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산물 첨가 김치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및 관능성

        우민지 ( Min Ji Woo ),최정란 ( Jung Ran Choi ),김미정 ( Mi Jeong Kim ),장미순 ( Mi Soon Jang ),조은주 ( Eun Ju Cho ),송영옥 ( Yeong Ok Song ) 부산대학교 김치연구소 2012 김치의 과학과 기술 Vol.15 No.-

        문어, 오징어, 전복 및 주꾸미를 첨가하여 담근 수산물 첨가 김치와 일반 배추김치를 5℃에서 8주간 저장하면서 김치의 관능성 및 이화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수산물 첨가 김치의 pH와 산도는 일반 배추김치와 같이 정상 발효 패턴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중 수산물 첨가 김치의 pH는 일반 배추김치에 비해 높았고 이에 반해 산도는 수산물 첨가 김치가 일반 배추김치보다 높았다. 수산물 김치의 젖산균 최대 균수는 Lactobacillus spp. 8.31~8.85 log CFU/mL, Leuconostoc spp. 7.60~8.14 log CFU/mL로 일반 배추김치에 비해 높았는데, 이는 수산물 첨가 김치의 환원당 함량이 높았기 때문이다. 적숙기(pH 4.3±0.1, 산도 0.7±0.1 )에 도달하는 시기는 일반 배추김치, 전복김치 및 주꾸미김치가 저장 2주째, 문어김치 및 오징어김치가 저장 3주째로 나타났다. 과숙기(pH 4.0 이하, 산도 1.0% 이상)는 오징어김치(저장 6주째)를 제외한 모든 군이 저장 8주째로 나타났다. 과숙기의 산도는 일반 배추김치가 가장 낮았다. 적숙기 김치의 관능평가는 객관적 평가의 경우 수산물 첨가 김치의 신맛, 신내 및 탄산미가 일반 배추김치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기호도 평가 항목 중 수산물 첨가 김치의 종합적인 평가는 일반 배추김치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고, 특히 김치의 질감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수산물 첨가 김치의 외관 및 맛은 일반 배추김치와 유사하였으며, 김치냄새는 다소 낮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수산물을 첨가한 김치는 일반 배추김치와 같은 발효양상을 보였으며, 관능평가 결과 수산물 고유의 감칠맛으로 김치의 맛을 더욱 증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afood added kimchi (SAK) during fermentation and its sensory properties. Korean cabbage kimchi (KCK) and four different SAKs were prepared and stored at 5℃ for eight weeks. The SAKs contained pre-treated octopus, squid, abalone, and webfoot octopus added at 12% (w/w) to the brined Korean cabbage. The fermentation patterns of SAKs were similar to those of KCK, indicating that the SAKs followed a typical fermentation process. Comparison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AKs with KCK revealed that the pH and acidity of SAKs was higher. The maximum concentrations of Lactobacillus spp. and Leuconostoc spp. for SAKs ranged from 8.31~8.85 and 7.60~8.14 log CFU/mL,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for KCK. Therefore, the production of organic acids by microorganisms was greater in SAKs, which explained the higher acidities of the SAKs. Nitrogenous compounds hydrolyzed during fermentation, as well as reducing sugars and other nutritious compounds in SAKs might provide a good medium for lactic acid bacterial growth. Sensory evaluation was carried out using optimally ripened kimchi (pH 4.3±0.1, acidity 0.7±0.1), and the scores for sour taste, sour smell, and carbonated taste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SAKs than KCK. In the preference test,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SAKs than KCK.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among SAKs upon subjective and preference evaluations. In conclusion, the fermentation patterns of SAKs were normal, regardless of seafood sources, and their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comparable to or superior than those of KCK due to free amino acids, nitrogenous compounds produced during the fermentation, and reducing sugar present in the seafood.

      • KCI등재

        유아 스마트교육 관련 미디어 연구동향 분석: 한국과 미국의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우민지(Woo, Min Ji),타오양(Tao, Yang),임민정(Lim, Mi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스마트교육과 관련한 한국과 미국의 미디어 연구들을 대상으로 학술지 논문 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7년 11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자료수집 및 분석이 실시되었고, 2018년 7월부터 9월 동안 타당도 검증을 위한 추가분석이 수행되었다. 연구동향 분석을 위한 자료수집은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최근 7년간 출간된 국내 논문 79편과 미국 논문 50편, 총 129편을 선정하여, 출간년도,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의 준거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연도별 논문편수는 한국과 미국 모두 증가 추이를 나타냈으며, 국내는 2012년 이후 출간된 논문편수가 급증하였다. 둘째, 연구주제는 양국 모두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한국의 경우 스마트교육의 인식 및 현황, 미국은 이론 및 철학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셋째, 연구대상은 한국의 경우 유아, 매체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졌고, 미국은 유아, 교사 순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연구방법으로는 한국의 경우 양적 연구가 빈번히 사용되었고, 미국은 문헌 연구의 빈도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유아 스마트교육의 적용을 위한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smart education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data collection and preliminary analysis were conducted from November 2017 to January 2018, following by additional final analysis from July to September in 2018. 79 Korean and 50 US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2011 to 2017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the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per year, research topics, subjects, media use, and research methods. The analysis revealed that first, publication on early childhood smart education has steadily increased, with a sharp increase in Korean studies since 2012. Second,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research topics have commonly focused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smart education. Korean studies have showed a strong interest in identifying viewpoints toward smart education and educational conditions, while US studies have relatively preferred examining topics of theory and philosophy. Third, the most frequently studied subjects were children in both countries, followed by the subject of media in Korea and the subject of teachers in the United States. Fourth, quantitative methods were frequently used in Korean studies while the method of literature review showed more popularity in the United States. Based on th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보육교사에 대한 신문기사와 TV뉴스의 담론분석

        임민정(Lim, Min-Jung),우민지(Woo, Min-Ji),백지혜(Baek, Jee-Hea)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3

        최근 우리사회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참여가 확대되면서 영유아 및 가정을 위한 보육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와 관련하여 신문기사와 TV뉴스에서 보도된 담론을 살펴보고, Gee의 담론분석 방법을 통해 텍스트의 언어 작용과 보육교사 담론이 구성하는 이념과 실제를 비판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신문기사와 TV뉴스의 보육교사에 대한 담론은 ‘보육교사’, ‘보육서비스’, ‘아동학대’의 유형으로 도출되었고, 보육교사에 대한 우리사회의 논점을 반영하는 거대담화로 간주되었다. 또한 보육교사 담론으로 분류된 70편의 보도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들은 지도관리가 필요한 규제의 대상으로 승인되어 영아보육에 대한 전문성을 배제 받고 있었다. 보육교사 담론에서는 보육교사의 열악한 근무환경과 처우에 대한 개선 요구가 높았으나 노동자로서의 권리 보장과 교사로서의 책무 간에 이중 잣대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신문기사와 TV뉴스의 담론에서 보육교사는 양육자 정체성을 지니고 모성을 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교사-양육자로서 중첩된 전문성을 요구받으며 이중으로 소외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The provis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for children and families has received growing attention in Korean society, as women laborers are necessarily required in sustaining the economy. This study examined how childcare teachers have been represented in the Korean news by utilizing discourse analysis on newspaper articles and television news. Gee’s approach was adopted as a tool of inquiry into the details of language used in the texts and into what the discourses intend to accomplish in the world by the way in which they have used the aforementioned language. This analysis identified three major big “C” conversations focused on “childcare teachers, childcare services, and child abuse.” The detailed analysis on language used in the texts revealed disciplined, marginalized, and self-sacrificial discourses on childcare teachers, being conceptualized as subcontracted mothers. A double standard was set at work between laborer wellbeing and teacher accountability in the discourses regarding wages and working conditions for childcare teachers. These discourses may contribute to the childcare teachers’ ambiguous professionalism complicated by teaching and caring, consequently imposing a normalized assumption that their professional alienation is taken for granted.

      • KCI등재

        방울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 Mill.) 생산단계에서 Fluopicolide 및 Metrafenone의 잔류허용기준 설정

        허경진 ( Kyung Jin Hur ),우민지 ( Min Ji Woo ),김지윤 ( Ji Yoon Kim ),( Manoharan Saravanan ),권찬혁 ( Chan Hyeok Kwon ),손영욱 ( Yong Wook Son ),허장현 ( Jang Hyun Hur ) 한국환경농학회 2015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4 No.4

        BACKGROUND: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aimed to predict the pre-harvest residue limits (PHRLs) of the fluopicolide and metrafenone on cherry tomato and to estimate their half-life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sidues.METHODS AND RESULTS: Pesticides were treated once on cherry tomato in field 1 and 2 under the standard application rate. The samples were collected 7 times at the end of 0(2 hours after pesticides spaying), 1, 2, 3, 5, 7 and 10 days before harvest. Residues of fluopicolide and metrafenone were analyzed by the LC-MS/MS. In this study, the method limit of quantification (MLOQ) for both fluopicolide and metrafenone in cherry tomato was found to be 0.005 mg kg-1. Their recovery levels were 92.7∼94.8% and 82.6∼88.0%, shown with coefficient of variation of less than 10%. Half-life of fluopicolide and metrafenone in field 1 and 2 were found to be 15.0 days and 12.8 days, 18.9 days and 21.5 days, respectively.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hows the level of PHRL on cherry tomato is 0.27 mg/kg for fluopicolide and 2.29 mg/kg for metrafenone at 10 days before harvesting.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e residues of both pesticides on cherry tomato will be below maximum residue limit (MRL) at harvest.

      • KCI등재

        코로나19 전후 열린어린이집의 운영 변화: 원장의 인식을 중심으로

        김진아(Kim, Jin-Ah),우민지(Woo, Min-Ji),임민정(Lim, Min-J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28

        열린어린이집은 아동인권존중 및 안심보육 조성을 위한 사업으로서, 부모참여가 일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방성을 높인 어린이집 운영형태이다. 본 연구는 열린어린이집을 운영하는 7명의 원장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전후 열린어린이집 운영에 관한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고, 코로나19 대응으로 인한 운영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기간은 2019년 3월 부터 2020년 10월에 걸쳐 진행되었고, 개인별 3회기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열린어린이집의 부모참여는 가정과 어린이집 간의 신뢰를 형성하는 연대의 장을 제공했으며, 코로나19 대응을 통해 가정연계의 차원으로 확장되어 운영되었다. 둘째, 개별 가정의 요구에 맞추어 운영되던 부모소통은 코로나19 대응에 따라 온·오프라인으로 다변화되었고 수평적이고 쌍방향적인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셋째, 상시개방되던 열린어린이집의 물리적 환경은 코로나19 대응에 따른 출입제한으로 공간기능의 변화가 시도되어 개방성에 대한 새로운 의미가 창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열린어린이집 운영을 포함하여 보육현장의 코로나19 대응과 지원을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As a governmental project for children’s rights and quality childcare provision, the open childcare center is a type of service operation that improves openness to participation by parents in everyday childcare.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even directors from different open childcare centers, and identifies operational changes in open childcare centers i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research period spanned from March 2019 to October 2020,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ree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childcare directors. The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participation provided a place of solidarity and trustfulness between families and open childcare centers, and has been expanded to home involveme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response. Second, parental communication tailoring to the needs of individual families has been diversified to on- and off-line and transformed to be an equal, bidirectional communicative mode i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Third, physical space of the open childcare center, which had been always accessible by parents, came to be restrictively prohibited by the COVID-19 pandemic response and has changed its functioning, creating a new meaning for opennes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supporting open childcare centers to cope with the COVID-19 crisis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