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筋小胞體의 ATPase Kinetics에 關한 硏究

        朴映淳,李承兩,朴泰水,庾基洙,李 弘,金允坤 圓光大學校 1982 論文集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토끼 골격근 소포체에서 분리한 근소포체의 ATPase활성에 대한 일반적 특성과 수종의 2가 양이온(??)의 영향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ATPase활성과 Ca uptake에 미치는 2가 양이온의 저해 효과와 저해기작은 Dixon plot, Lineweaver-Burk plot, Hanes-Woolf plot, Woolf-Augustinsson-Hofstee plot, Eadie-Scatchard plot, Arrhenius plot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소포체의 ATPase는 ??과 ??의 존재하에서 활성화 되어지며 ??의 농도가 4mM일 때 ??의 최적 농도는 0.1mM이었다. 2. 근소포체의 ATPase는 ??-ATPase와 (??)-ATPase로 구성되어 있고 (??) - ATPase의 활성은 ??-ATPase의 활성보다 높았다. 3. ATPase의 활성화 에너지는 약 19Kcal/mol이었다. 4. ATPase 활성에 미치는 2가 양이온은 12.5㎛과 400㎛의 범위 내에서 이온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서 활성도는 점점 감소되었다. 5. ATPase활성율 50% 저해시키는데 2가 양이온의 농도는 Ki값과 같아서 ??, ??, ?? Pd ??에 대한 각각의 농도는 10㎛, 30㎛, 130㎛ 및 350㎛이었다. 특히 ??은 저 농도에서 (12.5-100㎛)는 활성제로, 고농도에서 (200-400㎛)는 저해제로 작용하는 것 같다. 6. 2가 양이온은 ATPase의 Km에는 변화를 주지 않으나 Vmax의 저하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아 비경쟁 저해제임이 판정되었다. 7. 2가 양이온은 가역적 저해제임이 판명되었다. 8. Ca 吸收能에 대한 CuCl₂의 阻害는 50~500㎛의 CuCl₂농도에서 현저히 나타났으며 이 현상은 Ca 吸收能과 ATPase 活性과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General properties of the ATPase and the effects of the divalent cations (??) on the total ATPase activity of the fragmented sarcoplasmic reticulum (FSR) isolated from rabbit skeletal muscle were investigated in the present resent research. The inhibitory effect of divalent cations on the FSR ATPase activity and its mechanism were analyzed by various plots such as Dixon plot, Lineweaver-Burk plot, Hanes-woolf plot, Eadie-Scatchard plot and Arrhenius plot.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FSR ATPase is activated by ?? and ??;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is 0.1 mM in the presence of 4 mM MgCl₂. 2. The FSR ATPase could be distinguished as ??-ATPase and (??)-ATPase. The activity of (??)-ATPase predomiant over that of ??-ATPase. 3. The apparent energies of activation for total ATPase was approximately 19Kcal/mole. 4.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divalent cations on the enzyme activity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s of the divalent cations increased in the concentrations between 12.5 and 400㎛. 5. Concentration of 50% inhibition for each divalent cation was almost identical with the inhibition constant (ki). The Ki's were 10,30,130, and 350㎛ for ??, ??, ??, and ??, respectively. ?? seemed to be anactivator at lower concentrations and an inhibior at higher concentratios. 6. The divalent cations did not change the Km but decreased the Vmax of the FRS ATPase, suggesting that they are noncompetitive inhibitors on the FSR ATPase. 7. The divalent cations were also found to be revesible inhibitors on the FSR ATPase. 8. The inhibitory effect of CuCl₂on a uptake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CuCl₂increased in the range between 50㎛.

      • 체질량지수와 간기능 이상과의 관련성

        윤혜은,류소연,강명근,박종,김기순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2005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30 No.1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BMI) and liver function abnormalities in the general population in Korea.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5765 persons who were received questionnaire survey and health examination of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 1998, 20-59 years in age and had no history of viral hepatitis. BMI was categorized by quartile and abnormal liver functions were define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30 U/L or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35 U/L in serum level. In order to identify the association of BMI and abnormal liver function, chi-square 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The abnormality rates of AST were 35.0% in male and 13.4% in female. The abnormality rates of ALT were 35.8% in male and 11.1% in female. After controlling for the other covariates, the multivair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BMI was the significant related factor of abnormal AST (male; odds ratio=1.25; 95% confidence interval=1.15-1.36, female; odds ratio=1.14; 95% confidence interval=1.02-1.26) and abnormal ALT (male; odds ratio=1.87; 95% confidence interval=1.71-2.04, female; odds ratio=1.56; 95% confidence interval=1.38-175). Conclusions: We identify that BMI was the significant risk factor of non-viral liver disease with abnormal liver functions. A large-scale investigation will be suggested in the future to demonstrate the causal-effect issue between abnormal liver function and obesity.

      • 토끼에서 enrofloxacin과 enrofloxacin acetate의 比較藥物動態學

        윤효인,박승춘,김창식,김민규,최기섭,신광순,박종일,조준형,조명행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동물의과학연구소 1996 動物醫科學硏究誌 Vol.4 No.-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pharmacokinetics of enrofloxacin acetate (ENFXA) and enrofloxacin (ENFX). Two enrofloxacins had wide spectrum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Gram positive and negative bacteria, and mycoplasma, showing potent antibacterial activities with low MICs (0.05-3.33 ㎍/㎖ for Gram positives, 0.002 ㎍/㎖ for Gram negatives and 0.02 ㎍/㎖ for mycoplasm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files of two formulations of enrofloxacin we studied comparative pharmacokinetics of them in rabbits. Five rabbits were given 5 ㎎/㎏ body weight of each enrofloxacin formulation intravenously (i.v.) and orally (p.o.) in a cross-over study.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both formulations were calculated by the use of PCNONLIN, a computer program. Their bioavailibility in rabbits, the means of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each formulation in rabbits, the mean elimination half-lives (t_1/2,ke) were 3.25h (ENFX) and 4.32 h (ENFXA), and mean AUC 4.27 ㎍·h/㎖ (ENFX) and 6.21 ㎍·h/㎖ (ENFXA). Both enrofloxacin formulations seemed to have good tissue distribution and penetration as indicated by large volume of distribution: 4.76 1/㎏ for ENFX and 7.23 1/㎏ for ENFXA. With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ENFXA could be used in place of ENFX in rabbits.

      • RUS법에 의한 Micro-Crack을 가진 Ferrule의 주파수 특성 평가

        백경윤,이길성,양순호,김성훈,조영재,민한기,양인영 朝鮮大學校 機械技術硏究所 2003 機械技術硏究 Vol.6 No.2

        광섬유 정렬부품으로 사용되는 페롤은 극히 높은 정밀도를 요하는 제품으로서, 높은 치수 정밀도와 결함이 포함되지 않는 등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제품이다. 이러한 페롤의 형상결함평가에 종래의 광학현미경 평가법과는 달리. 본 논문에서는 공명초음파법(ResonantUltrasound Spectroscopy)을 이용하고자 한다. 공명초음파법이란 결함이 없는 시험편을 기계적으로 진동시켰을 때의 공진 주파수와 시험편 내에 결함을 가지고 있을 때의 공명 주파수 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결함유무를 검출해내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양품과 크랙을 가진 시험편을 현장에서 직접 사용되고 있는 광학현미경에 의해 분류를 한 다음, 더욱 정확한 측정을 위해 SEM에 의해 다시 분류하였다. 각각에 대해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였고, 이 데이터의 검증을 위해 FEM해석을 수행하였다. 실험으로부터 얻는 양품의 공진 주파수와 FEM해석을 통해 얻었던 양품의 공진 주파수의 오차는 1∼2%정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크랙에 대한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여서, 양품의 공진 주파수와 비교를 행하였고, 이 데이터를 가지고 모드별로 히스토그램을 그려서, 그것으로부터 현장에서 실제로 이용 가능한 모드를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The Ferrule which is used as the product optical fiber very precisely, is required high to set the optical axes of an dimensional precision, lack of defect and high expectation. Up to now the optical instrument has been used for the defect and shape inspection of the Ferrule, but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detectable defect and expectation by using the Resonant Ultrasound Spectroscopy (RUS). The RUS is the measurement' which is to excite specimen and to inspect the difference of natural frequency pattern between acceptable specimen and specimen has some defects. In this paper, we classified specimens into three groups by using She optical instrument; acceptable specimen A-type, 3-type and specimen A-type which has crack. And we reclassified by Scanning Microscope to carry out the more exact measurement. We surveyed the resonant frequency of every specimen, and carried out the simulation from the explicit finite elements code, NasEran t o verify the experiment data. The average error between the resonant frequency of acceptable specimens which is obtained from experiment and that from FEM analysis is in the range of 1-2 percentage. Also, we measured the resonant frequency of specimen which has crack, and compared that of acceptable specimen. We drew histogram by using these data, and confirmed the available mode in the plant.

      • 전이 금속 촉매에 의한 히드록시 관능성기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의 합성

        김윤희,권순기 慶尙大學校生産技術硏究所 1989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5 No.-

        단량체인 4-hydroxy-4-isopropyl-1,6-heptadiyne 은 3-브로모프로핀과 마그네슘으로부터 제조된 Grignard 시약과 이소부탄산 메틸과의 반응에 의해 합성되었으며 IR 및 H-NMR 등의 분광학적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히드록시 관능성기를 갖는 단량체는 ?? 또는 ?? 계 촉매와 여러가지 조촉매에 의해 환상 중합되었으며 ??를 단독 촉매로 하여 벤젠에서 중합시켰을 때 64% 의 중합 수율을 보였다. 중합체의 구조는 분광학적 방법에 의해 확인되었으며, 고분자는 톨루엔, 클로로벤젠, 에테르, 아세톤 등 대부분의 유기 용매에 잘 용해되었고 pellet 상태에서 요오드로 도핑하였을 때 ??의 전기 전도도를 보였으며 분자량은 폴리스티렌을 표준 시료로 하여 보정하였을 때 GPC 상에서 8500 ~ 11000 의 범위에 있었다.

      • K이 흡착된 Si(111)7×7표면에 대한 RHEED 연구

        박종윤,이순보,이경원,안기석,신익조,강건아 성균관대학교 1990 論文集 Vol.41 No.2

        상온 및 200℃∼600℃의 Si(111) 7×7 표면에 칼륨(K)을 증착하였을 때의 표면격자구조 변화를 RHEED로 관측하였다. K 증착시 Si(111)7×7 기판의 온도가 상온인 경우, 어느 일정한 증착시간(포화덮임률에 도달했다고 추정되는 증착시간)이 지난 후에는 원래의 깨끗한 Si(111)7×7 패턴과 유사한 Si(111) 7×7-K 패턴이 관측되었고, 증착시간을 증가시켜도 RHEED 패턴은 변화하지 않았다. 이것을 annealing하면 350℃까지는 RHEED 패턴에 변화가 없다가 그 이상의 온도가 되면 서서히 원래의 7×7 패턴으로 되돌아가기 시작한다. Si(111) 7×7기판의 온도를 200℃∼600℃로 유지하면서 K을 일정시간(450℃에서 3×1이 형성되는 증착시간)이상 증착시킨 경우에 250℃까지는 상온의 경우와 비슷한 형태의 변형된 7×7 패턴이 관측되고, 300℃∼550℃일때는 3×1, 550℃ 이상에서는 1×1 구조가 관측되었다. 이때 300℃∼550℃에서 형성된 Si(111) 3×1-K 구조는 450℃에서 1분 정도 annealing 하면 항상 Si(111) 1×1-K 구조로 상전이가 일어남을 관측하였다. Potassium adsorbed surface structures of Si(111) 7×7 surface at room and high temperatures(200℃∼600℃) were investigated by RHEED. Potassium adsorption on the Si(111) 7×7 surface to saturated coverage at room temperature changed the RHEED pattern of Si(111) 7×7 to Si(111) 7×7-K. Subsequent heating of the Si(111) 7×7-K surface above 350℃ results in a Si(111) 7×7 with desorbing K. The RHEED pattern of the K-adsorbed on the Si(111) 7×7 surface up to the adsorption temperature of 250℃ was the modified 7×7 pattern, quite similar to that of the Si(111) 7×7-K, observed at room temperature. The 3×1 structure was observed in the temperature of adsorption between 300℃ and 550℃. Regardless of the adsorption temperature, a phase transition always took place from the Si(111) 3×1-K structure to Si(111) 1×1-K after annealing at 450℃ over 1 minute.

      • 노화가 인체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조골세포로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

        백기현,태현정,오기원,이원영,조정기,권순용,강무일,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김춘추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3

        연구배경: 일반적으로 골다공증과 연관된 위험인자로는 연령, 폐경, 약물, 불충분한 칼슘섭취, 만성질환 및 운동부족 등이 있는데, 특히 노화가 진행할수록 골밀도가 감소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노화와 관련하여 진행되는 골소실은 조골세포 및 전구조골세포의 기능적 결핍에 의한 골형성의 감소가 주요한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 동안 연령이 조골모 세포의 양과 조골모 세포로부터 성숙조골세포로의 분화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일부 보고들이 있었으나 아직 일치된 견해는 없는 형편이다. 방법: 다양한 연령의 사람으로부터 골수를 채취, 중간엽 줄기세포가 포함된 단핵세포를 분리한 후 조골세포로 분화하기 좋은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대상군은다시 젊은군과 노령군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변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일차배양에서는 CFU-F를 계수하여 골수내 중간엽 줄기세포의 수를 추산하였고, 칼슘측정을 통하여 기질의 무기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계대배양후 이차배양에서는 시기별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 활성도를 측정하고 오스테오칼신 mRNA의 발현을 관찰하여 젊은군과 노령군 사이의 증식능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차배양 시기별로 MTT 측정을 하여 양군간에 증식능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1. 일차배양 15일째에 평균 CFU-F의 수는 젊은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젊은군 148.3±28.9, 노령군 54.3±9.1, p=0.02). CFU-F의 평균면적은 젊은군에서 넓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 일차배양 17일 경과 후 양군간에 기질 칼슘 침착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젊은군 103.6±50.6, 노령군: 114.0±56.5, p=NS). 3. 이차배양 10일째에 젊은군에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 활성도가 고령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젊은군: 935.5±115.0 U/mg, 노령군: 578.4±115.7U/mg,p.0.05). 고령군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미약했으며 전반적으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활성도가 젊은군에 비해 낮았다. 4. 이차배양도중 오스테오칼신 mRNA의 발현은 배양시기별로 젊은군에 비해 고령군에서 더 낮은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이차배양 10일과 15일에 젊은군에서 노령군보다세포증식이 유의하게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10앓 젊은군 0.73±0.05, 노령군 0.58±0.04, p=0.05, 15일; 젊은군 0.80±0.05, 노령군 0.70±0.03, p=0.05).결론: 이상의 연구에서 저자들은 노령군에서 젊은군보다 골수 내 중간엽줄기세포의 수가 적고, 노령군에서 유래한 전구조골세포의 성숙조골세포로의 증식 및 분화가 젊은군 보다 감소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Background: Osteoblasts originate from osteoprogenitor cells in bone marrow stroma, termed mesenchymal stem cells (MSCs) or bone marrow stromal cells. Each MSC forms colonies (colony forming units-fibroblasts [CFL-Fs]) when cultured ex vivo. There are some reports about the age-related changes of the number and osteogenic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but any relationship has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in humans. In this study, we counted MSCs using CFU-Fs count and examined the proliferative capacity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Finally, we analyzed how these parameters varied with donor age. Methods: Bone marrow was obtained from the iliac crest of young (n=6, 27.2±8.6 years old) and old (n= 10, 57.4k6.7 years old) healthy donors. Mononuclear cells, including MSCs, were isolated and cultured in osteogenic medium. In primary culture, we compared the colony-forming efficiency of MSCs between the two groups and determined the matrix calcification. When primary culture showed near confluence, the cells were subculture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steocalcin expression by RT-PCR and proliferative potential by MTT assay were examined by the time course of secondary culture. Results: At the 15th day of primary culture, the mean number of CFU-F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younger donors (young: 148.3±28.9, old: 54.3±9.1, p=0.02) and the mean size of CFL-Fs was also larger in the younger donors than the older donors. However, matrix calcifica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young: 103.6±50.6, old: 114.0±56.5, p=NS). In secondary cultur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lder donors. The younger donors showed peak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t day 10, while the older donors didn't showed a remarkable peak (young: 935.5±115.OU/mg, old: 578.4±115.7U/mg, p<0.05). Total cell number as a proliferative index increased progressively during the secondary culture and a significantly greater cell number was noted in the younger donors. Osteocalcin expression was generally upregulated in the younger donors,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Our study shows that the number of osteoprogenitor cells is decreased during aging and that the proliferative capacity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seem to be reduced during aging (J Kor SOC Endocrinol 18:296-305, 2003).

      • 조혈모세포이식 후 골성장인자의 변화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n Bone Mineral Metabolism

        백기현,오은숙,오기원,이원영,김혜수,권순용,한제호,강무일,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김춘추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5

        연구배경: 각종 장기이식의 시행이 많아지고 이식 후 생존율이 증가함에 따라 이식 후 합병증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조혈모세포이식 후에도 다양한 내분비적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골격에 대한 합병증도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조혈모세포 이식 후 발생하는 골소실에는 이식 후 초기의 골형성 저하와 골흡수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리라고 추측되는데 이러한 골재형성불일치(biochemical uncoupling)에 골 성장인자들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조혈모세포이식 전, 후로 말초 혈액에서 IGF-I, FGF-2, M-CSF같은 성장인자의 변화를 알아보고, 이들 성장인자의 변화가 조혈모세포이식 후의 골형과 골흡수에 미치는 영향 및 이식 후 발생되는 골량 소실과의 연관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여러 가지 혈액질환으로 인해 동종 골수이식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전향적으로 관찰하였으며 이식 전 및 이식 후 1주, 2주, 3주, 4주 및 3개월, 6개월 1년에 말초 혈액에서 골교체표지자를 측정하였다. 이식 전 및 이식1년 후에 요추골 및 대퇴골 골밀도를 측정할 수 있었던 3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냉동 보관되어 있던 혈청을 이용하여 IGF-I, FGF-2 및 M-CSF를 시기별로 측정하였으며 이들 성장인자와 골교체표지자의 변화 및 골밀도 변화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결과: 골흡수 표지자인 혈청 ICTP는 이식 전에 비해 이식 후 4주까지 점차 의의 있게 증가하다가 이후 6개월까지 더욱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골형성 표지자인 osteocalcin은 이식 후 3주까지는 점차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하여 이식 후 3개월 및 6개월에 기저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혈청 IGF-I과 FGF-2는 각각 이식 후 3주 및 1주까지 의미있게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하였으며 혈청 M-CSF는 이식 후 1주째에 기저치에 비해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가 이후 기저치로 회복되었다. 이식 1년 후 평균 요추부 골밀도는 5.2% 감소하였고 평균 근위대퇴골 골밀도는 11.6% 감소하였다. 이식 전 및 이식 후 3주에 측정한 IGF-I과 같은 시기에 측정한 오스테오칼신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으며 이식 후 3주째의 M-CSF와 골흡수표지자인 M-CSF 사이에서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식 후 3주 및 3개월에 IGF-I이 낮은 환자일수록 이식 1년 후 근위대퇴골에서의 골소실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조혈모세포이식 후 발생하는 골소실에는 기존에 알려진 기저질환의 영향, 성호르몬의 감소, 면역억제의 투여, 골수기질세포와 조골세포의 손상 및 이식초기 사이토카인의 변화이외에도 골성장인자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이식 후 발생되는 골량소실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Background: A loss of bone mass is usually detected after a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especially during the early post-transplant period. We recently reported that enhanced bone resorption following a BMT was related to both the steroid dose and the increase in IL-6. We also suggested damage to the marrow stromal microenvironment, by myoablation, partly explains the impaired bone formation following a BMT. It is well known that some growth factor play important role in bone growth and osteogenesis. However, the pathogenetic role of bone growth factors in post-BMT bone loss is unknown and data on the changes in the growth factors, in accordance with bone turnover markers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changes are scarce. We investigated changes in bone growth factors such as IGF-I (Insulin-like growth factor-I), fibroblast growth factor-2 (FGF-2) and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M-CSF), during the post-BMT period, and assessed whether the growth factor changes influenced the bone turnover and post-BMT bone loss.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prospective study to describe the changes in bone growth factors following a BMT. Methods: We prospectively investigated 110 patients undergoing a BMT, and analyzed 36 patients (32.4±1.3 years, 17 men and 19 women) whose BMDs were measured before, and 1 year after, the BMT. The serum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were measured before, 1, 2, 3 and 4 weeks, 3 and 6 months, and 1 year, after the BMT. The serum, FGF-2, IGF-I and M-CSF levels were measured before and 1 and 3 weeks, and 3 months after the BM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s of growth factors and various bone parameters was analyzed. Results: The mean bone losses in the lumbar spine and total proximal femur, calculated as the percentage change from the baseline to the level at 1 year, were 5.2(p<0.05) and 11.6%(p<0.01), respectively. the serum type I carboxyterminal telopeptide(ICTP), a bone resorption marker, increased progressively until 6 months after the BMT, but thereafter decreased, to the base value after 1 year. Serum osteocalcin, a bone formation marker, decreased progressively, until 3 weeks after the BMT but then increased transiently, and finally returned to the base level at 1 year. The serum IGF-I and FGF-2 also decreased progressively until 3 weeks 1 week after the BMT, respectively, then increased to the base values at 3 months. The serum M-CSF increased briskly at 1 week post-BMT, then decreased to the base level.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ercentage changes from the baseline proximal femur BMD and the IGF-I levels 3 weeks and 3 months (r=0.52, p<0.01, r=0.41, p<0.05) post BM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IGF-I and osteocalcin levels pre-BMT, and 3 weeks after the BMT. Another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M-CSF and the ICTP levels at 3 weeks post BMT (r=0.54, p<0.05). Conclusion: In conclusion,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serum IGF-I, FGF-2 and M-CSF levels in the immediate post-BMT period, which were related to a decrease in bone formation and loss in the proximal femoral BMD during the year following the BMT (J Kor Soc Endocrinol 17:664∼674, 2002).

      • 슬개골 연골 연화증의 진단 및 관절경적 치료(일일 수술)

        변기용,권순태,정상윤,이광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2000 충남의대잡지 Vol.27 No.2

        Purpose :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MRI in the diagnosis of chondromalacia patella and the result of Day surgery using LASER. Material and Method :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f 24 patients(25 cases) of chondromalacia patellae from April, 1995 to April, 1996. We used 1.5T MRI(GE Signa Avantage, Milwaukee, WL, U.S.A) as a diagnostic tool, and compared the site, shape and degree in MRI with arthroscopic findings. Arthroscopic chondroplasty was performed in the day surgery center using Ho-YAG LASER under local anesthesia, and the patients discharged and followed up. Result : In the diagnosis of chondromalacia patella,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ccuracy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MRI were 72%, 96%, 93% and 75% respectively. In the arthroscopic treatment using LASER, there were 20 cases of good and 5 cases of poor result, and there were no hemorrhagic effusion or reactive synovitis. Conclusion : In the diagnosis of chondromalacia patella, MRI revealed high sensitivity, specificity, accuracy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but, the lesser degree of chondromalacia, the lower sensitivity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Arthroscopic day surgery using LASER is effective in pain relief, cost-effective by short hospitalization period and has less complications such as hemorrhagic effusion or reactive synovitis. Thus, arthroscopic surgery using LASER in chondromalacia patella is thought as one of the useful methods of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