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정치화에 대한 소고

        탁병주 수학교육철학연구회 2022 수학교육철학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최근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이 전문성에 의존하는 연구로서가 아니라 이익집단 간 정치적 협상으로서 이루어지는 실태에 대한 문제인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에 국내 교육과정, 교육정책, 교육정치학 분야 문헌을 바탕으로 학자, 시민단체, 정부의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에 참여하는 방식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가주의가 쇠퇴하고 시민참여주의가 대두하는 환경 속에서 학술단체의 영향력이 약화되는 반면, 시민단체는 정치적 프레이밍을 통해 여론 주도권을 확보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정부는 정치권력의 눈치를 보며 이들과 연대한 시민단체를 갈등 대리에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정치화에 대처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학문으로서 수학교육학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여 수학교육과정학과 수학교육과정 정치학을 만들어가야 한다는 김동원(2021)의 제언에 공감하며,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에 참여하는 학자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과제로서 “두 자료집합 비교하기” 과제의 가능성 탐색

        탁병주,고은성,지영명 대한수학교육학회 2017 학교수학 Vol.19 No.4

        It is an important to develop teachers’ statistical reasoning or thinking by teacher education. In this study, the “comparing two data sets” tasks is focused as a way to develop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asoning about core ideas of statistics such as distribution, variability, center, and spread. 6 teams of each 4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on the tasks and their presentations are analyzed based on Pfannkuch’s (2006) teachers’ inference model in comparing two data sets. As a result, they paid attention to the distribution and variability in the statistical problem solving by the “comparing two data sets” tasks, and used their contextual knowledge to make a statistical decision. In addition, they used some statistics and graphs as the reference for statistical communication, which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improving statistical education. The finding implies that the “comparing two data sets” tasks can be used to develop statistical reasoning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ome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for teacher education by these tasks. 교사의 통계적 추론과 사고를 개발하는 것은 예비교사 대상의 통계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중요한 역할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예비초등교사들이 통계의 핵심 아이디어에 대한 추론을 발달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두 자료집합 비교하기 과제의 활용에 주목하였다. 24명의 예비초등교사들이 4명씩 6개 모둠으로 과제를 수행하고 이를 발표하게 함으로써 자료를 수집하였고, 두 자료집합 비교 활동에서 확인된 Pfannkuch(2006)의 추론 모델을 바탕으로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두 자료집합 비교하기 과제를 통해 통계적 문제해결을 위해 분포와 변이성에 주목하였고, 의사결정을 위해 맥락적 지식을 고려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통계적 의사소통을 위한 주된 참조물로서 통계량과 그래프를 활용하였는데, 이는 절차적 지식에 고착화된 전통적 통계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두 자료집합 비교하기 과제가 예비초등교사교육에서 지니는 가능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활용 방안에 대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통계적 소양 교육을 위한 그래프 오류 유형 분석: 자료 분석 단계에서의 통계 윤리 문제

        탁병주,김다빈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20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4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dentify the error types of statistical graphs for statistical literacy education. We analyze the meaning of using graphs in statistical problem solving, and identify categories, frequencies, and contexts as the components of statistical graphs. Error types of representing categories and frequencies make statistics consumers see incorrect distributions of data by subjective point of view of statistics producers and visual illusion. Error types of providing contexts hinder the interpretation of statistical information by concealing or twisting the contexts of data. Moreover, the findings show that tasks provide standardized frame already for drawing graphs in order to avoid errors and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of drawing the graph rather than statistical literacy for analyzing data. We suggest some implications about statistical literacy education, ethical problems, and knowledge for teaching to be considered when teaching the statistical graph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es. 본 연구는 통계적 소양 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초등학교 통계교육의 주된 내용 요소에 해당하는 그래프 지도 중 특히 오류의 유형화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문헌 분석을 통해 통계적 문제해결의 관점에서 그래프의 교수학적 의의와 구성 요소를 확인하였고, 이를 표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분류하여 각 사례들을 자료 분석 단계에서의 통계 윤리 문제와 연결하였다. 연구 결과, 그래프 오류 유형은 범주 표현에서의 오류, 빈도 표현에서의 오류, 맥락 제시에서의 오류로 분류할 수 있었고, 이러한 오류로 인해 자료 분석 단계에서 주관적인 분석 방법 채택, 시각적 착시현상 유도, 자료에 대한 정보 왜곡과 같은 통계 윤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정형화된 틀을 제공하고 그 틀에 맞춰 그래프를 그리는 절차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를 통해 그래프 오류 유형이 초등학교 통계교육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통계적 소양 교육, 통계 윤리, 교사 지식의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의 비판적 고찰

        탁병주,박진형,김동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First, we find the main issue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actual state on the field to which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is applied. Then, we conduct a meta-review of these issues based on mathematics textbooks and related literature, and whether these is reasonable. As a result, the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n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were generally deleted and reduced compared to the previous curriculum. The main issues present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xperts in Kim et al. (2020) were actually reasonable with regard to mathematical and pedagogical perspectives. There were parts that didn’t fit the internal or external hierarchy of mathematics, and cases where the intention of the curiculum is not implemented in the textbooks. Moreover, it has even been founded that some examples of textbooks block the students' expansive thinking. We suggest that mathematics curriculum be reflect internally the structure of mathematics, and there is a need to relax the authority perceived by textbook writers and teachers over the documents of mathematics curriculum. 본 연구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수학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수학의 주된 내용 변화와 함께 현장 실태 분석 과정에서 도출된 주요 논점을 확인한다. 이어서, 이러한 논점들에 대해 교과서 및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한 메타적인 검토를 진행하고 이것이 수학적, 혹은 교수학적인 논리를 갖춘 합당한 문제 제기인지에 대해 분석한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수학 내용은 이전 교육과정과 비교했을 때 전반적으로 삭제, 상향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으며, 초등학교 현장 교사들과 관련 전문가들이 제시한 주요 쟁점들이 실제로 수학 내용 지식 위계의 측면, 또는 교수학적인 구현 측면에서도 문제가 있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수학 내용 지식 위계 측면에서는 수학 내적인 위계나 타 교과와의 위계가 맞지 않는 부분들이 존재하였다. 또한, 교수학적 구현 측면에서는 교육과정 문서의 의도가 교과서에 온전하게 구현되지 못하거나 학습자의 확장적인 사고를 차단하는 사례가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차기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는 교육과정 문서의 내적 완결성을 기하고 외적 권위를 완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 KCI등재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 그림그래프 지도에 대한 고찰과 개선 방안 탐색

        탁병주 대한수학교육학회 2023 학교수학 Vol.25 No.1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problems by critically examining how the pictographs are taught for statistical literacy education in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First, I analyzed pictographs presented from the 4th mathematics curriculum to 2015 revised curriculum of Korea, in order to find the pedagogical goals of the pictographs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addition, I derived some implications for teaching of pictographs by analyzing the shape of the pictographs in Australia, Singapore, and MiC mathematics textbooks. As a result, pictographs were taught for enhancing algebraic thinking in Korea by combining different sizes of pictures based on the power of 10 units. However, in other countries, the shape of pictographs were chosen based on the comprehension of the unit idea with the aim of developing the statistical literacy required to interpret the various pictographs found in daily life. For the teaching of pictographs for statistical literacy education, it is suggested to use the pictographs with only one size of pictures representing units and various units represented by pictures that are not powers of 10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그림그래프 지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통계적 소양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그림그래프의 형태가 어떤 교수학적 의도에 의해 형성된 것인지를 살펴보기 위해 제4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그림그래프 지도 내용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호주, 싱가포르, MiC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그림그래프의 형태를 분석함으로써 그림그래프 지도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에서는 10의 거듭제곱꼴 단위를 기반으로 여러 종류의 그림을 조합하여 수량을 정확히 읽어내는 대수적 사고의 신장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그림그래프를 지도하고 있었다. 그러나 해외에서는 단위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일상에서 접하는 다양한 형태의 그림그래프를 해석하는 데 필요한 통계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목적으로 그림그래프를 지도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그림그래프를 지도할 때 단위를 나타내는 그림을 한 가지 종류만 사용하고, 그림이 나타내는 단위 또한 10의 거듭제곱꼴에서 탈피한 형태를 교과서에서 제시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중학교 사회 교과서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통계교육 개선 방안 탐색: 그래프 지도를 중심으로

        탁병주,고은성 대한수학교육학회 2020 수학교육학연구 Vol.30 No.4

        In this study, in order to explore ways that statistical graphs teach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can be improved, first, the types of statistical graphs that appear in middle school social textbooks were examined, and second, the characteristics that differentiated these from statistical graphs that appeared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were investigated. This analysis indicated that 88.2% of the graphs presented in the middle school social textbooks were addressed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The frequency of use (excluding mixed graphs) was in the order of bar graphs, line graphs, ratio graphs, and picture graphs. However, most of the statistical graphs did not follow the standardized framework suggested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s they were instead transformed in various ways. The features that differentiated middle school mathematics graphs from graphs experienced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differed for each type of graph. For example, in the case of bar graphs, there were the omission of axes, deformation of bars, and expression of multiple variables, while in the case of line graphs, there were expressions of multiple variables and accurate representations of variables.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 이루어지는 통계 그래프 지도에 대한 개선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첫째,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등장하는 통계 그래프에는 어떠한 유형이 있는지, 둘째, 초등학교 수학에서 경험하는 그래프와는 어떤 차별화된 특징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그래프의 88.2%는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었던 것이었으며, 사용 빈도는 혼합형 그래프를 제외하면 막대그래프, 꺾은선그래프, 비율그래프, 그림그래프 순이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통계 그래프가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제시된 정형화된 틀을 따르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이 이루어져 사용되고 있었다. 초등학교 수학에서 경험하는 그래프와 차별화된 특징에는 그래프별로 상이했다. 예를 들어, 막대그래프의 경우, 축의 생략, 막대의 변형, 다중변수의 표현 등이 있었으며, 꺾은선그래프의 경우에는 다중변수의 표현, 정확한 변량의 표기 등이 있었다.

      • KCI등재

        우리나라 통계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 2000년 이후 발행된 국내 통계교육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

        탁병주,이경화 대한수학교육학회 2017 수학교육학연구 Vol.27 No.2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is an important basis for improving the practice of statistical education by describing, predicting, and explaining the phenomena of statistical education. In this study, the research trends in Korea were analyzed through the statistical education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major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s on the 21st century. 99 papers published in these journals from 2000 to 2016 were categorized by journal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topics.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re are not many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ers, so domestic researches are dependent on some researchers. In addition, the numbers of studies of human subjects and human non-subject researches were similar. There were few studie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studies of teachers' subjects was gradually increasing since 2010. In the case of research methods, the numbers of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seem to be similar, but this is a result of the increase in qual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since 2010. Last, many studies about domestic statistics education are on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studies on reasoning and understanding have been increasing. In this study, we see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statistics education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es and development directions of statistical education research. 통계교육 연구는 통계교육의 현상을 기술, 예측, 설명함으로써 통계교육의 실제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이후 국내 주요 수학교육 학술지에 게재되었던 통계교육 연구논문을 통해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에 2000년부터 2016년까지 17년간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이상의 주요 수학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99편을 찾아, 학술지별, 연구 대상별, 연구 방법별, 연구 주제별로 범주화하고 연도별로 그 분포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통계교육 연구는 양적인 측면에서 그 편수가 많지 않아 특정 연구자들에 의한 연도별 변이가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간 대상 연구와 인간 비대상 연구가 대체적으로 비슷했으며 대학생 대상의 연구가 거의 없고 교사 대상의 연구는 2010년 이후로 점차 늘어나고 있었다. 연구 방법의 경우, 전체적으로 실험 연구와 비실험 연구가 비슷하게 수행된 것으로 보이나 이는 2010년 이후 질적 연구와 혼합 연구가 증가함으로써 비롯된 현상이다. 마지막으로 국내 통계교육 연구 중에서는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가운데 추론 및 이해에 대한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정의적 영역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통계교육의 연구 동향을 2010년 전후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확인하고 향후 통계교육 연구의 과제와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수학교육에서 학부모 참여의 의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의 고찰

        탁병주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9 교육발전 Vol.39 No.2

        Many researchers suggested that parents should participate as a subject of school education together with students and teachers. The government also runs mathematics popularization projects for parents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of mathematics. There are some studies how parental participation affects students’ learning of mathematics, but almost of them are by quantitative methods. This study explored the role of parents in mathematics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studies based on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learning mathematics. As a result, the role of parents in mathematics education could be explained as (1) participating on discourse community, (2) sharing the affects with students, and (3) constructing the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s. 학부모가 학생, 교사와 함께 교육의 한 주체로서 참여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수학교육 영역에서도 학부모 수학교실 등 학부모 대상의 수학 대중화 사업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수학교육에서 학부모 참여가 지니는 교육적 의의, 특히 학생의 수학 교수-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질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 학습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을 바탕으로 문헌 연구를 통해 수학교육에서 학부모의 역할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교육에서 학부모의 역할은 담론공동체의 참여자로서 학생과 수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을 공유함으로써 수학교실문화를 함께 구성해나가는 수학교육의 참여 주체로 설명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