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년기 영성과 불안·우울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염형욱,정성덕,서완석,구본훈,배대석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005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2 No.1

        본 연구는 노인의 영적인 안녕 정도를 측정 하여 그들의 영적 안녕정도가 불안, 우울 및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인지를 검토하고, 불안 및 우울과 같은 노인의 정신 건강 상태를 평가할 때 영적 안녕이 중요한 요인으로 인정되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활동성 노인 18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영적 안녕 정도는 영적 안녕 척도를 사용하였는데 두 개의 하위 척도인 종교적 안녕과 실존적 안녕으로 평가를 하였으며, 불안과 우울은 불안ㆍ우울 통합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삶의 질에 대한 평가는 삶의 질에 대한 척도를 이용하여 주관적인 삶에 대한 느낌 (QOL1)과 전반적인 삶에 대한 만족도 (QOL2)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먼저, 영적 안녕 정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 정신사회적인 요인들에는 교육을 받은 경우 (p<.001), 종교가 있을 때 (p<.001), 종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경우 (p<.001), 신체적으로 건강할수록 (p<.01), 신체적 병력이 없는 경우 (p<.05),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경우 (p<.001) 영적안녕척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실존적 안녕척도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영적 안녕 정도와 삶의 질을 향상 시켜주면서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켜준 공통적인 정신사회적 요인으로는 종교의 만족 정도, 신체적 건강 상태 및 생활의 만족 정도 등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영적안녕척도점수와 불안, 우울 및 삶의 질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 영적안녕정도와 불안, 우울 및 삶의 질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다 희귀분석을 통해 평가한 결과, 영적 안녕 정도 중 특히 실존적 안녕 정도가 높을수록 불안ㆍ우울 통합 척도의 불안 (p<.001)과 우울 (p<.001) 모두가 낮아졌으며, 삶의 질 척도 중 삶에 대한 주관적인 느낌에 대한 척도 점수 (QOL1)는 유의하게 감소 (p<.001)하였고, 삶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QOL2)는 유의하게 증가 (p<.001)하였다. 따라서 종교적 안녕 정도보다 실존적 안녕 정도가 더 밀접한 영향을 미쳤다. 이상과 같이 활동성 노인에게 있어 영적 안녕 정도와 불안, 우울 및 삶의 질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노인 정신건강에 대한 평가를 실시할 경우 영적안녕이 중요한 요인이 됨을 검증해 볼 수 있었다. Background: This study assessed the mental health,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subject's spiritual well-being an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active old people, and to verify whether or not spiritual well-being is a new factor for comprehensive health in old peopl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selected 184 old people aged over 65 years. The subject's spiritual well-being was assessed by the Korean Spiritual Well-Being Scale (SWS) that was composed of the Religious Well-being Scale (RWS) and Existential Well-being Scale (EWS). The quality of life was assessed using Quality of Life Scale, which was composed of the subjective feeling about life and the subject's satisfaction of their whole life. Results: Among the psychosocial factors, the educational level and physical health, showed significant discriminative score in the SWS. A prior medical history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low SWS score. Satisfaction with life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high SWS score. These factors a showed significant discriminative EWS score rather than a RWS. Among the religion factors, the satisfaction with their relig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die SWS . The SWS score especially the EWS affected die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Korean Combined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CADS). The subjective feeling of life score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EWS low score and the subject's satisfaction with their whole life score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high EWS score. Conclusion: Spiritual well being has significantly effects an anxiety depression and the quality of life in active old age people, and the subject's spiritual well-being might be a new factor for assessing health in old age.

      • KCI등재후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의 특성과 Methylphenidate 치료 후의 변화

        서완석,정성덕,이종범,김진성,염형욱,배대석,박형배 대한정신약물학회 2002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13 No.3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after methylphenidate treatment of executive functions were conducted. Forty elementary school children, over 85 in intelligence quotient,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 They are diagnosed to hav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40 normal control group were also selected. For comparing of executive functions, ADHD subjects were tested executive functions before and 4 weeks after methylphenidate. Normal control group were also tested. Several behavioral checklists were used, and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Conners Continuous Performance Test, Stop Signal Task, Trail-Making Test(patr B), and Maze test were used. The executive functions and intelligence of ADHD were generally lower than normal control group. On CPT, ADHD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s in commissions, hit reaction time standard errors, variability of standard errors, and attentiveness. On SST, ADHD present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probability of inhibit, stop signal reaction time, Z Score of relative finishing time, Mean delay time on each block, and primary standard deviation. On WCST, ADHD had meaningfully lower performance in total corrects, total errors, nonperseverative errors, completed category, and trials to 1st category completed. After medication, intelligence was not changed, but simultaneous processing ability was improved significantly. And the behavioral problems were improved, but still had differences comparing to control. Commission of Conners' CPT, all aspects of SST and total corrects of WCST were improve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의 특성과 methylphenidate 투여 전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로 진단된 IQ 85 이상의 초등학생 40명과 정상대조군 40명을 대상으로 실행기능검사를 시행하였고, ADHD 집단에서는 methylphenidate 치료전과 투여 4주 후 시행하여 그 결과들을 비교하였다. 행동문제는 행동평가척도를 이용하였고, 실행기능 검사는 다섯 가지 종류의 ADHD 평가척도와 K-ABC, 연속수행과제, 정지신호과제, 위스콘신 카드분류검사, 선 추적 검사-B, 미로 검사를 시행하였다.정상대조집단 아동에 비해 ADHD 아동들은 지능이 낮았으며, 연속수행과제 검사에서 오경보오류, 정반응시간의 표준오차, 표준오차의 변산도 및 민감도에서 저조한 수행을 나타냈다. 정지신호과제 검사에서 ADHD 아동들은 억제가능성, 정지신호반응시간, 상대적 종료 시간의 z 점수, 블록당 평균지연시간 및 일차반응시간의 표준편차에서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에는 ADHD 아동들이 전체 정답수, 전체오류, 비보속적 오류, 개념적 수준의 반응, 완성된 반응의 범주 수, 첫 번째 범주 획득을 위한 시도 수에서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선추적 검사 B(Trail Making Test - Part B)와 미로(Maze) 검사에서 ADHD 아동들이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methylphenidate 투여 후 지능에는 유의한 개선이 없었으나 동시처리 척도에서는 유의한 호전이 있었다. methylphenidate 투여 후 모든 행동평가척도에서 유의한 호전이 있었으나, 정상대조집단과는 여전히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PT검사에서는 오경보 오류에서 유의한 개선이 있었다. 정신신호과제에서도 모든 억제영역에서 유의한 개선이 있었으며, 위스콘신 카드분류검사에서는 전체 정답 수에서만 유의한 호전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ADHD 아동들은 전반적인 실행기능의 이상 소견을 보였으며, methylphenidate는 이들 실행기능 중 주로 억제영역에 작용하여 실행기능 및 행동 증상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 중국거주 조선족 여성의 영적 안녕정도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정성덕,이종범,김진성,서완석,배대석,박순재,주열,염형욱,김승원,김구묘,안영록,황대홍,표미자,조창열,정태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004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1 No.2

        자아초월 정신의학이 체계화되면서 영성(spirituality)은 인성의 한 부분이라는 이론이 대두되었는데 이 영성은 정신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인간의 성향 중 영적 안녕 정도를 파악하여 그 정도가 정신건강 중 허위성 경향, 정신병적 경향 및 불안과 우울 경향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고저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은 중국의 연변 조선족 자치구에 거주하는 여성 400명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판 영적 안녕척도를 사용하여 영적 안녕정도를 파악하였다. 영적 안녕척도의 총점과 이 척도의 2개 하위 척도인 종교적 안녕과 실존적 안녕 척도 양자로 평가한 성적이 불안-우울통합척도와 정신분열증 척도 및 허위성 척도로 평가한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 및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영적 안녕척도로 평가한 조선족 여성의 총점은 68.29로 한국의 기독교 여성이 평가한 100.65보다 훨씬 낮은 점수였다. 2) 불안·우울통합척도로 평가한 총점은 44.88로 연변노인이 평가한 점수와 일개지역의 한국농촌주민이 평가한 점수와 비슷한 결과였다. 3) 허위성 척도로 평가한 성적은 평균 74.57로 70점 이상이 86%(344명)이었으나 영적 안녕 성적과 허위성 성적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4) 영적 안녕총점은 정신분열증 척도로 평가한 정신병적 경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종교적 안녕하위척도의 성적은 정신병적 경향을 높여준데 비하여 실존적 안녕하위척도의 성적은 정신병적 경향을 낮게 해주었다. 5) 영적 안녕척도의 총점 및 두 하위척도인종교적 안녕과 실존적 안녕은 불안과 우울에유의한 상관을 보였는데 영적 안녕총점이 높을수록 불안·우울 총점이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6) 종교적 안녕 하위척도와 불안과 우울과의 관계는 종교적 안녕점수가 높을수록 불안과 우울을 각각 다소 유의하게 높여주었으며 이에 비하여 실존적 안녕하위척도와 불안과 우울과의 관계는 실존적 안녕정도가 높을수록 불안 및 우울점수는 유의하게 낮아졌다. 이와 같은 성적을 미루어볼 때 연변에 거주하는 조선족 여성이 평가한 영적 안녕정도는 정신병적 경향과 불안 및 우울에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면 이 척도의 하위 척도인 종교적 안녕정도는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실존적 안녕정도는 정신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결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공산주의 사회에서 실존적 안녕은 긍정적인 가치관으로 평가되는 반면 종교적 안녕은 정신건강에 부정적으로 작용한 것을 입증해 주었다고 하겠다. Background: Spirituality has been an important part of Transpersonal Psychology and is believed to have a large effect on the mental health because it has been systematiz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 of spiritual disposition on human beings along with its effects on one's mental health.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targeted 400 women residing in Youn-Gil city of JiLin Prov., which is a district of the Cho-Sun tribe in China. Their spiritual well-being was studied using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Korean Version.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consists of 2 sub-scales of religious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The study was evaluated using a lie scale, psychotic trend, and a combined anxiety-depression scale. The results were considered to be factors of one's mental healt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each tendency was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total score of the Cho-Sun tribal women according to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was 68.29 which was much less than the 100.65 of Korean Christian wome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the Lie trend. However, it was found that 86%(344) of Cho-Sun tribal women scored above 70 in the Lie trend with a mean score of 74.57 which is higher than normal populations.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psychotic trend, the psychotic trend became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religious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On the other hand, the psychotic trend became significantly lower when the existential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anxiety, the anxiety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religious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However, the anxiety level was significantly low when the existential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depression, the depression level was somewhat significantly high when the religious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However, the depression level was significantly low when the existential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Conclusion: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spiritual well-being on a person's mental health among Cho-Sun tribal women in Youn-Gil city of JiLIn Prov., P.R. of China. The results found that the religious well-being, which is a sub-scale of spiritual well-being, had negative effects while the existential well-being had positive effects on the mental health. These results proved that a person's religious disposition had negative effects on their mental health in a communitari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