant students to describe how effectively mathematics teachers create inclusive learning environment of mathematics. The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elementary schools suggests that teaching practice in the class was consistent to the criteria for 'contextualization of students' lived experience' and 'mathematical con- versation'. However, while the quantitativ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eachers showed high expectation to their students in their teaching, the qualitative analysis revealed the teacher's beliefs and attitudes against providing equitable educational opportunity for every student. In the middle school classrooms, it was found that the teaching practices were not compatible to the goals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The analysis of the survey data regarding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e suggests that the teachers possessed rather advan]ced understanding of multi- 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but they need materials and pedagogy for classroom teaching from multicultural perspectives.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문화수학수업의 실태를 파악을 위해 다문화학생이 포함되어 있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수준의 수학수업을 관찰·분석하였다. 초등학교 수학수업의 경우 ‘학생들의 삶과 맥락화’, ‘수학적 대화’ 범주에서 양적·질적 분석결과 다문화수학교육의 준거에 부합하는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사의 긍정적인 기대’범주에서는 양적 분석 결과가 긍정적이었던 반면 질적 분석을 통해 다문화 학생에 대한 교사의 불평등한 신념과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중학교 수학수업의 경우 모든 범주에서 다문화수학교육의 목표를 성취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 교사들의 ‘다문화적 역량’ 검사 결과는 수학교사가 다문화수학수업의 실천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와 교수법 등에 대한 연구와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자서전적 방법을 통한 예비수학교사 교육: 교육평등 실천을 향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참 자아 발견의 여정

        송륜진,주미경 한국학교수학회 2023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6 No.4

        As teacher identity affects teachers' decision making about teaching practice, there is an increasing concern about teacher identity.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ansformation of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identity by analyzing the autobiographi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a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course at a college of education. The 12 preservice teachers wrote their autobiographies according to the four steps presented by Pinar: ‘regressive’, ‘progressive’, ‘analytical’, and ‘synthetical’. A total of 48 autobiographical article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We analyzed those articles qualitatively to identify 5 themes: ‘mathematics’, ‘mathematics teachers’, ‘peers’, ‘parents’, and ‘privilege’. The analysis focused on how these themes were represented in the preservice teachers' autobiographies to reveal the transformation of their identit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autobiographical method helped the preservice teacher cultivate their identities to appreciate diversity and equity in mathematics clas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 implications for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for educational equity.

      • KCI등재

        성인의 수학적 소양 교육을 위한 실행 원리 탐색: 융복합 교육의 관점으로

        송륜진 대한수학교육학회 2022 수학교육학연구 Vol.32 No.2

        Mathematical literacy constitutes a basic arithmetic skill in traditional society; however, its concept has evolved to applying mathematical knowledge and ideas to solve diverse and complex real-world problems and to improve people’s lives and society at large. In this context, a new paradigm is necessary for adult mathematics learners to cultivate the mathematical literacy required in a knowledge-convergence society. Based on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adult mathematics education an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he researcher proposes the goals of adult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 principles to develop a curriculum using an interdisciplinary educational approach. The approach used in this study may form the basis for implementing mathematical literacy education in adults. 21세기 지식기술 기반의 사회에서 요구되는 수학적 소양은 단순한 수학적 지식과 기술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하던 전통적관점에서 벗어나 수학적 지식과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실세계의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해 가는 것을 통해 개인과 개인이속한 사회를 발전시켜 나가는 것으로 그 개념이 확대되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융합지식 사회에서 성인들에게요구하는 수학적 소양의 개념을 알아보고 이와 같은 수학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융복합적인 교육적 접근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수학교육, 융복합 교육과 관련한 이론들을 분석함으로 융복합적 관점의 성인 수학적 소양 교육의 목표를 제안하고실행원리를 제시하여 성인의 수학적 소양 함양의 실천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