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數 種 木本植物의 開葉時期에 對하여

        최재규 檀國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 종 목본식물에 있어 기후가 개엽 및 개화시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남한산성과 대관령 지역에서 1991년 및 1992년의 2년간 개엽 및 개화시기를 조사하고 기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종별로 개엽시기가 이른 종은 남한산성 지역에서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노린재나무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대관령 지역에서는 짝짜래나무 (Rhamnus yoshinoi), 고추나무 (Staphylea bumalda), 노린재나무, 진달래 등이였다. 또한 개엽시기가 늦은 종은 남한산성 지역에서 다릅나무 (Maackia amurensis), 굴참나무 (Quercus variabilis), 대관령지역에서는 물푸레나무 (Fraxinus rhynchophylla), 옻나무 (Rhus verniciflua), 다릅나무 (Maackia amurensis)이였다. 2. 남한산성과 대관령 지역의 개엽시기는 수종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두 지역간 차이가 큰 종은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진달래 및 개벚나무 (Prunus leveilleana)이었고, 적은 종은 물박달나무 (Betula davurica), 다릅나무, 당단풍 (Acer pseudo-sieboldianum) 및 고로쇠나무 (Acer mono)이었으며, 전자는 약 24일, 후자는 8일이었다. 그리고 두 지역의 연평균기온차는 5.5℃이었다. 두 지역간 개화시기 차이는 개엽시기의 것보다 적었다. 3. 대체적으로 두 지역에서 1992년과 1991년의 개엽 및 개화시기는 수종별로 달랐다.

      • 폐기물 매립지 선별토사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최재규 서울시립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 recycling the residual soil which was produced by the remediation of the landfill sites in K and M landfill. The characteristics of barried wastes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physical composition of wast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mbustible material, moisture and ash. Also, the biological stabilization of wastes were masured by ratio of organic matters in the residual soil and the quantity of CO₂ generated by decomposition.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the residual soil were analyzed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such as Cadmium(Cd), Lead(Pb) in the residual soil. Also, to decide the recycle of the residual soil as banking materials, the characteristics of geotechnical engineering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grain size distribution test, compaction test and shear test. The specimen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eotechnical engineering were made of the flesh soil which were collected near the landfill sites mixed with the residual soil. The mixing ratio of the residual soil was 100%, 75%, 50%, 25% and 0% respectively. The ratio of the residual soil in landfilled wastes was about 80% in K-landfill and about 44% in M-landfill.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plan for the residual soil recycle is very important.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s in the residual soil was 5.61%~9.4%(Ave. 7.4%) which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organic matters in the flesh soil.(1.0%~7.0%) In the case of the landfill which was operated over 10 years, CO₂ generation of the residual soil was 0.1㎎ CO₂/g in the dried residual soil. This result means that CO₂ generation of the residual soil is the almost same quantity compared with that of the fresh soil. In the case of landfill which was operated under 5 years, CO₂ generation of the residual soil was 0.37㎎ CO₂/g in the dried soil residual soil. This result means that CO₂ generation of the residual soil is a little higher quantity compared with that of the flesh soil. Therefore, biological stabilization process is necessary for recycling the residual soil as the banking materials. The result of leaching test with the residual soil, the concentration of Arsenic(As) was 0.2~0.5㎎/㎏. Mercury(Hg) was not detected and the concentration of Cadmium(Cd) was 0.15~0.45㎎/㎏. Also, it masured 7.61~7.87 of PH in residual soil. The residual soil in K and M landfill was not much polluted so it can be used as the banking materials. The residual soil and the flesh soil in K-landfill are classified as SM(sand with silty fines). The residual soil in M-landfill is classified as SC(sand with clayey fines) and common soil in M-landfill is classified as SW(well-graded clean sand). In this result, it is expected that characteristics of soil classification is various depending on the landfill. The specimens of the mixed the residual soil and fresh soil were tested such as the compressive strength, compaction test, hydraulic conductivity, CBR test. Maximum dry unit weight of specimens was various 1.887t/㎥ ~1.838t/㎥ and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was 12.0%~13.2%. Also, interal fraction angle measured 34.2°~31.2° and the range of CBR showed 14.6%~15.8%. Therefore, the author surmises that the residual soil can be used as a banking material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ditions of residual soil in landfill have a various characteristics of waste. However, they can be used as a banking materials because they have good enough testing results of chemically and physically. Also, Whenever you use the residual soil mixed with the fresh soil, it is necessary to be stabled because the residual soil has still CO₂ gas. 본 연구는 폐기물 매립지 복원과정에서 다량으로 발생하는 선별토사를 도로,제방 등의 토목재료로 재활용 가능성 평가를 목적으로 선별토사에 대한 환경공학적인 특성 분석과 함께 토질공학적 특성 연구를 하였다. 중소 규모의 도시에서 발생한 생활 폐기물을 매립하여 사용 종료한 K매립지와 M매립지를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매립폐기물의 물리적 조성과 삼성분을 분석하여 매립된 폐기물의 특성의 조사와 선별토사의 유기물의 함량 및 CO₂ 발생량을 분석하여 생물학적 안정화의 정도를 판단하였고 또한 카드늄, 납 등의 유해물질 함량을 분석하여 선별토사의 오염여부를 조사하였다. 선별토사를 성토재 등의 토목재료로 재활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유기물 함량, CO₂발생량 등의 환경공학적인 특성 외에 토질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되어 선별토사의 입도 시험, 다짐시험, 전단강도 등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선별토사의 역학적 특성실험은 K매립지와 M매립지에서 채취한 선별토사에 각 매립지 인근에서 채취한 일반토사를 혼합비 100%, 75%, 50%, 25%, 0% 로 혼합하여 혼합비에 따른 역학특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K매립지와 M매립지의 매립폐기물의 구성비는 토사류가 전체 매립량 중 각각 약 80%, 44%로 대부분 차지하여 매립장 복원 사업을 위해서는 선별토사에 대한 처리방안 수립이 매우 중요한 경제적, 기술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선별토사내의 유기물 함량은 5.61%~9.4%(평균 7.4%)로 일반토양의 유기물 함량 범위인 1%~7% 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선별토사의 CO₂ 발생량은 매립기간이 10년 이상인 경우 0.1mgCO₂/g dry soil/day로 일반토양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매립기간이 5년 미만인 경우는 0.37mgCO₂/g dry soil/day로 높게 분석되어 선별토사를 성토재 등으로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매립경과 기간에 따라 별도의 생물학적 안정화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별토사의 pH는 7.61~7.87로 약 알카리성으로 분석되었으며, 유해물질 함량 실험결과 비소(As)는 0.2~0.5mg/kg, 수은(Hg)은 ND~0.04mg/kg, 카드늄(Cd)은 0.15~0.45mg/kg로 K매립지 및 M매립지 모두 토양오염 우려기준 보다 훨씬 하회하여 도시 생활폐기물을 매립한 매립지에서 발생한 선별토사의 토양오염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별토사의 함수비, 비중, 입도시험, 애터버그 한계(Atterberg limit)등 기본성질 시험결과 대조토인 일반토사와 큰 차이가 없었으며, 통일분류법에 의한 분류시 K매립지는 선별토사와 일반토사가 실트질 모래(SM)으로 분류되었고, M매립지의 경우 선별토사는 점토질이 다소 혼합된 점토질의 모래(SC)로, 일반토사는 입도분포가 좋은 모래(SW)로 분류되어 선별토사의 분류는 개별 매립지의 특성에 따라 다양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선별토사와 일반토사를 각각 100%, 75%, 50%, 25%, 0%로 혼합하여 혼합비에 역학적 특성변화를 보기 위하여 다짐시험, 강도 및 투수시험, C.B.R (Califonia Bearing Ratio)시험 등을 수행하였다. K매립지의 선별토사와 일반토사의 혼합비율에 따른 최대건조밀도는 1.887t/m³~1.838t/m³, 최적함수비는 12.0%~13.2%로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또한 내부 마찰각(Φ)이 34.2°~31.2°, C.B.R.(Califonia Bearibg Ratio)값은 14.6%~15.8%로 역시 거의 변화가 없었다. 이는 일반토사와 선별토사의 토질특성이 유사하기 때문에 선별토사 단독으로 성토재료로의 재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보여진다. K매립지의 경우 일반토사의 혼합비율에 따른 최대건조밀도는 1.34t/m³~1.84t/m³, 최적함수비는 25.9%~13.2%로 일반토사의 혼합비율을 증가 시킬수록 최대건조밀도는 증가하고 최적함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K매립지와는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개별 매립지의 특성에 따라 역학특성이 다양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상과 같이 도시 생활계 폐기물 매립지 복원시 발생하는 선별토사는 개별 매립지 특성에 따라 토질공학적 특성이 다양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성토재로서의 재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성토재의 특성을 고려한 일반토사의 혼합사용이 토질공학적 안정성 확보에 유리하며, 매립경과년도가 짧은 매립지의 경우 선별토사의 CO₂ 발생량이 많아 별도의 안정화을 거친 후에 성토재로 사용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RBAC을 이용한 ESM모델

        최재규 東國大學校 國際情報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According to internet development, the importance of security is emphasized. Need business process to be not practical use of simple product putting first to protect important information property. In the case of electronic commerce, various threats that follow to him as is business field that activity consists during 24 hours happen. When authorized users need, to solubility about system operation should be guaranteed and detects event that threaten solubility and correspond to use electronic commerce normally, security monitor ring service that there is no discontinuance is required. Used thing is 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hereupon, Sheriff method to correspond according to security business career as achieve my service business can be been mistaken. Sheriff my service because business process is business that become center mistake happen. It is ESM model who it uses RBAC that propose to minimize this error. RBAC (Role-Based Access Control) is theory that achieve access control according to role, ESM (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is sheriff a monitor ring tool that is optimized for quick feeler at my service self-discipline. Is expected to divide Login ID according to role for monitor ring tool use and improve quality of service because minimising error that can produce sheriff when achieve my service business if embody access control techniques to process come event. This treatise explains component about this model and propose the expectation effect.

      • 발전용 발전기 여자설비의 오일 오염 방지

        최재규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발전용 발전기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송전계통과 발전소 소내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중요기기이다. 발전기의 여자설비는 발전기의 계자권선에 자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여자전류를 공급해주는 중요한 설비로 신뢰성이 가장 중요하나 여자설비 중 여자전류 전송장치에서 발전기 운전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이물질 오염 흔적이 여러 부위에서 발견되었다. 이러한 오염은 여자전류 전송장치인 브러시와 집전환(collector ring)에 불꽃현상(flashover)을 발생시켜 집전환 표면을 심각하게 손상 시킬 수 있고 심할 경우 여자전류 상실로 발전기 회전자의 과열을 초래할 수 있어 그 해결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발전용 발전기의 안정적 운전을 위하여 여자전류 전송장치의 오염 원인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여자전류 전송장치의 오염된 부위 점검결과 발전기 베어링 커버와 집전환실 외부공기 차단판 주변 및 브러시 고정 장치 틀에서 집중적으로 오염물질이 확인되었으며, 분석결과 발전기 베어링 윤활유 성분으로 판명되었다. 오염 원인은 집전환실이 부압으로 운전되므로 발전기 회전자와 외부공기 차단판의 간격을 통하여 베어링 오일성분이 집전환실 내부로 흡입되어 여자전류 전송장치를 오염시킨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오염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 외부 공기 차단판의 내경을 축소하여 발전기 회전자와의 간격을 최소화 하고, 집전환실 필터의 면적을 확대함으로써 집전환실 내부 부압을 증가시켜 여자전류 전송장치 오염을 해결할 수 있었다.

      • 공동주택 맞춤 프로그램의 적용사례 분석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최재규 한양대학교 산업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 기술이 발달하고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주택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사항도 날로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는 인터넷 등을 활용한 시장이 등장하였으며 시장이 세분화됨에 따라 다품종 소량생산의 체제로 변화하고 있다. 이렇게 수요자가 시장의 중심이 되고 상품 공급의 시기가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며 대량 맞춤이 중시되고 정보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건설업 분야에서도 기술발전에 따른 기회증대와 더불어 경쟁력 관리가 크게 중시되는 상황이다. 특히 주택 시장에서의 급격한 트렌드의 변화와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 구축의 필요성 및 인터넷 문화와 함께한 고객의 다양성 수용과 효율적인 책임시공 등은 대량 맞춤화(Mass Customization) 실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 맞춤 프로그램이란 공동주택의 개별성이 높은 내장(Infill) 부분에 대하여 주택 문화의 트렌드(Trend)와 거주자의 주생활 요구의 수용 측면에서 설계 단계부터 수요자가 참여하여 주택의 가치를 스스로 만들어 가는 신개념의 주택 공급 프로그램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아파트와 연립주택 및 다세대 주택을 포함한 공동주택이 주거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가운데, 최근 들어 기존의 획일적인 아파트에서 탈피해 차별성을 부여하고 고객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공동주택의 공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고객의 요구사항을 가장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방법의 하나로 맞춤형 아파트를 들 수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그 역사가 길지 않고 사례 또한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준공되어 입주가 이루어진 사례를 대상으로 하여 공동주택 맞춤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서 앞으로 공동주택 맞춤 프로그램을 활성화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2장에서는 우리나라의 공동주택 공급 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분양가 통제 하에서 획일적인 공급이 이루어지다가 옵션제도가 도입되면서 주택의 마감재 등의 수준을 조정함으로써 소비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도입하였으나 이는 결과적으로 합법적으로 주택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말았으며, 1998년에 분양가 자율화가 도입되면서 아파트 상품의 차별화와 다양화가 더욱 활발해지는 계기가 되었다. 3장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맞춤 프로그램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직접 상담 및 공사를 수행했던 담당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서 맞춤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일본의 유사 사례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앞에서 조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방안은 맞춤 프로그램의 시행 절차에 맞추어, 기획측면, 설계측면, 맞춤 상담 측면, 공사관리 측면으로 나누고 각 측면에 맞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에는 맞춤 프로그램의 전 단계를 아우르면서 고객과도 의사소통할 수 있는 맞춤 프로그램의 통합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서 공동주택 맞춤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consumer's level has raised, occupants' needs for the apartment is diversified and complicated. And the existing mass housing supply method has many problems and it couldn't satisfy the dwellers' various needs and overall expected life span. In order to correspond with those needs, construction firms have introduced several method, such as plus option, minus option, on-time option, change up service and so on. The custom-built apartment is more supplementary and it can reflect the consumer's needs to the apartment directly. But after running the custom-built apartment, several problems is reveal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and suggest the improvement method of the custom-built apartment.

      • 강남구 중소형 건물 시장특성에 관한 연구

        최재규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Korea, demand for new investment products is increasing to get the higher profit than the market interest rate due to the continued basis of the low-interest rate begun in the 2000s. With the change of the real estate investment environment, much information is needed in the situation that real estate investors have a high interest in the small and medium-sized building market. Nevertheless, studies have poorly been conducted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building market and the market size. This study made use of 1,655 cases of small and medium-sized buildings traded over the period between Jan, 2006 and Aug, 2013 acquired through the complete survey of the Kangnam-gu area of Seoul. And it analyzed the size of traded small and medium-sized buildings and the small and medium-sized building market by dividing them by owner, by size and by use in order to comply with demand for information needed in the market and contribute to the activity of related real estate industry. As a result,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obtained: First, the size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building market and the size of the mortgage market could be identified. It is expected that their understanding will become an opportunity to trigger an interest of the related business world. Second, the small and medium-sized building market was divided into the individual transaction market and the corporate transaction market by owner. It was found that the entry of firms into the market was gradually increasing.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mall and medium-sized building market was gradually expanding by size.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residential building market and the commercial building market were differently formed by use and the pattern of building transactions was different. And it was found that the commercial building market has recently gradually expanded. Fifth, it was found that the small and medium-sized building market of the Kangnam-gu was still the local competitive one but building buyers are gradually diversified. And half of the building owners living in the Kangnam-gu lived in the same area as the location of each building. The important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t is anticipated that demand of firms for medium-sized buildings will increase in the future, and so the related business world would need to have an interest in the expansion of medium-sized commercial building supply.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ed to conduct the complete survey about the size and characteristic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building market. But it has some limitation in that it confined its scope to the Kangnam-gu due to the limit of research time and difficulty in acquiring data. It is thought that additional studies will actively be conducted for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local markets by extending the research area in the future. 강남구 중소형 건물 시장특성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는 2000년대 이후부터 시작된 저금리 기조의 지속으로 시중금리보다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투자 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부동산 투자 환경 변화에 따라 부동산 투자자들의 중소형 건물 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많은 정보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중소형 건물 시장 특성에 관한 연구는 물론 시장 규모에 대한 연구도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강남구 지역에 대한 전수조사를 통하여 구득한 2006년 1월부터 2013년 8월까지 거래된 중소형 건물 1,655개 사례를 활용하여 시장에서 필요한 정보수요에 부응하고, 관계된 부동산 산업 활동에 기여코자 거래된 중소형 건물 특성과 중소형 건물 시장을 소유주체별, 규모별, 용도별로 구분하여 시장 규모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첫째, 중소형 건물 시장 규모 및 담보대출 시장 규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시장 규모와 담보대출 시장 규모 확인으로 인한 관련 업계의 관심을 촉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소유주체별로 개인 거래시장과 법인 거래시장이 달랐으며, 법인의 시장 참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규모별로는 중⦁소형 건물 시장 모두 점차 확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용도별로는 주거용과 상업용 건물 시장이 다르게 형성되고 있으며, 거래 패턴도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최근 상업용 건물 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섯째, 강남구 중소형 건물 시장은 아직 지역경쟁시장이지만, 점차 매입주체들이 다변화 되어 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강남구에 거주하고 있는 건물 소유주 1/2이상은 각 건물 소재지역과 동일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로 얻어진 중요한 시사점은 향후 법인들의 중형급 상업용 건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중형급 상업용 건물 공급확대를 위한 관련업계의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가 중소형 건물 시장 규모와 특성에 대한 분석을 위해 전수조사를 시도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다만, 연구 시간의 한계와 자료 구득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강남구에 국한한 연구였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향후 연구지역을 확대하여 지역 시장 간 비교 분석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分位回歸分析을 利用한 綜合建設會社의 資本構造 分位別 決定要因에 關한 實證的 分析

        최재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judged that repeated bankruptcy of general contractors was caused by their capital structure using excessive borrowed capital under the circumstances of repeated macroeconomic crisis such as IMF foreign exchange crisis in 1997,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2008) and Europe’s financial crisis(2009). Based on the foregoing judgment, this study considered theories and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capital structure, and also looked into a research methodology for establishing an empirical model. As a result of consideration of related theories and preceding researches, this study found that researches related to construction industry were very limited and failed in finding a consistent opinion on capital structure determinants. Moreover, it was hard to find a method of empirical analysis in previous researches explaining by what determinants construction company’s over or under borrowing capital structure is decided. Preceding researches were giving priority to substantiation of capital structure determinants and investigation of differences in determinants between sample groups, and researches on changed behavior and non-linearity of capital structure determinants using a quantile regression model are being carried out in other domestic and foreign industries in recent days.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capital structure determinants by quantile targeting domestic general contractors that are listed·externally audited from 2000 through 2013. Samples used in the empirical analysis include 35 large construction companies, 196 small and medium construction companies, and this study utilized financial information of total 231 construction companies. Objectives of empirical analysis were to verify whether or not gap and similarity exist between behavior (sign) of general contractor’s capital structure determinants and existing theories, verify if changing behavior and non-linearity exist in determinants depending on general contractor’s over or under capital structure quantile and verify whether or not changed behavior of capital structure determinants shows difference between sample groups. To achieve the above study objectives, this study established research hypotheses respectively, and verified the hypotheses after establishing a capital structure decision model by using pooled-ordinary least squares model, generalized least squares model and quantile regression model.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three.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whether or not gap and similarity exist between behavior (definite) of construction company’s capital structure determinants and existing theories, it was proved that general contractor’s capital structure determinants support both static trade-off theory and peaking order theory in part. This means that general contractors show a pattern using debt with a advantage of company’ size, but also shows a pattern that uses debt on a shoestring by utilizing internal capital as circumstances require. In the results of hypothesis verification, determinants that explains general contractor’s capital structure effectively are the variables of company’s scale (+), profitability (-), liquidity (-), and each sample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consistent sign in most capital structure quantiles. Meaning that the value of estimated coefficient is high in variables of profitability and liquidity has a context same as the meaning that decision of construction company’s capital structure supports peaking order theory.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it also supports static trade-off theory in part as company’s size or non-debt tax sheild (below average quantile) of a company is also showing a strong influence. Secon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whether to changing behavior and non-linearity exist in determinants depending on the general contractor’s over or under borrowed capital structure quantiles, influence of variables showed changing behavior as variables of company’s size, profitability and liquidity of a company have a robust sign in most capital structure quantiles. Non-debt tax sheild variable was analyzed to have a value for practical use as a factor to explain construction company’s capital structure as change of regression coefficient accords with related theory and hypothesis even if non-debt tax sheild variable is capable of securing statistical significance below average borrowing quantile. As a result, this study was able to adopt hypothesis that determinants by general contractor’s capital structure change according to the capital structure quantile. This served as a momentum to exclude the phenomenon that estimated coefficient is concentrated in the estimation method of conditional average of traditional capital structure decision model and identify a new influence which has been overestimated or underestimated so far. Thir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whether or not changed behavior of capital structure determinants differs in each sample groups, non-debt tax sheild showed a difference in 0.1 quantile in the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of regression coefficient by sample groups. And tangibility variable showed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0.6 quantile. To conclude, this study partially adopted hypothesis that there will exist a difference in capital structure determinants by sample groups. Such a result means that capital structure determinants between sample groups are almost similar. Accordingly, it was analyzed that difference in capital structure decision behavior depending on the difference of company’s size which was suggested in the background of research did not exist within the sample group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a variety of implications from the standpoint of management perspective of a company, political perspective of the government and research methodology. From the standpoint of management perspective of a company, it is important in the way that it is helpful to identify decision-making system for decision of construction company’s capital structure by estimating a capital structure decision model of large or small and medium construction companies. In addition, it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researches as the result helps individual construction company to make a decision by alluding to the situation of company’s capital structure by suggesting a spectrum of decision-making system from under to over borrowed capital structure quantiles. From the political perspective of the government, it is considered to be used as preliminary information for analyzing management pattern of large or small and medium construction companies by capital structure quantiles. Most promotion/financial policies are concentrated in small and medium companies suffering from financing, but in case of using capital structure determinants by quantile of small and medium compani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help to understand about what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and for what part should be supported for relaxing financing environment of small and medium companies. Implication produced from the standpoint of research methodology are first, capital structure decision model using traditional estimation method is not capable of understanding capital structure decision making system of a company that uses over, under borrowed capital structure. Thus,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rough a variety of hypothesis verifications that estimation result of quantile regression model can produce more diversified results as compared to the results of estimation by the traditional model. Although it is hard to conclude that quantile regression model is superior, more objectiv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produced if the two models are properly combined and utilized. 본 연구는 1997년 IMF 외환위기, 2008년 국제금융위기, 유럽재정위기와 같은 반복적인 거시경제 위기에서 종합건설회사의 반복적인 부도의 원인을 과도한 타인자본의 활용과 같은 자본구조에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자본구조와 관련된 이론과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실증모형 구축을 위한 연구방법론 또한 알아보았다.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결과 건설산업과 관련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며, 자본구조 결정요인에 대한 일관된 견해는 찾을 수 없었다. 뿐만 아니라, 건설회사의 과대 또는 과소 차입 자본구조가 어떠한 결정요인에 의해 결정되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실증분석방법은 과거 선행연구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웠다. 과거 선행연구는 자본구조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과 목적집단간 결정요인의 차이점을 밝혀나가는데 중심을 두고 있었으며, 최근 국내외 다른 산업에서 분위회귀모형을 이용한 자본구조 결정요인의 변화행태와 비선형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 상장·외부감사대상 종합건설회사를 대상으로 분위별 자본구조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에 사용된 표본의 수는 대형 건설회사 35개, 중소형 건설회사 196개로 총 231개의 건설회사 재무정보를 활용하였다. 실증분석의 목적은 종합건설회사의 자본구조 결정요인의 행태(부호성)가 기존 이론과의 괴리 및 유사성이 존재하는지를 검증하는 것과, 종합건설회사의 과대 또는 과소 자본구조 분위에 따라 결정요인이 변화하는 행태 및 비선형성이 존재하는 지를 검증하는 것, 표본집단 간 자본구조 결정요인의 변화행태가 서로 차이를 보이는 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각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합동최소자승모형, 일반화최소자승모형, 분위회귀모형을 활용하여 자본구조 결정모형을 구축한 뒤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 번째, 건설회사의 자본구조 결정요인의 행태(부호성)가 기존이론과 괴리 및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검증한 결과, 종합건설회사의 자본구조 결정요인은 정태적 상충이론과 자금조달 순위이론 모두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종합건설회사는 기업의 규모적 이점을 가지고 부채를 활용하는 패턴을 보이지만, 경우에 따라 내부자금을 활용하여 부채를 적게 사용하는 패턴도 함께 나타냄을 의미한다. 가설검증 결과에 비추어 종합건설회사의 자본구조를 효과적으로 설명해주는 결정요인은 기업의 규모(+), 수익성(-), 유동성(-) 변수로 표본집단별로 대부분의 자본구조 분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일관성 있는 부호성을 나타내었다. 수익성과 유동성 변수의 추정계수 값이 크다는 것은 건설회사의 자본구조 결정이 자금조달 순위이론을 지지한다는 의미와 같은 맥락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기업의 규모나 비부채감세효과(평균 분위 이하에서) 또한 강건한 영향을 주고 있음에 따라 정태적 상충이론도 부분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 종합건설회사의 과대 또는 과소 자본구조 분위에 따라 결정요인이 변화하는 행태 및 비선형성이 존재하는 지를 검증한 결과, 기업의 규모, 수익성, 유동성 변수가 대부분의 자본구조 분위에서 강건한 부호성을 가지면서 변수의 영향이 변화하는 행태를 나타내었다. 비부채감세효과 변수는 평균 차입 분위 이하에서만 통계적인 유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하더라도 회귀계수의 변화가 관련 이론 및 가설에 부합함에 따라 건설회사의 자본구조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활용가치는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종합건설회사의 자본구조 분위별 결정요인은 자본구조 분위에 따라 변화한다는 가설을 부분적으로 채택할 수 있었다. 이는 전통적인 자본구조 결정모형 추정방식의 조건부 평균에 추정계수가 집중되는 현상을 배제하고 그 동안 과대 혹은 과소 추정되어왔던 새로운 영향치를 식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세 번째, 표본집단 간 자본구조 결정요인의 변화행태가 서로 차이를 보이는 지를 검증한 결과, 0.1 분위에서 비부채감세효과가 표본집단별 회귀계수 차이 검증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0.6 분위에서는 자산고정성 변수가 집단 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표본집단별로 자본구조 결정요인에 차이가 존재할 것이라는 가설을 매우 국소적인 부분에서 채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표본집단 간 자본구조 결정요인이 거의 유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앞서 연구의 배경에서 제시된 기업의 규모 차이에 따르는 자본구조 결정행태의 차이는 표본집단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증분석 결과 기업의 경영관점, 정부 정책적 관점, 연구방법론의 관점에서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기업의 경영관점에서는 대형 또는 중소형 건설회사의 자본구조 결정모형을 추정하여 건설회사의 자본구조 결정에 대한 의사결정 체계를 식별할 수 있었다는데 있다. 뿐만 아니라 과소 차입에서부터 과대 차입 분위까지의 의사결정 체계의 스펙트럼(spectrum)을 제시함으로써 개별 건설회사 스스로 회사의 자본구조 상황에 빗대어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도움으로써 기존의 연구와는 차별화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정부 정책적 관점에서는 자본구조 분위별 대형, 중소형 건설회사의 경영패턴을 분석하는데 기초적인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과거의 일반화된 자본구조 결정행태만으로는 건설회사의 자본구조 분위별 경영패턴을 파악할 수 없음에 따라, 각종 경영패턴에 맞는 정책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본 실증연구 결과는 건설회사의 서로 다른 경영패턴(자본구조 의사결정)을 제시함에 따라, 보다 현실적이며 구체적인 정책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육성/금융 정책들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 집중되어있는데, 본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중소기업의 분위별 자본구조 결정요인을 활용할 경우 어떠한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하는지, 어떤 부분에서 지원을 해주어야 중소기업의 자금조달환경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방법론 관점에서 도출된 시사점은 먼저 전통적 추정방법을 이용한 자본구조 결정모형은 과대, 과소 차입 경영전략을 구사하는 기업의 자본구조 의사결정을 파악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가설 검증을 통해 분위회귀모형의 추정결과가 앞선 전통적 모형의 추정결과보다 더 다양하게 도출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가 분위회귀모형이 다른 분석방법에 비해 절대적으로 우수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없으며, 두 모형을 적절히 조합하여 활용하는 것이 보다 객관성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