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從業員 動機化의 方法論的 어프로우치

        丁宰淑 홍익대학교 경영연구소 1985 경영연구 Vol.9 No.-

        Through all the organization, problems are raised in motivating employees as a factor to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an organization. The problems have been turned up to data. Today, Theory and practice of motivation lay stress on coordination between personality and organization. Therefor, this article takes a serious view of human needs, studies the ground that organization should offer some inducement to an indivial, and futher, views methodology for motivating employees particulary. This article tries to examine applicability through analysis in details of 「Motivation through the work itself」by R.N. Ford and 「every comployee a manager」by M.S. Myers.

      • 人 諸臟器 Alkaline Phosphatase Isoenzyme의 電氣泳動 및 定量

        金在植,金京善,金重明,金榮泰,蔣卓仙,李鉉基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0 慶北醫大誌 Vol.21 No.2

        著者들은 家兎와 人體로부터 採取한 血淸과 諸臟器組織을 使用하여 ALPI 電氣泳動像을 觀察하고 生化學的 定量法을 利用하여 ALP의 活性度를 測定試圖하였으며 臟器特異性 沮害因子에 對한 影響을 觀察하였다. 家兎 血淸 및 諸臟器組織 ALPI電氣泳動에서 血淸은 ±의 活性度를 가진 α2와 α2/β分劃을 나타내었으며 肝組纖은 血淸보다 빠른 移動度를 가진 ??의 α_1과 α_2分劃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肝, 骨, 腎 淋巴腺, 脾臟 및 腸組織에서는 顯著하게 높은 活性度를 나타내는 各各 서로 相異한 分劃을 볼 수 있었으며 人體諸 臟器와大體로 類似하였으나 家兎 血淸의 ALP는 사람에서 와는 다르게 肝組織의 分劃과 一致하지 않고 오히려 骨組織과 더 잘 一致되는 것 같았다. ALPI 活性度에 있어서 家兎의 諸臟器는 生化學的 定量法으로 腎 ALP의 活性度가 49.5B.L. units로 다른 臟器組織에 비하여 顯著하게 높았으며, 그 다음은 脾臟, 脊椎骨, 肝, 肺淋巴腺 및 脾 順으로 높은 活性度를 나타내었으며 人體에 있어서는 胎盤, 骨, 小賜, 脾臟, 肝 및 腎臟의 順으로 높았다. 臟器 特異性 沮害因子에 對한 影響에 있어서 胎盤分劃은 特有하게 耐熱性을 나타내었고 보다 urea低抗性이며 肝分劃은 neuraminidase에 對하여 移動度의 遲延을 招來하였다. The studies upon cellulose acetate microzone electrophoretic patterns, quantitative estimation and effects of organspecific inhibitor on ALP isoenzyme of rabbit and human sera and various organ tissues were performed. On electrophoretic pattern the tissue ALP from the liver bone kidney lymph node spleen and intestine showed the characteristic fraction of high activities. The electrophoretic mobility of rabbit serum ALP was not correspond to the liver ALP as observed in human serum and it appeared to be rather corresponded to the bone ALP, which seemed to be the origin of ALP in serum of rabbit. In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issue ALP activity the kidney ALP showed the highest level and the activity of the skeletal muscle ALP was the lowest(1.5 B. L. units), while higher activities were observable in placenta, bone, intestine, spleen, liver and kidney in order. On the effect of organ specific physico chemical agents the placental ALPI was highly stable to the heat and relatively resistant to urea while other organ ALPI were on the contrary. The neuraminidase seemed to effect to the motility of liver fraction.

      • 원내감염 실태조사 경험 : 원내감염과 원내환경

        김재식,이원길,박정한,이건일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6 慶北醫大誌 Vol.37 No.3

        목적 : 원내감염실태를 조사한 경험을 당시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였을 주변사정 때문에 시간이 상당히 경과한 지금에 와서 겨우 당시 경북대학교병원내 병원감염을 조사한 것을 앞으로 병원감염관리에 참고 자료로 하기 위하여 본 경험을 발표한다. 재료 및 방법 : 400명의 대상 환자들이 신규로 입원할 때 부터 퇴원을 할 때까지 매일 한 번씩 병력지를 검토하고 환자를 방문하여 작성하고 작성된 조사표에 해당 항목별로 기록하고 원내감염의 감별은 Senic project의 기준에 의하였으며 원내감염발생율과 원내환경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고 후자는 균배양 동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 운내감염발생율에 있어서는 당시 1983년 전후 일정기간동안 원내감염 발생률은 9.0%이었으며 원내감염 발생은 의료수기의 빈도가 큰 정형외과와 일반외과에서 특히 높았다. 원내환경에 있어서는 수술과정, 수술실내와 병동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의료기자재와 소독약 zephirane에서 균배양 양성이었다. 균종으로는 Serratia, Pseudornas, Klebsiela와 Staphylococcus등이었다. 결론 : 이상의 성적을 종합하면 결론적으로 비교적 높은 원내감염율은 관련의사, 진료보조원 및 신중한 항생물질의 사용 등에 대한 대책을 필요로 하며 항생제 남용을 피하고 그때 그때 병력지 기록의 중요성을 암시하며 원내감염의 근원이 되는 원내환경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One experience of investigation of hospital infection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round 1983 was summarized as follows though postponed report with surrounding conditions was inevitable. The patient charts were reviwed daily and recorded the hospital infection data collection sheet according to items by visiting patients. The hospital infection was differentiated on the basis of Senic project. In incidence of hospital infection the rate of hospital infection of in-patient was 9.0% and it was nore high in more frequent usage of medical manipulation like surgical dressing and instrumentation. The use of antibiotic was more frequent in more frequent hospital infection sites. Medical recording was inapproproate in most cases. In hospital environment bacterial organisms were cultivated from various conditions on sites as surgical operation and dressing and ward procedure like urethral catheterization in operation room and ward. Bacterial organisms were cultivated from various conditions in operating room and ward and particularly from zephirane(antisepic). Organisms were Serratia, Pseudomonas, Klebsiella and Staphylococcus etc. A cautious prevention of hospital infedtion was highoy recommended against medical doctors especially and related paramedical personnel as nurse, as well as satistactory medical recording. The hospital environment control is strongly reccmmended.

      • KCI등재후보

        일부 인쇄회로기판 납땜근로자들의 눈, 호흡기, 피부의 증상에 대한 조사연구

        유재영,우극현,김진석,함정오,최태성,하봉구,정상재,박신구,김일룡 大韓産業醫學會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4

        목적 : 이 연구는 납점작업자를 대상으로 납점작업으로 유발될 가능성이 높은 눈, 호흡기, 피부 등의 증상호소율 및 노출강도에 따른 관련성을 파악하기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 연구참가자 146명중 연구목적에 적합한 20명을 제외한 126명을 대상으로 '눈이 가렵고 충혈됨', '코가 가렵거나 파가움', '재채기', '콧물'. '코막힘' , '목이 따끔거림' , '목에 무언가가 걸려있는것 같음' , '갑자기 연속적인 기침을 함' , '운동 시에 다른 사람에 비해 숨이 가쁨', '숨을 쉴 때 쌕쌕하는 소리가 남', '가래가 끓음', '손이나 안면에 가려움을 느낌' , '안면에 여드름이 날' '손이나 안면에 붉은 반점이 남' 등 14가지 증상에 대한 경험유무와 혈중연농도, 납점작업의 건강위험요인에 대한 지식상태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 조사된 14가지의 증상 중, '갑자기 연속적인 기침을 함'이 하루 납점시간 4시간 이상인 군아서 4시간 미만인 군보다 유의하게 증상호소율이 높았으며, 다른 증상의 경우 하루 납땜시간에 따라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납땜작업의 건강위험요인에 대한 질문에 12.8 %가 플럭스에 의한 건강위험을 지적하였다. 전체 대상자의 평균 혈중연농도는6.05 rg/dL였으며, 히고치는 15.50 rg/dL이었다.결론 : 납땜작업자에게 호흡기 증상의 위험이 높을 가능성이 있으며, 납땜작업의 건강위험에 대한추가적인 연구와 납점작업자들을 대상으로 납점작업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건강장해에 대한 적극적인교육 및 홍보활동을 필요로 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ocular, respiratory and skin symptoms among solderer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 prevalence and exposure intensity. Methods : We analyzed 126 eligible participants out of a population of 146 male solder-ers who completed the symptom questionnaires. Fourteen symptoms including 'itchy and red eyes', 'itchy or prickly nose', 'sneezing', 'rhinorrhea', 'blocked nose', 'prickly throat', 'foreign body sensation in throat', 'sudden bouts of coughing', 'exertional breathlessness', 'wheezing', 'sputum production', 'itchy face or hands', 'acneiform erup-tions on the face' and 'red spots on the face or hands' were contained. Blood lead levels of all the 126 participants were tested and the participants' own assessments of the health risk of soldering were collected. Results : Of the 14 investigated symptoms, 'sudden bouts of coughing' was significantly more prevalent in solderers who worked 4 hours or more a day than those who worked less than 4 hours a day, as for the other symptom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s related to daily soldering hours. 2.8% of the solderers considered the risk of flux exposure to be serious. The mean blood lead bevel was 6.05 μg/dL (maximum 15.50 μg/dL). Conclusions : Soldering may increase the risk of respiratory symptoms. Further invert tigations on the hazards of soldering processes are warranted and solderers should be educarted on these hazards.

      • HBsAg양성 원발성간암에 있어서 HBV-DNA표지자의 PCR성적

        이원길,김재식,김정철,서장수,강은자,이중원,김기연,송경은,양정선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醫大誌 Vol.38 No.2

        목적 : HBV-DNA를 정성적 그리고 정량적으로 검출함으로써 강한 전염성과 높은 유병율로 인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B형 간염과 원발성간암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B형 간염 표면항원(HBsAg)이 양성을 보이는 원발성간암 환자 3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HBV-DNA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이용하여 정성적 검출 그리고 luminometry법을 이용하여 정량적 검출을 하였다. 결과 : HBV-DNA 중합효소연쇄반응법과 luminometry법의 양성율은 각각 57.9%, 39.5%를 보였다. 그리고 HBsAg과 HBeAg가 동시에 양성을 보인 11명에서는 HBV-DNA 양성율이 81.8%를 보였다. 결론: HBV-DNA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의 양성율이 luminometry법에 의한 양성율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고 HBV-DNA 검사는 B형 간염을 조기 발견하고 치료하여 만성간질환으로의 진행을 예방하고 특히 원발성간암의 병율을 낮추는데 많이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Background :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PHCC) is the most common malignant neoplasm in most countries of Asia and Africa. Hepatitis B virus is known to be strongly related to the pathogenesis of PHCC. HBV-DNA PCR and HBV-DNA quantitation assay were attempted to apply to 38 cases of HBsAg positive PHCC. Methods : The ordinary HBV markers(HBsAg, anti-HBs, anti-HBc(Ig-G and -M), HBeAg and anti-HBe) were examined with ELISA. Qualitative screening of HBV-DNA PCR and HBV-DNA quantitation-luminometric measurement were performed. Results : Among 38 cases of HBsAg positive PHCC, positive rates for HBV DNA-PCR and HBV DNA-quantitation were 57.9% and 39.5%, respectively. And 11 cases which were positive for both HBsAg and HBeAg showed 81.8% positive rate in HBV-DNA PCR. Conclusion : For 38 cases of HBsAg positive PHCC, the positive rate for HBV DNA-PCR was higher than HBV-DNA quantitation-luminometry. In HBV-DNA PCR, both HBsAg and HBeAg positive cases showed high positive rate.

      • KCI등재후보

        일개 지역 전공의들의 주사침 상해

        박신구,이종영,송정흡,유재영,최태성 大韓産業醫學會 2002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4 No.1

        목 적 : 병원 종사자들 중에서 전공의들의 주사침 상해의 실태를 파악하고, 주사침 상해 발생의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7얼에 대구지역에 소재한 전공의 수련병원 중 대학병원 2개소와 종합병원 1개소의 전공의 695명 전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가 기입식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얻었단. 정확하게 응답한 443명(63.7 %)을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 새로운 연차가 시작된 4개월 동안 경험한 주사침 상해는 응답자 443명중 200명으로 45.1 %이었고, 평균상해횟수 1.8회, 1000명당 1년 상해율은 5,377건 이었다. 업무특성에 따라 인턴이 96.5 %, 외과계 레지던트가 40.6 %, 내과계 레지던트가 34.4 %의 주사침 상해를 경험하였다. 주사침상해 발생의 관련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고, 분석결과는 내과계 레지던트에 비해 인턴이, 12시간이하 근무시간에 비해 16시간이상의 근무시간이 유의한 관련요인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병원종사자들 중에서 전공의들은 높은 주사침 상해율을 나타내고 있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ssess the experience of needle stick injury among interns and residents working in hospitals during the previous 4 nonths. Methods :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695 interns and residents working in two university hospitals and one general hospital in Tague city. Four hundred and forty three of those questioned(63.7 %) fully responded. Results : Two hundred of the respondents(45.1 %) suffered at least one injury. Respondents suffered an average of 1.8 injuries. 96.5 % of interns, 40.6 % of surgical residents and 34.4 % of non-surgical residents suffered at leat one injury. According to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Intern status and an increased amount of working time is associated with high risk of needle stick injury. Conclusions :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interns and residents suffer a high rate of needle stick injury.

      • KCI등재후보

        구미지역 직업성질환 감시체계

        김성아,김진석,전혜리,정상재,김상우,이채용,함정오,유재영,최태성,하봉구,조민환,우극현 大韓産業醫學會 2003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5 No.1

        목적: 구미지역 내 대학병원이자 특수건강진단·보건관리대행기관의 산업의학전문의, 보건관리대행 간호사, 사업장 간호사를 중심으로 직업성질환감시체계를 구축하여 주요 직업성질환들의 발생현황과 규모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차적으로 산업, 직업, 업무내용 등에 따른 분포나 원인을 기존 자료원(특수건강진단의 직업병 유소견자와 산재요양승인 되는 직업병자)과 비교하여 분석·기술하고 예방 및 관리를 포함한 보건의료기술개발까지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운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구미지역의 산업적 특성에 맞는 직업성질환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지역 감시체계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6대 감시대상 직업성질환(독성 간염, 직업성천식, 직업성 근골격계질환, 직업성 피부질환, 직업성 암, 수지진동증후군)의 실행적 환례정의, 보고양식 및 보고체계 개발, 분석양식 및 결과 배포 형식을 개발하였으며, 그 유병규모를 파악하고, 감시질환의 분포 및 특성, 관련인자 등을 분석·기술하고자 하였다. 이때, 1년간의 환례분석시 직업병 유소견자 및 직업병 요양자에 대한 자료와 함께 비교 분석하였으며, 노동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년간 발생률을 추정하였다. 결과: 2001. 1. 1일부터 2002.4.30일까지 총 287건이 보고되었으며, 직업성 근골격계질환 132건(46.0%), 직업성 피부질환 100건(34.8%), 독성간염 34건 (11.8%), 직업성천식 16건 (5.6%), 수지진동증후군 5건 (1.7%) 이었으며 직업성 암은 한건도 보고되지 않았다. 보고경로별로는 보건관리대행에서 33건 (11.5%), 해당 유해인자별로 실시되는 특수검진 외의 각종 건강진단업무 수행 중 발견된 환례에 대한 보고가 206건(71.7%)이었다. 직종별 분류의 결과는 섬유업종사자, 단순노무종사자, 음식업종사자 등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근골격계질환의 경우, 수근관증후군이 42건(33%), 외상과염/내상과염이 39건(30%)로 가장 많았다. 직업성 피부질환은 97건이 접촉성 피부염으로 유기용제류가 59건(59%)으로 가장 많고, 니켈 및 에폭시수지에 의한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이 각각 6건과 5건이었다. 독성 간염은 모두 DMF 나 DMAc에 의한 것으로, 근무시작 후부터 간기능이상이 발견되기까지의 근무기간은 대부분이 3개월 이하이며, 1개월 이하인 경우도 10건이나 되었다. 동 기간 중 감시환례에 대해 산재요양 자료와 중복여부를 확인한 결과, 중복되는 것은 하나도 없었다. 특수건강진단에서 직업병유소견자로 판정된 경우는 독성간염에서 3건이 있었으며, 나머지 질환은 중복되는 것은 없었다. 2001도 구미지역의 근로자수와 보고환례건수를 이용하여 연간 발생률을 추정하였다. 근로자 10만 명당 연간 발생률은 상지 근골격계질환은 63.6명, 피부질환 48.2명, 독성 간염 17.9명, 천식 7.7명, 수진진동증후군 2.4명이었다. 참여예상인원은 총 46명이었으며, 실제 참여자수는 21명, 평균참여율은 46%, 실제 참여 1이당 평균 보고건수는 산업의학전문의가 28건으로 가장 많았고, 대행간호사는 45,건, 사업장 간호사는 3.3건이었다. 결론: 지역 감시체계는 기존 통계자료들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직업성질환의 발견에 유용한 통계원이며, 특히 지역의 특성과 여건을 고려하여 체계화된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용한다면 더 성과가 클 것이다. Objectives: Area-based occupational disease surveillance in Kumi (KODS) was used to collect data on occupational diseases. The data was used to estimate the magnitude of the diseases, to analyze for their characteristics and to find links for their intervention and prevention. Methods: Since January 2001, occupational physicians and nurses in Occupational Health Service (OHS) have reported six major occupational diseases; occuaptional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upper extremities (MSDUE), occupational dermatoses, toxic hepatitis, occupational asthma (OA), hand-arm vibration syndrome (HAVS), and occupational cancer. For the respective diseases, a reporting sheet and operational diagnostic criteria were developed by the KODS. An analysis of the KODS data, collected over a certain period, was compared with data from the Korea Labor Workers Corporation (KLWC) and the Specific Health Examination (SHE), and the incidence rates of the diseases estimated. Results: Between Jan 2001 and Apr 2002, 287 cases of the six major occupational disease were reported. Of these, there were 132 (46.0%), 100 (34.8%), 34 (11.8%), 16 (5.6%), and 5 (1.7%), cases of MSDUE, occupational dermatoses, toxic hepatitis, OA, and HAVS, repectively. But, there were no cases of occupational cancer. 33 (11.5%) of the incidence were reported via the OHS, 206 (71.7%) from health checkups, and the other 48(16.8%) from other routes. The synthetic fibers and electronic components manufacturing industries accounted for the greatest number of reported cases. With resport to occupation, the greatest numbers of incidence were reported from the elementary occupations, textile workers, assemblers, and cooks and food services worker, in that order. Of the MSDUE cases, carpal tunnel syndrome and epicondylitis were the two most common diseases. Most of the occupational dermatoses were due to contact dermatitis, with organic solvents (59%), nickel (6%), and epoxy resin (5%) accounting for the majority of these cases. All cases of toxic hepatitis were induced by dimethylformamide or dimethylacetamide, which were reported by a unique monitoring system. During same period, there were no cases claimed by workers to the KLWC, and only three cases from SHE, were identified. Using data from workers' number and surveillance, the annual incidence of MSDUE, dermatoses, hepatitis, OA, and HAVS, per 100,000 workers were 63.6, 48.2, 17.9, 7.7, and 2.4, respectively.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an area-based surveillance system can be very effective for the collection of data on work-related diseases, at least in Kum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