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아동의 주의력 수준이 CPT와 WCST수행에 미치는 효과

        이현아,박형배,배대석,백용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4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정상아동의 주의력 수준이 CPT와 WCST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ADHD아동의 특징적인 인지결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9년 12월부터 2000년 4월까지 Y대학 의료원 소아정신과를 방문하여 ADHD로 진단된 아동들을 K-ABC의 하위검사인 수회생검사를 실시하여 주의력 낮은 집단(N=18),중간집단(N=18), 높은 집단 (N=18)로 분류하였고 주의력 수준에 따라 분류된 ADHD집단에게 지능검사와 CPT및 WC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정상아동에게도 수회생 검사를 통해 ADHD아동중 주의력 수준이 높은 집단과 동일한 주의력을 가진 아동을 선정한 후 이들에게도 ADHD아동과 동일한 검사를 실시하여 수행을 비교하였다. 결 과 :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CPT하위검사중 누락오류와 오경보 오류에서 ADHD집단과 정상집단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ADHD집단내에서도 주의력의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WCST수행의 경우 ADHD의 각 하위집단간에 주의력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정상집단에 비해서는 ADHD집단의 수행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ADHD아동의 특징적인 인지결함은 단순한 주의력의 결함이 아니라 자극이 선택되어 실행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인 정보처리과정 중 주의력의 감독, 자기조절, 억제과정과 같은 보다 고차적인 인지기능인실행기능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ADHD아동의 치료를 위해서도 단순한 주의력 결핍의 개선보다는 문제해결능력과 계획력, 충동성 같은 인지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치료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ttention level in normal children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children on Continuous Performance Test(CPT) and Wisconsin Card Sorting Test(WCST) performances. Methods : For this survey, the ADHD children were classified into low, medium, and high attention groups according to the attention level. Normal Group of Children, Chosen for their same attention level as that of high attention level group among ADHD groups, was compared in their CPT and WCST performances with ADHD groups. Results :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DHD groups distinguished by their attention level ; in other words, the low, medium, and high attention level groups ; showed no differences in CPT performances. This means the unique cognitive deficit of ADHD group is not the character of attention capacity limit. 2) the ADHD group showed lower performances on WCST than the normal group, regardless of attention level. Conclusion : ADHD group have a deficit in the ability or regulation stategy, adaptability of attention, and non appropriate response, which are needed for efficient division of prescribed information processing.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cognitive deficit of ADHD is a character which shows that the execution deficit, which is a higher cognitive function, is a cognitive deficit of ADHD group, rather than simple attention deficit.

      • 노년기 영성과 불안·우울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염형욱,정성덕,서완석,구본훈,배대석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005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2 No.1

        본 연구는 노인의 영적인 안녕 정도를 측정 하여 그들의 영적 안녕정도가 불안, 우울 및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인지를 검토하고, 불안 및 우울과 같은 노인의 정신 건강 상태를 평가할 때 영적 안녕이 중요한 요인으로 인정되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활동성 노인 18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영적 안녕 정도는 영적 안녕 척도를 사용하였는데 두 개의 하위 척도인 종교적 안녕과 실존적 안녕으로 평가를 하였으며, 불안과 우울은 불안ㆍ우울 통합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삶의 질에 대한 평가는 삶의 질에 대한 척도를 이용하여 주관적인 삶에 대한 느낌 (QOL1)과 전반적인 삶에 대한 만족도 (QOL2)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먼저, 영적 안녕 정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 정신사회적인 요인들에는 교육을 받은 경우 (p<.001), 종교가 있을 때 (p<.001), 종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경우 (p<.001), 신체적으로 건강할수록 (p<.01), 신체적 병력이 없는 경우 (p<.05),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경우 (p<.001) 영적안녕척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실존적 안녕척도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영적 안녕 정도와 삶의 질을 향상 시켜주면서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켜준 공통적인 정신사회적 요인으로는 종교의 만족 정도, 신체적 건강 상태 및 생활의 만족 정도 등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영적안녕척도점수와 불안, 우울 및 삶의 질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 영적안녕정도와 불안, 우울 및 삶의 질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다 희귀분석을 통해 평가한 결과, 영적 안녕 정도 중 특히 실존적 안녕 정도가 높을수록 불안ㆍ우울 통합 척도의 불안 (p<.001)과 우울 (p<.001) 모두가 낮아졌으며, 삶의 질 척도 중 삶에 대한 주관적인 느낌에 대한 척도 점수 (QOL1)는 유의하게 감소 (p<.001)하였고, 삶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QOL2)는 유의하게 증가 (p<.001)하였다. 따라서 종교적 안녕 정도보다 실존적 안녕 정도가 더 밀접한 영향을 미쳤다. 이상과 같이 활동성 노인에게 있어 영적 안녕 정도와 불안, 우울 및 삶의 질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노인 정신건강에 대한 평가를 실시할 경우 영적안녕이 중요한 요인이 됨을 검증해 볼 수 있었다. Background: This study assessed the mental health,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subject's spiritual well-being an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active old people, and to verify whether or not spiritual well-being is a new factor for comprehensive health in old peopl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selected 184 old people aged over 65 years. The subject's spiritual well-being was assessed by the Korean Spiritual Well-Being Scale (SWS) that was composed of the Religious Well-being Scale (RWS) and Existential Well-being Scale (EWS). The quality of life was assessed using Quality of Life Scale, which was composed of the subjective feeling about life and the subject's satisfaction of their whole life. Results: Among the psychosocial factors, the educational level and physical health, showed significant discriminative score in the SWS. A prior medical history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low SWS score. Satisfaction with life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high SWS score. These factors a showed significant discriminative EWS score rather than a RWS. Among the religion factors, the satisfaction with their relig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die SWS . The SWS score especially the EWS affected die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Korean Combined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CADS). The subjective feeling of life score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EWS low score and the subject's satisfaction with their whole life score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high EWS score. Conclusion: Spiritual well being has significantly effects an anxiety depression and the quality of life in active old age people, and the subject's spiritual well-being might be a new factor for assessing health in old age.

      • Swanson의 주의력결핍 장애척도의 한국판 표준화

        이종범,박성찬,정성덕,김진성,서완석,배대석,주열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2 생물치료정신의학 Vol.8 No.2

        연구목적 : 한국판 Swanson의 주의력 결핍 장애 척도(이하 SNAP)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이를 국내 실정에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자를 선별할 수 있는 평가용 도구로서 적합한지 여부와 연구에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8년 7월 1일부터 2001년 9월 30일까지 영남대학교 의료원 신경정신과 외래를 방문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자 392명과 정상대조군 432명을 대상으로 SNAP을 시행하였다. 결 과 : 남녀 간의 SNAP 척도 점수비교에서, 환자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정상 대조군에서는 남자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1 ∼ .001).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에서 신뢰도 계수는 각 하위 척도에서 .85에서 .92로 모두 만족할 만큼 높았다(p<.05). 내적일관성에 의한 신뢰도 검증에서 정상 및 환자군에서 각 하위척도별로 Cronbach α값이 .80(p.05)이상으로 나타났고, 반분신뢰도는 정상 및 환자군에서 각 하위척도별로 0.731에서 .866사이였다(p<.05). 주의결핍장애 평가 척도-가정관(Attention Deficit Disorder Evaluation Scale-Home Version) 및 소아기 집중력 문제 척도(Childhood Attentin Problem Scale)와의 준거 타당도는 ADHD 환자군에서 .342에서 .713사이였고(p<.05), 정상 대조군에서 .551에서 .789였다(p<.05). 요인분석을 해 본 결과 본 척도는 3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는데, 부주의(inattention) 요인, 충동성/과잉행동(impulsivity/hyperactivity)요인, 또래 관계(peer interaction)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본 척도가 정상인과 환자를 감별할 수 있는 척도인가를 알아보기 위한 감별 타당도 검사를 해본 결과 87.5%를 분류하여 높게 나타났다. 환자와 정상인을 구분하는 점수인 절단점은 표준편차 1.5를 절단점으로 잡을 때 이는 백분율로 93percentile에 해당하는 점수로서 각 소척도 점수에서 남자(0.98∼1.65)와 여자(0.64∼1.38)의 절단점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남자가 높게 나타났다. 결 론 :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한국판 SNAP 평가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되었고 환자를 판별하는 능력이 우수하여 향후 ADHD 연구에 유용한 도구로 사료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wanson's attention deficit disorder sacale(SNAP). Method : SNAP was administered to 432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392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rom 1998 July to 2001 September. Results : In the reliability test,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 was significantly high and that of inattention was 0.85, that of impulsivity was 0.90, that of hyperactivity was 0.90 and that of peer interaction was 0.92(p<.05). In the reliability test by internal consistency, the Cronbach α coefficient was above 0.80 at each subscale in both patients and normal control group(p<.05). The split-half reliability coefficient by first-second half method showed high correlation and those of each scales were from 0.731 to 0.866 in both patients and normal control group(p<.05). The criterion validity of SNAP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Evaluation Scale-Home Version(ADDES-HA) and Childhood Attention Problem Scale(CAP) scale was from 0.342 to 0.713 in patients group, from 0.551 to 0.789 in normal control group(p<0.05). The discriminant ability between ADHD and normal subjects by SNAP was 87.5%. Conclusion : In this point of view, SNAP scale showed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in applying to Korean subjects and was proved to be useful screening tool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reserch.

      • 구조화된 평가척도와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외상성 뇌 손상 환자의 주관적 증상 연구

        이종범,김오룡,김진성,서완석,배대석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3 생물치료정신의학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외상성 뇌 손상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그 주관적인 증상의 정도와 관련한 인구동태학적 요인, 뇌 손상의 특성, 신경심리학적 평가결과 및 MMPI 성적을 비교한 뒤 주관적인 정신증상의 정도와 추정된 장애정도와의 일치정도에 따른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9년 3월 1일부터 2003년 8월 31까지 두부외상 후 정신과적인 증상을 나타내어 진료를 받았거나 자문이 의뢰된 경우 및 후유장애 평가를 위해 내원한 환자 498명 중 배제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18세 이상 성인 281명에게 SCL-90-R, K-WAIS, K-MAS, K-BNT 및 MMPI를 실시하였다. 주관적 정신과적 증상 정도에 따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대상자는 SCL-90-R의 표출증상의 문항당 평균점수를 바탕으로 주관적인 정신과적 증상이 경미한 집단(minimal distress group), 경한 집단(mild distress group), 증등도 집단(moderate distress group), 심한 집단(severe distress group)으로 구분하고, SCL-90-R을 수행하지 못한 집단을 불능집단(failed group)으로 구분하여 그 성적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SCL-90-R을 비롯한 신경심리검사 및 MMPI를 온전히 수행한 180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증상의 정도와 추정된 장애 정도를 비교하여 주관적 증상의 정도와 추정된 장애정도가 일치하는 집단(no difference group), 주관적 증상의 정도에 비해 추정된 장애정도가 심한 집단(faking good group) 그리고 주관적 증상의 정도에 비해 추정된 장애정도가 약한 집단(faking bad group)으로 구분하여 성적을 비교하였다. 첫 번째, 주관적 증상의 정도에 따라 SCL-90-R의 성적을 비교한 결과에서, 주관적 증상의 정도에 따라 SCL-90-R의 하위척도 및 전체지표에서 유의한 차이(p<.001)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주관적 증상과 추정된 손상정도의 일치정도에 따른 구분에서도 각 집단 간에 하위척도 및 전체지표에서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지만 공포불안 척도의 점수가 다른 척도 점수에 비해 높은 프로파일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두 번째, 주관적인 증상의 정도에 따라 신경심리검사 성적을 비교한 결과에서, 지능의 경우 주관적인 증상이 심할수록 사고 후 지능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증상을 과소평가한 집단은 차이가 없는 집단과 동일하거나 더 나은 지적능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세 번째, 주관적인 증상정도에 따른 기억능력을 비교한 결과 주관적 증상이 심할수록 기억능력이 저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주관적인 증상을 과소평가한 집단의 수행이 다른 집단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판 이름대기 검사에서도 이와 동일한 수행성적을 보이고 있었다. 네 번째, MMPI에서는 주관적 증상의 정도 혹은 추정된 손상의 일치정도와는 상관없이 주관적 증상을 경미하게 호소하고 있는 집단을 제외하고는 외상성 뇌 손상 환자들이 기본적인 신경증적인 증상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주관적 증상의 정도가 심할수록 정신병적 증상들을 주로 호소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성 뇌 손상의 주관적 증상이 심하던 그렇지 않던 혹은 추정된 손상정도의 일치여부와는 상관없이 이들이 신경증적인 증상을 공통적으로 경험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증상의 과대호소를 위하여 주로 정신증적 증상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외상성 뇌손상이 있은 뒤 인지적 기능수준이 나을수록 자신의 정신과적 증상을 과소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 To search for the character of subjective symptom among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 we tri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subjective symptoms and the character of the discrepancy between subjective symptoms and suggested disability. The factors such as demographic factors, characteristics of head trauma, the score of neuropsychological test and MMPI were compared for those subjective symptoms. Methods : SCL-90-R, K-WAIS, K-MAS, K-BNT and MMPI was conducted for 281 patients who are suitable for this study with age over 18, out of 498 patients who visited hospital for their psychiatric symptom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or disability evaluation after requesting consult from Mar 1, 1999 to Aug 31, 2003. Subject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positive symptom total in SCL-90-R as four groups such as minimal distress group to observe character depending on the subjective symptoms level. Mild distress group, moderate distress group, and severe distress group and compared with failed group which couldn't perform SCL-90-R. And 180 patients of all of tests conducted, were divided to the three groups such as no difference group, faking good group, and faking bad group by comparing the level of subjective symptoms to suggested disability and assessed its results. Results : In the result of SCL-90-R depending on the subjective symptom level,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01) in subscale and global index of SCL-90-R. There was also significant difference(p<.001) in the division depending on the discrepancy between subjective symptoms and suggested disability on subscale and global index in each group. However, the score in phobic anxiety scale was high other than subscale score. The result of neuropsychological test depending on the level of subjective symptoms represented more severe in subjective symptoms and lower in intelligence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But, even or better intellectual capability was possessed in faking good group by comparing to no difference group. Memory ability is reduced as subjective symptoms severe and faking good group was superior in its performance. The same result was shown in K-BNT. Regardless of the level of subjective symptoms or discrepancy of the subjective symptoms between suggested disability,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except the group appealed minimal distress) experienced basic neurotic symptoms and they appealed psychotic symptoms as the level of subjective symptoms is severe in MMPI. Conclusion : In this research, All the patient commonly have experienced neurotic symptom weather the symptom of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is severe or not. Psychotic symptoms was mainly used for the faking bad of symptom and proved that they underestimated their psychiatric symptoms with better cognitive function level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 중국거주 조선족 여성의 영적 안녕정도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정성덕,이종범,김진성,서완석,배대석,박순재,주열,염형욱,김승원,김구묘,안영록,황대홍,표미자,조창열,정태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004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1 No.2

        자아초월 정신의학이 체계화되면서 영성(spirituality)은 인성의 한 부분이라는 이론이 대두되었는데 이 영성은 정신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인간의 성향 중 영적 안녕 정도를 파악하여 그 정도가 정신건강 중 허위성 경향, 정신병적 경향 및 불안과 우울 경향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고저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은 중국의 연변 조선족 자치구에 거주하는 여성 400명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판 영적 안녕척도를 사용하여 영적 안녕정도를 파악하였다. 영적 안녕척도의 총점과 이 척도의 2개 하위 척도인 종교적 안녕과 실존적 안녕 척도 양자로 평가한 성적이 불안-우울통합척도와 정신분열증 척도 및 허위성 척도로 평가한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 및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영적 안녕척도로 평가한 조선족 여성의 총점은 68.29로 한국의 기독교 여성이 평가한 100.65보다 훨씬 낮은 점수였다. 2) 불안·우울통합척도로 평가한 총점은 44.88로 연변노인이 평가한 점수와 일개지역의 한국농촌주민이 평가한 점수와 비슷한 결과였다. 3) 허위성 척도로 평가한 성적은 평균 74.57로 70점 이상이 86%(344명)이었으나 영적 안녕 성적과 허위성 성적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4) 영적 안녕총점은 정신분열증 척도로 평가한 정신병적 경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종교적 안녕하위척도의 성적은 정신병적 경향을 높여준데 비하여 실존적 안녕하위척도의 성적은 정신병적 경향을 낮게 해주었다. 5) 영적 안녕척도의 총점 및 두 하위척도인종교적 안녕과 실존적 안녕은 불안과 우울에유의한 상관을 보였는데 영적 안녕총점이 높을수록 불안·우울 총점이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6) 종교적 안녕 하위척도와 불안과 우울과의 관계는 종교적 안녕점수가 높을수록 불안과 우울을 각각 다소 유의하게 높여주었으며 이에 비하여 실존적 안녕하위척도와 불안과 우울과의 관계는 실존적 안녕정도가 높을수록 불안 및 우울점수는 유의하게 낮아졌다. 이와 같은 성적을 미루어볼 때 연변에 거주하는 조선족 여성이 평가한 영적 안녕정도는 정신병적 경향과 불안 및 우울에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면 이 척도의 하위 척도인 종교적 안녕정도는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실존적 안녕정도는 정신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결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공산주의 사회에서 실존적 안녕은 긍정적인 가치관으로 평가되는 반면 종교적 안녕은 정신건강에 부정적으로 작용한 것을 입증해 주었다고 하겠다. Background: Spirituality has been an important part of Transpersonal Psychology and is believed to have a large effect on the mental health because it has been systematiz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 of spiritual disposition on human beings along with its effects on one's mental health.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targeted 400 women residing in Youn-Gil city of JiLin Prov., which is a district of the Cho-Sun tribe in China. Their spiritual well-being was studied using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Korean Version.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consists of 2 sub-scales of religious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The study was evaluated using a lie scale, psychotic trend, and a combined anxiety-depression scale. The results were considered to be factors of one's mental healt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each tendency was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total score of the Cho-Sun tribal women according to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was 68.29 which was much less than the 100.65 of Korean Christian wome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the Lie trend. However, it was found that 86%(344) of Cho-Sun tribal women scored above 70 in the Lie trend with a mean score of 74.57 which is higher than normal populations.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psychotic trend, the psychotic trend became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religious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On the other hand, the psychotic trend became significantly lower when the existential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anxiety, the anxiety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religious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However, the anxiety level was significantly low when the existential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depression, the depression level was somewhat significantly high when the religious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However, the depression level was significantly low when the existential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Conclusion: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spiritual well-being on a person's mental health among Cho-Sun tribal women in Youn-Gil city of JiLIn Prov., P.R. of China. The results found that the religious well-being, which is a sub-scale of spiritual well-being, had negative effects while the existential well-being had positive effects on the mental health. These results proved that a person's religious disposition had negative effects on their mental health in a communitarian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ADHD 아동에서 나이, 지능, 용량 및 불안 증상에 따른 Oros-Methylphenidate 임상효과의 차이

        배대석(Dai Seg Bai),서완석(Wan Seok Seo),송창진(Chang Jin Song),정철호(Chul Ho Jung),최상용(Sang Yong Choi),정성훈(Sung Hoon Jeong),이종훈(Jong Hun Lee),정운선(Un Sun Chung)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6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2 No.2

        Objectives:This study evaluated the differences of Oros-methylphenidate effect of intellectual,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in children with combined type of ADHD, according to age, intelligence level, dosage of Orosmethylphenidate and anxiety. Methods: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Ⅲ(WISC-Ⅲ) and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s tests(CNT) and ADHD behavioral checklist by Swanson, Nolan and Pelham-Ⅳ(SNAP-Ⅳ) were performed initially and after four weeks of Oros-methylphenidate trial. All of the tests were compared according to age ranges, intelligence levels, dosage levels and degrees of anxiety. Results:The younger age group showed better improvement in commission errors in auditory and visual continuous performance test. The average intelligence group showed the best improvement while the least improvement was in the higher intelligence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improvement according to dosage levels and there were no consistent findings according to the degree of anxiety either. Conclusions:In the younger age group of ADHD, methylphenidate may improve impulsivity related problems, so methylphenidate may also improve cognitive impulsivity in the younger children with ADHD as well as behavioral impulsivity. The average intelligence group of ADHD showed the best improvement and the lower intelligence group of ADHD also showed significant effect, that is partly because poorer performances in the initial test were improved by methylphenidate. In this study both levels of Oros-methylphenidate dosage were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studies so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lower and the higher dosage group. We should consider various factors such as age, intelligence level, internalizing symptoms when we try methylphenidate and it is recommended that a sufficient dose is better than a lowest effective dose. 목적 : 본 연구는 혼합형 ADHD 아동을 대상으로 Oros-methylphenidat를 4주간 지속적으로 투여한 후의 지적·인지적 개선효과가 나이, 지능 수준, 약물 용량, 불안 증상의 유무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해시행되었다. 방법 : 대상 아동들은 Oros-methylphenidate를 투여하기 전 한국형 웩슬러 지능검사,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 SNAP-Ⅳ를 시행하였으며, 4주의 약물 치료 후 같은 검사를 반복하였다. 모든 결과들은 연령, 지능 수준, 용량, 불안의 유무에 따라 비교되었다. 결과 : 어린 아동군은 나이든 아동군에 비해 시각적·청각적 연속수행력의 오경보 오류에서 더 나은 향상을 보였으며, SNAP-Ⅳ를 통한 충동적 행동의 항목에서도 더 나은 향상을 보였다. 지능 수준에 따른 호전 정도에서는 평균수준의 지능군의 호전 정도가 가장 큰 반면, 높은 수준의 지능군의 향상 정도는 가장 작았다. 낮은 지능군의 시각적 연속수행력의 누락오류의 수, 선추적 검사 B에서의 오류의 수에서 가장 큰 호전이 관찰되다. Methylphenidate의 용량에 따른 증상 호전의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으며, 불안의 정도에 따른 증상호전의 차이는 일관성이 없었다. 결론 : 어린 ADHD 아동은 행동적, 인지적 충동성과 연관된 문제들이 methylphenidate에 의해 더 많이 개선되었다. 평균지능의 ADHD 아동에서 가장 큰 호전이 있었으나, 낮은 지능군에서의 효과도 유의하였는데, 이는 낮은 지능군의 불량한 초기 수행이 methylphenidate로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용량, 불안 유무에 따른 치료 반응의 일관되지 않으며 추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DHD 아동에 대한 약물 치료시 나이, 지능수준, 내면화 증상 등과 같은 요인들을 고려해야 하며, 어린 나이에 충분한용량을 사용할 경우 더 나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ADHD 진단을 위한 전산화 신경인지 기능검사의 유용성

        구본훈(Bon Hoon Koo),배대석(Dai Seg Bai)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6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2 No.1

        ADHD의 진단 및 치료효과 평가를 위한 검사도구로서의 가치를 알아보기 위해 120명의 정상아동 집단, 31명의 ADHD 집단 및 16명의 ADHD가 소아정신장애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세 집단 간의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 결과를 비교하였고, 그 변별력을 알아보았다. CNT의 주의력검사와 기억력검사 그리고 고위인지기능검사에서 ADHD 집단의 경우 대체로 정상집단과는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나 비 ADHD 집단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CNT의 정상아동 집단과 ADHD 집단 및 비 ADHD 집단에 대한 판별분석에서 정상아동에 대한 특이도가 99.0%, ADHD에 대한 민감도가 55.6%, 비ADHD에 대한 민감도가 66.7% 그리고 전체 판별 정확도가 89.5%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CNT는 ADHD의 진단적인 보조도구로서 유용하며, 경과관찰 및 치료효과를 정량적으로 볼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생각한다. Objective :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utility of the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CNT) system for the diagnosis and assessment of therapeutic effect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Method : The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and Korean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were performed to 120 normal children, 31 children with ADHD, and 16 children with other neuropsychiatric disorders. And then compared with attention, memory and higher cognitive function among three groups. Result : Children with ADHD ha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normal children in attention, memory and higher cognitive function,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ADHD and children with other neuropsychiatric disorders. In discriminant analysis for CNT among three groups, the specificity to normal children was 99.0%, the sensitivity to children with ADHD was 55.6%, the sensitivity to children with other neuropsychiatric disorders was 66.7%, and the accuracy of all groups was 89.5%.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ed that CNT is relatively valuable method and in the evaluation of children with ADHD. But further verification studies will be necessary.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연구 : 아동,청소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평가에서 (전산화)신경심리검사의 기여도

        이해영 ( Hye Young Lee ),배대석 ( Dai Seg Bai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평가 혹은 진단과정에서 신경심리검사가 어느 정도 기여하는 지, 어떤 종류의 검사와 지표가 활용될 수 있는 지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전산화) 신경심리검사는 12개의 검사로 구성된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였으며, 각 검사의 하위지표에 대해 초등학생(고학년), 중학생 및 고등학생의 연령대를 달리하면서 차이검증과 효과크기 검증, 그리고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청각적 조건연속수행검사를 제외하고는 각 연령대에 따라서 서로 다른 신경심리검사와 하위지표가 선택되었으며,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신경심리검사를 통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 정상 집단을 구분할 수 있는 검사도구가 제한적이었고, 분류의 정확도 또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결국 ADHD에 대한 일차적인 평가 혹은 진단을 위해서는 이들이 보이는 행동증상을 비롯한 보호자, 교사 혹은 친숙한 주변 사람들로부터의 객관적인 정보에 일차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무조건적인 신경심리검사의 실시는 그 이전에 충분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신경심리검사의 선택과정에서, 주의력을 비롯한 여러 신경인지기능이 활발히 발달하고 있는 아동기 혹은 초기 청소년기의 경우 개인 내에서 당연히 발생할 수 있는 혹은 정상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수행편차에 의해 ADHD로 진단하게 하는 오류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agnostic values of (computerized) neuropsychological tests in evaluation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Computerized) Neuropsychological test composed of 12 sub-tests were used, each index or performance of neuropsychological test by each age scope(elementally school higher grades,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of each age scope,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for preliminary discriminant analyses, and finally best effective index or tests of (computerized) neuropsychological tests were selected for final discriminant analyses. As results, selected neuropsychological index or test were different by age scopes except for auditory continuos performance test, and number and discriminal abilities of neuropsychological tests were decreased by growing age scopes. Thus a evaluation or diagnosis for ADHD is made by observed behavioral symptoms of them and objective reports by parents, teacher and familiar others, unconditional adminstration of neuropsychological tests was restricted. Furthermore, in selecting neuropsychological tests, it should be suggested that scattered intra difference or deviation of normal distribution of neuropsychological test performance in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t should be considered, and these problems would be make over diagnostic fa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