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아스파라거스(Asparagus officinalis L.) 뿌리 추출물의 항염증 및 항통풍 효과

        이현주(Hyeon Ju Lee),한준희(Joon-Hee Han),홍민(Min Hong),최다혜(Da-Hye Choi),김종희(Jong-Hui Kim),박가희(Ka-Hee Park),박연희(Yeon-Hee Park),이재희(Jae Hee Lee),강해주(Hae Ju Kang),권태형(Tae-Hyung Kwon),안용조(Yong Jo Ahn) 한국식품과학회 202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4 No.6

        본 연구에서는 ARW의 항염증 및 항통풍 효능을 평가하였다. LPS가 처리된 RAW 264.7 대식 세포에서 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ARW는 NO 생성 비율을 250 μg/mL 농도에서 87.3±3.3%, 500 μg/mL 농도에서 73.5±4.7%으로 NO 생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LPS를 단독 처리한 군의 경우 iNOS, COX-2 mRNA 발현이 증가하였고 LPS 및 ARW 500 μg/mL 처리한 농도군에서 COX-2 및 iNOS의 mRNA와 단백질 발현 수준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MSU를 주입하여 통풍을 유도한 마우스 발 부종은 ARW를 섭취한 군과 비교하여 감소하였다. 통풍 유도 마우스의 혈중요산, creatinine 및 BUN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ARW 투여군에서 creatinine과 요산이 감소하였으며, 마우스 신장에서 URAT1과 GLUT9의 mRNA와 단백질 발현 분석 결과 또한 감소하였다. HLPC를 이용하여 ARW의 지표성분 분석 결과 caffeic acid 함량은 1.25 mg/g, 루틴 함량은 0.08 mg/g으로 측정되었다. 국내에서 아스파라거스는 순 부위만 식용으로 사용하고 뿌리 등은 식품 원료로 등록되지 않아 모두 폐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ARW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향후 독성 평가 및 원료의 특성 분석 등을 통하여 한시적식품원료 등록 및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gout effects of asparagus root water extract (ARW). ARW was not cytotoxic up to 500 μg/mL and effectively inhibit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induced RAW 264.7 macrophages. It was confirmed that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COX-2 and iNOS decreased at an ARW concentration of 500 μg/mL. We also explored the anti-gout effects using a monosodium urate-induced mouse model. Decreased concentrations of uric acid, creatinine, and blood urea nitrogen were observed at an ARW concentration of 400 μg/mL.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URAT1 and GLUT9 in the mouse kidney decreased to the level of the positive control (allopurinol 50 μg/mL) at an ARW concentration of 400 μg/mL. We analyzed the caffeic acid and rutin contents in the ARW using HLPC; the results obtained were 1.25 and 0.08 mg/g, respectively. We suggest that ARW can be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s agent, for its anti-inflammatory and anti-gout properties.

      • KCI등재

        배추 유전자원의 항산화 효과

        황병순,김지영,권수현,김기창,강해주,이주희,황인국,Hwang, Byung Soon,Kim, Ji Yeong,Kwon, Su Hyun,Kim, Gi-Chang,Kang, Hae Ju,Rhee, Ju Hee,Hwang, In Guk 한국식품영양학회 2020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3 No.5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ssess the high antioxidant activity varieties of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L. ssp. pekinensis) from the 55 accession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hinese cabbage were determined by the TPC, TFC, DPPH, ABTS, and chlorophyll, carotenoid contents. The TPC and TFC showed a range of 1.21~4.61 mg GAE/g DW, 0.18~3.09 mg CE/g DW. The DPPH and ABTS assay were in the range of 0.65~4.36 and 1.42~6.91 mg ascorbic acid equivalent (ASCE)/g DW, respectively. The UPLC analysis was performed quantitatively to identify chlorophyll and carotenoid in the Chinese cabbage extract. The levels of the total chlorophyll and total carotenoid were 86.60~1,235.91, and 75.86~490.11 ㎍/g, respectively. The comprehensive differences in the total and individual chlorophyll contents have also been observed among different varieties. These results will be valuable as basic data for the standardization of Chinese cabbage.

      • SCOPUSKCI등재

        순무(Brassica rapa L.)와 월동무(Raphanus sativus L.)의 PI3K/AKT 조절을 통한 Adipogenesis 및 Lipogenesis 억제 효과

        황혜정(Hye-Jeong Hwang),박나영(NaYeong Park),황인국(In Guk Hwang),강해주(Hae Ju Kang),방경원(Kyeong Won Bang),황경아(Kyung-A Hw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1 No.10

        본 연구에서는 순무(RG)와 월동무(RJ)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고자 MDI로 분화를 유도한 C3H10T1/2 세포에서 지질 축적 및 지방합성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무 추출물을 처리한 지방분화 세포의 지질 축적 정도와 triglyceride 함량을 측정한 결과, 무 추출물에 의해 지방구 형성과 triglyceride 축적을 감소시켰고, 특히 RJ 1,000 μg/mL 처리 시 높은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지방분화를 통해 지방구 형성(adipogenesis)에 관여하는 전사인자(C/EBPα와 β, PPARγ, SREBP-1c)와 지방합성(lipogenesis)에 관여하는 인자(aP2, FAS, SCD1)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시료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유전자와 단백질 발현량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모든 인자에서 RG 처리군보다 RJ 처리군의 효능이 더욱 우수하였다. 또한, MDI 처리 대조군에서 분비가 증가한 leptin과 adiponectin의 생성량이 무 추출물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세포 표면 leptin 수용체에 leptin 결합에 의해 활성화되는 PI3K/AKT 신호 관련 인자들의 유전자 발현이 무 추출물 처리에 의해 억제됨으로써 지방 합성 및 지질 축적을 억제하여 무 추출물이 비만 개선에 효과적임을 밝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RG와 RJ가 지방세포 분화 기전과 지방분화 호르몬의 생성량을 억제함으로써 지방분화 및 합성 억제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전임상 효능 평가와 RG와 RJ가 함유한 기능성 성분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체지방감소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adish (Raphanus sativus L.) is a representative root vegetable widely cultivated in Asia and known to have various physiological effects, such as gastric protective,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hemostasis improving effects, and to ameliorate digestive disorders. However, studies on the antiobesity effects of white and red radish are inadequat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nti-adipogenic and anti-lipogenic effects of Ganghwa (RG) and Jeju (RJ) radishes were investigated in C3H10T1/2 cells. Lipid accumulation inhibition by Oil Red O staining and TG contents confirmed that at 1,000 μg/mL RG and RJ significantly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and dose-dependently reduced the mRNA and protein levels of major adipogenesis and lipogenesis-related factors. In addition, inhibition of the expression of genes in the PI3K/Akt pathway by RG or RJ markedly increased leptin and adiponectin levels. These results indicate radishes are potential functional materials that inhibit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lipid accumulation.

      • KCI등재

        국내산 사과의 품종별 Procyanidin B2, C1 함량 및 분석법 검증

        김지영(Ji Yeong Kim),장하나(Ha Na Jang),김기창(Gi Chang Kim),강해주(Hae Ju Kang),황인국(In Guk Hw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11

        본 연구에서는 사과의 주 기능 성분인 procyanidin B2와 C1의 정확성 있는 함량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분석법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사과 품종(썸머킹, 부사, 감홍, 아리수, 홍로)과 부위(전체, 과육, 껍질) 그리고 농가 별 감홍 품종의 procyanidin B2, C1의 함량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법 검증을 통해 procyanidin B2, C1의 피크가 다른 물질과의 간섭없이 분리되어 높은 직선성을 가짐을 확인 하였으며 검출한계는 각각 0.70, 0.77 ㎍/mL, 정량한계는 각각 2.14, 2.32 ㎍/mL로 나타났다. 또한 정밀성 분석을 위해 실시한 일내, 일간 분석과 정확성 분석을 위해 실시한 회수율 분석에서 모두 상대표준편차(RSD) 값이 5% 이내의 우수한 정밀성과 정확성이 있는 검증임을 확인하여 사과의 정량 분석 실험을 진행하였다. 품종별 함량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감홍 품종의 procyanidin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고 아리수 품종이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부위별 함량 분석을 통해 껍질 부위가 전체와 과육 부위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홍 껍질의 procyanidin B2 함량이 14.84 ㎎/100 g FW를 나타내어 아리수 껍질보다 약 8배 높았으며 감홍 껍질의 procyanidin C1의 함량은 18.34 ㎎/100 g FW로 확인되어 다섯 품종의 껍질 평균 함량인 10.09 ㎎/100 g FW보다 월등히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농가로부터 수집한 감홍품종의 전체, 과육, 껍질 부위별 procyanidin B2는 각 1.82~4.46, 1.28~3.34, 5.99~13.08 ㎎/100 g FW 함량을 보였으며 procyanidin C1은 각 2.22~4.48, 1.37~3.35, 8.42~15.49 ㎎/100 g FW 함량을 보여 농가 간의 함량 차이를 보였다. 이는 재배 품종, 재배 조건 등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국내에서 재배되는 사과 품종의 procyanidin 함량 정보를 정확히 구축하는 것은 사과의 기능 성분 함량 정보를 제공하고 나아가 사과의 이용성 증진 연구의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 된다. Procyanidin is a major functional component of apples. This study sought to verify an analytical method to evaluate the procyanidin B2 and C1 content by varieties, parts, and farms of apples. The linearity of the method developed using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 was excellent,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R²) of procyanidin B2 and C1 were 0.9996 and 0.9996, respectively. The limits of detection of procyanidin B2 and C1 were 0.70 and 0.77 μg/mL and limits of quantification were 2.14 and 2.32 μg/mL, respectively.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of the intra-day and inter-day were calculated and had excellent precision and was found to be within 5%. The RSD of the recovery rate of procyanidin B2 and C1 were 0.68∼3.33% and 1.63∼2.78%, respectively. Through this, the analytical method for estimating procyanidin was confirmed. Analysis of procyanidin in the different apple varieties (Summerking, Gamhong, Hongro, Arisu, Busa), showed that Gamhong had significantly (P<0.05) higher procyanidin B2 and C1 content compared to other varieties, and the peel had the highest procyanidin B2 and C1 content. When the procyanidin content of Gamhong collected from ten farms was analyzed, the average content of procyanidin B2 in the peel was 9.79 mg/100 g FW and that of procyanidin C1 was 11.58 mg/100 g FW. Heretofore, information on the procyanidin content in apples grown in Korea was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necessary to improve the usability of apples.

      • KCI등재

        복숭아 품종과 부위별 비타민 C, 안토시아닌 및 카로티노이드 함량 분석

        김지영(Ji Yeong Kim),권수현(Su Hyun Kwon),장미(Mi Jang),이지윤(Ji Yun Lee),김기창(Gi Chang Kim),강해주(Hae Ju Kang),황인국(In Guk Hw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9

        본 연구에서는 백도 계통(8종)과 황도 계통(8종) 복숭아의 과육 및 껍질 부위에 함유된 ascorbic acid, anthocyanin, carotenoid 함량을 비교 · 분석하였다. Ascorbic acid 분석결과 백도 껍질 부위는 과육 부위보다 약 2배 높은 6.70mg/100 g FW의 ascorbic acid 함량을 나타냈고, 황도의 경우 과육과 껍질 간의 유의미한 함량 차이는 없었다. 또한 황도와 백도를 비교하였을 때 백도 껍질이 황도 껍질보다 유의적으로(P<0.01)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과육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Anthocyanin 성분 중 cyanidin-3-glucoside(C3G)와 cyanidin-3-rutinoside(C3R) 분석 결과, C3G가 복숭아에 함유된 주요 anthocyanin임을 확인하였으며 백도 껍질 부위가 과육 부위보다 유의적으로(P<0.01)높은 함량을 보였고 황도 또한 껍질 부위가 과육 부위보다 높은 C3G 함량을 나타냈다. 황도와 백도를 비교하였을 때 백도 과육이 황도 과육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은 C3G함량을 보였으며 백도 껍질과 황도 껍질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Carotenoid 성분 중 lutein, zeaxanthin, β-cryptoxanthin, α-carotene, β-carotene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 중 β-carotene의 함량이 주요 carotenoid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백도 껍질의 평균 β-carotene 함량은 과육 평균 함량보다 약 13배 높은 함량을 보였고 황도껍질의 평균 β-carotene 함량 또한 과육 평균 함량보다 약 4배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황도와 백도를 부위 별로 비교하였을 때 황도의 껍질 및 과육 부위가 백도의 껍질 및 과육부위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현재 국내 복숭아 품종의 기능성분에 대한 연구 진행이 미흡하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가 향후 복숭아 식품 연구와 신품종 개발에 있어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eaches (Prunus persica L. Batsch) are one of the commonly consumed fruits. Depending on the color of the flesh, peaches are typically classified into white and yellow varietie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the functional components according to the cultivar and its parts, the ascorbic acid, anthocyanin and carotenoid content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nt of ascorbic acid was higher in the peel than the flesh of the white peache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lesh and peel of yellow peaches (P>0.05). Anthocyanin analysis showed that cyanidin-3-glucoside was higher in the peel than the flesh in both yellow and white peaches. Cyanidin-3-rutinoside was detected only in the peel of yellow and white peaches. In the case of carotenoids, lutein, zeaxanthin, β-cryptoxanthin, α-carotene, and β-carotene were analyzed. All the carotenoid components showed a higher content in yellow peaches than white peaches. In particular, the content of β-carotene was the highest. The content of β-carotene was higher in the peel than the flesh in both yellow and white peaches, and a higher content was detected in the yellow peaches compared to the white peaches. The differences in conten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cultivars as well as the farms and regions (P<0.05). Through this study, the content of functional components according to the cultivar and its parts was confirmed,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data will be widely used i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health foods through additional research.

      • KCI등재

        Opuntia monacantha Haw. 선인장 줄기와 열매의 생리활성

        김지영(Ji Yeong Kim),황병순(Byung Soon Hwang),장미(Mi Jang),권수현(Su Hyun Kwon),김기창(Gi Chang Kim),강해주(Hae Ju Kang),황인국(In Guk Hw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5

        제주 지역에서 자생하며 왕선인장, 제국백년초로 신칭되는 Opuntia monacantha Haw. 선인장이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새롭게 조명될 수 있도록 효소 저해 활성(α-glucosidase, acetylcholinesterase, elastase, tyrosinase)을 실시하였고, 기능성에 기여하는 성분으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카로티노이드와 클로로필 함량을 분석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줄기와 열매 추출물에서 각각 8.00, 9.46mg GAE/g FW였고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결과 0.18, 0.27 mg CE/g FW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카로티노이드 성분 분석을 통해 줄기에는 β-carotene(299.66 μg/g DW), lutein(152.59 μg/g DW), α-carotene(87.69 μg/g DW), 열매는 β-carotene(26.35 μg/g DW)이 주성분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줄기와 열매 추출물의 클로로필 a 함량은 각각 408.81, 22.64 μg/g였고 클로로필 b의 함량은 줄기와 열매추출물 각각 156.97, 9.98 μg/g로 확인돼 푸른색을 띠는 줄기에서 높은 함량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밖의 미백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tyrosinase, 주름개선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elastase, 항당뇨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α-glucosidase, 항 알츠하이머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acetylcholinesterase활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Opuntia monacantha Haw. 선인장이 여러 생리활성 효과가 훌륭하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고 건강 기능성 소재로서 높은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the extracts of the stem and fruit from Opuntia monacantha Haw. (Cactaceae)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functional food.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extract ranged from 8.00 to 9.46 mg GAE/g FW and 0.18 to 0.27 mg CE/g FW,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main carotenoids of the stem extract were β-carotene (299.66 μg/g DW), lutein (152.59 μg/g DW), and α-carotene (87.69 μg/g DW), and that of the fruit extract was β-carotene (26.35 μg/g DW). The chlorophyll a content of the stem and fruit extract was 408.81 and 22.64 μg/g, respectively, and the chlorophyll b content of the stem and fruit extract was 156.97 and 9.98 μg/g, respectively.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ɑ-glucosidase, acetylcholinesterase, elastase and tyrosinase suggested that the Opuntia monacantha Haw. extract can be used as a new source of natural functional materials.

      • KCI등재

        가공방법에 따른 콩의 Isoflavone 조성 변화

        김지영(Ji Yeong Kim),권수현(Su Hyun Kwon),황병순(Byung Soon Hwang),장미(Mi Jang),강해주(Hae Ju Kang),김기창(Gi Chang Kim),황인국(In Guk Hw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4

        본 연구는 콩 가공처리를 통해 우수한 생리활성을 가진 비배당체 이소플라본(genistein, daidzein, glycitein)의 함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콩 발아, 볶음, 증숙가공 처리를 각각 진행하였으며 발아가공은 시간에 따라(12~48시간) 진행하였다. 볶음 가공은 220~240°C에서 시간(10, 12, 14, 16분)별로 진행하였으며 증숙가공은 온도(60, 80, 95°C)에 따른 시간(1~4시간)별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발아, 볶음, 증숙조건에서 대부분 가공시간이 길수록 배당체(genistin, daidzin, glycitin)와 malonyl, acetyl 배당체의 함량이 낮아지고 비배당체(genistein, daidzein, glycitein)의 함량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비배당체로 전환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발아처리를 4시간 진행하였을 때 비배당체로의 전환이 효율적이었으며 daidzein과 genistein의 함량이 24.88, 18.15 μg/g dw였고 glycitein은 검출되지 않았다. 볶음처리는 16분 진행하였을 때 비배당체로의 전환이 효율적이었는데 daidzein, glycitein, genistein의 함량이 각각 212.5, 59.8, 182.1 μg/g dw로 확인되었으며, 증숙처리의 경우 60°C에서 4시간 처리하였을 때 daidzein, glycitein, genistein의 함량이 각각 59.3, 10.2, 56.76 μg/g dw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볶음처리가 비배당체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가공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더 높은 함량의 콩 비배당체 함량이 기대된다. 또한 이를 토대로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이 고함유된 콩을 활용한 건강식품 개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Isoflavone is a representative functional components in soybean, and especially aglycones (daidzein, genistein, and glycitein) are known to have high physiological activiti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n effective processing method for generating a high content of aglycone during soybean germination, roasting and steaming. Our results reveal an increasing aglycone content with increasing treatment time during germination, roasting and steaming.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glycoside isoflavones are efficiently converted into aglycones during the roasting process. After roasting for 16 minutes, the fold-increase contents of daidzein was about 102 times (1.78→180.08 μg/g dw), and genistein was about 433 times (0.49→212.47 μg/g dw). In addition, content of the barely detectable glycitein was confirmed and determined to be 59.84 μg/g. Soybeans with high aglycone isoflavones are expected to exhibit higher absorption of functional components in the human body, and impart physiological activity than other soybeans.

      • KCI등재

        더덕(Codonopsis lanceolata Trautv.)순 추출물의 다양한 생리활성

        김지영(Ji Yeong Kim),황병순(Byung Soon Hwang),권수현(Su Hyun Kwon),장미(Mi Jang),김기창(Gi Chang Kim),강해주(Hae Ju Kang),황인국(In Guk Hw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1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식품 소재로서 더덕순을 활용하고자 다양한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생장길이별 더덕순 시료(CLS-A~D) 70%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80.82~719.56 ㎎ GAE/100 g 및 287.45~398.52 ㎎ CE/100 g 범위였으며 생장길이가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을 평가한 결과 CLS-B 시료에서 각각 622.87, 436.98㎎ AA eq/100 g을 보여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생장길이가 길어질수록 항산화 활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더덕순의 tyrosinase, α-glucosidase 및 elastase 효소 저해 활성을 평가한 결과 모두 CLS-B 시료에서 가장 우수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더덕순의 새로운 기능성식품 소재로서 넓은 활용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추후 더덕순의 주요 기능 성분에 대한 정성 및 정량분석과 건강식품 소재화 연구가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for subsequent utilization of Deodeok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buds as a new functional food. Deodeok buds (CLS-A∼D)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growth length.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70% ethanol extracts ranged from 580.82 to 719.56 ㎎ GAE/100 g, and 287.45 to 398.52 ㎎ CE/100 g, respectively. The contents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growth length of Deodeok buds.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LS-B were determined to be 622.87 and 436.98 ㎎ AA eq/100 g, respectively, showing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Similar to other contents, increasing growth length resulted in decreased antioxidant activity. Moreover, tyrosinase, α-glucosidase, and elastase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of Deodeok buds also showed best inhibitory effect in CLS-B. Conside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onfirm the possibility of wide application of Deodeok buds as a new functional food material.

      • SCOPUSKCI등재

        양배추 유전자원의 항산화 활성 비교

        하지수(Jisu Ha),박소은(So Eun Park),황인국(In Guk Hwang),방경원(Kyeong won Bang),김성훈(Seong-Hoon Kim),이준구(Jun Gu Lee),최장선(Chang-sun Choi),강해주(Hae Ju K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2 No.7

        본 연구에서는 유색 양배추 유전자원 17점과 백색 양배추 유전자원 114점의 기능 성분인 카로티노이드 함량 분석과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유색 양배추 유전자원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평균 3.38±0.83 mg GAE/g, 0.86±0.29 mg CE/g을 보였으며,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평균 3.47±1.14, 9.09±2.81 mg AA eq/g의 활성을 보였다. 또한 카로티노이드를 분석한 결과, 주요 카로티노이드 성분은 lutein과 β-carotene으로 1.12~6.50, 1.63~6.46 mg/100 g의 범위를 가졌다. 백색 양배추 유전자원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평균 3.44±0.63 mg GAE/g, 0.95±0.21 mg CE/g의 함량을 보였으며,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평균 1.04±0.30, 1.93±0.53 mg AA eq/g의 활성을 보였다. 또한 카로티노이드를 분석한 결과, 주된 카로티노이드 성분 또한 lutein과 β-carotene으로 0.77~22.33, 1.29~14.82 mg/100 g의 범위를 가졌다. 결과적으로 유색 양배추와 백색 양배추는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lutein을 제외한 카로티노이드 함량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약 3~5배 차이가 났으며, 이는 유색 양배추가 백색 양배추보다 라디칼 소거능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색 양배추의 색소 성분인 안토시아닌이 상승 작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예상되며, 생리활성 물질인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카로티노이드의 함량은 항산화 성분의 함량에 비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닐 것으로 사료된다. 유색과 백색 양배추 유전자원 총 131점의 평균과 여러 양배추 품종을 비교한 결과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 카로티노이드는 선행연구된 양배추 품종들과 비슷하거나 좀 더 높은 함량을 가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반면에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전자원보다 선행 연구의 양배추 품종들이 전반적으로 높은 함량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함량의 차이는 재배 품종, 재배 지역, 재배조건 등으로 인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국내에서 재배한 양배추 품종의 항산화 및 기능 성분 함량이 높은 자원을 선발하는 것은 기능 성분 함량 DB 구축 및 소비자 니즈 맞춤형 품종 개발의 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is the main Brassicaceae and a rich source of bioactive substances, such as polyphenols and flavonoi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resources with high antioxidant activity and functional compounds of 17 colored cabbage genetic resources and 114 white cabbage genetic resources cultivated in Korea.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xamined by measuring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TPC), total flavonoid contents (TFC),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evaluated, and carotenoid compounds were analyzed by LC-DAD. The average TPC, TFC, DPPH, and ABTS values for colored cabbage were 3.38±0.83 mg GAE/g, 0.86±0.29 mg CE/g, 3.47±1.14 mg AA eq/g, and 9.09±2.81 mg AA eq/g, respectively, and the white cabbage were 3.44±0.63 mg GAE/g, 0.95±0.21 mg CE/g, 1.04±0.30 mg AA eq/g, and 1.93±0.53 mg AA eq/g, respectively. An analysis of carotenoid identified lutein and α-carotene to be the main compounds of cabbage. The colored cabbage had an average lutein and α-carotene content of 2.85±1.46 and 2.80±1.21 mg/100 g, respectively, and the white cabbage had 4.61±2.60 and 3.90±1.92 mg/100 g,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colored cabbage and white cabbage in TPC and TFC (P<0.05), but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ored cabbage (P<0.0001), whereas the total carotenoid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hite cabbage (P<0.05). Overall, selecting Korean cabbage cultivars with high antioxidant and functional contents will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varieties customized to consumer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