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연골 흡수가 내측연결 임플란트 매식체의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

        윤미정,윤민철,엄태관,허중보,정창모 대한치과보철학회 201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0 No.2

        Purpose: The change of the marginal bone around dental implants have significance not only for the functional maintenance but also for the esthetic success of the impl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ad transfer of internal conical joint type implant according to marginal bone resorption by using the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 Materials and methods: The internal conical joint type system was selected as an experimental model. Finite element models of bone/implant/prosthesis complex were constructed. A load of 300 N was applied vertically beside 3 mm of implant axis. Results: The pattern of stress distribution according to marginal bone resorption was similar. The maximum equivalent stress of implant was increase according to marginal bone resorption and the largest maximum equivalent stress was shown at model of 1 mm marginal bone resorption. Although marginal bone loss more than 1mm was occurred increasing of stress, the width of the stress increase was decreasing. Conclus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exposure of thin neck portion of internal conical joint type implant is most important factor in stress increasing. 연구 목적: 지금까지 성공적인 임플란트 치료를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임플란트 주변 골 흡수 현상에 대한 연구는 매우 관심이 높은 분야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삼차원 유한요소응력분석을 이용하여 변연골 흡수가 내측연결 임플란트 매식체의 기계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악골에 식립된 내측연결 형태의 임플란트 매식체에 티타늄 소재의 임플란트 지대주를 지대주 나사로 연결하고 상부에 금합금관을 장착하는 삼차원 유한요소모형을 설계하였다. 0, 1, 2, 3 mm의 변연골 흡수 상태를 적용하고, 교합면 중심에서부터 3 mm 편측에 300 N의 수직 하중을 가하여 임플란트 매식체에 발생하는 최대 주응력을 계산하였다. 결과: 유한요소분석결과 변연골 흡수에 따른 임플란트 매식체의 최대 주응력 분포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임플란트 매식체 상단에서 가장 높은 응력 집중이 나타났다. 최대 주응력은 처음 1 mm 변연골 흡수를 가정하였을 때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이후 변연골 흡수가 증가할수록 응력은 증가하였지만 응력 증가의 폭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로부터 내측연결 임플란트에서 매식체 두께가 얇은 경부의 노출은 변연골 흡수로 인한 응력 증가에 가장 큰 원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매식체의 변형, 균열 및 파절 등의 기계적 실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외과적, 보철적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일측성 질폐쇄 및 동측 신장 무발생을 동반한 중복자궁 2예

        윤일영,여소진,김형문,김정식,김태희,이해혁,남계현,이권해,김준모,김민의 순천향의학연구소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2

        Uterus didelphys with unilateral obstructed hemivagina and ipsilateral renal agenesis usually presents after menarch with progressive abdominal pain during menses secondary to hematocolpos, and indeed a very rare congenital anomaly due to Mullerian duct malformation. An accurate and prompt diagnosis is of importance to permit treatment and to assure the future fertility of the patient. Pelvic ultrasound, physical examination and pelvic MRI established a diagnosis of hematometracolpos secondary to uterus didelphys with unilateral imperforate hemivagina. An incision in the vaginal septum allowed drainage of the hematocolpos, providing relief of the patients symptoms. We report two case of uterus didelphys with obstructed hemivagina with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의 이차항암화학요법으로서 Docetaxel 단독요법의 성적

        강현모,이정은,장필순,이연선,권선중,안진영,정성수,김주옥,김선영 충남대학교 암공동연구소 2006 암공동연구소 업적집 Vol.5 No.

        Background : The survival benefit associated with first-line chemotherapy in lung cancer has led to the need for second -line chemotherapy, for which Docetaxel (Taxotere^(?)) has proven efficacy in both settings. This study evaluated the safety and efficacy of docetaxel in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who had failed first-line platinum-based chemotherapy. Methods : Thirty one patients with non-small-cell lung cancer, who had failed first line platinum-based chemotherapy, between March 1999 and August 2003, were enrolled in this study. Patients received intravenous docetaxel, either 75 mg/㎡ or 100 mg/㎡, with routine premedication every three weeks. Results : Fourteen patients (45.2%) had a partial response. The median survival and progression- free survival times were 12.5 months (95% CI 7.3-17.6) and 3.0 months (95% CI 1.6-4.5), respectively. This study showed 2 factors gave different survival benefits; the age (< 60 years: 20.1 months vs. > 60 years: 6.6 months, p=0.0105) and the histological type (adenocarcinoma: 25.6 months vs. others: 7.9 months, p=0.0055). The predominant toxicity was neutropenia, which occurred as WHO grade 3 or 4 in 38.7 % of patients. One treatment related death was also reported. Non-hematological toxicity was minor and easily controlled.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survival benefit and toxicity between the two doses. Conclusion : Docetaxel, as second-line monotherapy, was well tolerated and effective in patients with non-small-cell lung cancer who failed first line platinum -based chemotherapy. (Tuberc Respir DiS 2005: 58: 465-472) 연구배경 : 일차항암화학요법 후에 생존의 이득을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의 대다수가 결국은 재발하거나 진행성 병변을 보인다. 이에 저자들은 기존의 여러 연구에서 보고 된 구제요법으로서 docetaxel의 항암효과와 비교적 적은 독성의 결과를 바탕으로,platinum을 근거로 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밖았으나 개발되거나 진행된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docetaxel 단독요법의 치료효과와 부작용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조직학적으로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을 받고 platinum을 근거로 한 항암화학요법을 받았으나 재발 또는 진행성 병변을 보인 31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docetaxel 75 mg/m² 또는 100 mg/m²을 3주마다 정주하였다. 임상기록을 통한 후향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1) 재발 또는 진행성 병변을 보인 31명중 남녀 비는 24:7이고 중앙연령은 60세였다. 2) 반응평가로 완전 관해는 없었고 부분관해는 14명(45.2%), 불변이 10명(32.3%), 진행이 7명(22.6%)으로 전체적인 반응율은 45.2%이었다. 3)중앙생존기간은 12.5개월(95% 신뢰구간: 7.3개월 17.6개월) 이었고, 1년 생존율은 52%였다. 무진행생존기간의 중앙값은 3.0개월(95%신뢰구간: 1.6개월 -4.5개월)이며, 반응군에서의 중앙반응지속피간은 3.7개월(95% 신뢰구간: 3.0개월 - 4.4개월)이었다. 4) 60세 미만인 경우(20.1 months vs 6.6 months. p=0,0105), 조직학적 아형이 선암일 경우(25.6 months vs 7.9 months, 0=0.0055) 통계적으로 유의한 생존기간의 증가가 있었다. 5) 부작용으로 3도 이상의 백혈구 감소증은 12명(38.7%),호중구 감소증에 동반된 발열은 6명(19.3%),감염이 동반된 호중구 감소증은 4명(12.9%)에서 발생했다. 치료와 관련되어 1명이 사망하였다. 6) Docetaxel 용량에 따른 생존기간의 차이나 독성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 Platinum을 근거로 하는 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받은 후 재발 또는 진행성 병변을 보이는 비소세포폐암환자들에게 docetaxel을 투여하는 것은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항암치료법으로 사료된다.

      •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의 이차항암화학요법으로서 Docetaxel 단독요법의 성적

        강현모,이정은,장필순,이연선,권선중,안진영,정성수,김주옥,김선영 충남대학교 암연구소 2006 암연구소 업적집 Vol.5 No.-

        Background : The survival benefit associated with first-line chemotherapy in lung cancer has led to the need for second -line chemotherapy, for which Docetaxel (Taxotere^(?)) has proven efficacy in both settings. This study evaluated the safety and efficacy of docetaxel in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who had failed first-line platinum-based chemotherapy. Methods : Thirty one patients with non-small-cell lung cancer, who had failed first line platinum-based chemotherapy, between March 1999 and August 2003, were enrolled in this study. Patients received intravenous docetaxel, either 75 mg/㎡ or 100 mg/㎡, with routine premedication every three weeks. Results : Fourteen patients (45.2%) had a partial response. The median survival and progression- free survival times were 12.5 months (95% CI 7.3-17.6) and 3.0 months (95% CI 1.6-4.5), respectively. This study showed 2 factors gave different survival benefits; the age (< 60 years: 20.1 months vs. > 60 years: 6.6 months, p=0.0105) and the histological type (adenocarcinoma: 25.6 months vs. others: 7.9 months, p=0.0055). The predominant toxicity was neutropenia, which occurred as WHO grade 3 or 4 in 38.7 % of patients. One treatment related death was also reported. Non-hematological toxicity was minor and easily controlled.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survival benefit and toxicity between the two doses. Conclusion : Docetaxel, as second-line monotherapy, was well tolerated and effective in patients with non-small-cell lung cancer who failed first line platinum -based chemotherapy. (Tuberc Respir DiS 2005: 58: 465-472)

      • KCI등재
      •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이차 치료로서 Gemcitabine과 Vinorelbine 혼합 요법의 효과

        장필순,강현모,이정은,권선중,안진영,이연선,정성수,김주옥,김선영 충남대학교 암공동연구소 2006 암공동연구소 업적집 Vol.5 No.

        Background : Both gemcitabine and vinorelbine are effective anticancer drugs with mild toxicity on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monotherapy of these drugs are effective as a second-line chemotherapy. The aim of this trial was to assess the response and toxicity of a combination of gemcitabine and vinorelbine in patients of previously treated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 24 patients, initial stage III A/B,IV and previously treated with platinium and taxane based regimens, were enrolled from June 2000 to March 2004. The regimens consisted of vinorelbine 25mg/㎡ followed by an infusion of gemcitabine 1000mg/㎡ on day 1 and day 8 every three weeks. This course was repeated more than twice. Results : Twenty-four patients were analyzed for the response, survival rate, and toxicities. The overall response was 17% with a complete remission rate of 4%. The median time-to progression (TTP) was 3.1 months (95%, CI l-10months), and the survival time was 8.2 months (95%, CI 1-23 months). The grade 3/4 toxicities encountered were neutropenia (12.5%), anemia (0%), thrombocytopenia (0%). Non-hematological 3/4 toxicities were not observed. Conclusion : A combination of gemcitabine and vinorelbine in patients previously treated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provides a relatively good response rate, and a low toxicity profile. However,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confirm its effectiveness. (Tuberc Respir Dis 2005; 58: 344-351) 배경 : Gemcitabine, paditaxel, docetaxel, vinorelbine, ir-rinotecan 새로운 항종양제의 출현으로 일차 치료의효과가 증대 되고 있고 재발시에도 좋은 신체 활동도를 보이고 있어서 이차 치료의 대상군도 늘어나는 효과를 보이고 있다. 치료의 필요성은 증대 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표준 치료가 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Gem-citabine과Vinorelbine모두 독성이 강하지 않아서 혼합 요법이 가능한 장점이 있고 비소세포 폐암에 대한효과도 입증이 되어있어서 본 연구는 반응이 없거나 반응을 보인후에 재발된 진행된 비소세포 폐암에 ge-mdtabine과 vinorelbine 흔합 요법을 시행하여서 치료 반응률과 생존율 그리고 부작용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6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내원하여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 IIIA/IIIB, IV로 진단을 받고 일차 항암화학요법치료를 받은 환자중에 초기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치료에 반응이 있었으나 병이 진행된 환자로 추적 관찰 기간이 6개월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율과 반응률 그리고 독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 총 치료 반응률은 17%. 반응 유지기간의 중앙값은 3.1개월(1-10개월)이었고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8.2개월 (1-23개월) 그리고 1년 생존율은 35%였다. 항암화학요법에 의한 독성은 3도 이상의 중성구 감소가 12%, 오심과 구토가 12.5% 였다. 결론 : 일차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재발한 비소세포 폐암환자의 이차 치료로 gemcitabine과 vinorelbine 혼합요법은 효과적이라고 생각되며 향후 3상 연구를 통한다른 약제와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임플란트의 collar design이 변연골과 연조직에 미치는 영향

        유현상,강선녀,정창모,윤미정,허중보,전영찬 대한치과보철학회 201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0 No.1

        연구 목적: 임플란트 경부가 잘 설계된 경우 양호한 연조직 반응을 통해 변연골을 보존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실험에서는 연, 경조직 경계부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임플란트의 collar design이 변연골 변화와 연조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동물실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마리의 건강한 Beagle dog에 임플란트 collar design만 다른 두 종류의 임플란트(Neobiotech Co. Seoul, Korea)를 식립하였다. Collar에 bevel 을 부여한 군(Bevel 군)과 "S"자 형태를 부여한 군(Bioseal 군)으로 나누어 마리 당 7개, 군당 7개, 총 14개의 임플란트를 무작위로 식립한 후 Healing abutment를 즉시 체결하였다. 디지털 표준구내 방사선사진을 이용해 4주 간격으로 총 12주간 근원심 변연골 변화를 관찰하였고, 12주에 희생하여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 협설 변연골 흡수 및 임플란트 주변 연조직 반응을 평가하였다. Mann-Whitney test를 통해 동일한 방사선 사진 촬영 시점에서 근원심 변연골 변화량 및 조직계측치를 군 간 비교하였고, Kruskal-Wallis test를 통해 방사선 사진상 근원심 변연골 변화량이 시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군 내 분석 한 후 Duncan test를 통해 사후 검증하였다(α=.05). 결과: 방사선학적 분석 결과 각 촬영 시점에서 두 군간 근원심 변연골 변화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군 내에서 시간에 따른 근원심 변연골의 흡수량을 분석한 결과 Bevel 군에서는 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05), Bioseal 군에서는 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 4주및8주와 비교했을 때 12주에서 변연골의 증가를 보였다(P<.05). 조직학적 분석 결과 협설측 변연골 흡수량에서 두 군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05), Bevel 군에 비해 Bioseal 군에서 더 견고한 결합조직부착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생물학적 폭경의 값은 두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에 (P>.05), 접합상피부착은 Bevel 군에서 유의하게 길었고, 결합조직부착은 Bioseal 군에서 더 길게 나타났다(P<.05). 결론: Bevel 군에 비해 Bioseal 군에서 결합조직부착은 길게 형성된 반면에 접합상피부착은 더 짧게 나타났으며, 생물학적 폭경과 초기 변연골 흡수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연조직 반응의 차이가 실제 기능하중 하에서 변연골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mplant collar design on marginal bone change and soft tissue response by an animal test. MATERIALS AND METHODS. Two types of Implant (Neobiotech Co. Seoul, Korea) that only differs in collar design were planted on two healthy Beagle dogs. The impl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with a beveled collar (Bevel Group) and the second group with "S" shaped collar (Bioseal group). Standardized intraoral radiograph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mesio-distal change of the marginal bone. Histological analysis was done to evaluate the bucco-lingual marginal bone resorption and the soft tissue response adjacent to the implant. Mann-Whitney test was done to compare the mesio-distal marginal bone change at equivalent time for taking the radiographs and the tissue measurements between the groups. RESULTS. Radiographic and hist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rginal bone change between the two groups (P>.05). Histological analysis showed Bioseal group had more rigid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than the Bevel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biological width (P>.05). Bevel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nger junctional epithelium attachment and Bioseal group showed longer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P<.05). CONCLUSION. For three month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arginal bone change between the Bevel group and the Bioseal group. As for the soft tissue adjacent to the implant, Bioseal group showed longer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while showing shorter junctional epithelium attachmen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iologic width.

      • KCI등재

        금 합금 보철물의 교합면 삭제로 인한 임플란트-골 계면으로의 열전달에 관한 연구

        조재영,강선녀,정창모,윤미정,허중보,전영찬 대한치과보철학회 201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0 No.1

        연구 목적: 임플란트-골 계면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열은 골유착을 저해하여 임플란트의 실패를 유발한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임플란트 금 합금 보철물의 교합면 삭제시 임플란트-골 계면으로의 열전달 양상과 냉각 방식의 효율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온도 감지 장치 제작을 위하여 Internal cone 연결형태의 임플란트에 16개의K형 열전대를 부착하여 아크릴릭 레진에 포매하였다. 치과용 금 합금과 주조용 abutment를 사용하여 교합면에 3개의 요철을 가지는 시편을 10개 제작하였고, 연결 나사를 이용하여 임플란트와 연결한 뒤 온도 감지 장치를 37℃로 유지되는 수조에 위치시켰다. 저속 핸드피스와 green stone bur를 이용하여 30초 동안 보철물의 요철을 삭제하였는데, 무냉각군, 공기 냉각 군, 물 분사 냉각 군으로 나누어 요철을 삭제하였다. 보철물이 삭제 되는 동안 임플란트의 부위별로 온도가 0.05초 간격으로 기록되었고, 삭제를 멈춘 뒤에도 무 냉각 군의 경우 임계 온도인 47℃ 이하로 온도가 하강할 때까지, 공기 냉각군과 물 분사 냉각군의 경우 삭제 중단 후 30초 동안 추가로 온도를 기록하였다. 냉각 방식에 따른 임플란트-골 계면의 온도를 알아보고, 임플란트의 부위별 온도변화의 유의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Turkey HSD 이용하여 95% 유의수준에서 사후 검증하였다. 결과: 무 냉각 군은 임플란트-골 계면의 온도가 47℃ 이상으로 상승하였으며, 임플란트의 경부에서 유의하게 높은 열이 측정되었다(P>.05). 공기냉각군과 물분사 냉각군은 임플란트-골 계면의 온도가 47℃ 이하로 유지되었다. 무 냉각 군에서 임플란트 경부의 온도가 47℃에 도달되는 데는 약 10.8 ± 1.5초가 소요되었다. 공기 냉각 군과 물 분사 냉각 군 사이에서는 임플란트-골 계면 온도의 유의차가 없었다(P>.05) 결론: 이상의 결과로부터 임플란트 금 합금 보철물의 교합면 삭제 시, 임플란트 주위 조직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임계 온도 이상의 열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냉각방식은 공기 냉각과 물 분사 냉각 모두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mperature change along the implant-bone interface induced by grinding the occlusal surface of implant gold prosthesis and to compare the temperature generated by grinding of prosthesis with different cooling methods. MATERIALS AND METHODS. The experimental gold prostheses were fabricated with dental gold alloy and castable abutment. The prostheses had 3 cylindrical protrusions on the occlusal surface with 1mm in height. Temperature was measured using 16 thermocouple wires attached to the implant fixture surface and the fixture was embedded in an acrylic resin block inside the 37℃ water bath. Cylinders were grinded for a period of 30 second with a low-speed handpiece with green stone point. One cylindrical protrusion was grinded without cooling, the second one was grinded with air blow, and the third one was grinded with water-spray. RESULTS. The mean maximum temperature was measured more than 47℃ of the implant and the maximum temperature was measured at the cervical portion of the implant in the group without cooling.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ithout cooling and the groups with cooling (P<.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all portion of implant in the groups with cooling (P>.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at the grinding of implant gold prosthesis without cooling may damage the peri-implant tissue. The continuous use of air blow and water-spray adjacent to prosthesis during the grinding of implant gold prosthesis may prove to be beneficial for cooling of the implant.

      •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이차 치료로서 Gemcitabine과 Vinorelbine 혼합 요법의 효과

        장필순,강현모,이정은,권선중,안진영,이연선,정성수,김주옥,김선영 충남대학교 암연구소 2006 암연구소 업적집 Vol.5 No.-

        Background : Both gemcitabine and vinorelbine are effective anticancer drugs with mild toxicity on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monotherapy of these drugs are effective as a second-line chemotherapy. The aim of this trial was to assess the response and toxicity of a combination of gemcitabine and vinorelbine in patients of previously treated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 24 patients, initial stage III A/B,IV and previously treated with platinium and taxane based regimens, were enrolled from June 2000 to March 2004. The regimens consisted of vinorelbine 25mg/㎡ followed by an infusion of gemcitabine 1000mg/㎡ on day 1 and day 8 every three weeks. This course was repeated more than twice. Results : Twenty-four patients were analyzed for the response, survival rate, and toxicities. The overall response was 17% with a complete remission rate of 4%. The median time-to progression (TTP) was 3.1 months (95%, CI l-10months), and the survival time was 8.2 months (95%, CI 1-23 months). The grade 3/4 toxicities encountered were neutropenia (12.5%), anemia (0%), thrombocytopenia (0%). Non-hematological 3/4 toxicities were not observed. Conclusion : A combination of gemcitabine and vinorelbine in patients previously treated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provides a relatively good response rate, and a low toxicity profile. However,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confirm its effectiveness. (Tuberc Respir Dis 2005; 58: 344-351)

      • KCI등재

        다꾸지법을 이용한 구리와 타이타늄 마찰압접부의 용접변수의 영향에 관한 연구

        金成演,延倫模,鄭承富,徐昌濟 대한금속재료학회 2002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40 No.7

        This paper describes a fundamental investigation of the friction welding condition for the pure copper/ pure titanium joining and the effect of friction time, upset pressure on the mechanical and metallurgical properties of the joint. Taguchi method has been adopted for investigating the contribution of welding variables. Under a constant upset pressure, the tensile strength have a little difference with an increase in friction time. At a constant friction time, the tensile strength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upset pressure. The tensile fracture of Cu to Ti joint occurred at the Cu base material near the interf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