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SCI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SSCISCOPUSKCI등재
      • KCI등재

        젠더 관점에서 본 다문화 사회의 사회통합

        전경옥(Kyung Ock Chu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7 아시아여성연구 Vol.46 No.1

        이 논문의 목적은 이주 인구의 증가로 초래된 사회통합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주요 이주국들이 채택한 다문화주의 정책의 철학적 및 도덕적 근거와 적용에 있어서의 타당성과 한계를 젠더 관점에서 파악하고 젠더 평등을 지향하는 미래를 위한 보안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사회통합이라는 개념을 그 변화의 초점을 통해 알아보고 젠더 관점에서 볼 때 다문화주의 이주정책의 논리와 내용이 어떤 방식으로 해석되고 적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통합정책의 논리적 토대로서 지배적으로 선택되어지고 있는 다문화주의가 가진 논리적 강점과 약점을 보는 과정에서 여성 이주자의 사회통합을 위한 도덕적 조건을 분석하게 될 것이다. 둘째, 도덕적 조건에 대한 이해가 있다 하더라도 현실에 적용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이다. 이주의 여성화가 뚜렷해지는 상황에서 이주의 동기, 과정, 결과에 있어 다문화 사회에 담긴 젠더차이의 의미를 검토한다. 셋째, 이주정책이 동화의 포기와 분리의 불가피성이라는 극한 상황을 염려하게 하는 정도로 기대하지 않았던 방향으로 전개되는 가운데, 이주국들이 보여준 여성 이주자들에게 직접 영향을 주는 정책 변화를 통해 다문화주의의 원리와 현실 간의 괴리를 짚어 본다. 이를 통해 사회통합이라는 목표가 어떤 운명을 맞는가를 예측해 볼 수도 있다. 넷째, 결론에 앞서 젠더화된 다문화 사회의 문제 해결이 곧 사회통합을 성공시키는데 중요함을 명확히 하고, 현재 실행되는 다문화주의가 젠더 평등이라는 가치를 간과하지 않고 다문화 사회를 위한 최선의 대안이 되려면 구체적으로 어떤 철학이나 정책이 보완되어져야 하는가를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1) to understand multiculturalism as the policy principle for social integration in the multicultral societies formed by international migration, and 2) to apply gender perspective to criticize the definition of culture, multiculturalism, group rights, social integration and immigration policies. For the purpose, first, I will explore the concept of integration and it's path of change occurred especially in the existing major receiving countries such as Sweden, Germany and Canada. The globalization, feminization, and politicization of migration are the key phenomena caused the reevaluation of multicultural immigration policies. It is useful to speak of theoretical strength and weakness of multiculturalism to refer it's rationale and moral justification. This is important not only to meet the needs of increasing immigration population and the conflicts among the norms and expectatiohs of diverse minority groups but also to criticize the gendered socio-cultural adaptation programs supplied by the receiving countries. Second, I introduce the gender gap in migra tion through women's experiences in terms of the motivation of migration, the process of settlement, and the social status those women finally earn after migration which show most depressed gender gap. Third, many host countries of immigration such as Sweden, Germany and Canada seem to hesitate to continue their open policies facing conflicts between their 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and humanitarian intentions. It will b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ajor obstacles of humanitarian policies in multicultural societies and the direction of the change toward social integration in those countries in principle and reality for the future. Forth, emphasizing the need for correcting gendered multiculturalism, I will summarize the alternatives for improving the existing policy practice to promote gender equality.

      • KCI등재

        한국 여성 정치사 연구의 인식론과 방법론

        전경옥 ( Kyung Ock Chun ) 한국세계지역학회 2006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4 No.3

        이 논문은 기존의 역사 연구의 인식론과 방법론을 비판하고 여성사를 통해 젠더화된 역사에 대한 문제의식을 드러내며 이를 수정하기 위한 인식론과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은 크게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첫째, 여성사 연구가 기존의 역사 이해와 연구의 지배적인 방법론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인식론과 방법론을 명확히 제시하는 이론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다양한 주체와 그 주체의 입장이 반영된 전체사를 이룬다는 것을 밝힌다. 둘째, 젠더관계가 곧 정치적 관계이며 젠더관계를 통해 역사를 볼 경우 정치사의 범위가 새롭게 정의되면서 여성 정치사는 객관성을 대체하는 다양성과 그것을 위한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정치적 관계를 고려할 때 객관성이란 무의미하며 도덕적 정당성이 역사에도 적용되어야 함을 논의한다. 셋째, 새로이 제시된 인식론과 방법론을 적용할 때 한국 여성 정치사의 내용의 핵심을 보여준다. 여기서는 구술과 비공식 자료들을 이용하는 방식이 소개되며, 해방 이후 미군정 시기, 전쟁과 복구, 그리고 산업화와 개발 독재가 여성에게 어떤 의미인가를 보게 된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여성의 소외와 갈등이 1970년대를 넘기면서 본격화되는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 어떤 역할을 하는 가를 보게 된다. This paper aims at criticizing the existent epistemology and methodology of historical research, and presenting the way to criticize and revise the gendered history. This paper, first, presents the way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existent historical study, emphasizing subjectivity of the diverse agents who form the whole history. Second, it argues that gender relationship is itself political relationship and is the base of power relations between the gendered state and women as well as that between women and men. As a result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for political history will be enlarged. New conceptualization of history emphasizes that the objectivity without considering diverse actors in history is meaningless and moreover is not moral. Third, the review of the selected era, applying the feminist epistemology and methodology verify that the relationship among the state, society, and gender should be explored and that history must be reinterpreted including all of the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by those diverse actors. It is important to see what and how the gender structure influence on women`s life in such transition period as the US Occupation after independence,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and industrialization and dictatorship. Finally this research shows that women workers movement is critical for the direction of democratization in Korea.

      • KCI우수등재

        근대성과 성찰적 근대화 논의에 대한 페미니스트 비판

        전경옥(Chun Kyung Ock) 한국정치학회 2000 한국정치학회보 Vol.33 No.4

        이 논문의 목적은 근대성과 성찰적 근대화가 안고 있는 인식론적 한계를 비판하고, 그 대안으로서 페미니스트 인식론이 제시하는 내용을 근거로 근대성의 성찰적 근대화의 방향을 다시 설정해주는 페미니스트 인식론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 논문은 크게 네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근대성이 안고 있는 근본적인 한계로서 본성적인 차이에 근거한 차별을 정당화한 것은 남녀 차이에 대한 가부장적 인식론에서 비롯되며, 공적인 영역과 사적인 영역을 구분하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논리적이고 실질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지적한다. 여성은 남성과는 본성적으로 달라 사회적 역할에 적합하지 않다는 생각은 근대 정치사상의 정치적 관계 및 정치적인 것에 대한 생각을 정립하는 기초가 되었다. 또한 이렇게 고정된 차이에 대한 생각은 사회적 역할의 차이와 역할에 대한 기회 및 대우에 있어서의 차별을 당연시했다. 이 점에 대해 페미니스트 시각에서의 비판이 제기되었다. 둘째, 근대적 의미의 정치적 권리, 정치적 영역 및 정치적 관계를 적합한 본성과 자질에 근거하여 차별하는 것을 정당화한 데 대해 페미니스트 시각에서 비판한다. 셋째, 기존의 근대성 비판 혹은 성찰적 근대화의 논의들을 통해 이들 논의가 여전히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한다. 후기 산업사회에서는 자본주의와 자유 민주주의에 대한 반성과 재정립을 위한 시도가 성찰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진다. 그러나 이 조차도 근대성이 안고 있던 차이와 차별의 문제, 그리고 편협한 정치적인 것의 개념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넷째, 근대성의 형성, 발전 및 반성에서 여전히 극복되지 않는 문제를 페미니스트 인식론의 기본 철학을 통해 비판하고, 평등에 초점을 맞추고, 차이가 곧 차별의 토대가 될 수 없음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후기 산업사회의 인간성 상실과 불평등한 사회적 관계를 수정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제시된 페미니즘의 인식론적 가능성을 검토할 것이다.

      • KCI등재

        아인 랜드(Ayn Rand)의 ‘이기적 자기애’와 페미니즘

        전경옥(Kyung-Ock Chu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5 아시아여성연구 Vol.44 No.2

        이 논문은 아인 랜드(Ayn Rand)의 ‘자기애’ 개념의 이해를 통해 두 가지를 시도한다. 첫째, 도덕적 사회관계를 위하여 자유주의의 가치 중 ‘박애(사랑)’가 자유와 평등 못지않게 하나의 대안적 시각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는 믿음의 검토이다. 랜드의 ‘자기애’ 개념은 도덕적 사회의 근거를 설명하는데, 이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인간관계에서의 사람의 사회학적 의미를 성찰할 수 있게 한다. 둘째, 페미니즘의 시선을 통해서 랜드의 ‘자기애’를 평가하는 것은 랜드가 페미니즘의 발전에 시사하는 바를 확인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이 연구는 첫째, 아인 랜드의 인식론인 객관주의에 나타나는 이성의 역할과 그것의 ‘자기애’와의 관계를 통해 페미니즘의 인식론과 랜드의 인식론을 비교한다. 둘째, 랜드가 주장하는 이기적 개인주의가 자본주의 이상에서만이 실현 가능하다는 것에 대해 알아보고 랜드의 자본주의 인간형을 개인주의적 페미니즘의 도덕적 인간형과 비교한다. 셋째, 랜드가 강하게 비판하는 집단주의적 사회주의가 강조하는 형제애는 랜드에게는 어떤 형태로 나타나며 이것은 사회과학 패러다임을 바꾸려는 페미니즘에서 특히 사회운동 차원에서의 결속을 말하는 것과 어떻게 유사하거나 다른지를 비교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랜드 다시 읽기를 시도하는 페미니스트들의 논의 속에서 발견한 랜드를 평가한다. Ayn Rand, relatively less known among political theorists in Korea, proposes the way of understanding moral philosophy of rational self-interest as the very essence of liberal individualism. In her novels and philosophical writings Rand claims that individual's selfish reasoning is the only propelling force to fulfill the reason of existence of an individual and the individual's relationship with other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Rand's epistemology through the role of rationality in the objectivism as the basis of constructing moral society; to explain that Rand's selfish individualism can only be realized under the ideal of capitalism; to introduce Rand's criticism of the fraternal love the essence of collectivist socialism; and lastly to evaluate whether Rand's concepts and social assumptions can contribute to dialectical synthesis of what the feminists have tried to between their ideals and rea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