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J-R 곡선에 대한 시편크기의 영향에 관한 연구

        조연제,석창성,김영진,양원호,최용식 成均館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1995 論文集 Vol.46 No.1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onstraint effect on fracture resistance curves. A series of fracture toughness tests with different specimen sizes taken from nuclear piping materials(SA312 TP347 SA516 Gr. 70) were performed. Test results show that fracture toughness is increased with increase in specimen size, probably due to the relaxation crack tip constraint. Elastic-plastic finite element analyses were also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straint effect.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stress triaxiality at the crack tip is the governing factor for fracture toughness.

      • 도피불가능한 전기쇽이후 나타나는 통각억제 체계의 선택적인 활성화와 콜린성 체계의 역할

        조소현,조원호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도피불가능한 전기쇽 이후 발생하는 통각억제 체계중 어떤 요소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지, 또한 naloxone(Nal)의 사전처치에도 불구하고 통각에 대한 민감성의 감소가 약물의 투여로 인한 신경화학물질의 변화 때문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따라서 혐오성의 정도가 심한 도피불가능한 쇽을 가한후 hot-plate를 사용 통각에 대한 민감성을 측정한 결과, 훈련기에서 Nal집단과 Saline(Sal) 집단 모두 퍼센트 통각감소율이 높게 나타났다. 검사기에서는, Sal-Sal 집단과 Nal-Sal집단은 훈련기에서의 통각감소가 유지되는 반면에 Sal-Nal집단과 Nal-Scopolamine(Scop)집단은 각각의 생리식염수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도피불가능한 전기쇽 이후 통각억압 체계의 아편계와 비아편계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됨을 의미하고, naloxone의 사전투여 이후에 활성화되는 비아편계는 scopolamine을 투여했을때 통각감소가 역전된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naloxone으로 역전되지 않은 통각감소(naloxone-nonreversible hypoalgesia)는 ACh의 무스카린(muscarine) 수용기를 매개로 하여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이 결과는 콜린성 체계가 비아편계의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화학물질임을 시사해준다. The presen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which component of pain inhibition system is selectively active after inescapable electric shock and whether, inspite of naloxone pretreatment, the decrease of pain sensitivity was due to the change of neurochemical substance following drug. In result of assesing the pain sensitivity on using hot-plate apparatus after severe aversiveness of inescapable shock. Nal and Sal group were higher than baseline in the % analgesic rate in training phase. In the testing phase, both Sal-Sal and Nal-Sal group were maintained hypoalgesia but, both Sal-Nal and Nal-Scop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compared with each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opioid and nonopioid component of pain inhibition system were selectively activated after inescapable shock, and naloxone-nonreversed hypoalgesia was activated by mediation of chlinergic muscarine receptor, in view of that non-opioid hypoalgesia after naloxone pretreatment was reduced by scopolamine treatment. This results suggested that cholinergic drug is an important neurochemical substance in the activation of non-opioid hypoalgesia.

      • 고구려 기와 문양에 대한 연구 : 평양 출토 수막새를 중심으로

        조원교 국립중앙박물관 2013 고고학지 Vol.19 No.-

        필자는 1990년 8월 석사학위 논문 등 연구 논문을 통하여 연화화생(연꽃의 기운 또는 그 표현·연꽃에서 비롯되는 생명 탄생 또는 그 표현)에 등장하는 모든 문양과 표현은 상호 동격을 이루고 호환·교호하며 연계된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일부 문양은 연꽃의 기운과 움직임을 생생하게 나타내려고 연꽃을 여러 가지로 변형시키거나 도안한 것으로 보았다. 고구려 기와에는 연화문·인동문(당초문 포함)·직선문(선문 포함)·원문(동심원문 포함)·소용돌이 모양 문양·거치문 등이 표현되어 있다. 그런데 이 모든 문양들은 단순히 배치, 나열에 그친 것이 아니다. 필자의 위 주장처럼 어김없이 연화화생을 표현하였고, 연계시켜 도안한 것이다. 특히 인동문과 당초문은 연화문의 변형임과 동시에 연화문의 기운과 움직임(동작)을 표현한 것이다. 필자의 이 해석 방법은 기존 고구려 기와 연구의 동향 즉 각 문양들을 독립된 문양으로 파악한 것과는 큰 차이가 있다. 고구려 기와의 연화화생 표현은 당시까지 동북아시아 기와 역사상 가장 다양하고 능숙하며 또 치밀하다. 이는 고구려에서 연화화생 표현이 매우 보편적으로 자리 잡고 있었고, 도안에 고도의 학식(기하학 포함)을 갖춘 조직이 참여하였음을 뜻한다. 고구려 기와에 있는 다양한 문양과 구성 특히 이들이 함께 어우러진 다양한 연화화생 표현은 같은 시기 여러 나라의 것과 매우 다르다. 이 독보적 문화유산의 원류는 우리나라 쪽의 구석기·신석기·청동기시대라고 본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주장하는 기와 문양에 대한 해석 방법, 특히 연화화생에 관한 것은 단지 고구려 기와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동시기의 중국·백제·신라 그리고 이후 많은 나라들의 기와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그러나 이들은 고구려 기와에서 보는 위 다양한 문양이 등장한 연화화생이 없다. 대체로 연화문(연꽃잎 문양 포함)이 다양하게 표현된 연화화생이다. In my August 1990 master’s thesis and other research articles, I argued that all the patterns and expressions that appear in the yeonhwa-hwasaeng (C. 蓮华化生: purified energy & expression of life from the lotus; K. 蓮華·연꽃) form a mutual apposition and compatible alternation with equality. Some patterns in particular transformed the lotus flowers or designed them to vividly express the energy and movement of the purified lotus or yeonhwa. The Goguryeo roof tiles have expressions of yeonhwamun (蓮华文) or lotus patterns; indongmun (忍冬文) or palmette/honeysuckle patterns which include dangchomun (唐草文) or arabesque designs or foliage scrolls; jikseonmun (直線文) or straight line patterns which include line patterns (線紋); wonmun (圓文) or circle patterns which include dongsim wonmun (同心圓文) or concentric circle patterns; naseonmun (螺線文) or swirling patterns; and geochimun (鋸齒文) or saw-toothed patterns, etc. However, all these patterns are not simply displayed nor just listed. As I insisted previously, they are relatively expressed and copulatively designed in equality with each other. And together they are all from the yeonhwa-hwasaeng without exception. In particular, indongmun & dangchomun are transformed from the same yeonhwamun which is the purified form of lotus birth, yeonhwa-hwasaeng, as well as the expression of its vivid energy and movement swirling up and resulting in the purified birth of the physical lotus. This methodology of interpretation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pre-existing research which tries to understand each pattern separately when interpreting Goguryŏ roof tiles. Goguryeo roof tiles had the most sophisticated and diverse expression of the yeonhwa hwasaeng, the purified lotus birth, in Northeast Asia at the time. This shows that the expression of yeonhwa-hwasaeng in tiles was common in Goguryeo at that time and also shows the participation of a highly literate (including geometric) designers’ organization. Originating from the yeonhwa-hwasaeng, Goguryeo roof tiles of various patterns and their built-in combinations and configurations are expressed very differently from other countries at the time. I believe this originated from the Korean Paleolithic, Neolithic and Bronze Ages along a unique stream. Finally, this holistic methodology not only can be applied to only Goguryeo roof tiles but also to the ones of China, Baekje (百濟) and Silla (新羅) of the same period but also to many states afterwards as well. However, the roof tile pattens of those countries do not originate from the yeonhwa-hwasaeng of various patterns as the ones from Goguryeo but are usually based on the yeonhwamun or lotus leaf pattern.

      • 朴光前의 擧義와 그 一家의 의병운동

        趙湲來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3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2

        이 논문은 光海君의 스승인 竹川 朴光前의 삶과 그 일가의 義兵活動의 자취를 연구·검토함을 목적으로 한다. 죽천 박광전과 그의 두 아들 그리고 그의 임계영·문위세·김익복 등의 一家를 중심으로 형성한 전라좌의병은 5년 동안 지속되었다. 그들은 임계영을 의병대장으로 추천하여 전라좌의병의 지휘권을 맡게 하고, 유생들이 중심이 되어 의병을 모집하였다. 박광전은 보성 향리에 남아, 의병 모집과 군량조달 등의 후방지원활동을 폈다. 그러나 그는 당시 67세의 노령에 신병까지 겹쳐 있어 직접 군사를 지휘할 수 없었으므로 그리고 장남 根孝·처남 문위세·문인 鄭思悌를 주축으로 하여 탄탄한 의병조직을 갖추게 하는 한편, 문인 안방준을 兩湖都體察使 鄭徹의 군중에 파견하여 연락참모의 역할을 맡게 함으로써 조정과도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케 하였다. 李滉의 문하에서 학문적 영향을 받은 박광전은 진사시에 합격한 다음 柳希春의 추천으로 慶基殿 참봉이 除授되었고 이어서 獻陵參奉을 지낸 뒤 관직을 떠나 귀향하였다. 그 후 氷庫別坐에 다시 기용되었다가 1581(선조 14) 광해군의 潛邸時 王子師博를 지낸 뒤 司憲府 監察·咸悅縣監·懷德縣監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장남 根孝·처남 문위세·문인 鄭思悌를 주축으로 하여 보성에 의병을 조직 하였다. 그들은 개령·성주지방을 수복하는 전공을 세웠을 뿐 아니라 영남지방에서의 전세를 수세에서 공세로 전환시켰다는 사실이 주목된다. 따라서 박광전의 일가친척이 함께 펼친 임란 의병운동은 임진왜란에서 그친 것이 아니라, 『朴氏七賢擧義錄』이 말하듯이 丙子胡亂 때까지 계속되었다. 박광전 일가의 의병운동이 시작된 것은 죽천 자신이 임진년 신병 중에 67세의 노령으로 전라좌의병을 일으키면서부터이다. 그의 일가의 의병 활동과 관련하여 우리들이 주목할 것은 그들은 의병정신의 본질이 곧 儒者의 충의정신에서 비롯된 것이며, 따라서 의병의 戰力 역시 군사기술의 전투력에 있는 것이 아니라 道學의 학문정신이 발현된 정신 전력에 있음을 역설한 것이다. This is to investigate the life to Park Kwang Jeon(朴光前), a teacher of Kwang Hye prince, and is to trace the loyal troop's activities of his family. The Chon-Ra Left loyal troop had the group who was mainly made up of his family such as his two sons, his brother-in-law, his disciples as well as himself. Their activities had lasted for five years under the banner of loyal troops. They had Im Kye Young in an eastern area as their director and mobilized Confucian scholars. Park Kwang Jeon recruited soldiers, collected provisions, and supported the military headquarters in their rear. But he didn't attend direct military activities because of the old age, 67, and an illness. He, a disciple of Lee Hwang(李滉), passed a Jin-Sa examination and served as Cham-bong in Kyeng Gee Jeon(慶基殿) on the recommendation of Yu Hee Choon, provincial governor in Chon-Ra Do. After passing Princess teacher, Sa Heon Boo Gam-Chal(司憲府 監察), Ham Yel Hyun-Gam(咸悅縣監), Heo Duk Hyen-Gam(懷德縣監) and so on, he retired from the government position, and then he recruited soldiers in Bo Seong when Japanese military invaded. His consolidated loyal troops who were made up of volunteers as well as the military leaders like Park Geun Hyo, his first son, Moon Wyi Se, his brother-in-law, Jeng Sa Je(鄭思悌) of his disciple, defeated the enemy at the Kye Ryeong battle in Kyeong-Sang Do, and then recovered Seong Ju castle. It turned the defensive into the offensive in Young Nam area. Their Military activity kept on until Byeong Ja Ho-Ran(丙子胡亂). Park's family Chil Hyun Rok(朴氏七賢擧義錄) showed us that the loyal troops began by Park Kwang Jeon. In relation to his family's military activities, what we pay attention to is that their goal is based on not only a military achievement but also ethical activism. Their basic spirit came from the loyalty of a Confucian.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ir fighting strength is not a physical power but mental only based on a learning spirit.

      • 퍼지추론을 이용한 영상의 경계추출에 관한 연구

        조철호,최원호 울산대학교 1998 공학연구논문집 Vol.29 No.2

        경계의 검출과정은 세 단계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들은 영상 내의 잡음 등을 제거하기 위한 평활화 과정, 경계를 검출하는 과정, 그리고 추적하는 과정이다. 이들 중 평활화 작업과 경계의 검출과정에 퍼지추론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는 영상 내에 존재하는 미세한 경계의 특징 등은 보존하면서, 잡음 등의 원하지 않은 오염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국부 지역의 화소들의 특징에 근거한 퍼지 가우시안 평활화 필터를 적용하여 경계 정보는 보호하면서도, 평활화 작업을 수행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을 구현하였다. 이는 평활화 작업을 경계의 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각각 수행함으로서 가능하였다. 그에 대한 정도는 퍼지 규칙과 퍼지 소속 함수로 정의하였다. 이들에 대한 결과의 검증은 표준 가우시안 평활화 필터 등의 전통적인 영상처리 기술과 비교함으로서 확인하였다. The edge detection is one of the important subjects for image processing and analysis. It consists of three stages: smoothing for reducing noise in image data, detecting edge information, and tracing edges. In this paper, fuzzy reasoning algorithms are applied to edge detection and smoothing processes. It is shown that the fuzzy reasoning algorithms are somewhat effective to reduce contaminants and even to preserve minute edge information. A gaussian smoothing filter, which is based on local image characteristics, is used to reduce noises. To preserve edges,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is prohibited for the perpendicular direction of edges. The edge detection algorithm is enhanced by human's heuristic experience, which is represented in fuzzy rules and fuzzy membership functions.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standard image processing techniques.

      • MMA계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중성화에 대한 저항성

        조영철,형원길,김완기,소양섭 대한건축학회 2004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4 No.1(구조계)

        At present, the polymer-modified mortars are used as high-performance as well as multi-functional material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nthesize polymer to modify in cement mortars and make test samples to understand the resistance of carbonation. This paper deals with the effect of monomer ratio and polymer-cement ratios on the typical properties of polymer-modified mortars using Methylmethacrylate-Butyl Acrylate(MMA/BA) latexes synthesized through emulsion polymerization. From the results, we knew that the resistance for carbonation of polymer-modified mortars using Methylmethacrylate- Butyl Acrylate latexes i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monomer ratio of MMA/BA and the polymer-cement ratio. the resistance for carbbaonation of polymer-modified mortars using Methylmethacrylate-Etyl Acrylate latexes i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polymer-cement ratio. The most resistance for carbonation is MB8 and ME6 polymer-modified mortar.

      • 새로운 Polystyrene Ionomer의 합성과 열기계적 성질

        조원호,이상철 金烏工科大學校 1990 論文集 Vol.11 No.-

        Styrene과 Sodium 2-acrylamido-20methy1 propane sulfonate를 유화중합하여 측쇄에 이온성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공중합체의 공중합 조성에 따른 유리전이온도, 침투거동, 열분해 거동 및 흡승성의 변화를 각각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실험결과로 부터 합성된 중합체는 블럭성 공중합체인 것으로 밝혀졌다.

      • 공주 금학동 절터 출토 석조 광배에 관한 연구

        조원교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1 고고학지 Vol.17 No.-

        백제의 고도인 충남 공주시에 위치한 국립공주박물관 뜰에는 인근 공주시 금학동 절터에서 옮겨 온 대형 석조 광배가 있다. 이 광배의 제작 시기는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 학자가 백제 때 만든 것이라는 견해를 짧은 논문 안에 발표하였다. 이 연대는 외형이 연화형 전신광배에 연화문, 화염문이 강조된 점 그리고 공주의 역사 등을 감안한 것이다. 이 판단은 이후 비판 없이 그대로 수용되었다. 그리고 다른 연구도 없는 상황이다. 필자는 석사학위 논문 이래 문양과 도상에 대하여 줄곧 관심을 가지며 몇 편의 논문과 글을 발표하였다. 그 과정에서 금학동 광배의 양식과 문양, 계보와 유형을 파악하게 되었다. 금학동 광배의 양식과 문양을 분석하면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668-936년) 요소가 잘 어우러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주목되는 점은 외형이 삼국시대 양식이고 내부 구분 및 문양들이 통일신라시대 양식에 가깝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 광배의 삼국시대 양식인 외형과 연화문은 이 광배의 제작 시기를 올려 볼 정도로 두드러진 모습이고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통일신라 이후 광배 가운데 금학동 광배와 외형과 내부 구분이 서로 비슷한 광배는 총 8점이 있다. 이들은 공교롭게도 모두 옛 백제 강역인 전라도와 충청도에 위치하고 있다. 결과 금학동 광배의 삼국시대 요소는 백제 때부터 전승된 양식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금학동 광배와 같은 백제 양식을 담은 통일신라시대 광배는 이처럼 몇 예에 그침에서 보듯 당시에도 그다지 널리 유포되지는 않았을 것으로 본다. 이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금학동 광배의 본존도 찾았다. 그 본존은 금학동 광배 바로 옆에 있다가 국립공주박물관 뜰에 함께 전시된 금학동 출토 불상이다. 이는 길쭉한 비례를 지닌 금학동 광배의 본존이 입상일 것이라는 판단, 머리가 금학동 광배의 두광에 머무르는 점, 광배와 불상의 원래 위치·석질과 그 퇴색 상태 등을 종합하여 내린 결론이다. 이 본존으로 추정되는 불상에도 금학동 광배처럼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요소가 어우러져 있다. 금학동 광배는 이와 외형과 내부 구분이 유사한 9세기 통일신라시대 석조 광배보다도 삼국시대 요소를 보다 잘 간직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본존으로 추정되는 불상 역시 삼국시대 요소가 많이 반영된 통일신라시대 불상이라는 점 등을 종합할 때 약 700년경에 만들었다고 본다. In the middle of the garden in National Museum of Gongju(國立公州博物館) which is located in at an altitude of Baekje(百濟), Chungnam(忠南) Gongju(公州) there is a large stone Halo(Gwangbae 光背) which has moved from Gemhakdong(金鶴洞) temple site, located near from Gongju. The time when Halo(which name is derived from Geumhakdong Halo) has been made is known to be during Baekje era, according to Japanese scholar's short treatise during colonial rule times. This 'date' of a Halo is set according to outer appearance of Halo which emphasizes flame like look (hwayeommun 火焰文·光焰文) on the outer of lotus shaped all-around Halo as well as considering the history of Gongju which was capital of Baekjae era. After all, this decision was accepted without criticism. And other studies have been done so far. Since having a continuous interest on patterns and iconography(圖像), I have been working on several research and papers including master's thesis. In the process of research, I was able to identify forms, patterns, genealody and type of Geumhakdong Halo. By analyzing forms and patters of Geumhakdong Halo, you can find well blended elements of Samgook period(三國時代) and Unified Silla period(統一新羅時代, 668-936). Especially, it shows that outer pattern akin to Samgook period like look while interior forms more like that of Unified Silla period look. However, the outer appearance of Halo from Samgook period emphasizes lotus pattern which is prominent enough to take up a large proportion, considering production period of it. Especially, it shows that outer pattern akin to Samgook period like look while interior forms more like that of Unified Silla period look. However, the outer appearance of Halo from Samgook period emphasizes lotus pattern which is prominent enough to take up a large proportion, considering production period of it. Interestingly, all of them are located in Jeolla(全羅道) and Chungcheong(忠淸道) area which were territory of former Baekjae. This results in showing that Samgook period facts of Geumhakdong Halo are derived from Baekjae era. Since the middle of the Unified Silla, there are total of 8 similar Halo that shows similar appearance and internal separation to each other. However, it shows that Geumhakdong Halo which resembles the form derived from Baekjae era is not very widely spread even at the time being. During the course of the study's I were able to find principal(front) image of Geumhakdong Halo as well. The origin can be found from standing Buddha made of stone which is displayed right next to Geumhakdong Halo in garden of Gongju National Museum. This decision is made and done considering judgment that derives from facts which bases in that elongated proportions of the deity with two standing geumhakdong Halo must be standing type, head staying only at the head point (dugwang 頭光) of Geumhakdong Halo as well as considering the condition of original location of the statue, condition of stone and their fading status. Even a Buddah statue which is estimated to be origin of the Geumhakdong Halo shows similar appearance; mixture of Samgook period and Unified Silla era. In a conclusion Gemhakdong Halo is estimated to be made around 700th year during Unified Silla era considering the facts that it shows same appearance and internal separation of stones of Samgook period, more similar than that of 9th century Unified Silla period as well as the Buddah statue which is considered as the origin also reflects Samgook period although it's made during unified Silla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