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가톨릭 교회음악의 토착화에 관한 연구 :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을 중심으로

        이건희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35

        1980년 3월 차인현 신부가 주축이 되어 62명의 가톨릭 교회음악인들이 명동 사도회관 1층, 7평의 사무실에 모여 「가톨릭 음악인 협의회」를 창립하였다. 이들은 곧바로 이듬해(1981년 1월 1일) 종교음악연구소를 설립하여 본격적으로 교회음악가 양성에 들어갔다. 이후 10여 년의 활동과정을 거쳐 1993년 11월 14일, 마침내 한국 가톨릭교회 최초로 전문연주홀을 갖춘 가톨릭음악원으로 거듭났다. 이로부터 정확히 10년 뒤 2003년 3월 교육부 인가를 받아 현재의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으로 개원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이 논문은 1965년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후 한국 가톨릭교회에서 본격적으로 공론화하기 시작한 교회음악 토착화에 대한 것이다. 특별히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발전을 위해서 견인차 역할을 해온 교회음악가의 여러 대내외적 학술, 교육, 연주 활동들을 토착화 관점에서 살펴본다. 또한, 이들 교회음악가의 한국전통음악에 대한 의견과 주장을 알아보고 교회음악 토착화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정체성 발현의 과정인 토착화는 결국 서로 다른 두 문화의 깊이 있는 연구와 이를 통한 상호 간의 올바른 이해, 그리고 상호존중과 배려를 통해서 이행되는 것이다. 때로는 한발 물러서서 양보하고 때로는 한발 앞서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러한 서로 다른 두 문화의 이상적인 융합과정은 성음악을 한층 발전시키는 것은 물론,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내는 소중한 밑거름이 될 것이며, 교회음악 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 In march 1980, 62 Catholic musicians gathered at the small office (only 23㎡) in Myeong-dong. The following year, they established the religious music institute (January 1, 1981) to foster Catholic musicians. After more than a decade of activities, the Catholic music institute has finally become the first Catholic Music Center in Korea to have a concert hall. Ten years lat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pproved the Center and it opened as the current Catholic University of Korea's School of Music. This paper is about the inculturation of church music that began to be discussed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after the Second Vatican Council in 1965. In particular, examines the various activities, performances, education, and composing activities of church musicians who have been the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atholic Graduate School of Church Music, from the perspective of inculturation. We will also discuss church musicians' opinions and claims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Discuss the recognition and development of church music inculturation. Church musicians have made many musical attempts to make Korean Gregorian chants, and For the inculturation of church music, it performed various academic research and composed many Korean traditional music. Five church musicians gave different opinions and argu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Korea traditional music and the convergence methodology of Western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culturation, the process of expressing identity, is to be implemented through the in-depth study of two different cultures, mutual understanding, and mutual respect. The ideal inculturation process of these two different cultures will not only becom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development of church music but also serve as a valuable foundation for creating new culture.

      • 한국 수도자들을 위한 바람직한 시편창 실행에 관한 연구 : 시간전례를 중심으로

        고나연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Liturgy of the Hours is the place wherein a religious commences his or her own religious career and completes it. While the religious in praying each canonical hour sanctifies the entire day, he or she oblates his or her own entire religious career in staying sober in the presence of God. Since the religious life is by nature communal, the religious must pray and work within the community. Thus, the nature of the Liturgy of Hours, since it is the prayers of the religious, are communal. Therefore, the Liturgy of the Hours should be sung when the religious community celebrates this liturgy, because the song is the voice of the community. Moreover, the Liturgy of the Hours sung in a solemn mode unifies all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in its fullest sense. And, psalms, hymns, canticles, and antiphons included in the Liturgy of the Hours are by nature lyrics. Since the lyrical nature of the Liturgy of the Hours calls for music. Thus, the Church strongly recommends that when a community celebrates the Liturgy of the Hours, it should be sung. After the Vatican II, we are able to celebrate the Liturgy not only in Latin, but also in our own mother tongues. According to the General Instruction on the Liturgy of the Hours, we are obliged to provide the vernacular Liturgy of the Hours with the proper music. The religious orders, seminaries, and parishes to song the Liturgy of the Hours have either composed the new melodies or borrowed the melodies from the traditional church music, or use both. Since, however, the traditional church music is composed based upon the Latin accents, this music is hardly adequate to the psalmody in Korean. Even the newly composed music for the psalmody, if neglecting the wording of Korean language, has the difficulties to carry out the meanings and feelings that the liturgical lyrics contain in themselves. Thus,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how we express the meanings and feelings of the psalms in song by preserving Korean wording in light of the traditional church music. To do so, we have examined the features of the various psalmodies collected from the Cathedral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at Myeongdong, Seoul; the mother of all the parishes in Korea, St. Benedict Waegwan Abbey; the oldest benedictine in Korea; Covent of the Little Servants of the Holy Family to which I belong; Seoul Major Seminary, the oldest seminary in Korea and Graduate School of the Liturgical Music, Seoul, that is the affiliated institute of Seoul Major Seminary. 시간전례는 한 수도자가 수도생활을 시작하며 완성하는 곳이다. 매 시간 바치는 시간전례를 통해 수도자는 하루를 성화하고, 늘 깨어 기도하는 가운데 하느님께 자신의 인생전체를 봉헌한다. 수도자는 수도공동체와 함께 기도하며 일한다. 따라서 수도자의 기도인 시간전례는 공동체의 기도다. 공동체가 바치는 시간전례는 노래에 담아서 바쳐야한다. 노래는 공동체의 목소리이기 때문이다. 노래에 담아 바치는 장엄한 시간전례는 공동체 구성원 모두의 마음을 깊게 일치시킨다. 또한, 시간전례에 담겨있는 시편, 찬가, 찬미가, 응송은 서정성이 짙은 기도다. 시간전례에 담긴 이런 서정성은 노래로 밖에 표현할 수 없다. 이런 까닭에 시간전례를 공동으로 거행할 때 가능하면 노래로 바치도록 교회는 권장한다. 제 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라틴어뿐만 아니라 모국어를 전례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성무일도 총지침서』는 시간전례를 모국어로 노래할 때 이에 맞는 악보를 마련하라고 명시했다. 이에 따라 한국교회의 본당, 수도회, 신학교는 시편을 한국어로 노래 부르기 위해 새로운 음률을 도입하거나, 교회의 전통선법을 차용하거나, 새로운 음률과 전통선법을 병행해서 사용해 왔다. 전통선법에 따라 부르는 시편창은 라틴어 강세에 비춰 음률을 구성했다. 이 음률을 한국어 시편창에 적용할 때 한국어 어법에 잘 맞질 않는다. 또한 새롭게 만들어진 음률을 한국어 시편창에 사용할 때에도 한국어 어법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았다면 시편의 의미와 느낌을 잘 전달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우리말 시편창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고 대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을 작성하는 사례로서는 명동성당과, 성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성가소비녀회, 그 밖의 사례로 서울대신학교 및 교회음악대학원의 시편창을 연구하였다.

      • 르네상스 시대와 바로크 시대의 교회합창음악 비교 연구 : 작곡양식과 연주기법을 중심으로

        조현주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re are three methods of encountering music, namely, composition, performance and appreciation. If the works enable to be played and appreciated as composers intended to, the music's authentic values will be further shined. For such a purpose, performers should first review the works' times background, composition style, and performance techniques. This is the direction of setting this paper's subject. In terms of the history of music, church choral music's importance was significant in the Renaissance and the Baroque era.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musical trends of Renaissance era-leading music schools (Burgundy, Flanders, Rome, and Venice), as well as the trends of the subsequent Baroque composers' composition styles and performance techniques so as to be helpful to the performance of music in the modern-day age. Mass and motet were main genre of church choral music in the Renaissance era. The Renaissance composers experimented diverse composition styles such as fauxbourdon, counterpoint, imitation techniques, canon, various techniques using cantus firmus mass, and poly-choral and so on. In the Baroque era, in addition to mass and motet, the new Baroque composition styles - monody, basso continuo, and stile concertato - were experimented in church choral works through passion, church cantata, and oratorio. Besides that doctrine of affections, study of figures, ornaments, and sequence spreaded in church choral works. When comparing these two eras' styles, there was a shift from the framework of homophony and polyphony to major and minor key tonality system. Along with a change in genres, instrumental music became independent of vocal music, and church choral music began to be composed for concerts such as of oratorio. Changes in expression, and patterns of upbeat appeared, and diverse types of music using ornaments such as theme symbols were composed. I hope this paper which reviews and compares the changes in terms of history of music would be useful reference for the musicians who play church choral music. 음악을 접하는 세 가지 방식에는 작곡, 연주, 감상이 있다. 작품이 시대 흐름 속에도 작곡가의 의도대로 연주되고 감상될 수 있다면 음악의 진정성은 더 빛을 발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 연주자들에게는 작품의 시대적 배경과 작곡 양식 그리고 그 시대의 연주기법 고찰이 선행되어야 한다. 음악사적으로 볼 때 르네상스 시대와 바로크 시대 동안 교회합창음악은 큰 비중을 차지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르네상스 시대에 음악을 주도하던 악파(부르고뉴, 플랑드르, 로마, 베네치아)들의 음악적 성향을 살펴보고, 이어지는 바로크 시대 작곡가들은 어떻게 그 성향이 변화되어 갔는지, 두 시대의 작곡 양식과 연주기법들을 살펴봄으로써 올바른 연주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르네상스 시대 교회합창음악의 주요 장르로는 ‘미사곡’과 ‘모테트’를 들 수 있다. 이 장르 안에서 포부르동, 대위법, 모방기법, 카논, 정선율 미사 등을 이용한 각종 기법, 복(다중)합창 등의 다양한 작곡 양식이 실험되었다. 또 바로크 시대엔 ‘미사곡’과 ‘모테트’ 외에도 ‘수난곡’, ‘교회칸타타’, ‘오라토리오’ 등의 교회합창음악 작품 속에 새로운 바로크 작곡양식인 모노디, 계속저음, 콘체르타토양식 등이 실험되었으며 여기에 ‘감정이론’과 ‘음형이론’, ‘장식음’, ‘동형진행’ 등의 작곡기법들이 작품 속에 펼쳐졌다. 이 두 시대의 양식들을 비교해 보면, 호모포니와 폴리포니의 짜임새에서 장‧단조 조성 체계로의 변화를 들 수 있고, 장르의 변화와 함께 기악이 성악과 독립되었고, 교회합창음악이 오라토리오 등 연주회용으로 작곡되기 시작하였다. 표현기법의 변화와 강박의 패턴이 생겨났고, 악상기호 등 장식음을 사용한 다양한 음악이 작곡되었다. 음악사적으로 변화된 과정들을 고찰해 보고 비교해 본 이 자료가 교회합창음악을 연주하는 이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쓰여 지길 희망해 본다.

      • 한국 가톨릭 전례 안에서 오르간의 다양한 역할에 대한 연구

        장영란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03

        ABSTRACT The Covid-19 pandemic has led to an interruption of the Roman Catholic Mass. The religious events resumed after a certain period of regulatory ban, but believers attending them have to keep social distance at their seats without being able to say prayers together owing to the infectious disease’s nature of spreading via fine droplets from mouths and even aerosol transmission. In those situations, church-goers and choirs could not sing for fear of giving out virus droplets from their mouths, which was an unprecedented incident in Catholic liturgical music that has been deeply dependant on vocal music. An organ, which has generally played a role as an accompanying instrument, was faced with challenges or opportunities to fill the void of vocal music alone with its own instrumental melody and harmony. As a result, organists came to have a bigger role in supporting the sacred liturgies. Now is the time when the Catholic church and those in charge of liturgies ne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how organ music has developed with its unique characteristics in liturgies and how it can be made the most of in the reality of the modern Korean church. In this paper, an organ’s roles are argued. The discussion includes roles not only as an accompanying instrument but also as ones that fit ensemble, solo, improvisation. The paper also suggests that the church acknowledge an organ’s various usages, which have been largely limited to a role as an accompanying instrument for vocal music in the South Korean Catholic. Circumstances where organists can take charge of liturgies with responsibility are also discussed in a brief manner.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는 2020년 미사 중단 사태를 불러왔다. 이후 미사는 부분 재개 되었지만, 비말을 통해 전파되는 코로나19 전염병의 특성상 성가대와 교우들은 노래할 수 없었다. 일반적인 경우, 성가 반주악기로서 전례의 한 부분을 담당하던 오르간은 노래가 빠진 자리를 오롯이 감당하며 오르간 자체의 소리만 들려줘야 하는 상황을 겪었다. 세속 악기였던 오르간은 교육을 목적으로 9세기에 교회에 들어왔고, 13세기 에는 증축되고 대형화 되면서 하나의 교회 악기로 자리 잡았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오르간이 사람의 영혼을 높이 들어 올린다고 찬양했으며, 비텐베르크 신학과에서는 오르간의 예전적 사용을 강조했는데 오르간이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능력이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낭만시기 작곡가 슈만은 교회 오르간 소리의 위엄에 대해 이야기했다. 오르간은 성스러움을 추구하는 교회와 감각적으로 맞아 떨어져 교회 악기가 되었고 수백 년 동안 교회와 함께 했다. 알테르나팀(Alternatim) 오르간 미사는 전례 오르간곡이 교회음악 유산으로 남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이것은 미사 전례 때 오르간과 성가대가 번갈아가며 연주하는 관습인데, 13세기에 시작된 것으로 기록된다. 오르간은 성가대와 교창하며 전례에 화려함을 더했다. 16세기 루터와 루터교 교회는 가톨릭과 멀어졌지만 “예배는 음악적 경험”이어야 한다는 확신을 가져 루터교의 교회음악은 크게 발전했다. 루터교 신도였던 바흐는 오르가니스트로 활동하며 많은 오르간 전례음악을 남겼다. 그의 오르간 음악은 예배 때 전주나 후주로 사용되거나 즉흥과 변주를 위한 학생들의 교과서로 사용되었고, 현대까지도 연구되고 연주된다. 17세기 중반부터 18세기 후반까지 프랑스 교회 전례에서 알테르나팀 오르간 미사는 발전했다. 오르간 음악이 전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서 이 시기 대부분의 오르간 음악은 미사 전례를 위해 작곡됐다. 당시 프랑스 바로크 음악의 조류는 세속음악과 교회음악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오르가니스트들은 춤곡 풍의 세속음악을 미사 때 연주하기도 하여 이 시대 전례 오르간곡은 개성이 넘쳤다. 프랑스 고전 오르간악파의 음악은 프랑스 혁명기(1789-1794)를 거치면서 전례에서 멀어져 세속화의 길을 걷게 된다. 이를 우려한 교회음악가들도 있었는데, 대표적인 인물은 Alexandre Guilmant이다. 그는 동료들과 교회음악학교인 스콜라 칸토룸을 세우고, 바흐를 비롯한 독일 작곡가들이 코랄을 이용해 예배음악을 만든 것처럼 그레고리오 성가를 이용하여 전례음악을 만들자고 주장하며 수많은 그레고리오 성가 변주곡을 남겼다. 오르간의 성가 즉흥과 변주는 전례의 흐름을 음악적으로 정돈하며 풍요로움을 더한다. Frescobaldi(1583-1643)가 남긴 오르간곡집 Fiori Musicali, 토카타, 카프리치오소 작품집을 살펴보면 당대 오르간의 즉흥과 변주 관습을 알 수 있다. 시대를 관통해온 연주 관습을 현대 오르가니스트들이 어떻게 적용시킬 것인가 살펴보는 것은 유용하다. 이 논문에서는 Guilmant의 변주 기법을 한국 가톨릭 성가에 직접 적용해 보았다. 오르간 기악 앙상블은 악기의 발달과 건축의 발달, 음악 기법의 발달에 따라 발전했다. 16세기 베네치아 산 마르코 성당의 기악 앙상블이 대표적인 예로 가톨릭 교회는 이들의 음악을 후원했고, 신자들은 감명을 받으며 순례자처럼 음악을 듣기 위해 산 마르코 성당을 방문했다. 같은 시기 로마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도 오르간과 하프시코드가 다양한 변화가 있는 앙상블 연주를 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Cesar Franck의 Panis Angelicus를 오르간 앙상블의 적용 예시로 살펴보고자 한다. 제창 반주 악기로서 오르간의 역할은 크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성악이 교회 미사 전례에서 위축되기는 했지만, 노래로 하는 기도는 중요하다. 이는 초대 그리스도교의 영창 전통과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현대 교회 역시 교우들의 성가 제창은 권장되고 있다. 이 역할은 1903년 발표된 비오 10세의 자의 교서, 1963년 반포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Musicam sacram에서도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한국 교회 역시 이를 위해 가톨릭 성가집을 편찬하였고, 폭넓게 활용하고 있다. 오르간의 독주, 기악 앙상블, 성악 반주 역할은 교회의 여건에 따라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코로나 이전 시기에는 오르간의 성악 반주역할이 중심이 되었다면, 이제는 오르간의 독주역할과 앙상블 역할 등에 관심을 두며 코로나19와 같은 가변적인 상황에 대처할 필요가 있다. 2021년 하반기, 위드 코로나(with corona) 정책에 따라 부분적으로 성가대가 재개된 본당도 있고, 변이 바이러스, 돌파 감염 등을 우려해 성가대 활동을 유보한 본당도 있다. 교회 오르간 전례 음악의 현실 적용 여부는 각 본당과 음악가들이 처한 상황에 따라 유동적일 것이다. 그러나 교회음악의 현실을 고민하고 있는 음악가들이 있는 이상, 미사 전례에서 음악을 멈추는 결정을 쉽게 해서는 안 된다. 어려운 상황은 늘 존재했고, 해결책을 찾아내는 과정에서 다채로운 교회음악이 탄생했음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 미사 안에서의 오르간 음악에 대한 사제들의 이해와 발전방향 연구 : 수원교구 사제들을 중심으로

        김태완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미사 안에서의 오르간 음악에 대하여 일선 본당과 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제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제들이 미사 안에서의 오르간 음악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지, 미사 안에서 오르간 독주 및 즉흥 연주를 하는 것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교회의 가르침에서 허용하고 있는 오르간 독주와 즉흥연주의 범위에 대하여 얼마나 인지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였으며, 신자들의 능동적인 전례 참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오르간 음악의 활성화를 위하여 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조사연구로서 수원교구소속 102명의 사제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통계조사 분석 프로그램 ‘PASW Statistics 18’을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르간 반주자가 미사의 각 부분의 의미와 흐름을 알고 오르간 음악을 통해 전례의 흐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오르간 반주자들을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정기적인 전례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미사 전례를 보다 풍요롭게 할 수 있는 오르간 독주나 즉흥연주와 같은 오르간 음악에 대한 교육을 교구 차원에서 지원해야 할 것이다. 셋째, 사제들을 대상으로 교회에서 허용하고 있는 오르간 음악의 영역을 비롯하여 성 음악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을 재교육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오르간 음악이 미사 전례를 보다 풍요롭게 만들고, 신자들의 능동적인 전례 참여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 John Taverner의 미사곡을 통한 삼위일체적 관점의 전례음악 고찰 : Missa Gloria tibi Trinitas 中 ‘Gloria’를 중심으로

        이진희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논문은 교회 음악 작곡가들에게 가톨릭 교회의 핵심인 삼위일체 교의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게 해주고 이와 관련된 전례음악의 필요성을 고취시켜 삼위일체 주제의 전례 성가를 작곡하고 보급해주기를 지향하는 데에서 그 출발점이 시작된다. 이에 따라 작곡가들에게 삼위일체 신심과 작곡의 열의를 북돋아 줄 작품으로 존 태버너(John Taverner, c. 1495-1545)의 ‘Missa Gloria tibi Trinitas’라는 삼위일체 주제의 미사곡을 선택하게 되었다. 이 미사곡은 르네상스 시기의 전형적인 특징을 가진 6성부의 다성음악(Polyphony)으로, 16세기 영국의 튜더 왕조 시대 교회 음악 전성기를 개시한 태버너의 대표적 종교 합창곡이다. 특별히 이 작품은 정선율 미사곡(Cantus Firmus Mass)으로 삼위일체 주일의 시간 전례 후렴(Antiphona) 선율을 차용함으로써 삼위일체의 전례적 의미를 더욱 잘 부각시키고 있으며 작품 안에 종교적 완전수 ‘3’과 관련한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일체적 관점도 면면이 심겨져 있어 작곡가의 삼위일체 신앙이 작품에 반영되어 있으므로 삼위일체 주제의 음악 작품으로는 더없이 소중하고 귀한 교회 음악적 유산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첫 번째로 먼저 삼위일체 신비의 신학적 의미와 삼위일체 대축일의 전례적 의의를 재조명하고, 두 번째로 태버너의 음악 양식이 탄생하는 데에 영향을 준 작곡가의 생애와 그 시대적, 정치적, 종교적 배경을 알아본다. 세 번째로 미사곡의 독특한 특징들과 전 악장에 나타나는 유기적 구조들을 찾으며 미사곡 전체를 개괄한 후, 마지막으로 네 번째, Gloria 악장을 중심으로 하여 삼위일체 관점 안에서 성부, 성자, 성령의 삼중 구조로 나누어 구체적인 악곡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교회 음악 작곡가들의 마음을 열어 삼위일체 전례곡들의 작곡 의지를 함양하고자 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는 바이다.

      • 클라비어 연습곡 III(Clavier ÜbungIII) 에 관한 연구 : Praeludium et Fuga Es BWV552 중심으로

        김유나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 교회음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87

        바로크 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년~1750년)는 대대로 음악가 집안으로 어려서부터 아버지와 형에게 음악의 기초를 배우며 자랐고, 교회음악가로 활동하면서 독일 작곡가 게오르크 뵘(Georg Böhm, 1661년~1733년), 라인켄(Johann Adam Reinken, 1623년~1722년), 파헬벨(Johann Pachelbel, 1653년~1706년), 북스테후데(Dietrich Buxtehude, 1637년~1707년) 등의 영향을 받았다. 바흐는 초년시절부터 코랄을 작곡하였는데, 아른슈타트(Arnstradt), 뮐하우젠(Mühlhausen)시기에 이르러서는 북독일 악파와 남독일 악파의 영향을 받은 코랄을 작곡하였고, 바이마르(Weimar)시기에는 많은 코랄과 이탈리아 협주곡을 오르간 음악으로 사보하거나 편곡하였다. 쾨텐(Cöthen) 시기에는 세속음악과 기악음악 그리고 교육을 목적으로 한 음악을 작곡하였다. 마지막으로 라이프치히(Leipzig)시기 초기에는 교회음악을 작곡하였으나, 여러 가지 어려움으로 인해 1730년대에 교회음악 작곡이 줄어들었다. 그러나 1736년 이후 다른 음악가들이 교회음악을 작곡하지 않았던 것에 반해 바흐는 교회음악의 칸타타, 수난곡, 교육용 음악을 작곡하였고, 모음곡집도 출판하였다. 이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클라비어 연습곡 Ⅲ권은 라이프치히시기에 작곡된 바흐의 모음곡집으로 이 연습곡 안에는 Praeludium pro Organi pleno BWV552, 루터교 미사에 관련된 오르간 코랄과 루터교 교리문답과 관련된 코랄, 4곡의 듀엣 그리고 마지막으로 Fuga a 5 con pedale pro Organo pleno BWV552가 들어있다. 프렐류드와 푸가 E♭장조에서는 세 개의 부분, 세 개의 음형과 주제, 세 개의 내림표(flat)를 사용함으로 성부, 성자, 성령, 즉 삼위일체를 상징적으로 해석되어진다.

      • 부속가 「Victimae Paschali Laudes」를 사용한 합창음악들의 비교연구

        이경희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논문은 예수부활대축일 부속가의 연구 및 이곡을 사용한 합창음악의 연구이다. 중세시대부터 21세기에 이르기까지 예수부활대축일 부속가「Victimae Paschali Laudes」를 주제로 한 다양한 작품이 작곡되었으나 그 중 비교적 활발히 작곡된 시기인 중세 말기에서 르네상스 시대 작곡가들의 「Victimae Paschali Laudes」를 주제로 한 합창 작품을 중심으로 가사와 그레고리오 성가 선율을 후대 작곡가들이 어떤 방법으로 활용하였는지 비교 하였다. 본 논문에서 비교군으로 선택한 세 명의 작곡가가 작곡한 합창곡 「Victimae Paschali Laudes」에서 그레고리오 성가의 원래 선율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변형시켜 사용한 것을 찾아볼 수 있었다. 작품에는 각 작곡가들이 활동했던 악파들의 음악양식들이 반영되어 있으며 작품 구성에 있어 가사가 잘 전달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부속가를 부르는 양식인 교창 형태가 합창음악 중에 드러나는 부분 등을 통해 전례 안에서 쓰이는 부속가와의 연계성을 찾아볼 수 있다. 부속가는 현재 가톨릭 전례 안에서 규모가 축소되었으며 활발하게 사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부속가가 소중한 가톨릭교회의 문화유산임을 자각하고 더욱더 많은 음악가에 의해 작곡되며 불리도록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나아가서는 꾸준히 교회전례와 교회음악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며, 소중히 발전시켜서, 그 의미와 가치가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In this master’s thesis, I comparatively study on works which use a sequence “Victimae Paschali Laudes” for the Feast of the Resurrection of Jesus. From the Middle Ages to the 21st century, there were variety of works. I comparatively study from the late medieval period to the Renaissance composer’s choral works of Gregorian chant melody with lyrics focusing on how the later composers uses. The three composer’s choral “Victimae Paschali Laudes” uses Gregorian chant’s original melody, transformed and new melody that were created. Each works reflected each school’s form of the music and a work of construction focused on ensuring the good delivery of the lyrics. The form of antiphonal singing that form of the sing the sequence shows choral music, and revealed during the sequence used in the liturgy of the links that were found. Recently, The sequence has been scaled down in Catholic liturgy and not being actively used. However, the Sequence is important of awareness of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Catholic Church, and need to more be interested with composed and sung. Furthermore, we need to research the church liturgy and church music with concerned and carefully develop, so that the meaning and value should be handed down.

      • 음성음향학에 근거한 성악 발성 교수법에 관한 연구 : 가톨릭교회 합창 음악에 대한 적용

        류성룡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87

        ABSTRACT A good understanding of appropriate vocal pedagogy is essential not only for singers and vocal teachers, but also for choral music conductors.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vocal part of the choir and apply the appropriate vocal strategy to the choral music. Compared to experience-based teaching methods, studies of vocal acoustics present a new systematic perspective on vocal resonance strategies for men and women. In this thesis, we investigate how resonance strategies for men and women should vary according to vowels and pitches using the latest research in vocal acoustics and absolute spectral tone color (ASTC) theory and present appropriate training methods. In register-mixing theory, the transition of the vocal register is mainly due to changes in the vocal folds vibration mode, therefore the vocal folds sh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itch to facilitate the smooth register transition. On the other hand, in acoustic vocal register theory based on vocal acoustics, appropriate resonance strategies are mainly related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formant of the vocal track resonance of given vowel and the harmonics of vocal folds vibration, and depend on the vowel, pitch, and male or female voices. Therefore, for the efficient resonance of the singing voice, the adjustment of the vocal track resonance, which systematically vary with pitch and vowel, is much more important than the control of the vibration mode of the vocal folds. Acoustic resonance strategies can be applied to both solo singers and choir singers. The blending of voices is very important in choir. We have discussed resonance strategies and the unification of vowels and tone colors, and described various other strategies to blend voices. Beginning from a motet of Catholic church in Renaissance period to a modern mass, we have suggested appropriate resonance strategies to each voice part for the give choral music as examples. In most vocal pedagogy literature, the concept of acoustic vocal register based on vocal acoustics introduced in this thesis and the latest research results on active vowel modification and passive vowel migration for each vowel and pitch are often not considered. We believe that combining the results of vocal acoustics research with existing vocal practice methods will give better achievements in choral music in church choirs. Keywords: Choral music in Catholic Church, Vocal acoustics, Vocal pedagogy, Vocal register transition, Acoustic vocal register, Vowel turn over, Formant tuning, Vocal track resonance 논문개요(초록) 성악 발성법을 잘 이해하는 것은 독창자나 성악 교사에게 뿐만 아니라 성가대 지휘자를 포함한 합창 지휘자에게도 필수적이다. 합창을 구성하는 남성과 여성의 각 성부의 특성을 이해하고 부르는 노래에 맞는 발성을 합창에 적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경험에 근거한 교육법에 비하여 성악 공명에 대한 음성음향학적인 연구는 남성과 여성의 공명 전략에 대하여 새로운 체계적인 관점을 제시해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음향학과 소리 스펙트럼의 절대 색상 이론의 최신의 연구 성과를 이용하여 모음에 따라 그리고 음높이에 따라 남성과 여성의 공명 전략이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를 조사하고 적절한 연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혼합성구 이론에서 성구의 전이는 주로 성대의 진동 모드의 변화에 기인하므로 성구 전이를 원만하게 하려면 음높이에 따라 성대를 잘 조절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반면에 음성음향학에 기초한 음향성구 이론에서 적절한 공명 전략은 주로 모음의 첫 번째 포먼트와 성대 진동의 배음 사이의 상호 작용에 관련되며 모음과 음높이 그리고 남성과 여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목소리의 효율적인 공명을 위해서는 성대의 진동 모드의 조절보다는 음높이와 모음에 따라 체계적으로 변화하는 성도(소리길)의 조절이 훨씬 중요하다. 음향학적인 공명 전략은 독창이나 합창을 가리지 않고 모두 적용이 가능하지만 합창에서 특별히 필요한 요소는 합창에서 목소리의 혼합(blending)일 것이다. 먼저 공명 전략과 모음과 음색의 통일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목소리의 혼합을 위한 그 밖의 다양한 전략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시대적으로 르네상스 시대의 가톨릭 교회음악인 무반주 합창곡부터 시작하여 현대의 미사곡까지 각 성부에 따른 공명 전략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여러 성악 발성 문헌들의 경우에는 이 논문에서 소개한 음성음향학적인 원리에 근거한 음향 성구의 개념과 모음과 음높이에 따른 모음 변형에 대한 최신의 연구 결과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기존의 발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연습 방법에 음성 음향학적인 연구 성과를 접목하면 성가대에서 전례음악을 연주하는 데에 더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