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충무공과 해상의병

        원래(趙湲來)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3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

        임진왜란 당시 조선왕조는 상비군으로서의 관군을 보유하고 있지 못하였다. 물론 수군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작전 기능상 육상군과는 차이가 있었던 수군의 경우 기본적으로 바다에 익숙하지 못하거나 선박에 적응하지 못한 군사라면 수군일 수 없고 해전에 참전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였다. 그러므로 수군은 산간 내륙지방에 거주하는 군사들과는 무관했던 반면에 평소 바다에 익숙한 연해지역 출신의 군사들로 편성되게 마련이었다. 따라서 乱前부터 軍政不実에 기인하여 제대로 정규군이 갖추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해전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당장 두가지 조치가 선행되어야 했다. 하나는 행정력을 동원하여 군적에 오른 軍役 대상자를 捜括함으로써 정규군을 확보하는 일이었고, 다른 하나는 연해지역 士民들이 자발적으로 해전에 참전하거나 후방지원에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수군전력을 보강하는 것이었다. 전라좌수군이 실전을 주도하여 거듭 승첩할 수 있었던 요인의 하나가 바로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전라좌수사 이순신이 7년의 전쟁과정에서 무엇보다도 중시했던 것이 이 두가지 문제였으니 그의 장계와 난중일기의 내용이 그 같은 사실을 입증한다. 그런데 자발적인 참전이나 후방지원을 의미하는 것이 바로 의병활동인데 임란 당시 해전에 있어서는 의병활동이 없었는가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는 이에 대한 관심을 갖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당시의 수군실체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였다. 주로 수군지휘부의 전쟁능력만을 강조해 왔을 뿐이다. 따라서 임란의병은 육상에만 존재한 것으로 인식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전에서도 전라좌수군과 결합된 의병이 존재하여 활동했던 것이 사실이다. 즉 정규군이 아니면서 자발적으로 일어나 육상에서 싸운 군사를 의병이라 하듯이, 이와 구별하여 연해지역에서 봉기하여 전라좌수사 이순신의 지휘를 받으면서 해전에 참전했던 군사들을 해상의병이라 부른다. 이것은 반드시 해상전투에 참가한 의병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해상전투와 연계되어 해안지역에서 의병활동을 전개했던 군사들 역시 해상의병이라 할 수 있다.

      • 이순신과 鄭運 - 녹도만호 정운의 활동을 중심으로 -

        원래(Jo, Won-Rae)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9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1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okdo Man Ho Jeng-Un`s activities and military merit in the victory of naval battles in the ImJin year. Even though h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naval battles, there has not been any research on his activities. Therefore, we believe that it will be the first paper to inspect his genealogy and connections, his government career and a relationship with Yi Sun-Sin, and his activities and roles from the early ImJin-War to his death in the battle at Busan-Po. This study lays special emphasis on how greatly his activities and military merit influenced the victory of JeollaJwa naval forces. Also, it focuses on how important he played a role under Admiral Yi Sun-Sin`s command and leadership in naval battles. Finally, it is to investigate how his services in the battles were evaluated after ImJin war and at the time when Seon-Mu-Gong-Sin was elected. Also, it looks into how his military merit was re-evaluated in the Reign of Jeng-Jo of Joseon Dynasty and what the problem of choosing meritorious retainers was at that tim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임진왜란사 인식의 문제점과 연구과제

        원래(Jo. Won-rae) 한국사학사학회 2012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6

        The most critical flaw in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Imjin-War is the erroneous understanding of historical materials, which is the biggest reason that has hindered the progress of research on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 most needed materials in terms of historiography are not dispersed evenly over Korea, Japan and China, as it is commonly speculated, but the primary historical materials found in historical documents of the Chosun Dynasty in Korea. Therefore, based on extensive collection of historical documents and diverse war journals compiled at the time by the Chosun Dynasty and court records in Seonjo-Sillok, there should be comprehensively re-examination of and new researches o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addition, what is most critical for proper understanding of Imjin-War is to accurately ascertain the reality of the 7 year war. Why did militia lead the battle during the early period of war, not the regular forces of the court? Why was Japanese navy defeated battle after battle by the Chosun navy? What was the objective of Jeongyu Reinvasion by Japanese force? How was it different from the first invasion? There must be proper answers to these questions. In the early phase of the invasion, Japanese captured the capital city of Seoul only after 18 days after the completely lopsided victories over Chosun forces in a series of battles. The primary reason was absence of regular standing army of Chosun. They did have what was called government force , but it was not an army of trained soldiers. They were just soldiers comprised mostly of farmers conscripted by government official at the outbreak of war. They were not very different in terms of quality and composition from the army of militia led by Seonbi, Chosun scholars during the war. The Chosun Dynasty of the 16th century did not have the standing army of trained soldiers, which rendered them helpless during the early phase of Japanese invasion and therefore the privately organized militia led the war. Another issue that should be critically re-examined in the study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s that Japanese invaders had started a reckless war without being properly equipped with battle ships and weapons of naval warfare despite the fact that they were crossing the strait to invade Chosun. In addition, there should be more systematic research on how Chosun navy came to have such a powerful traditional naval power incomparable to that of Japan, the reality of Chosun's navy organization and Panoksun battle ship with firepower. In addition, the stories of naval battles between both countries must be recorded in history textbooks so that students can learn that the Chosun Dynasty was a traditional naval power in East Asia. Because there has been almost no study on Jeongyu Reinvasion, proper understanding of how brutal the effect of war was at the time was not achieved. Joengyu Reinvasion was retaliation against Imjin Invasion that occurred prior. It devastated the entire region of Jeolado province, the fertile agricultural ground. However, due to lack of researches on the reality of the reinvasion, it has been understood only in terms of the Great Naval Battle of Myeongrang, which occurred at the very end of the war. There has been little awareness of how brutal the outcome of the reinvasion was as a result of thorough retaliation. There should be more thorough studies on how Jeongyu Reinvasion was an invasion with utter cruelty and brutality unprecedented in history of wars in the world, and that Japanese invaders committed indiscriminate slaughter of ordinary people-old or young, man or woman- according to the order of Hideyoshi, cutting off nose and ears from the dead and from even living people without discrimination. 기존의 임진왜란사 인식의 맹점 가운데, 가장 먼저 지적되어야 할 것은 바로 그릇된 사료인식의 문제이다. 잘못된 사료인식이야 말로 충실한 임진왜란사 연구를 저해한 요인으로 작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임진왜란사 연구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사료들은, 흔히 생각하고 있는 것처럼 한 중 일 3국에 공히 분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조선측의 1차사료들이 집적된 한국의 문헌들이다. 따라서 당대에 이루어진 조선측의 방대한 문집자료들과 다양한 전쟁일기류, 그리고『선조실록』중심의 관찬사료들을 종합적으로 재검토하여 새로운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올바른 임진왜란사 인식을 위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7년전쟁의 실상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문제이다. 이를테면, 왜 조선측에선 정규군이 아닌 민병이 전투를 주도하였으며, 일본군은 해전에서 왜 조선수군에게 연전연패를 거듭하였는가? 그리고 정유년 일본군의 재침목표는 무엇이었으며, 당시의 전쟁양상은 1차 침략시와 어떤 차이가 있었는가? 이와 같은 물음에 답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개전 초기에 조선측이 일방적인 패퇴 끝에 불과 18일만에 수도 서울을 내놓았던 원인은 훈련된 정규군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관군이란 것이 있었지만 이것은 평소에 훈련된 국군이란 뜻이 아니었다. 관군이란 전쟁이 발발한 후에야 관리가 농민들을 모집하여 지휘했던 군사들이었을 뿐이다. 즉 비관인 출신의 선비들이 지휘했던 민병(의병)이란 것과 성분상 차이가 전혀 없었던 것이 당시의 관군이었다. 16세기의 조선왕조는 훈련된 상비군을 보유하지 못했던 상황에서 임진왜란을 당하였고, 따라서 민간에서 일어난 비정규군, 즉 의병이 전쟁을 수행했었다. 한편 섬나라 일본의 침략군은 바다를 건너 쳐들어오면서도 사전에 제대로 된 군선과 해상무기조차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무모한 침략전쟁을 일으켰으니, 이 또한 임진왜란사 연구에서 깊이 재검토되어야 할 문제이다. 이와 함께 조선수군의 전통적인 해상전력이 일본군과는 비교될 수 없을 만큼 막강했던 배경과 수군의 조직실체, 판옥선과 함재화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도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양국의 해전실상들을 역사교과서에 기술하여 조선왕조가 전통적인 해상강국이었음을 새롭게 인식시켜야 함은 물론이다. 정유재란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한 결과로 인해 당시의 전쟁피해가 얼마나 참혹하였는가에 대한 역사이해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정유란은 임진년의 제1차 전쟁에 대한 보복전쟁의 성격을 띤 재침전쟁이었고, 곡창지대인 전라도 전역을 초토화시킨 전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침의 전쟁실상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 못함에 따라 명량해전이 오직 대첩으로만 이해되었을 뿐, 그 결과가 철저한 보복으로 이어져 최악의 전쟁피해를 불러왔다는 사실을 알 수 없게 하였다. 정유재란은 세계전쟁사상 유례가 없는 잔혹한 침략전쟁이었다는 사실, 히데요시의 작전명령에 따라 일본의 침략군이 조선의 부녀자와 노약자들까지 잔인하게 살륙하였을 뿐 아니라 닥치는 대로 귀를 베고, 코를 절단하는 만행들까지 자행된 구체적 사실들이 밝혀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壬亂初期 해전의 승첩과 興陽水軍의 활동

        趙湲來 전남사학회 2002 역사학연구 Vol.1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ctivities of the naval forces which had leaded to victories in Heungyang region(now, called Goheung) during Japanes invasion of Korea(壬辰倭亂). In the early Japanes invasion, there was just Chollachowa naval forces(全羅左水軍) in Chosun Dynasty among which the soldiers of naval force camp in Heungyang revolved around the battle with Japan. so this study was engaged in Heungyang region which was strategic naval camp,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geographical importance of the region, namely the situation and phase of It as coast defense base. At that time, it was natural that the coast region in Cholla-Do became a base for navalbattles from a formation of naval forces. Most of all, Heungyang, a place of strategic importance, which was surrounded btF sea on four sides,made brilliant military gains, The reason that Chollachowa naval forces could take part in the battle in the Keyngsang-Do costal region for the first time was the decisive battle will of commanding officers in Heungyang naval forces including not only Jung Un, Nokdo Manho(鹿島萬戶), Song Hee-Rip. Also, it was fact that the naval forces which consisted of the natives in the region helped the victories in marine battles. They who were not regular soldier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trengthening of war potential of Chollachowa naval forces. So this study reveal that the activities of patriotic soldiers are worthy of note. The patriotic soldiers in Heungyang and reinforcements not only achieved brilliant war results but also accomplished their tasks for military provisions and local defense. Admiral Yi, the Chololachowa naval officer said all military provisions came from Cholla-Do but as the battle extended over a long period, Cholla-Do costal region had a difficulty suffered many privations. So Heungyang naval forces installed and cultivated Dunjeon(屯田 : the place owned by a nation for military provisions) in order to allot military provisions in a pasture of Doyang, and they supplied regular foods to naval crops. This study revealed that natives in Heungyang region had great roles and sacrificed themselves and carried heavy burden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