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낙오자와 영원인 -서정주의 신라 기획과 전율의 시학-

        정영진 ( Young Jin Jeong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1

        서정주는 당대의 허무주의를 현대 서구문명의 병폐로 이해했으며 신라정신을 통해 이 문제를 극복하고자 했다. 이 글에서는 우선 서정주의 신라정신이 그가 상상한 신라 사회에서 어떤 방식으로 기능하고 있었는지 살펴봄으로써, 서정주의 신라 기획이 사회문화적 가치체계로서 제안된 것이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서정주가 상상한 신라 사회는 현실규범과 현실논리에서 낙오한 이들이 영원성의 세계 속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사회였다. 이 ‘낙오자’들은 비록 현실로 복귀할 수 없지만 영원성의 세계에 거주하면서, 신라인들에게 영원성의 세계를 현시한다. 즉, 그의 신라 기획은 사회통합적 성격을 내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서정주의 시에는 이러한 신라사회의 모습이 전혀 드러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서정주는 서구정신과 신라정신의 대립이나, 현실세계와 영원성의 세계의 관계 역시 시에서 다루지 않는다. 그의 시에서 신라의 ‘영원인’들은 현실사회에서의 낙오자의 성격이 삭제된 채, 사랑의 주체로 나타난다. 이들은 다만 새로운 앎과 감동을 소유하고 절대적 세계를 현시한다. 즉, 신라 기획의 일부만이 시에 바쳐졌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서정주의 시인식에 따른 결과이다. 서정주는 현대시가 ‘전격적 쇼크’ 혹은 ‘전율’로 체험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신라 기획의 사상적 성격을 모두 제거하고, 불사(不死)의 이미지로 전형화 된 영원성의 세계만을 시화(詩化)했다. 불사의 이미지들은 현실 전부를 점유해버리는 현실초과의 성격을 띠는데 이로 인해 그것은 영원성으로 감각된다. 다시 말하면 현실에서의 절대성이 영원성으로 치환되고 있는 것이다. 서정주 시(중기시)의 개성(스타일)의 확립은 신라정신이라는 보편적 사상 기획에 근거한 것이기는 했지만, 동시에 순수시에 대한 신념과 현대사회에서의 시의 효과에 대한 그의 시인식에 따라 신라 기획의 일부만을 미학화 한 결과였다. Seo Jeong-ju understood nihilism at the time as a social ill of modern western civilization, and sought to overcome this problem through the Silla spirit. This article seeks to show that the Silla planning of Seo Jeong-ju was suggested as a sociocultural value system by examining how Seo Jeong-ju`s Silla spirit was functioning in the Silla society he imagined. The Silla that Seo Jeong-ju imagined was a society allowing those who failed in terms of the norms of reality and logic of reality to be born again within the world of eternity. Although these losers may not return to reality, they could show the world of eternity to the people of Silla, while residing in the world of eternity. Seo Jeong-ju`s Silla planning implied a character of social integration. However, Seo Jeong-ju`s poetry do not reveal such features of the Silla society at all. Not only that, Seo Jeong-ju does not deal with the conflict between the western spirit and Silla spiri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of reality and world of eternity in his poetry. The ‘people of eternity’ of Silla appear as the main agents of love in his poetry, and these agents display an absolute world and possession of new knowledge and impression. Thus, in other words, only a part of the Silla planning has been dedicated to his poetry, which is a result of Seo Jeong-ju`s cognition on poetry. Because Seo Jeong-ju believed that modern poetry must be experienced through ‘lightning shock’ or ‘thrill’, he removed all ideological characters of Silla planning, and only treated the world of eternity, which was embodied through the image of immortality, in poetry. The establishmen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tyle) of Seo Jeong-ju`s poetry (middle-period poetry) was based on the planning of a universal idea called Silla spirit, however, was also a result of treating only a part of the Silla planning aesthetically based on his cognition on poetry, concerning the effect of poetry in modern society and his principle on pure poetry.

      • KCI등재

        1950년대 가난과 보수주의 시학

        정영진(Jeong, Yeong-Jin) 동악어문학회 2015 동악어문학 Vol.64 No.-

        1950년대 경제적인 가난은 명백한 사실이다. 하지만 시에서는 별로 가난에 대해 관심이 없었다. 궁핍한 생활에서 비롯한 고독과 비애의 정서를 발견하기는 쉽지만, 가난을 전면적으로 다루는 시들은 아주 적다. 서정주는 말한다. “가난이야 한낱 남루에 지나지 않는다.” 이렇게 말할 수 있는 까닭은 무엇일까. 이 글은 서정주의 시를 당대 한국 현실을 리얼하게 다룬 소설들과 겹쳐 읽으면서, 서정주 시의 미적 이데올로기와 시장경제 원리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1950년대 ‘가난’이 저항 담론의 수행성을 구성할 수 없었던 까닭과 서정주 시의 보수주의 미학의 성격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1950년대 서정주 시처럼 자본주의 세계의 질서와 원리를 고유한 자기 원리로 번역해 낸 시인은 없어 보인다. 이때의 자본주의 질서와 원리란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체계라기보다는, 인간의 본성에 따라 사익을 추구하고 개인들은 최대의 만족을 얻기 위해 자유롭게 시장에 참여하며, 이때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형성된다고 보는 ‘시장 원리(maket principle)’를 의미한다. 경제주체들의 자유로운 경쟁이 이루어지는 시장은 자기 조절 기능이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개입이 시장의 흐름을 깨는 것으로 간주된다. 서정주는 역사적 신체를 배제하고, 인간의 타고난 본성들의 향연을 이상화했다. 그는 훼손되지 않은 본연의 인간성이 다른 수많은 본연의 생명들과 자연스럽게 교류하는 세계에 영원성 내지 절대성을 부여하고자 했다. 서정주는 시장 지향의 심성(mentality)이 구축되어가는 전후사회의 집단적 무의식-교환의 감각을 내면화하는 등-을 대담하게 구도를 잡아 미학화 했다고 볼 수 있다. 어쩌면 서정주에게 전통은 ‘동양’이나 ‘신라’에 있다기보다는 ‘현실’을 수용해가는 민중들의 집단적 무의식 차원과 결부지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서정주의 보수주의 미학(시학)의 핵심은 바로 현실수용의 구조를 미학화 하는 데 있기 때문이다. The economic poverty during the 1950s is a clear fact. However, poems did not have much interest in poverty. It is easy to discover the sentiment of solitude and sorrow based on impoverished life, and, however, there are an extremely small number of poems that overall deal with poverty. Jeong-ju Seo says “Poverty is nothing but merely being ragged.” What is the reason he can make such a statement?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esthetic ideology of the poems of Jeong-ju Seo and the principles of market economy, while reading both the poems of Jeong-ju Seou and the novels that realistically depicted the realities of Korea during the time.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nservatism aesthetics of the poems of Jeong-ju Seo and the reason that ‘poverty’ was not able to compose the performance of the confrontation discourses in the 1950s. There seems to have been no poet that translated the orders and principles of the capitalism world into his or her own unique principles as the poems of Jeong-ju Seo had in the 1950s. The orders and principles of the capitalism world means the ‘market principle’ that considers that human beings pursue their own interests pursuant to human nature, individuals freely participate in the market to obtain maximum satisfaction, and the price is formed by an ‘invisible hand’ pursuant to demand and supply, rather than meaning a system that has its objective as profit-seeking. Because a market where free competition by economic agents is formed has a function of self-control, artificial intervention is regarded to break the flow of the market. Jeong-ju Seou excluded the body of history and idealized the banquet of the inner natures of people. He sought to grant absoluteness or eternal nature to the world where the undamaged human nature naturally interacts with the numerous other natural organisms. Many believe Jeong-ju Seo forms an aesthetic sense by boldly grasping the composition of the group unconsciousness in the postwar society ? internalization of the sense of exchange - where a market-oriented mentality was being constructed. Maybe, the tradition to Jeong-ju Seo could have been combined with group unconsciousness of the public accepting the ‘reality,’ rather than the ‘East’ or ‘Silla.’ That is because the core of the conservatism aesthetic (poetry) of Jeong-ju Seo is in making an aesthetic sense in the structure of acceptance of reality.

      • KCI등재

        茂亭 鄭萬朝의 친일로 가는 思惟

        정은진(Jeong, Eun-jin) 대동한문학회 2010 大東漢文學 Vol.33 No.-

        본 논문은 茂亭 鄭萬朝(1858∼1936)의 친일로 가는 사유를 고찰한 것이다. 이에 앞서 그의 저작이나 가계, 사상, 교유 등에 관해서도 간단히 살펴보았다. 무정은 소론계 명문 집안인 동래정씨 가문에서 태어났다. 사상적으로도 양명학에 관심을 지니는 등 주자학적 권위에만 매몰되려 하지 않았다. 그는 沈大允(1806∼1872).姜瑋(1820~1884)의 가르침을 받았고, 李建昌(1852~1898).黃玹(1855~1910).金澤榮(1850~1927).呂圭亨(1849∼1922).鄭寅普(1893~1950년 이후) 등과 교유하기도 하였다. 이들 중에는 20세기 전후 지성계를 이끌며 조선의 독립과 민족의 자존을 지키려고 노력한 인물도 있었고, 무정처럼 친일로 선회했던 인물도 있었다. 무정은 을사오적처럼 천인공노할 만한 친일행위를 한 것은 아니지만, 일본에 협조하고 그들이 주는 벼슬을 받았다. 이에 무정의 삶의 행력을 중심으로 친일로 가는 사유를 단계적으로 점검하게 된 것이다. 무정은 젊은 시절 東道西器의 관점을 견지하고, 자주적 근대화를 추구해야 한다는 입장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부패 관리 척결, 균형 있는 인재등용 등을 강조하였다. 이후 김홍집이 이끄는 갑오개혁의 중심에서 활약하기도 하였으나, 그 과정에 친일적 면모를 보였고 시속과 부합하게 되었다. 또한 명성왕후 시해 사건에 연루되어, 전라도 진도에서 12년간 유배의 체험을 겪으면서 더욱더 친일적 성향으로 우회하였다. 해배 후에는 산업화와 군사력을 겸비한 일본의 문명화에 매료되어, 일본을 문명의 모델로 설정하고 추수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書同文'이라는 사고의 틀로 유학과 한문을 중시하며, 일본과의 공통점을 찾고 연대를 강조하기에 이르렀다. 때문에 그는 친일인사들과 '以文會' 등을 결성하고, 그 성과물을 『매일신보』.『조선문예』등의 매체에 게재하였다. 또한 일본이 창설한 경학원의 부제학과 대제학을 맡고, 『경학원잡지』를 통해 친일유림들과 일본이 강조했던 사회교화론, 유교진흥정책을 선전하고 고양시키는 방면으로 동화.변질되어갔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ason of Moojung Jeong Man-jo's pro-Japanese. Prior to this, I simply reviewed his writings, family, thought, and fellowship. Moojung was born in prestigious Dongrae Jeong Family of Soron party. He did not want to be surrounded by the authority of Neo-Confucianism in thought. He got the teaching of Sim Dae-yun(1806~1872).Gang Wee(1820~1884) and had a academic relationship with Lee Geon-chang(1852~1898).Hwang Hyeon(1855~1910).Kim Taek-young(1850~1927).Yeo Gyu-hyeong(1849~1922).Jeong In-bo(1893~1950?). Among these people, during the 20th century, some led to the independence of Korea and kept the academic self-esteem, the others went wrong to pro-Japanese like Jeong Man-jo. Moojung is not as bad pro-Japaneses as Elsaojuk(乙巳五賊) but he cooperated Japan and took a post in the Japan government. So I studied the step of his pro-Japanese through Moojung's life history. Moojung strongly agreed to the ideology of Dongdoseogi(東道西器) in his young age, kept to the thought of independent-modernization. And he emphasized on the eradication of corrupt officials and balanced recruiting. After that, he had a important role in Gapohgaehyuk(甲午改革) led by Kim Hong-jib, and during this affair he showed pro-Japanese aspect. Also he was involved in the case of the Empress Myengsung's assassination to be exiled to a Jin-do island. In this process he turned more strongly to pro-Japanese. Because of this, he persisted to follow Japan's modernization model of having both industrialization and military power. He also regarded Confucianism and Chinese to be important, found out the common point with Japan, and emphasized on the solidarity with Japan. He organized 'Yimunhoe' with pro-Japan person and ran the results in the newspaper like 'Maeilsinho', 'Josunmoonyeo'. He also took a position of Gyenghakwon Boojehak and Daejehak established by Japan, propagated the theory of social enlightenment, confucianism promotion policy through the Gyeonghakwonjapji.

      • KCI등재

        민성휘(閔聖徽) 가문의 장서 연구 -7대손 민경속(閔景涑)과 유만주(兪晩柱)의 서적 왕래를 겸하여-

        김영진 ( Kim Young-jin ),안정은 ( Ahn Jeong-eun ) 한국한문학회 202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80

        본고는 조선시대 서책문화, 그 가운데 ‘私家藏書’에 대한 사례 연구를 여흥민씨 閔聖徽(1582~1648) 가문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연구의 주안점은 두 가지인데 첫째는 민성휘 개인이 본격적으로 형성한 ‘사가장서’의 실체와 특징이고, 둘째는 민성휘의 7대손 閔景涑(1751~1794)의 장서다. 후자의 경우엔 벗 兪晩柱(1755~1788)와의 사이에 이루어진 書冊 相互 借覽과 문학, 학술 담론을 중심에 두었다. 민성휘의 1628년 明 使行에서의 서책 구입과 민경속과 유만주의 교유는 기존 연구성과가 있다. 본고는 기존 성과 위에 민성휘 윗대 아랫대의 저술 및 장서 현황, 소론 당파보인 『簪譜』 및 민경속의 인척 鄭堉이 편찬한 印譜 『圖書譜』, 任天常의 『試筆』 등의 신자료를 추가하여 이 가문의 장서 형성 과정과 그 학술 문화사적 특성을 보다 구체화하였다. 우선 민성휘의 『肅敏書目』을 재검토하고 현존하는 민성휘 장서인이 압인된 책들을 조사하여 관련 방증을 하였다. 또한 민성휘가 수집한 장서와 서책에 대한 관심이 가까이는 민성휘의 『松京訪碑錄』, 閔晉亮의 『唐詩類選』, 閔周冕의 『(新纂)東京誌』로 이어졌고, 멀리는 7세손 민경속의 『知先錄』과 『迂叟謾錄』 및 『輸廫故人錄』, 8세손 閔魯行의 『名數咫聞』과 『咫聞別集』 등으로 이어졌음을 논하였다. 민경속과 유만주 사이에 1785년부터 1787년까지 3년간 지속된 서책 교류를 총정리하였다. 이 둘의 진지하고 진솔한 학술교류는 방문 외에 양가 장서 및 서화의 상호 대차와 감상을 기본으로 하였는 바 두 가문의 당파와 교유권의 차이로 인해 수장 자료의 성격차이 역시 컸다. 이 점이 상대방의 호기심을 일으키고, 부족한 면을 충족시켜 주면서 서로의 성장에 밑거름이 되었다. 민경속의 인척으로 특히 주목되는 것이 ‘江華學’으로 널리 알려진 전주이씨 덕천군파와 연일정씨 鄭夏彦 후손가다. 연일정씨는 또 자하 신위와 연결되어 이후 민노행이 추사 김정희와 교류를 갖게되는 계기가 되었다. 민성휘가의 『서책목록』이 발견되지 않았고, 이 가문의 장서도 다 흩어졌다는 제약과 한계 속에서도 여러 자료의 편린들을 찾아내어 민씨가의 학술문화사적 의의를 추출하여 보았다. 이 과정에서 兪晩柱의 『欽英』이 갖는 서적문화사에서의 높은 의의를 재삼 확인할 수 있었다. 여흥민씨가의 장서와 그것의 학술문화사적 효용은 ‘조선시대 사가장서’의 한 실상과 의미 부여를 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하겠다. This thesis focused on the book culture in the Choseon Dinasty period, particularly with the emphasis laid on the family of the Yeoheung Mins by way of the case study on the collection of books at the private family of Seong-Hui Min(1582~1648) of the Yeoheung Mins. The main emphasis is two and the first is the subst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ion of books at private family’ purposefully formulated by the individual Seong-Hui Min and the other is the collection of books of the 7<sup>th</sup> descendant Gyeong-Sok Min(1751~1794). In the latter case, the focus was laid on the mutual borrowing and reading of the books and academic discourse with his friend Man-Ju Yoo(1755~1788). The purchase of books by Seong- Hui Min in his envoy trip to Ming in 1627 and the exchange between Gyeong-Sok Min and Man-Ju Yoo were greatly facilitated by Ha-Ra Kim. On top of the achievements of Ha-Ra Kim, this thesis carried out a more realistic review of the background of the formulation of the collection of books at this family and the academic and cultural historical characteristics with reference to the significant new data such as the writings and the status of book collections, the newsletter of Soron Party 『Jambo』, the book of impressions of seals 『Doseobo』 published by Yook Jeong who was a member of Yeonil Jeongs which was a relative family of Gyeong-Sok Min and others. First, this thesis aimed to establish the circumstantial evidence by conducting a review of 『Sukminseomok』 written by Seong-Hui Min and investigating the books belonging to the extant collection of books of Seong-Hui Min. It was verified that most of the pressing books from the extant collection of Seong-Hui Min are wood-block print books from Ming and discussed that the books were scattered from early stages. In addition, it was discussed that the attention to the collections and books established by Seong-Hui Min extended closely to 『Songgyeongbangbirok』 by Seong- Hui Min, 『Dangsiyuseon』 by Jin-Yang Min and 『(New Publication) Donggyeongji』 and remotely to 『Jiseonrok』, 『Osumyeonrok』 and 『Suyogoinrok』 by the 7<sup>th</sup> descendant Grong-Sok Min and 『Myeongsuchimun』 and 『Jimoonbyeoljib』 by the 8th descendant No-Haeng Min. The thesis made an aggregate summary of the exchange of books between Gyeong-Sok Min and Man-Ju Yoo which lasted for 3 years from 1785 to 1787. The earnest and sincere academic exchange between them revealed the differences in the books and paintings stored due to the differences in faction, relatives and others apart from the collection of books in each family and these differences made great contribution to their mutual growth by invoking the intellectual curiosity and supplementing the deficient parts of each. The books of Gyeong-Sok Min can be divided between those inherited and those collected by oneself and in regard of the latter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ve share of the books from Choseon Dynasty was much increased and that the relative families the Jeonju Lees (Deokcheongun family branch - Ganghwahak) and the Yeonil Jeongs inflicted a great influence on the procurement of books. By way of the connection with Jaha Wui Shin, the Yeonil Jeongs offered the opportunity for No-Haeng Min to have exchanges with Chusa Jeong-Hee Kim. Even under the limitation and restriction that 『List of Books』 of the family of Seong-Hui Min was not discovered and the collection of books of the family was all scattered around, the academic and cultural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books of the Mins was extracted by discovering the partial fractions of a diversity of data. In this process, the high cultural historical value of the literatures retained by 『Heumyeong』 by Man-Ju Yoo could be ascertained anew. This thesis has the meaning that it highlighted the fact that the collection of books at the Yeoheung Mins and their academic and cultural historical utility reveal a realistic aspect of the ‘collection of books at private families in Choseon Dynasty Period’ and also that it gave such a meaning.

      • SCOPUSKCI등재
      • 자연과에서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심리적 위계 분석

        정진우,정진표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5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he selection of subject content by investigating psychological hierarchies on the conceptions such as properties of light and function and structure of human body in the elementary science. The result shows that the psychological hierarchies of children are a little bit different from the logical hierarchies of science textbook.

      • 산삼 배양액 급여가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진상근,김일석,송영민,허선진,박기훈,정기종,김동훈,노정만 진주산업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2006 산업과학기술연구소보 Vol.- No.13

        Berkshire를 이용하여 70일간 산삼 배양액 급여 시 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산삼 배양액의 급여에 의해 육의 수분, 조단백, 조지방, 회분, pH, 가열감량, 콜레스테롤 함량, 육색, 조직감의 응집성과 검성,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보수력, 지방색 L^(*)값, 지방산 중 linoleic acid(18:2), arachidonic acid(20:4), 필수지방산의 함량, 아미노산 중 threonine, glutamic acid, valine, isoleucine, leucine, histidine, lysine 및 총아미노산 함량은 산삼 배양액의 급여에 의해 감소하였다. 전단가, 조직감의 표면경도, 경도, 씹힘성, 지방산 중 stearic acid(18:0), oleic acid(18:1) 함량, 아미노산 중 serine, glycine, cystine, methionine, tyrosine 및 phenylalanine의 함량은 산삼 배양액의 급여에 의해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산삼 배양액의 급여는 돈육의 경도를 증가시키는 효과 외에 뚜렷한 이화학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는 급여된 산삼 배양액 내에 함유된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이 낮고, 급여수준이 낮은 결과로 사료되어진다. A total of 60 pigs (Berkshire)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s (CMG)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k. About 60 kg pigs were randomly alloted into one of two experimental diet groups (C:commercial diet feed; T:commercial diet + 1 L CMG per day for 70days). Pigs were slaughtered at approximately 110 kg live weight, and 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in pork loin.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as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ietary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s. Water-holding capacity was decreased by dietary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s, while shear force was increased. However, pH, cooking loss and cholesterol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different treatments. In color, L^(*) of fat was decreased by dietary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s. Brittleness, hardness and chewiness were increased in dietary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s group. In fatty acid, stearic acid (18:0) and oleic acid (18:1) were higher in dietary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s group, whereas linoleic acid (18:2) and arachidonic acid (20:4) were higher in control group. In amino acid, serine, glycine, cystine, methionine, tyrosine and phenylalanine were higher in dietary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s group, whereas threonine, glutamic acid, valine, isoleucine, leucine, histidine and lysine were higher in control group.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소아청소년 복합만성질환자 수 및 진료비의 변화: 2011-2021년 건강보험청구자료 분석

        오정윤,조수진,정진선,조진숙,박춘선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3 HIRA RESEARCH Vol.3 No.2

        Background: The number of children and adolescents has decreased by more than 3 million over the past 10 years. We analyzed changes in the number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omplex chronic conditions (CCCs) and their medical expenditures between 2011 and 2021. Methods: We used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of patients under the age of 20 from 2011 to 2021. CCCs were classified as pediatric CCCs by Feudtner et al. Patients who repeatedly utilize medical services due to CCCs were defined as patients who sought medical care twice or more within the past 3 years. Their sex, age, CCC categories, and the number of CCC categories were presented using descriptive analyses. Results: The number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CCs increased from 345,320 (3.04%) in 2011 to 451,238 (5.33%) in 2021. Patients who repeatedly utilized medical services due to CCCs increased by 71,889 during the same period.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two or more CCC categories increased from 35.80% in 2011 to 43.67% in 2021. In 2021, patients with other congenital or genetic defect were most common. Medical expenditures associated with CCCs increased from 475,654 million won (12.34%) in 2011 to 768,467 million won (19.11%) in 2021. Conclusio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CCs and their medical expenditures increased in Korea between 2011 and 2021. The results indicate that consistent national efforts are required to maintain the specialized pediatric car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pediatric patients who require specialized medical services through various methods.

      • SCOPUSKCI등재

        Analysis of Sap Production and Composition of Acer okamotoanum from Artificial Stands in Different Tapping Time in Jin-ju Region in Korea(진주지역 인공식재 우산고로쇠의 수액 채취 시기별 출수량 및 성분 분석)

        Jin-SungHUH,Jeong-WoonKIM,Jun-HyuckYOON,Su-YeonLEE 한국목재공학회 2020 목재공학 Vol.48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ap flow and composition by tapping date in Acer akamotoanum from an artificial forest in the City of Jinju. The sap was collected from five saplings (diameter at breast height10-20 cm) in two phases with an interval of a month. During phase 1 (January 10, 2019 - February 9, 2019) with daily mean temperature of 1.16±2.15℃, 60.59 liters of sap was collected over 32 days. Phase 2 (February 12, 2019 - February 22, 2019) with daily mean temperature of 2.55±1.30℃ yielded 13.38 liters of sap over 11 days, which was a reduction to 22% of the total sap flow in phase 1. The analysis of sugar composition in the collected sap from phase 1 and 2 showed that sucrose concentration was 2.5% at its highest during the earlier days of collection and decreased to 0.8% at the end. Glucose and fructos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near 0, and were lower than sucrose concentration. The most prominent inorganic elements in the collected sap were potassium (41.69 - 89.75 mg/kg), calcium (24.66 - 48.14 mg/kg) and magnesium (10.18 - 27.25 mg/kg). The contents of sucrose and inorganic components between the samples collected from phase 1 and 2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The sap flow amounts of A. okamotoanum from different tapping periods showed a notable variation,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sugar or inorganic elements. 본 연구는 진주시 소재 우산고로쇠 인공림에서의 수액 채취 시기별 출수량 및 구성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수액채취는 한 달 간격으로 2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각 회당 채취목은 각각 소경목(흉고직경 10~20 cm) 5본씩 이었다. 일평균 기온이 1.16 ± 2.15℃로 조사된 1차 시기(2019년 1월 10일 ~ 2월 09일)의 수액 총 출수일이 약 32일, 총 출수량은 약 60.59 L로 관찰되었다. 일평균 기온이 2.55 ± 1.30℃로 조사된 2차 시기(2019년 2월 12 ~ 22일)에는 총 출수일이 약 11일이었으며 총 출수량은 약 13.38 L로 1차 시기 기준의 약 22%에 해당하는 양으로 감소하였다. 1, 2차 채취 시기별 수액의 당 성분분석 결과 자당(Sucrose)의 함량이 출수초기 최고 2.5%를 나타냈으며 출수 종료시점에는 최소 0.8% 대로 감소하였다. 포도당(Glucose)과 과당(Fructose)은 Sucrose에 비하여 함량이 낮았으며, 0에 가까운 수치를 나타내었다. 채취 수액의 무기성분 분석결과, 주요 성분은 칼륨(41.69 ~ 89.75 mg/kg), 칼슘(24.66 ~ 48.14 mg/kg), 마그네슘(10.18 ~ 27.25 mg/kg)이었다. 1, 2차 채취 시기별 수액 간의 sucrose함량 및 무기성분의 함량 범위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과적으로 시기를 달리한 우산고로쇠 수액 채취에 있어서 출수량은 큰 차이를 보였지만 당 및 무기성분 함량의 경우에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